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989Y1 - 메모리 카드 및 메모리 카드/어댑터 콤비네이션 - Google Patents

메모리 카드 및 메모리 카드/어댑터 콤비네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989Y1
KR200432989Y1 KR2020060025283U KR20060025283U KR200432989Y1 KR 200432989 Y1 KR200432989 Y1 KR 200432989Y1 KR 2020060025283 U KR2020060025283 U KR 2020060025283U KR 20060025283 U KR20060025283 U KR 20060025283U KR 200432989 Y1 KR200432989 Y1 KR 2004329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ard
contact
interface
read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52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자오 쟝 첸
Original Assignee
자오 쟝 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오 쟝 첸 filed Critical 자오 쟝 첸
Priority to KR20200600252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9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9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9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3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nsisting of two or more mechanically separable parts
    • G06K19/0774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nsisting of two or more mechanically separable parts comprising a first part operating as a regular record carrier and a second attachable part that changes the functional appearance of said record carrier, e.g. a contact-based smart card with an adapter part which, when attached to the contact card makes the contact card function as a non-contact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3External electrical conta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메모리 카드(10)는 제1 단부(11) 및 제2 단부(12)를 포함한다. 메모리 카드의 제1 단부는 그 크기가 USB 소켓의 결합 개구와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USB 인터페이스(13) 및 판독/기록 인터페이스(14)는 메모리 카드의 제1 단부 상에 제공된다. USB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제1 컨택트(131-134)를 포함한다. 판독/기록 인터페이스는 제1 컨택트에 정렬된 복수의 제2 컨택트(141)를 포함한다. 제1 컨택트 및 제2 컨택트는 교번하여 배치된다. 메모리 카드는 어댑터에 삽입되어 다른 유형의 다른 메모리 카드로 변환될 수 있다.
메모리 카드, USB, 인터페이스, 소켓

Description

메모리 카드 및 메모리 카드/어댑터 콤비네이션{MEMORY CARD AND MEMORY CARD/ADAPTER COMBINATION}
도 1은 전자 장치 및 통상의 듀얼 인터페이스 메모리 카드의 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메모리 카드의 상부 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메모리 카드의 하부 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메모리 카드의 변형된 예를 나타내는 하부 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메모리 카드를 어댑터와 함께 사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어댑터의 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어댑터의 하부 투시도이다.
도 8은 상부 커버가 어댑터에서 제거된 도 6의 어댑터의 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메모리 카드를 다른 어댑터와 사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어댑터의 하부 투시도이다.
본 고안은 USB 인터페이스(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 및 판독/기록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단부(end)를 포함하는 메모리 카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메모리 카드/어댑터 콤비네이션(combination)에 관한 것이다.
전자 카드는 메모리, 네트워크 카드, 모뎀, 및 대용량 하드 디스크, 스캐너 등과 같은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를 확장하기 위해 컴퓨터 및 전자 사전에 널리 이용된다. 전자 카드는, PCMCIA(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 카드뿐만 아니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휴대형 전자 사전, 디지털 카메라 등에 사용하는 MMC(Multi-Media Cards), CF(Compact Flash) 카드, SMC(Smart Media Cards), MS(Memory Sticks), SD(Secure Digital) 메모리 카드를 포함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메모리 카드는 특정 스펙(specification)의 인터페이스를 가지기 때문에, 범용 USB 스펙의 접속 인터페이스와는 사용될 수 없다. 도면의 도 1은, 전자 장치(92)의 USB 소켓(93)과 결합하기 위한 USB 인터페이스(91)를 단부 상에 포함하는 듀얼-인터페이스 메모리 카드(dual-interface memory card)(90)를 나타낸다. 메모리 카드(90)의 타 단부 상에는 카드 커넥터(card connector)와 결합하기 위한 SD 인터페이스(94)가 제공된다.
듀얼 인터페이스 메모리 카드(90)를 USB 소켓(93)에 결합(coupling)하거나 USB 소켓(93)으로부터 분리(detaching)할 경우, USB 인터페이스(91) 또는 SD 인터페이스(94)는 파지되어(gripped), 사용자의 손가락과 접촉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 으로, 인터페이스(91 또는 94)가 노출되어 손상되기 쉽다. 또한, 듀얼 인터페이스 메모리 카드(90)의 전장(overall length) 및 전폭(overall width)은 USB 인터페이스(91)의 전장 및 전폭보다 커서, 대부분의 듀얼 인터페이스 메모리 카드(90)는 USB 소켓(93) 밖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다른 접속 포트의 접속에 필요한 공간을 점유하고, 심지어는 다른 카드의 삽입도 방해한다. 또한, 듀얼 인터페이스 메모리 카드(90)는 충격을 받아 손상되기 쉬워서, 사용자에게 문제를 초래한다.
