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4150A - 슬라이드 베어링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4150A
KR20090024150A KR1020087030357A KR20087030357A KR20090024150A KR 20090024150 A KR20090024150 A KR 20090024150A KR 1020087030357 A KR1020087030357 A KR 1020087030357A KR 20087030357 A KR20087030357 A KR 20087030357A KR 20090024150 A KR20090024150 A KR 20090024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case
circumferential side
inner circumferential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0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헤이 가네코
아쓰시 요시다
Original Assignee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24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1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04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axial load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20Sliding surface consisting mainly of 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4Sealing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5Vehicle suspensions, e.g. bearings, pivots or connecting rods used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Sealing Of Bearings (AREA)

Abstract

슬라이드 베어링(1)은, 환형 하면(2)을 가진 상부 케이스(3); 상기 상부 케이스(3)에 상기 상부 케이스(3)의 축심(O)의 주위에서 회전 가능해지도록 중첩되는 동시에 상기 환형 하면(2)에 대면한 환형 상면(4)을 가진 하부 케이스(5); 상기 환형 하면(2)과 상기 환형 상면(4) 사이의 환형 공간(36)에 배치된 환형의 스러스트 슬라이드 베어링편(6), 및 상기 환형 공간(36)의 외주 측에 배치된 밀봉 수단(38)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드 베어링{SLIDING BEARING}
본 발명은 슬라이드 베어링, 특히 사륜 자동차에서의 스트럿형 서스펜션(strut type suspension)(맥퍼슨식, MacPherson type)의 스러스트 슬라이드 베어링(thrust slide bearing)으로서 내장하기에 바람직한 슬라이드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내지 3에는, 상부 케이스, 하부 케이스, 그리고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사이에 개재(介在)된 스러스트 슬라이드 베어링편(thrust slide bearing piece)을 가지고, 스러스트 슬라이드 베어링편이 개재되는 환형 공간을 래비린스 작용(Labyrinth effect)에 의해 밀봉하도록 되어 있는 슬라이드 베어링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3에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사이의 환형 공간의 외주 측을 폐색(閉塞)하기 위하여,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에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배치된 금속제의 판형 링크로 이루어지는 환형체를 구비하고 있는 슬라이드 베어링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7-301226호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8-4754호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11-13767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이러한 슬라이드 베어링에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내지 3에 제안되어 있는 바와 같은 래비린스 구조(Labyrinth structure)를 가진 밀봉부를 사용한 경우에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사이의 환형 공간을 완전하게 밀봉하는 구조는 아니므로, 먼지, 티끌, 빗물, 흙탕물 등의 환형 공간으로의 침입 방지를 위한 밀봉성이 뒤떨어지는 경향에 있다.
또한, 이러한 슬라이드 베어링에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환형체를 사용한 경우에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와의 미끄럼 마찰저항의 증대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높은 밀봉성의 장기 유지가 곤란하고,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와의 미끄럼 마찰에 의한 불쾌음(不快音)도 커지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여러 가지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높은 밀봉성을 발휘할 수 있는 동시에 높은 밀봉성의 장기 유지 및 불쾌음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는 슬라이드 베어링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슬라이드 베어링은, 환형 하면을 가진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에, 상기 상부 케이스의 축심(軸心)의 주위에서 회전 가능해지도록 중첩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 케이스의 환형 하면에 대면한 환형 상면을 가진 하부 케이스; 상기 환형 하면 및 상기 환형 상면 사이의 환형 공간에 배치된 환형의 스러스트 슬라이드 베어링편; 및 상기 환형 공간의 외주 측과 내주 측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배치된 밀봉 수단(seal means)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 수단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주 측과 내주 측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에 장착되는 환형 장착부, 상기 환형 장착부에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환형 공간의 외주 측과 내주 측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밀폐하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가요성(可撓性)을 가진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베어링에 의하면, 특히, 밀봉 수단은, 하부 케이스의 외주 측과 내주 측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 복수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하부 케이스에 장착되는 환형 장착부, 이 환형 장착부에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환형 공간의 외주 측과 내주 측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밀폐하도록 상부 케이스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가요성을 가진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환형 장착부가 하부 케이스로부터 분리될 우려를 없앨 수 있는 동시에 환형 장착부의 하부 케이스에 대한 회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밀봉 수단의 상부 케이스에 대한 접촉 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어, 가요성을 가진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의 상부 케이스에 대한 슬라이드 접촉에 의한 높은 밀봉성을 발휘할 수 있는 동시에 이러한 높은 밀봉성의 장기 유지 및 불쾌음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특히 환형 장착부가 복수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하부 케이스에 장착되므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와의 상대 회전에서 생길 수 있는 환형 장착부 및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의 비틀림을 없앨 수 있어, 환형 장착부와 하부 케이스 사이를 통한 환형 공간로의 먼지, 티끌, 빗물, 흙탕물 등의 침입을 더욱 높은 밀봉성을 가지고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베어링의 바람직한 예에서는,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기 환형 상면을 가진 하측 환형판부, 및 상기 하측 환형판부의 외주면과 내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하측 환형판부보다 두께가 얇은 환형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은 상기 환형 돌기부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환형 장착부는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환형 돌기부를 덮고 있다. 