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105B1 - 드럼통 운반기계 - Google Patents

드럼통 운반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105B1
KR102442105B1 KR1020200162757A KR20200162757A KR102442105B1 KR 102442105 B1 KR102442105 B1 KR 102442105B1 KR 1020200162757 A KR1020200162757 A KR 1020200162757A KR 20200162757 A KR20200162757 A KR 20200162757A KR 102442105 B1 KR102442105 B1 KR 102442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rum
lifting
rotation
lift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4352A (ko
Inventor
문철규
Original Assignee
문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철규 filed Critical 문철규
Priority to KR1020200162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105B1/ko
Publication of KR20220074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B62B3/1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the object being of cylindrical shape, e.g. barrels, buckets, dustb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02Cylindrically-shaped articles, e.g. drums, barrels, fl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1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comprising lif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Tyre Mould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좁은 폭을 갖는 통로를 따라 이동한 운반기계에 실린 통을 좌우로 회동시켜 통에 담긴 저장물을 좌우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한 운반기계에 관한 것으로, 수직지지대의 하단에 수평으로 수평지지대를 일체로 결합하고, 수평지지대의 하부에 다수의 바퀴을 설치하여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이동대차; 상기 수직지지대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승강지지대에 연결되어 드럼통을 지지하는 드럼지지대; 상기 승강지지대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운반기계에 있어서, 상기 승강지지대와 드럼지지대 사이에 설치되어 승강수단에 의해 상승한 드럼지지대를 대치의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좌우회동수단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드럼통 운반기계{carrying device for drum}
본 발명은 운반기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좁은 폭을 갖는 통로를 따라 이동한 운반기계에 실린 통을 좌우로 회동시켜 통에 담긴 저장물을 좌우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한 드럼통 운반기계에 관한 것이다.
운반기계는 건설 공사나 하역 작업 등에서 물건을 옮기는 데 쓰는 기계로, 이러한 운반기계 중에는 화물이 적재된 파렛트를 단거리 운반하거나, 액체가 저장된 트럼통을 단거리 운반하는 운반기계가 있다.
특히 드럼통을 운반하기 위한 운반기계는 저장된 액체가 흐르지 않게 하고, 운반 후, 저장공간에 액체를 쏟아 붓기 위해 드럼통을 어느 일측으로 기울일 수 있게 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이러한 드럼통 운반기계와 관련된 기술의 예로 특허문헌 1내지 3이 있다.
특허문헌 1은 저면에 바퀴가 설치되는 베이스판 드럼의 주위를 감쌀 수 있도록 베이스판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선단에 바퀴가 설치되는 아암 베이스판의 상면에 직립 설치되는 포스트 포스트를 따라 상하로 기동 가능하게끔 포스트에 결합되는 클램핑부 베이스판 상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클램핑부를 수직방향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유압잭 포스트의 상단에 설치되는 핸들을 포함하되; 유압잭의 피스톤에 연결됨으로써 피스톤의 길이가 연장되도록 하는 연장부 클램핑부로 하여금 연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끔 클램핑부를 연장부에 연결하는 높이조절연결부를 포함함으로써; 운반하고자 하는 드럼의 높이에 따라 유압잭을 작동시키지 않고도 클램핑부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높이조절연결부는 연장부를 피스톤에 대하여 피스톤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끔 피스톤에 연결되는 전산나사봉으로 하고; 클램핑부에는 전산나사봉에 나사결합되는 이동소켓을 연결하고 연장부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핸들을 연장부에 연결함으로써 연장부를 회전시킴으로써 나사원리에 의해 클램핑부를 상하로 높이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수동식 드럼 운반장치이고,
