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7686B1 - 전기침투탈수식 슬러지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침투탈수식 슬러지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7686B1
KR100507686B1 KR1020050013314A KR20050013314A KR100507686B1 KR 100507686 B1 KR100507686 B1 KR 100507686B1 KR 1020050013314 A KR1020050013314 A KR 1020050013314A KR 20050013314 A KR20050013314 A KR 20050013314A KR 100507686 B1 KR100507686 B1 KR 100507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belt
dewatering
rotating drum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3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시게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리젠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30403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0768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리젠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리젠코리아
Priority to KR1020050013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76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6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drum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belt or ban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35Volt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에 슬러지의 통로가 되는 공간을 구비한 상태로 감싸지는 압착벨트와 상기 회전드럼과 압착벨트에 삼상교류의 각 상별로 정류된 직류전압을 공급함으로써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을 탈수하기 위한 전기침투탈수식 슬러지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은 축과 통체와 상기 통체를 축으로 부터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로 이루어지되, 상기 통체의 외주면 표면을 빙둘러서 절연부재가 피복되도록 하고, 상기 절연부재 표면에는 곡면형상의 전극판이 통체와 절연되도록 형성된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전극판은 축 또는 지지대의 측면에 형성된 슬립링에 전선과 상기 볼트을 통해 통전되어 브러쉬로 부터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전기침투 탈수식 슬러지 탈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회전드럼의 표면에 삼상교류의 각 상별로 정류된 직류전압이 각각 인가될 수 있도록 세개의 전극판을 형성함으로써 기존 전기침투 탈수식 슬러지 탈수장치의 전극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였으며, 이로인해 전극와 슬러지 사이에 지속적이고 높은 도전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탈수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침투탈수식 슬러지 탈수장치 {Apparatus for dehydrating sludge with a type of electro-penetrative dehydration}
본 발명은 폐수 및 하수처리장 등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를 탈수처리하는 전기침투탈수식 슬러지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드럼과 압착벨트를 구비하는 전기침투 탈수식 슬러지 탈수장치에 삼상교류를 인가하되 최상의 탈수효과를 얻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전기침투 탈수식 슬러지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폐수 및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오니)들은 물의 정화를 위해 고분자응집제를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고분자 응집제에 의해 응집된 상태의 슬러지는 여간해서는 탈수시키기가 곤란하다. 