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3250A - 카드형 주변 장치 - Google Patents

카드형 주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3250A
KR20090023250A KR1020080084798A KR20080084798A KR20090023250A KR 20090023250 A KR20090023250 A KR 20090023250A KR 1020080084798 A KR1020080084798 A KR 1020080084798A KR 20080084798 A KR20080084798 A KR 20080084798A KR 20090023250 A KR20090023250 A KR 20090023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terminal
peripheral device
type peripheral
termina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4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따까 아오끼
게이이찌 쯔쯔이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23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32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3External electrical conta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3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nsisting of two or more mechanically separable parts
    • G06K19/0773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nsisting of two or more mechanically separable parts comprising a first part capable of functioning as a record carrier on its own and a second part being only functional as a form factor changing part, e.g. SIM cards type ID 0001, removably attached to a regular smart card form fa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카드형 주변 장치는 케이스 내에 배치된 전자 부품과, 접속 대상 장치와 접속 가능한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단자부를 포함하며, 전자 부품의 기능 및 단자부의 단자 수는 접속 대상 장치와 호환 가능하도록 유지되며, 케이스의 외형 치수는 접속 대상 장치의 외형 치수 보다 작고, 소정의 소형 카드의 외형 치수 보다 크게 설정된다.
Figure P1020080084798
카드형 주변 장치, 메모리 카드, 카드 어댑터, 단자부, 단자 커버

Description

카드형 주변 장치 {CARD-TYPE PERIPHERAL DEVICE}
본 발명은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통합되며 2007년 8월 31일자로 일본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특허출원번호 JP 2007-227206호에 관련된 발명의 주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메모리 카드와 같은 카드형 주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개인용 컴퓨터 등의 카드 슬롯에 삽입된 상태로 사용되는 PC 카드라고 불리는 카드형 주변 장치가 있다. 최근, 개인용 컴퓨터의 크기의 감소 및 작동 속도의 증가가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진보에 부응하기 위하여, PC카드보다 외형 크기가 작고, 고속으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카드형 주변 장치로서 익스프레스 카드(ExpressCard)[구칭 뉴카드(NEWCARD)]가 제안되었다[예컨대, "개인용 컴퓨터의 더 나은 진보를 가져올 새 표준 'NEWCARD'가 PC카드의 소형화 및 작동 속도의 고속화를 가능하게 하다"(닛께이 일렉트로닉스, 2003년 6월 9일자, 제67면 내지 제76면) 참조].
익스프레스 카드는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PC 카드(PCMCIA)를 대신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익스프레스 카드는 PCI 버스를 대체하는 신규 I/O 버스 표준에 따 른 인터페이스인 PCI 익스프레스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현재 사용되는 다른 카드와 비교하면, 익스프레스 카드용 인터페이스는 월등하게 고속으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카드가 메모리 카드로서 기능하도록 카드 내에 비휘발성 메모리가 설치될 때, 결과물인 메모리 카드는 매우 고속으로 데이터를 기록/판독할 수 있다.
그 높은 성능 및 유용성으로 인해, 익스프레스 카드는 디지털 카메라, 휴대 전화 장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장치, 음악 플레이어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에 널리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렇지만,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카드는 길이 75 mm, 폭 34 mm, 두께 5 mm의 외형 치수를 가지며, 상기 치수는 현재 사용되는 PC 카드보다 작긴 하지만, 이는 휴대형 전화 장치, 정보 단말 장치,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과 같은 소형 전자 장치에 사용될 정도로 작지 않다. 즉, 익스프레스 카드가 충분히 작지 않은 치수를 가지므로 이 카드는 소형 전자 장치 내에 설치하기에 불리하다. 따라서, 외형 치수가 익스프레스 카드 보다 작고 익스프레스 카드 슬롯에 설치될 수 있는 신규한 카드형 주변 장치가 요구된다.
소형 크기를 가지는 메모리 카드가 휴대형 전화 장치, 정보 단말 장치,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과 같은 전자 장치용으로 통용된다. 이러한 소형 메모리 카드는 소형 전자 장치에서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소형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을 가지는 개인용 컴퓨터(PC)와 같은 보다 대형의 외부 장치에서도 사용 가능 하다. 그렇지만, 현재, 소형 메모리 카드를, 표준 익스프레스 카드와 사용하도록 최초 설계된 장치에서 사용하는 것은 어렵다. 상기 관점에서, 소형 메모리 카드를 익스프레스 카드와 사용하도록 최초 설계된 장치에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어댑터 기능을 가지는 신규한 카드형 주변 장치가 요구된다.
