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7246A -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표면의 응결을 지연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표면의 응결을 지연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7246A
KR20090027246A KR1020097000666A KR20097000666A KR20090027246A KR 20090027246 A KR20090027246 A KR 20090027246A KR 1020097000666 A KR1020097000666 A KR 1020097000666A KR 20097000666 A KR20097000666 A KR 20097000666A KR 20090027246 A KR20090027246 A KR 20090027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melt
concrete
coating composition
mortar
melt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0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7426B1 (ko
Inventor
필립 안토이네
대니 빈센트
Original Assignee
더블유.알. 그레이스 앤드 캄파니-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블유.알. 그레이스 앤드 캄파니-콘. filed Critical 더블유.알. 그레이스 앤드 캄파니-콘.
Publication of KR20090027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7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59Temporary coatings or impregn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4Preventing evaporation of the mixing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9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re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53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involving the removal of at least part of the materials of the treated article, e.g. etching, drying of hardened concre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6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artificial stone
    • C04B41/61Coating or impreg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oils, fats or wax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8Temporary coat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Aftertreatments Of Artificial And Natural Stones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의 표면에 또는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포밍하기 위한 몰드의 내부 표면에 유동가능하거나 분무가능한 형태로 가열된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은 주위 온도로 냉각됨으로써 고형화된 멤브레인을 형성하며, 이어서 상기 멤브레인이 제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 물질의 표면 응결을 지연시키는 예시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은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의 응결을 지연시키도록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반응체 및 선택적으로 미세하게 분쇄된 입자 물질, 광-반사성 안료 또는 그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모르타르, 콘크리트, 응결 지연제, 핫 멜트 코팅 조성물

Description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표면의 응결을 지연시키는 방법{METHOD FOR RETARDING THE SETTING OF MORTAR AND CONCRETE SURFACES}
본 발명은 수화성 시멘트상 물질의 표면 지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의 표면에 비석유계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을 적용하고, 이어서 상기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을 경화시켜 멤브레인을 형성한 후 상기 멤브레인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관련된다. 대안으로, 상기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은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몰딩하기 위한 폼(form)의 내부 표면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 상기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은 제거된다.
표면으로부터 습기가 증발하는 것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쏟아 부운 후레쉬 콘크리트 상에 코팅 화합물을 적용함으로써 콘크리트 내에서 수축 크래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러한 코팅 화합물은 전형적으로 수-계 또는 석유-계 담체 내에 분산된 수지 또는 왁스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코팅은 전형적으로 후레쉬 콘크리트 상에 분무되고, 수일 또는 수주 동안 방치되어, 분무된 코팅으로부터 물 또는 용매가 증발된 이후에 응집성 멤브레인이 형성된다. 만일 페인트 또는 역청층이 이후에 적용되는 경우, 뒤따른 코팅 물질이 접착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코팅은 완전히 제거되어야 한다. 상기 코팅은 샌드블라스팅 또는 스컬리피케이션(scarification)에 의해서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거 단계는 고비용으로 시간-소비적이다. 예컨대, 콘크리트 표면을 노출시키기 위하여 모든 수지 또는 왁스 잔류물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며, 그렇지 않으면 뒤따른 코팅 또는 페인트가 콘크리트에 완전하게 고착하지 않기 때문에 샌드블라스팅은 노동-집약적이다.
응결을 지연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 표면을 코팅시키는 것 이외에, 콘크리트를 몰딩하기 위한 폼의 내부 표면에 코팅 물질을 적용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예컨대 Sekine의 미국특허 제5,236,975호는 코팅 물질과의 접촉을 유지하는 시멘트 모르타르의 표면의 응결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 물질의 사용을 개시하고 있다. Sekine가 개시한 코팅 물질은 높은 물 흡수 특성을 갖는 분말화된 중합체로서, 이는 프로필렌글리콜을 말레산 무수물 및 프탈산 무수물 또는 이소프탈산과 혼합하는 것으로부터 제조된다. 상기 코팅 물질은 물 세척에 의해 제거될 수 있고, 이어서 장식 물질 또는 패턴이 콘크리트의 노출된 표면에 적용될 수 있다.
Kobayashi 등의 미국특허 제5,389,172호는 장식 응집물의 사용을 감소시키고 장기간의 작업 시간을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내 응집물을 노출시키기 위한 마감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방법은 접착 시트 상에 응집물을 적하하는 단계, 접착 시트의 접착층 내에 일부의 응집물을 매장하는 단계; 응집물 적하 접착 시트의 응집물 적하 표면상에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캐스팅하는 단계,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경화시키는 단계 및 접착 시트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oyama 등의 US Patent 4,205,040호는 발명의 요약에 따른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를 위한 노출된 응집물 마감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콘크리트를 위한 폼의 내부 면을 시멘트 응결 지연제로 코팅하는 단계, 건조하는 단계, 시멘트의 수용성 알칼리 용액에 가용성이나 물에는 불용성인 합성 유기 중합체 코팅 물질로 상기 건조된 면을 코팅하는 단계, 및 코팅된 면을 건조하는 단계. 대안으로, 상기 방법은 콘크리트를 위한 폼의 내부 면을 시멘트 응결 지연제 및 유기 중합체 코팅 물질의 혼합물로 코팅하는 단계 및 코팅된 면을 건조하는 단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콘크리트는 콘크리트 폼 내에 배치되고, 상기 폼이 제거되며, 표면이 러프하게 되도록 몰딩된 콘크리트의 표면이 세척된다.
Aoyama에 의해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팅 조성물은 콘크리트 조성물의 표면을 처리하기 위한 표면 지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응집물을 함유하는 후레쉬 콘크리트를 쏟아 붓고 레벨링 한 후, 표면 지연제를 약 200g/m2의 속도로 표면상에 분무한다. 수 시간 이후, 처리된 표면을 높은 압력 하의 물 제트로 세척하여 미경화된 시멘트를 제거하고 표면상의 응집물을 노출시킨다.
