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504B1 - 오니탈수장치 (汚尼脫水裝置) - Google Patents

오니탈수장치 (汚尼脫水裝置)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504B1
KR970006504B1 KR1019910022552A KR910022552A KR970006504B1 KR 970006504 B1 KR970006504 B1 KR 970006504B1 KR 1019910022552 A KR1019910022552 A KR 1019910022552A KR 910022552 A KR910022552 A KR 910022552A KR 970006504 B1 KR970006504 B1 KR 970006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t
sludge
passage
voltage
c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2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로오 나카무라
노리오 무로타니
하지메 모리모토
가즈히사 미우라
다카시 오리시모
Original Assignee
산키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시라타니 세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키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시라타니 세이지 filed Critical 산키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910022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5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504B1/ko

Links

Landscapes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오니탈수장치(汚尼脫水裝置)
제1도는, 제3도의 탈수케이크의 통로 및 그 근방을 나타내는 측면도.
제2도는, 제3도의 급전(給電) 겸용 가압롤러 및 그 근방을 나타내는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오니탈수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4도는, 제3도의 정면도.
제5도는, 제1도의 위쪽 슬래트 및 그 근방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의 6-6선을 따른 종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위쪽 슬래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8도는, 여과포에 절연체가 고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측면도.
제10도는, 제1도의 아래쪽 슬래트 및 그 근방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11-11선을 따른 종단면도.
제12도는, 절연부재에 의하여 연결된 레일 및 그 근방을 나타내는 측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오니탈수장치의 제2실시예에서 탈수케이크의 통로 및 그 근방을 나타내는 측면도.
제14도는, 제15도의 급전겸용 가압롤러 및 그 근방을 나타내는 측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오니탈수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16도는, 제15도의 정면도.
제17도는, 제13도의 위쪽 슬래트 및 그 근방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18도는 , 제17도의 18-18선을 따른 종단면도.
제19도는, 제18도의 위쪽 슬래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20도는, 제13도의 아래쪽 슬래트 및 그 근방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21도는, 제20도의 21-21선을 따른 종단면도.
제22도 내지 제25도는 종래의 오니탈수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프레스벨트 13 : 탈수케이크
15 : 필터벨트 17 : 통로
19 : 지지롤러 21 : 여액(濾液) 집수챔버
23 : 회전드럼 25 : 직류전원장치
31,31a : 위쪽 슬래트 컨베이어 33,33a : 위쪽 롤러 체인
35,35a : 위쪽 슬래트 37,37a : 연결부재
38,38a : 양전극 39,39a : 전극판 모쥴
40,40a : 도전성 부재 41,41a : 본드층
42,42a : 세라믹층 43,43a : 삽통구멍
44,44a : 라이닝 45,45a : 절연부재
47,47a : 어태치먼트 48,48a : 지지각(支持脚)
49,49a : 브래킷 53,53a : 절연부재
55,55a : 감속전동기 57,57a : 스프로켓
59,59a : 아래쪽 롤러체인 61,61a : 아래쪽 슬래트
63,63a : 아래쪽 슬래트 컨베이어 65,65a : 탈수케이크
67,67a : 통로 69,69a : 여과포
70 : 절연체 71,71a : 절연기구
72,72a : 차륜 73,73a : 레일
75,75a : 여액 배수구멍 76,76a : 여액 집수챔버
77,77a : 가이드부재 79,79a : 어태치먼트
81,81a : 스프로켓 83,83a : 가압기구
85,85a : 급전(給電) 겸용 가압롤러
87,87a : 가압롤러 지지부재 89,89a : 유압 실린더
1,91a : 지지부재 93,93a : 전압인가기구
95,95a : 전압박스 97,97a : 직류전원장치
98 : 절연부재 99,99a : 축
101,101a : 오니응집조(汚泥凝集槽)
103,103a : 응집제저조(凝集制貯槽)
105,105a : 펌프 107,107a : 중력탈수부(重力脫水部)
109,109a : 여과포 111,111a : 롤러
113,113a : 벨트 프레스 115,115a : 여액분리조
117,117a : 폄프 A,B,C : 전압인가구역
E1,E2,E3: 전압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오니에 직류전압을 인가하여, 전기침투작용에 의하여 탈수하는 오니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오니는, 탈수된 후, 매립, 소각, 컴포스트 등으로 하여서 처분되고 있다.
한편, 오니를 매립, 소각, 컴포스트 등으로 하기 위하여는, 오니를 충분히 탈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종래, 오니를 벨트 프레스 탈수기나 가압탈수기 등으로 간이 탈수하여 형성된 탈수케이크에 직류 전압을 인가하여, 전기침투 작용에 의하여 탈수하는 오니탈수장치가 개발되어 있다(예컨대, 일본국 특개소 61-5914호 공보 및 일본국 특개소 60-25597호 공보 참조).
제22도는, 이 종류의 오니탈수장치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부호(11)는, 간이 탈수한 탈수케이크(13)를 누르는 프레스벨트를 나타내고 있다. 이 프레스벨트(11)의 아래쪽에는, 필터벨트(15)가 일정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이 필터벨트(15)와 프레스벨트(11)의 하부와의 사이에는, 탈수케이크(13)의 통로(1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필터벨트(15)는, 필터벨트(15)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절연성의 지지롤러(19)로 지지되어 있다.
또, 필터벨트(15)와 프레스벨트(11)와의 사이에는, 일정전압이 인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오니탈수장치에서는, 통로(17)로 보내진 고함수율(高含水聿)의 탈수케이크(13)가, 필터벨트(15)와 프레스벨트(11)로 가압되어 탈수케이크(13)에 전압이 인가되면, 틸수케이크(13)중의 수분이 음극쪽의 필터벨트(15)쪽에 집수(集水)하는 전기침투 작용으로, 탈수케이트(13)중의 수분이 여액집수 챔버(21)에 집수되어, 탈수케이크(13)를 탈수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오니탈수장치로는, 탈수케이크(13)를 탈수함에 따라서, 탈수케이크(13)의 전기저항이 커지고, 또, 탈수케이크(13)의 체적이 축소하기 때문에, 탈수케이크(13)에 충분한 전압이나 가압력을 부여할 수 없게 되고, 통로(17)의 출구쪽으로 갈수록 탈수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제23도는, 탈수케이크(13)의 탈수상태에 따라서, 탈수케이크(13)를 충분한 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오니탈수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오니탈수장치에서는 고함수율(高含水聿)의 탈수케이크(13)를 누르는 프레스벨트(11)가 3대 배치되고, 이들 프레스벨트(11)와 필터벨트(15)와의 사이에는, 탈수케이크(13)의 통로(17)의 출구쪽으로 갈수록 높은 전압이 인가되어 있다.
제24도는, 탈수케이크(13)의 탈수상태를 따라서, 탈수케이크(13)를 충분히 가압할 수 있는 오니탈수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 오니탈수장치에서는, 프레스벨트(11)가 필터벨트(15)에 대하여 비스듬히 배치되어 있고, 프레스벨트(11)와 필터벨트(15)와의 사이의 탈수케이크(13)의 통로(17)가, 입구쪽으로부터 출구쪽으로 갈수록 협소하게 되어 있다.
또, 제2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오니탈수장치에서는, 회전드럼(23)이 직류전원장치(25)의 양극에 접속되어, 이 회전드럼(23)과 필터벨트(15)와의 각극이, 탈수케이크(13)의 통로(17)의 입구쪽으로부터 출구쪽으로 갈수록 협소하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오니탈수장치에서는, 탈수케이크(13)의 탈수상태를 따라서 충분한 전압이나 가압력을 부여할 수 있고, 통로(17)의 출구쪽에서도 입구쪽과 마찬가지로 탈수케이크(13)의 탈수를 할 수 있다.
