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7602A - 물질의 건조도 처리 및/또는 증대용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물질의 건조도 처리 및/또는 증대용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7602A
KR20090027602A KR1020087015683A KR20087015683A KR20090027602A KR 20090027602 A KR20090027602 A KR 20090027602A KR 1020087015683 A KR1020087015683 A KR 1020087015683A KR 20087015683 A KR20087015683 A KR 20087015683A KR 20090027602 A KR20090027602 A KR 20090027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anode
outlet
electrodes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5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브데르라흐마네 데르모우네
아브데라지즈 보우레가
로저 파라디스
다니 사르라진-술리반
진-피에르레 디오느네
Original Assignee
레스 테크놀로지스 엘코테크 인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스 테크놀로지스 엘코테크 인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레스 테크놀로지스 엘코테크 인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27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76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CPRODUCTION OF CELLULOSE BY REMOVING NON-CELLULOSE SUBSTANCES FROM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REGENERATION OF PULPING LIQUORS; APPARATUS THEREFOR
    • D21C9/00After-treatment of cellulose pulp, e.g. of wood pulp, or cotton linters ; Treatment of dilute or dewatered pulp or process improvement taking place after obtaining the raw cellulosic material an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D21C9/18De-watering; Elimination of cooking or pulp-treating liquors from the pulp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06Electrochemical treatment, e.g. electro-oxidation or electro-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treatment with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by treatment with ultrasonic 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00Preliminary treatment of solid materials or objects to facilitate drying, e.g. mixing or backmixing the materials to be dried with predominantly dry solids
    • F26B1/005Preliminary treatment of solid materials or objects to facilitate drying, e.g. mixing or backmixing the materials to be dried with predominantly dry solids by means of disintegrating, e.g. crushing, shredding, milling the material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carrying the materials;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or elements attached to endless belts or chains propelling the materials over stationary surfaces
    • F26B17/0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carrying the materials;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or elements attached to endless belts or chains propelling the materials over stationary surfaces the belt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2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llers or discs with material passing over or between them, e.g. suction drum, sieve, the axis of rotation being in fixed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02F1/469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electro-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5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 C02F2001/46157Perforated or foraminous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물질의 건조도를 증가시키는 장치들이 제공된다. 장치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구비하고, 각각의 모듈(들)은 물질을 전류에 인가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두 개의 전극들을 구비한다. 전극들은 또한 물질을 압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물질의 건조도를 증가시키는 방법들이 제공된다.
물질, 슬러지, 건조도, 모듈, 전극, 양극, 전류, 압축

Description

물질의 건조도 처리 및/또는 증대용 장치 및 방법{processes and apparatuses for treating and/or increasing dryness of a substanc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물질을 정화에 의해, 물질의 건조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전기-탈수(electro-dewatering) 방법 및 장치와, 물질의 처리 장치 및 방법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정화(decontamination)는 예를 들어, 미생물 비활성화 및/또는 박멸일 수 있다. 그러한 물질은 물 또는 예를 들어, 유기 용제와 같은 다른 액체들 함유하는 액체 함유 물질일 수 있다.
전기-탈수법은 물질의 건조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물질의 처리와 관계된다. 그러한 공정은 전기-삼투(electro-osmosis)와 압력의 복합된 작용에 근거한다. 전기-삼투 현상은 다공성 매개물에서 전극들에 가해지는 전위차가 양극으로부터 음극으로의 양이온들의 이동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점성 작용(viscous action)에 의해 물 분자들을 지연시키는 사실에 근거한다. 이것은 고체/액체 분리, 및 결과적으로 다공성 물질(슬러지 또는 토양)의 탈수를 허용한다.
전기-삼투법의 중대한 단점들 중 하나는 양극에서 발생하는 전위차의 감소이다. 양극에서의 전위차 감소는 양극에 인접한 다공성 물질의 수분 함유량의 감소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전기분해 동안 발생된 가스에 의해 그리고 양극 을 구성하는 물질의 분해에 의해 수반된 간격, 수분 공극(pore water)의 전도성 감소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전위차의 감소는 양극과 다공성 물질 사이의 부적절한 접촉의 이유에 의해서도 설명될 수 있다. 따라서, 다공성 물질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전압 변화도는 전극들에 가해지는 전압의 분압이 될 수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그러한 단점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극복하고 현존하는 해결책들에 대한 유효한 대안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물질의 건조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며, 그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구비하고, 각각의 모듈은 물질에 전류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2개의 전극들을 구비하고, 전극들 중 하나는 소정 방향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물질의 이동을 부여하도록 구성된 유연성 전극으로 되어 있고, 전극들의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독립된 전극 유니트 내부에 구비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전극 유니트가 존재할 때, 상기 전극 유니트들은 서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다른 전극은 소정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물질을 압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물질의 건조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며, 그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구비하고, 각각의 모듈은 물질에 전류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2개의 전극들을 구비하고, 전극들의 하나는 상기 물질에 소정 방향으로 이동을 부여하는 수단과 근접한 비가동 전극으로 되어 있고, 전극들의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독립한 전극 유니트 내부에 구성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전극 유니트가 존재할 때, 상기 전극 유니트들은 서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다른 전극은 소정의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물질을 압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물질의 건조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며, 그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구비하고, 각각의 모듈은 상기 물질에 전류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2개의 전극들을 구비하고, 전극들의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독립한 전극 유니트 내부에 구성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전극 유니트가 존재할 때, 전극 유니트들은 서로 분리되어 있고, 전극들의 적어도 하나는 물질을 압축하도록 구성되고, 전극들의 적어도 하나는 액체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진공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물질의 건조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며, 그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구비하고, 각각의 모듈은 물질에 전류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2개의 전극들을 구비하고, 전극들의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독립된 전극 유니트 내부에 구비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전극 유니트가 존재할 때, 전극 유니트들은 서로 분리되어 있고, 전극들의 적어도 하나는 물질을 압축하도록 구성되고, 전극들의 적어도 하나는 물질에 전해질을 제공하고/또는 전극에서 전압 손실을 감소 및/또는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물질의 건조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전극 유니트가 제공되며, 그 전극 유니트는:
- 상기 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게 구성된 지지 부재;
- 적어도 하나의 전극; 및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소정 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물질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 연결된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물질의 건조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며, 그 장치는 적어도 2개의 전극들과, 상기 물질에 압력을 가하는 수단과 입구로부터 출구까지 소정 방향으로 물질을 운반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물질에 압력을 가하는 수단은 상기 물질에 압력을 가하기 위해 상기 전극들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움직이도록 구성되고, 상기 압력은 상기 소정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되게 가해진다.
본 발명의 장치는 전극들의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된 진공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또한 처리될 물질에 전해질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또한 소정 방향에 따라 움직이도록 구성되고 물질에 이동을 부여하는 하나의 유연성 전극; 및 하나 이상의 전극 유니트가 존재할 때 적어도 하나의 독립한 전극 유니트 내부에 구비된 다른 전극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전극 유니트들은 서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다른 전극은 소정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물질을 압축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장치는 소정의 방향으로 물질에 이동을 부여하는 수단 부근에 있는 하나의 비가동 전극; 및 하나 이상의 전극 유니트가 존재할 때 적어도 하나의 독립한 전극 유니트 내부에 구비된 다른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전극 유니트들은 서로 분리되어 있고, 다른 전극은 소정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이고 물질을 압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서 전압 손실을 감소 및/또는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러한 수단은 예를 들어, 전극-물질 계면에서 전해질을 분사하는 수단, 또는 처리 동안 만들어지는 크러스트(crust)의 분쇄 수단일 수 있다. 전극 유니트(들)은 양극-유니트(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극은 액체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진공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적어도 하나의 전극은 물질에 전해질을 제공하고/또는 전극에서 전압 손실을 감소 및/또는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들은 적어도 두 개의 모듈을 구비할 수 있고, 모듈들은 물질을 처리하기 위해 병렬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들은 또한 직렬로 배치될 수 있다. 장치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구비할 수 있고, 물질을 압축하도록 구성된 전극들은 가로의 행(row) 및 세로의 열(line) 속으로 확장하기 위해 양극-패널 속에 배치된 양극들이다. 물질을 압축하도록 구성된 각각의 전극들은 양극일 수 있고 양극 유니트 안에 배치되며, 각각의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양극 유니트를 구비한다. 양극 유니트는 움직일 수 있는 하부, 및 하부가 움직일 때 장치에 대해 움직일 수 없는 상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는 지지 구조에 고정을 허용하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고 하부는 양극을 구비한다. 양극 유니트는 (압력 수단과 같은) 양극 이동 수단을 구비한다. 양극 이동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유압 엑츄에이터, (캠 시스템, 유압 시스템, 스큐류 시스템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기계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양극 이동 수단은 그 끝단에서 상부에 그 타단에서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양극 이동 수단은 일단에서 상부에 타단에서 하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공압 엑츄에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하부는 공압 엑츄에이터와 양극 사이에 배치된 전기적 절연 및/또는 강화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한 절연 플레이트는 전기적 절연을 허용할 수 있다. 단일의 플레이트는 두 개의 기능 모두를 수행할 수 있고 아니면 대안적으로 두 개의 다른 플레이트들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알려진 수단 역시 예를 들어 금속 또는 절연 물질로 제조된 그리드(grid)와 같은 양극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부 및 상부는 하부를 상승된 위치로 힘을 가하도록 구성된 수단(스프링)에 의해 함께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수단은 양극 유니트의 가동성 하부를 상승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중 거동 잭 또는 스크류를 가진 전기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가압 수단은 각각의 양극 유니트 또는 양극 유니트 행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수단은 각각의 양극 유니트 또는 양극 유니트 행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양극 유니트의 가동성 하부는 가스 배출을 허용하기 위해 처리 동안 상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물질을 압축하도록 구성된 전극들은 가로의 행들 및 세로의 열들 속으로 확장하기 위해 양극 패널에 배치된 양극들일 수 있다. 각각의 행은 적어도 하나의 양극 유니트를 구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양극 유니트는 (물질에 압력을 가하는 수단과 같은) 양극 이동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양극 이동 수단은 행의 바깥에 그리고 그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양극 유니트들은 상부에 고정되고 양극에 연결된 파워 서플라이를 구비할 수 있다. DC, AC 또는 펄스 전류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은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는 양극 패널 위 또는 모듈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전압, 전류, 및 압력은 각각의 양극 유니트를 위해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양극은 물질의 처리 동안 물질과 실질적으로 일정한 접촉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양극(들)은 음극(들)로부터 다양한 간격으로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양극들은 음극(들)로부터 다른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장치들은 예를 들어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극들의 전체 폭에 실질적으로 거쳐 한정된 두께에서 물질의 균일한 살포 또는 분포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공급 시스템을 또한 구비할 수 있다.장치들은 직결로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모듈들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장치는 각각의 인접한 모듈들 사이에, 조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전달 시스템을 구비하며, 전달 시스템은 하나의 모듈로부터 다른 모듈로 조각되고 처리된 물질의 전달을 허용한다. 그러한 조각 시스템은 처리의 중간 및/또는 끝에서 실질적으로 작용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들에 있어서, 물질은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운반될 수 있다. 입력은 실질적으로 상기 방향에 수직으로 가해질 수 있다. 물질이 전류에 제공될 때 다른 전극과 물질 사이에 실질적으로 일정한 접촉을 유지시킴에 의해 물질은 압축될 수 있다. 물질에 가해지는 압력은 물질의 밀도(consitency)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질 밀도가 증가할 때 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물질에 가해지는 압력은 처리의 시작에서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 후, 압력이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다른 예에 따르면, 물질에 가해지는 압력은 일정할 수 있다. 양극은 관통된 양극일 수 있다. 장치는 양극에 장착되고 양극과 장치와 함께 처리될 물질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필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음극(들)은 전도성 금속으로 제조된 복수의 롤러들을 구비할 수 있다.