이와 같은 바람직한 예에 따르면, 환형 장착부를 하부 케이스에 더욱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베어링의 바람직한 예에서는, 상기 환형 장착부는, 원통형부와 상기 원통형부에 일체로 형성된 상부 환형부 및 하부 환형부,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상부 환형부와 상기 하부 환형부를 연결하고 있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베어링의 바람직한 예에서는, 상기 환형 장착부는,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에 고정 장착된, 단면 L자형부를 포함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베어링의 바람직한 예에서는, 상기 환형 공간의 외주 측에 배치된 밀봉 수단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환형 하면을 가진 상측 환형판부, 및 상기 상측 환형판부의 외주면 측에 형성된 상측 외통부(上側 外筒部)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 수단의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는, 상기 상측 외통부에 근접할수록 상기 상측 환형판부로부터 이반(離反)하도록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은 바람직한 예에 따르면, 높은 밀봉성을 발휘할 수 있는 동시에 높은 밀봉성의 장기 유지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베어링의 바람직한 예에서는, 상기 상측 외통부의 내주면은 상기 상측 환형판부로부터 이반할수록 직경이 커지는 부위를 가지며, 상기 환형 공간의 외주 측에 배치된 상기 밀봉 수단의 상기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의 외경은, 상기 상측 외통부의 내주면의 최대 직경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최대 직경과 동일한 직경이다. 이와 같은 바람직한 예에 의하면,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가 상측 외통부로부터 이반할 우려를 없앨 수 있으므로, 높은 밀봉성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베어링의 바람직한 예에 의하면, 상기 환형 공간의 내주 측에 배치된 밀봉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환형 하면을 가진 상측 환형판부와 상기 상측 환형판부의 내주면 측에 형성된 상측 내통부(上側 內筒部)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수단의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는, 상기 상측 내통부에 근접할수록 상기 상측 환형판부로부터 이반하도록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은 바람직한 예에 따르면, 높은 밀봉성을 발휘할 수 있는 동시에 높은 밀봉성의 장기 유지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베어링의 바람직한 예에서는, 상기 상측 내통부의 외주면은, 상기 상측 환형판부로부터 이반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부위를 가지며, 상기 환형 공간의 내주 측에 배치된 상기 밀봉 수단의 상기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의 내경은, 상기 상측 내통부의 외주면의 최소 직경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최소 직경과 동일한 직경이다. 이와 같은 바람직한 예에 따르면,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가 상측 내통부로부터 이반할 우려를 없앨 수 있으므로, 높은 밀봉성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베어링의 바람직한 예에서는, 상기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s elastomer)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베어링의 바람직한 예에서는,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합성 수지제이며,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형성하는 합성 수지는,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불소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베어링의 바람직한 예에서는, 상기 스러스트 슬라이드 베어링편은 합성 수지제이고, 상기 스러스트 슬라이드 베어링편을 형성하는 합성 수지는,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불소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은 밀봉성을 발휘할 수 있는 동시에, 이러한 높은 밀봉성의 장기 유지 및 불쾌음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는 슬라이드 베어링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나타낸 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조금도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예의 주로 상부 케이스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예의 주로 하부 케이스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예의 주로 하부 케이스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예의 주로 하부 케이스의 일부 확대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예의 주로 하부 케이스의 일부 생략 단면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예의 주로 하부 케이스의 일부 생략 평면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낸 예의 주로 하부 케이스의 일부 확대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낸 예의 주로 하부 케이스의 일부 확대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예의 주로 상부 케이스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나타낸 예의 주로 하부 케이스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나타낸 예의 주로 하부 케이스의 일부 생략 단면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0에 나타낸 예의 주로 하부 케이스의 일부 생략 평면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0에 나타낸 예의 주로 하부 케이스의 일부 확대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0에 나타낸 예의 주로 하부 케이스의 일부 확대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예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나타낸 예의 주로 상부 케이스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나타낸 예의 주로 하부 케이스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20은, 도 17에 나타낸 예의 주로 하부 케이스의 일부 생략 단면 설명도이다.
도 21은, 도 17에 나타낸 예의 주로 하부 케이스의 일부 생략 평면 설명도
도 22는, 도 17에 나타낸 예의 주로 하부 케이스의 일부 확대 설명도이다.
도 23은, 도 17에 나타낸 예의 주로 하부 케이스의 일부 확대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서, 본 예의 슬라이드 베어링(1)은, 환형 하면(2)을 가진 상부 케이스(3), 상부 케이스(3)에 상기 상부 케이스(3)의 축심(O)의 주위를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중첩되는 동시에 환형 하면(2)에 대면한 환형 상면(4)을 가진 하부 케이스(5), 환형 하면(2)과 환형 상면(4) 사이의 환형 공간(36)에 배치된 환형의 스러스트 슬라이드 베어링편(6), 및 환형 공간(36)의 외주 측에 배치된 밀봉 수단(38)을 구비하고 있다.
상부 케이스(3)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환형 하면(2)을 가진 원환형의 상측 환형판부(11), 상측 환형판부(11)의 외주면(12) 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된 원통형의 큰 직경의 상측 외통부(14), 상측 외통부(14)의 하면(16) 측의 내주면(15)의 부위에 일체로 형성된 원환형의 환형 팽대부(18), 상측 환형판부(11)의 내주면(19) 측의 부위에 일체로 형성되어 위쪽을 향 하여 연장된 원통형의 작은 직경의 상측 내통부(21)를 구비하고 있다.