본 고안의 메모리 카드를 전자 장치와 결합 시, 다른 메모리 카드의 삽입이 용이하고 외부 충격으로 인한 손상의 위험을 줄인 메모리 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갖는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어 다른 인터페이스 스펙을 갖는 다른 유형의 메모리 카드로 변환될 수 있도록 하는 어댑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양태에 따르면, 메모리 카드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한다. 메모리 카드의 제1 단부는 그 크기가 USB 소켓의 결합 개구(coupling opening)와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메모리 카드의 제1 단부 상에는 USB 인터페이스 및 판독/기록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USB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제1 컨택트를 포함한다. 판독/기록 인터페이스는 제1 컨택트에 정렬된 복수의 제2 컨택트를 포함한다. 제1 컨택트 및 제2 컨택트는 교번하여 배치된다.
일 예에서, 제1 컨택트는 1행으로 배열되고 제2 컨택트는 2행으로 배열된다.
바람직하게, USB 인터페이스의 제1 컨택트는 판독/기록 인터페이스용 전원 컨택트로서 기능하는 전원 컨택트(power contact)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USB 인터페이스의 제1 컨택트는 판독/기록 인터페이스용 접지 컨택트로서 기능하는 접지 컨택트(grounding contact)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메모리 카드는 어댑터에 삽입되어, 다른 유형의 메모리 카드로 변환된다.
바람직하게, 어댑터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한다. 개구는 어댑터의 제2 단부로부터 어댑터의 제1 단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는 삽입 그루브(insertion groove)를 형성한다. 삽입 그루브 배면의 단부 상에는, 메모리 카드의 판독/기록 인터페이스의 컨택트와의 개별적 전기 접속을 위한 복수의 탄성적 도전성 플레이트(resilient conductive plates)가 제공된다. 어댑터의 제1 단부의 하부면 상에는 복수의 제3 컨택트가 제공되고, 다른 메모리 카드의 판독/기록 인터페이스의 컨택트와 매칭된다. 어댑터의 제3 컨택트는 탄성적 도전성 플레이트와 개별적으로 전기 접속된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탄성적 도전성 플레이트의 전폭은 어댑터의 제3 컨택트의 전폭보다 작다. 탄성적 도전성 플레이트 각각은 메모리 카드의 판독/기록 인터페이스의 제2 컨택트 중 연관된 컨택트와 접촉하는 돌출 컨택트부(protruding contact portion)를 구비한 제1 단부를 포함한다. 탄성적 도전성 플레이트 각각은 어댑터의 제3 컨택트 중 연관된 컨택트와 전기 접속이 이루어지는 제2 단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USB 인터페이스의 제1 컨택트 중 전원 컨택트는 탄성적 도전성 플레이트 중 하나의 돌출 컨택트부와 전기 접속된다.
(실시예)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메모리 카드(10)는 단면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고, 복수의 메모리 및 칩을 포함한다. 메모리 카드(10)는 제1 단부(11) 및 제2 단부(12)를 포함한다. 제1 단부(11)의 폭은 제2 단부(12)의 동일 또는 거의 동일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메모리 카드(10)의 제1 단부(11)는, 첫째, USB 인터페이스(13)와, 둘째, 판독/기록 인터페이스(14)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USB 인터페이스(13) 및 판독/기록 인터페이스(14)는 메모리 카드(10)의 하부면(16) 상에 장착된다. USB 인터페이스(13)는 전자 장치(미도시)의 USB 소켓(미도시)과 결합된다. 메모리 카드(10)의 폭은 USB 소켓의 결합 개구(미도시)의 폭과 동일하여, 정보의 액세스(access)를 위한 삽입을 허용한다.
이 예에서, USB 인터페이스(13)는 이격되어 정렬된 복수의 컨택트 - 전원 컨택트(131), 접지 컨택트(132), 및 두 개의 데이터 전송 컨택트(133 및 134)를 포함함 - 를 포함한다. 판독/기록 인터페이스(14)는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컨택트(141)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판독/기록 인터페이스(14)의 컨택트(141)는 USB 인터페이스(13)의 컨택트(131 내지 134)에 정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독/기록 인터페이스(14)의 컨택트(141)와 USB 인터페이스(13)의 컨택트(131 내지 134)는 1 행으로 교번하여 배치 및 배열된다.