통상적인 표면 지연제는 전형적으로 수-계 또는 용맥-계이다. 상기 지연제 "활성화제"(예컨대, 수크로스, 유기산 또는 그의 염 등)는 물에 용해되거나 또는 용매에 현탁된다. 용매-계 지연제는 석유 제품으로부터 유도되고, 전형적으로 비 및 태양의 효과에 덜 민감하지만 환경적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환경 진화적인 수-계 표면 지연제는 증발되기 쉽기 때문에 높은 열 또는 태양광에 노출될 때 성능이 떨어진다.
보다 최근에, Mauchamp 등의 미국특허 제7,037,367호는 식물성 또는 미네랄 오일-계 표면 지연제의 사용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한 식물성 또는 미네랄 오일-계 응결 지연제의 장점은 이들이 습식 필름 코팅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공된 지연제가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의 표면 내로 침투할 바람직한 기회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침투 능력의 유지는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의 처리된 표면을 에칭하는 표면 지연제의 능력을 촉진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코팅 물질을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에 적용하여 용매 내에 용해된 수지 또는 왁스를 사용하지 않게 함으로써 VOC 방사 및 코팅을 제거하기 위한 샌드블라스팅의 필요성이 없는 신규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물 내의 수지 또는 왁스를 사용함이 없이 코팅 화합물을 적용함으로써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로부터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피하는 관점에서 우수한 성능을 갖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폐기물 처리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 플라스틱 시트를 사용함이 없이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로부터 수분 증발을 최소화하는 점에서 우수한 효과를 달성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바와 같이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의 표면 응결을 지연시키는 신규한 방법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방법은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의 표면에 또는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포밍(forming)하기 위한 몰드의 내부 표면에 유동가능하거나 또는 분무가능한 헝태가 되도록 가열된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을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킴으로써 상기 핫 멜트 코팅 조성물과 접촉하고 있는 상기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가 주위 온도로 냉각된 이후 상기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이 고형화된 멤브레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이어서 상기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로부터 상기 고형화된 핫 멜트 코팅 조성물 멤브레인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는 특히 상기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이 하나 이상의 선택적 응결 지연 첨가제를 함유하는 경우, 2주 이상까지 멤브레인에 의해 커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어서 상기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의 냉각에 의해 형성된 멤브레인은 샌드블라스팅의 필요 없이 가압수의 스트림(stream)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편리하게 제거될 수 있다.
만일 상기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이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응결 지연 첨가제를 함유하는 것이 금속 또는 목재 폼(form)의 내부 표면을 코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팅이 주위 온도로 냉각되어 멤브레인으로 고형화된 이후 상기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는 코팅된 몰드 내에서 캐스팅될 수 있다. 상기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가 폼으로부터 디몰딩되면, 상기 멤브레인은 샌드블라스팅의 필요 없이 가압수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몰드 및/또는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이하에서 단순히 "활성화제"로서 지칭될 수 있는 통상적인 응결 지연제 성분이 본 발명의 핫 멜트 조성물 및 방법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다른 활성화제(및 안료, 충전제 등과 같은 선택적 성분)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Mauchamp 등의 미국특허 제7,037,36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많은 식물성 또는 동물성 오일 매질이 발명의 방법에 사용됨으로써 용매 또는 다른 환경적으로 불합리한 물질의 사용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상 및 장점은 하기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예시적인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에서 용어 "시멘트" 및 "시멘트상 조성물"("시멘트 조성물"과 동의어임)은 수화성 시멘트 바인더를 포함하는 페이스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조성물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용어 "페이스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는 당업계의 용어이고: "페이스트"는 수화성 시멘트 바인더(보통 비제한적으로 포틀랜드 시멘트, 벽돌용 시멘트, 또는 모르타르 시멘트, 및 이러한 바인더는 림스톤, 수화 석회, 플라이 애쉬, 미립자화된 고로 슬래그, 포졸란 및 실라카 퓸 또는 그러한 시멘트에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및 물로 구성된 혼합물이며; "모르타르"는 미세한 응집물(예컨대, 모래)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페이스트이고, 및 "콘크리트"는 굵은 응집물(예컨대, 분쇄된 자갈, 돌)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모르타르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시멘트상 조성물은 특정 물질 예컨대, 수화성 시멘트, 물 및 미세 및/또는 굵은 응집물을 요구량 혼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또 특정 시멘트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용어 "후레쉬"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는 물질의 경화를 일으키는 수화 반응이 개시되도록 시멘트상 바인더와 물이 배합된 수화성 시멘트상 조성물을 지칭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이해된다.
후레쉬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 표면 상에 또는 대안으로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몰딩하기 위한 폼의 내부 표면상에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은 Mauchamp 등의 미국특허 제7,037,36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코팅 화합물은 선택적으로,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의 표면을 지연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응결 지연제를 함유할 수 있다.