특허문헌 2는 하부에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지면으로부터 구름 가능한 본체와, 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드럼통을 파지하는 클램프 모듈을 포함하는 드럼통 운반 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클램프 모듈 사이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드럼통의 승하강 작업 시 본체에 대한 클램프 모듈의 이동 속도를 정속으로 유지하는 유압 정속기를 포함하는 드럼통 운반 장치이며,
특허문헌 3은 드럼통의 바닥면을 떠받쳐 지지하기 위한 받침판; 받침판에 좌우 한쌍 구조로 결합되어 수직 배치되며, 상단에 손잡이부가 구비되고, 중간부에 드럼통의 외면을 지지하도록 만곡진 드럼통지지대가 연결 구비되는 수직프레임; 수직프레임의 후측 하부에 결합되어 수직 배치되며, 하단이 받침판에 연결되고 상단이 수직프레임에 연결되는 연결프레임부; 연결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연결프레임부의 하단부에 위치되는 제1 바퀴 및 제1 바퀴와 간섭되지 않게 상측에 위치되는 제2 바퀴; 연결프레임부의 후측 상단부에 좌우 한쌍 구조로 연결 구성되며, 캐리어를 수평으로 눕혔을 때 지면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한 지면고정다리;를 포함하는 드럼통 운반 작업용 캐리어에 있어서, 제1 바퀴의 회전축 상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고 회동 조정시 지면에 접촉시켜 지면 고정력을 갖도록 구비되며, 드럼통을 운반한 후 캐리어를 수평상태로 눕혀 배치시 내용물을 갖는 드럼통의 중량에 의해 캐리어가 의도치 않게 앞쪽으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하게 드럼통으로부터 내용물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안전수단인 지면고정회동판; 연결프레임부에 일단이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지면고정회동판의 하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탄성 작용하도록 구비되며, 지면고정회동판에 대해 지면 고정력이 해제시 지면고정회동판을 회동 조정된 상태에서 원래 위치로 자동 복귀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스프링; 수직프레임과 연결프레임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연결 구성되며, 수직 배치되는 수직파이프; 수직파이프에 삽입 및 관통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 결합되며, 상단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받침판 위에 올려진 드럼통의 상면을 걸어 고정하기 위한 걸림고정구가 일체 구비되고 하단에 지면고정회동판을 밀어내 회동시킴으로써 지면 고정에 사용하기 위한 푸시부재가 일체 구비되는 조정대; 를 포함하는 드럼통 운반 작업용 캐리어이다.
이와 같이 드럼통을 이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운반기계가 개발되어 있고, 이들은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운반기계가 전후로 이동만 할 수 있는 이동공간을 갖는 장소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종래의 운반기계들은 중에는 이동 공간이 좁은 곳에서 전후로 이동하고, 이동 후에는 실려 있는 드럼통을 전후로 회동시켜 드럼통에 저장된 내용물은 전방의 저장 공간에 쏟아 부을 수 있게 한 것이 있으나 공간 구조상 저장 공간이 이동공간의 측면에 있을 경우에는 드럼통을 작업자가 직접 들어 올려 내용물을 쏟아내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드럼통의 내용물이 인체에 유해한 물건일 경우 내용물에 작업자가 노출되어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9185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2431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424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작업 공간이 협소하여 운반기계가 전후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는 좁은 폭의 통로를 따라 이동한 운반기계에 실린 통을 좌우로 회동시켜 통에 담긴 저장물을 좌우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한 드럼통 운반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드럼통 운반기계는 수직지지대의 하단에 수평으로 수평지지대를 일체로 결합하고, 수평지지대의 하부에 다수의 바퀴을 설치하여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이동대차; 상기 수직지지대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승강지지대에 연결되어 드럼통을 지지하는 드럼지지대; 상기 승강지지대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운반기계에 있어서, 상기 승강지지대와 드럼지지대 사이에 설치되어 승강수단에 의해 상승한 드럼지지대를 대치의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좌우회동수단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우회동수단은 상기 승강지지대에 설치되고 중심축에 작동손잡이가 설치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 방향을 수직으로 변환하여 회전하는 종동기어로 이루어진 기어조립체; 상기 드럼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기어조립체의 종동기어의 회전축이 결합되는 축연결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승강지지대에는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축받이를 