KR20090027840A - 메신저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메신저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7840A
KR20090027840A KR1020070092969A KR20070092969A KR20090027840A KR 20090027840 A KR20090027840 A KR 20090027840A KR 1020070092969 A KR1020070092969 A KR 1020070092969A KR 20070092969 A KR20070092969 A KR 20070092969A KR 20090027840 A KR20090027840 A KR 20090027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enger
user
picture
background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2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윤옥
Original Assignee
공윤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윤옥 filed Critical 공윤옥
Priority to KR1020070092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7840A/ko
Publication of KR20090027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78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08Annexed information, e.g. attach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A를 포함한 다자간 문자 및 그림을 전송하는 메신저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들이 메신저 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요청하면 메신저 서버는 로그인을 시켜주는 단계; 사용자들이 메신저를 이용하여 그림 전송 프로그램을 메신저 서버로부터 요청하면 이를 전송시켜 사용자 단말에서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사용자 A가 그림창이 포함된 메신저를 열면 메신저 서버는 현재 메신저를 통해 연결 가능한 사용자를 사용자 A의 메신저에 보여주는 단계; 사용자 A가 연결 가능한 상대방 사용자를 선택하면 메신저 서버는 상기 상대방 사용자의 메신저에 사용자 A가 대화를 신청하였음을 알려주는 단계; 사용자 A가 자신의 단말에서 그림파일을 열거나 화면상의 그림을 캡처하는 등의 방식으로 상기 배경그림을 메신저의 그림창에 업로딩하면 메신저 서버는 상기 배경그림을 상대방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메신저 그림창에 보여주는 단계; 및 사용자 A가 메신저의 메뉴에 포함된 도형(예: 점, 선, 원 등)을 선택하여 배경 그림상의 소정의 좌표에 표시하면 메신저 서버는 상기 도형의 좌표 속성과 형태 속성을 상대방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여, 상대방 사용자 메신저에 있는 배경그림의 동일위치에 사용자 A로부터 전송된 동일한 도형이 겹쳐 보이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메신저, 배경그림, 레이어, 대화

Description

메신저 서비스 방법{Messenger Service Method}
본 발명은 메신저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넷상에서 별도의 웹 브라우저 없이 독자적인 독립 창을 통해 실시간으로 문자 및 그림 정보의 교환뿐만 아니라 상기 송신된 그림을 통해 상대방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대화가 이루어지도록 한 메신저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통신이나 인터넷을 이용한 채팅 및 정보교환은 통상 통신 에뮬레이터나 웹브라우저 상에서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통신 에뮬레이터나 웹브라우저 기반 정보교환 및 채팅은 그 초기에 대화방이라는 가상의 공간을 만들고 그 공간에 여러 명이 참여해서 대화를 주고받거나 정보를 교환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서는 클라이언트 PC 상에 올려지는 팝 메일 형식을 통해 쌍방간 또는 다자간 채팅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메일 겸 채팅기술이 개발되기에 이르렀고, 이러한 기술을 기반으로 서로간의 실시간 의사전달 및 채팅을 지원하게 되는 메신저 프로그램이 탄생되었다.
메신저 프로그램은 그 이용을 원하는 사람마다 회원가입의 요청과 함께 그 사용자 컴퓨터에 메신저 접속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하도록 하게 하고, 이후 메신저 서버 접속할 때마다 회원정보를 확인한 후 쪽지메뉴, 친구메뉴, 채팅메뉴, 알림장 메뉴, 도움말 메뉴와 같은 몇 개의 메뉴를 제시하여, 그 제시 메뉴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해당 선택메뉴의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메신저 프로그램 사용자가 메신저 초기메뉴 창에서 "친구"라는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온라인/ 친구관리/ 그룹 찾기/ 새 친구 사귀기/ 추천 등의 메뉴가 나타나게 되며, 여기에서 메신저 사용자가 각 서브 메뉴를 선택하는 것으로 메신저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여 실행시키면 된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메신저 프로그램 사용자가 메신저 프로그램의 콘텐츠 중에서 "채팅"이라는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그에 해당하는 서브메뉴의 창 또는 쪽지 전달 창을 이용하여 상대방과의 채팅을 즐길 수 있다.
