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3366A - 콘택트 렌즈 소독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콘택트 렌즈 소독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3366A
KR20090023366A KR1020087029733A KR20087029733A KR20090023366A KR 20090023366 A KR20090023366 A KR 20090023366A KR 1020087029733 A KR1020087029733 A KR 1020087029733A KR 20087029733 A KR20087029733 A KR 20087029733A KR 20090023366 A KR20090023366 A KR 20090023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lock
pressure
packag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9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란시스커스 코넬리우스 딩스
마이챌 아드리아너스 써도러스 홈푸스
마이첼 파울러스 안토니우스 마리에 프린즈
윌헬무스 가데프리더스 조안네스 스윈켈스
Original Assignee
오티비 그룹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비 그룹 비브이 filed Critical 오티비 그룹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90023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33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1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e.g. electricity, ultrasonics or ultrafiltration
    • A61L12/04He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된 패키지(package) 내의 습한 환경에 포함되어 있는 콘택트 렌즈(contact lenses)를 소독(sterilizing)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패키지를 고온 건조한 공기로 가열된 공간(space)으로 도입(introducing)함으로써 가열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소독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콘택트 렌즈 소독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ILIZING CONTACT LENSES}
본 발명은 콘택트 렌즈 소독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밀폐된 패키지(package) 내의 습한 환경에서 콘택트 렌즈를 소독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압력 챔버(autoclave chamber)에서 스팀(steam)으로 콘택트 렌즈를 가열함으로써 콘택트 렌즈를 소독하는 기술은 공지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고압 공간에서 온도가 상승할 때 스팀이 생성되는 방식으로서, 간단한 제어가 요구되는 슬로우 배치 프로세스(slow batch process)이다. 온도가 더 상승하면, 압력 챔버 내에 생성된 스팀의 영향으로 압력 챔버의 압력은 자동적으로 상승한다.
실제로, 물품을 빠르게 속독하기 위하여는 스팀이 필요하다는 편견들이 보편적이다. 스팀이 물품의 표면에 응결하고, 이로 인하여 물방울의 열이 방출되어, 물품으로 매우 신속한 열 전도가 일어나 소독이 된다. 더 나아가, 밀폐된 패키지의 내부 압력과 외부 압력이 실질적으로 동일해져서, 패키지는 파괴되지 않는다.
그러나, 스팀이 부식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특히 패키지된 콘택트 렌즈에 대하여는 스팀 사용이 좋지 않다. 일반적으로 콘택트 렌즈의 알루미늄 호일 패키지가 스팀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다른 형태의 콘택트 렌즈 패키지도 스팀에 의 해 영향을 받는다. 콘택트 렌즈의 표면에 얼룩(spot)이 생기며, 이는 패키지의 깨끗한 외관에 악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일으키지 않고 패키지된 콘택트 렌즈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소독하는 방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패키지의 외부는 소독될 필요가 없다. 패키지의 내부에 스팀이 생성되는 한 (그리고 습한 환경이 형성될 가능성이 있는 한) 패키지 내부와 그 속에 포함된 렌즈는 신속히 소독될 수 있다. 스팀 생성의 관점에서 보면, 패키지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여 패키지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은 전술한 형태의 방법을 제공하고, 이는 고온 건조한 공기로 가열된 공간에 패키지를 위치시킴으로써 가열되도록 한다.
건조한 공기로 인하여, 패키지 외부에는 스팀이 형성되지 않으며 패키지의 깨끗한 외관도 손상을 입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도, 패키지 내부의 유효(prevailing) 온도에서 패키지 외부의 기압이 패키지 내부의 수증기압보다 높고, 패키지 내에서 뜨거운 물과 가능하다면 스팀이 생성되도록 고온 건조한 공기의 온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팀은 소독을 위한 필수 조건은 아니며 압력은 온도와 관련하여 수증기압보다 더 높을 수 있다.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공간은 초 대기압이거나 초 대기압으로 되어 간다. 초 대기압인 공간에서 압력에 의해, 패키지 내부에서 가능한 스팀 생성 및 내부 압력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패키지가 폭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키지는 많이 확장되거나 나중에 많이 축소되지도 않으며, 패키지 상에 어떠한 자국도 발생하지 않으며 외관상 변화도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초 대기압은 패키지 내부의 유효 압력 이상으로 유지된다. 패키지 내부의 유효 압력은 스팀에 대한 압력/온도 그래프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패키지 내부의 습도의 스팀/증기압 곡선은 특정 온도에서 패키지 내의 유효 압력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압력은 약 4 bar에서 유지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렌즈 패키지는 캐리어(carrier) 내부 공간으로 도입된다.