더 구비하되, 상기 축받이는 두 개 이상의 베어링을 서로 이격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통 운반기계는 폭이 좁아 전후 방향으로만 운반기계의 이동이 가능한 장소에서 드럼통을 좌우로 기울여 드럼통의 내용물을 좌우에 설치된 저장 공간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럼통의 회동 방향을 좌우뿐만 아니라 전후로도 가능하게 함에 따라 드럼통을 회동시키는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워 좁은 통로에서도 드럼통의 운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드럼통을 원하는 방향으로 기울여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통 운반기계의 일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통 운반기계의 일예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통 운반기계의 일예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통 운반기계의 다른 일예의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드럼통 운반기계를 드럼을 전방으로 기울인 상태의 측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작업 공간이 협소하여 운반기계가 전후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는 좁은 폭의 통로를 따라 이동한 운반기계에 실린 통을 좌우로 회동시켜 통에 담긴 저장물을 좌우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반기계는 도 1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운반기계와 같이 수직지지대(110)의 하단에 수평으로 수평지지대(120)를 일체로 결합하고, 수평지지대의 하부에 다수의 바퀴(120w)을 설치하여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이동대차(100); 상기 수직지지대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승강지지대(110e)에 연결되어 드럼통을 지지하는 드럼지지대(200); 상기 승강지지대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운반기계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운반기계에 좌우회동수단(10)을 더 설치하여 운반되는 드럼통을 좌우로 회동시켜 기울일 수 있게 함에 의해 드럼통의 내용물을 좌우의 저장 공간에 쏟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좌우구동수단(10)은 상기 승강지지대(110e)와 드럼지지대(200) 사이에 설치되어 승강수단에 의해 상승한 드럼지지대(200)를 대치의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상기 좌우회동수단(10)은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할수 있으나 바람직한 예는 도 1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손잡이의 회전력을 수직으로 전환하여 드럼지지대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조립체(11)와, 상기 기어조립체와 드럼지지대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축연결구(12)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어조립체(11)는 상기 승강지지대(110e)에 설치되고 중심축에 작동손잡이(11h)가 설치된 구동기어(11d)와,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 방향을 수직으로 변환하여 회전하는 종동기어(11f)로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손잡이(11h)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반기계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어 작업자가 회전시키면 그 일단에 설치된 구동기어(11d)가 회전하고, 구동기어의 회전력은 종동기어(11f)에 전달되며, 종동기어의 회전력이 축연결구(12)가 일체로 결합된 드럼지지대(200)을 좌 또는 우로 회전시켜, 도 4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지지대에 실린 드럼통을 기울임에 의해 드럼통에 저장된 내용물이 드럼으로부터 배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동손잡이(11h)의 회전방향과 드럼지지대(200)의 회전 방향은 서로 수직을 이루고 있음에 따라 작동손잡이의 회전 방향을 드럼지지대의 회전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기어조립체(11)를 구비하고 있고, 기어조립체를 구성하는 구동기어(11d)와 종동기어(11f)는 도시한 바와 같이 베벨기어를 사용화여 회전방향이 서로 수직을 이루게 하였다.
또한 상기 드럼지지대(200)에 설치된 축연결구(12)는 드럼지지대의 용이한 분리 및 결합을 위한 것으로, 스프라인(spline) 축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따라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축(11s) 역시 스프라인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연결구(12)가 보다 견고하게 승강지지대(100e)에 의해 지지되도록 승강지지대에는 축받이지지대(13s)을 더 형성하고, 이 축받이지지대에 두개 이상의 베어링(13b)를 설치하여 축연결구가 두 개의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게 하였다.
