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7588A - 바늘판용 운송 카트 - Google Patents

바늘판용 운송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7588A
KR20090027588A KR1020080089627A KR20080089627A KR20090027588A KR 20090027588 A KR20090027588 A KR 20090027588A KR 1020080089627 A KR1020080089627 A KR 1020080089627A KR 20080089627 A KR20080089627 A KR 20080089627A KR 20090027588 A KR20090027588 A KR 20090027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plate
receiving device
transport cart
needl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9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5376B1 (ko
Inventor
베른하르트 무엔스터
프란즈 제르게르
토마스 마이에르
즐'라탄 메두고락
Original Assignee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filed Critical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ublication of KR20090027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7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8/00Needl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8/00Needling machines
    • D04H18/02Needling machines with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바늘판(2)용 운송 카트(1)는 높이가 조절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축 주위에서 피봇될 수 있으며 수용 디바이스와 함께 이동할 수 있는 보호 커버와 결합되도록 설계된 수용 디바이스(8)를 구비한다. 안전하고 주의깊은 방식으로 크고 무거운 바늘판을 취급할 수 있도록, 여러 조정 선택사항, 안내 및 정지 디바이스들이 제공된다.
주행 휠, 베이스 프레임, 바늘판, 수용 디바이스, 로킹 수단

Description

바늘판용 운송 카트{Transport cart for needle boards}
본 발명은 펠팅 기계(felting machine)에 사용되는 바늘판(needle boards)을 운송 및 취급하는 운송 카트(transport cart)에 관한 것이다.
바늘판을 포함하는 펠팅 기계는 펠트(felt) 제조시에 사용된다. 이러한 바늘판은 플레이트의 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펠팅 바늘을 구비한 큰 플레이트형 부품이다. 이러한 하나 이상의 바늘판이 펠팅 기계에 사용되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다수의 바늘판이 펠팅 기계에서의 설치 및 필요시의 제거를 위한 저장 위치에서 용이하게 사용가능하게 유지된다. 펠팅 바늘은 마모성 부품이다. 따라서, 적절한 시기에 교체되어야 한다. 이것은 적당한 자동 적재기로 실행되고, 바늘판은 상기 자동 적재기 안으로 운송되고 필요시에는 상기 자동 적재기로부터 제거된다. 바늘판은 50 kg 등과 같은 무거운 하중과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한편, 펠팅 바늘은 비교적 민감하고 운송 또는 저장 동안 손상되지 않아야 한다. 하나 이상의 펠팅 바늘의 최소의 휨(bending) 조차도 허용될 수 없다. 한편, 펠팅 바늘은 종종 매우 예리한 팁, 예리한 에지를 구비하거나 및/또는 바브(barb)들이 제공되므로, 상해의 심각한 위험성에 노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늘판의 주의해야 할 위험이 없는 운송 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운송 카트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카트는 주행 휠을 갖는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므로, 카트는 부착된 또는 일체형 구동 디바이스에 의해서 수동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공장 바닥에서 이동할 수 있다. 양호하게는, 주행 휠은 자유 주행(free-running)이다. 휠들중 하나 이상은 구동 디바이스, 제동 디바이스 등에 할당될 수 있다.