바람직하게는, 패키지들은 서로 병렬로 배치된다.
병렬 배치에 의하여, 작은 공간에서, 콘택트 렌즈를 갖는 많은 수의 패키지가 배치되어 소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고온의 공기가 패키지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고온 공기의 이동은 패키지로의 열 전도에 효율적이다. 고온 건조한 공기의 흐름은 터뷸런트 공기 흐름(turbulent air flow)이 바람직하다.
캐리어들은 우선 밀폐가능한 로드 락(load lock)으로 유도될 수 있으며, 캐리어들이 로드 락 내로 유도된 후에는, 로드 락에서 온도와 압력은 원하는 값으로 조정된다. 원하는 온도는 예컨대 약 90℃ 이상이 될 수 있으며, 원하는 압력은 예컨대 약 3 bar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4 bar 이상이다. 그 다음, 캐리어는 로드 락에서 캐리어 수용 챔버(carrier receiving chamber)로 이동될 수 있으며, 캐리어 수용 챔버에는 높은 압력 하에 고온의 공기가 계속하여 존재한다. 순서(order)는, 패키지 외부 온도가 전술한 수증기압에 이르도록, (패키지 외부의) 최소 압력은 이와 같이 주어진 수증기압에 따른다. 바람직하게도, 고온의 공기는 적어도 100℃ 이고, 공간은 특히 약 2 bar 또는 3 bar 이상, 바람직하게는 4 bar 이상의 압력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온도 및 압력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온도 및 압력은 바람직하게도 종래 시스템에서도 수증기압에 의해 결정되지 않는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압력은 온도와 관련하여 패키지 내의 수증기압 이상이면 된다. 더 나아가, 고온의 공기는 순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도, 제2 밀폐가능 락은 캐리어 수용 챔버로부터 패키지 내에 포함된 한번 소독된 콘택트 렌즈를 수용하기 위해 존재하며, 이에 의해 콘택트 렌즈를 포함하는 패키지는 캐리어 수용 챔버로부터 제2 락으로 이동한다. 그 후, 제2 락의 온도는 낮아지고 또한 제2 락의 온도도 낮아지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락의 유효 압력은 패키지 내의 유효 압력보다 항상 높게 된다.
캐리어들은 캐리어 수용 챔버로 유도하고 캐리어 수용 챔버로부터 캐리어들을 제거하기 위해 각각 로드 락과 언로드 락을 사용하는 경우, 캐리어 수용 챔버 내부의 온도 및 압력은 동일한 레벨로 유지될 수 있다. 캐리어 수용 챔버는 규칙적으로 가열되거나 냉각될 필요가 없지만, 캐리어 내부에 렌즈를 구비하는 패키지를 연속적으로 소독할 수 있다. 그 결과, 실제의 소독 프로세스는 연속적인 프레세스이며, 캐리어의 도입 및 제거는 간헐적인 프로세스이다. 또한, 인라인(in-line) 시스템에서 상기 소독 프로세스의 사용은 캐리어의 중간 보관소(intermediate storage)가 필요없다.
2개의 락(lock), 즉 로드 락(load lock) 및 언로드 락(unload lock)를 구비하는 실시예의 경우, 언로드 락에 포함되어 있는 공기의 냉각으로 방출된 열을 로드 락에 포함된 공기를 가열시키는데 이용하는 더욱 바람직하다.
언로드 락에서 로드 락으로의 열 전도는 에너지를 절약하고, 가열 프로세스의 속도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습한 환경에 있는 콘택트 렌즈(contact lenses)를 소독(sterilizing)하기 위한 제1 장치로서, 다수의 패키지된 콘택트 렌즈를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캐리어들을 수용할 수 있는 캐리어 수용 챔버; 건조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팅 디바이스(heating device); 및 소정의 온도 및 압력 범위 내에서 상기 캐리어 수용 챔버 내부에 고온 건조한 공기를 계속하여 유지시키며, 상기 캐리어 챔버 내부의 압력을 초대기압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구비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소독 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참조하여, 상기 장치와 관련하여 상응하는 장점들을 얻을 수 있다. 더 나아가, 고온을 이용하는 소독 장치는 스팀을 이용하는 소독 장치보다 사용자에게 더 안전하다. 사고가 날 경우, 고온의 공기는 고온 스팀의 사용으로 인해 방출되는 응축열(heat of condensation)보다 상처가 덜 심하다.
