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157Y1 - 유에스비 저장카드를 구비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유에스비 저장카드를 구비한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5157Y1
KR200425157Y1 KR2020060016643U KR20060016643U KR200425157Y1 KR 200425157 Y1 KR200425157 Y1 KR 200425157Y1 KR 2020060016643 U KR2020060016643 U KR 2020060016643U KR 20060016643 U KR20060016643 U KR 20060016643U KR 200425157 Y1 KR200425157 Y1 KR 2004251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storage card
usb
usb storag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66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 행크
Original Assignee
쓰리 뷰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 뷰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쓰리 뷰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200600166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51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51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51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1Employing a record carrier using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06F2212/214Solid state disk
    • G06F2212/2146Solid state disk being detachable, e.g.. USB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USB 저장카드가 내장된 전자기기에 대한 것이다.
전자기기는 수용공간,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제1 커넥터, 및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제1 커넥터를 통해 전자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USB 저장카드로 구성되어, USB 저장카드의 파일에 액세스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저장카드를 빈번하게 교체함에 따른 저장카드의 구조적 손상이나 불편이 해소된다. 한편, 저장카드의 분실의 위험도 방지되고, 전자기기의 소형화와 저장장치의 용량증대의 추세에 부응할 수 있다.
USB, 전자기기, 커넥터, 휴대폰, 노트북

Description

유에스비 저장카드를 구비한 전자기기{Electronic device with USB storage card}
도 1은 USB 저장카드의 개념도
도 2a 내지 2c는 전자기기 내에 배치되고 전자기기의 일 부분에 의해 커버되는 USB 저장카드의 개념도
도 3a 내지 3b는 전자기기의 둘레부에 형성된 슬롯에 배치되는 USB저장카드의 개념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신호어댑터의 분해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신호어댑터의 조립도
도 4c는 도 4a의 신호어댑터의 배면도
도 4d는 본 고안의 신호어댑터에 삽입된 USB 저장카드의 개념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USB 저장카드 11. 접점패드
20. 휴대폰 21. 수용공간
23. 제1 커넥터 25. 커버
30. 스마트카드 40. 노트북컴퓨터
42. 호스트 43. 수용공간
50. USB 저장카드 53. 신호어댑터
54. USB 커넥터 55. 커버
본 고안은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USB 저장카드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기술의 발달에 따라 많은 전자기기, 특히 휴대폰, 팜컴퓨터, 노트북컴퓨터, 또는 디지털카메라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들은 파일 액세스, 네트워크통신, 디지털사진 및 오락 등의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게 되어 소비자들의 요구를 만족시키고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 자체의 저장용량은 제한적이므로, 영화, 음악, 애니메이션, 또한 이미지파일 등을 위해서는 별도의 저장카드가 필요하다.
그러나, 전자기기의 소형화 및 다기능화에 따라 메모리카드의 부피는 점점 축소되고, 그 저장용량은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공통적인 메모리카드, 예를 들면 컴팩트 플래시카드(CF card), 멀티미디어 메모리카드(MMC card), 시큐어 디지털가드(SD card)가 근래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이들은 파일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카드를 필요로 하고 이들 메모리카드에 있는 파일을 컴퓨터로 다운로드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이들 메모리카드의 부피와 전송속도는 유저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또 다른 새로운 메모리카드인 USB 저장카드(USC)가 최근에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USB 저장카드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저장카드(10)는 대략 4각형 전자카드이고,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해 그 네 변에는 한 세트의 접점패드(11)를 구비하고, 각 접점패드 세트(11)는 5개의 핀(111)을 가지며, 이것은 종래의 USB 포트보다 하나 많다. 추가적인 5번째 핀은 저장용량을 확장하고 출력전압을 낮추거나 전송속도를 높이는 등, USB 저장카드(10)의 기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다른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므로, USB 저장카드가 내장된 전자기기를 제공하여 USB 저장카드의 응용을 촉진하고, USB 저장카드와 전자기기의 USB포트 사이에서 신호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어댑터 등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USB 저장카드가 내장되어 USB 저장카드에 파일을 저장하고, USB 저장카드로부터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어서, USB 저장카드의 활용을 촉진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편, USB 저장카드를 빈번하게 삽입 또는 분리함으로 인한 구조적 손상을 억제할 수 있도록 된 전자기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USB 저장카드가 구비된 전자기기가 제공된다. 전자기기는 수용공간과, 이 수용공간에 배치된 제1 커넥터와, 이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제1 커넥터를 통해 전자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USB 저장카드를 포함하 여, USB 저장카드 내의 파일에 액세스하거나 USB 저장카드에 파일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공간은 전자기기 내에 배치되고, 전자기기의 일 부분에 의해 커버된다.