그런데, 제22도 내지 제25도에 도시한 오니탈수장치에서는, 벨트(11),(15)를 지지롤러(19)가 선접촉한 상태에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벨트(11),(15)에 휘어짐이 생기고 균일하게 가압할 수 없고, 탈수케이크(13)에 작용하는 가압 및 전압인가가 순간적으로 되고, 충분한 탈수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엇다.
또, 제25도에 도시한 오니탈수장치에서도, 회전드럼(23)에 의하여, 탈수케이크(13)를 필터벨트(15)쪽에 선접촉한 상태에서 가압하기 때문에, 가압 및 전압인가가 순간적으로 되고, 충분한 탈수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런데, 오니탈수장치의 전극을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스텐리스강, 니켈강으로 형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탈수케이크(13)로의 전압의 인가에 의하여, 전극중 양극의 성분이 이온화하여, 탈수케이크(13)내로 녹아나오고, 양극이 점점 손모하며, 양극의 수명이 짧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하여, 양극의 교환을 빈번히 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스텐리스강, 니켈강으로 형성된 양극에서는, 이 양극으로부터 중금속이온이 탈수케이크(13)내에 녹아나오고, 2차 공해를 야기할 걱정이 있었다.
한편, 양극을, 그 성분의 이온화로 인한 손모도 미량이고, 도전성에도 뛰어난 백금 등의 귀금속으로 형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양극이 비싸지고, 실용적이 아니라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양극을 도전성을 가지는 세라믹을 소결(燒結)하여 형성하는 경우에는, 탈수케이크(13)를 누를 때에 파손할 걱정이 있고, 기계적 강도가 작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서 하게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오니탈수장치는, 탈수케이크를 양쪽에서 면접촉한 상태로 눌러서 충분한 탈수효과를 얻을 수 있는 오니탈수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오니탈수장치는, 수평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대향배치된 위쪽체인 사이에 위쪽 슬래트를 건너질러서 이루어지는 위쪽 슬패트 컨베이어와, 이 위쪽 슬래트 컨베이어의 아래쪽에 배치됨과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대향배치된 아래쪽 체인 사이에 다수의 아래쪽 슬래트를 건너질러서 이루어지고, 상기 위쪽 슬래트 컨베이어의 하부와의 사이에 오니의 통로로 형성하는 아래쪽 슬래트 컨베이어와, 상기 위쪽 슬래트 및 상기 아래쪽 슬래트를 상기 오니의 통로쪽을 향하여 눌러서 상기 오니의 통로를 그 입구쪽으로부터 출구쪽을 향하여 차례로 좁히는 가압기구와, 상기 위쪽 슬래트 및 상기 아래쪽 슬래트에 각각 형성되는 전극간에 상기 오니의 통로의 입구쪽으로부터 출구쪽을 향하여 차례로 커지는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인가 기구와, 상기 통로를 그폭 방향으로 마련된 절연체에 의하여 적어도 다른 전압이 인가되는 전압인가 구역마다 구획하고 각 구획의 오니를 절연하는 절연기구와, 양극이 상기 전압인가 기구에 접속되어 음극이 상기 각 전압인가 구역에서의 아래쪽 슬래트마다 접속되는 직류전원장치를 갖추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오니탈수장치는, 수평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 위쪽체인 사이에 다수의 위쪽 슬래트를 건너질러서 이루어지는 위쪽 슬래트 컨베이어와, 이 위쪽 슬래트 컨베이어의 아래쪽에 배치됨과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대향배치된 아래쪽 체인 사이에 다수의 아래쪽 슬래트를 건너질러서 이루어지고, 상기 위쪽 슬래트 컨베이어의 하부와의 사이에 오니의 통로를 형성하는 아래쪽 슬래트 컨베이어와, 상기 위쪽 슬래트 또는 상기 아래쪽 슬래트를 상기 오니의 통로쪽을 향하여 눌러서 상기 오니의 통로를 그 입구쪽으로부터 출구쪽을 향하여 차례로 좁히는 가압기구와, 상기 오니의 통로에서의 상기 위쪽 슬래트 및 상기 아래쪽 슬래트에 각각 형성되는 전극간에, 대략 일정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인가 기구를 갖추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오니탈수장치에서는, 고함수율의 오니로 이루어지는 탈수케이크가, 위쪽 슬래트 컨베이어와 아래쪽 슬래트 컨베이어와의 사이의 통로를 통과할때에, 위쪽 슬래트와 아래쪽 슬래트에 의하여 양쪽에서 면접촉한 상태로 눌려진다.
또, 가압기구에 의하여, 탈수케이크가 그 탈수상태를 따라서 눌려짐과 동시에, 전압인가 기구에 의하여, 위쪽 슬래트 및 아래쪽 슬래트에 각각 형성되는 전극간에, 통로의 입구쪽으로부터 출구쪽을 향하여 차례로 커지는 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통로의 폭방향으로 마련된 절연기구의 절연체에 의하여, 통로내의 탈수케이크가, 적어도 다른 전압이 인가되는 전압인가 구역마다 구획되고, 각 구획의 오니가 절연되고, 또한 직류전원장치의 음극이 각 전압인가 구역에서의 아래쪽 슬래트마다 접속되어 있으므로, 각 구획내의 탈수케이크의 상하방향으로, 탈수케이크의 탈수상태 및 인가전압의 크기에 따라서 전류가 흐른다.
또한, 본 발명의 오니탈수장치에서는, 고함수율의 오니로 이루어지는데 탈수케이크가 위쪽 슬래트 컨베이어와 아래쪽 슬래트 컨베이어와의 사이의 통로를 통과할 때에, 위쪽 슬래트와 아래쪽 슬래트에 의하여 양쪽에서 면접촉한 상태로 눌려진다.
또, 가압기구 및 전압인가 기구에 의하여, 탈수케이크가 그 탈수상태를 따라서 눌려지고, 위쪽 슬래트 및 아래쪽 슬래트에 각각 형성된 전극간에 대략 일정전압이 인가되고, 위쪽 슬래트와 아래쪽 슬래트에 의하여 끼워진 오니에 대략 일정전압이 상하방향으로 인가되고, 끼워진 오니의 탈수상태를 따라서 전류가 흐른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상세를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오니탈수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면에서 부호(31)는 위쪽 슬래트 컨베이어를 나타내고 있다. 이 위쪽 슬래트 컨베이어(31)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배치된 위쪽 슬래트 컨베이어(31)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배치된 위쪽 롤러체인(33) 사이에, 다수의 도전성을 가지는 위쪽 슬래트(35)를 건너질러서 형성되어 있다.
이 위쪽 슬래트(35)의 바깥쪽면에는, 제5도 및 제 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단면 ㄷ자 형상의 도전성을 가지는 연결부재(37)가 배치되고, 이 연결부재(37)에는 양전극(38)이 형성되어 있다.