운송 카트의 베이스 프레임은 바늘판을 위한 수용 디바이스를 지지한다. 상기 수용 디바이스는 바늘판의 에지에 적응된 적어도 하나의 수용 소자와 상기 수용 디바이스에 바늘판을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로킹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것은 바늘판이 에지에 의해서 단지 붙잡히기만 하고 복수의 펠팅 바늘이 연장되는 표면이 접촉되지 않을 수 있게 한다. 결과적으로, 수용 디바이스는 바늘판을 그 에지를 따라 붙잡아서 유지(hold)하도록 이미 셋업된다. 또한, 수용 디바이스는 바늘판을 수용 디바이스에 고정하도록 배치된 로킹 수단을 포함한다. 이 과정에서, 바늘판은 예를 들어 저장 장소에서 픽업(pickup)될 수 있고 바늘판을 손상시키거나 또는 작업자에서 상해를 입히지 않고 자동 적재기 또는 펠팅 기계로 롤링(roll)될 수 있다. 유사하게, 바늘판은 다른 장소로 롤링되기 위하여 자동 적재 기 또는 펠팅 기계에 수용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수용 디바이스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베이스 프레임에 의해서 지지된다. 이 방향은 예를 들어 수직 방향이다. 이것은 바늘판이 펠팅 기계 또는 자동 적재기로 운송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한다. 수용 디바이스의 높이는 바늘판이 자동 적재기 또는 펠팅 기계에 세팅되고 그후에 수용 디바이스로부터 펠팅 기계 또는 자동 적재기로 수평 경로를 따라 전달되는 높이로 간단하게 조정된다. 이것은 특히 바늘판이 매우 무거울 때 작동자의 작업을 촉진시킨다. 유압 리프팅 디바이스, 수동 스핀들형 리프팅 기어 시스템 등(spindle-type lifting gear-system or the like with manual) 또는 모터 구동부가 사용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수용 디바이스는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서 적어도 하나의 축 주위로 피봇될 수 있도록 지지된다. 양호하게는, 상기 축은 바늘판의 긴 에지를 가로지르고 양호하게는 바늘판의 짧은 에지와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배향되는 수평축이다. 이 방식에서, 수용 디바이스에 의해서 수납되고 예를 들어 2 미터의 길이를 가지는 바늘판은 용이한 운송을 허용하기 위하여 수직 위치로 피봇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공간 조건이 사용 위치에서 제한되어도 운송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수용 디바이스는 경사축으로도 지칭될 수 있는 적어도 제 2 축 주위로 피봇될 수 있도록 지지된다. 상기 경사축은 바늘판의 긴 에지와 양호하게는 평행하게 배향되고 그에 따라서 가로지르는 방향 즉, 제 1 축과 양호하게는 직각으로 배향된다. 양호하게는, 제 2 축은 수용 소자 부근 즉, 바늘판의 긴 에지 부근으로 연장된다. 이 과정에서, 바늘판은 수직 위치 또는 상기 바늘판이 예를 들어 자동 적재기로 이동할 수 있는 경사 위치로도 이동할 수 있다.
양호하게는, 제 1 축 및/또는 제 2 축 주위에서 수용 디바이스를 타겟 방식으로 피봇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션 디바이스(actuation device)가 제공된다. 양호하게는, 액추에이션 디바이스는 수동 작동식 디바이스이지만; 모터 구동부를 제공할 수 있다. 양호하게는, 액추에이션 디바이스는 자체 로킹된다. 즉, 액추에이션 디바이스는 대체로 일단 세팅된 위치에서 수용 디바이스에 작용하는 힘과는 독립적으로 수용 디바이스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액추에이션 디바이스는 액추에이션 부재, 예를 들어, 핸드휠(hand-wheel)로부터의 힘을 수용 디바이스로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다른 자체 로킹 기어 또는 웜 기어(worm gear)를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작동될 때, 제 1 축 뿐 아니라 제 2 축 주위로 수용 디바이스를 피봇 운동시키는 액추에이션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이 결과로, 바늘판은 단일 액추에이션 디바이스에 의해서 수용 위치에서 운송 위치로 피봇될 수 있다. 수용 위치에서, 바늘판은 예를 들어 수평으로 유지되고, 이에 반해서 상기 바늘판은 운송 위치에서 수직으로 유지된다. 다시 말해서, 운송 카트는 바늘판에 대한 운송 위치와 바늘판에 대해서 양호하게 선택가능한 수용 위치 사이에서 수용 디바이스를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조정 디바이스를 가진다. 수용 위치는 두 축들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 90도 회전에 의하여 양호하게는 운송 위치와 다르다. 바늘판은 수납되어 전달되어서 평탄하게 놓여지는 동안, 수직 위치에서 운송된다.
예를 들어, 수용 소자는 바늘판의 긴 에지들중 하나, 양호하게는 중심 섹션에서만 끝이 잘려진(dock) 제 1 프로파일 레일이다. 수용 수단은 수용 소자 이외에도 예를 들어 프로파일 레일, 프로파일 레일로서 구성될 수 있는 로킹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프로파일 레일은 양호하게는 긴 에지를 따라 바늘판을 붙잡는다. 양호하게는, 제 1 프로파일 레일로부터의 제 2 프로파일 레일의 거리는 가변 바늘 상(needle bed) 폭들에 대해서 적응될 수 있게 조정가능하다. 또한, 제 2 프로파일 레일은 양호하게는 유지 위치와 방출 위치 사이에서 피봇가능하고 조정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양호하게는, 상기 레일은 양 위치들에서 로킹될 수 있다. 제 2 프로파일 레일은 양호하게는 유지 위치와 방출 위치 사이에서 바늘판의 긴 에지와 평행한 피봇축 주위로 피봇된다. 이 결과로, 바늘판은 상기 에지들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횡방향으로 그리고 긴 에지들과 평행하게 상기 수용 디바이스로 이동하고 상기 수용 디바이스로부터 이동할 수 있다.