슬러지의 탈수율에 따라 슬러지의 폐기비용 및 재활용 범위 등에 있어서 큰 차이를 발생하게 되고, 또한 슬러지가 갖는 함수율을 현저하게만 줄일 수 있다면 폐기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슬러지의 고형성분들을 연료로도 재활용할 수 있게 되는 등 매우 경제적인 부가가치를 갖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단순압착식 탈수장치로는 폐수 슬러지의 탈수는 한계가 있는 것이고 비경제적인 폐단을 갖는 것이어서 최근에는 탈수효율이 더 나은 전기침투 탈수식 슬러지 탈수장치를 슬러지의 탈수에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전기침투 탈수식 슬러지 탈수장치라 함은 슬러지와 결합된 물을 이온이동성으로 제거하기 위한 회전드럼형 전기침투 탈수식 슬러지 탈수기를 의미하며, 그 구조로는 양극전극을 겸한 회전 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통수성(通水性)의 압착(프레스)벨트와, 상기 회전드럼과 압착벨트의 탈수영역 표면에 중첩되도록 형성된 여과벨트로 이루어진다. 이는 일본 특개소 56(1981)-60604호 및 국내 특허출원 1993-0010856호 등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탈수기는 드럼과 압착벨트 사이에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여 전기장을 형성함으로써 전기장 속에서 대전된 물이 전기 영동과 모세관 현상에 의해 슬러지 입자가 띠고 있는 전하와 반대 전극측으로 이동하여 수분이 분리되어 짐으로써 슬러지로 부터 탈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탈수기들은 직류전원만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처럼 탈수기의 전극에 직류전원이 인가되어지면 탈수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차 전압손실이 발생하게 되고, 결국 실질적으로 작용하는 전압은 현저히 낮아져 탈수성능이 크게 저하되는 단점을 갖는 것이다.
이의 해결을 위해 본 출원인은 전압강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삼상교류를 각 상(R, S, T)별로 정류하여 직류 전압펄스로 변환한 다음 위상차에 의한 순차적인 전압을 전극에 인가함으로써 탈수되는 과정동안 전압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또 항상 일정한 전압이 유지되도록 하여 탈수성능을 증대시킨 전기침투 탈수식 탈수장치를 대한한국 특허출원 제2003-39471호로 선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탈수장치는 삼상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전극에 인가하는 구조만을 기재하였을 뿐 보다 구체적이고 효율적인 탈수를 위한 회전드럼 및 압착벨트 등에 대한 구조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기재한 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오랜 시간동안 슬러지의 탈수효율을 극대화하면서도 구조는 간단하여 제작 및 수리가 용이한 슬러지 탈수장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왔으며, 마침내 회전드럼 전극에 삼상교류의 각 상별로 정류된 직류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회전드럼의 표면에 가장 효과적인 구조의 전극판을 형성하였으며, 또한 도전성의 천공된 압착벨트를 사용함으로써 전극와 슬러지 사이에 지속적이고 높은 도전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고, 슬러지로 부터 발생한 침출수 및 발생가스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탈수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전기침투 탈수식 슬러지 탈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회전드럼의 상부 일측에 회전드럼의 상단과 수평이 되도록 벨트지지봉을 형성하되, 상기 회전드럼과 벨트지지봉에 의해 슬러지 운반벨트의 상부가 편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슬러지 운반벨트 상부에는 슬러지 투입부가 하부에는 슬러지 배출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슬러지의 투입과 배출이 용이한 전기침투 탈수식 슬러지 탈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전기침투 탈수식 슬러지 탈수장치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에 슬러지의 통로가 되는 공간을 구비한 상태로 감싸지는 압착벨트와 상기 회전드럼과 압착벨트에 삼상교류의 각 상별로 정류된 직류전압을 공급함으로써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을 탈수하기 위한 전기침투탈수식 슬러지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1000)은 축(1100)과 통체(1200)와 상기 통체를 축으로 부터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1110)로 이루어지되, 상기 통체(1200)의 