현재 통용되는 소형 메모리 카드는 일반적으로 그 일 표면에 10개 이상의 단자가 배치된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카드는 구획을 가지지 않는다. 구획이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이는 매우 작고 단자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1)의 단자면부(2)는 외부로부터 보호되지 않으며, 따라서, 사람이 단자면부(2)를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단자면은 오염될 수 있고, 이러한 오염은 카드(1)가 사용될 때 신호 판독의 실패와 같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도3a 및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카드(1A)는 단자부(2A)의 양측에 형성된 구획을 가지며, 이로 인해 단자면이 사람의 손에 의해 접촉되는 것으로부터 보호된다.
그렇지만, 보다 고속의 작동 속도 등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메모리 카드의 단자의 수가 증가되면, 결과적으로 단자와 단자 간 거리가 감소된다. 이러한 경우에 구획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구획이 형성될 수 있는 경우라도, 구획의 폭이 작게 되어 충분히 높은 기계적 강도를 제공하는 것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상기의 관점에서, 본 발명은 소형 크기를 가지며, 대형 슬롯을 가지는 장치 에 소형 카드를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단자면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카드형 주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 내에 배치된 전자 부품과, 접속 대상 장치와 접속가능한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부품의 기능 및 상기 단자부의 단자 수는 접속 대상 장치와 호환 가능하도록 유지되며, 상기 케이스의 외형 치수는 상기 접속 대상 장치의 외형 치수 보다 작고, 소정의 소형 카드의 외형 치수 보다 크게 설정되는 카드형 주변 장치가 제공된다.
케이스의 외형 치수는 표준 PCI 익스프레스 카드 매체 보다 작을 수 있다.
케이스의 외형 치수는 표준 PCI 익스프레스 카드 매체 보다 작고 소정의 소형 카드로서 사용되는 메모리 스틱 Duo(등록 상표) 또는 SD(등록 상표) 카드의 외형 치수 보다 클 수 있다.
전자 부품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기록 및 판독할 수 있는 메모리 카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카드형 주변 장치는 소형 카드가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는 슬롯과, 케이스 내에 형성되고 내부에 소형 카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부와, 수용부 내에 수용된 소형 카드의 단자부와 접속가능한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전자 부품은 커넥터와 단자부에 접속된 인터페이스 변환 회로를 포함하는 카드 어댑터로서 기능할 수 있다.
단자부는 케이스의 일부를 통해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단자 커버 수용 부가 케이스 내에 형성되며, 단자 커버 수용부는 접속 대상 장치의 커넥터가 진입할 수 있게 하는 개구를 유지하면서 단자부의 노출된 부분을 덮도록 구성된 단자 커버를 끼울 수 있다.
단자 커버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단자 커버는 단자 커버 수용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케이스 내의 공통 단자와 접속가능한 접촉부를 가질 수 있다.
공통 단자는 회로 기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형 카드를 대형 슬롯을 가진 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하며, 단자면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소형 카드형 주변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주변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도4a는 카드형 주변 장치를 제1 면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4b는 카드형 주변 장치를 제2 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주변 장치(메모리 카드 및 어댑터)(100)의 특징적인 구성 및 기능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주변 장치(100)는 인터페이스로서 PCI 익스프레스 또는 USB을 직접 이용하며, 내부에 비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함으로써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판독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카드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PC카드 매체의 형태로 구현된다. 카드형 주변 장치(100)는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과 같은 고성능 휴대 장치용 착탈식 저장 매체로서 사용 가능한 소형 고용량 메모리 카드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메모리 카드는 전술된 용도의 것과 호환 가능한 기능 및 핀수를 가진다. 카드형 주변 장치(100)는 소형 장치에 사용될 수 있도록 표준 PCI 익스프레스 카드 매체보다 외형 치수가 작게 구성된다. 카드형 주변 장치(100)는 상용으로 입수가능한 소형 메모리 카드[메모리 스틱(등록 상표) 또는 SD 카드(등록 상표) 등]보다 외형 크기가 크게 구성된다. 즉, 카드형 주변 장치(100)는 표준 익스프레스 카드 슬롯을 가지는 장치에서 상용으로 입수가능한 소형 메모리 카드[메모리 스틱(등록 상표) 또는 SD 카드(등록 상표) 등]를 사용하기 위한 카드 어댑터로서 기능할 수 있게 하는 크기를 가진다.