전극 유니트에 있어서, 지지 부재는 전극이 움직일 때 장치에 대해 움직이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질에 압력을 인가하는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공압 엑츄에이터, (캠 시스템, 유압 시스템, 스크류 시스템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기계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절연 및/또는 강화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압력 인가 수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전극 유니트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비-압축 위치 또는 상승된 위치로 힘을 가하기 위한 수단(예, 스프링)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전극 유니트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 연결된 파워 서플라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 부재는 전극 유니트의 상부에 포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극은 전극 유니트의 하부에 포함될 수 있다. 물질이 전류에 제공될 때,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물질 사이에 실질적으로 일정한 접촉을 유지함에 의해 물질은 압축될 수 있다. 물질에 가해지는 압력은 물질 밀도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물질 밀도가 증가할 때 압력은 증가할 수 있다. 물질에 가해지는 압력은 처리의 시작에서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수 있고, 그 후, 압력은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대안적으로 물질에 가해지는 압력은 일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물질의 건조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에 마련되며, 그 방법은 물질을 전류에 제공하는 단계, 그것을 압축하기 위해 물질에 압력을 가하는 단계, 및 슬러지를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물질에 가해지는 압력은 상기 소정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되게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당업자는 그러한 방법은, 적용시, 본 발명에서 개시된 장치들의 어느 하나 및 그들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가동 전극을 포함한 적어도 두 개의 전극들에 의해 전류는 물질에 제공될 수 있다. 압력은 적어도 하나의 가동 전극에 의해 물질에 가해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동 전극은 적어도 하나의 양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방향은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일 수 있다. 물질을 압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양극을 하방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압력은 복수의 양극들에 의해 물질에 가해질 수 있고, 각각의 양극은 서로 독립되어 있다. 예를 들어, 양극들 각각은 물질에 다른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모든 양극들은 물질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양극들 각각은 물질에 다른 전류 밀도 및/또는 다른 전압을 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모든 전극들은 물질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류 밀도 및/또는 동일한 전압을 가할 수 있다. 전극들과 물질 사이에 실질적으로 일정한 접촉을 유지함으로써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방법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양극과 물질 사이에 실질적으로 일정한 접촉을 유지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법은 물질과 적어도 하나의 양극 사이에 실질적으로 일정한 접촉을 유지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물질에 가해지는 압력은 물질 밀도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질 밀도가 증가할 때 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물질에 가해지는 압력은 공정의 초기에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수 있고, 그 후, 압력은 점진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물질에 가해지는 압력은 일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그것이 물질의 정화(decontamination)를 추가적으로 허용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것은 미생물 비활성화 및/또는 분해를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처리 동안, 적어도 하나의 유출물이 생성될 수 있고 공정은 적어도 하나의 유출물에 함유된 미생물의 정화 및/또는 분해를 선택적으로 허용할 수 있다. 처리되고 탈수될 물질은 슬러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러지는 약 10 내지 약 25%의 건조도를 가질 수 있다. 처리 공정 동안, (대략 중간) 및/또는 끝에서, 물질은 쪼개질 수 있다. 방법은 적어도 두 개의 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각각의 모듈은 적어도 두 개의 전극들을 구비할 수 있고, 물질은 두 개의 처리 모듈 사이에서 쪼개진다. 처리 및 탈수될 물질은 주어진 두께의 케이크 형태로, 컨베이어의 전체 폭 위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퍼질 수 있다. 물질은 컨베이어에 의해 움직일 수 있다. 물질은 소정 두께에 따라 컨베이어 위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침전될 수 있고, 두께는 처리될 물질 및 물질에 가해지는 처리의 형태에 따라 변화한다. 물질의 압축과 균일한 침전은 물질 위에 균일한 전지-탈수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물질의 압축 및 균일한 침전은 처리될 물질의 전도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양극 유니트의 가동성 하부는 가스 배출을 허용하기 위해 처리 동안 상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물질의 건조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공급 시스템이 제공되며, 그 시스템은:
- 입구와 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 상기 출구와 인접하도록 상기 하우징 안에 배치며, 상기 출구 쪽으로 실질적으로 수직되게 상기 물질을 압축 및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어느 하나는 적어도 다른 하나보다 상기 출구에 더 가깝게 되어 있고, 상기 출구에 더 가까운 어느 하나는 상기 출구를 통해 배출될 물질의 두게를 제어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 회전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출구에 더 가까운 회전 수단은 수직 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한될 수 있다. 회전 수단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확장할 수 있고 실질적으로 수직 회전 축 주위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 수단의 다른 것보다) 상기 출구에 더 가까운 회전 수단의 회전 축은 다른 회전 수단의 회전 축 보다 더 낮다. 회전 수단은 배출될 물질을 그 사이에 수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회전 수단의 회전 속도는 조절될 수 있다. 회전 속도는 처리될 물질의 속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수단은 롤러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두 개의 롤러들은 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동일한 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 장치는 입구와 입구에 인접하게 배치된 롤러들 사이에 배치된 두 개의 상부 롤러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부 롤러들은 실질적으로 수평되게 확장할 수 있고 실질적으로 수평 회전 축 주위로 회전될 수 있다. 상부 롤러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될 수 있고 처리될 물질을 그 사이에 수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는 조절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조절 수단은 출구 주위에 배치된 롤러들 사이의 수평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조절 수단은 또한 상부 롤러들 사이의 수평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상부 롤러들 사이의 수평 거리는 출구에 인접되게 배치된 롤러들 사이의 수평 간격보다 더 클 수 있다. 출구와 회전 수단은 출구 아래에 배치될 기재(substrate) 위의 물질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침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 수단은 물질 내부에 함유된 액체를 배출하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한 액체 배출 수단은 회전 수단 내부에 구획된 개구들을 구비할 수 있다. 개구들은 액체를 배출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컨베이어와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공급 시스템이 마련되고, 그 시스템은:
- 공급 시스템을 통해 상기 컨베이어 위에 살포될 물질을 수납하도록 구성되고, 입구와 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출구는 컨베이어에 인접하게 배치되게 구성된 하우징; 및
- 상기 출구에 인접되게 배치되고, 상기 물질을 압축하고 상기 물질을 하방으로 상기 출구 쪽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되며, 상기 출구로부터 수직으로 다른 거리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출구에 가장 가까운 것은 상기 출구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 위에 살포될 물질의 두께를 제어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 회전 수단을 구비한다. 회전 수단은 물질 내부에 함유된 액체를 배출하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한 액체 배출 수단은 회전 수단 내부에 구획된 개구들을 구비할 수 있다. 개구들은 액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출구와 출구에 가장 가까운 회전 수단은 컨베이어 위에 물질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침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출구에 가장 가까운 회전 수단은 수직 축을 따라 움직이도록 제한된다. 회전 수단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확장하고 실질적으로 수평 회전 축 주위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 수단은 컨베이어 위에 살포될 물질을 그 사이에 수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 수단은 롤러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두 개의 롤러들은 출구에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고 동일한 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 장치는 출구와 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된 롤러들 사이에 배치된 두 개의 상부 롤러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부 롤러들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확장할 수 있고 실질적으로 수평 회전 축 주위로 회전될 수 있다. 상부 롤러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될 수 있고 컨베이어 위에 살포될 물질을 그 사이에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공급 시스템은 조절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러한 조절 수단은 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된 롤러들 사이의 수평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조절 수단은 또한 상부 롤러들 사이의 수평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롤러들 사이의 수평 간격은 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된 롤러들 사이의 수평 간격보다 더 클 수 있다. 출구에 가장 가까운 회전 수단은 컨베이어의 출구에 가장 가까운 회전 수단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출구에 가장 가까운 회전 수단은 컨베이어의 출구로부터 가장 먼 회전 수단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회전 수단의 회전 속도는 조절될 수 있다. 회전 속도는 처리될 물질의 속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회전 수단은 물질 안에 함유된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한 액체 배출 수단은 회전 수단 내부에 구획된 개구들을 구비할 수 있다. 개구들은 액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물질을 살포하기 위한 공급 시스템이 마련되고, 그 공급 시스템은:
- 물질을 수납하도록 구성되고 입구와 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출구에 인접되게 배치되며, 상기 물질을 압축하고 그 물질을 상기 출구로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고, 어느 하나는 적어도 다른 하나보다 상기 출구에 더 가깝게 되어 있고, 상기 출구에 더 가까운 어느 하나는 상기 출구를 통해 살포될 물질의 두께를 제어하기 위해 축을 따라 실질적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 적어도 두 개의 회전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출구에 더 가까운 회전 수단은 상기 축을 따라 움직이도록 제한된다. 회전 수단은 컨베이어에 공급될 물질을 그 사이에서 수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회전 수단의 회전 속도를 조절될 수 있다. 회전 속도는 처리될 물질의 속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수단은 롤러들일 수 있다. 출구에 인접되게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롤러들은 동일한 속도롤 회전될 수 있다. 장치는 입구와 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된 롤러들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다른 롤러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다른 롤러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속도롤 회전될 수 있고 출구를 통해 살포될 물질을 그 사이에 수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급 시스템은 조절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조절 수단은 그 사이를 통과하는 물질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어하기 위해 인접되게 배치된 두 개의 롤러들 사이의 간격의 조절을 허용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다른 롤러들 사이의 간격은 출구에 인접되게 배치된 롤러들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클 수 있다. 출구와 회전 수단은 출구 하부에 배치될 기재 위의 물질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침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 수단은 물질 내부에 함유된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한 액체 배출 수단은 회전 수단 내부에 구획된 개구들을 구비할 수 있다. 개구들은 액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공급 시스템은 다양한 장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실제로, 그러한 공급 시스템이 전기-탈수 장치와 결합 될 때, 공급 시스템은 처리될 물질을 유지하기 위해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기재(예, 컨베이어)의 전체 폭 위에 실질적으로 물질의 적절한 다짐 작용 및 물질의 균일한 살포 또는 분포를 허용할 수 있다. 그러한 적절한 다짐 작용이 수행될 때, 처리될 물질은 보다 더 큰 압력을 견딜 수 있다. 또한,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 처리될 물질은 예를 들어, 그 안에 있는 공기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덜 절연되므로 더 나은 전류 전도성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그러한 공급 시스템을 사용할 때, 물질의 살포는 균일하게 수행될 수 있고, 기재 또는 컨베이어의 실질적으로 전 표면(폭) 위에 균일한 두께를 가진 처리될 물질의 덩어리가 얻어질 수 있다. 그러한 덩어리는 따라서 물질 위에서 균일한 전지-탈수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러한 시스템들은 또한 처리될 물질을 그 어떤 장치에도 연속적인 방식으로 공급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기재 위에 물질을 살포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그 방법은:
- 물질을 암축하고 물질을 기재 쪽으로 실질적으로 하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협동 롤러들 사이로 물질을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롤러들 사이로 물질을 도입하기 전에, 물질에 대한 수직 간격이 기재에 대한 다른 롤러들의 수직 간격보다 더 작고, 살포될 물질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게 될 위치를 선택하기 위해 롤러들의 어느 하나가 수직축을 따라 실질적으로 움직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특징들과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다음의 예들로부터 더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에 따른 액체 함유 물질의 처리 및 탈수를 위한 장치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장치의 외관의 확대도이다.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a에 도시된 장치의 측방 입면도로서 양극-유니트가 도시된다.