이 양전극(38)은, 위쪽 슬래트(35)의 아래면에, 연결부(37)를 개재하여 전극판 모쥴(39)을 부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전극판 모쥴(39)은, 위쪽 슬래트(35)의 아래면에 전기 침투탈수의 처리능력에 따라서 필요한 매수만큼 부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극판 모쥴(39)은, 예컨대 모재(母材)인 도전성 부재(4)와, 이 도전성 부재(40)에 형성된 소정 막두께의 본드층(41)과, 이 본드층(41)에 형성된 소정막두께의 도전성 세라믹층(42)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모재인 도전성 부재(40)는, 예컨대, 티탄, 내식성에 뛰어난 스텐리스판에 의하여 형성되며, 도전성 세라믹층(42)은 에컨대 마그네타이트(Fe3O4)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본드층(41)은, 도전성 부재(40)의 오니 통로쪽 면에 24∼100메쉬의 스틸그릿드에 의하여 블라스트 처리를 하고, 버프(buff)로 연마한 후, 도전성 부재(40)를 소전온도로 덥히고, 예컨대 수소화 티탄, 몰리브덴으로 이루어지는 본드재를 플라즈마 용사(溶射)하여 형성되어 있고, 그 막두께는 0.1mm 정도로 되어 있다. 또한 버프로 연마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도전성 세라믹층(42)은, 본드층(41)에, 예컨대 15~50μ의 입자지름을 가지는 마그네타이트로 이루어지는 용사재료를 저온으로 플라즈마 용사하여 형성되며, 그 막두께는 0.1~1.0mm 정도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전극판 모쥴(39)은 도전성 부재(40)의 4구석에 고착된 나사 맛춤부재를, 제8도에 도시한 위쪽 슬래트(35)에 형성된 삽통구멍(43)에 끼워 넣고, 그 선단에 너트를 나사맞춤함으로써, 위쪽 슬래트(35)에 부착되어 있다.
이 양전극(38)과 연결부재(37)와는, 전기적으로 도통하고 있다.
또,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쪽 슬래트(35)끼리 및 양전극(38)끼리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위쪽 슬래트(35)와 양전극(38)의 전부 및 후부에는, 예컨대, 고무로 이루어지는 라이닝(44)이 되어 있다.
또한,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쪽 슬래트(35)의 안쪽면의 좌우에는, 예컨대, 수지등으로 이루어진 절연부재(45)가 배치되고, 이 절연부재(45)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에 위쪽 롤러체인(33)이 고정된 어태치너트(47)가 고착되어 있다.
위쪽 롤러체인(33)은, 지지각(支持脚)(48)에 고착된 브래킷(49)에 지지되어 있다. 이들 위쪽 롤러체인(33)은, 이완(弛緩)을 방지하고, 어태치먼트(47)로부터의 누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브래킷(49)에 재치된 수지등으로 이루어진 절연부재(53)상을 이동 주행하고 있다.
또, 위쪽 롤러체인(33)은, 지지각(支持脚)(48)에 고착된 감속전동기(55)에 의하여,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쪽 롤레체인(33)의 좌우에 배치된 스프로켓(57)을 개재하여 회전구동되고 있다.
한편, 위쪽 슬래트 컨베이어(31)의 아래쪽에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배치된 아래쪽 롤러체인(59) 사이에, 다수의 스텐리스로 이루어진 아래쪽 슬래트(61)를 건너질러서 이루어지는 아래쪽 슬래트 컨베이어(63)가 배치되어 있다. 이 아래쪽 슬래트 컨베이어(63)는 음극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아래쪽 슬래트 컨베이어(63)의 하부와 위쪽 슬래트 컨베이어(31)와의 사이에는 탈수케이크(65)의 통로(67)가 형성되어 있다.
이 탈수케이크(65)의 통로(67)를 형성하는 아래쪽 슬래트 컨베이어(63)의 상부에는, 여과포(69)가 배치되고, 이 여과포(69)는 아래쪽 슬래트 컨베이어(63)와 함께 이동하고 있다.
이 여과포(69)의 폭방향의 바깥면에는,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절연체(70)가 여과포(69)의 긴쪽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접착제 등에 의하여 고착되어 있고, 이 여과포(69)의 절연체(70)가, 통로(67)를, 그 입구쪽으로부터 출구쪽으로 복수로 구획하는 절연기구(71)로 되어 있다. 절연체(70)의 간격은 슬래트(35),(61)의 폭의 길이로 되어 있다.
즉, 여과포(69)가, 통로(67)내에 배치됨으로써, 통로(67)에는 복수의 절연체(70)가 돌출하여 배치되고, 이들 절연체(70)가 위쪽 슬래트(35)의 라이닝(44)과 맞닿음으로써, 통로(67)내를 유통하는 탈수케이크(65)가, 슬래트(35),(61)의 폭간격마다 구획되고, 절연된다.
또, 아래쪽 슬래트(61)의 안쪽면에는,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륜(72)이 배치되고, 이 차륜(72)은 레일(73)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이 레일(73)은, 탈수케이크(65)의 통로(67)를 형성하는 아래쪽 슬래트(61)만을 지지하고 있고, 레일(73)은 지지각(48)에 고정되어 있다.
탈수케이크(65)의 통로(67)를 형성하는 애래쪽 슬래트(61)의 중앙부에는 , 여액 배수구멍(75)이 다수 형성되고, 탈수케이크(65)의 통로(67)의 아래쪽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액 집수챔버(76)가 배치되어 있다.
또, 아래쪽 슬래트(61)의 바깥쪽면 중앙부에는,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고무판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부재(77)가 배치되어 있다.
아래쪽 슬래트(61)의 안쪽면의 좌우에는 선단에 아래쪽 롤러체인(59)이 고정된 어태치먼트(79)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아래쪽 롤러체인(59)은, 위쪽 롤러체인(33)과 마찬가지로,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각(48)에 고착된 브래킷(49)에 지지되어 있다. 이들 아래쪽 롤러체인(59)은, 이완을 방지하고, 누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브래킷(49) 상에 배치된 수지등으로 이루어진 절연부재(53) 상을 이동 주행하고 있다.
또, 이들 아래쪽 롤러체인(59)은, 지지각(48)에 고정된 감속전동기(55)에 의하여,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래쪽 롤러체인(59)의 좌우에 배치된 스프로켓(81)을 개재하여 구동되고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쪽 슬래트(35)를 아래쪽 슬래트(61)쪽으로 향하게 하여서 누르고, 탈수케이크(65)의 통로(67)를 그 입구쪽으로부터 출구쪽을 향하게 하여 차례로 좁히는 가압기구(83)가 배치되어 있다.
이 가압기구(83)는, 위쪽 슬래트(35)를 아래쪽 슬래트(61)쪽으로 누르는 급전겸용(給電兼用) 가압롤러(85)와, 이 급전겸용 가압롤러(85)를 지지하는 가압롤러 지지부재(87)와 탈수케이크(65)의 통로(67) 출구쪽 단부의 가압롤러 지지부재(87)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89)로 구성되어 있다.
가압롤러 지지부재(87)의 통로(87) 입구쪽 단부는, 지지각(48)에 고정된 지지부재(91)에 의하여 회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고, 가압롤러 지지부재(87)의 출구쪽 단부는, 지지각(48)에 고정된 유압실린더(89)에 연결되어 있다. 가압롤러 지지부재(87)는, 지지부재(91)를 중심으로 요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급전겸용 가압롤러(85)는, 위쪽 슬래트(35)를 아래쪽 슬래트(61)에 확실하게 누르기 위하여,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로(67)의 출구쪽으로 갈수록 밀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쪽 슬래트 컨베이어(31)에는 통로(67)의 입구쪽으로부터 출구쪽에 형성된 3개의 전압인가 구역((A),(B),(C)에 입구쪽으로부터 출구쪽을 향하여 차례로 커지는 전압을 인가하고, 통로(67)의 각 전압인가 구역(A), (B), (C)에서의 위쪽 슬래트(35)와 아래쪽 슬래트(61)와의 사이에 각각 대략 동일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인가기구(93)가 배치되어 있다.