Mauchamp 등에 의하여 알려진 바와 같이, 적합한 식물성 오일 및 유도체의 리스트가 Nielsen 등의 국제 특허 출원 WO 85/05066(국제공개번호), 국제특허출원 PCT/CK8500043의 16페이지에 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유도체는 하기 물질을 포함한다: 헥실 아세테이트, 2-에틸헥실 아세테이트, 옥틸 아세테이트, 이소옥틸 아세테이트, 세틸 아세테이트, 도데실 아세테이트, 트리데실 아세테이트; 부틸 부티레이트, 이소부틸 부티레이트, 아밀 이소부티레이트, 헥실 부티레이트, 헵틸 부티레이트, 이소헵틸 부티레이트, 옥틸 부티레이트, 이소옥틸 부티레이트, 2-에틸헥실 부티레이트, 노닐 부티레이트, 이소노닐 부티레이트, 세틸 부티레이트, 이소세틸 부티레이트; 에틸 헥사노에이트, 프로필 헥사노에이트, 이소프로필 헥사노에이트, 부틸 헥사노에이트, 이소부틸 헥사노에이트, 아밀 헥사노에이트, 헥실 헥사노에이트, 헵틸 헥사노에이트, 이소헵틸 헥사노에이트, 옥틸 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 헥사노에이트, 노닐 헥사노에이트, 이소니닐 헥사노에이트, 세틸 헥사노에이트, 이소세틸 헥사노에이트; 메틸 옥타노에이트, 에틸 옥타노에이트, 프로필 옥타노에이트, 이소프로필 옥타노에이트, 부틸 옥타노에이트, 이소부틸 옥타노에이트, 아밀 옥타노에이트, 헥실 옥타노에이트, 헵틸 옥타노에이트, 이소헵틸 옥타노에이트, 옥틸 옥타노에이트, 이소옥틸 옥타노에이트, 2-에틸헥실 옥타노에이트, 노닐 옥타노에이트, 이소노닐 옥타노에이트, 세틸 옥타노에이트, 이소세틸 옥타노에이트; 메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에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프로필 2-에틸헥사노에이트, 이소프로필 2-에틸헥사노에이트, 부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이소부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이소아밀 2-에틸헥사노에이트, 헥실 2-에틸헥사노에이트, 헵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이소헵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옥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이소옥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 2-에틸헥사노에이트, 노닐 2-에틸헥사노에이트, 이소노닐 2-에틸헥사노에이트,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이소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메틸 데카노에이트, 에틸 데카노에이트, 프로필 데카노에이트, 이소프로필 데카노에이트, 부틸 데카노에이트, 이소부틸 데카노에이트, 이소아밀 데카노에이트, 헥실 데카노에이트, 헵틸 데카노에이트, 이소헵틸 데카노에이트, 옥틸 데카노에이트, 이소옥틸 데카노에이트, 2-에틸헥실 데카노에이트, 노닐 데카노에이트, 이소노닐 데카노에이트, 세틸 데카노에이트, 이소세틸 데카노에이트; 메틸 라우레이트, 에틸 라우레이트, 프로필 라우레이트, 이소프로필 라우레이트, 부틸 라우레이트, 이소부틸 라우레이트, 이소아밀 라우레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헵틸 라우레이트, 이소헵틸 라우레이트, 옥틸 라우레이트, 이소옥틸 라우레이트, 2-에틸헥실 라우레이트, 노닐 라우레이트, 이소노닐 라우레이트, 세틸 라우레이트, 이소세틸 라우레이트; 에틸 올레이트, 프로필 올레이트, 이소프로필 올레이트, 부틸 올레이트, 이소부틸 올레이트, 이소아밀 올레이트, 헥실 올레이트, 헵틸 올레이트, 이소헵틸 올레이트, 옥틸 올레이트, 이소옥틸 올레이트, 2-에틸헥실 올레이트, 노닐 올레이트, 이소노닐 올레이트, 세틸 올레이트, 이소세틸 올레이트; 디에틸 숙시네이트, 디프로필 숙시네이트, 디이소프로필 숙시네이트, 디부틸 숙시네이트, 디이소부틸 숙시네이트, 디이소아밀 숙시네이트, 디헥실 숙시네이트, 디헵틸 숙시네이트, 디이소헵틸 숙시네이트, 디옥틸 숙시네이트, 디이소옥틸 숙시네이트, 디-2-에틸헥실 숙시네이트, 디노닐 숙시네이트, 디이소노닐 숙시네이트, 디세틸 숙시네이트, 디이소세틸 숙시네이트; 디메틸 아디페이트, 디에틸 아디페이트, 디프로필 아디페이트,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디부틸 아디페이트, 디이소부틸 아디페이트, 디이소아밀 아디페이트, 디헥실 아디페이트, 디헵틸 아디페이트, 디이소헵틸 아디페이트, 디옥틸 아디페이트, 디이소옥틸 아디페이트, 디-2-에틸헥실 아디페이트, 디노닐 아디페이트, 디이소노닐 아디페이트, 디세틸 아디페이트, 디이소세틸 아디페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부틸 미리스테이트, 부틸 미리스테이트, 아밀 미리스테이트, 헥실 미리스테이트, 헵틸 미리스테이트, 이소헵틸 미리스테이트, 옥틸 미리스테이트, 2-에틸헥실 미리스테이트, 노닐 미리스테이트, 이소노닐 미리스테이트, 세틸 미리스테이트, 이소세틸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이소부틸 팔미테이트, 부틸 팔미테이트, 아밀 팔미테이트, 헥실 팔미테이트, 헵틸 팔미테이트, 이소헵틸 팔미테이트, 옥틸 팔미테이트, 2-에틸헥실 팔미테이트, 노닐 팔미테이트, 이소노닐 팔미테이트, 세틸 팔미테이트, 이소세틸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스테아레이트, 이소부틸 스테아레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 아밀 스테아레이트, 헥실 스테아레이트, 헵틸 스테아레이트, 이소헵틸 스테아레이트, 옥틸 스테아레이트, 2-에틸헥실 스테아레이트, 노닐 스테아레이트, 이소노닐 스테아레이트, 세틸 스테아레이트, 및 이소세틸 스테아레이트.