도 4는 도 1a에 도시된 장치의 후방 입면도로서, 장치의 출구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a에 도시된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양극-유니트의 전방 입면도이다.
도 6a는 도 1a에 도시된 장치의 다른 측면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에 사용되는 유출물 수거 및 배출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1a에 도시된 장치에 사용되는 공급 시스템의 확대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공급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예에 따른 장치의 측면 사시도로서, 여기서, 장치는 액체 함유 물질의 처리 및 탈수를 위해 직렬로 배치된 두 개의 중첩 모듈을 구비하고, 양극-유니트들은 설명의 목적상 제외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예에 따른 장치의 측면 사시도로서, 여기서 장치는 액체 함유 물질의 처리 및 탈수를 위해 병렬로 배치된 두 개의 중첩 모듈을 구비하고, 양극-유니트들은 설명의 목적상 제외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들과 장점들은 이어지는 비-제한적인 구체적인 실시예들로부터 더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a는 액체 함유 물질의 처리 및 탈수를 위한 장치 또는 물질의 건조도를 증대시키는 장치를 나타낸다. 장치 10은 입구 15 및 출구 17을 구비하고, 입구 15와 출구 17 모두는 각각 처리되어 탈수될 물질을 수용하고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본 장치는 단일의 모듈을 구비한다. 장치 10은 양극-패널로 명명된 상부 패널 12와 음극-패널로 명명된 하부 패널 14를 구비한다. 양극-패널 12는 측면에 위치된 두 개의 세로 메인 빔(main beam) 16과 빔 16 사이에 놓인 제2 빔 18을 구비한다. 음극-패널 14는 측면에 위치된 두 개의 세로 메인 빔 20, 및 음극 19를 구비한다. 장치는 또한 물질에 소정 방향으로 이동을 부여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그러한 수단은 컨베이어 13, 예를 들어 음극 19의 꼭대기 위에 배치되고 입구 15로부터 출구 17까지 처리될 물질을 운반하도록 구성된 직물 컨베이어일 수 있다. 컨베이어는, 예를 들어 여과 멤브레인(filtering membrane) 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음극 그 자체는 컨베이어로서 즉, 컨베이어 및 전극(가동(movable) 전극)으로서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장치 10은 또한 조절 플랜지 베어링 26과 플랜지 베어링 23에 의해 각각 고정된 롤러들 21 및 22를 구비한다. 롤러들 21 및 22는 처리되고 탈수될 물질의 전송을 허용하는 직물 컨베이어 13의 안내 및 이동을 허용한다. 구동 모터 24는 컨베이어 13의 이동을 허용한다. 입구 15에서, 공급 시스템 25는 그 건조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처리되고 탈수될 물질을 장치 10에 공급한다. 대안적으로, 공급 시스템 대신에 예를 들어, 벨트 프레스 시스템 또는 물질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그 어떤 시스템들도 사용될 수 있다. 유출물 수거 도관 28은 처리되고 탈수된 물질로부터 나오는 유출물의 배출을 허용한다. 출구 17에서, 스크래퍼(scrapper) 27은 직물 컨베이어 13에 달라붙는 처리되고 탈수된 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1b는 출구 17을 상세히 설명하고, 스크래퍼 27, 및 컨베이어 13의 이동을 허용하는 구동 모터 24를 도시한다. 스테인리스 스틸 롤러들 22는 컨베이어 13의 안내 및 이동을 허용한다. 플랜지 베어링 23은 샤프트 29를 지지한다. 롤러 22, 스크래퍼 27, 및 구동 모터 24는 고정 시스템 30에 고정된다. 고정 시스템 30은 세로 메인 빔 20에 고정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10은 양극-패널 12, 세로 빔 16, 가로 및 세로로 놓여진 양극-유니트들 32, 공급 시스템 25, 입구 15, 출구 17, 실린더들 22 및 구동 모터 24를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10은 입구 15, 출구 17, 세로 빔들 16 및 20 의 설비, 세로로 놓여진 양극-유니트들 32, 스프레이 바 35, 롤러 34의 고정 및 조절을 허용하는 플랜지 베어링 33 을 포함한다. 롤러 34는 컨베이어(미도시)를 안내하고 신장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4는 장치 10의 가로 축에 배열된 양극-유니트들 32, 빔들 16 및 20, 구동 모터 24, 스프레이 바 35 및 스크래퍼 27의 설비를 도시한다. 제2 빔 18은 양극-유니트들 32를 지지한다.
도 5는 양극-유니트 32의 확대도로서, 그 두 개의 공안 엑츄에이터 50, 및 양극 53의 레이아웃을 도시한다. 양극 53은 절연 플레이트 56과 금속 플레이트 54를 구비한다. 양극-유니트 32는 장치 10에 탈착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성되므로 사용자는 장치에 사용되는 양극-유니트들 32의 수를 변경할 수 있다. 지지 부재 51은 안내 브라켓 52와 금속 플레이트 58을 구비한다. 금속 플레이트 58은 안내 브라켓 52에 의해 장치 10의 지지 금속 구조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금속 플레이트 58은 안내 실린더 60을 통해 양극-유니트 32의 상부에 공압 엑츄에이터 50의 부착을 허용한다. 공압 엑츄에이터 50은 안내 실린더 62를 통해 절연 플레이트 56의 부착을 허용한다. 스프링 64는 금속 플레이트 58에 그리고 절연 플레이트 56에 부착된다. 스프링 64는 양극 53을 상승된 위치 또는 처리될 물질이 압축되지 않는 위치로 힘을 가하는 것을 허용한다. 전기 컨텍터 66은 절연 플레이트 56에 고정되고 양극 53의 전기적 연결을 허용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10은 음극-패널 14에 배치된 유출물 수거 및 배출 시스템 70을 구비한다. 도 6b에 있어서, 수거 및 배출 시스템 70은 유출물 수거 팬 72와 유출물 배출 파이프 74를 구비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공급 시스템 25는 호퍼 80과 같은 하우징, 상부 롤러들 90 및 92(도 7b 참조)의 고정을 허용하는 상부 플랜지 베어링 82를 구비한다. 하부 플랜지 베어링 84는 하부 롤러 94 및 96(도 7b)의 고정에 사용된다. 구동 모터 86은 상부 롤러 90 및 92의 회전에 사용되고 구동 모터 88은 하부 롤러 94 및 96의 회전에 사용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100은 직렬로 배치된 두 개의 중첩된 모듈 104 및 106을 구비한다. 공급 시스템 25는 상부 모듈 104의 입구에 위치되고, 전달 및 조각 시스템 102는 처리되고 탈수된 액체 함유 물질을 추가적 처리를 위해 하부 모듈 106으로 전달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러한 시스템은 다음 처리를 위해 모듈 106로 공급하기 위해 처리된 물질을 조각내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200은 병렬로 배치된 두 개의 중첩된 모듈 204 및 206을 구비한다. 공급 시스템 25는 모듈 204 및 206의 입구에 위치된다.
액체 함유 물질의 처리 및 탈수용 장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모듈들을 구비할 수 있다. 모듈은 특정의 처리 용량을 가진 유니트이다. 다수의 모듈들은 필요한 처리 용량에 따라 변화한다. 각각의 모듈의 작동 조건들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모듈들은 하나씩 적층될 수 있다. 그들은 직렬 또는 병렬로 작동할 수 있다. 제1 상황에서, 각각의 모듈은 그 자체의 공급 시스템(도 9 참조)을 가진다. 제2 상황에서(도 8 참조), 제1 모듈만이 공급 시스템에 의해 공급되고, 제2 모듈은 전달 및 조각 시스템에 의해 공급된다. 제1 모듈에 의해 처리되는 물질은 그 후 제2 모 듈로 전달되는 그런 방식이다. 물질은 그것이 다른 모듈들을 통해 진행할 때 처리되어 탈수된다.