즉, 전압인가 구역(A)에서는 위쪽 슬래트(35)와 아래쪽 슬래트(61)와의 사이에는, 각각 전압(E1)이 인가되고, 전압인가 구역(B)에서의 위쪽 슬래트(35)와 아래쪽 슬래트(61)와의 사이에는 (E1) 보다도 큰 전압((E2)이 각각 인가되고, 지지롤러(C)에서의 위쪽 슬래트(35)와 아래쪽 슬래트(61)와의 사이에는, (E2) 보다도 큰 전압(E3)이 각각 인가된다.
이 전압인가 기구(93)는, 위쪽 슬래트(35)에 맞닿는 급전겸용 가압롤러(85)와, 가압롤러 지지부재(87)의 상부에 배치되는 3대의 전압박스(95)와, 아래쪽 슬래트(61)에 설치된 도전성의 차륜(72)와, 이 차륜(72)을 안내하고 직류전원장치(97)의 음극에 접속되는 레일(73)로 구성되어 있다.
레일(73)은,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전압인가 구역(A),(B),(C)에 대응하여 절단되어 있고, 각각의 레일(73)은 수지등의 절연부재(98)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들 레일(73)을 개재하여, 직류전원장치(97)의 음극에 각각 접속되고, 이에 의하여, 각 지지롤러(A), (B), (C)에서의 아래쪽 슬래트(61)가, 직류전원장치(97)의 음극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즉, 예컨대, 전압인가 구역(A)에서의 아래쪽 슬래트(61)는, 전압인가 구역(A)에서의 레일(73)을 개재하여, 직류전원장치(97)의 음극에 접속되어 있고, 전압인가 구역(B)에서의 아래쪽 슬래트(61)는, 전압인가 구역(B)에서의 레일(73)을 개재하여, 직류전원장치(97)의 음극에 접속되어 있다.
또, 3대의 전압박스(95)는 직류전원장치(97)의 양극에 접속되어 있고, 이들 전압박스(95)는, 통로(67)의 입구쪽으로부터 출구쪽을 향하여 차례로 커지는 전압을 가지고 있다. 전압박스(95)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전겸용 가압롤러(85)의 축(99)의 한쪽이 슬리프링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생오니 또는 소화오니를 수용하는 오니응집조(汚泥凝集槽)(101)가, 지지각(48)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이 오니응집조(101)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응집제저조(凝集制貯槽)(103)로부터 펌프(105)에 의하여 고분자 응집제가 공급되고 있다.
이 응집제저조(103)의 근방에는, 고분자 응집제와 교반된 오니가 탈수되는 중력탈수부(107)가 배치되고, 또, 이 중력탈수부(107)에서 탈수된 고농도의 오니를, 2매의 여과포(109)로 끼워 넣고 롤러(111)로 가압탈수하는 벨트 프레스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또, 여액 집수챔버(76)의 근방에는 여액과 가스를 분리하는 여액분리조(濾液分離槽)(115)과 배치되고, 또 여액 및 가스를 가각 외부로 배출하는 펌프(117)가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오니탈수장치에서는, 하수처리장에서 방생하는 생오니 또는 소화오니가 오니응집조(101)에 수용되고, 응집제저조(103)로부터 펌프(105)에 의하여 오니응집조(101)에 고분자 응집제가 공급되고, 오니응집조(101)에서 오니와 고분자 응집제가 충분히 혼합되고 교반된다.
이들 오니는, 중력탈수부(107)로 보내지고 탈수되어서 고농도의 오니로 되어, 이들 오니가 벨트프레스(113)로 보내져서 2매의 여과포(109)로 오니가 끼워지고, 롤러(111)로 가압탈수하여 탈수케이크(65)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탈수케이크(65)가 위쪽 슬래트 컨베이어(31)와 아래쪽 슬래트 컨베이어(63)와의 사이의 통로(67)로 보내지고, 이 통로(67)를 통과할 때에, 탈수케이크(65)가 가압기구(83)에 의하여 가압됨과 동시에 전압인가기구(93)에 의하여 전압이 인가되고, 전기침투작용에 의하여 탈수케이크(65)가 탈수된다.
탈수케이크(65)에서 탈수된 수분은, 아래쪽 슬래트(61)에 여액 배출구멍(75)을 개재하여, 여액 집수챔버(76)에 의하여 여액분리조(115)에 집수되고, 이 여액분리조(115)에서, 여액과 가스가 분리되어, 여액 및 가스는 각각의 펌프(117)에 의하여 배출된다.
전기침투작용에 의하여 충분히 탈수한 탈수케이크(65)은, 매립, 소각, 콤포스트 등으로 하여 처분된다.
그리하여, 이상과 같이 구성된 오니탈수장치에서는, 차륜(72)을 개재하여 레일(73)에 지지된 아래쪽 슬래트(61)쪽에, 급전겸용 가압롤러(85)에 의하여 위쪽 슬래트(35)가 눌리고, 탈수케이크(65)가 양쪽으로부터 면접촉한 상태로 눌려지고, 또 탈수케이크(65)의 통로(67)를 그 입구쪽으로부터 출구쪽을 향하여 협소하게 하였으므로, 탈수케이크(65)가 탈수상태에 따라서 가압된다.
또, 동시에, 급전겸용 가압롤러(85)에 의하여, 위쪽 슬래트(35), 양전극(38)을 개재하여 탈수케이크(65)에 전압이 인가되고, 전기침투작용에 의하여 플러스로 대전되어 있는 탈수케이크(65)중의 수분이 음극쪽의 아래쪽 슬래트(61)를 향하여 유동하고, 수분이 여과포(63)를 통과하여 여액 배수구멍(75)으로부터 배수되어, 탈수케이크(65)가 탈수된다.
또 가압기구(83)에 의하여, 탈수케이크(65)가 그 탈수상태에 따라서 눌리고 전압인가기구(93)에 의하여, 통로(67)의 각 전압인가 구역(A),(B),(C)에서의 위쪽 슬래트(35)와 아래쪽 슬래트(61)와의 사이에, 입구쪽으로부터 출구쪽을 향하여 차례로 커지는 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통로(67)의 폭방향으로 설치된 절연기구(71)의 절연체(70)에 의하여, 통로(67)내의 탈수케이크(65)가 슬래트(35),(61)의 폭의 길이마다 구획되고, 각 구획의 오니가 절연되고, 또한 직류전원장치(97)의 음극이 각 전압인가 구역(A),(B),(C)에서의 아래쪽 슬래트(61)마다 접속되어 있으므로 각 구획내의 탈수케이크(65)의 상하방향으로, 탈수케이크(65)의 탈수상태 및 인가전압의 크기에 따라서 전류가 흐른다.