로킹 수단은 양호하게는 바늘판의 짧은 에지 및/또는 코너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로킹 수단은 수용 디바이스로부터 이격되게 연장되는 접힘식 아암에 의해서 지지되는 예를 들어 결합형 수단으로 구성된 가동 지지식 로킹 부재들로 구성된다. 로킹 부재들은 로킹 위치에서 스프링 편향되고 바늘판의 평탄측에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될 수 있다. 로킹 부재들이 바늘판을 향하는 쪽에서 바늘판의 슬라이드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위치한 로킹면과, 바늘판으로부터 이격되는 쪽에서 경사면을 가진다면, 로킹 부재들을 작용할 수 있으며, 바늘판이 바늘판에 의해서 변위되는 종방향 에지에 대해서 평행한 수용 디바이스로 이동한다면, 이 경 우 상기 로킹 부재들은 그때 바늘판 뒤에서 결합하므로 바늘판을 제자리에서 로킹한다.
유리한 실시예들의 추가 상세 구성들은 청구범위, 도면 또는 상세한 설명에서 명확해진다. 이 설명은 본질적으로 본 발명의 필수 형태 및 복잡한 상황에 국한된다. 도면은 추가 상세구성을 공개하고 상세한 설명을 보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늘판용 운송 카트는 바늘판의 주의해야 할 위험이 없는 운송 가능성을 제공한다.
도 1은 적어도 하나의 바늘판(2)용 운송 카트(1)를 도시한다. 바늘판(2)은 바늘판(2)에서 유지되고 바늘판(2)의 평탄측에서 필수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펠팅 바늘(2)을 구비한 플레이트형 몸체이다. 바늘판(2)은 두개의 짧은 에지(4,5)와 두개의 긴 에지(6,7)를 갖는 직사각형 윤곽부(contour)를 가진다. 바늘판은 운송 카트(1)의 베이스 프레임(9)에 의해서 교대로 유지되는 수용 디바이스(8)에서 유지된다. 상기 카트는 발형상부(10)를 가지며, 상기 발형상부에서 칼럼(11)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발형상부(10)는 롤러(14,15) 또는 대신에 조정가능한 발형상부를 갖는 자유 단부에 제공되는 두개의 이격된 측면 레일(12,13)을 구비한다. 다른 단부에는, 측면 레일(12,13)이 서로 연결되고 또한 롤러(16,17)를 구비한다. 운송 카트(1)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도 2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핸들(18,19,20)이 제공된다.
수용 디바이스(8)는 고정 높이에서 또는 양호하다면 수직으로 조정가능한 방식으로 칼럼(11)에 설치된다(화살표 V, 도 1). 관련 조정 메카니즘은 상세히 도시되지 않는다. 칼럼(11) 및 실제 수용 디바이스(8) 사이에는, 도 1에서 폐쇄 상태로 도시되고 도 2에서는 후드(hood)를 제거한 상태로 도시된 조정 메카니즘(21)이 있다. 조정 메카니즘(21)은 적어도 하나, 양호하게는 두개의 축(22,23)(도 1) 주위로 수용 디바이스(8)의 조정을 허용한다. 축(22)은 양호하게는 짧은 에지(4,5)와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고 수평 방향으로 배향된다. 상기 축도 역시 피봇축으로 지칭된다. 축(23)은 양호하게는 수평이고 바늘판(2)의 긴 에지(6,7)와 평행하다. 상기 축은 경사 축으로 지칭될 수 있다. 관련 조정 디바이스(21)는 도 8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상기 조정 디바이스는 중공 샤프트(25)에 유지된 지지부(24)를 포함한다. 상기 중공 샤프트는 지지 소자(26)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지지 소자(26)는 칼럼(11)에 직접 또는 간접 연결된다. 샤프트(27)는 중공 샤프트(25)를 통해서 연장되고, 중공 샤프트는 포크형 지지부(24)의 중간 공간에서 일단부에 베벨 기어(28)를 지탱한다. 상기 베벨 기어는 샤프트(30)에 고정식으로 연결되는 다른 베벨 기어(29)와 맞물린다. 샤프트(30)는 축(23)에 대해서 동심으로 배열되고 지지부(24)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양 단부 상에 지지된다. 샤프트(27)는 축(22)과 동심방향으로 배열되고 중공 샤프트(25)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샤프트(30)는 유지 디바이스(8)를 지지하는 아암(31,32)과 비틀리지 않게 연결된다.
베벨 기어(28)로부터 원격인 샤프트(27)의 단부는 적당한 기어 수단, 예를 들어 체인 휠(33,34) 및 체인(35)에 의해서 기어 구동부(36)에 연결되고, 그에 의해서 상기 기어 구동부는 핸드 휠(37)을 지탱하는 입력 샤프트를 구비한다. 기어 구동부(36)는 양호하게는 자체 로킹 기어, 예를 들어 웜 기어이다.