도 1a 내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은 상부 패널 12(양극-패널) 및 하부 패널 14(음극-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양극 패널은 양극-유니트 32, 세로 빔 16, 가로 빔 18, 파워 서플라이의 냉각 시스템, 가스 만회 시스템 및 지지 금속 구조물을 구비한다. 양극-유니트 32는 양극-패널에 가로 및 세로로 놓여 진다. 음극-패널 14는 관통된 음극 19, 컨베이어 13, 세로 빔 20, 유출물 수거 및 배출 시스템 70, 진공 시스템(미도시), 컨베이어를 위한 세척 및 세정 시스템(미도시), 방수용 측면 패널, 직물 컨베이어용 구동 모터 및 지지 금속 구조물을 구비한다. 컨베이어 13은 스테인리스 스틸 음극 19 위에 놓여진 직물로 제작될 수 있다. 음극 19는 처리될 물질에 가해지는 압력을 지지할 수 있는 금속 구조물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세척 및 세정 시스템은 음극-패널 14 위에 설치될 수 있고 직물 컨베이어에 붙어 있는 처리된 물질을 세척 및 제거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는 양극-패널 12 위에 또는 모듈 근처에 배치될 수 있거나, 각각의 양극-유니트 32에 포함될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에는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는 제어 시스템이 마련될 수 있다.
양극-유니트 32는 비가동 상부 및 가동 하부를 구비할 수 있다. 비가동 상부는 금속 플레이트 58에 고정되어 양극-유니트 32를 지지 금속 구조물 위에 고정시키기 위해 가로 빔 18 위를 미끄러지는 안내 브라켓 52를 구비한다. 비가동 상부는 또한 금속 플레이트 58에 고정된 두 개의 안내 실린더 60과 공압 엑츄에이터 50(도 5 참조)을 구비할 수 있다. 가동 하부는 전기적 절연 및 강화 플레이트 56, 불활성, 안정 및 비 소비성 전극 54 및 안내 실린더 62를 통한 공압 엑츄에이터 50용 부착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스프링 64는 금속 플레이트 58 및 절연 플레이트 56에 고정되어 그 초기 위치에서 가동 하부의 복귀를 허용한다(아니면 그것을 상승된 위치로 힘을 가한다). 전기 컨넥터 66은 양극 53에 고정된다. 양극-유니트 32의 가동 하부는 공압 엑츄에이터 50 및 스프링 64에 의해 비가동 상부에 부착된다. 불활성, 안정 및 비소비성 전극은 금속 산화물로 코팅된 밸브 금속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금속 산화물은 예를 들어, TiO2, Ta2O5, TaO2, RuO2, IrO2, SnO2, Sb2O3, 및 그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티타늄은 밸브 금속 기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되는 전극은 이리듐과 탄탈륨 혼합 산화물로 코팅된 티타늄 기재일 수 있다. 스테인리스 스틸은 또한 금속 기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전극은 전도성 부화학량론(substoichiometric) 티타늄 산화물을 얻는 것을 허용하는 특정의 온도에서 처리되어진 티타늄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한 티타늄 산화물은 마그넬리(Magneli) 상태 부화학량론 티타늄 산화물로 불려 질 수 있고 화학식 TinO2n -1로 표현된다. 여기서 n은 4 내지 10이다.
각각의 양극-유니트 32는 평행 파이프 형태일 수 있다. 각각의 양극-유니트는 그 자체의 파워 서플라이를 가질 수 있다. 주어진 양극-유니트에서 처리를 위해 필요한 전압, 전류 및 압력은 특정적이고 독립할 수 있다. 공압 엑츄에이터 50은 주어진 양극-유니트에서 처리를 위해 필요한 압력을 발휘하는 것을 허용한다. 각각 의 양극-유니트는 주어진 양극-유니트에서 처리를 위해 필요한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그 자체의 파워 서플라이를 가질 수 있다. 양극-유니트 32의 가동 하부는 처리 동안 물질 변형을 쫓아 가는데 유효하므로, 양극과 처리된 물질 사이의 실질적으로 일정한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양극-유니트들은 서로 독립되고 다른 레벨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시스템 25는 컨베이어 13 위에 주어진 두께의 덩어리 형태로 처리되고 탈수될 물질을 살포한다. 공급 시스템은 컨베이어 위에 물질이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살포되는 것을 허용한다. 그러한 공급 시스템이 실질적으로 한정된 두께에서 물질의 균일한 침전을 허용하는 사실에 부가하여, 공급 시스템은 처리될 물질의 사전-다짐(pre-compaction)을 허용하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가동 전극(양극 53)에 의해 압축되기 전이라도, 물질은 공급 시스템 25에 의해 미리 다져진다. 예를 들어, 물질의 그러한 압축과 균일한 침전은 물질에 균일한 전기-탈수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컨베이어 13은 가로로 놓여진 양극-유니트 32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행(row) 아래에서 처리될 물질을 움직인다. 주어진 압력은 공압 엑츄에이터 50의 작용에 의해 물질에 가해진다. 물질을 처리 및 탈수시키기 위해 소정 기간 동안 양극-유니트와 음극 유니트 사이에 전압이 인가된다. 공압 엑츄에이터 50의 감압과 스프링 64의 압축은 양극-유니트의 가동 하부를 상승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컨베이어 13의 이동은 반-처리된(semi-treated) 물질을 특정의 전압, 전류 및 압력으로 더 처리되게 될 장소인 다음의 양극-유니트 행으로 변위시킬 것인 한편 제1 양극-유니트 행에 처리되지 않 은 물질을 공급할 것이다. 이것은 처리 사이클이 끝날 때까지 계속된다.
처리되고 탈수된 물질은 그 후 버려져서 장치 10의 출구 17에 위치된 시스템에 의해 쪼개진다. 유출물들은 유출물 수거 및 배출 시스템 70에 의해 관통된 음극 19 아래에서 만회된다. 생성된 가스는 장치 10의 상부 영역에서 만회된다. 진공 시스템(미도시)은 음극 19 아래에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이 시스템은 컨베이어 13 및 음극 19에 남아 있는 유출물의 보다 나은 제거를 허용한다. 컨베이어 13은 출구 17에서 연속적으로 세척되고 입구 15에서 세정된다.
적어도 두 개의 작동 모듈들(도 8의 모듈 104 및 106 참조)이 사용되고 직렬로 배치될 때, 조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전달 시스템 102는 조각나서 처리된 물질을 하나의 모듈로부터 다른 모듈로 전달하는 것을 허용한다.
공급 시스템 25는 직물 컨베이어 13의 전체 폭 위에 실질적으로 규정된 두께로 처리될 물질을 균일하게 살포하는 것을 허용한다.
공급 시스템 25의 상부에 있어서, 분배 수단(미도시)은 호퍼 80의 전장 위에 실질적으로 물질을 살포할 수 있다. 이러한 분배 수단은 예를 들어 스크류 또는 진동 시스템일 수 있다. 물질의 레벨(level)은 호퍼 80의 전장 위에 실질적으로 분배되는 문제로서 균등하게 분배할 수 있다. 장치 10의 컨베이어 위에 균일하게 침전되는 물질의 두께는 컨베이어와 하부 롤러 94 사이의 간격을 수직으로 조절함에 의해 통제된다. 처리될 물질의 속성에 따라, 롤러들 94 및 96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킴으로써 추가적인 조절이 행해질 수 있다.
상부 롤러들 사이의 간격은 하부 롤러들 사이의 그것보다 더 크다. 상부 및 하부 롤러들은 이중 기능을 가진다. 그들은 물질을 구동하고 또한 그것을 압축하는 것을 허용한다. 롤러들의 외부 표면은 물질의 더 나은 공급을 허용할 수 있도록 특정의 거칠기(roughness)를 가질 수 있다. 그러한 표면 처리는 물질과 롤러들 사이의 슬립을 감소시킨다. 물질의 구동은 롤러들과 접촉하는 표면에 의존한다. 상부 및 하부 롤러들의 속도는 물질의 속성과 건조도에 따라 선택된다. 장치 10의 컨베이어의 속도는 또한 공급 시스템에 의해 살포 또는 침전될 필요가 있는 물질의 량에 따라 선택된다.
물질이 공급되어 호퍼 80의 전체 길이에 걸쳐 균등하게 될 때, 상부 롤러 90 및 92는 물질을 하부 롤러 94 및 96 쪽으로 수직으로 다져서 이동할 것이다. 그러한 하부 롤러들은 물질의 추가적인 압축을 제공할 것이고 장치 10의 컨베이어 쪽으로 그것을 움직일 것이다. 롤러 94와 컨베이어 사이의 간격은 물질을 압축하는 것과 물질의 최종 두께를 규정하는 것을 허용할 것이다. 공급 시스템은 연속적으로 아니면 일괄 공정으로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그것은 레벨 센서 및 구동에 의해 자동화될 수 있다.
두 개의 전극들 사이에 주어진 전압이 인가될 때, 전압 손실이 감지된다. 이러한 손실은 처리되는 물질의 전기 저항의 상승에 의해 유도된다. 이러한 상승은, 처리되는 물질에서, 양극 계면에서의 전기적 절연 크러스트(crust)의 형성, 및 양극의 부근에서 처리되는 물질의 수분 함량의 감소에 부분적으로 근거할 수 있다.전압 손실은 에너지 손실 및 처리량의 감소를 의미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양극으로부터 처리되는 물질로의 전압을 증대하기 위해, 두 가지의 해결책이 사용될 수 있다. 첫째, 전해질이 양극-물질 계면에 부가될 수 있다. 이것은 양극 부근에서 전도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처리되는 동안 그것을 감소된 레벨로 유지한다. 둘째, 기계적 수단에 의해 크러스트를 분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두 가지 해결책들은 또한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의 예들은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예시
펄프 및 제지 산업으로부터의 슬러지
2차 슬러지 및 1차 슬러지와 2차 슬러지 모두를 함유하는 혼합 슬러지가 시험되었다.
이러한 시험들은 도 1a에 도시된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장치는 5개의 양극-유니트들을 포함한다.
이 공급 시스템은 처리되고 탈수될 슬러지를 주어진 두께의 덩어리 형태로, 여과 직물 컨베이어의 전체 폭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배 및 살포한다. 그 후, 처리 및 전기-탈수 공정이 시작되었다.