카드형 주변 장치(100)는 커버를 가짐으로써 호스트 장치와 신호를 전송/수신하기 위해 카드 위에 형성된 단자를 카드형 주변 장치(100)의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접촉하는 것으로부터 보호한다. 카드형 주변 장치(100)는 도전성 재료로 만들어진 단자 커버를 가지며, 단자 커버가 카드 내의 접지 단자에 접속되도록 메모리 카드 상에 배치됨으로써 신호 단자로 정전기가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전기로 인해 메모리 카드 내의 컨트롤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플래시 메모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하에서, 도4a 및 도4b를 참조하여, 카드형 주변 장치(100)의 외부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카드형 주변 장치(100)는 예컨대, 메모리 카드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된다[이하의 명세서에서 카드형 주변 장치(100)는 메모리 카드(100)로도 칭한다].
카드형 주변 장치(100)에서, 카드 케이스(101)는 제1 면(100a)과, 이 제1 면 (100a)에 대향하는 제2 면(100b)의 사이에 형성된다. 카드 케이스(101)는 제1 면(100a) 상에 배치된 상자 형상을 가진다.
일렬로 배열된 단자(1021)를 포함하는 단자부(102)가 제2 면(100b)의 전방 단부에 형성된다. 단자부(102)는 메모리 카드(100)가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게 하고, 호스트 장치(도시 안 됨) 상에 배치된 커넥터의 접촉핀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수신할 수 있게 한다. 도4a 및 도4b에서, 메모리 카드(100)는 단자 커버가 단자부(102) 상에 배치되지 않은 기본 상태이다.
제2 면(100b)의 전방 단부는 제1 면(100a)을 향해 만입되어 리세스(103)를 형성하고, 단자부(102)가 리세스(103)를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도록 단자부(102)는 이 리세스(103)의 바닥부 상에 위치된다. 리세스(103)는 단자부(102)의 각 측면 상에 형성된 측벽(1031 및 1032)과 단자부(102)의 후방 단부에 형성된 측벽(1033)에 의해 둘러싸임으로써 측벽(1031, 1032 및 1033)이 구획벽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2 면(100b) 상에, 단자 커버 수용부(104)가 형성되어, 이후에 설명될 단자 커버가 내부로 끼워질 수 있게 된다. 단자 커버의 일면이 제2 면(100b)과 동일 면이 되는 방식으로 박판 형상의 단자 커버가 단자 커버 수용부(104) 내에 끼워질 수 있도록, 단자 커버 수용부(104)는 제2 면(100b)으로부터 카드의 내측 안으로 단자 커버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깊이로 만입된 단차부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카드형 주변 장치(100)의 후방 단부에, 카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그 립(105)이 제1 면(100a)에 형성되고, 그립(105)과 동일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노치(106 및 107)가 제2 면(100b) 또는 측면 상에 형성된다.
이하에, 본 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주변 장치(100)의 외형 치수가 논의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카드형 주변 장치(100)의 외형 치수는 폭이 20 mm 내지 34 mm의 범위를 가지고, 길이가 31 mm 내지 75 mm, 두께가 1.6 mm 내지 5mm 가 되도록 설정되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익스프레스 카드(200)의 크기는 길이가 75 mm, 폭이 34 mm, 두께가 5 mm로 형성된다.
한편, 예를 들어, 소형 메모리 카드로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메모리 스틱(MS) Duo(등록상표)(300)는,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31 mm, 폭 20 mm, 두께 1.6 mm의 크기를 가진다. 한편, 다른 유형의 메모리 카드인 SD(등록상표) 카드(400)는 길이 32 mm, 폭 24 mm, 두께 2.1 mm의 크기를 가진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100)는 익스프레스 카드 표준을 따르는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도6은 익스프레스 카드 표준에 따른 핀 할당(Pin Assignments)을 도시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익스프레스 카드 표준은 카드가 총 26개 단자를 가지도록 지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형 주변 장치로서 기능하는 메모리 카드(100)에서, 크기의 감소를 달성하기 위해, 익스프레스 카드가 메모리 카드로서 사용될 때, 사용되지 않는 단자는 제거된다. 예컨대, 핀(5 및 6)은 예비용이고, 이들 핀에 현재 할당된 기능이 없다. 따라서, 핀(5 및 6)은 제거될 수 있다. 또 한, 핀(7 및 8)과 핀(11 및 12)은 메모리 카드로서의 용도에는 불필요하며, 따라서 이들은 제거될 수 있다. 핀(1, 2, 3, 및 4)은 익스프레스 인터페이스용이 아니라, USB 인터페이스용이고, 카드가 통상의 메모리 카드로서 사용될 때 이들 핀은 불필요하다. 이들 핀은 예컨대 레거시 카드(legacy card) 등에서 보완적인 용도를 위해 남겨놓을 수 있다. 상기 관점에서, 총 26개 핀은 16개 내지 20개까지 감소될 수 있다.