외주면 표면을 빙둘러서 절연부재(1300)가 피복되도록 하고 상기 절연부재 표면에는 전극판(1400)이 통체와 절연되도록 형성된 볼트(1800)와 너트(1810)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전극판(1400)은 축 또는 지지대에 형성된 슬립링(1500)에 전선(1700)과 상기 볼트(1800)을 통해 통전(通電)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이때 통전가능한 구조를 보다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전극판(1400)에 직접 볼트(1800)를 연결하고 상기 볼트는 통체에 관통되도록 한 다음 절연링(1820) 등에 의해 절연된 상태의 너트(1810)에 의해 체결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극판(1400)은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삼상교류의 각 상별로 정류된 직류전압을 각각 인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개로 분할, 즉 제 1전극판(1410), 제 2전극판(1420), 제 3전극판(1430)으로 분리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할된 각각의 전극판(1410,1420,1430)의 양단은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며, 또한 상기 전극판에 각각의 상을 분할하여 직류전압이 인가될 수 있도록 절연된 상태의 각각의 슬립링(1510,1520,1530), 즉 제 1슬립링(1510), 제 2슬립링(1520), 제 3슬립링(1530)이 축(1100) 또는 지지대(1110)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져 각각의 해당 전극판과 연결된다. 이때 연결은 전선(170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슬립링 (1510,1520,1530)은 브러쉬(1610,1620,1630)를 통해 전류가 공급받게 되어 회전드럼(1000)이 회전하더라도 전극판에의 전류공급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게 되며, 이때 상기 브러쉬 역시 제 1브러쉬(1610), 제 2브러쉬(1620), 제 3브러쉬(1630)으로 구분되어져 각각 해당 슬립링에 연결되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전극판(1410,1420,1430)은 완만한 곡면(曲面)으로 이루어지며, 통체의 외주 곡률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전극판 (1410,1420,1430)은 다른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도전성 압착벨트(3000)에 의해 슬러지(A)가 투입되고 배출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모두 감싸지는 구조를 갖게되는 바, 상기 도전성 압착벨트(3000)는 통전(通電)이 가능하고 유연성을 갖도록 금속판을 사용하되, 내구성, 내식성 등으로 감안할 때 가장 바람직한 재질은 스테인레스판이다. 또한 상기 압착벨트(3000)에는 탈수 및 가스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다수개의 통공(通孔)이 천공되어진 상태로, 상기 통공은 탈수 및 가스의 배출만 가능하게 하고 슬러지의 배출은 방지하는 정도의 크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성 압착벨트(3000)는 양극 또는 음극도 될 수 있으나,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이 도전되면 음극으로 향하는 점을 감안하면 탈수가 곤란한 회전드럼(1000) 보다는 다수개의 통공(通孔)이 천공되어 탈수가 용이한 압착벨트(3000)가 음극을 갖도록 함이 보다 탈수에 효과적일 것이다.
물론 상기 압착벨트(3000)도 삼상교류의 각 상별로 정류된 직류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도 2의 전극판처럼 3등분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도 5의 (나),(다),(라),(바)에 각각의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이때 상기 3등분된 압착벨트의 상세한 구조를 보이기 위한 사시도는 도 6에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압착벨트(3000)는 축(2100)과 통체(2200)로 이루어지는 두개의 벨트 드럼(2000)에 순환되도록 감겨진 구조를 가지며, 이때 전류의 공급은 통체(2200)의 일단에 형성된 슬립링(2300)과 상기 슬립링에 접촉하고 있는 브러쉬(2400)에 의해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압착벨트(3000)가 전극판처럼 3등분 되어있다면 상기 각각의 압착벨트의 일측의 벨트드럼에도 역시 삼상교류의 각 상별로 정류된 직류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각각의 슬립링과 브러쉬가 형성되어짐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압착벨트(3000)가 