상측 환형판부(11)는, 외측 얇은부(25)와, 외측 얇은부(25)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내측 두꺼운부(26)를 가지고 있다. 외측 얇은부(25)의 외주면(12) 측의 부위에는 상측 외통부(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내측 두꺼운부(26)의 내주면(19) 측의 부위에는 상측 내통부(2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측 환형판부(11)의 하면(13) 중 내측 두꺼운부(26)의 하면은 환형 하면(2)으로 이루어진다.
상측 외통부(14)의 내주면(15)은 상측 환형판부(11)로부터 이반할수록 직경이 커지는 부위를 가지며, 본 예에서는, 상측 환형판부(11)로부터 환형 팽대부(18)까지의 내주면(15)의 부위(17)가 상기 상측 환형판부(11)로부터 환형 팽대부(18) 쪽으로 갈수록 차츰 직경이 커진다.
환형 팽대부(18)는 직경 방향에서 상부 케이스(3)의 외주 측으로부터 내주 측으로 팽창되어 나와 형성되고,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측 환형판부(11)로부터 아래쪽으로 갈수록 차츰 직경이 작아지는 부위를 가진다.
하부 케이스(5)는, 도 1 및 도 3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환형 상면(4)을 가진 하측 환형판부(31)와, 하측 환형판부(31)의 외주면(3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하측 환형판부(31)보다 얇은 환형 돌기부로서의 외주 측 환형 돌기부(33)를 구비하고 있다.
하측 환형판부(31)의 상면(41)에는, 원환형의 환형 오목부(42)가 형성되어 있고, 환형 오목부(42)의 바닥면은 환형 하면(2)에 대면하는 환형 상면(4)으로 이루어진다. 환형 오목부(42)에는, 스러스트 슬라이드 베어링편(6)이 배치되도록 되 어 있다. 하측 환형판부(31)의 내주면(43) 측의 상면(41)에는, 상측 내통부(21)의 내경과 같은 내경의 하측 통부(4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스러스트 슬라이드 베어링편(6)은 그 상면 및 하면에서 환형 하면(2) 및 환형 상면(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하고 있다.
하측 환형판부(31)의 내주면(43)은, 본 예에서는 하측 환형판부(31)의 상면(41)으로부터 하면(45)을 향하여 일정한 곡률을 가지고 직경이 커진다.
환형 하면(2) 및 환형 상면(4), 그리고 스러스트 슬라이드 베어링편(6)의 상면 및 하면 각각에는, 그리스(grease)(윤활유재) 축적용의 홈을 설치해도 된다.
외주측 환형 돌기부(33)는, 그 내주면에서 하측 환형판부(31)의 외주면(3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외주측 환형 돌기부(33)의 내주면에는, 밀봉 수단(38)의 복수의 관통 구멍(54)을 구분 짓는 홈(55)이 형성되어 있다. 외주측 환형 돌기부(33)의 외주면(56)은, 상측 외통부(14)의 내주면(15)에 대하여 밀봉 수단(38)이 배치되는 간극(間隙)을 가지고 해당 내주면(15)에 대면하고 있다.
밀봉 수단(38)은, 하부 케이스(5)의 외주측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54), 복수의 관통 구멍(54)에 삽입되어 하부 케이스(3)에 장착되는 환형 장착부로서의 외주측 환형 장착부(34), 및 외주측 환형 장착부(34)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환형 공간(36)의 외주측을 밀폐하도록 상부 케이스(3)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가요성을 가진 외주측의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37)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환형 공간(36)은, 본 예에서는, 밀봉 수단(38)과 중앙 구멍(91)에 삽입되는 피스톤 로드 등의 축체(軸體)(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분되도록 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밀봉 수단(38)과, 슬라이드 베어링(1)의 내주 측에 설치되는 밀봉 수단에 의해 구분되어도 된다.
관통 구멍(54)은, 본 예에서는, 원주 방향에서 각각 서로 등간격을 가지고 외주측 환형 돌기부(33)에 24개 설치되어 있다. 관통 구멍(54) 각각은, 외주측 환형 돌기부(33)의 평면에서 볼 때 ㄷ자형의 홈(55)의 면과, 하측 환형판부(31)의 외주면(32)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복수의 관통 구멍(54) 각각은, 외주측 환형 돌기부(33)의 상면(52)으로부터 하면(53)까지 연장되어 있다. 하면(53)은 하면(45)보다 상면(41, 52) 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면(52)은 상면(41)과 면이 일치하여도 된다.
외주측 환형 장착부(34) 및 외주측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37)를 구성하는 재료로는, 가교 고무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중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지만,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실리콘 엘라스토머 등이 있다.