그러나 메신저 프로그램의 기본적인 기능이 앞에서 언급한 바대로 단순한 문자정보의 교환이나 채팅, 친구 사귀기 등의 수행에 있는 것이기는 하지만, 그의 이용은 결코 간편하지 못하며 또한 기능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많은 메신저 프로그램 사용자들이 점점 흥미를 잃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종래의 메신저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그림을 보고서 여러명의 사용자들이 서로 토의(또는 토론 등)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인터넷상에서 별도의 웹 브라우저 없이 독자적인 독립 창을 통해 실시간으로 문자 및 그림 정보의 교환뿐만 아니라 상기 송신된 그림을 사용자들의 메신저 화면에 동시에 출력시킨 후, 그 그림을 보고 실시간으로 대화가 이루어지도록 한 메신저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 A를 포함한 다자간 문자 및 그림을 전송하는 메신저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들이 메신저 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요청하면 메신저 서버는 로그인을 시켜주는 단계; 사용자들이 메신저를 이용하여 그림을 전송하기 위해 프로그램(그림 전송 프로그램)을 메신저 서버로부터 요청하면 이를 전송시켜 사용자 단말에서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사용자 A가 그림창이 포함된 메신저를 열면 메신저 서버는 현재 메신저를 통해 연결 가능한 사용자를 사용자 A의 메신저에 보여주는 단계; 사용자 A가 연결 가능한 상대방 사용자를 선택하면 메신저 서버는 상기 상대방 사용자의 메신저에 사용자 A가 대화를 신청하였음을 알려주는 단계; 사용자 A가 자신의 단말에서 그림파일을 열거나 화면상의 그림을 캡처하는 등의 방식으로 상기 그림을 메신저의 그림창에 업로딩하면 메신저 서버는 상기 그림(배경그림)을 상대방 사용자에게 전송하 여 메신저 그림창에 보여주는 단계; 및 사용자 A가 메신저의 메뉴에 포함된 도형(예: 점, 선, 원 등)을 선택하여 배경 그림상의 소정의 좌표에 표시하면 메신저 서버는 상기 도형의 좌표 속성과 형태 속성을 상대방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여, 상대방 사용자 메신저에 있는 배경그림의 동일위치에 사용자 A로부터 전송된 동일한 도형이 겹쳐 보이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사용자 A가 메신저를 통해 선택한 배경그림과 상기 배경그림 위에 표시한 도형이 상대방 사용자의 메신저에 실시간으로 배경그림과 표시한 도형이 동일한 형태로 나타나도록 하여 그 동일한 형태를 보면서 실시간으로 메신저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신저의 그림창은 배경 레이어와 작업 레이어로 구성되고, 상기 배경 레이어에는 배경그림이 배치되며, 상기 작업 레이어에는 메뉴의 선택에 의해 그려진 도형이 배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져 배경그림과 도형이 함께 보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경 레이어와 작업 레이어는 동일한 좌표 값을 갖으며, 도형속성은 점의 경우, 각 도형의 좌표속성과 도형의 형태속성으로 구성되어 작업 레이어에 그려진 상기 도형의 좌표속성과 도형의 형태속성을 통해 배경레이어의 원하는 위치에 도형이 함께 보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경 그림은 배경레이어를 통해 맨 처음에 전달되고, 도형그림은 이벤트가 끝날 때마다 이벤트의 종료를 확인하여 자동으로 작업레이어를 통해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림 업로드 수단은 드래그 앤드 드롭 또는 그림캡처하기 또는 그림열 기 중 하나의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메신저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인터넷상에서 별도의 웹 브라우저 없이 독자적인 독립 창을 통해 실시간으로 문자 및 그림 정보의 교환뿐만 아니라 상기 송신된 그림을 사용자들의 메신저 화면에 동시에 출력시킨 후, 그 그림을 보고 실시간으로 대화가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은 다수의 메신저 사용자 PC(21)(22)와, 상기 메신저 사용자 PC간 연결시키는 메신저 서버(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메신저 서버(10)는 회원 데이터베이스(DB)(11), 메신저 기능 제공 DB(13) 및 본 발명의 핵심인 그림 데이터 전송을 위한 그림판 프로그램 파일 DB(12) 등과 어세스(Access) 가능하다.