체인 휠(34)에 인접한 중공 샤프트(25)의 단부는 기어 수단, 예를 들어, 두개의 체인 휠(38,39), 체인(40) 핸드 휠(42)을 지탱하는 기어 구동부의 입력 샤프트를 통해서 기어 구동부(41)에 연결된다. 기어 구동부(41)는 양호하게는 자체 저지 기어 구동부, 예를 들어 웜 기어이다. 전체적으로, 각 액추에이션 디바이스, 핸드 휠(37,42)에서 지지부(24) 또는 아암(31,32) 형태의 각 출력부까지의 기어 감속비는 양호하게는 20과 같다. 웜 기어, 체인 휠, 기어 구동부 및 롤러 체인을 갖는 기어 수단을 대신하여, 톱니형 기어 구동부(cogged gear drive), 톱니형 벨트, 결합 샤프트, 레버 구동부 또는 상기 전동 수단의 조합과 같은 다른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수용 디바이스(8)는 제 2 축(23)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개의 평행 지지 아암(44,45)을 구비한 프레임(43)을 포함한다. 상기 아암은 예를 들어 마찰 감소 플라스틱 코팅을 갖는 바늘판(2)을 향하는 쪽에 제공된다. 프레임(43)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 레일(47)로 구성되는 수용 소자(46)를 지지하고, 예를 들어 상기 레일은 긴 에지(6)와 평행하고 그에 따라서 제 2 축(23)과도 평행하게 연장된다. 프로파일 레일(47)은 바늘판(2)의 에지(6)의 형태 또는 에지에 적응된다. 상기 레일은 바늘판(2)의 에지에 대해서 연장되고, 그에 의해서 상기 바늘판이 상기 레일에 평행하게 변위될 수 있도록, 프로파일 레일(47) 내부에 충분한 유극이 제공된다.
바늘판(2)을 수용 디바이스(8)에서 제자리에 유지하고 고정하기 위하여, 로킹 수단(49)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프로파일 레일(48) 형태의 수용 소자가 프로파일 레일(47)에 대향한다. 프로파일 레일(48)은 양호하게는 바늘판의 에지(7)와 평행하게 배향되고 그에 따라서 프로파일 레일(47,48)과 평행하게 배향되는 축(50)에 대해서 피봇될 수 있도록 지지된다. 도 6의 화살표에 의해서 표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 레일(48)은 그에 따라서 도 3에 따른 유지 위치와 도 4에 따른 방출 위치 사이에서 피봇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상기 레일은 양 피봇 위치에서 로킹될 수 있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하여, 로킹 디바이스(51)가 제공된다. 각 하나의 로킹 핀(54,55)은 프로파일 레일(48)의 두 레그(52,53)에 위치하고, 상기 핀은 그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레그(52,53)는 로킹 핀(54,55)의 결합을 위해서 배치된 보어들을 구비한 수용 디바이스(56,57)에 지지된다. 이 결과로, 전방 클램프 바아(clamp bar)로 작용하는 프로파일 레일(48)이 제자리에 고정된다. 상기 보어의 위치는 두 위치 "유지 위치" 또는 "로킹 위치"와 "방출 위치" 또는 "개방 위치"를 명시한다. 두개의 로킹 핀(54,55)은 두개의 로드를 통해서 중심 회전식 노브(knob;58)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하나의 회전식 노브(58)는 샤프트의 각 단부에 제공된다. 이 결과로, 상기 노브는 두 측부에서 접근가능하므로 동작을 용이하게 한다. 회전식 노브(58)는 로킹 핀(54,55)이 보어 안으로 연장되는 각도의 위치에서 스프링 힘에 의해서 유지된다. 회전식 노브를 90도 만큼 회전시킴으로써, 두개의 로드는 보어로부터 로킹 핀(54,55)을 후퇴시키고, 프로파일 레일(48)은 피봇될 수 있다. 회전식 노브(58)의 회전 각도는 적당한 정지부에 의해서 제한된다.
수용 소자(46,47)는 종방향에 대해서 조정될 수 있도록 아암(44,45)에서 유지된다(도 6의 화살표 참조). 이러한 선형 조정의 결과로, 프로파일 레일(47,48) 사이의 거리는 원하는 바와 같이 세팅될 수 있으므로 다른 폭을 갖는 바늘판(2)에 적응될 수 있다.
접힘식 아암(59,60)(도 1)은 양호하게는 바늘판(2)의 긴 에지(6)와 평행하고,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대향 방향으로 프레임(43)으로부터 연장된다. 아암(60)은 수동으로 작동가능한 클램핑 레버(61,62)에 의해서 각 조정 위치들에 고정될 수 있다. 아암(59,60)의 상측 상의 거울 대칭형 스케일(scale;63,64)(도 2)은 바늘판(2)의 특정 길이에 대응하는 아암(59,60)의 세팅 길이를 나타낸다. 판독 에지(reading edge)는 각 아암(59,60)이 삽입되는 프레임(43)의 개방부의 림(rim)에 의해서 형성된다. 양호하게는, 스케일은 두개의 아암(59,60)에 대해서 동일 값이 세팅될 때, 바늘판(2)이 수용 디바이스(8)에서 중심맞추어지도록 착석되는 방식으로 크기설정된다.