외주측 환형 장착부(34)는, 원통형부(61), 원통형부(61)에 일체로 형성된 상부 환형부(62) 및 하부 환형부(63), 그리고 원통형부(61)보다 하측 환형판부(31) 측에서 복수의 관통 구멍(54) 각각에 삽입되어 상부 환형부(62)와 하부 환형부(63)를 연결하고 있는 복수의 연결부(64)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환형부(62)는, 원통형부(6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원통형부(61)로부터 하측 환형판부(31)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하부 환형부(63)는, 원통형부(61)의 하단에 일체 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하측 환형판부(31)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하부 환형부(63)의 두께는 상부 환형부(62)의 두께보다 두껍다. 하부 환형부(63)는 원통형부(61)로부터 하측 환형판부(31)의 외주면(32) 측의 하면(45)까지 연장되어 있다. 하부 환형부(63)의 상면(73)에는, 하측 환형판부(31)의 외주면(32) 측의 하면(45)에 형성된 환형의 오목부(凹部)에 끼워 넣어지는 환형의 볼록부(凸部)(92)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환형부(63)의 하면(75)에는, 이 하면(75)에 맞닿는 스프링받이 부재 등의 상대 부재를 향하여 아래쪽으로 돌출된 환형의 돌출부(93)를 구비하고 있다. 환형의 돌출부(93)는 하측 환형판부(31)의 외주면(32) 측의 하면(45)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외주측 환형 장착부(34)는 복수의 관통 구멍(54)의 각각에 삽입되어 외주측 환형 돌기부(33)를 덮도록 이 외주측 환형 돌기부(33)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원통형부(61)의 내주면(71)은 외주측 환형 돌기부(33)의 외주면(56)에 접하여 있고, 상부 환형부(62)의 환형의 하면(72)은 외주측 환형 돌기부(33)의 상면(52)에 접하여 있으며, 하부 환형부(63)의 상면(73)은 외주측 환형 돌기부(33)의 하면(53)에 접하여 있다. 상부 환형부(62)의 상면(74)은 상면(41)보다 상측 환형판부(11) 측에 위치하고 있다. 하부 환형부(63)의 내주측의 부위는, 예를 들면, 하측 환형판부(31)의 외주 측에 형성된 환형 단부에 설치되어도 되고, 이러한 경우에는, 하부 환형부(63)의 하면(75)은 하면(45)과 면이 일치하여도 된다. 원통형부(61)의 내주면(71), 상부 환형부(62)의 하면(72) 및 하부 환형부(63)의 상면(73)은, 외주측 환형 돌기부(33)의 외주면(56), 상면(52) 및 하면(53)에 접착되어 있어 도 된다.
연결부(64)는, 본 예에서는 관통 구멍(54)의 수, 위치 및 형상으로 대응한 수, 위치 및 형상을 가지고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연결부(64)의 상단은 상부 환형부(62)의 하면(7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연결부(64)의 하단은 하부 환형부(63)의 상면(73)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외주측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37)는 외주측 환형 장착부(34)의 외주면(35)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스러스트 슬라이드 베어링편(6)이 배치되는 상부 케이스(3) 및 하부 케이스(5) 사이의 환형 공간(36)의 외주측을 밀폐하도록 상측 외통부(14)의 내주면(15)에 슬라이드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외주측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37)는, 본 예에서는 상부 환형부(62)의 두께와 동등한 두께를 가진다. 외주측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37)는 상측 외통부(14)에 근접할수록 차츰 상측 환형판부(11)로부터 이반하도록 경사져 있다. 외주측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37)의 외경은, 상측 외통부(14)의 내주면(15)의 최대 직경보다 크거나 또는 그 최대 직경과 동일한 직경이다. 외주측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37)는, 하부 케이스(5)가 상부 케이스(3)의 상측 외통부(14) 내에 밀어넣어져 이 상측 외통부(14) 내에 배치되면, 내주면(15)에 슬라이드 접촉하면서 휘어질 수 있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로지 외주측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37)의 상면(81)에서 내주면(15)에 슬라이드 접촉하게 된다.
상부 케이스(3), 하부 케이스(5) 및 스러스트 슬라이드 베어링편(6)은 합성 수지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스러스트 슬라이드 베어링편(6)을 구성하는 합성 수지 는, 특히 자기 윤활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 케이스(3) 및 하부 케이스(5)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는 내마모성, 내충격성, 내크리프성(creep resistance), 강성 등의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스러스트 슬라이드 베어링편(6)을 구성하는 합성 수지로서는,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부틸렌텔레프탈레이트 수지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불소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부 케이스(3) 및 하부 케이스(5)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로서는, 스러스트 슬라이드 베어링편(6)을 구성하는 합성 수지와 마찬가지의 합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지만, 특히 스러스트 슬라이드 베어링편(6)을 구성하는 합성 수지와 마찰 특성이 양호한 조합으로서, 비교적 강성이 높은 합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바람직한 조합에 대하여 예시하면, 스러스트 슬라이드 베어링편(6)과 상부 케이스(3) 및 하부 케이스(5)에 대하여, 폴리아세탈 수지와 폴리아미드 수지의 조합, 폴리에틸렌 수지와 폴리아세탈 수지의 조합, 폴리부틸렌텔레프탈레이트 수지와 폴리아세탈 수지의 조합, 및 폴리아세탈 수지와 폴리아세탈 수지와의 조합이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수지와 폴리아세탈 수지의 조합이다.
이상의 슬라이드 베어링(1)은, 예를 들면, 스트럿형 서스펜션 어셈블리에 있어 코일 스프링의 상부 스프링 시트와 유압 댐퍼의 피스톤 로드가 고정 장착되는 차체 측의 장착 부재 사이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이 경우, 슬라이드 베어링(1)의 중앙 구멍(91)에 피스톤 로드의 상부가 상부 케이스(3) 및 하부 케이스(5)에 대하 여 축심(O)의 주위에서 R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삽입된다. 슬라이드 베어링(1)을 통하여 장착된 스트럿형 서스펜션 어셈블리에서는, 스티어링 조작에 즈음하여 코일 스프링을 개재하는 상부 스프링 시트의 축심(O)의 주위에서의 상대적인 R 방향의 회전은, 상부 케이스(3)에 대한 하부 케이스(5)의 같은 방향의 상대적인 회전으로 이루어진다.