바람직한 식물성 오일 유도체는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myristyl myristate), 수소첨가 코코넛 오일, 및 식물성 트리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한다. 식물성 오일 및 식물성 오일 유도체는 본 발명의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의 융점을 개질하거나, 다른 예로서 표면상에 핫-분무 적용된 이후 주위 온도로 냉각될 때 상기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의 결정화 특성을 개질하는데 특히 유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에 유용한 식물성 오일은 에센스 오일일 수 있다. 용어 "에센스"는 본래 꽃 또는 과일의 특징적인 냄새 또는 향(즉, 에센스)을 함유하는 오일을 의미한다. 에센스 오일은 꽃 또는 잎을 스팀 증류하거나 또는 스킨 또는 다른 부분(예컨대, 줄기, 꽃, 잔가지, 등)을 냉압하는 것에 의해 보통 수득된다. 예시적인 에센스 오일은 오렌지, 그레이프푸루트, 레몬, 감귤, 및 소나무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에 있어서 그러한 에센스 오일은 다른 식물성 오일 및 유도체 예컨대 상기에 기술된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 수소첨가 코코넛 오일, 및 식물성 트리글리세라이드와 배합될 필요가 있으며, 그 결과 융점이 35-55℃ 범위 즉 보통 주위 온도 이상이 되도록 하여 35-40℃ 이상으로 가열될 때 상기 혼합물은 액체 형태로 분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에센스 오일은 본 발명에 결정적인 것은 아니지만 용융 점도와 같은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의 물성을 개질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인 응결 지연 첨가제를 분산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유용한 예시적인 식물성 오일 유도체는 C6-C30 지방산의 모노 및 디글리세라이드, C6-C30 지방산의 에스테르, C6-C30 지방산, C6-C30 지방알코올, C6-C30 지방아민, C6-C30 지방아미드의 에톡시화된 화합물 및 톨유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탄소수가 많아지면 융점이 높아지게 될 것이므로, 주위 온도로 냉각될 때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또는 콘크리트 폼의 내부 표면) 상에 멤브레인을 형성하는 상기 핫 멜트 조성물을 제제화할 때, 35-55℃의 바람직한 융점 범위로 표적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예시적인 "동물성 오일"은 동물성 기재, 예컨대 뼈 또는 다른 신체 성분을 포함한다. 그 예로는 라드유, 골유, 청어유, 간유, 우족유, 정어유, 라놀린유, 어유, 양모유, 우지(tallow)유, 및 비즈 왁스를 포함한다. 동물성 오일의 유도체는 바람직하게는 C6-C30 지방산의 모노 및 디글리세라이드, C6-C30 지방산의 에스테르, C6-C30 지방산, C6-C30 지방 알코올, C6-C30 지방 아민, C6-C30 지방 아미드의 에톡시화된 화합물 및 톨유 유도체를 포함한다(식물성 오일 유도체의 설명에 기술된 리스트 참조).
따라서, 선택적으로 표면 지연제를 혼입한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및 그의 유도체 및 혼합물은 가열된 온도에서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의 표면상에 분무 적용될 수 있고, 또 주위 온도로 냉각되었을 때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로부터 수분의 증발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방지하는 고체 멤브레인을 형성할 수 있는 핫 멜트 코팅 물질을 제공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생물분해성 및 식용 물질, 예컨대 버터, 땅콩 버터, 코코아 버터가 그 목적에 따라 상기 핫 멜트 코팅 화합물 내에 혼입될 수 있는 것으로 믿는다(만일 동물, 새 또는 해충으로 하여금 상기 멤브레인을 먹도록 유혹하여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결과가 초래된다면 이러한 물질을 선택하지 않을 것이다).
가압수 제트가 고형화된 필름을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구조로 포밍하기 위한 몰드의 내부 표면 상에 경화 화합물이 가열된 온도에서 분무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후레쉬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몰드에 쏟아 붓기 전(또는 도중)에 상기 화합물은 주위 온도에서 고체 필름으로 냉각 및 고형화될 수 있다.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가 몰드로부터 제거된 이후, 고형화된 경화 화합물 필름은 가압수 스트림을 이용하여 모르타르, 콘크리트 및/또는 몰드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고압 세척기 예컨대 집이나 보도를 세척하거나 또는 자동차를 세척하기 위해 사용되는 종류가 상기 핫 멜트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고형화된 멤브레인을 모르타르, 시멘트 또는 폼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물 제트 압력은 50 내지 200kg/m2이고, 이상적으로는 약 150kg/m2이다.
바람직하게는,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및/또는 그의 유도체의 양은 조성물의 1-98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5-92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50-90중량%이다.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의 응결을 지연시키기 위한 통상의 표면 응결 지연 활성화제가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응결 지연 활성화제는 총 조성물의 1.0중량% 내지 20.0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지연 활성화제는 카르복시산(예컨대, 말산, 주석산, 시트르산, 글루콘산, 헵타글루콘산) 및 그의 염 형태(예컨대, 나트륨, 칼륨, 칼슘)를 포함하고; 또는 이들은 당 예컨대 수크로스, 로페로스, 덱스트로스, 말토오스, 락토오스, 크실로오스, 프럭토오스, 만노오스, 또는 글루코오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응결 지연 조성물은 용융된 그리스 또는 용융된 수소첨가 코코넛 오일에 분산된, 시트트산 또는 시트레이트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제 또는 수크로스와 같은 당을 포함한다. 예컨대, 이러한 오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시멘트 응결 지연 활성화제는 용융된 동물성 오일 또는 그의 유도체 내에 분산될 수 있고, 이는 식물성 오일 또는 그의 유도체 대신 또는 그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동물성 오일 및 식물성 오일의 혼합물이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소나무 오일이 양모 오일의 냄새를 커버하거나 마스킹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응결 지연 활성화제는 용융된 식물성 오일 뿐만 아니라 식물성 오일 유도체를 포함하는 연속상 담체 내에 분산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오일 및/또는 동물성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비연속상으로 분산된 하나 이상의 지연 활성화제(예컨대, 당, 산 및/또는 그의 염)을 현탁시키기 위하여 연속상 담체로서 작용한다.
환경적 이유에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에 석유 유도체가 사용되지 않는 것을 선호한다. 본 발명의 핫 멜트 코팅 조성물에 석유-계 용매 및/또는 물의 사용은 선택적이다. 따라서, 수지, 왁스, 파라핀 물질, 용매 및 본 발명의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의 다른 성분 내에 석유-유도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가능하다.
후레쉬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코팅하거나 또는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포밍하기 위한 몰드의 내부 표면을 코팅하는데 사용되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핫 멜트 코팅 화합물은, 선택적으로 미세하게 분쇄된 미립자 물질을 충전제로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그러한 미립자 물질의 양은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6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일 수 있다.