또한 두 개의 베어링들 사이의 거리를 이격시켜 지지되는 부분이 서로 멀어지게 함에 의해 지지력이 높아지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운반기계는 상기한 좌우회동수단(10)에 의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지지대가 좌우로 회동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드럼지지대를 전방으로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승강지지대와 기어조립체 사이에는 전후회동수단(2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후회동수단(20)은 상기 승강지지대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기어조립체가 중앙에 설치된 전후회동판(21)과, 상기 승강지지대의 일측 상단에 설치되어 신축됨에 의해 전후회동판이 전후로 회동되어, 기어조립체와 드럼지지대가 전후방으로 회동됨에 의해 드럼통이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하는 회동실린더(2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전후회동수단(2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회동판의 하단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좌우회동수단을 포함하는 드럼지지대 전체가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회동실린더(22)는 상기 승강지지대(100e)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에 공급되는 유압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운반기계에는 드럼지지대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실린더(310)를 구비하고 있고, 이 승강실린더에 공급되는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장치가 내장된 제어박스(4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유압장치로부터 승강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라인에 병렬로 회동실린더(22)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라인을 연결하여 유압이 승강실린더와 회동실린더 중 어느 하나로 공급될 수 있게 하되, 드럼지지대를 전후로 회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유압이 회동실린더 측으로 공급되게 함에 의해 회동실린더만 작동하여 드럼지지대가 전후로 회동되게 한다.
물론, 승강지지대(100e)를 승강시키고자 할 때에는 유압이 승강실린더(310)만으로 공급되게 함에 의해 승강지지대를 승강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운반기계를 구성하는 이동대차(100), 드럼지지대(200), 승강수단(300) 및 제어박스(400)는 이미 개발되어 사용되는 것들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미설명부호 310은 승강실린더, 320은 승강체인, 330은 스프로킷, 330s는 스프로킷 지지대이고,
상기 스프로캇지지대의 중안에 승강실린더의 로드가 결합되고, 양단에 스프로킷이 설치된다.
10: 좌우회동수단
11: 기어조립체 11d: 구동기어
11f: 종동기어 11h: 작동손잡이
11s: 회전축
12: 축연결구
13: 축받이 13s: 축받이지지대
13b: 베어링
20: 전후회동수단
21: 전후회동판 22: 회동실린더
100: 이동대차
110: 수직지지대 110e: 승강지지대
120: 수평지지대 120w: 바퀴
200: 드럼지지대
300: 승강수단
310: 승강실린더 320: 승강체인
330: 스프로킷 330s: 스프로킷지지대
400: 제어박스

Claims (3)

  1. 수직지지대(110)의 하단에 수평으로 수평지지대(120)를 일체로 결합하고, 수평지지대의 하부에 다수의 바퀴(120w)을 설치하여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이동대차(100); 상기 수직지지대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승강지지대(110e)에 연결되어 드럼통을 지지하는 드럼지지대(200); 상기 승강지지대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300)을 포함하는 운반기계로,

    상기 승강지지대(110e)와 드럼지지대(200) 사이에 설치되어 승강수단에 의해 상승한 드럼지지대(200)를 대치의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좌우회동수단(10)을 더 설치하여 구성되고,
    상기 좌우회동수단(10)은 상기 승강지지대(110e)에 설치되고 중심축에 작동손잡이(11h)가 설치된 구동기어(11d)와,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 방향을 수직으로 변환하여 회전하는 종동기어(11f)로 이루어진 기어조립체(11); 상기 드럼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기어조립체의 종동기어의 회전축(11s)이 결합되는 축연결구(1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기계에 있어서,

    상기 승강지지대(110e)와 기어조립체(11) 사이에는 전후회동수단(20)이 더 설치되고,
    상기 전후회동수단(20)은 상기 승강지지대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기어조립체가 중앙에 설치된 전후회동판(21)과, 상기 승강지지대의 일측 상단에 설치되어 신축됨에 의해 전후회동판이 전후로 회동되어, 기어조립체와 드럼지지대가 전후방으로 회동됨에 의해 드럼통이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하는 회동실린더(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기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지지대(110e)에는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축받이(13)를 더 구비하되, 상기 축받이(13)는 두 개 이상의 베어링(13b)을 서로 이격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기계.