그리하여,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오니탈수장치에서는, 위쪽 슬래트 컨베이어(31) 및 아래쪽 슬래트 컨베이어(63)에 의하여 탈수케이크(65)의 통로(67)를 형성하고 이 통로(67)를 그 입구쪽으로부터 출구쪽을 향하여 차례로 좁히는 가압기구(83)를 설치하였으므로, 탈수케이크(65)는, 탈수케이크(65)의 탈수상태를 따라서, 위쪽 슬래트(35)와, 아래쪽 슬래트(61)에 의하여 면접촉한 상태로 누를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전압을 충분히 인가할 수 있고, 충분한 탈수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이상과 같이 구성된 오니탈수장치에서는, 위쪽 슬래트(35)와 아래쪽 슬래트(61)와의 사이의 탈수케이크(65)에 탈수케이크(65)의 통로(67)의 입구쪽으로부터 출구쪽을 향하여 차례로 커지는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인가기구(93)를 설치하였으므로, 탈수케이크(65)의 탈수상태에 따라서 전압을 인가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전기 침투작용을 촉진할 수 있고, 충분한 탈수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탈수케이크(65)는 탈수되면 될수록 큰 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탈수케이크(65)를 강력하게 탈수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아래쪽 슬래트(61)의 내면에 차륜(72)을 배치하고, 이 차륜(72)을 지지각(48)에 고정된 레일(73)상을 이동주행시켰으므로, 아래쪽 슬래트(61)가 레일(73)에 확실하게 지지되고, 아래쪽 슬래트(61)가 이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급전겸용 가압롤러(85)에 의하여, 위쪽 슬래트(35)와 아래쪽 슬래트(61)와의 사이의 탈수케이크(65)를 확실하게 누를 수 있다.
또, 통로(67)를, 그 폭방향으로 설치된 절연기구(71)의 절연체(70)에 의하여 슬래트(35),(61)마다 구획하고, 각 구획의 탈수케이크(65)를 절연하고, 양극의 전압인가기구(93)에 접속된 직류전원장치(97)의 음극을, 각 전압인가 구역(A),(B),(C)에서의 아래쪽 슬래트(61)마다 접속하였으므로, 각 전압인가 구역(A), (B), (C)에 다른 전압이 혼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각 전압인가 구역(A),(B),(C)에서의 탈수케이크(35)에, 다른 전압을 확실하게 인가할 수 있고, 각 구획내의 탈수케이크(65)의 상하방향으로, 확실하게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다. 또, 이에 의하여 직류전원장치(97)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위쪽 슬래트(35)와 양전극(38)의 전부 및 후부에, 고무로 이루어진 라이닝(44)을 하였으므로, 전압박스(95)에 의하여 급전겸용 가압롤러(85)를 개재하여 위쪽 슬래트(35)에 다른 전압을 확실하게 인가할 수 있다.
또, 통로(67)를 형성하는 아래쪽 슬래트 컨베이어(63)의 상부에, 아래쪽 슬래트 컨베이어(63)와 함께 이동하는 여과포(69)를 배치하였으므로, 여역 배수구멍(75)으로부터 탈수케이크(65)가 누출하는 것을 방지하여, 수분만을 여역 배수구멍(75)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제13도 내지 제 16도는 본 발명의 오니탈수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면에 있어서, 부호(31a)는, 위쪽 슬래트 컨베이어를 나타내고 있다. 이 위쪽 슬래트 컨베이어(31a)는,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대향배치된 위쪽 롤러체인(33a) 사이에 다수의 도전성을 가지즌 위쪽 슬래트(35a)를 건너질러서 형성되어 있다.
이 위쪽 슬래트(35a)의 바깥쪽면에는, 제17도 및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단면 ㄷ자 형상의 도전성을 가지는 연결부재(37a)가 배치되고, 이 연결부재(37a)에는 양전극(38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양전극(38a)은, 위쪽 슬래트(35a)의 아래면에서, 연결부재(37a)를 개재하여 전극판 모쥴(39a)를 부착시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전극판 모쥴(39a)은, 위쪽 슬래트(35a)의 아래면에 전기 침투탈수의 처리능력에 따라서 필요한 매수만큼 부착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극판 모쥴(39a)은, 예컨대, 모재인 도전성 부재(40a)와, 이 도전성 부재(40a)에 형성된 소정 막두께의 본드층(41a)와, 이 본드층(41a)에 형성된 소정 막두께의 도전성 세라믹층(42a)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모재인 도전성 부재(40a)는, 예컨대, 티탄, 내식성에 뛰어난 스텐리스판에 의하여 형성되고, 도전성 세라믹층(42a)은, 예컨대, 마그네타이트(Fe3O4)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본드층(41a)은, 도전성 부재(40a)의 오니 통로쪽면에 24∼100 메쉬의 스틸그릿드에 의하여 블라스트 처리를 하고, 버프(buff)로 연마한 후, 도전성 부재(40a)를 소정온도로 덥히고, 예컨대, 수소화 티탄, 몰리브덴으로 이루어진 본드재를 플라즈마용사하여서 형성되고, 그 막두께는 0.1mm 정도로 되어 있다. 또한, 버프로 연마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도전성 세라믹층(42a)은, 본드층(41a)에, 예컨대, 15∼50μ의 입자 지름을 가지는 마그네타이트로 이루어진 용사재료(溶射材料)를 저온으로 본드재를 플라즈마용사 하여서 형성되며, 그 막두께는 0.1~1.0mm 정도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극판 모쥴(39a)은, 도전성 부재(40a)의 4구석에 고착된 나사맞춤부재를, 제19도에 도시한 위쪽 슬래트(35a)에 형성된 삽통구멍(43a)에 끼워 넣고, 그 선단에 너트를 나사맞춤함으로써, 위쪽 슬래트(35a)에 부착되고 있다.
이 양전극(38a)과 연결부재(37a)와는, 전기적으로 도통하고 있다.
또, 위쪽 슬래트(35a)끼리 및 양전극(38a)끼리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위쪽 슬래트(35a)와 양전극(38a)의 전부 및 후부에는, 예컨대 고무로 이루어진 라이닝(4a)이 되어 있다.
또한,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쪽 슬래트(35a)의 안쪽면의 좌우에는, 예컨대, 수지등으로 이루어진 절연체(45a)가 배치되고, 이 절연체(45a)에는,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에 위쪽 롤러체인(33a)이 고정된 어태치먼트(47a)가 고착되어 있다.
위쪽 롤러체인(33a)은, 지지각(48a)에 고착된 브래킷(49a)에 지지되어 있다. 이들 위쪽 롤러체인(33a)은 이완을 방지하고, 어티치먼트(47a)로부터의 누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브래킷(49a)에 재치된 수지등으로 이루어진 절연체(53a)상을 이동주행하고 있다.
또, 위쪽 롤러체인(33a)은, 지지각(48a)에 고정된 감속전동기(55a)에 의하여,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쪽 롤러체인(33a)의 좌우에 배치된 스프로켓(57a)을 개재하여 회전구동하고 있다.
한편, 위쪽 슬래트 컨베이어(31a)의 아래쪽에는, 제15도, 및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대향배치된 아래쪽 롤러체인(59a) 사이에, 다수의 스텐리스로 이루어진 아래쪽 슬래트(61a)를 건너질러서 이루어진 아래쪽 슬래트 컨베이어(63a)가 배치되어 있다. 이 아래쪽 슬래트 컨베이어(63a)는 음극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아래쪽 슬래트 컨베이어(63a)의 하부와 위쪽 슬래트 컨베이어(63a)와의 사이에는, 탈수케이크(65a)의 통로(67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탈수케이크(65a)의 통로(67a)를 형성하는 아래쪽 슬래트 컨베이어(63a)의 상부에는, 여과포(69a)가 배치되고, 이 여과포(69a)는 아래쪽 슬래트 컨베이어(63a)와 함께 이동하고 있다.
또, 아래쪽 슬래트(61a)의 안쪽면에는, 제20도 및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륜(71a)이 배치되고, 이 차륜(71a)은 레일(73a)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 레일(73a)은, 탈수케이크(65a)의 통로(67a)를 형성하는 아래쪽 슬래트(61a)만을 지지하고 있고, 레일(73a)은 지지각(48a)에 고정되어 있다.