도7a 내지 도7d는 전술된 소형 카드가 PC 등에 설치된 익스프레스 카드 슬롯 내에 삽입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게 하기 위한 어댑터의 일례를 도시한다. 어댑터(500)는 소형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501)이 후방 단부에 형성된 것과 삽입된 카드가 인출될 때 카드형 주변 장치(100) 상에 형성된 그립 또는 노치에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절결부(502)가 내부에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표준 익스프레스 카드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도8은 소형 메모리 카드인 메모리 스틱 Duo(등록 상표)를 소형 카드 슬롯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카드 어댑터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주변 장치의 예를 도시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주변 장치(100)는 소형 카드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카드 어댑터(100A)로서 사용가능하다. 이러한 카드 어댑터의 내부 구조는 이후에 설명한다. 상기 어댑터를 상기 목적을 위해 사용하기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주변 장치의 크기는 메모리 스틱 Duo(등록 상표)의 크기보다 커야 하고, 익스프레스 카드의 크기보다 작아야 한다. 즉, 전술된 바와 같이, 폭은 20 mm 내지 34 mm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하고, 길이는 31 mm 내지 75 mm, 두께는 1.6 mm 내지 5 mm이어야 한다.
실제적으로는, 쌍방의 어댑터의 부품의 크기 및 각 어댑터 상에 배치된 단자의 크기도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카드형 주변 장치(100)가 메모리 카드로서 사용될 때, 카드 내에 배치된 각 플래시 메모리 칩의 크기가 고려되어야 한다. 이 점에 있어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시 메모리 칩(110)의 폭은 널리 사용되는 TSOP(48)에서 약 20 mm이고, LGA에서는 18 mm 이하이다. 따라서, 플래시 메모리 칩(110)이 배치된 회로 기판을 수납하고, 20개의 단자를 수납하기 위해, 폭은 21 mm 내지 28 mm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메모리 칩은 최대 1.2 mm의 두께를 가진다. 회로 기판이 0.6 mm의 두께를 가진다고 가정하고, 메모리 칩이 회로 기판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 상에 장착될 수 있다고 가정하면, 어댑터로서 사용되는 카드형 주변 장치의 두께는 2.5 mm 내지 4.0 mm의 범위로 설정된다. 또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12 mm 내지 14 mm의 폭을 가지는 3 개의 메모리 칩을 카드형 주변 장치의 길이 방향을 따라 회로 기판 상에 배치하기 위해, 카드형 주변 장치의 길이는 42 mm 내지 50 mm의 범위로 설정된다.
전술된 방식으로 선택된 외형 치수를 가지는 카드형 주변 장치(100)에서, 단자부(102)는 전술된 바와 같이 노출된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서, 단자는 카드형 주변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직접 접촉될 수 있다.
도11은 구획을 가지는 구성예를 도시한다. 많은 수의 단자가 있는 경우, 충분한 크기를 가지도록 구획을 형성하기가 어렵고, 이는 충분히 높은 기계적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카드의 사양으로서, 단자가 외부에 노출된 전술된 구성이 허용된다. 그렇지만, 이러한 구성은 단자면이 외부 물질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이 있고, 이는 카드가 호스트 장치 내에 삽입될 때, 커넥터의 접촉핀과의 접속 불량을 야기할수 있다는 불이익을 가진다. 따라서, 카드가 정확하게 작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사람 손이나 옷으로부터 카드의 신호 단자에 정전기가 인가될 가능성이 있다. 이는 카드 내에 배치된 컨트롤러 또는 플래시 칩의 파손을 야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 카드형 주변 장치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커버(130)가 카드형 주변 장치에 부착되어서 단자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단자 커버(130)는 카드형 주변 장치(100)의 제2 면(100b)의 전방 단부에 형성된 단자 커버 수용부(104)에 끼워진다. 박판 형상으로 형성된 단자 커버(130)가 단자 커버 수용부(104)에 끼워진 상태에서, 단자 커버의 일면은 제2 면(100b)과 동일 평면을 이루고, 따라서 단차부가 없는 평탄면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단자부(102)는 제2 면(100b) 측에서 단자 커버(130)로 덮여지고, 단자부(102)는 전방 단부면에서만 개방된다. 전방 단부면의 개구를 통해서 커넥터의 접촉핀이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즉, 개구가 폐쇄되지 않게 유지되어 커넥터가 단자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단자 커버(130)가 단자 커버 수용부(104) 내로 끼워진다.