본 발명은 또한 습한 환경에 있는 콘택트 렌즈(contact lenses)를 소독(sterilizing)하기 위한 제2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다수의 패키지된 콘택트 렌즈를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캐리어들을 수용할 수 있는 캐리어 수용 챔버; 증기(steam)를 포함할 수 있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팅 디바이스(heating device);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락(lock); 및 상기 캐리어 수용 챔버 내부를 소정의 온도 범위 내에서 유지시키고, 특정 경로를 따라서 상기 락 내부의 적어도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소독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와 관련하여, 효과적인 방식으로, 반연속적으로(semicontinuously), 렌즈 소독 프로세스가 특히 에너지 관점에서 바람직하게 얻어질 수 있다. 캐리어 수용 챔버의 내부는 일정하게 유지되어, 에너지 소모가 거의 없다. 단지 적어도 하나의 락 내부의 공간이 가열되고 냉각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장점들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장치에서 얻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락를 구비하며, 상기 장치는 특정 경로를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락 내부의 온도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제1 장치 및 제2 장치는 제2 락을 구비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락은 로드 락이고 제2 락은 언로드 락이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제1 장치 및 제2 장치는 상기 언로드 락에서 방출되는 열을 공기로 전도하여, 상기 로드 락 내부의 캐리어가 가열되도록 하는 열 전도부를 포함한다. 상기 열 전도부는 에너지를 절약시키고 로드 락의 가열 속도를 상승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캐리어 수용 챔버는 드럼 및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캐리어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드럼은 적어도 하나의 락이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opening)를 구비한다. 로드 락 내에 위치하는 캐리어에 대하여, 상기 개구부는 드럼 내의 캐리어 프레임으로의 액세스(access)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는 캐리어에 대하여 상기 개구부는 언로드 락으로의 액세스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가열된 공기를 상기 캐리어 수용 챔버를 통해 순환시키는 순환 디바이스(circulation device)를 구비한다. 순환하는 고온 공기는 캐리어 수용 챔버 내에서 공기와 패키지 사이의 열 전도 효율을 증대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순환 디바이스는 상기 드럼을 통해서 제1 방향으로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배치되고, 상기 캐리어 프레임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캐리지의 가열이 역류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캐리어 수용 챔버 내의 온도 및 압력을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온도 및 압력의 프로세스 파라미터를 최적의 설정(setting)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콘택트 렌즈 소독 장치의 일부 절단 투시도이다.
도 2는 콘택트 렌즈 소독 장치의 제2의 일부 절단 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콘택트 렌즈 소독 장치에서 라인 A-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고압 소독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독 프레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캐리어의 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도면상에서 유사한 부분에 대하여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였다.
도 1에는 콘택트 렌즈 소독 장치(1)의 일부 절단 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도 1의 콘택트 렌즈 소독 장치에 대해 전반적으로 절단된 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1)를 이용하여, 밀폐된 패키지(2) 내부의 습한 환경에 있는 콘택트 렌즈가 소독된다. 이를 위해, 패키지(2)는 가열되고, 패키지 내부는 고온 건조한 공기로 가열된다. 건조한 공기로 소독을 하면 스팀으로 소독하는 경우와 같이 패키지가 습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고온 공기을 이용하는 소독 장치는 스팀을 이용하는 소독 장치보다 사용자에게 더 안전하다. 사 고가 발생한 경우, 고온 공기는 고온 스팀을 사용할 때 방출되는 응축 열보다 상처가 덜하다.
공간은 초 대기압이거나 또는 초 대기압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1)는 캐리어 수용 챔버(3)를 포함하고, 캐리어 수용 챔버(3)는 예컨대 압력 용기(pressure vessel) 등과 같은 드럼(druam)(3a) 및 드럼(3a)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다수의 캐리어들(4)을 수용하기 위한 캐리어 프레임(carrier frame)(3b)을 구비하는 소독 탱크(sterilization tank)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캐리어들(4)은 콘택트 렌즈를 구비하는 다수의 패키지들(2)을 수용할 수 있다. 예컨대, 패키지는 단단한 플라스틱 하부(lower part)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알루미늄 호일(foil)로 된 클로져(closure)로 밀폐될 수 있다. 패키지는 물론 전체가 유연한 물질(flexible material)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에는 캐리어(4)의 예를 도시하였다. 이와 같은 캐리어(4)는 예컨대 경량의 캐리어가 될 수 있다.