하나의 벨트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중간 중간에는 압착벨트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텐션용 벨트드럼(20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텐션용 벨트드럼(2010)은 기대(7000)에 고정되어 벨트드럼(2010)의 일정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텐션조절구(8000)에 의해 지지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전극판(1400), 즉 회전드럼(1000)과 압착벨트(3000) 사이에 슬러지(A)가 유입되어지면 슬러지와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이 분리되면서 탈수되어지는데, 상기 탈수율은 전류의 양이 증가할 수도 좋아지게 된다.
따라서 회전드럼(1000)과 압착벨트(3000) 사이에는 슬러지만 존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구조이나 전극판을 감싸고 있는 압착벨트의 구조상 상기 전극판과 압착벨트는 필연적으로 접촉이 있을 수 밖에 없고 이로인해 합선의 우려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극판의 외주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빙둘러서 다수개의 절연띠(4000)가 부착되도록 하였다. 상기 절연띠(4000)는 회전드럼(1000)과 압착벨트(3000)가 서로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절연띠(4000)를 제외한 부분은 회전드럼(1000)과 압착벨트(3000) 사이에 어떠한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수단이 형성되어있지 않아 전류의 양이 증가하고, 이로인해 슬러지의 탈수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절연띠를 구비하는 회전드럼(1000)과 압착벨트(3000)로 이루어지는 본발명 슬러지 탈수장치(1)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즉 기대(7000)와, 상기 기대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며 절연띠(4000)를 구비하는 회전드럼(1000)과, 상기 회전드럼(1000)을 감싸고 순환되도록 결합하는 도전성 압착벨트(3000)와, 상기 도전성 압착벨트(3000)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벨트드럼(2000)과, 상기 벨트드럼(2000)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9000)와, 상기 회전드럼(1000)과 압착벨트(3000) 사이에 슬러지(A)를 투입하기 위한 슬러지 투입부(5000)와, 투입된 슬러지가 탈수되어 배출되면 이를 제거하기 위한 슬러지 배출부(60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러지 투입부(5000)는 호퍼형상을 가지며, 중력에 의해 슬러지가 회전드럼(1000)과 압착벨트(3000) 사이에 공급될 수도 있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러지 운반벨트(1400)에 의해 공급될 수도 있다.
상기 슬러지 운반벨트(1400)는 회전드럼(1000)과 벨트지지봉(15000)을 순환되도록 감겨진 구조를 갖는데, 상기 회전드럼(1000)의 상부 일측에 회전드럼의 상단과 수평이 되도록 벨트지지봉(15000)을 기대 (7000) 위에 설치하고, 상기 회전드럼과 벨트지지봉에 순환가능하도록 슬러지 운반벨트(1400)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운반벨트의 상부가 편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되, 상기 슬러지 운반벨트(1400) 상부에는 슬러지 투입을 위한 슬러지 투입부(5000)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슬러지 운반벨트(1400) 하부에는 슬러지 배출을 위한 슬러지 배출부(6000)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이때 벨트지지봉(15000)은 지지봉지지구(15100)에 의해 기대에 결합되어지고, 따라서 슬러지는 슬러지 운반벨트(1400)와 압착벨트(3000)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탈수되어진다.
상기 슬러지 배출부(6000)는 벨트에 밀착된 상태의 끝이 예리한 판형상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탈수된 후 벨트를 타고 이동되는 슬러지를 긁어내어 일정한 장소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드럼(1000)과 도전성 압착벨트(3000) 사이에 여과벨트(12000)를 더 형성할 수도 있는데, 상기 여과벨트(12000)는 압착벨트(3000)를 보조하기 위한 기능으로, 압착벨트(3000)와 압착벨트(3000)의 사이, 또는 압착벨트(3000)에 천공된 통공을 통해 슬러지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다.