인터넷상에서 다수의 등록회원들에 대해 메신저 기능을 제공하는 메신저 서버(10)에는 다수의 회원자격을 갖는 메신저 사용자(사용자 A, 사용자 B) 컴퓨 터(21,22)가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기로서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메신저 서버(10)에는 당해 메신저 프로그램 사용자의 인증을 위한 가입회원들의 신상정보를 보유하는 회원 데이터베이스(DB)(11)와, 각 메신저 사용자PC(21,22)측에서의 그림 편집 및 그림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그림판 프로그램 파일서버(12)를 접속하여 구성한다.
회원 데이터베이스(11)는 메신저 사용자들의 회원가입시 메신저 서버측이 획득하는 데이터로, 추후 메신저 사용들의 로그인(Log in)시 필요하다.
메신저 기능 제공 DB(13)에는 메신저를 구동 및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포함하고 있다.
그림판 프로그램 파일 DB(12)는 본 발명의 핵심인 다자간(사용자간) 그림 데이터 전송을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하는 프로그램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 그림판을 이용하여 배경 레이어('기본 레이어'라고도 함)가 아닌 작업 레이어(간략히, 새 레이어(New Layer)'라고도 함)에 소정의 작업(예: 선 그리기, 도형 그리기 등)을 하게 된다.
위에서는 메신저 프로그램의 사용자PC를 2대만 표시하고 있으나 이것은 설명상의 편의를 위한 것 일뿐, 실제 메신저 웹 주소를 이용하여 무수히 많은 메신저 사용자 PC가 접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메신저 시스템에서의 메신저 실행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메신저 서버(10)는 불특정 클라이언트 단말기인 메신저 사용자PC(21)의 접속이 있으면 스크립트 형식으로 메신저 사용자 PC(클라이언트 PC)의 화면에 메신저 창을 띄우거나 신규회원 등록 시 클라이언트 PC에 사전 다운로드 되어 있던 플러그인 프로그램을 불러 로그인 입력 창에 회원ID와 비밀번호의 입력을 요구한다.
이에, 메신저 사용자PC(21)측으로부터 회원ID와 비밀번호의 입력이 있으면 해당 정보를 회원DB(11)에 조회하여 등록회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등록회원으로 확인되면 로그인(Login)을 인증하고 해당 PC의 IP 어드레스를 요구한다. 이와 동시에 해당 ID가 사전에 등록한 친구목록 또는 확인요청목록 중에서 현재 온라인접속중인 다른 메신저 사용자PC의 정보 및 방개설 정보와 이용 가능한 주 메뉴(파일, 동작, 친구, 설정, 그림 보내기 등)를 출력시켜 당해 메신저 사용자PC(21)에게 제공한다. 그러나 입력된 ID와 비밀번호가 등록회원이 아닌 경우에는 재입력 및 신규회원가입을 요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독립창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일반적인 문자 전송 모드에서 그림 전송 모드로 전환하면 종래 일반적인 문자 전송을 위한 창의 형태에서 도 2와 같은 창의 형태로 바뀌어진다. 물론 상기 그림 전송 모드에서도 문자 전송은 가능하다.
상기에서 일반적인 문자 전송 모드에서 그림 전송 모드로 전환은 하기 설명 될 메신저 독립창의 메뉴 중 그림보내기 메뉴(아이콘) 클릭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다른 메뉴(아이콘), 예를 들면, 그림 캡처하기, 그림 열기 등과 같은 메뉴의 클릭으로 그림 모드로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메신저 독립창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일측에는 그림 도구상자가 있고, 그 옆에는 그림 업로드 창(100), 그림 업로드 창(100) 아래에는 문자 업로드 창(200)이 위치한다. 상기 문자 업로드 창(200)의 하측에는 사용자가 직접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부(210)가 있으며, 그림 업로드 창(100)의 상측으로는 주로(많이) 사용하는 아이콘과, 그 아이콘 상측으로 주 메뉴들이 위치한다.
상기에서 그림 업로드 창(100)은 말 그대로 상대방 사용자에게 보내지는 그림이 업로딩되는 창이고, 문자 업로드 창(200)은 상대방 사용자에게 보내지는 문자가 업로딩되는 창이다.