장치(1)는 건조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팅 디바이스(5)를 더 구비한다. 제어부(10)(도 1 및 도 2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함)는 드럼(3a) 내부에서 소정의 온도 및 압력 범위 내에서 계속하여 고온 건조한 공기를 유지할 수 있다. 캐리어 수용 챔버(3)는 이미 가열되었으며, 120~130℃ 의 온도를 갖는다. 캐리어 수용 챔버(3)는 예컨대 드럼(3a) 주위를 감고 있는 절연된 저항선(resistance wire)을 사용함으로써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수용 챔버(3)는 고온 공기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다른 가열 수단도 물론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캐리어 수용 챔버(3)는 절열되며, 열 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인다. 히팅 디바이스(5)는 보충적으로 공기를 가열하고 냉각함으로써 드럼(3a) 내부의 고온 공기를 원하는 온도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제어부(1)는 초대기압을 유지하기 위하여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초대기압은 패키지(2) 내부의 유효 압력, 예컨대 3 bar 이상으로 유지된다.
밀폐된 패키지(2) 내에서 콘택트 렌즈를 소독하기 위하여, 패키지(2)는 캐리어(4) 내부에 병렬로 배치되며(도 6 참조), 캐리어 프레임(3b)은 드럼(3a)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캐리어 프레임(3a)의 회전은 하나 이상의 자기 커플링(magnetic coupling)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패키지(2)를 포함하는 캐리어(4)는 먼저 밀폐가능한 락(6), 즉 로드 락(load lock)(6)으로 유도된다. 캐리어(4)가 로드 락(6) 내에 위치할 때, 락(6) 내부의 온도와 압력은 원하는 값으로 조정된다. 락 내부의 압력은 드럼(3a) 내주의 유효 압력과 동일한 값으로 조정된다. 락 내부의 온도는 약 90℃ 로 조정된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설명한다. 이를 위해, 장치(1)는 특정 경로를 따라서 락 내부의 온도와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10)를 이용한다. 원하는 값들에 도달할 때, 로드 락(6)은 오픈(open)되며, 캐리어(4)는 드럼(3a)의 개구부(opening)(11)를 통해 로드 락(6)에서 캐리어 수용 챔버(3)로 이동한다. 자성 효과를 통해, 캐리어(4)는 R1 방향으로 드럼(3a) 내의 캐리어 프레임(3b)으로 이동한다. 드럼(3a) 내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과잉 압력(excess pressure) 이하의 고온 공기가 계속하여 존재한다.
도 3은 캐리어 수용 챔버(3)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장치(1)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팬(fan)을 구비하며 자성 클러치(magnetic clutch)에 의해 이동하는 순 환 디바이스(circulation device)(7)를 포함함을 알 수 있다. 순환 디바이스(7)는 캐리어 수용 챔버(3)의 드럼(3a) 내부에 있는 고온 공기를 순환시킨다. 순환 디바이스(7)는 고온 건조한 공기를 공기 공급기(air supply)(7a)에서 제1 방향(R3)으로 드럼(3a)을 통해 공기 배출기(air discharge)(7b)로 순환시킨다. 동시에, 캐리어 프레임(3b)은 제1 방향(R3)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R4)로 회전한다. 캐리어(4)는 제1 위치(6a)에서 캐리어 수용 챔버(3)의 캐리어 프레임(3b) 내부로 유도된다. 소독 후, 캐리어들은 제2 위치(8a)에서 캐리어 수용 챔버(3)의 캐리어 프레임(3b)으로부터 배출된다. 이들 위치는 물론 캐리어 수용 챔버(3)의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지만, 예컨대 로드 락과 언로드 락이 캐리어 수용 챔버(3)의 서로 반대 측면에서 동일선 상에 배치되면 입구와 출구 위치는 일치할 것이다. 더 나아가, 제1 방향(R3)과 제2 방향(R4)은 또한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반대가 될 수 있다. 그 결과, 고온 건조한 공기는 패키지(2)를 따라서 이동하고, 이들은 반대 방향으로 가열되어 효율적인 열 전도가 이루어진다. 제어부(도 1 및 도 2 참조)는 캐리어 수용 챔버(3) 내의 온도 및 압력을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패키지(2) 내에 액체가 존재하여, 패키지(2) 내부에 스팀이 형성되고, 그 결과 콘택트 렌즈가 소독된다. 캐리어 수용 챔버(3) 내에서 초대기압이 패키지(2)의 내의 압력보다 높기 때문에, 스팀 생성으로 인하여 패키지(2)가 팽창하지 않으며, 패키지(2)의 파손이 방지된다. 패키지(2) 주위에 존재하는 고온 건조한 공기는 어떠한 스팀을 포함하지 않으며, 이에 의해 전형적인 알루미늄 패키지가 영향을 받지 않는다.