상기 슬러지로 부터 탈수된 수분은 장치의 하부에 형성된 집수판(10000)에 의해 모아져 배수구(11000)를 통해 배수되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슬러지 투입부(5000)를 통해 전극을 겸하는 회전드럼(1000)과 압착벨트(3000) 사이로 슬러지(A)를 투입한 다음 전극판(1400)과 압착벨트(3000)에 전류를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세개의 전극판(1410,1420,1430)에는 삼상교류를 각 상(R, S, T)별로 정류한 직류 전압펄스를 각각 인가하게 된다. 이때 삼상교류의 각 상(R, S, T)은 다이오우드 등의 정류소자에 의해 정류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각 상별로 정류된 (+)와 (-) 또는 (-)와 (+)가 접속되는 전극판(1400)과 압착벨트(3000)에 의해 전극과 슬러지 사이에는 높은 도전성이 유지되어지고, 이온이동(전기영동)현상에 의해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이 음극으로 이동되면서 탈수가 되어지는 것이다.
이처럼 탈수된 슬러지(B)는 슬러지 배출부(6000)를 통해 배출되어 목적에 맞게 재활용되거나, 폐기되어질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회전드럼의 표면에 삼상교류의 각 상별로 정류된 직류전압이 각각 인가될 수 있도록 세개의 전극판을 형성함으로써 기존 전기침투 탈수식 슬러지 탈수장치의 전극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였으며, 이로인해 전극와 슬러지 사이에 지속적이고 높은 도전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탈수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압착벨트 역시 도전성(導電性)의 금속벨트를 사용하되 다수개의 통공이 빽빽하게 천공되도록 하여 탈수 및 가스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였고, 회전드럼의 상단과 수평으로 형성되는 슬러지 운반벨트에 의해 슬러지의 투입과 배출을 용이하게 하였으며, 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구조 및 회전드럼과 압착벨트의 구조를 보다 단순화함으로써 제작 및 수리가 용이한 슬러지 탈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 본 발명 슬러지 탈수장치에 삼상교류를 인가하기 위한 개략적인 회로 구성도.
도 2 - 본 발명 슬러지 탈수장치에 있어서 회전드럼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일부 분해사시도.
도 3 - 회전드럼의 결합된 상태의 전체구성을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4 -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 - 본 발명 슬러지 탈수장치에 있어서 도전성 압착벨트의 구조 및 전극과의 상관관계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6 - 도 5의 3등분된 압착벨트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
도 7 - 본 발명 슬러지 탈수장치에 있어서 회전드럼과 도전성 압착벨트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
도 8 - 도 7의 B-B선 단면도.
도 9 - 본 발명 슬러지 탈수장치의 제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10 - 도 9의 종단면도.
도 11 - 본 발명 슬러지 탈수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2 - 도 11의 종단면도.
도 13 - 도 11에 있어서 회전드럼과 벨트 부분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4 - 도 13의 C-C선 단면도.
도 15 - 본 발명 슬러지 탈수장치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 슬러지 탈수장치
1000: 회전 드럼(drum) 1100: 축
1110: 지지대 1200: 통체(筒體)
1300: 절연부재 1400: 전극판
1410: 제 1전극판 1420: 제 2전극판
1430: 제 3전극판 1500: 슬립 링(ring)
1510: 제 1슬립링 1520: 제 2슬립링
1530: 제 3슬립링 1600: 브러쉬
1610: 제 1브러쉬 1620: 제 2브러쉬
1630: 제 3브러쉬 1700: 전선
1800: 볼트 1810: 너트
1820: 절연 링(ring)
2000: 벨트 드럼 2010: 텐션용 벨트드럼
2100: 축 2200: 통체
2300: 슬립링 2400: 브러쉬
3000: 도전성 압착(壓搾)벨트 4000: 절연 띠
5000: 슬러지 투입부 6000: 슬러지 배출부
7000: 기대(機臺) 8000: 텐션 조절구
9000: 구동모터 9100: 구동벨트
10000: 집수판 11000: 배수구
12000: 여과(濾過)벨트 13000: 텐션용 여과벨트드럼
14000: 슬러지 운반벨트 15000: 벨트지지봉
15100: 지지봉 지지구
A: 슬러지(오니) B: 탈수된 슬러지