그 단부에서, 아암(59,60)은 각각 로킹 수단(67,68)을 제공하는 정지 유닛(65,66)을 구비한다. 상기 로킹 수단은 바늘판(2)의 짧은 에지(4,5) 또는 코너가 잘려지며 바늘판(2)에 대한 종방향 정지부로서 작용한다. 정지 유닛(65)은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되어 있다. 정지 유닛은 안내 몸체(69)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 몸체에서 로킹 볼트(70)로 구성된 로킹 부재는 삽입 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지지된다. 로킹 볼트(70)는 스프링 수단(72)에 의해서 로킹되어 위치설정된 상태에서 편향된다. 로킹 볼트(70)는 양호하게는 본질적으로 원통형이고, 그에 의해서 삽입 방향에 대해서 외향으로 대면하는 측부 상의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43)은 바늘판(2)에 부착되어서 평행하게 유지되는 보호 커버(74)를 구비한다. 도 2에서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는 그 단부가 프레임(43)에 고정된 두개의 휨 튜브(75,76)에 의해서 유지된다. 보호 커버(74)는 바늘판(2)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한다. 특히, 펠팅 바늘의 팁은 손상으로부터 보호를 받는다. 또한, 보호 커버(74)는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한다. 작업자는 부주의하게 펠팅 바늘의 팁에 접근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2 및 도 5에 따른, 보호 커버(74)는 3개의 부분(77,78,79)으로 구성되고, 그에 의해서 부분(77,79)은 디자인이 동일하다. 보호 커버(74)는 프레임에 설치된 투명 창유리를 가진다. 중심 부분(78)은 프레임(80)에 유지되고, 부분(77,79)이 변위될 수 있도록 유지되는 안내 홈을 가진다. 각 풀아웃 위치(pull-out position)에서 부분(77,79)을 고정하기 위하여, 특히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클램핑 수단이 사용된다. 결과적으로, 보호 커버(74)의 길이는 바늘판(2)의 길이에 적응될 수 있다. 또한, 보호 커버(74) 및 바늘판(2) 사이의 거리는 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행하기 위하여, 튜브(75,76)는 적당한 홀더 상에 착석되어서 클램핑 나사(81)에 의해서 제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방안으로, 클램핑 나사(81)를 대신하여 적당한 결합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보호 커버의 부분(77,79)의 고정에 대해서 동일한 사항이 적용됨으로써, 상기 부분들은 결합 수단에 의해서 각 풀아웃 위치들에서 고정될 수 있다.
운송 카트(1)는 하기와 같이 동작된다:
운송 카트의 높이는 먼저 필요시에 조정된다. 이 과정에서, 수용 디바이스(8)는 유압 수단 또는 나사 스핀들 수단 또는 유사 수단에 의해서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18)은 리프팅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펌프 레버로 작용할 수 있다. 낮추기 위하여, 배출 밸브는 회전식 노브에 의해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노브는 회전식 노브가 해제될 때, 상기 노브는 자동으로 로킹 위치로 가고 배출 밸브가 폐쇄되도록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바늘의 팁들이 상향으로 향하는 수평 위치로 바늘판(2)이 수용되는 경우에는, 프레임(43)은 도 2에 도시된 방식으로 핸들 휠(37,42)을 작동시킴으로써 회전하는데, 다시 말해서 보호 커버(74)는 프레임(43) 위에 있다. 전방 프로파일 레일(48)은 도 4에 따라서 해제 위치로 피봇된다. 운송 카트(1)는 이제 디바이스(8)가 수용될 바늘판(2) 밑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이동한다. 이제, 수용 디바이스(8)는 바늘판(2)이 지지 위치에서 픽오프(pick off)되도록 리프팅 작용에 의해서 들어올려져서, 수용 디바이스의 모든 지지면 상에 위치되게 한다. 그 후에, 바늘판(2)은 두개의 정지 유닛(65,66) 사이에 수동으로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아암(59,60)은 바늘판 길이로 조정된다. 이 과정에서, 바늘판(2)은 제자리에서 종방향으로 고정된다. 또한, 바늘판(2)은 후방 프로파일 레일(47)의 리세스 안으로 가압된다. 그후에, 전방 프로파일 레일(48)은 도 3에 따라서 로킹 위치로 피봇된다. 이제, 바늘판(2)은 제위치에서 각 방향으로 고정된다.