패키지들(2)에 포함된 콘택트 렌즈의 소독이 끝난 후, 캐리어들(4)은 자력을 이용해 캐리어 수용 챔버(3)를 벗어나 캐리어 프레임(3b)에서 R2 방향으로 언로드 락(8)으로 이동한다. 캐리어 수용 챔버(3)의 측면에 위치하는 언로드 락(8)의 개구부(12)는 닫히고, 제2 락(8) 내의 온도와 압력은 하강한다. 이러한 하강은 언로드 락(8) 내의 유효 압력이 패키지 내의 유효 압력보다 항상 더 크게 되는 비율(rate)로 진행한다. 여기에 또한, 제어부(10)는 특정 경로를 통하여 온도 및 압력의 하강을 제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패키지(2)는 전체 냉각 프로세스 동안 남게 된다. 언로드 락(8)은 저온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능동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장치(1)는 로드 락(6)과 언로드 락(8) 사이에 열 전도부(9)를 포함한다. 열 전도부(9)는 언로드 락(8)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냉각시킴으로써 방출되는 열이 로드 락(6)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데 사용되도록 한다. 그 결과,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로드 락(6) 내부의 가열 프로세스가 신속히 진행된다.
장치(1)는 프로세스 통합 수단(process integration means) 더 포함하고, 그 결과 장치(1)는 반연속적인(semicontinuous) 프로세스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패키지(2) 내부에 포함된 콘택트 렌즈의 소독은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고, 패키지하고, 소독하는 프로세스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다른 프로세스 단계도 또한 선택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1)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소독 프로세스 단계는, 장치(1)가 개별 캐리어에 대해 가열 및 냉각 기간을 줄인다는 점에서, 비교적 짧다. 캐리어들은 정규적인 짧은 간격(interval)으로 소독 장치에서 배출되고, 어떠 한 연후속적인 프로세스 단계들을 가로지를 수 있다. 소독 장치가 동일선 상에서 사용되면, 캐리어의 중간 보관소(intermediate storage)가 필요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소독 프로세스의 청결함의 관점에서,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고압에서의 소독 프로세스를 나타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독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수평축 및 수직축은 각각 시간 및 압력/온도를 나타낸다. 도 4에서, 일군(batch)의 패키지의 소독 과정이 도시된다. 일군의 패키지는 t=-4.5에서 고압 장치로 위치된다. 패키지를 포함하는 고압 장치가 상온에서부터 약 120℃까지 가열되고, 압력은 대기압(1 bar)에서부터 약 3bar로 상승한다. t=0에서, 이러한 상태에 도달하고, 패키지 내의 실질적인 물품 소독이 시작된다. t=15에서, 고압 장치 내에서 냉각 및 압력 하강이 시작되고, t=17에서, 일군의 패키지는 고압 장치에서 배출된다. 즉, 고압 장치에 일군의 패키지가 들어간 후 약 20분 후에 나오게 된다. t=21에서, 초기 상태에 도달하고, 다음 일군의 패키지가 고압 장치로 유입된다. 약 25분 정도의 사이클(cycle)이 반복되어, 각각의 다음 일군의 물품들이 소독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캐리어 수용 챔버는 약 120℃의 온도 및 약 4 bar의 압력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t=-1에서, 캐리어들이 외부로부터 로드 락으로 유입된다. 락은 밀폐되고, 락 내부의 압력은 대기압(1 bar)에서부터 약 4 bar로 소정 구간(A)동안 상승된다. 또한, 락의 온도는 상승하여 90℃에 도달한다. t=0에서, 제1 캐리어는 로드 락에서 캐리어 수용 챔버 내의 캐리어 프레임으로 이동하고, 이들 캐리어에 대한 소독 프로세스가 시작된다. B 구간 이후에, t=15에 도달하면, 이들 캐리어는 언로드 락에 위치하고, 이때 언로드 락 내부 압력은 드럼 내부의 유효 압력과 동일하며, 언로드 내의 압력 하강과 냉각이 시작되어 구간 C 이후에 대기압과 상온에 대략적으로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 약 16.5분 후에는 첫번째 캐리어들은 소독 장치를 떠나게 된다.