상기에서 주메뉴로는 파일(F), 동작(A), 친구(B), 설정(T), 그림 보내기(P) 등이 있으며, 이들 주메뉴들에 대한 서브메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파일(F)의 서브메뉴로는 로그아웃, 받은파일 폴더열기, 대화함 열기 등이 있고, 동작(A)의 서브메뉴로는 초대하기, 쪽지 보내기, 메일 보내기, 파일 보내기 등이 있으며, 친구(B)의 서브메뉴로는 친구 추가, 친구 복사, 친구 이동, 친구 삭제 등이 있고, 설정(T)의 서브메뉴로는 내 상태 설정, 내 대화명 설정, 내 프로필 설정 등이 있으며, 그림 보내기(P)의 서브메뉴로는 그림 도구상자 열기, 그림 캡처하기, 그림 열기 등이 있다.
상기에서 그림 도구상자 열기 메뉴를 클릭하면 그림 도구 상자가 화면상에 보여지고, 이 그림 도구상자에는 선택툴, 지우개, 선그리기, 색칠도구, 글씨쓰기, 도형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그림도구상자에 있는 도구들을 이용하여 그림 업로드 창(100)에 업로딩된 그림을 편집, 도형 추가 등을 할 수 있다. 상기 그림 도구 상자의 하측에는 색상표가 위치하기도 한다. 또한, 그림 업로드 창(100)에 업로딩된 것에는 PC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영상도 포함된다.
상기에서 그림 캡처하기 메뉴는 컴퓨터 바탕화면에 깔린 그림, 문서에 나타난 그림, 인터넷상에 보여진 그림 등을 캡처하고, 그 캡처된 그림을 그림 업로드 창에 업로딩하는 메뉴이다. 상기와 같이, 그림 파일의 업로딩은 그림 캡처하기를 이용한 방식도 있지만, 그림 열기,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 등과 같은 방식도 있다.
이와 같은 메신저 창의 메뉴 중에서 문자 데이터 교환(주고받기)을 위해 쪽지보내기(또는 쪽지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메신저 서버(10)는 해당 메신저 사용자 PC측으로부터 방개설 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방개설 요구가 있으면 해당 메신저 사용자 PC의 방개설을 허용하고 대기시킨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른 메신저 사용자 PC들에 의한 방개설 요구시 각각 고유 IP어드레스 마다 방개설을 허용한 후 대기시킨 다음, 다른 사용자PC(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개설방과의 접속을 위해 방정보 리스트의 요구가 있으면 방개설 정보를 제공하여 다음의 접속자가 그중 하나의 개설방을 선택하게 한다.
개설방과의 접속을 희망하는 임의의 사용자PC(클라이언트 단말기)의 IP 정보 를 방개설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전송하여 방개설 사용자PC측으로부터 접속 수락이 있으면 그 수락여부와 대기상태 종료를 통보한 후 쌍방간 문자편지(쪽지)교환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쪽지 교환을 위해 쌍방의 IP를 제공함으로써 두 사용자PC들이 자신들의 IP를 가지고 상호 직결되거나 메일서버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임의의 메신저 사용자가 로그인 완료 후 메시지 창의 주메뉴(또는 아이콘) 중에서 그림보내기 메뉴를 선택하면 메신저 서버(10)는 그림판 프로그램 파일서버(12)상에서 해당 접속 메신저 사용자 PC의 사용자는 선택된 그림을 상대방 사용자PC에게 메신저를 통해 보낼 수 있다.
즉, 메신저 프로그램 사용자가 그림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주메뉴(또는 아이콘) 상에서 그림보내기를 선택하게 되면 메신저 사용자 PC(21,22,…)의 화면에는 그림판 프로그램 파일서버(12)에서 그림판 등이 제공되어 상대방에게 그림 데이터를 전송시킬 수 있는 그림 전송 모드(문자 전송 포함)로 바뀌게 된다. 물론 수신측(상대방 사용자 PC)도 상기 그림 데이터 수신시 그림 전송 모드로 바뀌게 된다.