용어 "미세하게 분쇄된 미립자 물질"은 미립자, 입자, 분말, 더스트, 또는 분쇄된 물질을 지칭한다. 그러한 미립자 물질은 예컨대 탄산칼슘, 샌드, 실리케이트 샌드, 시멘트, 탈크, 이산화티타늄, 카본 블랙, 슬레이트 더스트, 그래나이트 더스트, 클레이, 산화철, 산화코발트, 산화아연, 이산화규소, 마이카, 클레이(예컨대, 카올린), 황산바륨, 소듐 실리코-알루미네이트, 알루미나, 탄산바륨, 돌로마이트(칼슘 및 마그네슘의 탄산염, CaMg(C03)2), 탄산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kieslguhr(규조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총 충전제 함량은 예컨대,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60%일 수 있다. 미세하게 분쇄된 미립자 물질의 크기는 사용된 분무 기구의 성질 및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미세하게 분쇄된 미립자는 하기와 같은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60%의 양으로서 목재분, 곡실분, 검,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완두 전분, 카라기난, 알지네이트, 및 그의 혼합물.
본 발명에 유용한 미세하게 분쇄된 미립자의 다른 예는 개질된 셀룰로오스, 글루텐,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개질된 전분, 포스페이트 개질된 전분, 히드록시프로필 개질된 전분, 아디페이트 개질된 전분, 개질된 검 및 그의 혼합물과 같은 미세하게 분쇄된 식물성 원료 물질의 화학적으로 개질된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예시적 코팅 조성물은 또한 하나 이상의 안료, 착색제 또는 염료 예컨대 이산화티타늄, 산화철, 산화크롬,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또는 다른 안료 또는 착색제를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30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분무 적용되는 동안, 특정하게 표적화된 시멘트상 표면이 상기 표면 지연 조성물로 처리되는 것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안료, 착색제 또는 염료(및 바람직하게는 태양광 반사성인 백색 안료, 예컨대, 이산화티타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코팅 조성물은 부가적으로 다른 성분, 예컨대 소르비톨, 붕산(또는 그의 염), 알킬 포스페이트, 프로테인 및 카제인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성분은 코팅 조성물의 다양한 물성, 예컨대 레올로지, 점도 및/또는 표면 장력에 영향을 주도록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추가의 구체예는 하나 이상의 레올로지 개질제 및/또는 점도 개질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방법은 코팅층을 형성하도록 후레쉬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 표면에, 또는 대안으로 후레쉬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몰딩하기 위한 폼의 내부 표면에, 액체로서 적용가능하도록 가열된 코팅 조성물을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을 주위 온도에서 고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롤러 또는 브러시 또는 다른 기계적 수단에 의해 적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처리될 표면에 직접 분무 적용된다. 후레쉬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가 경화된 이후(및, 후자의 경우 후레쉬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가 몰드로부터 제거된 이후), 상기 고형화된 코팅층은 러프(rough) 표면을 드러내기 위해 압력-세척기 또는 호스를 이용하여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또는 몰드로부터)의 표면으로부터 세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예시적 방법에서,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은 35-50℃의 융점을 갖고 55-65℃의 온도에서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의 표면 상에 또는 몰드의 내부 표면 상에 분무 적용된다. 이어서, 상기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은 35℃ 이하의 주위 온도로 냉각됨으로써, (선택적인 응결 지연 활성화제를 함유하는) 상기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은 가압수 스트림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 고형화된 멤브레인을 형성한다.
상기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은 모르타르, 콘크리트, 또는 폼(예컨대, 100-200 미크론 평균 두께)의 표면을 커버하는데 충분한 습식 두께로 적용되어야 하고, 커버 속도는 50-400g/m2,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200g/m2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예시적 방법에서,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응결 지연 첨가제를 함유하는 상기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은 35-55℃의 융점을 갖고, 40-60℃의 온도에서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의 표면상에 또는 몰드의 내부 표면상에 액체 형태로 분무 적용되어 밀착성 멤브레인을 형성하고, 융점 이하로 냉각(예컨대 주위 온도로 노출되는 것에 의해)됨으로써, 상기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은 고형화된 멤브레인을 형성한다.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 또는 폼으로부터 멤브레인을 제거하는 것은 가압수 제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한정된 수치의 구체예를 이용하여 기술되어 있지만, 이러한 구체적인 구체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구체예로부터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실시예는 청구된 발명의 구체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의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 뿐만 아니라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개시된 모든 부 및 퍼센트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중량부 또는 중량 퍼센트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물성의 특정 세트, 측정 단위, 조건, 물리적 상태 또는 퍼센트를 나타내는데 사용된 임의 범위의 수치는 참고로 나타내기 위해 삽입된 것이며, 임의 범위 내의 수치의 서브 세트를 포함한 그러한 범위에 속하는 임의의 수치도 인용된다. 예컨대, 하한치, RL 및 상한치 RU을 갖는 수치 범위가 개시된 경우, 상기 범위 내에 속하는 임의의 수치 R도 구체적으로 개시된 다. 특히, 상기 범위 내에 속하는 수 R은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이 개시된다: R = RL + k*(RU -RL), 여기서 k는 1% 증분으로 1% 내지 100%, 예컨대, k는 1%, 2%, 3%, 4%, 5%, … 50%, 51%, 52%, …, 95%, 96%, 97%, 98%, 99%, 또는 100%이다. 또한, 상기에 계산되어 있는 것과 같이 임의의 2개의 R 값에 의해 표시된 임의의 수치 범위도 구체적으로 개시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용매-계 표면 지연 수지 코팅 조성물이 적용된 콘크리트 표면(좌측 표면상), 및 본 발명의 예시적인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이 적용된 콘크리트 표면(우측 표면상)의 사진이고; 및
도 2는 가압수 스트림을 이용하여 도 1의 코팅 조성물 모두가 제거되도록 시도한 이후 2주 경과 후의 도 1의 콘크리트 표면의 사진이다.