그러한 배열에 의해, 메모리 카드(10)는 USB 인터페이스(13)를 통해 전자 장치의 USB 소켓과 결합되거나, 판독/기록 인터페이스(14)를 통해 동일 스펙의 판독/기록 소켓(미도시)과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메모리 카드(10)를 전자 장치와 결합하거나 전자 장치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메모리 카드(10)의 제2 단부를 파지하고 메모리 카드(10)의 제1 단부(11)를 전자 장치의 USB 소켓 내에 삽입한다. 메모리 카드(10)의 제2 단부(12)가 외부로 노출되더라도, 노출된 제2 단부(12)의 부피, 길이, 및 폭은 통상의 듀얼 인터페이스 메모리 카드의 부피, 길이, 및 폭보다 훨씬 더 작다. 이에 따라, 다른 접속 포트를 위한 공간이 점유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다른 메모리 카드의 삽입이 용이하고 외부 충격으로 인한 손상의 위험이 줄어든다.
도 4에 도시된 변형예에서는, USB 인터페이스(13)의 컨택트(131 내지 134)가 1행으로 배열되지만, 판독/기록 인터페이스(14)의 컨택트(141)는 2행으로 배열된다.
판독/기록 인터페이스(14) 및 USB 인터페이스(13)는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를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SB 인터페이스(13)의 전원 컨택트(131)는 판독/기록 인터페이스(14)의 전원 컨택트로서 기능할 수 있고, 및/또는 USB 인터페이스(13)의 접지 컨택트(132)는 판독/기록 인터페이스(14)의 접지 컨택트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 카드(10)의 제1 단부(11)는, 판독/기록 인터페이스(14)의 컨택트(141) 및/또는 전원 컨택트(131) 및/또는 접지 컨택트(132)를 사용하여, 동일한 스펙의 판독/기록 인터페이스와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메모리 카드(10)의 상부면(15) 상에 돌출부(bulge)(17)가 형성되어 있고, 제1 단부(11)의 폭 및 두께가 대응하는 소켓과 매칭되도록 제1 단부(11)로부터 제2 단부(12)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다른 예에서, 메모리 카드(10)는 메모리 카드 어댑터(20)에 삽입되어, 현재 입수가능한 통상의 전자 장치의 카드 커넥터와 결합할 수 있는, 다른 유형 및 다른 인터페이스 스펙의 메모리 카드를 제공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어댑터(20)에서, 어댑터(20)의 스펙(예를 들어, 길이, 폭, 및 두께)은 다른 메모리 카드의 스펙과 동일하다. 어댑터(20)는 제1 단부(23) 및 제2 단부(24)를 포함한다. 개구는 제2 단부(24)의 중간 부분(intermediate portion)으로부터 어댑터(20)의 제1 단부(23) 방향으로 연장되어, 메모리 카드(10)를 수용하는 삽입 그루브(25)를 형성한다. 삽입 그루브(25)의 배면 단부에는, 메모리 카드(10)의 판독/기록 인터페이스(14)의 컨택트(141)(도 3 참고)와의 개별적인 전기 접속 및/또는 USB 인터페이스(13)의 전원 컨택트(131) 및/또는 접지 컨택트(132)와의 전기 접속을 위한 복수의 탄성적 도전성 플레이트(26)가 제공된다. 또한, 어댑터(20)의 제1 단부(23)의 하부면 상에는 복수의 컨택트(27)(도 7 참고)가 제공되고, 동일 스펙의 다른 메모리 카드의 판독/기록 인터페이스의 컨택트들과 매칭된다. 컨택트(27)는, 개별적으로, 탄성적 도전성 플레이트(26)에 직접적으로 또는 회로 보드(circuit board)(28)를 통해 전기 접속된다. 어댑터(20)는 통상의 메모리 카드 스펙의 SD 메모리 카드 유형이거나, 다른 메모리 카드 유형일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다른 예에서, 메모리 카드(10)는 MS 어댑터(20)와 함께 사용되어, MS형 메모리 카드를 형성한다.