바늘판이 운송되는 경우에는, 수평 위치에서 수직 위치로 피봇된다. 이것은 핸드휠(42)을 작동시킴으로써 달성된다. 기어 구동부는 자체 로킹되므로, 샤프트(27)는 중공 샤프트(25)가 회전하는 동안에는 회전하지 않는다. 바늘판(2)이 축(22) 주위에서 수평 위치에서 수직 위치로 피봇될 때, 이 과정에서 톱니형 휠(29)이 고정 톱니형 휠(28)을 구르게 하기 때문에, 축(23)은 동시에 경사 동작을 실행한다.
이 결과로, 바늘판의 무게 중심은 칼럼(11)에 인접하게 이동함으로써, 운송 카트(1)의 필요한 그리고 원하는 안정성이 달성되거나 또는 도움을 받는다.
바늘판(2)이 놓여지는 경우에는, 핸드휠(42)의 역 동작에 의해서 수평 위치로 다시 피봇된다. 전방 프로파일 레일(48)의 로킹이 해제된다. 그때, 수용 디바이스(8)에 배치되는 바늘판(2)은 원하는 저장 장소 위에 배치된다. 그후, 바늘판(2)은 후방 프로파일 레일(47)의 U형 수용부에서 약간 가압된다. 이제, 바늘판(2)은 운송 카트에 의해서 하강하고 그에 따라 저장 장소에 놓여진다.
바늘판(2)이 자동 적재기에서 전달되면, 바늘판(2)의 삽입 운동은 하기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축(22)의 방향으로 그러나 양호하게는, 축(23)의 방향으로 진행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실행하기 위하여, 프레임(43)은 수평 위치로 이동한다. 프로파일 레일(48)은 로킹 위치에 있다. 운송 카트(1)는 자동 적재기에서의 바늘판(2)의 높이 및 정렬 상태가 수용 디바이스(8)와 일치하는 방식으로 자동 적재기 옆에 배치된다. 바늘판(2)은 자동 적재기에서 수평으로 위치한다. 바늘팁은 아래로 향한다. 보호 커버(7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43) 밑에 있다. 이 제, 바늘판(2)은 운송 카트(1)의 수용 디바이스(8) 안으로 수동으로 가압된다. 이 과정에서, 바늘판(2)은 도 7a 및 도 7b에 의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 유닛(65)으로 가압된다. 에지(5)의 바늘판(2)의 면은 경사면(73)을 향하여 이동하고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볼트(70) 옆으로 가압된다. 바늘판(2)이 더욱 가압되면, 프로파일 레일(47,48)의 안내 홈이 보이고 정지 유닛(66)에 접촉할 때까지 더욱 가압된다. 정지 유닛(65)의 로킹 볼트(70)는 이제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위치로 뒤로 탄성력으로 이동한다. 두개의 정지 유닛(65,66)의 두개의 로킹 볼트(70)의 원통형 면은 이들 사이에 로킹된 바늘판(2)을 유지한다. 바늘판(2)은 이제 고정되게 유지되고 상기 위치로 또는 수직 위치로 피봇된 이후에 수직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바늘판(2)이 자동 적재기에 놓여지면, 수용 디바이스(8)는 도 1에 따른 수평 위치로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운송 카트(1)는 운송 카트(1)의 수용 디바이스와 자동 적재기의 수용 유닛의 높이 및 정렬 상태가 일치하는 방식으로 자동 적재기 옆에 배치된다. 이제, 자동 적재기에 인접한 정지 유닛(65 또는 66)의 로킹 볼트(70)는 손으로 들어올려진다. 그후에, 바늘판(2)은 자동 적재기로 가압됨으로써, 로킹 볼트(70)는 단지 그 면이 바늘판(2)의 에지에 안착될 수 있을 때까지만 들어올려질 필요가 있다.
바늘판은 위치 또는 수평 위치와 다른 경사 위치에서 운송 카트(1)로 또는 운송 카트(1)로부터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사 위치들은 핸드 휠(37)을 작동시킴으로써 선택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늘판(2)을 위한 운송 카트(1)는 그 높이가 조정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축 주위로 피봇될 수 있고 수용 디바이스와 함께 이동할 수 있는 보호 커버와 결합될 수 있도록 설계된 수용 디바이스(8)를 구비한다. 크고 무거운 바늘판들을 안전하고 조심스러운 방식으로 취급할 수 있도록, 많은 조정 선택구성, 안내 및 정지 디바이스들이 제공된다.
도 1은 운송 카트의 수용 디바이스가 제 1 수평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카트의 일반적인 사시도.