도13a 및 도13b와 도14a 및 도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도시 안 됨)의 접촉핀(600A 또는 600B)은 카드형 주변 장치(100)를 탄성적으로 수용하도록 커넥터 내에 배치되는 한편, 카드형 주변 장치(100)의 단자부(102)의 카드 단 자(1021)는 카드의 전체 두께의 실질적으로 중앙에 위치된다. 도13a 및 도13b와 도14a 및 도14b 사이의 차이점은 커넥터의 접촉핀(600A 또는 600B)의 형상이다. 커넥터의 접촉핀(600A 또는 600B)은 카드형 주변 장치(100)의 제2 면(100b), 즉, 하부면 보다 전체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여 용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 그렇지만, 단자 커버(130)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사전에 제시되지 않으면, 도15에 도시된 예의 경우와 같이, 커넥터가 카드형 주변 장치(100)와 접속될 수 없는 형태로 설계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잠재적인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단자 커버가 실제로 존재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단자 커버는 있는 것으로 가정되어야 한다.
도16a 및 도16b는 단자 커버를 가지는 카드형 주변 장치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단자 커버(130A)는 도전성 재료(알루미늄, SUS 등)로 형성되어, 접촉부(131)가 길이 방향으로 일 단부의 측면에 형성된다. 단자 커버(130A)가 단자 커버 수용부(104) 내에 끼워지는 상태에 있을 때, 접촉부(131)는 카드 내의 회로 기판(120)을 통해 접지 단자로서 기능하는 공통 단자와 접촉한다. 이는 신호 단자로 정전기가 직접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정전기는 공통 단자로 우회되며, 이로 인해 카드는 정전기에 대해 높은 내구성을 가지게 된다.
카드형 주변 장치가 메모리 카드로서 사용되는 것을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전술되었다. 카드형 주변 장치는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카드 어댑터로서 기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카드 어댑터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된 카드형 주변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카드 어댑터(100A)는 이전의 실시예 와 유사한 외관 및 외형 치수를 가진다. 즉, 카드 어댑터(100A)의 크기(외형 치수)는 메모리 스틱 Duo(등록 상표)(300) 보다 크고 익스프레스 카드 보다 작다. 도17에 도시된 예에서, 카드형 주변 장치는 소형 카드 슬롯에 사용되는 소형 메모리 카드인 메모리 스틱 Duo(등록 상표)를 허용하는 카드 어댑터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된다.
도18은 본 발명에 따라 카드 어댑터로서 기능하는 카드형 주변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19는 도18의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카드 어댑터(100A)는 제1 케이스부(상부 케이스부)(141)와 제2 케이스부(하부 케이스부)(142) 사이에 공간(143)을 가지는 카드 수용 유닛(144)을 포함한다. 공간(143)은 소형 카드[본 구체적인 예에서 메모리 스틱 Duo(등록 상표)]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카드 어댑터(100A)는 카드 수용 유닛(144)의 전방 단부에 배치되며 소형 카드(300)의 단자부(310)에 착탈가능하게 접속되는 커넥터(145)와 회로 기판(146 및 147)을 포함한다.
이러한 카드 어댑터(100A)에서, 회로 기판은 상이한 높이에 위치된 2개 부분, 즉, 회로 기판(146)과 회로 기판(147)으로 나누어진다. 이들 2개의 회로 기판(146 및 147)은 도18에 도시되지 않은 가요성 케이블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카드 수용 유닛(144)은 회로 기판(146) 상에 배치되고, 단자부(102)는 회로 기판(147)의 배면에 형성된다. 인터페이스(I/F) 변환 컨트롤러(148)가 회로 기판(147) 상에 배치된다. 소형 카드를 수용하는 슬롯(149)이 제1 케이스부(141)와 제2 케이스부(142)의 사이에서 그 후방 단부에 형성된다. 제2 케이스부(142)의 후방 단부에는, 삽입된 카드가 인출될 때, 소형 카드(300) 상에 형성된 그립 또는 노치에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게 위해 절결부(1421)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카드 어댑터(100A)도 전술된 것과 유사한 단자 커버를 가진다.
도20은 카드 어댑터의 인터페이스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소형 카드 슬롯에 메모리 스틱 Duo(등록 상표)(300)를 사용하기 위해 설계된 카드 어댑터(100A)에서, 메모리 스틱 Duo(등록 상표)(300)와 소형 슬롯을 가지는 익스프레스 인터페이스나 USB 인터페이스 사이의 인터페이스 상의 차이점을 조정하기 위해 카드 어댑터(100A) 내의 인터페이스를 내부적으로 변환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전술된 I/F 변환 컨트롤러(148)가 제공된다.