메모리 카드(10)가 어댑터(20)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도 3 및 도 5 내지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 카드(10)의 제1 단부(11)는 어댑터(20)의 삽입 그루브(25) 내에 삽입된다. 메모리 카드(10)의 판독/기록 인터페이스(14)의 컨택트(141) 및/또는 USB 인터페이스의 전원 컨택트(131) 및/또는 접지 컨택트(132)는, 어댑터(20)의 탄성적 도전성 플레이트(26)를 통해 컨택트(27)에 전기 접속되어, (도면에서의 SD 메모리 카드와 같은) 다른 메모리 카드 스펙의 인터페이스로 변환되어 통상의 전자 장치의 SD 카드 커넥터와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어댑터(20)는 플라스틱 몸체(plastic body)(21) 및 금속 상부 커버(metal top cover)(22) - 이들 사이에서 삽입 그루브가 정의됨 - 를 포함한다. 또한, 가이딩 그루브(guiding groove)(29)는 메모리 카드(10)의 돌출부(17)를 가이딩하기 위해 상부 커버(22)의 중간 부분 내에 정의되어, 메모리 카드(10)의 삽입/제거를 용이하게 하도록 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어댑터(20)에서, 탄성적 도전성 플레이트(26)의 전폭은 컨택트(27)의 전폭보다 작다. 탄성적 도전성 플레이트(26) 각각은 돌출 컨택트부(261)를 구비하여, 메모리 카드(10)의 판독/기록 인터페이스(14)의 연관된 컨택트(141)(도 3 참고) 및/또는 USB 인터페이스(13)의 전원 컨택(131) 및/또는 접지 컨택트(132)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단부를 포함한다. 또한, 탄성적 도전성 플레이트(26) 각각의 타 단부는 어댑터(20)의 연관된 컨택트(27)와 전기적으로 접속되 어, 다른 인터페이스 스펙을 갖는 다른 유형의 메모리 카드로 변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USB 인터페이스(13) 및 판독/기록 인터페이스(14)가 메모리 카드(10)의 동일 단부(제1 단부(11)) 상에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 중에 이들 두 인터페이스(13 및 14)가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외부 충격으로 인해 이들 인터페이스(13 및 14)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메모리 카드(10)의 USB 인터페이스(13)는 USB 소켓과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메모리 카드(10)의 판독/기록 인터페이스(14)는 판독/기록 인터페이스 소켓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카드(10)는 어댑터(20) 내에 삽입되어, (SD 카드, MS 카드, 또는 다른 메모리 카드와 같은) 다른 스펙의 메모리 카드를 형성하여, 데이터의 판독/기록을 할 수 있다. 다수의 사용법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메모리 카드에 의하면, 전자 장치와 결합될 경우, 다른 접속 포트를 위한 공간이 점유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다른 메모리 카드의 삽입이 용이하고 외부 충격으로 인한 손상의 위험이 적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어댑터에 의하면, 특정의 인터페이스를 갖는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어 다른 인터페이스 스펙을 갖는 다른 유형의 메모리 카드로 변환될 수 있기 때문에, 상호 스펙이 달라서 전자 장치와 메모리 카드 간에 결합이 곤란한 경우에도, 이를 가능하게 하여 특정 스펙의 메모리 카드의 사용 범위를 넓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메모리 카드에 있어서,
    제1 단부(11) 및 제2 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카드의 제1 단부는 그 크기가 USB 소켓의 결합 개구와 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메모리 카드의 제1 단부 상에는 USB 인터페이스(13) 및 판독/기록 인터페이스(14)가 제공되며,
    상기 USB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제1 컨택트(131-134)를 포함하고,
    상기 판독/기록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컨택트에 정렬된 복수의 제2 컨택트(14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컨택트 및 상기 제2 컨택트는 교번하여 배치된 메모리 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택트(131-134)는 1행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컨택트는 2행으로 배열된 메모리 카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SB 인터페이스(13)의 제1 컨택트는 상기 기록/판독 인터페이스(14)에 대해 전원 컨택트로서 기능하는 전원 컨택트(131)를 포함하는 메모리 카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SB 인터페이스(13)의 제1 컨택트는 상기 판독/기록 인터페이스(14)에 대해 접지 컨택트로서 기능하는 접지 컨택트(132)를 포함하는 메모리 카드.