도 2는 운송 카트의 수용 디바이스가 제 2 수평 위치에 있는 도 1에 따른 운송 카트의 일반적인 사시도.
도 3은 운송 카트의 수용 디바이스가 유지 위치에 있는 수용 디바이스의 일반적인 사시도.
도 4는 방출 위치에 있는 바늘판을 갖는 수용 디바이스의 사시도.
도 5는 보호 커버 및 바늘판을 갖는 수용 디바이스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수용 디바이스의 부분 스케치형 측면도.
도 7a 내지 도 7d는 여러 로킹 위치에 있는 바늘판용 로킹 수단으로서 결합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별 도면.
도 8은 수용 디바이스를 피봇시키기 위한 액추에이션 디바이스의 원리의 개략도.

Claims (11)

  1. 주행 휠(14,15,16,17)을 구비한 베이스 프레임(9)과,
    바늘판(2)을 위한 수용 디바이스(8)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디바이스는 수용 디바이스(8)에 바늘판(2)을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로킹 수단(49,67)을 구비하고 바늘판(2)의 에지(6)에 적합하게 구성된 수용 소자(46)를 구비하는, 바늘판용 운송 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디바이스(8)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V)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베이스 프레임(9)에 의해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판용 운송 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 디바이스(8)는 베이스 프레임(9)에 대해서 적어도 하나의 축(22) 주위로 피봇될 수 있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판용 운송 카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 디바이스(8)는 베이스 프레임(9)에 대해서 적어도 하나의 축(23) 주위로 피봇될 수 있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판용 운송 카트.
  5. 제 4 항 및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디바이스(8)는 액추에이션 디바이스(42)와 결합되며, 상기 액추에이션 디바이스는 액추에이션 운동에 의해서 제 1 축(22) 뿐 아니라 제 2 축(23) 주위로 수용 디바이스(8)의 피봇 운동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판용 운송 카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디바이스(8)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두개의 프로파일 레일(47,48)을 구비하며, 상기 프로파일 레일은 바늘판(2)의 대향 긴 에지(6,7)를 고정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판용 운송 카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레일(47,48) 사이의 거리는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판용 운송 카트.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레일(47,48)중 하나는 유지 유치와 방출 위치 사이에서 피봇될 수 있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판용 운송 카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수단(67,68)은 바늘판(2)의 코너 또는 짧은 에지(4,5)에 제공된 정지부(65,6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판용 운송 카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65,66)는 로킹 위치와 방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로킹 부재(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판용 운송 카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70)는 상기 정지부(65,66) 외측에서 나올 때 바늘판(2)에 의해서 상기 로킹 부재(70)의 개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판용 운송 카트.
KR1020080089627A 2007-09-12 2008-09-11 바늘판용 운송 카트 KR1011353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017873A EP2037030B1 (de) 2007-09-12 2007-09-12 Transportwagen für Nadelbretter
EP07017873.6 2007-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588A true KR20090027588A (ko) 2009-03-17
KR101135376B1 KR101135376B1 (ko) 2012-04-17

Family

ID=38984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9627A KR101135376B1 (ko) 2007-09-12 2008-09-11 바늘판용 운송 카트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954214B2 (ko)
EP (1) EP2037030B1 (ko)
JP (1) JP4772093B2 (ko)
KR (1) KR101135376B1 (ko)
CN (1) CN101387055B (ko)
AT (1) ATE477362T1 (ko)
BR (1) BRPI0802668A2 (ko)
DE (1) DE502007004733D1 (ko)
ES (1) ES2349440T3 (ko)
PL (1) PL2037030T3 (ko)
RU (1) RU2401334C2 (ko)
TW (1) TWI3631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23884A1 (de) * 2009-02-27 2010-09-01 Groz-Beckert KG Transportwagen für Nadelbretter
KR101337290B1 (ko) 2009-03-19 2013-12-05 가부시키가이샤 이시가키 농축장치 일체형 스크루 프레스
JP5802430B2 (ja) * 2011-05-13 2015-10-28 株式会社岡村製作所 カート装置
DE202013105980U1 (de) 2013-12-30 2015-03-30 Autefa Solutions Germany Gmbh Benadelungseinrichtung
US20150251883A1 (en) * 2014-03-10 2015-09-10 Arnaldo Miranda Automotive Hydraulic Tilt Lift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CN108327757B (zh) * 2016-08-15 2020-03-27 汪世江 一种光伏生产用维修小车的工作方法