Claims (7)

  1.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에 슬러지의 통로가 되는 공간을 구비한 상태로 감싸지는 압착벨트와 상기 회전드럼과 압착벨트에 삼상교류의 각 상별로 정류된 직류전압을 공급함으로써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을 탈수하기 위한 전기침투탈수식 슬러지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드럼(1000)은 축(1100)과 통체(1200)와 상기 통체를 축으로 부터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1110)로 이루어지되, 상기 통체(1200)의 외주면 표면을 빙둘러서 절연부재(1300)가 피복되도록 하고, 상기 절연부재 표면에는 곡면형상의 전극판(1400)이 통체와 절연되도록 형성된 볼트(1800)와 너트(1810)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전극판은 축 또는 지지대의 측면에 형성된 슬립링(1500)에 전선(1700)과 상기 볼트(1800)을 통해 통전되어 브러쉬(1600)로 부터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침투탈수식 슬러지 탈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1400)은 서로 이격된 세개의 전극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극판에는 삼상교류의 각 상별로 정류된 직류전압이 각각 인가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침투탈수식 슬러지 탈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의 외주면의 표면에 서로 이격된 상태의 절연띠(4000)가 빙둘러서 다수개 부착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침투탈수식 슬러지 탈수장치.
  4.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에 슬러지의 통로가 되는 공간을 구비한 상태로 감싸지는 압착벨트와 상기 회전드럼과 압착벨트에 삼상교류의 각 상별로 정류된 직류전압을 공급함으로써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을 탈수하기 위한 전기침투탈수식 슬러지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착벨트(3000)는 다수개의 통공이 천공된 도전성의 금속판을 재질로 하며, 축(2100)과 통체(2200)로 이루어지는 두개의 벨트 드럼(2000)에 순환되도록 감겨지되, 상기 통체(2200)의 측면 일단에 형성된 슬립링(2300)과 상기 슬립링에 접촉하고 있는 브러쉬(2400)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침투탈수식 슬러지 탈수장치.
  5.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드럼(2000)의 사이에는 벨트의 일정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텐션용 벨트드럼(2010)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침투탈수식 슬러지 탈수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벨트(3000)의 표면에는 여과벨트(12000)가 한겹 더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침투탈수식 슬러지 탈수장치.
  7. 기대와, 상기 기대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며 전극을 겸하는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에 슬러지의 통로가 되는 공간을 구비한 상태로 감싸지되 다수의 벨트드럼에 의해 지지되는 도전성 압착벨트와 상기 회전드럼과 압착벨트에 삼상교류의 각 상별로 정류된 직류전압을 공급함으로써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을 탈수하기 위한 전기침투탈수식 슬러지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1000)의 상부 일측에 회전드럼의 상단과 수평이 되도록 벨트지지봉(15000)을 기대 (7000) 위에 설치하고, 상기 회전드럼과 벨트지지봉에 순환가능하도록 슬러지 운반벨트(1400)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운반벨트의 상부가 편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되, 상기 슬러지 운반벨트(1400) 상부에는 슬러지 투입을 위한 슬러지 투입부(5000)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슬러지 운반벨트(1400) 하부에는 슬러지 배출을 위한 슬러지 배출부(6000)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침투탈수식 슬러지 탈수장치.
KR1020050013314A 2005-02-17 2005-02-17 전기침투탈수식 슬러지 탈수장치 KR100507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314A KR100507686B1 (ko) 2005-02-17 2005-02-17 전기침투탈수식 슬러지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314A KR100507686B1 (ko) 2005-02-17 2005-02-17 전기침투탈수식 슬러지 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7686B1 true KR100507686B1 (ko) 2005-08-08