한편, t=0+x에서 두번째 캐리어가 외부로부터 캐리어 수용 챔버로 이동하며, 연이어 t=0+2x에서 세번째 캐리어가 외부로부터 캐리어 수용 챔버로 이동하며,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된다. 이러한 캐리어들은 전술한 첫번째 캐리어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각각 약 16.5분 후에는 소독 장치를 떠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계속하여 진행될 수 있으며, 캐리어 수용 챔버 내부의 특성은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이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정의된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이 가능함을 알 것이다. 예컨대, 전술한 장치는 캐리어 수용 챔버 내의 고온 공기가 스팀을 포함하더라도 또한 습한 환경에서도 패키지된 콘택트 렌즈를 소독하는데 적합하다. 이를 위하여, 장치는 다수의 캐리들을 수용하기 위한 캐리어 수용 챔버를 포함하고, 여기서 다수의 캐리어들은 다수의 패키지된 콘택트 렌즈를 수용할 수 있으며, 히팅 디바이스는 스팀을 포함할 수도 있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의 락은 소정 온도 범위 내에서 캐리어 수용 챔버 내부의 온도를 계속하여 유지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며, 제어부는 특정 경로를 통해 적어도 락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배 치된다. 본 장치는 부식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패키지들 내부에 포함된 콘택트 렌즈를 소독하는데 적합하다. 본 장치는 또한 반연속적인 소독 프로세스에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장치에 대해 설명한 것과 동일한 부분(parts)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로드 락 또는 언로드 락으로 몇몇 캐리어들이 동시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수용 챔버는 다른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캐리어들은 다른 방식으로 캐리어 프레임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캐리어들은 다른 피드 쓰루(feed through)를 이용하여 로드 락에서 캐리어 수용 챔버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수용 챔버에서 언로드 락까지 캐리어 전송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6)

  1. 밀폐된 패키지(package) 내의 습한 환경에 포함되어 있는 콘택트 렌즈(contact lenses)를 소독(sterilizing)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패키지를 고온 건조한 공기로 가열된 공간(space)으로 도입(introducing)함으로써 가열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소독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초대기압(superatmospheric pressure) 상태 또는 초대기압 상태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소독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대기압은 패키지 내의 유효(prevailing) 압력 이상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소독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은 약 3 bar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소독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패키지들은 상기 캐리어 내의 공간으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소독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들은 서로 병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소독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건조한 공기는 패키지들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소독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건조한 공기의 흐름은 터뷸런스 공기 흐름(turbulent air flo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소독 방법.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들은 밀폐가능한 로드 락(load lock)으로 먼저 도입되고, 상기 캐리어들이 도입된 후에, 상기 로드 락 내의 온도 및 압력은 원하는 값으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소독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에 대한 원하는 값은 약 90℃ 이상이며, 상기 압력에 대한 원하는 값은 약 2 bar 이상이거나 또는 약 3 bar 이상, 바람직하게는 4 bar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소독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로드 락에서 캐리어 수용 챔버로 이동하며, 과잉 압력(excess pressure) 하의 상기 고온 공기는 계속해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소독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공기는 100도 이상의 온도를 가지며, 예컨대 약 120~130℃ 범위의 온도이며, 상기 공간은 약 2 bar 이상, 또는 약 3 bar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4 bar 이상의 압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소독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및 압력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소독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공기는 순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소독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의 밀폐가능한 락(lock)이 상기 캐리어 수용 챔버로부터 패키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한번 소독된 콘택트 렌즈를 수용하기 위해 존재하며, 상기 소독된 콘택트 렌즈를 포함하고 있는 패키지를 구비하는 캐리어는 상기 캐리어 수용 챔버에서 상기 제2 락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2 락 내부의 온도는 낮아지고 상기 제2 락 내부의 압력도 낮아지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락 내부의 유효 압력이 상기 패키지 내부의 유효 압력보다 더 높게 되는 비율(rate)로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소독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드 락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의 냉각으로 방출되는 열이 상기 로드락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가열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소독 방법.