CN108754900A (zh) * 2018-07-26 2018-11-06 吴江市震宇缝制设备有限公司 一种缝纫机用针保护装置
KR102442105B1 (ko) * 2020-11-27 2022-09-07 문철규 드럼통 운반기계
CN113104079B (zh) * 2021-05-13 2023-01-31 安徽省巢湖市锐镱内燃机配件有限公司 一种可调节型号的服务小车
CN114348612B (zh) * 2021-12-31 2023-07-04 苏州富强科技有限公司 交替升降式料仓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6056A (en) * 1952-01-23 1955-04-12 United Merchants & Mfg Warp beam truck
US3486650A (en) * 1968-04-08 1969-12-30 Byron F Boone Heavy mover apparatus
US3574907A (en) * 1969-02-26 1971-04-13 Anvar Device for supporting and handling warp beams in cloth mills
US4512473A (en) * 1982-12-02 1985-04-23 Ppg Industries, Inc. Adjustable shipping container for frangible sheet-like units
DE3941159A1 (de) * 1988-12-14 1990-06-28 Offermann Zeiler Schmid Bwf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ent- und benadeln von nadelbrettern
CA2028669C (en) * 1990-10-26 1995-09-26 Gary L. Ingram Tufting apparatus
US5018930A (en) * 1990-03-12 1991-05-28 Sid Corp., Inc. Lifting and transporting device
AT395323B (de) * 1991-07-31 1992-11-25 Fehrer Textilmasch Einrichtung zum wechseln der nadelbretter einer nadelungsvorrichtung fuer vliese
AT402205B (de) * 1995-10-18 1997-03-25 Fehrer Textilmasch Vorrichtung zum nadeln eines vlieses
GB9701446D0 (en) * 1997-01-24 1997-03-12 Scapa Group Plc Warp changing apparatus
JP2000110061A (ja) * 1998-10-05 2000-04-18 Toray Ind Inc ニードルボード整備台車
US6003215A (en) * 1998-12-01 1999-12-21 Morrison Berkshire, Inc. Apparatus for replacement of needle boards in a needle loom
US6145176A (en) * 1999-05-28 2000-11-14 Morrison Berkshire, Inc. Apparatus for replacement and alignment of needle boards in a needle loom
AT407060B (de) * 1999-05-31 2000-12-27 Fehrer Textilmasch Vorrichtung zum wechseln der nadelbretter einer nadelmaschine
US6186728B1 (en) * 1999-10-06 2001-02-13 Rino Michaud Lift truck
FR2824084B1 (fr) * 2001-04-30 2003-08-01 Messier Bugatti Alimentation aiguilleteuse par bande spirale continue
JP2003020556A (ja) * 2001-07-05 2003-01-24 Toray Ind Inc ニードルボード用安全台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49440T3 (es) 2011-01-03
CN101387055B (zh) 2012-05-30
JP2009067380A (ja) 2009-04-02
RU2008144436A (ru) 2010-05-20
RU2401334C2 (ru) 2010-10-10
KR101135376B1 (ko) 2012-04-17
DE502007004733D1 (de) 2010-09-23
JP4772093B2 (ja) 2011-09-14
EP2037030B1 (de) 2010-08-11
ATE477362T1 (de) 2010-08-15
PL2037030T3 (pl) 2011-01-31
US7954214B2 (en) 2011-06-07
EP2037030A1 (de) 2009-03-18
TW200930856A (en) 2009-07-16
BRPI0802668A2 (pt) 2009-05-05
US20090064475A1 (en) 2009-03-12
CN101387055A (zh) 2009-03-18
TWI363113B (en) 2012-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5376B1 (ko) 바늘판용 운송 카트
US5725205A (en) Door assembly apparatus having lift frame and translatable and rotatable component capture units
JP5618062B2 (ja) 浸漬処理装置
JP7049175B2 (ja) 開口枠の連結構造
ES2431580T3 (es) Cargador y manipulador de palés
US8540071B2 (en) Conveyor roller support arrangement
US3670903A (en) Skid inverting device
US2551174A (en) Portable hoist
US20120210835A1 (en) Transfer car, and a method of machining a panel in a flat bed machine
JP2002321626A (ja) 台 車
EP1475204B1 (en) Machine for processing wood panels or similar
US3514991A (en) Bender table assembly
JP2003306209A (ja) トレー送り機構
JP2011046281A (ja) 運搬台車装置
JP2008308052A (ja) 車両用ドラムリムーバ
EP2208694B1 (en) A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container
US11919719B2 (en) Drop and slide out idler assembly
JP2008100793A (ja) 被運搬物の起立補助装置
JP2953332B2 (ja) 部品供給装置
JP2915375B2 (ja) ほぞ取り用支持台
WO2019102524A1 (ja) 搬送システム及び搬送体
US3459288A (en) Platen assembly and a conveyor system utilising the same
KR101244457B1 (ko) 면취가공장치
KR20220166006A (ko) 필름 다이 커팅 장치 및 그의 타공블록 가이드 장치
JPS60172462A (ja) ボルト研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