본 예의 슬라이드 베어링(1)은, 예를 들면, 도 10 내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구성에 더하여, 환형 공간(36)의 내주 측에 배치된 밀봉 수단(138)을 추가로 구비하여도 된다. 이러한 슬라이드 베어링(1)에서는, 하부 케이스(5)는 하측 환형판부(31)의 내주 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하측 환형판부(31)보다 얇은 환형 돌기부로서의 내주측 환형 돌기부(133)를 구비하고 있고, 상측 내통부(21)는, 그 하면으로부터 하부 케이스(5)를 향하여 아래쪽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얇은부(121)를 구비하고 있다.
밀봉 수단(138)은, 하부 케이스(5)의 내주 측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154), 복수의 관통 구멍(154)에 삽입되어 하부 케이스(5)에 장착되는 환형 장착부로서의 내주측 환형 장착부(134), 내주측 환형 장착부(134)에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환형 공간(36)의 내주 측을 밀폐하도록 상부 케이스(3)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가요성을 가진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로서의 내주측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137)를 구비하고 있다.
내주측 환형 장착부(134) 및 내주측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137)는, 외주측 환형 장착부(34) 및 외주측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37)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내주측 환형 돌기부(133)는 그 외주면에서 하측 환형판부(31)의 내주면(43)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내주측 환형 돌기부(133)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154)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관통 구멍(154) 각각은, 내주측 환형 돌기부(133)의 상면(152)으로부터 하면(153)까지 연장되어 있다. 복수의 관통 구멍(154)은 원주 방향에 있어 서로 등간격을 가지고 각각 배치되어 있다.
내주측 환형 장착부(134)는 상부 케이스(3)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이반할수록 차츰 직경이 커지는 만곡된 원통형부(161), 원통형부(161)에 일체로 형성된 상부 환형부(162) 및 하부 환형부(163), 및 관통 구멍(154) 각각에 삽입되어 상부 환형부(162)와 하부 환형부(163)를 연결하고 있는 복수의 연결부(164)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환형부(162)는 원통형부(16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원통형부(161)로부터 하측 환형판부(31)의 내주면(43)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하부 환형부(163)는 원통형부(16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원통형부(161)로부터 하측 환형판부(31)의 내주면(43)을 향하여 만곡되어 연장되어 있다. 원통형부(161) 및 하부 환형부(163)는 서로 협동하여 곡면(166)을 형성하고 있다. 곡면(166)은 하부 케이스(5)의 하부에 있어 중앙 구멍(91)을 구획하고 있다. 내주측 환형 장착부(134)는 복수의 관통 구멍(154) 각각에 삽입되어 내주측 환형 돌기부(133)를 덮도록 이 내주측 환형 돌기부(133)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내주측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137)는, 상부 환형부(162)에 일체로 형성된 원통부(168)와, 원통부(168)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환형 돌출 에지부(169)를 구비하고 있다. 환형 돌출 에지부(169)는, 예를 들면, 도 10 및 도 12에서는 얇은부(121)를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얇은부(121)에 근접할수록 차츰 상측 환형판부(11)으로부터 이반하도록 경사져 있어도 된다. 환형 돌출 에지부(169)의 내경은 얇은부(121)의 외주면(115)의 최소 직경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최소 직경과 동일한 직경이다. 이러한 내주측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137)는 외주면(115)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하고 있다. 얇은부(121)의 외주면(115)은 상측 환형판부(11)로부터 이반할 수록 차츰 직격이 작아지는 부위를 가져도 된다.
또한, 본 예의 슬라이드 베어링(1)은 밀봉 수단(138)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도 17 내지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형 공간(36)의 내주 측에 배치된 밀봉 수단(238)을 구비하여도 된다. 이러한 슬라이드 베어링(1)에서는, 상부 케이스(3)는 상측 내통부(21)에 대신하여, 상측 환형판부(11)의 내주 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하부 케이스(5)를 향하여 아래쪽에 연장되어 있는 상측 내통부(221)를 구비하고 있고, 하부 케이스(5)는 하측 환형판부(31)의 내주 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된 원통형의 하측 내통부(171)와 하측 내통부(171)의 하부 내주 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환형 돌기부로서의 내주측 환형 돌기부(23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슬라이드 베어링(1)은, 하측 내통부(171)와 상측 내통부(221)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원통형의 래디얼(radial) 슬라이드 베어링편(172)을 구비하여도 된다.
밀봉 수단(238)은 하부 케이스(5)의 내주 측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254)과 복수의 관통 구멍(254)에 삽입되어 하부 케이스(5)에 장착되는 환형 장착부로서의 내주측 환형 장착부(234)와 내주측 환형 장착부(234)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환형 공간(36)의 내주 측을 밀폐하도록 상부 케이스(3)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가요성을 가진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로서의 내주측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237)을 구비하고 있다.
관통 구멍(254)은 내주측 환형 돌기부(233)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관통 구멍(254) 각각은, 내주측 환형 돌기부(233)의 상면(252)에서부터 하면(253)까지 연장되어 있다.