실시예 1
후레쉬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 표면상에 가열된 온도에서 직접 분무 적용하기에 적합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은 하기 성분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하였다: 수소첨가 코코넛 오일(90%), 천연 타르타르산(8%), 이산화티 타늄(2%). 이러한 조성물의 융점은 약 35℃이었다. 상기 타르타르산 및 이산화티타늄을 35℃에서 오일 내로 분쇄하였다. 이러한 혼합물을 200g/m2의 속도로 후레쉬 콘크리트 상에 60℃의 온도에서 분무하여 프렌치 스탠다드(French Standards)(NFP 18-371)에 따라 경화 화합물 보호를 제공하였다. 상기 코팅 조성물을 주위 온도에서 냉각하여 멤브레인으로 고형화하였다. 2주 후, 가압수 제트를 이용하여 코팅 멤브레인을 제거하고 러프 콘크리트 표면을 노출시켰다.
실시예 2
후레쉬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 표면상에 가열된 온도에서 직접 분무 적용하기에 적합한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을 하기 성분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하였다: 수소첨가 코코넛 오일(72%),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18%), 트리소듐시트레이트(8%), 및 이산화티타늄(2%). 또한 이러한 혼합물의 융점은 약 35℃이었다. 트리소듐시트레이트 및 이산화티타늄을 40℃에서 수소첨가 코코넛 오일의 부분 내로 분쇄하였다. 이러한 믹스를 후레쉬 제로 슬럼프 콘크리트 상에 90℃에서 분무하여 우수한 경화 효과를 제공하고 주위 온도에서 멤브레인으로 고형화시킨 후 가압수 제트를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이 콘크리트 도로에 탁월한 에칭 효과를 제공할 것으로 믿는다.
실시예 3
후레쉬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구조로 포밍하는 하기 위한 몰드의 내부 표면상에 가열된 온도에서 분무 적용하기에 적합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은 하기 성분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하였다: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45%), 수소첨가 코코넛 오일(20%), 이산화티타늄(5%), 트리소듐시트레이트(12%), 탄산칼슘(15%), 및 침강 실리카(3%). 이러한 혼합물의 융점은 약 38-40℃이었다. 이러한 혼합물은 55℃로 유지된 전기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분무 적용하였다. 이것은 +5℃ 및 +3℃에서 스틸 몰드 상에 직접 경화된 코팅 멤브레인을 제공하였다. 몰드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콘크리트는 중간 에칭(약 2mm 깊이)을 갖는 노출된 응집물 표면을 가졌다.
실시예 4
후레쉬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구조로 포밍하기 위한 몰드의 내부 표면상에 가열된 온도에서 분무 적용하기에 적합한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은 하기 성분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하였다: 식물성 트리글리세라이드(융점: 39-40℃)(41%), 이산화티타늄(5%), 트리소듐시트레이트(10%), 수크로스(15%), 탄산칼슘(15%), 침강 실리카(3%), 및 산화철(1%). 60℃로 유지된 전기 스프레이를 적용한 결과, 이 혼합물은 +10 내지 +35℃에서 목재 몰드 상에서 멤브레인으로 고형화되는 코팅을 제공하였다. 노출된 응집물 표면은 강한 에칭(약 4mm 깊이)을 갖고 양호하였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은 종래의 코팅 조성물과 비교할 때 후레쉬 모르타르 또는 후레쉬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 수분의 증발을 최소화시키거나 또는 방 지하는 점에서, 또 제거의 용이성 및 편리성 면에서 모두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예컨대, 도 1은 종래기술의 용매-계 표면 지연 수지 코팅 조성물이 분무-적용되고(좌측 표면상), 본 발명의 예시적인 핫 멜트 코팅 조성물(실시예 1에서 수득함)이 적용된(우측 표면상) 콘크리트 표면의 사진이다. 양 코팅 조성물은 광-반사성 안료(이산화티타늄)를 함유하고, 동일 두께(평균 커버 속도 50-400g/m2, 또는 습식 두께 50-400미크론)로 적용되었다. 종래기술 코팅(좌측)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핫 멜트 코팅 조성물(우측)에 비하여 덜 균일한 것으로 관측되었다. 양 코팅을 적용하고 나서 2주 후 도 1은 종래기술 코팅의 특정 부분이 추정컨대 종래기술의 용매-계 코팅을 통한 수분 증발로 인해 얇아진 반면(본 발명자들의 추정은 좌측 코팅상의 강한 백색 결여로 인해 명백하게 밝혀졌다), 본 발명의 핫 멜트 코팅은 주위 온도로 냉각되었을때 매우 빠르게 고형화되고, 그에 따라 수분이 새어나가는 문제에 의해 배리어의 형성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는 강한 배리어를 형성하는 것을 나타내며, 이것은 도 1의 우측에서 강한 백색으로 입증된다.
2주 후 고압 세척기의 노즐을 통해 가압수를 이용하여 코팅을 제거하였다. 그 결과를 촬영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명백하게, 종래기술의 용매-계 코팅 조성물(좌측)은 가압수 제트를 이용하여 제거될 수 없었고, 샌드블라스팅 또는 기계적 스크래핑이 요구되는 반면; 본 발명의 핫 멜트 코팅 조성물(우측)은 완전히 제거되어 소망하는 추가적 코팅 또는 부착 처리에 적합하고 깨끗한 러프 콘크리트 표면을 드러내었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추가의 예시적인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은 하기와 같이 제조할 수 있으며, 그의 코팅 성능 및 가압수 제트를 이용한 제거는 실시예 5에 개시된 코팅과 유사하다. 상기 제제는 하기 성분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하였다: 글리세롤모노스테아레이트(45%), 글리세롤모노올레이트(10%), 트리소듐 시트레이트(8%), 옥수수 전분(25%), 탄산칼슘(10%), 및 이산화티타늄(2%). 이러한 제제는 약 45℃의 융점을 갖고 60℃로 유지된 전기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분무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7
본 발명의 추가의 예시적인 핫 멜트 코팅 조성물 하기와 같은 식용 원료 물질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우지(48%), 코코넛 오일(12%), 오렌지 에센스 오일(3%), 트리소듐 시트레이트(10%), 및 옥수수 녹말(27%). 이러한 제제는 45℃ 이상의 온도에서 분무 적용될 수 있으며, 주위 온도(40℃ 미만)에서 냉각시켜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의 표면상에서 또는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몰딩하기 위한 폼 내에서 직접 사용하기에 적합한 고체 멤브레인으로 만들었다.