컨베이어는 제1 양극-유니트 아래로 처리될 슬러지를 이동한다. 압력은 공압 엑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이 슬러지에 주어진 압력이 인가되었다. 슬러지를 처리 및 탈수하기 위해 소정 시간 동안 제1 전극-유니트와 음극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었다. 공압 엑츄에이터의 감압과 스프리으이 압축은 제1 양극-유니트의 가동 하부를 상승시킨다. 컨베이어의 이동은 반-처리된 슬러지를 제2 양극-유니트로 이동시키고 거기서 그것은 특정의 전압, 전류 및 압력으로 더 처리될 것인 한편 제1 양극-유니 트에 처리되지 않은 슬러지를 공급한다. 이것은 처리 사이클이 종료될 때까지 계속된다.
예시 1
펄르 및 제지 산업 2차 슬러지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배치(batch)(양극-유니트)의 처리를 위해 필요한 시간은 약 130 초였다. 총 처리 공정은 약 11.5분이 소요되었다. 양극-유니트들의 상승을 위해 필요한 시간은 처리 시간에 포함되었다. 처리 동안 사용된 전압은 60볼트였다.
비-처리 슬러지의 건조도는 약 12%인 반면 결과적인 전기-탈수된 슬러지는 약 44%의 건조도를 가졌다.
표 1 및 표 2는 5개의 양극-유니트의 각각을 위해 예시 1에서의 모니터링 결과 및 얻어진 다양한 파라미터들이다.
[표 1] 제1, 제2, 및 제3 양극-유니트를 위해 사용된 파라미터
양극- 유니트 1 양극- 유니트 2 양극- 유니트 3
시간 (초) 압력 ( PSI ) 전류밀도 ( mA / cm 2 ) 시간 (초) 압력 ( PSI ) 전류밀도 ( mA / cm 2 ) 시간 (초) 압력 ( PSI ) 전류밀도 ( mA / cm 2 )
0 7 35.0 140 - - 280 - -
10 7 36.0 150 25 41.5 290 34 48.0
20 7 36.5 160 25 41.5 300 34 44.0
30 7 36.5 170 25 42.0 310 34 42.5
40 7 37.0 180 25 42.0 320 34 41.5
50 7 37.0 190 25 42.0 330 34 40.5
60 7 37.5 200 25 42.0 340 34 39.5
70 7 37.5 210 25 42.0 350 34 39.0
80 7 38.0 220 25 41.5 360 34 38.5
90 7 38.0 230 25 41.5 370 34 38.0
100 7 38.0 240 25 41.0 380 34 37.0
110 7 38.5 250 25 40.0 390 34 36.5
120 7 39.0 260 25 39.0 400 34 36.0
130 7 39.0 270 25 38.5 410 34 35.5
[표 2] 제4 및 제5 양극-유니트를 위해 사용된 파라미터
양극- 유니트 4 양극- 유니트 5
시간 (초) 압력 ( PSI ) 전류밀도 ( mA / cm 2 ) 시간 (초) 압력 ( PSI ) 전류밀도 ( mA / cm 2 )
420 - - 560 - -
430 46 39.0 570 54 40.0
440 46 36.5 580 54 36.0
450 46 36.0 590 54 31.5
460 46 34.5 600 54 28.5
470 46 34.0 610 54 26.0
480 46 33.0 620 54 23.0
490 46 32.0 630 54 21.5
500 46 31.0 640 54 20.0
510 46 30.0 650 54 18.0
520 46 29.0 660 54 15.5
530 46 28.5 670 54 14.0
540 46 27.5 680 54 13.0
550 46 26.0 690 54 12.5
예시 2
예시 2에 있어서, 혼합된 펄프 및 제지 슬러지(약 50%의 제1 슬러지 및 50%의 제2 슬러지)가 사용되었다. 비-처리된 슬러지의 건조도는 약 15%인 반면 전기-탈수 슬러지는 약 42%의 건조도를 가진다.
[표 3] 제1, 제2, 및 제3 양극-유니트를 위해 사용된 파라미터
양극- 유니트 1 양극- 유니트 2 양극- 유니트 3
시간 (초) 압력 ( PSI ) 전류밀도 ( mA / cm 2 ) 시간 (초) 압력 ( PSI ) 전류밀도 ( mA / cm 2 ) 시간 (초) 압력 ( PSI ) 전류밀도 ( mA / cm 2 )
0 24 35.0 140 - - 280 - -
10 24 37.0 150 28 38.5 290 60 37.0
20 24 37.5 160 28 36.5 300 60 36.5
30 24 38.0 170 28 36.0 310 60 38.0
40 24 38.5 180 28 36.0 320 60 38.5
50 24 37.5 190 28 36.0 330 60 38.0
60 24 37.5 200 28 36.0 340 60 37.5
70 24 37.0 210 28 36.5 350 60 36.0
80 24 37.0 220 28 37.0 360 60 35.0
90 24 36.5 230 28 37.0 370 60 34.0
100 24 36.0 240 28 37.5 380 60 33.0
110 24 36.0 250 28 37.5 390 60 33.0
120 24 35.5 260 28 38.0 400 60 32.0
130 24 35.0 270 28 38.5 410 60 31.0
[표 4] 제4 및 제5 양극-유니트를 위해 사용된 파라미터
Figure 112008046395537-PCT00001
예시 3
도시 2차 슬러지
본 예시에 있어서, 도시 2차 슬러지가 처리되었다. 전술한 예시들과 동일한 장치가 사용되었다. 각각의 배치(양극-유니트)의 처리를 위해 사용된 시간은 약 180초였다. 총 처리 공정은 약 15분 소요되었다. 양극-유니트의 상승을 위해 필요한 시간은 공정 시간에 포함되었다. 처리 동안 사용된 전압은 60볼트였다.
슬러지 처리 동안, 3개의 샘플링이 수행되었다. 각각의 샘플링을 위해, 비처리 슬러지, 처리된 슬러지 및 생성된 유출물은 샐모넬라균 및 분원성 대장균군 분석을 위해 표본 처리되었다.
표 5 및 표 6은 5개의 양극-유니트 각각의 모니터링 결과와 제1 샘플링에서 표본화된 슬러지의 처리 동안 얻어진 다양한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표 7 내지 표 9는 제1, 제2 및 제3 샘플링 동안 취해진 샘플들을 위한 미생 물 감소를 나타낸다.
제1 샘플링
[표 5] 제1, 제2, 및 제3 양극-유니트를 위해 사용된 파라미터
양극- 유니트 1 양극- 유니트 2 양극- 유니트 3
시간 (초) 압력 ( PSI ) 전류밀도( mA / cm 2 ) 시간 (초) 압력 ( PSI ) 전류밀도( mA / cm 2 ) 시간 (초) 압력 ( PSI ) 전류밀도( mA / cm 2 )
0 15.3 32.5 190 10.0 40 370 10.0 17.5
10 15.0 33 200 10.0 40 380 10.5 16
20 15.1 33.5 210 10.3 37 390 10.5 14.5
30 15.1 34.5 220 10.3 34.5 400 10.4 13.5
40 15.1 35 230 10.3 32.5 410 10.5 13
50 15.1 35.5 240 10.3 31 420 10.4 12.5
60 15.1 36 250 10.3 28.5 430 10.4 12.5
70 15.0 37 260 10.2 27 440 10.4 12
80 15.1 38.5 270 10.2 25.5 450 10.3 11.5
90 15.1 39 280 10.2 23.5 460 10.3 11.5
100 15.0 40 290 10.2 21.5 470 10.3 11.5
110 15.0 40 300 10.2 21 480 10.3 11
120 15.1 40 310 10.2 20.5 490 10.3 11
130 15.1 40 320 10.1 19.5 500 10.2 10.5
140 14.8 40 330 10.0 18.5 510 10.1 10.5
150 14.8 40 340 10.0 17.5 520 10.1 10.5
160 14.8 40 350 10.0 17.0 530 10.1 10.5
170 14.8 40 360 10.0 17.0 540 10.0 10.5
180 14.8 40 - - - - - -
[표 6] 제4, 및 제5 양극-유니트를 위해 사용된 파라미터
양극- 유니트 4 양극- 유니트 5
시간 (초) 압력 ( PSI ) 전류밀도 ( mA / cm 2 ) 시간 (초) 압력 ( PSI ) 전류밀도 ( mA / cm 2 )
550 9.2 26.7 730 10.6 12.5
560 9.2 20.0 740 10.4 14.0
570 9.3 13.5 750 10.3 12.5
580 9.2 11.5 760 10.2 10.5
590 9.9 10.5 770 10.2 9.5
600 9.8 10.0 780 13.1 9.0
610 9.7 9.5 790 13.0 9.5
620 9.7 10.0 800 13.0 9.0
630 9.5 9.5 810 13.0 8.5
640 9.5 9.0 820 13.0 8.0
650 9.5 9.0 830 12.9 8.0
660 9.5 8.5 840 12.9 7.5
670 9.3 8.5 850 12.8 7.5
680 9.2 8.5 860 12.8 7.2
690 9.1 8.0 870 12.7 7.0
700 9.2 8.5 880 12.7 7.0
710 9.7 8.0 890 12.6 7.0
720 9.8 8.5 900 12.7 7.0
- - - - - -
[표 7] 미생물 감소
미생물 비처리된 샘플 처리된 샘플 생성된 유출물
분원성 대장균군 >10000 MPN/g dry weight < 9 MPN/g dry weight < 10 CFU/100 ml
샐모넬라균 spp . < 3 MPN/4g dry weight <3 MPN/4g dry weight < 2 MPN/100 ml
제2 샘플링
[표 8] 대장균 감소
미생물 비처리된 샘플 처리된 샘플 생성된 유출물
분원성 대장균군 >11000 MPN/g dry weight 10 MPN/g dry weight < 10 CFU/100 ml
샐모넬라 spp . 293 MPN/4g dry weight < 3 MPN/4g dry weight < 2MPN/100 ml
제3 샘플링
[표 9] 미생물 감소
미생물 비처리된 샘플 처리된 샘플 생성된 유출물
분원성 대장균군 >11000 MPN/g dry weight < 2 MPN/g dry weight < 10 CFU/100 ml
샐모넬라균 spp . 80 MPN/4g dry weight < 3 MPN/4g dry weight < 2 MPN/100 ml
표 7 내지 표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처리 후 분원성 대장균군(fecal coliforms)과 셀모넬라균 레벨에서는 감소되었다. 또한, 생성된 유출물에서 대장균군과 셀모넬라균의 레벨은 탐지 한계 이하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들과 방법들은 슬러지와 같은 물질을 효과적으로 탈수하여 높은 건조도를 얻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들과 방법들은 미세 입자들로 구성된 물질의 탈수를 허용한다. 또한 그러한 장치들과 방법들은 미생물 비활성화 및/또는 감소에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장치들과 방법들은 처리하는 동안 각각의 양극-유니트를 위한 처리 파라미터들(전압, 전류 및 압력)을 제어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러한 제어는 양질의 처리를 얻고 또한 전력 소비의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장치들과 방법들은 적응성이 뛰어나서 다양한 건조도를 가진 다른 물질들의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장치들과 방법들은 높은 포획률의 구비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유출물들은 적은 양의 부유물 중 총 고형물(TTS)을 나타낸다.