내주측 환형 장착부(234)는 복수의 관통 구멍(254) 각각에 삽입되어 하부 케이스(5)에 고정 장착된 단면이 L자형인, 단면 L자형부(261)를 구비하고 있다. 내주측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237)는 단면 L자형부(26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예의 슬라이드 베어링(1)에 의하면, 환형 하면(2)을 가진 상부 케이스(3), 상부 케이스(3)에 이 상부 케이스(3)의 축심(O)의 주위에서 회전 가능해지도록 중첩되는 동시에 상부 케이스(3)의 환형 하면(2)에 대면한 환형 상면(4)을 가진 하부 케이스(5), 환형 하면(2)과 환형 상면(4) 사이의 환형 공간(36)에 배치된 환형의 스러스트 슬라이드 베어링편(6), 및 환형 공간(36)의 외주 측과 내주 측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배치된 밀봉 수단(38 및/또는 138 또는 238)을 구비하고 있고, 밀봉 수단(38 및/또는 138 또는 238)은, 하부 케이스(5)의 외주 측과 내주 측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54 및/또는 154 또는 254), 복수의 관통 구멍(54 및/또는 154 또는 254)에 삽입되어 하부 케이스(5)에 장착되는 환형 장착부로서의 외주측 환형 장착부(34) 및/또는 내주측 환형 장착부(134 또는 234), 이 외주측 환형 장착부(34) 및/또는 내주측 환형 장착부(134 또는 234)에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환형 공간(36)의 외주 측과 내주 측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밀폐하도록 상부 케이스(3)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가요성을 가진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로서의 외주측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37) 및/또는 내주측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137 또는 237)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외주측 환형 장착부(34) 및/또는 내주측 환형 장착부(134 또는 234)가 하부 케이스(5)로부터 분리될 우려를 없앨 수 있는 동시에, 외주측 환형 장착부(34) 및/또는 내주측 환형 장착부(134 또는 234)의 하부 케이스(5)에 대한 회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밀봉 수단(38 및/또는 138 또는 238)의 상부 케이스(3)에 대한 접촉 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어, 따라서 가요성을 가진 외주측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37) 및/또는 내주측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137 또는 237)의 상부 케이스(3)에 대한 슬라이드 접촉에 의한 높은 밀봉성을 발휘할 수 있는 동시에, 이러한 높은 밀봉성의 장기 유지 및 불쾌음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특히 외주측 환형 장착부(34) 및/또는 내주측 환형 장착부(134 또는 234)가 복수의 관통 구멍(54 및/또는 154 또는 254)에 삽입되어 하부 케이스(5)에 장착되므로, 상부 케이스(3)와 하부 케이스(5)와의 상대 회전에서 생길 수 있는 외주측 환형 장착부(34) 및/또는 내주측 환형 장착부(134 또는 234) 및 외주측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37) 및/또는 내주측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137 또는 237)의 비틀림을 없앨 수 있어, 외주측 환형 장착부(34) 및/또는 내주측 환형 장착부(134 또는 234)와 하부 케이스(5) 사이를 통한 환형 공간(36)으로의 인애, 빗물, 흙탕물 등의 침입을 ㄷ더욱 높은 밀봉성을 가지고 방지할 수 있다.
슬라이드 베어링(1)에 의하면, 하부 케이스(5)는, 상기 환형 상면(4)을 가진 하측 환형판부(31), 하측 환형판부(31)의 외주면(32)과 내주면(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하측 환형판부(31)보다 얇은 외주측 환형 돌기부(33) 및/또는 내주측 환형 돌기부(133 또는 233)를 구비하고 있고, 복수의 관통 구멍(54 및/또는 154 또는 254)은, 외주측 환형 돌기부(33) 및/또는 내주측 환형 돌기부(133 또는 233)로 구분되어 있으며, 외주측 환형 장착부(34) 및/또는 내주측 환형 장착부(134 또는 234)는,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54 및/또는 154 또는 254)에 삽입되어 외주측 환형 돌기부(33) 및/또는 내주측 환형 돌기부(133 또는 233)를 덮고 있다. 이와 같은 바람직한 예에 따르면, 외주측 환형 장착부(34) 및/또는 내주측 환형 장착부(134 또는 234)를 하부 케이스(5)에 더욱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다.
슬라이드 베어링(1)에 의하면, 환형 공간(36)의 외주측에 배치된 밀봉 수단(38)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부 케이스(3)는, 상기 환형 하면(2)을 가진 상측 환형판부(11)과 상측 환형판부(11)의 외주면(12) 측에 형성된 상측 외통부(14)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밀봉 수단(38)의 외주측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37)는 상측 외통부(14)에 근접할수록, 상측 환형판부(11)로부터 이반하도록 경사져 있기 때문에, 높은 밀봉성을 발휘할 수 있는 동시에 밀봉 수단(38)에 의한 높은 밀봉 성의 장기 유지도 도모할 수 있다.
슬라이드 베어링(1)에 의하면, 상측 외통부(14)의 내주면(15)은 상측 환형판부(11)로부터 이반할수록 직경이 커지는 부위(17)를 가지고 있고, 환형 공간(36)의 외주 측에 배치된 밀봉 수단(38)의 외주측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37)의 외경은, 상측 외통부(14)의 내주면(15)의 최대 직경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최대 직경과 동일한 직경이므로, 외주측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37)가 상측 외통부(14)로부터 이반할 우려를 없앨 수가 있어, 높은 밀봉성을 발휘할 수 있다.