여기서, 그림판 프로그램 파일서버(12)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은 MS윈도우에서 제공하는 그림판과 같은 프로그램(어도브사의 포토샵 프로그램일수도 있음)일수 도 있고, 자체적으로 제작한 도 2에서 언급한 그림을 보내기 위한 툴(그림 보내기, 도구상자, 캡처, 그림 열기 등)일 수도 있다. 이러한 툴들이 메신저상에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이러한 툴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상대방 사용자 PC에게 그림 데이터를 보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그림보내기 메뉴를 이용하여 메신저 창을 문자 전송 모드에서 그림 전송 모드로 변환한 후, 그림을 보내기 위한 툴(그림판 포함)을 이용하여 소정의 그림(이때, 그림 편집도 가능함)을 불러와 상대방에게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1:1 또는 1:n(다자간 전송) 문자 및 그림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는데, 여기서는 편의상 1:1(사용자 A와 사용자 B간) 데이터 전송을 위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A, B 둘 다 인터넷을 이용하여 메신저 서버에 접속(S101)한 후, 로그인을 요청하면 메신저 서버는 로그인을 시켜준다.(S102) 로그인 과정은 도 2 설명부분을 참조하기로 한다.
그런 후,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들이 메신저를 이용하여 그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그램(그림판을 포함한 그림을 보내기 위한 툴 또는 그림 전송 프로그램)을 메신저 서버로부터 요청하면 메신저 서버는 이를 전송시켜 사용자 단말에서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S103) 물론 기 접속으로 이러한 프로그램들이 이미 설치되어 있으면 하기 단계가 곧바로 수행된다.
그런 후, 사용자 A(보다 정확하게는 사용자 A 컴퓨터임)가 그림창이 포함된 메신저를 열면 메신저 서버는 현재 메신저를 통해 연결 가능한 사용자를 사용자 A의 메신저에 보여준다.(S104) 기 연결로 연결가능한 사용자가 있는 경우는 상기와 같이 하면 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메신저 자체에서 제공하는 메뉴(친구찾기, 친구등록 등)를 통해 상대방 사용자(사용자 B, 보다 정확하게는 사용자 B 컴퓨터임)를 등록한다.
그런 후, 사용자 A가 연결 가능한 상대방 사용자(사용자 B)를 선택하면 메신저 서버는 상기 상대방 사용자(사용자 B)의 메신저에 사용자 A가 대화를 신청하였음을 알려준다.(S105)
그런 후, 사용자 A가 자신의 단말에서 그림파일을 열거나 화면상의 그림을 캡처하는 등의 방식으로 상기 그림(배경그림에 해당함)을 메신저의 그림창에 업로딩하면 메신저 서버는 상기 그림(배경그림)을 상대방 사용자(사용자 B)에게 전송하여 메신저 그림창에 보여준다.(S106) 상기 그림파일을 업로딩하는 방식에는 앞에서 언급된 방식 이외에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 방식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그림 데이터 전송시 다수의 레이어를 이용한다. 즉, 하기 도 5a 및 도 5b에서도 상세히 설명이 이루어지지만, 단계 105에서와 같이 맨 처음에 그림 업로드 창에 업로딩된 그림은 배경 레이어(기본 레이어)에 위치한다. 그리고 사용자 A와 사용자 B간 배경 레이어에 있는 그림을 참조하여 서로 정보교환(커뮤니케이션)할 때 추가로 새로 작성된 그림(예: 선 그리기, 커서로 위치표시 등)은 새 레이어(작업 레이어)에 작성된다. 이는 추가적으로 생성된 데이터 전송시 새 레이어에 있는 데이터만 전송하면 되므로 빠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진다. 상기 작업 레이어는 2개 이상 생성될 수 있다.
