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168B1 - 동결융해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표면 처리제 - Google Patents

동결융해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표면 처리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168B1
KR101506168B1 KR1020130107868A KR20130107868A KR101506168B1 KR 101506168 B1 KR101506168 B1 KR 101506168B1 KR 1020130107868 A KR1020130107868 A KR 1020130107868A KR 20130107868 A KR20130107868 A KR 20130107868A KR 101506168 B1 KR101506168 B1 KR 101506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urface treatment
treatment agent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7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9125A (ko
Inventor
임채영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콘원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콘원
Priority to KR1020130107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168B1/ko
Publication of KR20150029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1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598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wast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7Oils, fats or waxes natural resins
    • C04B41/472Oils, e.g. linseed oi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017Aspects relating to th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7Water resistance, i.e. waterproof or water-repell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9Frost-thaw resist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Applied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Mist Or Water (AREA)
  • Aftertreatments Of Artificial And Natural St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 및 발수를 통해 동결 융해를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표면 처리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검화된 식물성 폐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 카본산계 20-40 중량부, 송진 20-40 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동결융해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표면 처리제이다.

Description

동결융해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표면 처리제 {Surface treatment agent of Concrete for preventing freezing and melting}
본 발명은 방수 및 발수를 통해 동결 융해를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표면 처리제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제품은 외부의 유해물질 및 내산성비 등의 침투에 의해 열화 및 동결융해가 발생하여 성능저하를 가져온다.
종래 사용되고 있는 콘크리트 제품은 콘크리트 표면에 표면 코팅제만을 도포하는 방식으로 미관적인 문제점은 해결하였으나, 열화 방지 및 동결융해발생 억제 등의 기능적인 부분에 대한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국내외 연구기관 및 기업에서는 표면도료 및 코팅제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연구를 진행 중이나 주로 에폭시 계통을 사용하여 제조원가가 비싸고 또한 유해물질로 인한 환경 문제의 심각성은 해결되지 않고 있다.
하나의 예로써, 페놀류와 벤젠, 포름알데이드를 사용하여 방수제와 방수도료 등을 생산하는 공장 인근 주변 주민들은 암, 호흡기질환 발생률이 높았으며 페놀류와 벤젠, 포름알데히드는 실제로 암을 일으키는 주요인으로 밝혀져 콘크리트 속에 살고 있는 현대인의 건강에도 상당한 악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작업성 향상, 공사비 절감과 함께 친환경 재료를 이용한 친환경 콘크리트 표면 처리제, 동결 및 융해에 따른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성능이 우수하고 장기간 지속될 수 있는 표면처리제 개발이 요구된다.
한국특허 공개번호 10-2002-002398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써, 콘크리트 배합과정에서 처리 가능하며, 친환경적이고 방수 및 발수 성능이 우수한 동결융해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표면 처리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결융해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표면 처리제는, 검화된 식물성 폐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 카본산(polycarboxylate)계 20-40 중량부, 송진 20-40 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표면 처리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표면 처리제에서 상기 검화된 폐유는 폐유, 수산화 나트륨, 물이 3:1:6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표면 처리제에서 상기 검화된 폐유는 상기 혼합물을 65℃에서 60분 동안 교반시켜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표면 처리제는 콘크리트 배합과정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친환경적이고 방수 및 발수 성능이 우수한 동결융해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표면 처리제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표면처리제는 콘크리트 배합과정에서 처리됨으로써 40%이상의 작업성 향상에 따라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표면처리제에 의거 제품에 접하는 수분과 염분 침투 시 발생되는 누수, 부식, 박리 발생과 장기적으로 반복되는 계절변화에 따른 온도차이로 인한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켜, 현재 구조물의 가장 큰 문제점인 균열을 억제하여 내구성 증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동결융해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표면 처리제 제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 및 각 구성들의 주요 역활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단지 단일 재료만을 사용한 종래의 콘크리트 표면처리제와는 달리, 폴리카본산계를 활용하여 각 재료의 입자를 강하게 분산시켜 고강도실현 및 작업성을 개선하고, 식물성 폐유를 활용함으로써 콘크리트 내의 미세공극에 침투하여 규소와 화학적 결합으로 1차적 공극 제어 후 방수 및 강도증진 효과를 부여하고, 2차적 점착성 막을 형성하여 물의 침투 및 흡수를 방지하는 방수 및 발수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송진을 혼합하여 공극 제어 및 점착성 막이 형성되어 동결융해 방지가 우수한 콘크리트 표면처리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동결융해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표면 처리제는, 검화된 식물성 폐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 카본산계 20-40 중량부, 송진 20-40 중량부가 혼합되어 제조된다.