슬라이드 베어링(1)에 의하면, 환형 공간의 내주 측에 배치된 밀봉 수단(138 또는 238)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부 케이스(3)는 상기 환형 하면(2)을 가진 상측 환형판부(11)와, 상측 환형판부(11)의 내주면(19) 측에 형성된 얇은부(121)를 가진 상측 내통부(21) 또는 상측 내통부(221)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밀봉 수단(138 또는 238)의 내주측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137 또는 237)는, 상측 내통부(21 또는 221)에 근접할수록 상측 환형판부(11)로부터 이반하도록 경사져 있어도 되므로, 높은 밀봉성을 발휘할 수 있는 동시에 높은 밀봉성의 장기 유지도 도모할 수 있다.
슬라이드 베어링(1)에 의하면, 상측 내통부(21)의 얇은부(121)의 외주면(115) 또는 상측 내통부(221)의 외주면(215)은, 상측 환형판부(11)로부터 이반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부위를 가져도 되고, 환형 공간(36)의 내주 측에 배치된 밀봉 수단(138 또는 238)의 내주측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137 또는 237)의 내경은, 외주면(115 또는 215)의 최소 직경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최소 직경과 동일한 직경 이어도 되므로, 내주측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137 또는 237)이 상측 내통부(21 또는 221)로부터 이반할 우려를 없앨 수가 있어, 높은 밀봉성을 발휘할 수 있다.

Claims (11)

  1. 환형 하면을 가진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에 상기 상부 케이스의 축심(軸心)의 주위에서 회전 가능해지도록 중첩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 케이스의 환형 하면에 대면한 환형 상면을 가진 하부 케이스;
    상기 환형 하면 및 상기 환형 상면 사이의 환형 공간에 배치된 환형의 스러스트 슬라이드 베어링편(thrust slide bearing piece); 및
    상기 환형 공간의 외주 측과 내주 측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배치된 밀봉 수단(seal means)
    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 수단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주 측과 내주 측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에 장착되는 환형 장착부; 및
    상기 환형 장착부에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환형 공간의 외주 측과 내주 측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밀폐하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가요성을 가진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베어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기 환형 상면을 가진 하측 환형판부; 및
    상기 하측 환형판부의 외주면 및 내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하측 환형판부보다 두께가 얇은 환형 돌기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은 상기 환형 돌기부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환형 장착부는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환형 돌기부를 덮고 있는, 슬라이드 베어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장착부는,
    원통형부;
    상기 원통형부에 일체로 형성된 상부 환형부 및 하부 환형부;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상부 환형부와 상기 하부 환형부를 연결하고 있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베어링.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장착부는,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에 고정 장착된 단면 L자형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베어링.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공간의 외주 측에 배치된 밀봉 수단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환형 하면을 가진 상측 환형판부; 및 상기 상측 환형판부의 외주면 측에 형성된 상측 외통부(上側 外筒部)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수단의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는, 상기 상측 외통부에 근접할수록 상기 상측 환형판부로부터 이반(離反)하도록 경사져 있는, 슬라이드 베어링.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외통부의 내주면(內周面)은 상기 상측 환형판부로부터 이반할수록 직경이 커지는 부위를 가지며,
    상기 환형 공간의 외주 측에 배치된 상기 밀봉 수단의 상기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의 외경은, 상기 상측 외통부의 내주면의 최대 직경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최대 직경과 동일한 직경인, 슬라이드 베어링.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공간의 내주 측에 배치된 밀봉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환형 하면을 가진 상측 환형판부; 및 상기 상측 환형판부의 내주면 측에 형성된 상측 내통부(上側 內筒部)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수단의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는, 상기 상측 내통부에 근접할수 록 상기 상측 환형판부로부터 이반하도록 경사져 있는, 슬라이드 베어링.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내통부의 외주면은, 상기 상측 환형판부로부터 이반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부위를 가지며,
    상기 환형 공간의 내주 측에 배치된 상기 밀봉 수단의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의 내경은, 상기 상측 내통부의 외주면의 최소 직경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최소 직경과 동일한 직경인, 슬라이드 베어링.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얇은 환형 돌출 에지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s elastomer)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베어링.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합성 수지제이며,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형성하는 합성 수지는,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불소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베어링.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러스트 슬라이드 베어링편은 합성 수지제이고,
    상기 스러스트 슬라이드 베어링편을 형성하는 합성 수지는,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불소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베어링.