단계 106과 같이, 사용자 A와 사용자 B 둘 다 같은 그림(배경 그림)을 배경 레이어에 위치시킨 후, 사용자 A가 메신저의 메뉴에 포함된 도형(예: 점, 선, 원 등)을 선택하여 배경 그림상의 소정의 좌표에 표시하면 메신저 서버는 상기 도형의 좌표 속성과 형태 속성을 상대방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한다.(S107) 그러면 상대방 사용자 메신저에 있는 배경그림의 동일위치에 사용자 A로부터 전송된 동일한 도형이 겹쳐 보이게 된다.(S108)
단계 107에서, 사용자 A가 메신저의 메뉴에 포함된 도형(예: 점, 선, 원 등)을 선택하여 배경 그림상의 소정의 좌표에 표시하면 이 도형들은 새로운 레이어(작업 레이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단계 107에서, 메신저 서버가 상대방 사용자(사용자 B)의 단말로 전송시키는 것은 도형의 좌표 속성과 형태 속성인데, 이 좌표 속성(座標屬性)과 형태 속성(形態屬性)에 대해 세 가지의 일례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형이 점(Point, 點)인 경우, 이 도형인 점의 좌표속성(座標屬性)은 점의 중심좌표(中心座標)가 되는 것이고, 점의 형태속성(形態屬性)은 점의 크기나 점의 형태(모양)가 된다. 둘째, 도형이 선(Line, 線)인 경우, 이 선의 좌표속성은 선의 시작점(Start point; S)과 끝점(End Point; E)의 좌표가 되는 것이고, 이 선의 형태속성은 선의 굵기, 선의 종류 등이 된다. 셋째, 도형이 원(Circle, 圓)인 경우, 이 원의 좌표속성은 원의 중심점의 좌표가 되는 것이고, 이 원의 형태속성은 원의 직경, 원의 채워짐 등이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A가 메신저를 통해 선택한 배경그림과 상기 배경그림 위에 표시한 도형이 상대방 사용자의 메신저에 실시간으로 배경그림과 도형이 동일한 형태로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B도 사용자 A와 함께 배경 그림 위에 있는 동일한 형태의 도형을 보면서 실시간으로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메신저의 그림창은 배경 레이어와 작업 레이어로 구성되고, 상기 배경 레이어에는 배경그림이 배치되며, 상기 작업 레이어에는 메뉴의 선택에 의해 그려진 도형이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배경 레이어와 작업 레이어가 동일한 좌표 값을 갖으며, 도형속성은 점의 경우, 각 도형의 좌표속성과 도형의 형태속성으로 구성되어 작업 레이어에 그려진 상기 도형의 좌표속성과 도형의 형태속성을 통해 배경레이어의 원하는 위치에 도형이 함께 보여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배경 그림은 맨 처음에 배경레이어를 통해 전달되고, 도형그림은 이벤트가 끝날 때마다 이벤트의 종료를 확인하여 자동으로 작업레이어를 통해 전달된다.
앞에서는 사용자 A에서 사용자 B로 전송되는 것이 도형이다고 하였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이에 한정하진 않는다. 즉, 사용자 A에서 사용자 B로 전송되는 것은 마우스 커서의 위치도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 A가 마우스 커서로 배경그림의 어느 한 위치를 지정했다면 그 마우스의 커서 좌표값이 사용자 B에게 전달되고, 사용자 B의 화면에도 동일한 지점에 마우스 커서가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메신저 사용자들간 메신저 화면에 출력되는 동일한 그림을 보고 실시간으로 대화(커뮤니케이션)를 할 수 있다. 즉, 같은 그림이 사용자 A와 사용자 B의 화면에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 A 또는 사용자 B 중 한 명이 그 그림 상에 새로운 작업(예: 원 그리기, 선 그리기, 커서 위치하기 등)을 수행하면 상기 작업이 상대방 PC에도 동시에 출력이 이루어진다.(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5a 및 도 5b 참조)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메신저 서비스 방식은 화상통화 방식과 가장 큰 차이점이 있는데, 좀더 구체적으로 화상통화 방식은 반드시 카메라(캠 등)가 구비되어야 하는 반면에, 본 발명의 메신저 서비스 방식에서는 카메라가 필요치 않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메신저 서비스 방식에서는 문자 메시지 전송방식(또는 전화통화)을 함께 수행하면 상대방과의 의사소통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4a는 도 2에서 그림을 불러와서 창에 띄운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b은 도 4a에서 새로운 레이어 상에서 새 작업을 실시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신저 창에서 그림 열기, 그림 캡처하기,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 등의 방식을 통해 그림 업로드 창에 새로운 그림을 업로딩하면 이와 동시에 상대방 사용자에게 전달되며, 상대방 사용자의 메신저 창에도 상기와 같은 동일한 그림이 그림 업로드 창에 출력된다. 상기 와 같이 맨 처음 그림 업로드 창에 업로딩된 그림은 배경그림이며, 이 배경그림은 배경레이어에 위치한다.