상기 식물성 폐유를 사용함으로써, 원가절감에 기여할 수 있고, 점착성 막으로 동결 융해가 방지되고, 방수 및 강도가 증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폐유의 검화는 폐유, 수산화 나트륨, 물을 3:1:6의 중량비율로 혼합시켜 혼합물을 만들며, 상기 혼합물이 응고되지 않고 점도가 유지될 수 있는 온도인 65℃에서 60분 동안 교반시켜 검화가 수행된다. 상기 65℃ 미만에서는 응고가 되고, 65℃ 초과에서는 점도가 높아져 본 발명의 효과를 위해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상기에서 폐유가 3 중량비율인 경우, 수산화 나트륨 1 중량비율은 상기 검화된 폐유가 친유성 또는 친수성으로 치우치지 않기 위한 비율이다.
또한 물의 양에 따라 검화된 폐유가 액상 또는 응고 정도가 다르게 되며, 상기 물 6 중량비율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은 바람직한 액상, 응고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중량비율이다.
상기 폴리 카본산계를 활용하여 각 재료의 입자를 강하게 분산시켜 고강도실현 및 작업성을 개선하고, 발수 및 방수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에서 폴리 카본산계 20-40 중량부에서, 20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에는 분산성 저하, 강도가 감소되고, 발수 및 방수 기능과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폴리 카본산계가 40 중량부 초과로 혼합될 경우에는 골재 재료의 분리가 일어나고, 초기 경화가 늦어지며, 초기 강도가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동결융해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표면 처리제는, 검화된 식용유 폐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 카본산계 30 중량부, 송진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된다.
상기 송진을 사용함으로써 점착성 막을 형성하여 물의 침투 및 흡수를 방지하는 발수 및 방수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강도에도 기여한다.
상기에서 송진 20-40 중량부에서 송진이 20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에는 점착력이 감소되고, 발수 및 방수 기능도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송진이 40 중량부 초과로 혼합될 경우에는 점착력이 강하게 되어 점착성 막 형성이 떨어지고, 동결 및 융해 기능도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송진은 덩어리 또는 분말 상태의 천연 송진등을 수산화나트륨 및 물이 1:6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에 융해시켜 점성이 유지되도록 85℃로 1시간 가열하여 생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식물성 폐유가 콘크리트 내의 미세공극에 침투하여 규소와 화학적 결합으로 공극 제어 후 방수 및 강도증진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각각의 중량부 등에 의해 제조된 표면처리제는 콘크리트 배합과정에서 사용되므로 40%이상의 작업성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폐유를 사용함으로써 특히 원가절감 및 동결 융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폴리카본산계는 특히 강도를 증진하고 방수 및 발수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며, 송진은 특히 점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표면처리제를 각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폐유, 수산화 나트륨, 물이 3:1:6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을 65℃에서 60분 동안 교반시켜 검화된 폐유를 제조하였다
상기 검화된 식용유 폐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 카본산계 20 중량부, 송진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동결융해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표면 처리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상기 검화된 식용유 폐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 카본산계 30 중량부, 송진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동결융해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표면 처리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상기 검화된 식용유 폐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 카본산계 40 중량부, 송진 40 중량부를 혼합하여 동결융해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표면 처리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검화된 식용유 폐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 카본산계 10 중량부, 송진 10 중량부를 혼합된 동결융해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표면 처리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검화된 식용유 폐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 카본산계 50 중량부, 송진 50 중량부를 혼합된 동결융해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표면 처리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표면처리제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비교를 위한 콘크리트 제품 제조]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 잔골재 및 물과, 1) 본 발명의 표면처리제에 해당하는 실시예 1-3, 2) 비교예 1-2 및 ,3) 비교예 3을 각각 이용하여 57×90×190mm의 콘크리트 벽돌을 제조하였다.