  17. 습한 환경에 있는 콘택트 렌즈(contact lenses)를 소독(sterilizing)하기 위한 장치로서,
    다수의 패키지된 콘택트 렌즈를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캐리어들을 수용할 수 있는 캐리어 수용 챔버;
    건조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팅 디바이스(heating device); 및
    소정의 온도 및 압력 범위 내에서 상기 캐리어 수용 챔버 내부에 고온 건조한 공기를 계속하여 유지시키며, 상기 캐리어 챔버 내부의 압력을 초대기압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구비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소독 장치.
  18. 습한 환경에 있는 콘택트 렌즈(contact lenses)를 소독(sterilizing)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다수의 패키지된 콘택트 렌즈를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캐리어들을 수용할 수 있는 캐리어 수용 챔버;
    증기(steam)를 포함할 수 있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팅 디바이스(heating device);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락(lock); 및
    상기 캐리어 수용 챔버 내부를 소정의 온도 범위 내에서 유지시키고, 특정 경로를 따라서 상기 락 내부의 적어도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소독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락; 및
    특정 경로를 따라서 상기 락 내부의 온도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소독 장치.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2 락을 더 포함하고, 상기 락은 로드 락이고 상기 제2 락은 언로드 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소독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드 락에서 방출되는 열을 공기로 전도하여, 상기 로드 락 내부의 캐리어가 가열되도록 하는 열 전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소독 장치.
  22.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수용 챔버는 드럼 및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캐리어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소독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적어도 하나의 락이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소독 장치.
  24. 제17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열된 공기를 상기 캐리어 수용 챔버를 통해 순환시키는 순환 디바이스(circulation devic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소독 장치.
  25. 제22항 및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디바이스는 상기 드럼을 통해서 제1 방향으로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배치되고, 상기 캐리어 프레임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캐리지의 가열이 역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소독 장치.
  26. 제17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리어 수용 챔버 내의 온도 및 압력을 서로 독립적으로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소독 장치.
KR1020087029733A 2006-05-04 2007-05-04 콘택트 렌즈 소독 방법 및 장치 KR200900233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31750 2006-05-04
NL1031750A NL1031750C2 (nl) 2006-05-04 2006-05-04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steriliseren van contactlenz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3366A true KR20090023366A (ko) 2009-03-04

Family

ID=37566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9733A KR20090023366A (ko) 2006-05-04 2007-05-04 콘택트 렌즈 소독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268239B2 (ko)
EP (1) EP2026848A1 (ko)
JP (1) JP4961474B2 (ko)
KR (1) KR20090023366A (ko)
CA (1) CA2651231A1 (ko)
NL (1) NL1031750C2 (ko)
TW (1) TWI428154B (ko)
WO (1) WO20071298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1744A1 (en) * 2009-04-03 2010-10-07 Qirx Pty Ltd A drying arrangement
BR112016007383B1 (pt) * 2013-10-03 2020-04-07 Getinge Sterilization Ab dispositivo para lavagem, desinfecção e/ou esterilização de artigos médicos, dentais, de laboratório e/ou farmacêuticos e método para eletronicamente assinar um histórico de um processo para lavagem, desinfecção e/ou esterilização de artigos médicos, dentários, de laboratório e/ou farmacêuticos executado por um dispositivo
US10545918B2 (en) * 2013-11-22 2020-01-28 Orbis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computer implemented methods for semantic data compression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7155A (en) * 1965-10-28 1967-10-17 Int Machinery Corp Sa Heat-treating device
JPS5114090A (en) * 1974-07-24 1976-02-04 Toyo Boseki Itono shindohyokahoho
SE400027B (sv) * 1974-12-02 1978-03-13 Electrolux Ab Anordning vid en med overtryck arbetande autoklav
NL7505435A (nl) * 1975-05-07 1976-11-09 Stork Amsterdam Installatie voor het thermisch behandelen van in houders verpakte waren.