바람직하게는, 수용공간은 USB 카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전자기기의 둘레부에 형성된 슬롯이다.
바람직하게는, USB 저정카드는 제1 커넉터에 연결되는 복수의 핀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접잼패드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커넥터는 USB 저장카드에 연결되는 복수의 도전성 단자로 구성되고, 도전성 단자는 도전편 또는 도전성 돌기이다.
바람직하게는, 전자기기는 휴대폰, 팜컴퓨터, 노트부컴퓨터, PDA 또는 디지털카메라이다.
바람직하게는, 전자기기는 데스크탑 컴퓨터이다.
바람직하게는, 수용공간은 수용공간 내에 USB 저장카드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자기기는 가입자식별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카드와 같은 스마트카드를 연결하는 제2 커넥터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USB 저장카드를 구비한 전자기기가 제공된다. 이 전자기기는 수용공간과, 이 수용공간에 삽입된 USB 저장카드로 구성되어, 이 USB 저장카드에 파일을 저장하거나 여기에 저장된 파일에 액세스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USB 저장카드를 전자기기의 USB 포트에 신호적으로 연결하는 신호어댑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USB 저장카드를 전자기기의 USB 포트에 신호적으로 연결하는 신호어댑터가 제공된다. 이 신호어댑터는 케이싱, USB 저장카드를 삽입하는 슬롯, 케이싱 내에 배치되며 USB 저장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USB 자장카드로부터의 신호를 USB 포맷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기, 및 신호변환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자기기의 USB 포트에 삽입되어 USB 포맷신호를 USB포트를 통해 전자기기로 전송하도록 된 USB 커넥터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어댑터는 USB커넥터가 전자기기의 USB 포트에 삽입되지 않으면 USB 포트를 보호하기 위해 두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커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싱은 복수의 플라스틱 케이스를 조립하여 형성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자기기의 USB 포트에 신호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어댑터가 제공된다. 신호어댑터는 복수의 접점패드 세트를 가진 USB 저장카드, 케이싱, USB 저장카드를 삽입하는 슬롯, 케이싱 내에 배치되며 USB 저장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USB 저장카드로부터의 신호를 USB 포맷으로 변환하는 신호변환기, 및 신호변환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자기기의 USB 포트에 삽입되어 USB 포맷 신호를 USB 포트를 통해 전자기기로 전송하도록 된 USB 커넥터로 구성된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명백히 드러날 것이다.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전자파일은 다양화되고 복잡화되는 추세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저장장치의 용량과 전송속도는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한다. USB 저장카드는 스타일화될 수 있고, 높은 저장용량 및 높은 전송속도를 가지므로 전자기기는 USB 저장카드를 활용하도록 설계된다. USB 저장카드는 전자기기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의 일 부분에 의해 커버될 수도 있으나, 도 3a 내지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의 둘레부에 형성된 슬롯에 삽입될 수도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기기는 휴대폰(20)이다. 휴대폰(20)은 수용공간(21)을 포함하고, 이것은 USB저장카드(10) 및/또는 다른 소형카드, 예를 들면, 스마트카드(30) 등을 수용하는 오목부이다. 수용공간(21)은 휴대폰(2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배면커버(25) 등과 같은 휴대폰(20)의 일 부분에 의해 커버된다. 배면커버(20) 대신에 배터리 또는 휴대폰의 다른 부분이 수용공간(21)을 커버할 수 있다. 그러므로, USB 저장카드(10)와 스마트카드(30)는 휴대폰(20)에 내장되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격리됨으로써, 빈번한 카드의 삽입과 분리에 따른 카드의 손상이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a를 다시 참조하면, 휴대폰(20)은 수용공간(21) 내에 배치되며 휴대폰(20) 내의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제1 커넥터(23)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23)는 5개의 도전성 단자(231)를 기진다. 본 실시예에서 도전성 단자(231)는 USB 저장카드(10)의 핀(111)에 대응하는 도전편이다. USB 저장카드(10)는 수용공간(21) 내에 배치되지만, USB 저장카드(10)의 핀(111)은 제1 커넥터(23)의 도전성 단자(231)를 통해 휴대폰(20)의 도시안된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USB 저장카드(10)에 저장된 사진이나 영상파일이 휴대폰(20)에 의해 직접 작동될 수 있다.