이때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 100 중량부에 천연 잔골재와 부순 잔골재가 5:5로 혼합된 잔골재 800 중량부, 물 25 중량부, 표면처리제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콘크리트 벽돌을 제조하였다.
[압축강도 성능비교]
상기와 같이 제조된 콘크리트 벽돌에 대한 압축강도를 각 재령 별로 구분하여 시험하였다. 특히 재령 28일에 대해서는 동결 전 및 해동 후로 구분하여 압축강도를 시험하였다.
압축강도시험은 KS F 2405-10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에 의하여 시험하였으며, 동결, 해동에 따른 시험도 상기 KS F 2405-10에 의하여 수행되었다.
압축강도 시험 결과는 하기의 표 1과 같다.
압축강도 시험 결과 [재령 3일과 7일은 동결 전 압축강도, 재령 28일은 동결 전 및 해동 후 각각에 대한 압축강도임]
구 분 재령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압축강도 [N/mm2]


3일 22.5 23.4 23.9 20.1 25.5 19.2
7일 31.5 32.0 32.6 28.3 35.5 26.2
28일
(동결 전)
39.6 40.2 40.8 36.8 43.9 32.2
28일
(해동 후)
38.8 39.4 40.0 34.6 41.1 28.0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면처리제가 적용된 실시예 1-3의 콘크리트 제품의 압축강도가 비교예 1,3에 비해 높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폴리 카본산계를 많이 사용하면 강도는 높아졌으나 표면에 균열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특히 재령 28일의 압축강도를 동결 전 및 해동 후로 구분하여 시험 비교한 결과, 1) 본 발명의 표면처리제가 적용된 실시예 1-3의 동결 전 및 해동 후의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별 차이 없이 모두 비슷(단지 약 0.8 N/mm2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2) 비교예 1, 2의 동결 전 및 해동 후의 압축 강도는 2.2 또는 2.8 N/mm2 감소함을 알 수 있다.
특히, 3)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표면처리제가 적용된 비교예 3의 동결 전 및 해동 후의 압축 강도는 3.8 N/mm2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표면처리제와 다르거나 시중의 일반 표면처리제가 적용된 콘크리트 제품은 반복적인 동결 및 해동 동작에 의거 콘크리트의 강도가 저하되어 기능이 상실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표면처리제를 사용시에는 동결 및 해동 동작이 반복되더라도 콘크리트의 강도가 별로 저하되지 않고 기능이 계속 유지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한 각 수치에 따른 명백한 효과 차이에 의거, 각 수치들은 임계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각 재료들은 주재료이며, 본 발명의 임계적인 효과에 영향이 없는 다른 재료들도 혼합 가능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검화된 식물성 폐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 카본산계 20-40 중량부, 송진 20-40 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융해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표면 처리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화된 폐유는 폐유, 수산화 나트륨, 물이 3:1:6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융해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표면 처리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검화된 폐유는 상기 혼합물을 65℃에서 60분 동안 교반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융해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표면 처리제.
  4. 제 1항에 있어서, 검화된 식용유 폐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 카본산계 30 중량부, 송진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융해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표면 처리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와 각 중량부에 의해 제조된 표면처리제는 콘크리트 배합과정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융해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표면 처리제.