KR1020087030357A 2006-05-15 2007-05-10 슬라이드 베어링 KR200900241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35299 2006-05-15
JP2006135299A JP4997822B2 (ja) 2006-05-15 2006-05-15 滑り軸受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5147A Division KR101523036B1 (ko) 2006-05-15 2007-05-10 슬라이드 베어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150A true KR20090024150A (ko) 2009-03-06

Family

ID=3869365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0357A KR20090024150A (ko) 2006-05-15 2007-05-10 슬라이드 베어링
KR1020137035147A KR101523036B1 (ko) 2006-05-15 2007-05-10 슬라이드 베어링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5147A KR101523036B1 (ko) 2006-05-15 2007-05-10 슬라이드 베어링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16489B2 (ko)
JP (1) JP4997822B2 (ko)
KR (2) KR20090024150A (ko)
CN (1) CN101449068B (ko)
BR (1) BRPI0712241B1 (ko)
RU (1) RU2427733C2 (ko)
WO (1) WO20071325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57590A1 (de) * 2008-08-13 2010-02-18 Schaeffler Kg Federbeingleitlager
JP5516210B2 (ja) 2010-08-06 2014-06-11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スラスト滑り軸受
JP5444270B2 (ja) * 2011-02-23 2014-03-19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のスラスト滑り軸受
JP5644636B2 (ja) * 2011-03-30 2014-12-24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スラスト滑り軸受及びこのスラスト滑り軸受とピストンロッドとの組合せ機構
US9011009B2 (en) 2011-04-21 2015-04-21 Illinois Tool Works Inc. Direct acting endlink seal
JP5842402B2 (ja) * 2011-06-20 2016-01-13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スラスト滑り軸受
JP5909976B2 (ja) * 2011-10-07 2016-04-27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の滑り軸受
JP6194586B2 (ja) * 2013-01-29 2017-09-13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の滑り軸受
JP5755277B2 (ja) * 2013-03-27 2015-07-29 東レプラスチック精工株式会社 軸受用受け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軸受用受け皿を用いてなる軸受
JP6303239B2 (ja) * 2014-08-12 2018-04-04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スラスト滑り軸受
JP2017125598A (ja) * 2016-01-15 2017-07-20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滑り軸受
US11473626B2 (en) 2016-05-16 2022-10-18 Roller Bearing Company Of America, Inc. Bearing system with self-lubrication features, seals, grooves and slots for maintenance-free operation
DE202017100717U1 (de) 2017-02-10 2018-05-14 Rollax Gmbh & Co. Kg Federbeinlager
DE202017101865U1 (de) 2017-03-30 2018-07-03 Rollax Gmbh & Co. Kg Federbeinlager
JP6917290B2 (ja) * 2017-12-12 2021-08-11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滑り軸受
JP2019105306A (ja) * 2017-12-12 2019-06-27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滑り軸受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128002B2 (ja) 2018-03-22 2022-08-30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滑り軸受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005700A (zh) * 2019-04-05 2019-07-12 聊城鲁寰轴承有限公司 一种具有防尘防水功能的推力球轴承
US11465670B2 (en) * 2019-04-18 2022-10-11 Zf Active Safety And Electronics Us Llc Steering shaft support assembly
EP3892873B1 (en) * 2020-04-10 2022-08-31 Roller Bearing Company of America, Inc. Inner and outer seal assembly; thrust bearing assembly with such seals for maintenance-free operation
CN114738383A (zh) * 2021-01-07 2022-07-12 易格斯(上海)拖链系统有限公司 塑料滑动轴承
JP2022144007A (ja) * 2021-03-18 2022-10-03 株式会社ニッキ レギュレ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64987C (fi) 1976-05-06 1984-02-10 Freudenberg Carl Fa Taetningselement foer spalten mellan tvao relativt varandra rorliga rotationssymmetriska delar
US4969752A (en) * 1986-09-01 1990-11-13 Oiles Industry Co., Ltd. Thrust bearing made of synthetic resin
JPH0238568U (ko) * 1988-09-05 1990-03-14
JPH09144890A (ja) * 1995-11-24 1997-06-03 Nok Corp 密封装置
JP4419217B2 (ja) * 1999-07-15 2010-02-24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の滑り軸受
JP4482961B2 (ja) * 1999-07-15 2010-06-16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の滑り軸受
JP2002187162A (ja) * 2000-12-22 2002-07-02 Nissan Motor Co Ltd インサート成型構造及びインサート成型方法
JP3988397B2 (ja) * 2001-02-27 2007-10-10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の滑り軸受
JP4099996B2 (ja) * 2002-01-22 2008-06-11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スラスト滑り軸受
JP4378983B2 (ja) * 2003-03-25 2009-12-09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ストラット滑り軸受
JP5561660B2 (ja) * 2006-05-12 2014-07-30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滑り軸受
JP4646143B2 (ja) * 2006-05-18 2011-03-09 株式会社Fts 燃料タンクの開口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49068A (zh) 2009-06-03
JP2007303643A (ja) 2007-11-22
US8016489B2 (en) 2011-09-13
KR101523036B1 (ko) 2015-05-26
US20090220179A1 (en) 2009-09-03
JP4997822B2 (ja) 2012-08-08
RU2008147812A (ru) 2010-06-20
KR20140009595A (ko) 2014-01-22
RU2427733C2 (ru) 2011-08-27
BRPI0712241A2 (pt) 2012-01-17
BRPI0712241B1 (pt) 2020-03-31
WO2007132557A1 (ja) 2007-11-22
CN101449068B (zh) 201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4150A (ko) 슬라이드 베어링
EP2022994B1 (en) Sliding bearing
JP3988397B2 (ja) 合成樹脂製の滑り軸受
EP2719910B1 (en) Synthetic-resin plain bearing
CA2804489C (en) Thrust sliding bearing
KR101134667B1 (ko) 스러스트 슬라이드 베어링
KR102361216B1 (ko) 미끄럼 베어링
US9239081B2 (en) Synthetic resin-made sliding bearing
CN102822542A (zh) 具有移动密封环的轴向止推轴承装置
JP5234197B2 (ja) 滑り軸受
JP4380177B2 (ja) スラスト滑り軸受
EP3534024B1 (en) Sliding bearing
JP4788803B2 (ja) スラスト滑り軸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1202

Effective date: 2014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