상기 실시예 및 구체예는 설명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5)

  1.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의 표면의 응결을 지연시키는 방법: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의 표면에 또는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포밍하기 위한 몰드의 내부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응결 지연 첨가제를 포함하고, 주위 온도로 냉각되면 가압수를 이용하여 제거될 수 있으며, 유동가능하거나 분무가능한 형태로 가열된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을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킴으로써 상기 핫 멜트 코팅 조성물과 접촉하고 있는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가 주위 온도로 냉각된 이후 상기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이 고형화된 멤브레인을 형성하는 단계, 이어서 고형화된 고체 핫 멜트 코팅 조성물 멤브레인을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이 물을 이용하여 제거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이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의 표면에 분무-적용되고 주위 온도에서 고형화되어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 표면 상에 멤브레인을 형성한 후 상기 멤브레인이 제거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이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몰딩하기 위한 폼의 내부 표면에 분무-적용된 후 후레쉬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상기 폼 내로 붓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가 폼으로부터 디몰딩된 후 상기 핫 멜트 코팅 조성물 멤브레인이 상기 폼,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 또는 양자로부터 제거되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이 수소첨가 코코넛 오일, 천연 타르타르산,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이 수소첨가 코코넛 오일,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 트리소듐 시트레이트 및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방법.
  8.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이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 수소첨가 코코넛 오일, 이산화티타늄, 트리소듐 시트레이트, 탄산칼슘, 및 침강 실리카를 포함하는 방법.
  9.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이 식물성 트리글리세라이드, 이산화티타늄, 트리소듐 시트레이트, 수크로스, 탄산칼슘, 침강 실리카 및 산화철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이 35-55℃의 융점을 갖고, 40-60℃의 온도에서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의 표면상에 또는 몰드의 내부 표면상에 액체 형태로 분무-적용되며, 융점 이하의 온도로 냉각됨으로써 상기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이 고형화된 멤브레인을 형성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결 지연 첨가제가 식물성 오일 또는 그의 유도체, 동물성 오일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상기 오일 또는 그의 유도체의 혼합물에서 현탁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이 탄산칼슘, 샌드, 실리케이트 샌드, 시멘트, 탈크 이산화티타늄, 카본블랙, 슬레이트 더스트, 그래나이트 더스트, 클레이, 산화철, 산화코발트, 산화아연, 이산화규소, 마이카, 클레이, 황산바륨, 소듐 실리코-알루미네이트, 알루미나, 탄산바륨, 돌로마이트 또는 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미세하게 분쇄된 미립자 물질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이 목재분, 곡실분, 검,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완두 전분, 카라기난, 알지네이트 및 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미세하게 분쇄된 미립자 물질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이 개질된 셀룰로오스, 글루텐,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개질된 전분, 포스페이트 개질된 전분, 히드록시프로필 개질된 전분, 아디페이트 개질된 전분, 개질된 검 및 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미세하게 분쇄된 미립자 물질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1항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코팅된 시멘트상 조성물.
KR1020097000666A 2006-07-06 2007-07-02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표면의 응결을 지연시키는 방법 KR101407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014052.2 2006-07-06
EP06014052A EP1887053B1 (en) 2006-07-06 2006-07-06 Method for retarding the setting of mortar and concrete surfaces
PCT/EP2007/005843 WO2008003448A1 (en) 2006-07-06 2007-07-02 Method for retarding the setting of mortar and concrete surfa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246A true KR20090027246A (ko) 2009-03-16
KR101407426B1 KR101407426B1 (ko) 2014-06-13

Family

ID=37517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0666A KR101407426B1 (ko) 2006-07-06 2007-07-02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표면의 응결을 지연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097296B2 (ko)
EP (1) EP1887053B1 (ko)
JP (1) JP5081909B2 (ko)
KR (1) KR101407426B1 (ko)
CN (1) CN101484539A (ko)
AU (1) AU2007271465B2 (ko)
BR (1) BRPI0714020A2 (ko)
CA (1) CA2656642C (ko)
MX (1) MX2008016329A (ko)
MY (1) MY147428A (ko)
NZ (1) NZ574003A (ko)
WO (1) WO20080034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218A (ko) * 2020-06-29 2022-01-05 (주)에이치비티 고점도 도포형 콘크리트 응결지연제 조성물을 이용한 이어치기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5140B1 (fr) * 2008-08-21 2012-06-01 W R Grace Co Conin Retardateurs de prise de surface en beton a base d'ester
FR2963618B1 (fr) 2010-08-03 2013-03-08 Bostik Sa Composition pulverulente de mortier a adherence amelioree
JP2014527477A (ja) * 2011-07-27 2014-10-16 アビー アンド プライド アイピー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部分的に養生された半凝固状態の基層の上に1つの層を置くことによって生産される積層品
ES2623159T3 (es) * 2011-12-01 2017-07-10 Gcp Applied Technologies Inc. Composición y procedimiento para la obtención de agregados expuestos en superficies de hormigón moldeado y otros materiales cementosos
FR2991982B1 (fr) 2012-06-18 2015-07-17 Chryso Composition desactivante facilitant le demoulage