장치들과 방법들은 물질의 처리 과정에서 생성된 가스의 배출을 허용한다.
장치들은 간편한 기구를 가지며 처리될 물질의 특성에 따라 파라미터들의 자동 조절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그 특정의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추가적인 변형들이 가능하고 그 어떤 변경들, 용법들, 또는 적용들을 망라하는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한 변형 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 내에서 공지되거나 관례적인 수단으로부터 나오는 것뿐만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들의 범위와 지금까지 설명된 본질적인 특징들에 적용될 수 있는 개시 내용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원칙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41)

  1. 물질의 건조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질을 전류에 인가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두 개의 전극들을 각각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전극들의 어느 하나는 소정 방향에 따라 움직이고 상기 움직임을 상기 물질에 부여하도록 구성된 유연성(flexible) 전극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전극들의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독립된 전극-유니트 내부에 구비되어 있고, 하나보다 더 많은 전극-유니트가 존재할 때, 상기 전극-유니트들은 서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다른 전극은 상기 소정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여서 상기 물질을 압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2. 물질의 건조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질을 전류에 인가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두 개의 전극들을 각각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전극들의 하나는 상기 물질에 소정 방향으로 이동을 부여하기 위한 수단에 근접하는 비가동(immovable) 전극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전극들의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독립된 전극-유니트 내부에 구비되어 있고, 하나보다 더 많은 전극-유니트들이 존재할 때, 상기 전극-유니트들은 서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다른 전극은 상기 소정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여서 상기 물질을 압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3. 물질의 건조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질을 전류에 인가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두 개의 전극들을 각각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전극들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독립된 전극-유니트 내부에 구비되어 있고, 하나보다 더 많은 전극-유니트가 존재할 때, 상기 전극-유니트들은 서로 분리되어 있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전극들은 상기 물질을 압축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전극들은 액체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진공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4. 물질의 건조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질을 전류에 인가하도록 구성된 적으도 두 개의 전극들을 각각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전극들의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독립된 전극-유니트 내부에 구비되고, 하나보다 많은 전극-유니트가 존재할 때, 상기 전극-유니트들은 서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전극들의 어느 하나는 상기 물질을 압축하도록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전극은 상기 물질에 전해질을 공급하고 및/또는 상기 전극에서 전압 손실을 감소 및/또는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들의 적어도 하나는 액체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진공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들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물질에 전재질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및/또는 상기 전극의 전압 손실을 감소 및/또는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모듈들을 구비하고, 상기 모듈들은 사기 물질을 처리하기 위해 병렬식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모듈들을 구비하고, 상기 모듈들은 상기 물질을 처리하기 위해 직렬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들의 어느 하나에서 전압 감소를 감소 및/또는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극-물질 계면에서 전해질을 분배하기 위한 수단 또는 물질을 처리할 때 생성되는 크러스트(crust)를 분쇄하기 위한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전극들은 상기 물질을 압축하도록 구성되고, 가로의 행(rows)과 세로의 열(line)로 확장하기 위해 양극-패널에 배치된 양극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12. 제1항 내지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들의 각각은 상기 물질을 압축하도록 구성되고, 양극이고, 양극-유니트에 배치되고, 상기 모듈들의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양극-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유니트는 가동 하부(lower protion) 및 상기 하부가 움직일 때 상기 장치에 대해 움직이지 않도록 구성된 상부(upper portion)를 구비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는 지지 구조물에 고정을 허용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는 상기 양극을 구비하고,
    상기 양극-유니트는 상기 양극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이동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공압 엑츄에이터, 적어도 하나의 기계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이동 수단은, 일단에서 상기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에서 상기 하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공압 엑츄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이동 수단은 일단에서 상기 상부에, 타단에서 상기 하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는 상기 공압 엑츄에이터와 상기 양극 사이에 배치된 전기 절연 및/또는 강화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는 상기 양극 이동 수단과 상기 양극 사이에 배치된 전기 절연 및/또는 강화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와 상기 상부는 상기 하부를 상승된 위치로 힘을 가하도록 구성된 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21. 제12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유니트의 각각은 상기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양극에 연결된 파워 서플라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23. 제21항 또는 제222항에 있어서,
    전압, 전류, 및 압력은 각각의 양극-유니트를 위해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24. 제1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의 처리 동안 상기 양극은 상기 물질과 실질적으로 일정한 접촉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25. 제1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들)은 상기 음극(들)으로부터 다양한 간격으로 배치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들의 각각은 상기 음극(들)으로부터 다른 거리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정된 두께에서 상기 물질의 균일한 살포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공급 시스템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28. 제8항에 있어서,
    직렬로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모듈들을 구비하고,
    각각의 인접하는 모듈들 사이에서, 조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전달 시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전달 시스템은 하나의 모듈로부터 다른 모듈로 조각나서 처리된 물질의 전달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29. 적어도 두 개의 전극들, 압력 인가 수단 및 입구로부터 출구까지 소정 방향으로 상기 물질을 운반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 인가 수단은 상기 물질에 압력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전극들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움직이도록 구성되고,
    상기 압력은 상기 소정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운반되고,
    상기 압력은 상기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31.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이 상기 전류에 인가될 때 상기 다른 전극과 상기 물질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접촉을 유지함에 의해 상기 물질이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32. 제1항 또는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이 상기 전류에 인가될 때 상기 전극들과 상기 물질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접촉을 유지함에 의해 상기 물질이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33.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들의 어느 하나는 소정 방향으로 상기 물질에 이동을 부여하는 수단에 근접하는 비가동(immovable) 전극 또는 상기 소정 방향으로 상기 물질에 이동을 부여하도록 구성된 가동(movable) 전극이고;
    상기 전극들의 다른 하나는 상기 소정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여서 상기 물질을 압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3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행(rows)을 구비하고, 상기 행은 적어도 하나의 양극-유니트와 양극 이동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이동 수단은 상기 행 외측에서 그 근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36. 제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에 가해지는 압력은 물질 밀도(consistency)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 밀도가 증가할 때 상기 압력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38. 제36항 또는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에 가해지는 압력은 처리의 초기에서는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그 후, 상기 압력은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39. 제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에 가해지는 압력은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40.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은 관통된(perforated) 양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41.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에 장착되고 상기 양극과 상기 장치와 함께 처리된 물질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필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42.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들)은 전도성 금속으로 제조된 복수의 롤러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43. 제1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물질의 정화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44. 제1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미생물 비활성화 및/또는 박멸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45. 제1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비활성이고 비소모성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극은 양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47. 제45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극은 TiO2, Ta2O5, TaO2, RuO2, IrO2, SnO2, Sb2O3, 및 그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금속 산화물로 코팅된 밸브 금속 기재(valve metal substrate)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금속 기재는 티타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49.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기재는 스테인리스 스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50. 제45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극은 이리듐과 탄탈륨 혼합 산화물로 코팅된 티타늄 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51. 제45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마그넬리 상태의 부화학량론적 티타늄 산화물(Magneli phase substoichiometric titanium oxide)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
  52.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전극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 탈착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성된 지지 부재;
    적어도 하나의 전극; 및
    소정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이동시키고 상기 물질에 압력을 인가하 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전극 유니트.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상승된 위치로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 연결된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전극 유니트.
  54. 제52항 또는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전극이 움직일 때 상기 장치에 대해 움직이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전극 유니트.
  55. 제52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소정 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물질에 압력을 인가하기 위한 이동 및 인가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공압 엑츄에이터, 적어도 하나의 기계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전극 유니트.
  56. 제52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상기 이동 및 인가 수단 사이에 배치된 절연 및/또는 강화 부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전극 유니트.
  57. 제52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및 인가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공압 엑츄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전극 유니트.
  58. 제52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및 인가 수단은 적어도 두 개의 공압 엑츄에이터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전극 유니트.
  59. 제52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유니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비-압축 위치로 힘을 가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전극 유니트.
  60. 제52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유니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 연결된 파워 서플라이를 구 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전극 유니트.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유니트는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전극 유니트.
  62. 제52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전극 유니트의 상부에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극은 상기 전극 유니트의 하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전극 유니트.
  63. 제52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이 전류에 인가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상기 물질 사이에 실질적으로 일정한 접촉을 유지함에 의해 상기 물질이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전극 유니트.
  64. 제52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항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에 가해지는 압력은 상기 물질 밀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전극 유니트.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 밀도가 증가할 때 상기 압력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전극 유니트.
  66. 제64항 또는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에 가해지는 압력은 처리의 초기에서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그 후, 상기 압력은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전극 유니트.
  67. 제52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에 가해지는 압력은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전극 유니트.
  68. 제52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극은 비활성이고 비소모성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전극 유니트.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극은 양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전극 유니트.
  70. 제68항 또는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극은 TiO2, Ta2O5, TaO2, RuO2, IrO2, SnO2, Sb2O3, 및 그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금속 산화물로 코팅된 밸브 금속 기재(valve metal substrate)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전극 유니트.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금속 기재는 티타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전극 유니트.
  72.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기재는 스테인리스 스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전극 유니트.
  73. 제68항 내지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극은 이리듐과 탄탈륨의 혼합 산화물로 코팅된 티타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전극 유니트.
  74.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은 마그넬리 상태의 부화학량론적 티타늄 산화물(Magneli phase substoichiometric titanium oxide)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전극 유니트.