KR1020200162757A 2020-11-27 2020-11-27 드럼통 운반기계 KR102442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757A KR102442105B1 (ko) 2020-11-27 2020-11-27 드럼통 운반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757A KR102442105B1 (ko) 2020-11-27 2020-11-27 드럼통 운반기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352A KR20220074352A (ko) 2022-06-03
KR102442105B1 true KR102442105B1 (ko) 2022-09-07

Family

ID=81982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757A KR102442105B1 (ko) 2020-11-27 2020-11-27 드럼통 운반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10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5054B2 (ja) * 2001-11-13 2005-03-30 株式会社大阪タイユー 容器運搬車
JP2010202186A (ja) 2009-02-27 2010-09-16 Groz Beckert Kg ニードルボードのための運搬台車
KR100998678B1 (ko) 2010-02-05 2010-12-07 김원곤 잉곳 이송장치
JP4772093B2 (ja) * 2007-09-12 2011-09-14 グローツ−ベッカート 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ニードルボードのための運搬カート
JP5142077B2 (ja) 2008-02-05 2013-02-13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搬送台車
KR101838863B1 (ko) 2018-01-10 2018-04-27 주식회사 이앤씨세미콘 전동타입 롤 이송대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2431U (ko) 2012-10-18 2014-04-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드럼통 운반 장치
KR101579185B1 (ko) 2015-03-30 2016-01-04 김기현 수동식 드럼 운반장치
KR200484249Y1 (ko) 2016-08-03 2017-08-17 (주)엠디에이 드럼통 운반 작업용 캐리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5054B2 (ja) * 2001-11-13 2005-03-30 株式会社大阪タイユー 容器運搬車
JP4772093B2 (ja) * 2007-09-12 2011-09-14 グローツ−ベッカート 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ニードルボードのための運搬カート
JP5142077B2 (ja) 2008-02-05 2013-02-13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搬送台車
JP2010202186A (ja) 2009-02-27 2010-09-16 Groz Beckert Kg ニードルボードのための運搬台車
KR100998678B1 (ko) 2010-02-05 2010-12-07 김원곤 잉곳 이송장치
KR101838863B1 (ko) 2018-01-10 2018-04-27 주식회사 이앤씨세미콘 전동타입 롤 이송대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352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1043A (en) Truck mounted lifting mechanism for lifting and transporting containers
USRE45867E1 (en) Vehicle-mounted conveyor system including powered rotating infeed conveyor
US4258826A (en) Combination stepladder and load lifting apparatus
US9457969B2 (en) Container Tilting Apparatus
US6898815B2 (en) Portable unloading dock
US3529736A (en) Devices for raising loads to permit the handling thereof
JP2009539732A (ja) 延長フォークを有するパレット台車
US6343674B1 (en) Multi-terrain vertical lift transporter
US52056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fting and tilting drums of flowable material
US4708577A (en) Self-leveling fork lift apparatus
US1815825A (en) Hand operated load lifting device
KR102442105B1 (ko) 드럼통 운반기계
US3826393A (en) Self-propelled unloader
US20040197181A1 (en) Mobile load handling apparatus
US20060119164A1 (en) Tipping mechanism
US3757977A (en) Tote pan handler attachment for lift trucks
EP0726224A2 (en) Drum lifting and transporting device
KR20090064052A (ko) 버스의 휠 체어 램프용 이송장치
GB2153339A (en) Fork lift agricultural trailer
US3638810A (en) Load handling vehicle
KR20100000909U (ko) 대형 파이프 이송 대차
CN211643911U (zh) 上料机
NO158126B (no) Anordning ved vertikal- og horisontalbevegelig gripeorgan for aa gripe en utskiftbar container.
KR100345981B1 (ko) 소화물 운반 손수레의 적재부 승강장치
CN209701049U (zh) 饲料打包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