또한, 도 4b에서와 같이, 그림 업로드 창에 출력되는 그림에 새로운 작업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추가적인 작업(예: 커서 위치하기, 선 그리기, 원 그리기 등)들은 새로운 작업 레이어에서 이루어지며, 곧바로 상대방 사용자 컴퓨터에 전송되어 거의 동시 출력이 가능하다. 새로운 추가 작업은 주로 도형 작업인데, 상기 도형의 좌표속성 및 형태속성이 작업레이어를 통해 상대방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도 5a 및 도 5b는 송신자측 및 수신자측에서 바라본 그림판을 이용한 그림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 A가 사용자 B에게 소정의 그림을 전송하고, 그 그림을 이용하여 상호간 대화(커뮤니케이션)를 실시한다고 가정했을 때 본 발명의 메신저 서비스 방법이 매우 유용하다.
즉, 사용자 A는 메신저 화면에 있는 그림 업로드 창(100)에 처음에 그림을 업로딩시켜 상대방 사용자(사용자 B)에게 전송시킬 때, 상기 그림은 배경 레이어(기본 레이어)에 위치하게 된다. 물론 수신자측인 사용자 B의 컴퓨터에서도 상기 그림이 배경 레이어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 A가 새로운 작업(예: 커서 위치하기, 선 그리기, 원 그리기 등)을 수행하면 그 작업은 새 레이어에서 이루어진다.(도 5a 참조) 이 새 레이어에서 이루어진 작업은 동시에 상대방 사용자 B에게 전달되며, 사용자 B 컴퓨터의 메신저 화면에도 같은 그림이 출력된다.(도 5b 참조)
상기에서 사용자 A에서 사용자 B로 새 레이어를 통해 새로 추가된 작업내용이 전송되는데, 이때 그 데이터(선, 원, 커서 등)를 나타내는 속성(좌표속성, 형태속성)이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도면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A가 그림의 소정 위치에 선(line)을 더 표시했으면(물론 이러한 작업은 새 레이어에서 이루어짐) 상대방 사용자(사용자 B)에게 '선의 종류, 선의 굵기 등'의 형태속성과, 선을 표시하기 위한 시작점(start point; S)과 끝점(end point; E)을 나타내는 좌표속성이 전송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속성(형태속성, 좌표속성)를 전송받은 사용자 B 컴퓨터는 상기 형태속성과 좌표속성을 조합하여 하나의 선을 출력하게 되며, 그 선은 배경 레이어에 있는 그림과 병합되어 출력된다.
상기에서 선 그리기를 위주로 설명이 이루어졌지만, 그 이외의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커서 위치라든가 페인트 칠하기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독립창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a는 도 2에서 그림을 불러와서 창에 띄운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b은 도 4a에서 새로운 레이어 상에서 새 작업을 실시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송신자측 및 수신자측에서 바라본 그림판을 이용한 그림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그림 업로드 창 200 : 문자 업로드 창
210: 문자 입력부

Claims (5)

  1. 사용자 A를 포함한 다자간 문자 및 그림을 전송하는 메신저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들이 메신저 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요청하면 메신저 서버는 로그인을 시켜주는 단계;
    사용자들이 메신저를 이용하여 그림을 전송하기 위해 프로그램(그림 전송 프로그램)을 메신저 서버로부터 요청하면 이를 전송시켜 사용자 단말에서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사용자 A가 그림창이 포함된 메신저를 열면 메신저 서버는 현재 메신저를 통해 연결 가능한 사용자를 사용자 A의 메신저에 보여주는 단계;
    사용자 A가 연결 가능한 상대방 사용자를 선택하면 메신저 서버는 상기 상대방 사용자의 메신저에 사용자 A가 대화를 신청하였음을 알려주는 단계;
    사용자 A가 자신의 단말에서 그림파일을 열거나 화면상의 그림을 캡처하는 등의 방식으로 상기 그림을 메신저의 그림창에 업로딩하면 메신저 서버는 상기 그림(배경그림)을 상대방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메신저 그림창에 보여주는 단계; 및
    사용자 A가 메신저의 메뉴에 포함된 도형(예: 점, 선, 원 등)을 선택하여 배경 그림상의 소정의 좌표에 표시하면 메신저 서버는 상기 도형의 좌표 속성과 형태 속성을 상대방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여, 상대방 사용자 메신저에 있는 배경그림의 동일위치에 사용자 A로부터 전송된 동일한 도형이 겹쳐 보이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사용자 A가 메신저를 통해 선택한 배경그림과 상기 배경그림 위에 표시한 도형이 상대방 사용자의 메신저에 실시간으로 배경그림과 표시한 도형이 동일한 형태로 나타나도록 하여 그 동일한 형태를 보면서 실시간으로 메신저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서비스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의 그림창은 배경 레이어와 작업 레이어로 구성되고,
    상기 배경 레이어에는 배경그림이 배치되며, 상기 작업 레이어에는 메뉴의 선택에 의해 그려진 도형이 배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져 배경그림과 도형이 함께 보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서비스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레이어와 작업 레이어는 동일한 좌표 값을 갖으며, 도형속성은 점의 경우, 각 도형의 좌표속성과 도형의 형태속성으로 구성되어 작업 레이어에 그려진 상기 도형의 좌표속성과 도형의 형태속성을 통해 배경레이어의 원하는 위치에 도형이 함께 보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서비스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그림은 배경레이어를 통해 맨 처음에 전달되고, 도형그림은 이벤 트가 끝날 때마다 이벤트의 종료를 확인하여 자동으로 작업레이어를 통해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서비스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림 업로드 수단은 드래그 앤드 드롭 또는 그림캡처하기 또는 그림열기 중 하나의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서비스 방법.