탈수케이크(65a)의 통로(67a)를 형성하는 아래쪽 슬래트(61a)의 중앙부에는, 여액 배수구멍(75a)이 다수 형성되고, 탈수케이크(65a)의 통로(67a)의 아래쪽에는,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액 집수챔버(76a)가 배치되어 있다.
또, 아래쪽 슬래트(61a)의 바깥쪽면 중앙부에는, 제20도, 및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고무판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부재(77a)가 배치되어 있다.
아래쪽 슬래트(61a)의 안쪽면의 좌우에는, 선단에 아래쪽 롤러체인(59a)이 고정된 어태치먼트(79a)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아래쪽 롤러체인(59a)은, 위쪽 롤러체인(33a)과 마찬가지로,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각(48a)에 고착된 브래킷(49a)에 지지되어 있다. 이들 아래쪽 롤러체인(59a)은, 이완을 방지하고, 누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브래킷(49a)상에 배치된 수지등으로 이루어진 절연체(53a)상을 이동주행하고 있다.
또, 이들 아래쪽 롤러체인(59)은, 지지각(48a)에 고정된 감속전동기(55a)에 의하여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쪽 롤러체인(59a)의 좌우에 배치된 스프로켓(81a)을 개재하여 구동되고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쪽 슬래트(35a)를 아래쪽 슬래트(61a)쪽으로 향하여 누르고, 탈수케이크(65a)의 통로(67a)를 그 입구쪽으로부터 출구쪽을 향하여 차례로 좁히는 가압기구(83a)가 배치되어 있다.
이 가압기구(83a)는, 위쪽 슬래트(35a)을 아래쪽 슬래트(61a)쪽으로 누르는 급전겸용 가압롤러(85a)와, 이 급전겸용 가압롤러(85a)를 지지하는 가압롤러 지지부재(87a)와, 탈수케이트(65a)의 통로(67a) 출구쪽 단부의 가압롤러 지지부재(87a)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89a)로 구성되어 있다.
가압롤러 지지부재(87a)의 통로(67a) 입구쪽 단부는 지지각(48a)에 고정된 지지부재(91a)에 의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가압롤러 지지부재(87a)의 출구쪽 단부는, 지지각(48a)에 고정된 유압실린더(89a)에 연결되어 있다. 가압롤러 지지부재(87a)는, 지지부재(91a)를 중심으로 요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급전겸용 가압롤러(85a)는, 위쪽 슬래트(35a)를 아래쪽 슬래트(61a)에 확실하게 누르기 위하여,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로(67a)의 출구쪽으로 갈수록 주밀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쪽 슬래트 컨베이어(31a)에는, 통로(67a)에서의 위쪽 슬래트(35a)와 아래쪽 슬래트(61a)와의 사이에, 대략 일정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인가기구(93a)가 배치되어 있다. 즉 통로(67a)의 중앙부에 형성된 전압인가 구간(E)에 위치하는 위쪽 슬래트(35A)와 아래쪽 슬래트(61a) 사이에, 전압인가기구(93a)에 의하여 대략 일정전압이 인가된다.
이 전압인가기구(93a)는, 위쪽 슬래트(35a)에 맞닿는 급전겸용 가압롤러(85a)와, 가압롤러 지지부재(87a)의 상부에 배치되는 3개의 전압박스(95a)와, 아래쪽 슬래트(61a)에 배설된 도전성의 차륜(71a)과, 이 차륜(71a)을 안내하고 직류전원장치(97a)의 음극에 접속되는 레일(73a)로 구성되어 있다.
3대의 전압박스(95a)는 직류전원장치(97a)의 양극에 접속되어 있고, 이들 전압박스(95a)는, 대략 동일 전압을 가지는 다수의 급전단자(給電端子)를 가지고 있다. 이 전압박스(95a)의 급전단자에는,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전겸용 가압롤러(85a)의 축(99a)의 한쪽이 슬리프링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6도에 도식한 바와 같이, 하수처리장치에서 발생하는 생오니 또는 소화오니를 수용하여 오니응집조(101a)가 지지각(48a)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이 오니응집조(101a)에는,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응집제저조(103a)로부터 펌프(105a)에 의하여 고분자 응집체가 공급되고 있다.
이 응집제 저조(103a)의 근방에는, 고분자 응집제와 교반된 오니가 탈수되는 중력탈수부(107a)가 배치되고, 또 이 중력탈수부(107a)에서 탈수된 고농도의 오니를, 2매의 여과포(109a)로 싸서 롤러(111a)로 가압탈수하는 벨트 프레스부(113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여액 집수챔버(76a)의 근방에는, 여액과 가스를 분리하는 여액분리조(115a)가 배치되고, 또, 여액 및 가스를 각각 외부로 배출하는 펌프(117a)가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오니탈수장치에서는, 하수처리장치에서 발생하는 생오니 또는 소화오니가 오니응집조(101a)에 수용되고, 응집제 저조(103a)로부터 펌프(105a)에 의하여 오니응집조(101a)로 고분자 응집제가 공급되고, 오니응집조(101a)에서 오니와 고분자 응집제가 충분히 혼합되고 교반된다.
이들 오니는, 중력탈수부(107a)로 보내져서 탈수되어 고농도의 오니로 되고, 이들 오니가 벨트프레스부(113a)로 보내져서 2매의 여과포(109a)로 싸여져서, 롤러(111a)로 가압탈수하여 탈수케이크(65a)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탈수케이크(65a)가 위쪽 슬래트 컨베이어(31a)와 아래쪽 슬래트 컨베이어(63a)와의 사이의 통로(67a)로 보내지고, 이 통로(67a)를 통과할 때에, 탈수케이크(65a)가 가압기구(83a)에 의하여 가압됨과 도이시에 전압인가기구(93a)에 의하여 전압이 인가되고, 전기침투작용에 의하여 탈수케이크(65a)가 탈수된다.
탈수케이크(65a)로부터 탈수된 부분은, 아래쪽 슬래트(61a)의 여액 배출구명(75a)을 개재하여, 여액 집수챔버(76a)에 의하여 여액분리조(115a)에 집수되고, 이 여액분리조(115a)에서, 여액과 가스가 분리되고, 여액 및 가스는 각각의 펌프(117a)에 의하여 배출된다.
전기침투작용에 의하여 충분히 탈수한 탈수케이크(65a)는 매립, 소각, 콤포스트 등으로 하여서 처분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오니탈수장치에서는, 차륜(71a)를 개재하여 레일(73a)에 지지된 아래쪽 슬래트(61a)쪽에 급전겸용 가압롤러(85a)에 의하여 위쪽 슬래트(35a)가 눌리고, 탈수케이크(65a)가 양쪽으로부터 면접촉한 상태로 눌리고, 또 탈수케이크(65a)의 통로(67a)를, 그 입구쪽으로부터 출구쪽을 향하여 협소하게 하였으므로, 탈수케이크(65a)가 탈수상태에 따라서 가압된다.
또, 동시에 급전겸용 가압롤러(85a)에 의하여, 위쪽 슬래트(35a), 양전극(38a)을 개재하여 탈수케이크(65a)에 전압이 인가되고, 전기침투작용에 의하여 플러스로 대전되어 있는 탈수케이크(65a)중의 수분이 음극쪽의 아래쪽 슬래트(61a)를 향하여 유동하고, 수분이 여과포(63a)를 통과하여 여액 배수구멍(7a)으로부터 배수되고, 탈수케이크(65a)가 탈수된다.