  5. 제1 단부(11) 및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카드의 제1 단부는 그 크기가 USB 소켓의 결합 개구와 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메모리 카드의 제1 단부 상에는 USB 인터페이스(13) 및 판독/기록 인터페이스(14)가 제공되며, 상기 USB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제1 컨택트(131-134)를 포함하고, 상기 판독/기록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컨택트에 정렬된 복수의 제2 컨택트(14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컨택트 및 상기 제2 컨택트는 교번하여 배치된 메모리 카드(10)와,
    상기 메모리 카드(10)를 제거가능하도록 수용하여, 상기 메모리 카드를 다른 형태의 다른 메모리 카드로 변환할 수 있는 어댑터
    를 포함하는 콤비네이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USB 인터페이스(13)의 상기 제1 컨택트는 상기 판독/기록 인터페이스(14)에 대한 전원 컨택트로서 기능하는 전원 컨택트(131)를 포함하는 콤비네이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USB 인터페이스(13)의 상기 제1 컨택트는 상기 판독/기록 인터페이스(14)에 대한 접지 컨택트로서 기능하는 접지 컨택 트(132)를 포함하는 콤비네이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20)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와, 상기 어댑터의 제2 단부로부터 상기 어댑터의 제1 단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모리 카드(10)를 수용하기 위한 삽입 그루브(25)를 형성하는 개구와, 상기 메모리 카드의 상기 판독/기록 인터페이스(14)의 컨택트와의 개별적 전기 접속을 위해 상기 삽입 그루브 배면의 단부 상에 제공되는 복수의 탄성적(resilient) 도전성 플레이트(26)와, 상기 어댑터(20)의 제1 단부(23)의 하부면 상에 제공되고 다른 메모리 카드의 판독/기록 인터페이스의 컨택트와 매칭되는 복수의 제3 컨택트(27)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의 제3 컨택트(27)는 상기 탄성적 도전성 플레이트(27)와 개별적으로 전기 접속되는 콤비네이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적 도전성 플레이트(26)의 전폭(overall width)은 상기 어댑터(20)의 상기 제3 컨택트(27)의 전폭보다 작고, 상기 탄성적 도전성 플레이트 각각은 상기 메모리 카드의 판독/기록 인터페이스의 제2 컨택트(141) 중 연관된 컨택트와 접촉하는 돌출 컨택트부(261)를 구비한 제1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적 도전성 플레이트 각각은 상기 어댑터(20)의 제3 컨택트(27) 중 연관된 컨택트와 전기 접속하는 제2 단부를 더 포함하는 콤비네이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USB 인터페이스(13)의 제1 컨택트는 상기 탄성적 도전 성 플레이트(26) 중 하나인 상기 돌출 컨택트부(261)와 전기 접속되는 전원 컨택트(131)를 포함하는 콤비네이션.
KR2020060025283U 2006-06-20 2006-09-20 메모리 카드 및 메모리 카드/어댑터 콤비네이션 KR2004329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283U KR200432989Y1 (ko) 2006-06-20 2006-09-20 메모리 카드 및 메모리 카드/어댑터 콤비네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5210686 2006-06-20
KR2020060025283U KR200432989Y1 (ko) 2006-06-20 2006-09-20 메모리 카드 및 메모리 카드/어댑터 콤비네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989Y1 true KR200432989Y1 (ko) 2006-12-07

Family

ID=41781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283U KR200432989Y1 (ko) 2006-06-20 2006-09-20 메모리 카드 및 메모리 카드/어댑터 콤비네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98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5481B1 (en) USB plug with a built-in-card-reading slot
US7771238B2 (en) Card-type peripheral device
US7540786B1 (en) Flash memory device with improved contact arrangement
US7479042B2 (en) USB connector type memory card adapter
US7625243B2 (en) Extension to version 2.0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 arrangement
US7335039B2 (en) Memory card connector
US20080009197A1 (en) Memory card assembly
GB2518499A (en) Reader apparatus
US20070290050A1 (en) Memory card and memory card/adaptor combination
US6776653B1 (en) 5-in-1 connector
US6642614B1 (en) Multi-functional memory chip connector
US6547603B1 (en) Adapt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smart card to motherboard
US7670161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US6926559B1 (en) Electrical connector adapted for use with different electronic cards
KR200432989Y1 (ko) 메모리 카드 및 메모리 카드/어댑터 콤비네이션
US6896527B1 (en) Slim USB male connector with system grounding
JP3125881U (ja) マルチインターフェース・メモリカード
US20140306011A1 (en) Card reader
US20160232120A1 (en) Reading apparatus
KR200427016Y1 (ko) 복합 인터페이스 메모리 카드
US5902137A (en) Electrical connector
WO1995018475A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433008Y1 (ko) 메모리 카드 조립체
KR200288414Y1 (ko)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 어댑터
JP3138064U (ja) メモリーカードコネク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