익스프레스 인터페이스는 신호를 높은 전송율로 전송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수하다. 그렇지만, 익스프레스 인터페이스는 복잡한 변환 회로를 필요로 하고, 높은 소비 전력을 필요로 한다. 한편, USB 인터페이스는 전송율은 낮지만, 변환 회로는 보다 간단하다. 카드형 주변 장치가 양측의 인터페이스를 모두 가지는 경우에 한쪽의 인터페이스로의 변환을 위한 회로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어댑터에 고속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익스프레스 인터페이스 표준에 따른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소형 메모리 카드를 부가함으로써 익스프레스 카드와의 호환성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어댑터 카드는 메모리 스틱(등록 상표) 또는 SD 카드(등록 상표)에 비해 폭, 길이, 및 두께가 크게 구성되고, 따라서 메모리 스틱 또는 SD 카드가 어댑터 카드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어댑터 카드는 단자 커버를 구비한 형상 또는 단자 커버를 구비하지 않은 형상 중 어느 하나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어느 경우에서도, 어댑터 카드는 커넥터가 어댑터 카드에 접속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단자 커버의 사용은 소형 카드가 다수의 단자를 가지는 경우에도 사람의 손가락 등에 의해 단자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소형 카드의 작동 오류를 야기할 수 있는 단자의 오염을 방지한다. 또한, 단자 커버는 도전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단자 커버가 공통 단자(접지 단자)에 접속되어서 정전기를 공통 단자로 우회시킴으로써, 카드가 정전기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카드형 주변 장치(100)는 메모리 카드 또는 카드 어댑터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된다. 만일 플래시 메모리 칩 크기 등의 조건이 만족되면, 카드형 주변 장치(100)는 메모리 카드 및 카드 어댑터 양측 모두의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첨부된 청구범위 또는 그 등가물의 범위 내에 있는 설계 요구 사항 및 다른 인자에 따라서 다양한 변형, 조합, 하위 조합 및 대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
도1a 및 도1b는 익스프레스 카드 표준에 따른 카드의 외형 치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2a 및 도2b는 외부로부터 보호되지 않는 단자면을 가지는 카드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3a 및 도3b는 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구획을 가지는 카드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 카드로서 기능하는 카드형 주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특히, 도4a는 카드형 주변 장치를 제1 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4b는 카드형 주변 장치를 제2 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5a 내지 도5c는 다양한 유형의 카드의 치수를 설명하기위한 개략도.
도6은 익스프레스 카드 표준에 따른 핀 할당을 도시한 표.
도7a 내지 도7d는 소형 카드가 PC 등에 배치된 익스프레스 카드 슬롯 내에 삽입된 상태로 소형 카드를 사용가능하게 하는 어댑터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소형 메모리 카드로서 기능하며, 소형 메모리 카드를 소형 카드 슬롯 내에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카드 어댑터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된 카드형 주변 장치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9는 플래시 메모리의 크기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10a 및 도10b는 메모리 칩을 배열하는 방식 및 메모리 칩의 배열에 따라서 카드형 주변 장치의 길이를 결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11은 단자부에 구획을 가지도록 구성된 카드형 주변 장치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12는 단자 커버를 구비한 카드형 주변 장치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13a 및 도13b는 단자 커버를 구비한 카드형 주변 장치의 단자부와 커넥터의 접촉핀이 접촉되는 방식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14a 및 도14b는 단자 커버를 구비한 카드형 주변 장치의 단자부와 커넥터의 접촉핀이 접촉되는 방식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15는 단자 커버의 존재로 인하여 수용되지 않는 커넥터가 설계되는 가능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16a 및 도16b는 단자 커버를 구비한 카드형 주변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어댑터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된 카드형 주변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카드 어댑터로서 기능하는 카드형 주변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19는 도18에 도시된 카드형 주변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하방에서 본 상태로 도시한 개략도.