그리고, 전압박스(95a)에 의하여, 위쪽 슬래트(35a)와 아래쪽 슬래트(61a)와의 사이에 대략 일정전압이 인가되고, 위쪽 슬래트(35a)와 아래쪽 슬래트(61a)에 의하여 끼워진 탈수게이크(65a)에 대략 일정전압이 인가되고, 끼워진 탈수케이크(65a)의 탈수상태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그리하여, 이상과 같이 구성된 오니탈수장치에서는, 위쪽 슬래트 컨베이어(31a) 및 아래쪽 슬래트 컨베이어(63a)에 의하여 탈수케이크(65a)의 통로(67a)를 형성하고, 이 통로(67a)를 그 입구쪽으로부터 출구쪽을 향하여 차례로 좁히는 가압기구(83a)를 배설하였으므로, 탈수케이크(65a)는, 탈수케이크(65a)의 탈수상태에 따라서, 위쪽 슬래트(35a)와 아래쪽 스래트(61a)에 의하여 면접촉한 상태로 누를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전압을 충분히 인가할 수 있고, 충분한 탈수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이상과 같이 구성된 오니탈수장치에서는, 위쪽 슬래트(35a)과 아래쪽 슬래트(61a)와의 사이의 탈수케이크(65a)에 대략, 일정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인가기구(93a)를 배설하였으므로, 탈수케이크(65a)의 탈수상태에 따른 전류를 상하방향으로 인가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전기침투작용을 촉진할 수 있고, 충분한 탈수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1점에 전압을 인가하는 방법에서는, 가장 흐르기 쉬운 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고 있었기 때문에 탈수효과가 일부에 밖에 기대할 수 없었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3개의 전압박스(95a)에 의하여, 전압인가 구간(E)의 위쪽 슬래트(35a) 마다에 대략 동일 전압을 인가하였기 때문에, 전압인가 구간(E)에서의 위쪽 슬래트(35a)의 아래쪽 슬래트(61a)와의 사이에, 대략 일정전압을 상하방향으로 인가할 수 있고, 통로(67a)의 전압인가 구간(E)에서의 탈수케이크(65)를 균일하게 탈수할 수 있고, 종래보다도 탈수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위쪽 슬래트(35a)와 양전극(38a)의 전부 및 후부에, 고무로 이루어진 라이닝(44a)을 하였으므로, 전압박스(95a)에 의하여 급전겸용 가압롤러(95a)를 개재하여, 위쪽 슬래트(35a)와 아래쪽 슬래트(61a)와의 사이에, 전압을 상하방향으로 확실하게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아래쪽 슬래트(61a)의 내면에 차륜(71a)을 배치하고, 이 차륜(71a)을 지지각(48a)에 고정된 레일(73a)상을 이동주행 시켰으므로, 아래쪽 슬래트(61a)가 레일(73a)에 확실하게 지지되고, 아래쪽 슬래트(61a)가 이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급전겸용 가압롤러(85a)에 의하여, 위쪽 슬래트(35a)와 아래쪽 슬래트(61a)와의 사이에 탈수케이크(65a)를 확실하게 누를 수 있다.
또, 통로(67a)를 형성하는 아래쪽 슬래트 컨베이어(61a)의 상부에, 아래쪽 슬래트 컨베이어(63a)과 함께 이동하는 여과포(69a)를 배치하였으므로, 여액 배수구멍(75a)으로부터 탈수케이크(65a)가 누출하는 것을 방지하고, 수분만을 여액 배수구멍(75a)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위쪽 슬래트(35),(35a)를, 탈수케이크(65),(65a)의 통로(67), (67a)쪽에 누른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아래쪽 슬래트를, 탈수케이크의 통로쪽에 누르고, 탈수케이크를 가압하여도, 상기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제1실시예에서는, 탈수케이크(65)에, 3종의 다른 전압을 인가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탈수케이크(65)에 2종의 다른 전압을 인가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는, 절연체(70)를, 슬래트(35), (61)의 폭의 길이마다에 여과포(69)에 고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절연체는 적어도 다른 전압이 인가되는 전압인가 구역마다에 통로를 구획하는 것이면, 여과포에 소정간격을 두고 고착하여도 좋다.
또, 제1실시예에서는, 절연체(70)를, 슬래트(35),(61)의 폭의 길이마다에 여과포(69)에 고착한 절연기구(71)에 의하여, 탈수케이크(65)를 구획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절연체는, 통로의 폭방향으로 배설되어 있으면 좋고, 예컨대 아래쪽 슬래트에 고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는, 레일(73)을, 각 전압인가 구역(A),(B),(C)에 대응하여 절단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레일을 슬래트의 폭의 길이마다 절단하고, 각각의 레일을 절연부재에 의하여 연결하고, 각 전압인가 구역에 있어서의 아래쪽 슬래트 마다에, 직류전원장치의 양극에 접속하여도 좋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는, 3개의 전압박스(95a)에 의하여, 전압인가 구간(E)의 위쪽 슬래트(35a) 마다에 대략 동일 전압을 인가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2개의 전압박스에 의하여, 전압인가 구역의 위쪽 슬래트 마다에 대략 동일 전압을 인가하여도 좋고, 또한 전압인가 구간의 위쪽 슬래트 마다에 직접 대략 동일 전압을 인가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는, 통로(67a)의 중앙부에 전압인가 구간(E)을 형성하고, 이 전압인가 구간(E)의 위쪽 슬래트(35a) 마다에 대략 동일 전압을 인가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통로의 전역에 전압을 인가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전성 부재(40)(40a)에, 마그네타이트로 이루어진 도전성 세라믹을 용사하여, 도전성 세라믹층(42),(42a)을 형성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전성 부재에, 예컨대 페라이트(Fe2O3)등을 용사하여, 도전성 세라믹층을 형성하여도, 상기 실시예와 대략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위쪽 슬래트(35),(35a)에, 1매의 전극판 모쥴(39),(39a)을 고정하여 양전극(38),(38a)을 구성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위쪽 슬래트에, 전기침투탈수의 처리능력에 따라서 복수의 전극판 모쥴을 고정하여, 양전극을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전성 부재(40),(40a)를 스텐리스, 티탄에 의하여 형성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에컨대, 내식성에 뛰어난 철, 니켈니오브, 탄탈, 도전성 플라스틱, 스텐리스와 티탄에 의한 클레드판이나 강판과 티탄에 의한 클래드판 등의 티탄을 한쪽 면에 가지는 클래드판에 의하여 도전성 부재를 형성하여도 좋고, 또한 도전성 부재를 판형상의 것이 아닌 그룹형상, 막대형상, 천등이라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드재로서 수소화 티탄이나 몰리브덴을 사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세립(細粒)의 티탄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양전극(38),(38a)을, 도전성 부재(40),(40a)에 본드층(41),(41a)을 형성하고, 이 본드층(41),(41a)에 도전성 세라믹층(42),(42a)을 형성하여 구성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음전극을, 도전성 부재에 본드층을 형성하고, 이 본드층에 도전성 세라믹층을 형성하여 구성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극간에 오니의 통로를 형성하고, 이 오니통로를 유통하는 오니를 전극에 의하여 끼고, 전극간의 오니에 직류전압을 인가하고, 전기침투작용에 의하여 탈수하는 오니탈수장치이면, 본 발명을 적용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니탈수장치에서는, 고함수율의 오니로 이루어진 탈수케이크가, 위쪽 슬래트 컨베이어와 아래쪽 슬래트 컨베이어와의 사이의 통로를 통과할 때에, 위쪽 슬래트와 아래쪽 슬래트에 의하여 양쪽으로부터 면접촉한 상태로 눌린다.