KR1020070092969A 2007-09-13 2007-09-13 메신저 서비스 방법 KR200900278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969A KR20090027840A (ko) 2007-09-13 2007-09-13 메신저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969A KR20090027840A (ko) 2007-09-13 2007-09-13 메신저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840A true KR20090027840A (ko) 2009-03-18

Family

ID=40695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969A KR20090027840A (ko) 2007-09-13 2007-09-13 메신저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78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1873A1 (ko) * 2012-10-21 2014-04-2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메신저 제어 방법을 위한 기록 매체,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N115134318A (zh) * 2022-06-16 2022-09-30 王蕾茜 一种用户可以同步同屏实时手绘的应用程序及聊天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1873A1 (ko) * 2012-10-21 2014-04-2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메신저 제어 방법을 위한 기록 매체,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WO2014061877A1 (ko) * 2012-10-21 2014-04-2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메신저 제어 방법을 위한 기록 매체,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N115134318A (zh) * 2022-06-16 2022-09-30 王蕾茜 一种用户可以同步同屏实时手绘的应用程序及聊天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5056B2 (en) Web browser interface for spatial communication environments
JP6558430B2 (ja) ラッパ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インタフェースを用いて対話型ホワイトボード機器上の第三者コンテンツ共同サービスにアクセスするためのアプローチ
EP3336699B1 (en) Approach for accessing third-party content collaboration services on interactive whiteboard appliances by an application using a wrapper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US9009603B2 (en) Web browser interface for spatial communication environments
JP4897611B2 (ja) インスタント・メッセージング・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170448B2 (ja) グループコンタクトシステム及びコンタクトシステム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9569752B2 (en) Providing parameterized actionable communication messages via an electronic communication
EP2533491B1 (en) Proximity Session Mobility
KR20140113932A (ko) 원활한 협업 및 커뮤니케이션
KR20170047293A (ko) 콘텐츠 공유
CN102821253A (zh) 即时通信工具实现合影功能的方法及系统
WO2008131671A1 (fr) Système d&#39;affichage utilisateur associé, procédé, et extrémité client d&#39;une communication instantanée
US10038878B1 (en) Video conference method using conference room objects
JP548249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54487A (ko) 그룹 대화 방법 및 그룹 대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6243382B2 (ja) メッセージ処理システム、メッセージ処理方法およびメッセージ処理プログラム
KR20090027840A (ko) 메신저 서비스 방법
JP2010278656A (ja) 画像編集システムおよび画像編集方法
JP2005050113A (ja) インスタントメッセージ利用システム,送信クライアント,中継サーバ,受信クライアント,インスタントメッセージ利用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CN110557322A (zh) 信息处理装置和非暂时性计算机可读介质
JP703990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画面共有端末制御方法
EP1843538B1 (en) Method for conference setup between mobile terminals for a shared whiteboard session
JP6886750B1 (ja) オンライン会議支援装置、オンライン会議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オンライン会議支援システム
JP4616876B2 (ja) グループコンタクトシステム及びコンタクトシステム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7398248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サーバ、およ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