KR1020130107868A 2013-09-09 2013-09-09 동결융해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표면 처리제 KR101506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868A KR101506168B1 (ko) 2013-09-09 2013-09-09 동결융해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표면 처리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868A KR101506168B1 (ko) 2013-09-09 2013-09-09 동결융해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표면 처리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125A KR20150029125A (ko) 2015-03-18
KR101506168B1 true KR101506168B1 (ko) 2015-03-26

Family

ID=53023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7868A KR101506168B1 (ko) 2013-09-09 2013-09-09 동결융해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표면 처리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1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759A (ko) 2015-06-30 2017-01-10 주식회사 케미콘 발열 콘크리트용 내한촉진제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1331B1 (ko) * 1979-02-03 1980-10-28 고영권 시멘트 방수제
KR20090056348A (ko) * 2007-11-30 2009-06-03 유한회사 콘원 콘크리트 표면처리제
KR20110104771A (ko) * 2010-03-17 2011-09-23 (주)아이리스뷰 천연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중성화 방지 공법
JP5081909B2 (ja) 2006-07-06 2012-11-28 ダブリュー・アール・グレイス・アンド・カンパニー−コネチカット モルタルおよびコンクリート表面の凝結を遅延させる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1331B1 (ko) * 1979-02-03 1980-10-28 고영권 시멘트 방수제
JP5081909B2 (ja) 2006-07-06 2012-11-28 ダブリュー・アール・グレイス・アンド・カンパニー−コネチカット モルタルおよびコンクリート表面の凝結を遅延させる方法
KR20090056348A (ko) * 2007-11-30 2009-06-03 유한회사 콘원 콘크리트 표면처리제
KR20110104771A (ko) * 2010-03-17 2011-09-23 (주)아이리스뷰 천연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중성화 방지 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759A (ko) 2015-06-30 2017-01-10 주식회사 케미콘 발열 콘크리트용 내한촉진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125A (ko) 201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9517B1 (ko) 구조물 표면 보호용 기능성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표면 보호 방법
CN101544856B (zh) 外墙腻子
KR101844193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공법
KR101617067B1 (ko) 혹한기용 외단열 몰탈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시스템 시공 방법
KR101730611B1 (ko) 무기질계 탄성형 도막 방수재 및 그 제조방법 및 도막 방수재를 이용한 복층 구조의 교면방수공법 및 복합방수공법
KR101582831B1 (ko) 수성 에폭시 조성물을 이용한 건축용 친환경 황토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황토 모르타르의 도포 방법
KR102283131B1 (ko) 콘크리트의 균열 및 단면 복구와 표면처리용 친환경 몰탈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보수 보강공법
KR101300515B1 (ko) 고성능 시멘트 콘트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접착식 덧씌우기 포장공법
KR20150142769A (ko) 개질 유황을 포함하는 마그네시아 시멘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경량패널 표면재 및 그 제조방법, 및 경량복합패널
KR101506168B1 (ko) 동결융해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표면 처리제
US20190077709A1 (en) Composite Blast Furnace Mineral Powder and Synthetic Material Made from Same
CN104402319B (zh) 外墙涂料
KR101791420B1 (ko) 구조물 표면 보호용 유무기 복합 친환경 표면 도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표면 보호 방법
KR101113000B1 (ko) 실란계 졸겔 수지와 아크릴에멸젼을 포함하는 침투식 액체 방수제 및 그 제조 방법
KR102230767B1 (ko) 장기간 균열 현상이 없이 방수표면을 갖도록 하는 도막방수제용 조성물
CN107163765A (zh) 一种耐水建材涂料
KR100910129B1 (ko) 액상형 비정질 실리케이트계 가수분해제가 포함된 콘크리트 단면보수용 무기폴리머계 내산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 공법
KR101859885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공법
CN105731936A (zh) 一种外墙瓷砖翻新腻子
CN103693935B (zh) 一种环保复合石材及其生产方法
KR101698883B1 (ko) 발수·방수성 콘크리트용 표면처리제의 제조방법
KR101849281B1 (ko) 곰팡이균을 억제하는 시멘트 몰타르용 항균혼화제
CN107473692B (zh) 一种建筑装饰生态石木地板砖及其制备方法
KR101670024B1 (ko) 탑코팅용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코팅방법
CN104529291A (zh) 一种砌筑砂浆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