또, 가압기구에 의하여, 탈수케이크가 그 탈수상태에 따라서 눌림과 동시에, 전압인가 기구에 의하여, 위쪽 슬래트 및 아래쪽 슬래트에 각각 형성된 전극간에, 통로의 입구쪽으로부터 출구쪽을 향하여 차례로 큰 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통로의 폭방향으로 배설된 절연기구의 절연체에 의하여, 통로내의 탈수케이크가, 적어도 다른 전압이 인가되는 전압인가 구역마다 구획되고, 각 구획의 오니가 절연되고, 또한 직류전원장치의 음극이 각 전압인가 구역에서의 아래쪽 슬래트마다 접속되어 있으므로, 각 구획내의 탈수케이크의 상하방향으로, 탈수케이크의 탈수상태 및 인가전압의 크기에 따라서 전류가 흐르고, 탈수케이크를 양쪽에서 면접촉한 상태로 눌러서 충분한 탈수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오니탈수장치에서는, 고함수율의 오니로 이루어지는 탈수케이크가, 위쪽 슬래트 컨베이어와 아래쪽 슬래트 컨베이어와의 사이의 통로를 통과할 때에 위쪽 슬래트와 아래쪽 슬래트에 의하여 양쪽에서 면접촉한 상태로 눌린다.
또, 가압기구 및 전압인가 기구에 의하여 탈수케이크가 그 탈수상태에 따라서 눌리고, 위쪽 슬래트 및 아래쪽 슬래트에 각각 형성된 전극간에 대략 일정전압이 인가되고, 위쪽 슬래트와 아래쪽 슬래트에 의하여 끼워진 오니에 대략 일정전압이 상하방향으로 인가되고, 끼워진 오니의 탈수상태에 따라서 전류가 흐르고, 탈수케이크를 양쪽에서 면접촉한 상태로 눌러서 충분한 탈수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수평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대향배치된 위쪽 체인 사이에 다수의 위 슬래트를 건너질러서 이루어지는 위쪽 슬래트 컨베이어와, 이 위쪽 슬래트 컨베이어의 아래쪽에 배치됨과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대향배치된 아래쪽 체인 사이에 다수의 아래쪽 슬래트를 건너질러서 이루어지고, 상기 위쪽 슬래트 컨베이어의 하부와의 사이에 오니의 통로로 형성하는 아래쪽 슬래트 컨베이어와, 상기 위쪽 슬래트 또는 상기 아래쪽 슬래트를 상기 오니의 통로쪽을 향하여 눌러서 상기 오니의 통로를 그 입구쪽으로부터 출구쪽을 향하여 차례로 좁히는 가압기구와, 상기 위쪽 슬래트 및 상기 아래쪽 슬래트에 각각 형성되는 전극간에 상기 오니의 통로의 입구쪽으로부터 출구쪽을 향하여 차례로 커지는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인가 기구와, 상기 통로를 그 폭방향으로 마련된 절연체에 의하여 적어도 다른 전압이 인가되는 전압인가 구역마다 구획하고 각 구획의 오니를 절연하는 절연기구와, 양극이 상기 전압인가 기구에 접속되어 음극이 상기 각 전압인가 구역에서의 아래쪽 슬래트마다 접속되는 직류전원장치를 갖추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탈수장치.
  2. 수평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대향배치된 위쪽 체인 사이에 다수의 위쪽 슬래트를 건너질러서 이루어지는 위쪽 슬래트 컨베이어와, 이 위쪽 슬래트 컨베이어의 아래쪽에 배치됨과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대향배치된 아래쪽 체인 사이에 다수의 아래쪽 슬래트를 건너질러서 이루어지고, 상기 위쪽 슬래트 컨베이어의 하부와의 사이에 오니의 통로를 형성하는 아래쪽 슬래트 컨베이어와, 상기 위쪽 슬래트 또는 상기 아래쪽 슬래트를 상기 오니의 통로쪽을 향하여 눌러서 상기 오니의 통로를 그 입구쪽으로부터 출구쪽을 향하여 차례로 좁히는 가압기구와, 상기 오니의 통로에서의 상기 위쪽 슬래트 및 상기 아래쪽 슬래트에 각각 형성된 전극간에, 대략 일정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인가 기구를 갖추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탈수창치.
KR1019910022552A 1991-12-10 1991-12-10 오니탈수장치 (汚尼脫水裝置) KR970006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2552A KR970006504B1 (ko) 1991-12-10 1991-12-10 오니탈수장치 (汚尼脫水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2552A KR970006504B1 (ko) 1991-12-10 1991-12-10 오니탈수장치 (汚尼脫水裝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504B1 true KR970006504B1 (ko) 1997-04-28

Family

ID=19324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2552A KR970006504B1 (ko) 1991-12-10 1991-12-10 오니탈수장치 (汚尼脫水裝置)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5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243B1 (ko) * 2004-12-20 2006-09-1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슬러지 탈수효율 향상을 위한 전기탈수방법
WO2009041763A2 (en) * 2007-09-28 2009-04-02 Rigen Korea Co., Ltd. Dehydrator
KR20150129886A (ko) * 2014-05-12 2015-11-23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수평이송형 전기침투 탈수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243B1 (ko) * 2004-12-20 2006-09-1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슬러지 탈수효율 향상을 위한 전기탈수방법
WO2009041763A2 (en) * 2007-09-28 2009-04-02 Rigen Korea Co., Ltd. Dehydrator
WO2009041763A3 (en) * 2007-09-28 2009-05-14 Rigen Korea Co Ltd Dehydrator
KR20150129886A (ko) * 2014-05-12 2015-11-23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수평이송형 전기침투 탈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84501B1 (en) Dewatering process
US8454814B2 (en) Processes and apparatuses for treating and/or increasing dryness of a substance
KR100507686B1 (ko) 전기침투탈수식 슬러지 탈수장치
US20100236931A1 (en) Improvements in/or relating to a method of treating sludges
KR20190039249A (ko) 복합 탈수 장치
WO2010113846A1 (ja) 汚泥脱水方法、電気浸透脱水方法及び装置
EP1673311B1 (en) Dewatering treatment system and method
JPS6025597A (ja) 電気浸透式脱水機
US20050199499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reating sludge
KR970006504B1 (ko) 오니탈수장치 (汚尼脫水裝置)
KR100452145B1 (ko) 양극 전기드럼 내장형 전기 삼투압식 벨트프레스 탈수장치
JPH0687927B2 (ja) 汚泥脱水装置
JPS6097012A (ja) 汚泥の脱水処理方式
KR100639114B1 (ko) 슬러지 전기탈수장치
JPS61259800A (ja) 汚泥の脱水処理方式
JPH02115012A (ja) 電気浸透脱水装置
EP1642868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reating sludge
CH600932A5 (en) Sludge filter press with two endless belts
JP2011050844A (ja) 電気浸透脱水方法及び装置
GB2294948A (en) De-watering sludge/slurry by simultaneous mechanical compression and electro-osmosis using conductive belt
JPH0346166B2 (ko)
KR100617243B1 (ko) 슬러지 탈수효율 향상을 위한 전기탈수방법
KR20050063235A (ko) 고효율 슬러지 전기탈수장치
JPS6068020A (ja) 電気浸透式脱水機
WO1997011767A1 (en) Electro-osmotic dewatering of slud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