US4044226A (en) * 1975-07-18 1977-08-23 Bausch & Lomb Incorporated Apparatus for disinfection of hydrophilic contact lenses
US4196225A (en) * 1977-02-10 1980-04-01 Fmc Corporation Continuous pressure cooker and cooler with controlled liquid flow
JPS57151318U (ko) * 1981-03-18 1982-09-22
FR2544879B1 (fr) * 1983-04-21 1987-06-12 Prat Jacques Dispositif pour le nettoyage et la sterilisation thermique de lentilles de contact souples hydrophiles
US4646629A (en) * 1984-02-10 1987-03-03 Fmc Corporation Sterilizing apparatus
JPS611371A (ja) * 1984-06-12 1986-01-07 House Food Ind Co Ltd 含気包装体の加圧加熱殺菌処理方法
US4674267A (en) * 1986-05-30 1987-06-23 Marlen Research Corporation Processing and packaging system for flexible containers
US4782942A (en) * 1987-02-06 1988-11-08 Vistakon, Inc. Container for a number of packaged contact lenses
US4824644A (en) * 1987-04-30 1989-04-25 Archeraire Industries, Inc. Recirculating high velocity hot air sterilizing device having improved internal insulation structure
US5422130A (en) * 1992-11-04 1995-06-06 Pressure Pack, Inc. Commercially sterile food packaging system
US5439643A (en) * 1993-11-03 1995-08-08 Liebert; Richard T.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l sterilization
US5488815A (en) * 1994-06-10 1996-02-06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terilization and secondary packaging
IT1270062B (it) * 1994-07-04 1997-04-28 Rossi & Catelli Spa Impianto per la produzione su scala industriale di alimenti cotti, a lunga conservazione pronti da consumare
EP0691132B1 (en) * 1994-07-05 2001-11-28 Excalibur Medical (Proprietary) Limited Autoclave
US5882687A (en) * 1997-01-10 1999-03-16 Allerga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toring contact lenses
FR2806264B1 (fr) * 2000-03-20 2003-03-28 Barriquand Steriflow Installation de sterilisation en continu de produits contenus dans des emballages souples
CA2477905A1 (en) * 2002-03-01 2003-09-12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In-line steam sterilizer
US20060073185A1 (en) * 2002-12-13 2006-04-06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and composition for contact lenses
US20050123435A1 (en) * 2003-08-13 2005-06-09 Mar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processing of packaged produ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68239B2 (en) 2012-09-18
NL1031750C2 (nl) 2007-11-06
US20110027123A1 (en) 2011-02-03
EP2026848A1 (en) 2009-02-25
TW200806339A (en) 2008-02-01
JP2009535150A (ja) 2009-10-01
TWI428154B (zh) 2014-03-01
JP4961474B2 (ja) 2012-06-27
CA2651231A1 (en) 2007-11-15
WO2007129892A1 (en) 200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450685B (sv) Forfarande och anordning for vermebehandling av gods
BRPI0714112B1 (pt) Método para a esterelização de recintos limpos destinados ao tratamento e/ou o envasilhamento e fechamento de recipientes
US4497773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shortening the drying stage of a steam sterilization cycle
KR20090023366A (ko) 콘택트 렌즈 소독 방법 및 장치
KR102532901B1 (ko) 밀폐형 구조의 적외선 다용도 건조기
JP3598037B2 (ja) 熱風式保管庫の運転方法
JP4857438B2 (ja) 洗浄滅菌装置
KR102001802B1 (ko) 에너지 절약형 레토르트살균장치
JP3127361B2 (ja) 蒸気式殺菌装置
JP2014100071A (ja) レトルト殺菌システム
ES2881955T3 (es) Aparato para contraer por calor un paquete y procedimiento para contraer por calor un paquete
JP2000210062A (ja) 包装食品の冷却方法及び冷却装置
JP5007439B2 (ja) 滅菌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滅菌方法
JP2779870B2 (ja) レトルト殺菌機
CA1250403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heat treatment of a medium enclosed in a receptacle
JP4375874B2 (ja) 薬液用高圧蒸気滅菌装置
JP2772586B2 (ja) レトルト殺菌機
KR102633303B1 (ko) 농수산물 진공건조장치
JP3564421B2 (ja) レトルト殺菌機等における乾燥・冷却時の送風切替装置並びに切替方法
JP2001008827A (ja) 食品蒸気処理装置
JP4637461B2 (ja) 容器の殺菌方法および装置
KR101028158B1 (ko) 블리스터 팩용 멸균장치
JP2016135207A (ja) 乾熱滅菌装置
KR101473927B1 (ko) 파우치팩 미생물 살균장치
KR20220120820A (ko) 간접 가열 열수 스프레이 방식 레토르트 살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