KR101506168B1 (ko) 2013-09-09 2015-03-26 유한회사 콘원 동결융해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표면 처리제
CN104552557B (zh) * 2015-01-19 2017-04-05 南京倍立达新材料系统工程股份有限公司 玻璃纤维增强水泥表面缓凝材料制备方法
PL3112327T3 (pl) * 2015-06-30 2018-04-30 Heidelbergcement Ag Półsztywne powłoki z podwyższoną przyczepnością i sposób ich wytwarzania
CN105294161B (zh) * 2015-12-07 2018-10-16 江西洪屏抽水蓄能有限公司 一种不饱和硅氧烷基磷酸酯乳液混凝土养护剂及其制备方法
CN105924049A (zh) * 2016-05-13 2016-09-07 句容联众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干熄焦炉用混凝土
US20210061721A1 (en) * 2018-01-08 2021-03-04 Gcp Applied Technologies Inc. Surface retarder formulation and method for replicating an acid etch or sand blast aspect on cementitious material
US11554995B2 (en) * 2020-05-27 2023-01-17 Hycrete, Inc. Chemically reactive surface-applied waterproofing for post-construction materials
KR102415266B1 (ko) 2020-06-29 2022-07-01 (주)에이치비티 고점도 도포형 콘크리트 응결지연제 조성물
CN114351457A (zh) * 2022-01-11 2022-04-15 中国铁道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铁道建筑研究所 一种铁路预制轨枕用超缓凝露石材料及其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2062A (en) * 1957-09-09 1960-09-13 Continental Oil Co Method of curing concrete
JPS5327735B2 (ko) 1972-11-14 1978-08-10
JPS5161140A (en) 1974-10-22 1976-05-27 Obayashi Constr Co Ltd Konkuriitono somenshiagekoho
US4150192A (en) * 1977-07-05 1979-04-1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Hot melt rust retardant composite
US4207115A (en) * 1978-12-20 1980-06-10 Fats & Proteins Research Foundation, Inc. Internal sealant for concrete
JPS59121177A (ja) * 1982-12-28 1984-07-13 秩父セメント株式会社 コンクリ−トの洗い出し仕上げ方法
DK216984D0 (da) 1984-05-01 1984-05-01 Koege Kemisk Vaerk Fremgangsmaade til forbedring af frigoerelse af beton fra stoebeforme
JPS6121988A (ja) * 1984-07-11 1986-01-30 三菱鉱業セメント株式会社 セメント硬化体の表面被覆方法
JPS62148209A (ja) * 1985-12-23 1987-07-02 共和コンクリ−ト工業株式会社 化粧ブロツクの製造方法
US4748788A (en) * 1987-07-01 1988-06-07 Shaw Ronald D Surface seeded exposed aggregate concrete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2563395B2 (ja) * 1987-11-27 1996-12-11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セメントの凝結遅延方法
US5236975A (en) * 1989-06-01 1993-08-17 Kabushiki Kaisha Zokei Concrete non-cure coating material, as well as concrete products or concrete structural products with surface pattern or decoration using said material and production process therefore
US5496615A (en) 1991-03-01 1996-03-05 W. R. Grace & Co.-Conn. Waterproofing membrane
EP0773091A3 (en) * 1992-03-20 1998-04-01 Unichema Chemie B.V. Release composition
JPH06134736A (ja) 1992-10-22 1994-05-17 Sliontec:Kk コンクリートの骨材露出仕上げ方法
JPH0885107A (ja) * 1994-09-19 1996-04-02 Matsukusuton Kk 洗い出し工法及び同工法に用いるマット
EP0754656B1 (en) * 1995-02-07 2004-09-15 Daicel-Degussa Ltd. Cement setting retarder and cement setting retarder sheet
US5501277A (en) * 1995-03-06 1996-03-26 Halliburton Company Combating lost circulation during the drilling of wells
US6730764B1 (en) 1998-02-06 2004-05-04 Daicel Huels Ltd. Concrete hardening retarder
JPH11292594A (ja) * 1998-04-10 1999-10-26 Daicel Huels Ltd セメント硬化遅延性2液型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の表面処理方法
US6127326A (en) * 1998-07-31 2000-10-03 American Ingredients Company Partially saponified triglycerides, their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as polymer additives
US6187382B1 (en) * 1998-10-09 2001-02-13 Donald V. Lightcap, Jr. Liquid membrane-forming cur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curing fresh concrete
JP2001322111A (ja) * 2000-05-15 2001-11-20 Kuraray Co Ltd 無機質成形体表面用凝結遅延剤および無機質成形体の製造方法
US6811810B2 (en) * 2001-02-07 2004-11-02 The Hill And Griffith Company Concrete form release compositions
US7037367B2 (en) * 2003-10-20 2006-05-02 W.R. Grace & Co.-Conn. Concrete surface retard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218A (ko) * 2020-06-29 2022-01-05 (주)에이치비티 고점도 도포형 콘크리트 응결지연제 조성물을 이용한 이어치기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08016329A (es) 2009-01-21
AU2007271465A1 (en) 2008-01-10
EP1887053A1 (en) 2008-02-13
JP2009542458A (ja) 2009-12-03
WO2008003448A1 (en) 2008-01-10
JP5081909B2 (ja) 2012-11-28
CN101484539A (zh) 2009-07-15
EP1887053B1 (en) 2012-09-05
AU2007271465B2 (en) 2012-07-19
US8097296B2 (en) 2012-01-17
WO2008003448B1 (en) 2008-03-20
KR101407426B1 (ko) 2014-06-13
BRPI0714020A2 (pt) 2012-12-04
MY147428A (en) 2012-12-14
NZ574003A (en) 2011-11-25
US20090297702A1 (en) 2009-12-03
CA2656642C (en) 2013-10-15
CA2656642A1 (en) 2008-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7426B1 (ko)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표면의 응결을 지연시키는 방법
JP5127227B2 (ja) コンクリート表面遅延剤
CA2732852C (en) Method for retarding the setting of the surface of a concrete using ester-based concrete surface retarders
JP2012500138A5 (ko)
US8846787B2 (en) High curing inducing surface applied setting retarder
TWI677542B (zh) 消失模型用塗模劑組合物
ES2685552T3 (es) Composición desactivante que facilita el desmoldeo
JPH01297479A (ja) コーキング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