  75. 상기 물질을 전류에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물질을 압축하기 위해 상기 물질에 압력을 가하는 단계, 및 상기 물질을 소정 방향으로 움직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물질에 가해지는 압력은 상기 소정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방법.
  76.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에 인가되는 상기 물질은 적어도 하나의 가동 전극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전극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방법.
  77.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 전극에 의해 상기 물질에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방법.
  78.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 전극은 적어도 하나의 양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방법.
  79. 제76항 내지 제7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방향은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방법.
  80.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을 압축하기 위해 상기 압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 전극을 하방으로 움직임에 의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방법.
  81. 제75항 내지 제8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은 복수의 양극들에 의해 상기 물질에 가해지고, 각각의 양극들은 서로에 대해 독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방법.
  82.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들의 각각은 상기 물질에 다른 압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방법.
  83.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든 양극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압력을 상기 물질에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방법.
  84. 제81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들의 각각은 다른 전류 밀도 및/또는 다른 전압을 상기 물질에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방법.
  85. 제81항 내지 제8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든 전극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류 밀도 및/또는 동일한 전압을 상기 물질에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방법.
  86. 제75항 내지 제8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들과 상기 물질 사이에 실질적으로 일정한 접촉을 유지함에 의해 공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방법.
  87. 제7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양극과 상기 물질 사이에 실질적으로 일정한 접촉을 유지함에 의해 공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방법.
  88. 제81항 내지 제8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과 상기 양극의 적어도 어느 하나 사이에 실질적으로 일정한 접촉을 유지함에 의해 공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방법.
  89. 제75항 내지 제8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에 가해지는 압력은 물질 밀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방법.
  90. 제87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 밀도가 증가할 때 상기 압력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방법.
  91. 제75항 내지 제8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에 가해지는 압력은 공정의 시작 단계에서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그 후, 상기 압력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방법.
  92.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에 가해지는 상기 압력은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방법.
  93. 제75항 내지 제9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물질의 정화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방법.
  94. 제75항 내지 제9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미생물 비활성화 및/또는 박멸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방법.
  95. 제75항 내지 제9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처리되고 탈수된 상기 물질은 슬러지이고, 상기 슬러지는 약 10% 내지 약 25%의 건조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방법.
  96. 제75항 내지 제9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법은 적어도 두 개의 모듈들에 의해 수행되고, 각각의 모듈은 적어도 두 개의 전극들을 구비하고, 상기 물질은 두 개의 모듈들의 처리 사이에서 조각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방법.
  97. 제75항 내지 제9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처리되어 탈수될 상기 물질은 주어진 두께의 덩어리 형태로, 컨베이어의 전체 폭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살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방법.
  98. 제97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방법.
  99. 제97항 또는 제98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소정 두께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침전되고, 상기 두께는 처리될 물질과 상기 물질에 가해지는 처리의 형태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방법.
  100.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의 상기 압축 및 균일한 침전은 상기 물질에 균일한 전기-탈수의 수행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방법.
  101.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의 상기 압축 및 균일한 침전은 처리될 물질의 전도성의 증가를 허 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방법.
  102. 제75항 내지 제10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양극-유니트의 가동 하부는 가스 배출을 허용하기 위해 처리 도중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방법.
  103.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입구 및 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출구에 인접하게 상기 하우징 안에 배치되고, 상기 물질을 압축하고 상기 물질을 상기 출구 쪽으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어느 하나는 적어도 다른 하나보다 더 가깝게 되어 있고, 사기 출구에 더 가까운 어느 하나는 상기 출구를 통해 배출될 상기 물질의 두께를 제어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 적어도 두 개의 회전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공급 시스템.
  104. 제103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에 더 가까운 상기 회전 수단은 수직 축을 따라 움직이도록 제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공급 시스템.
  105. 제103항 또는 제10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단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확장하고 실질적으로 수평 회전 축 주위로 회전되고, 상기 출구에 더 가까운 상기 회전 수단의 회전 축은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회전 수단의 회전 축보다 더 낮으며, 상기 회전 수단은 그 사이에 배출될 물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공급 시스템.
  106. 제103항 내지 제10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단은 롤러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공급 시스템.
  107. 제106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에 인접되게 배치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롤러들은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공급 시스템.
  108. 제106항 또는 제10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롤러들 사이에 배치된 두 개의 상부 롤러들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롤러들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확장하고 실질적으로 수평 회전 축 주위를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상부 롤러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고 그 사이에 배출될 상기 물질을 수용하도 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공급 시스템.
  109. 제108항에 있어서,
    조절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조절 수단은 상기 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롤러들 사이의 수평 간격의 조절을 허용하고, 상기 조절 수단은 또한 상기 상부 롤러들 사이의 수평 간격의 조절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공급 시스템.
  110. 제10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롤러들 사이의 상기 수평 간격은 상기 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롤러들 사이의 수평 간격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공급 시스템.
  111. 제103항 내지 제1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와 상기 회전 수단은 상기 출구 아래에서 배치될 기재 위의 물질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침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의 건조도 증가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공급 시스템.
  112. 컨베이어와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급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컨베이어 위에 살포될 물질을 수납하도록 구성되며, 입구와 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출구는 상기 컨베이어에 인접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하우징; 및
    상기 출구에 인접되게 배치되며, 상기 물질을 압축하고 상기 물질을 상기 출구 쪽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각각 상기 출구로부터 다른 수직 간격에 배치되고, 상기 출구에 가장 가까운 것은 상기 출구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 위에 살포될 물질의 두께를 조절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 적어도 두 개의 회전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와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공급 시스템.
  113.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와 상기 출구에 가장 가까운 회전 수단은 상기 컨베이어 위에 상기 물질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침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와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공급 시스템.
  114. 제112항 또는 제113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에 가장 가까운 상기 회전 수단은 세로 축을 따른 움직임이 제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와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공급 시스템.
  115. 제112항 내지 제1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단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확장하고 실질적으로 수직 회전 축 주위를 회전하고, 상기 회전 수단은 그 사이에 상기 컨베이어 위에 살포될 물질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와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공급 시스템.
  116. 제112항 내지 제1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단은 롤러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와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공급 시스템.
  117. 제116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에 가깝게 배치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롤러들은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와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공급 시스템.
  118. 제11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에 인접되게 배치된 상기 롤러들 사이에 배치된 두 개의 상부 롤러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상부 롤러들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확장하도록 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수평 회전 축 주위를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롤러들은 실질적으로 동이랗ㄴ 속도로 회전되고 그 사이에 상기 컨베이어 위에 살포될 상기 물질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와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공급 시스템.
  119. 제118항에 있어서,
    조절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조절 수단은 상기 출구에 인접되게 배치된 상기 롤러들 사이의 수평 간격의 조절을 허용하고, 상기 조절 수단은 또한 상기 상부 롤러들 사이의 수평 간격의 조절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와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공급 시스템.
  120. 제11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롤러들 사이의 수평 간격은 상기 출구에 인접되게 배치된 상기 롤러들 사이의 수평 간격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와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공급 시스템.
  121. 제103항 내지 제1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에 가장 가까운 상기 회전 수단은 상기 컨베이어의 출구에 가장 가까운 회전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와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공급 시스템.
  122. 제103항 내지 제1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에 가장 가까운 상기 회전 수단은 상기 컨베이어의 상기 출구로부터 가장 먼 회전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와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공급 시스템.
  123. 물질을 살포하기 위한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물질을 수납하도록 구성되고 입구와 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출구에 인접되게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물질을 압축하고 상기 출구로 움직이도록 구성되며, 어느 하나는 적어도 다른 하나 보다 상기 출구에 더 가깝게 되어 있고, 상기 출구에 더 가까운 다른 하나는 상기 출구를 통해 살포될 상기 물질의 두께를 제어하기 위해 축을 따라 실질적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 적어도 두 개의 회전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을 살포용 공급 시스템.
  124. 제123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에 더 가까운 상기 회전 수단은 상기 축을 따라 움직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을 살포용 공급 시스템.
  125. 제123항 또는 제12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단은 그 사이에 상기 컨베이어에 공급될 상기 물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을 살포용 공급 시스템.
  126. 제123항 내지 제1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단은 롤러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을 살포용 공급 시스템.
  127. 제126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에 인접되게 배치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롤러들은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을 살포용 공급 시스템.
  128.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에 인접되게 배치된 상기 롤러들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롤러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롤러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고 상기 출구를 통해 살포될 상기 물질을 그 사이에 수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을 살포용 공급 시스템.
  129. 제128항에 있어서,
    조절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조절 수단은 그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물질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어하기 위해 인접하게 배치될 롤러들 사이의 간격의 조절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을 살포용 공급 시스템.
  130. 제12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롤러들 사이의 간격은 상기 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될 상기 롤러들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을 살포용 공급 시스템.
  131. 제123항 내지 제1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와 상기 회전 수단은 상기 출구 아래에 배치될 상기 기재 위에 상기 물질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침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을 살포용 공급 시스템.
  132. 제103항 내지 제13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단은 상기 물질 내부에 함유된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을 살포용 공급 시스템.
  133. 제13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배출 수단은 상기 회전 수단 안에 구획된 개구들을 구비하고, 상기 개구들은 상기 액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을 살포용 공급 시스템.
  134. 제103항 내지 제1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회전 수단은 처리될 물질의 속성의 기능으로서 선택된 속도로 회전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을 살포용 공급 시스템.
  135. 상기 물질을 압축하고 상기 물질을 상기 기재 쪽의 실질적으로 하방으로 움직이기 위해 협력하는 롤러들 사이에 상기 물질을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재에 물질을 살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롤러들 사이로 상기 물질을 도입하기 전에, 상기 기재까지의 그 수직 간격이 상기 기재까지의 다른 롤러의 수직 간격보다 더 작은 위치, 및 살포될 상기 물질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하는 위치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롤러들의 하나는 수직 축을 따라 실질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에 물질을 살포하기 위한 방법.