도20은 카드 어댑터의 인터페이스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카드형 주변 장치, 메모리 카드
100A:카드 어댑터
101:케이스
102:단자부
104:단자 커버 수용부
1021:단자
110:플래시 메모리 칩
120:회로 기판
130:단자 커버

Claims (11)

  1. 케이스 내에 배치된 전자 부품과,
    접속 대상 장치와 접속가능한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단자부를 포함하며,
    전자 부품의 기능 및 단자부의 단자 수는 접속 대상 장치와 호환 가능하도록 유지되며,
    케이스의 외형 치수는 접속 대상 장치의 외형 치수 보다 작고, 소정의 소형 카드의 외형 치수 보다 크게 설정되는 카드형 주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의 외형 치수는 표준 PCI 익스프레스 카드 매체 보다 작은 카드형 주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의 외형 치수는 표준 PCI 익스프레스 카드 매체보다 작고, 소정의 소형 카드로서 사용되는 메모리 스틱 Duo(등록 상표) 또는 SD(등록 상표) 카드의 외형 치수보다 큰 카드형 주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전자 부품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고,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기록 및 판독할 수 있는 메모리 카드로서 기능하는 카드형 주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소형 카드가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는 슬롯과,
    케이스 내에 형성되고 내부에 소형 카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부와,
    수용부 내에 수용된 소형 카드의 단자부와 접속가능한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전자 부품은 커넥터와 단자부에 접속된 인터페이스 변환 회로를 포함하는 카드 어댑터로서 기능하는 카드형 주변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단자부는 케이스의 일부를 통해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단자 커버 수용부가 케이스 내에 형성되며, 단자 커버 수용부는 접속 대상 장치의 커넥터가 진입할 수 있게 하는 개구를 유지하면서 단자부의 노출된 부분을 덮도록 구성된 단자 커버를 끼울 수 있는 카드형 주변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단자부는 케이스의 일부를 통해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단자 커버 수용부가 케이스 내에 형성되며, 단자 커버 수용부는 접속 대상 장치의 커넥터가 진입할 수 있게 하는 개구를 유지하면서 단자부의 노출된 부분을 덮도록 구성된 단자 커버를 끼울 수 있는 카드형 주변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단자 커버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고, 단자 커버는 단자 커버 수용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공통 단자와 접속가능한 접촉부를 가지는 카드형 주변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단자 커버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고, 단자 커버는 단자 커버 수용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공통 단자와 접속가능한 접촉부를 가지는 카드형 주변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공통 단자는 회로 기판 상에 형성되는 카드형 주변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공통 단자는 회로 기판 상에 형성되는 카드형 주변 장치.
KR1020080084798A 2007-08-31 2008-08-29 카드형 주변 장치 KR200900232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27206A JP4544281B2 (ja) 2007-08-31 2007-08-31 カード型周辺装置
JPJP-P-2007-00227206 2007-08-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3250A true KR20090023250A (ko) 2009-03-04

Family

ID=40386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4798A KR20090023250A (ko) 2007-08-31 2008-08-29 카드형 주변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71238B2 (ko)
EP (1) EP2048595A3 (ko)
JP (1) JP4544281B2 (ko)
KR (1) KR20090023250A (ko)
CN (1) CN101377828B (ko)
TW (1) TWI3904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9253A (ja) * 2007-08-31 2009-03-19 Sony Corp カード型周辺装置
JP4438846B2 (ja) * 2007-09-14 2010-03-24 ソニー株式会社 カード型周辺装置
USD642578S1 (en) * 2009-09-30 2011-08-02 Sony Corporation Memory card adapter
CN102087879A (zh) 2009-12-07 2011-06-08 三星电子株式会社 存储卡和电子装置
US8550858B2 (en) * 2010-04-07 2013-10-08 Apple Inc. Extensible memory card-compatible receptacle and port expansion device
US9659600B2 (en) 2014-07-10 2017-05-23 Sap Se Filter customization for search facilitation
JP5396415B2 (ja) 2011-02-23 2014-01-22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CA141195S (en) * 2011-05-17 2012-02-03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Digital memory card
USD666201S1 (en) * 2011-11-23 2012-08-28 Digital Hard Copy Digital storage medium
USD669478S1 (en) * 2012-01-13 2012-10-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Device smart card
USD669479S1 (en) * 2012-01-13 2012-10-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Device smart card
CN102801065A (zh) * 2012-07-26 2012-11-28 常州亚邦天线有限公司 多用适配器
TWM452520U (zh) * 2012-12-07 2013-05-01 Qi Ji Electronics Co Ltd 全埋入式電子插接卡
JP5726980B2 (ja) * 2013-10-18 2015-06-03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USD736775S1 (en) * 2014-05-02 2015-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card