Family

ID=37304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3314A KR100507686B1 (ko) 2005-02-17 2005-02-17 전기침투탈수식 슬러지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7686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096B1 (ko) 2005-11-14 2007-06-29 주식회사리젠코리아 슬러지의 전기침투 탈수 및 건조 장치
KR100755028B1 (ko) 2005-11-14 2007-09-06 주식회사리젠코리아 전기침투식 슬러지 탈수 장치
KR100812821B1 (ko) 2007-09-28 2008-03-12 박경득 중력 가압 전기 침투 탈수장치
KR100860979B1 (ko) * 2007-05-14 2008-09-30 주식회사 삼우인텍 전기침투 탈수기
KR100958954B1 (ko) * 2008-09-09 2010-05-19 주식회사리젠코리아 전기침투 탈수기
KR101168547B1 (ko) 2011-01-19 2012-08-03 손호준 전기영동식 전기침투탈수기
KR101243578B1 (ko) * 2010-12-27 2013-03-20 손호준 전기영동식 전기침투탈수기
KR101250645B1 (ko) * 2010-11-15 2013-04-03 (주)한국워터테크놀로지 슬러지 탈수장치 및 이의 전기인가유닛
KR101282086B1 (ko) 2012-01-10 2013-07-04 제이윈 주식회사 Cfrp시트 적층구조를 갖는 기구의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759982B1 (ko) * 2015-10-22 2017-07-3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회전형 광전기 화학 반응기
KR102109978B1 (ko) * 2019-11-20 2020-05-28 주식회사 화인 전기 영동식 전기 침투 탈수기의 드럼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096B1 (ko) 2005-11-14 2007-06-29 주식회사리젠코리아 슬러지의 전기침투 탈수 및 건조 장치
KR100755028B1 (ko) 2005-11-14 2007-09-06 주식회사리젠코리아 전기침투식 슬러지 탈수 장치
US8293090B2 (en) 2007-05-14 2012-10-23 Korea Water Technology Inc. Electroosmotic dehydrator
KR100860979B1 (ko) * 2007-05-14 2008-09-30 주식회사 삼우인텍 전기침투 탈수기
WO2008140175A1 (en) * 2007-05-14 2008-11-20 Sam Woo Intech Co., Ltd. The electroosmotic dehydrator
WO2009041763A2 (en) * 2007-09-28 2009-04-02 Rigen Korea Co., Ltd. Dehydrator
WO2009041763A3 (en) * 2007-09-28 2009-05-14 Rigen Korea Co Ltd Dehydrator
KR100812821B1 (ko) 2007-09-28 2008-03-12 박경득 중력 가압 전기 침투 탈수장치
KR100958954B1 (ko) * 2008-09-09 2010-05-19 주식회사리젠코리아 전기침투 탈수기
KR101250645B1 (ko) * 2010-11-15 2013-04-03 (주)한국워터테크놀로지 슬러지 탈수장치 및 이의 전기인가유닛
KR101243578B1 (ko) * 2010-12-27 2013-03-20 손호준 전기영동식 전기침투탈수기
KR101168547B1 (ko) 2011-01-19 2012-08-03 손호준 전기영동식 전기침투탈수기
KR101282086B1 (ko) 2012-01-10 2013-07-04 제이윈 주식회사 Cfrp시트 적층구조를 갖는 기구의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759982B1 (ko) * 2015-10-22 2017-07-3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회전형 광전기 화학 반응기
KR102109978B1 (ko) * 2019-11-20 2020-05-28 주식회사 화인 전기 영동식 전기 침투 탈수기의 드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7686B1 (ko) 전기침투탈수식 슬러지 탈수장치
JP4228312B2 (ja) 電気浸透脱水機
CN101848870B (zh) 脱水机
KR100878488B1 (ko) 삼상교류전원을 이용한 위상제어형 전기영동식전기침투탈수기.
CN101993183B (zh) 污泥脱水装置
KR100894266B1 (ko) 전기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
KR100452145B1 (ko) 양극 전기드럼 내장형 전기 삼투압식 벨트프레스 탈수장치
JPS6025597A (ja) 電気浸透式脱水機
CN212476508U (zh) 一种曲面直流电场污泥干化脱水装置
KR101118560B1 (ko) 국소 전기인가장치와 두께조절장치를 구비한 슬러지 이송장치
KR100755028B1 (ko) 전기침투식 슬러지 탈수 장치
CN203845926U (zh) 污泥电脱水双滤带装置
KR100574677B1 (ko) 전기침투탈수방식
KR101271640B1 (ko) 전기 침투 탈수장치를 이용한 건조장치
JPH042286B2 (ko)
KR100958953B1 (ko) 드럼 냉각장치를 가지는 전기 침투 탈수기
KR100441168B1 (ko) 전기삼투압 필터프레스 탈수장치
KR970006504B1 (ko) 오니탈수장치 (汚尼脫水裝置)
CN113045180A (zh) 一种曲面直流电场污泥干化脱水装置
JPH0346166B2 (ko)
KR101335818B1 (ko) 슬러지 건조장치
KR20140025031A (ko) 전기 침투 탈수기용 드럼
KR100965405B1 (ko) 탈수장치
KR20120095749A (ko) 전기 침투 탈수기용 드럼
JPS634440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913

Effective date: 2008061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100002560;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913

Effective date: 2008061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200009184;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724

Effective date: 20090604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200009184;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724

Effective date: 20090604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300002104;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130000152;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714

Effective date: 20090817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300002104;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714

Effective date: 2009081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824

Effective date: 20090918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13000015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824

Effective date: 20090918

EXTG Extinguishme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