  136. 제1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52항 내지 제7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극 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7. 제1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103항 내지 제13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급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8. 제1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물질의 두께의 제어를 허용하는 공급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 장치는 처리의 실질적으로 중간 및/또는 끝에서 작용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0. 제75항 내지 제10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처리 동안, 대략 중간 및/또는 끝에서, 상기 물질은 조각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1. 제75항 내지 제10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처리 동안, 적어도 하나의 유출물이 생성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출물에 선택적으로 함유된 미생물의 비활성화 및/또는 박멸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87015683A 2006-06-14 2007-06-13 물질의 건조도 처리 및/또는 증대용 장치 및 방법 KR200900276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0471306P 2006-06-14 2006-06-14
US60/804,713 2006-06-14
US86229406P 2006-10-20 2006-10-20
US60/862,294 2006-10-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602A true KR20090027602A (ko) 2009-03-17

Family

ID=38831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683A KR20090027602A (ko) 2006-06-14 2007-06-13 물질의 건조도 처리 및/또는 증대용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454814B2 (ko)
EP (1) EP2043765A4 (ko)
JP (1) JP2009539587A (ko)
KR (1) KR20090027602A (ko)
CN (1) CN101472669A (ko)
CA (1) CA2627221C (ko)
WO (1) WO200714384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613B1 (ko) * 2009-08-18 2010-05-11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절연 안전성 강화 전극판을 갖춘 전기침투식탈수기
WO2010147364A2 (ko) * 2009-06-15 2010-12-23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전기 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
KR20210004594A (ko) * 2019-07-05 2021-01-1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복분자 잎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종이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34069A1 (de) * 2005-06-16 2006-12-21 Siemens Aktiengesellschaft Siebvorrichtung für die herstellung von papier und verfahren zur behandlung unverwobener faserstoffe
CN102307815A (zh) * 2008-12-11 2012-01-04 Gl&V加拿大股份有限公司 提高电-脱水效率的方法和设备
US8772004B2 (en) * 2009-06-25 2014-07-08 Old Dominion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System and method for high-voltage pulse assisted aggregation of algae
JP5564877B2 (ja) * 2009-09-29 2014-08-06 栗田工業株式会社 電気浸透脱水装置
JP5736659B2 (ja) * 2010-03-31 2015-06-17 栗田工業株式会社 電気浸透脱水方法及び装置
CN102506569B (zh) * 2011-11-30 2016-01-20 宜兴能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含水物料的电渗透脱水方法及装置
US8668827B2 (en) 2012-07-12 2014-03-11 Heliae Development, Llc Rectangular channel electro-acoustic aggregation device
US8709250B2 (en) 2012-07-12 2014-04-29 Heliae Development, Llc Tubular electro-acoustic aggregation device
US8702991B2 (en) 2012-07-12 2014-04-22 Heliae Development, Llc Electrical microorganism aggregation methods
US8673154B2 (en) 2012-07-12 2014-03-18 Heliae Development, Llc Tunable electrical field for aggregating microorganisms
US8709258B2 (en) 2012-07-12 2014-04-29 Heliae Development, Llc Patterned electrical pulse microorganism aggregation
CN103570209A (zh) * 2012-07-31 2014-02-12 西门子公司 电脱水装置
CN110563092A (zh) * 2018-06-05 2019-12-13 山东祥弘节能环保科技有限公司 可旋转电极电化学水处理装置
CN110440536B (zh) * 2019-08-02 2020-10-13 东阳市俊华电器销售有限公司 一种物理挤压型纺织布干燥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070A (en) * 1905-06-27 1908-07-21 Hoechst Ag Extraction of water or other liquid from mineral, vegetable, and animal substances.
GB1418577A (en) 1973-05-29 1975-12-24 Machinenfabriek W Hubert Co Bv Method and apparatus for dewatering sludge
US4001100A (en) * 1975-01-03 1977-01-04 James Livesey Haydock Treatment of suspensions and slurries by electrophoresis and electro-osmosis
CH583404A5 (ko) 1975-03-18 1976-12-31 Patelhold Patentverwertung
US4135307A (en) * 1976-06-11 1979-01-23 Candor James T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liquid from liquid bearing material
US4244804A (en) * 1979-01-15 1981-01-13 Innova, Inc. Slime and sludge dewatering
US4671874A (en) 1981-04-06 1987-06-09 Champion International Corporation Continuous dewatering apparatus
US4680104A (en) 1984-06-11 1987-07-14 J. M. Huber Corporation Apparatus for dewatering clay filter cake
JPS6118410A (ja) * 1984-07-04 1986-01-27 Fuji Electric Corp Res & Dev Ltd 電気浸透式脱水機の運転制御方法
JPS6369518A (ja) * 1986-09-11 1988-03-29 Fuji Electric Co Ltd 加圧型電気浸透脱水装置
JPH0773646B2 (ja) * 1987-07-24 1995-08-09 神鋼パンテック株式会社 回分式電気浸透脱水方法
US5092974A (en) * 1990-01-25 1992-03-03 Shinko Pantec Co., Ltd. Electrode and method for compressive and electro-osmotic dehydration
JPH0413003A (ja) 1990-04-28 1992-01-17 Toyotomi Co Ltd 石油燃焼器
US5225209A (en) * 1990-05-12 1993-07-06 Rheon Automatic Machinery Co., Ltd. Apparatus for stretching dough
US5401375A (en) 1991-05-09 1995-03-28 Fuji Electric Co., Ltd. Electro-endosmosis type dehydrator
JP2716600B2 (ja) * 1991-06-26 1998-02-18 神鋼パンテック株式会社 汚泥の電気浸透脱水方法
JPH057738A (ja) * 1991-07-02 1993-01-19 Kubota Corp 脱水装置
JPH0582490A (ja) * 1991-09-19 1993-04-02 Hitachi Ltd 選択エツチングの方法、装置
JP2575573B2 (ja) 1992-07-01 1997-01-29 株式会社ソディック 射出成形機におけるスクリュ駆動装置
JPH0615706U (ja) * 1992-07-21 1994-03-01 株式会社クボタ ベルト式脱水機
JPH06218397A (ja) * 1993-01-27 1994-08-09 Ichikawa Woolen Textile Co Ltd 汚泥の乾燥、焼却方法及びその装置
US5656165A (en) * 1993-02-23 1997-08-12 Yamamoto Kogyo Kabushiki Kaisha Dewatering apparatus of filter belt type
JPH0773646A (ja) 1993-06-24 1995-03-17 Sony Corp データカートリッジ
FI103108B1 (fi) * 1994-08-29 1999-04-30 Valmet Flootek Oy Menetelmä veden erottamiseksi lietteestä
GB9420216D0 (en) * 1994-10-06 1994-11-23 Scapa Group Plc Dewatering process
WO1997011767A1 (en) 1995-09-26 1997-04-03 Steinmuller Mining And Piping Systems (Proprietary) Limited Electro-osmotic dewatering of sludges
AUPQ741800A0 (en) * 2000-05-10 2000-06-01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Apparatus for electrodewatering by filtration
IT1318233B1 (it) * 2000-07-24 2003-07-28 De Nora Elettrodi Spa Dispositivo motorizzato per la regolazione della distanzainterelettrodica in celle di elettrolisi a catodo di mercurio.
US7935236B2 (en) * 2002-05-09 2011-05-0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Electro-osmotic pulse (EOP) treatment method
CA2437245A1 (fr) * 2003-08-11 2005-02-11 Les Technologies Elcotech Inc. Appareil permettant le traitement des boues a forte siccitee
GB0323068D0 (en) * 2003-10-01 2003-11-05 Nuground Ltd Dewatering treatment system and method
PL1673214T3 (pl) * 2003-10-15 2013-10-31 Nordic Water Prod Ab Urządzenie i metoda służąca do przeróbki osadu ściekowego
CA2666822A1 (en) * 2006-10-20 2008-04-24 Gl&V Canada Inc. Adjustable roller apparatus for spreading substances
CN102307815A (zh) * 2008-12-11 2012-01-04 Gl&V加拿大股份有限公司 提高电-脱水效率的方法和设备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7364A2 (ko) * 2009-06-15 2010-12-23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전기 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
WO2010147364A3 (ko) * 2009-06-15 2011-04-21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전기 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
US8926819B2 (en) 2009-06-15 2015-01-06 Dong-il Canvas Engineering Co., Ltd. Electro-penetrative type sludge weight reducing apparatus
KR100956613B1 (ko) * 2009-08-18 2010-05-11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절연 안전성 강화 전극판을 갖춘 전기침투식탈수기
KR20210004594A (ko) * 2019-07-05 2021-01-1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복분자 잎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종이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27221A1 (en) 2007-12-21
EP2043765A4 (en) 2012-10-10
EP2043765A1 (en) 2009-04-08
US20130313117A1 (en) 2013-11-28
US20100163428A1 (en) 2010-07-01
CN101472669A (zh) 2009-07-01
CA2627221C (en) 2009-12-22
WO2007143840A1 (en) 2007-12-21
US8454814B2 (en) 2013-06-04
JP2009539587A (ja) 200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7602A (ko) 물질의 건조도 처리 및/또는 증대용 장치 및 방법
US3944478A (en) Electrolytic drainage treating apparatus
US7578918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reating sludge
JP2012511424A (ja) 電解−脱水の効率を高めるための方法並び装置
WO2008046225A1 (en) Adjustable roller apparatus for spreading substances
JP2011072863A (ja) 電気浸透脱水装置
CN107555754B (zh) 节能型电渗透污泥高干度脱水方法
CN102060427A (zh) 含水物料的电渗透脱水方法及装置
CN107381997B (zh) 电渗透压滤协同污泥脱水方法
US93874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concentration of a slurry
WO2016057392A1 (en) Continuous electrokinetic dewatering of phosphatic clay suspensions
CN107381996B (zh) 电渗透压滤协同污泥脱水装置
WO1997007065A1 (en) Dewatering of sludges
JP2008000769A (ja) 高脱水機構付スクリュープレス
CN107382023B (zh) 节能型电渗透污泥高干度脱水系统
KR101846826B1 (ko) 슬러지의 두께 조절 및 균등 공급이 가능한 장치
CA1063063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removing metallic ions from an electrolytic solution
CA2474176C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reating sludge
CN103058486A (zh) 一种应用于脱水机或脱油机的电解压榨装置
KR970006504B1 (ko) 오니탈수장치 (汚尼脫水裝置)
KR20220150912A (ko) 전극용 촉매의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JPH0685845B2 (ja) 電気浸透式脱水機
JP2011050844A (ja) 電気浸透脱水方法及び装置
US10486108B2 (en) Electrokinetic dewatering of phosphatic clay suspensions
Visigalli et al. The electro-dewatering of sludge: influence of the polyelectrolyte dosage and the operating cond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