USD735725S1 (en) * 2014-05-02 2015-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card
JP5902335B2 (ja) * 2015-03-27 2016-04-13 株式会社東芝 半導体メモリ装置およびシステム
JP5996062B1 (ja) * 2015-09-04 2016-09-21 株式会社アスタリスク カバーセット、カバー、及び一体型端末
JP5940752B1 (ja) * 2016-03-01 2016-06-29 株式会社東芝 半導体メモリ装置
KR102566995B1 (ko) 2016-06-02 2023-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카드 어댑터
US9806464B1 (en) * 2016-09-13 2017-10-31 Allsmartlite Technology Co., Ltd.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or
US9780492B1 (en) * 2016-09-13 2017-10-03 Allsmartlite Technology Co., Ltd.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or
WO2018225327A1 (en) 2017-06-05 2018-12-13 Toshiba Memory Corporation Memory card, host device, memory card connector, and memory card adapter
KR102440366B1 (ko) * 2018-01-04 2022-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TWI648619B (zh) * 2018-03-07 2019-01-2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連接偵測系統及其偵測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4864B2 (ja) 1990-10-24 1996-06-0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メモリシステム
JP3104646B2 (ja) 1997-06-04 2000-10-30 ソニー株式会社 外部記憶装置
JP4236440B2 (ja) 2002-10-09 2009-03-11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Icカード
JP3728669B2 (ja) * 2002-10-25 2005-12-2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カードコネクタ用アダプタ
JP4155139B2 (ja) * 2003-07-31 2008-09-24 松下電工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用アダプタ
TWM250252U (en) * 2003-11-14 2004-11-11 Carry Computer Eng Co Ltd Express card-interfaced adatper for small storage medium
US20080071963A1 (en) 2003-11-22 2008-03-20 Super Talent Electronics Inc. Express card with extended USB interface
US20050138288A1 (en) 2003-12-23 2005-06-23 Horng-Yee Chou Dual mode USB and PCI express device
US7057268B1 (en) * 2004-01-27 2006-06-06 Amkor Technology, Inc. Cavity case with clip/plug for use on multi-media card
JP4506389B2 (ja) * 2004-09-30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カード型周辺装置
JP2006185677A (ja) * 2004-12-27 2006-07-13 Y E Data Inc ExpressCard用スロット
JP2006236261A (ja) * 2005-02-28 2006-09-07 Renesas Technology Corp メモリカード用アダプタおよびメモリカード
US7325745B2 (en) * 2005-04-25 2008-02-05 Alcor Micro, Corp. Card reader assembly
JP4659636B2 (ja) * 2006-02-15 2011-03-30 ホシデン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用アダプタ
JP2007227206A (ja) 2006-02-24 2007-09-06 Seiko Epson Corp 光源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US7210967B1 (en) * 2006-07-19 2007-05-01 Yun-Hsiu Lee Card adapter structure
US7172464B1 (en) * 2006-07-19 2007-02-06 Yun-Hsiu Lee Card adapter
JP2009059253A (ja) 2007-08-31 2009-03-19 Sony Corp カード型周辺装置
JP4438846B2 (ja) 2007-09-14 2010-03-24 ソニー株式会社 カード型周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61688A1 (en) 2009-03-05
JP4544281B2 (ja) 2010-09-15
TWI390447B (zh) 2013-03-21
EP2048595A3 (en) 2011-09-21
US7771238B2 (en) 2010-08-10
TW200919320A (en) 2009-05-01
JP2009059252A (ja) 2009-03-19
EP2048595A2 (en) 2009-04-15
CN101377828A (zh) 2009-03-04
CN101377828B (zh) 201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3250A (ko) 카드형 주변 장치
KR100424781B1 (ko) 양방향단자 usb 플러그를 구비한 usb 저장장치
KR100826369B1 (ko) 커넥터들을 보호하는 리트랙터블 덮개를 갖는 다중-커넥터메모리 카드
JP4913726B2 (ja) 2つの規格の接点セットを有するメモリカード
US20040033726A1 (en) Plug used for connection with a USB receptacle
JP2007525773A (ja) ホストコネクタを備えた、クレジットカードサイズのメモリカード
JP4647158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外付けユニット
EP1510965A1 (en) Card adapter
TW200926001A (en) Card-type peripheral device
US20070290050A1 (en) Memory card and memory card/adaptor combination
KR200231733Y1 (ko)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 장치
TWM307868U (en) Electrical signal connecting system
US20040174683A1 (en) Peripheral card and cable plug having the same form factor
KR200286125Y1 (ko) 단일화 메모리 카드 판독 및 레코딩 장치
US20080160791A1 (en) Memory card with a slim USB connector
KR200425157Y1 (ko) 유에스비 저장카드를 구비한 전자기기
KR20020057551A (ko) 컴팩트플래쉬어댑터 및 휴대용 데이터처리장치
KR200432989Y1 (ko) 메모리 카드 및 메모리 카드/어댑터 콤비네이션
US20080160834A1 (en) Memory card with a slim USB connector
KR20140060606A (ko) 두 종류의 유에스비 플러그가 구비된 유에스비 메모리 모듈
KR20140060605A (ko) 두 종류의 마이크로 유에스비 포트가 구비된 유에스비 메모리 모듈
KR20090102322A (ko)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