또한, 휴대폰(20)은 복수의 도전성 단자(241)로 구성된 제2 커넥터(24)를 구비하여, 다른 전자카드가 휴대폰(20)의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커넥터(23)와 제2 커넥터(24)는 병렬적으로 배치되며, 전자카드는 가입자식별모듈카드(SIM card)와 같은 스마트카드(30)이다. USB 저장카드(10)나 스마트카드(30)를 수용공간(21) 내에 견고히 고정하기 위해, 수용공간(21)은 고정부재(211)를 더 포함하여, USB 저장카드(10)나 스마트카드(30)가 헐거워져서 파일 액세스가 불가능해지는 상황을 방지하도록 한다. 물론, USB 저장카드(10)와 스마트카드(30)를 수용공간(21) 내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다른 형태의 고정수단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전자기기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자기기의 일 부분에 의해 커버되는 USB 저장카드의 개념도를 보여준다. 이 실시예에서, 수용공간(21), 고정부재(211) 및 이들의 USB 저장카드(10)와 스마트카드(30)의 연결관계는 도 2a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23)의 도전성 단자(232)는 도전성 돌기이다. 유사하게, 도전성 단자(232)는 USB 저장카드(10)의 핀(111)에 대응한다. 그러므로, USB 저장카드(10)의 핀(111)은 휴대폰(20)의 도시안된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파일 액세스가 가능하다. 또한, 도 2a의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제1 커넥터(23)와 제2 커넥터(24)는 별도로 배치된다. 환언하면, 제1 커넥터(23)와 제2 커넥터(24)의 위치는 제한적 이지 않으며, USB 저장카드(10)와 스마트카드(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물론, USB 저장카드가 적용되는 전자기기는 휴대폰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는 모니터(41)와 호스트(42)를 포함하고, 호스트(42)는 마더보드(도시안됨)와 수용공간(43)을 포함하는 노트북 컴퓨터(40)일 수 있다. 수용공간(43)은 USB 저장카드(10) 및/또는 스마트카드와 같은 다른 전자카드를 수용하도록 호스트(42)의 내부공간(44)에 배치된 오목부이다. 이 실시예에서, 내부공간(44)은 노트북 컴퓨터(40)의 일 부분, 예를 들면 배터리(47)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USB 저장카드(10)와 스마트카드(30)는 수용공간(43) 내에 배치되고 배터리(47)에 의해 노트북 켬퓨터(43)의 외부공간으로부터 격리된다. 그러므로, USB저장카드(10)와 스마트카드(30)의 빈번한 착탈로 인한 손상가능성이 줄어든다. 배터리(47)는 도시안된 배면커버 또는 노트북 켬퓨터(40)의 다른 부분으로 대체될 수 있다.
유사하게, 노트북 컴퓨터(40)의 수용공간(43)은 복수의 도전성 단자(451,461)를 각각 구비하는 제1 커넥터(45)와 제2 커넥터(46)로 이루어져서, 각각 USB 저장카드(10)와 스마트카드(30)가 호스트(42)의 도시안된 마더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그러나, 도전성 단자(451)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며, 도 2c에서와 같은 도전편이거나, 도 2b에서와 같은 도전성 돌기일 수 있다. 그러므로, USB 저장카드(10)는 유저에 의해 직접 제어되는 호스트(42)에 의해 구동되는 운영체제에 의해 작동되어, USB 저장카드(10) 내의 파일을 호스트(42)의 도시안된 저장 매체에 다운로드하거나, 노트북컴퓨터(40)의 정보를 스마트카드(30)를 통해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수용공간(43)은 고정부재(431)를 구비하여 USB저장카드(10)와 스마트카드(30)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고, USB 저장카드(10) 및 스마트카드(30)를 견고히 고정하기 위한 임의의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USB 저장카드의 응용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전자기기의 둘레부에 형성된 슬롯에 배치되는 USB 저장카드의 개념도가 도시된다. 도 3a의 전자기기는 그 둘레부에 수용공간(21)을 가진 휴대폰(20)이다. 여기서 수용공간(21)은 USB 저장카드(10)가 삽입되는 슬롯이다. 수용공간(21)은 복수의 도전성 단자(도 2a 내지 도 2c참조)를 구비한 제1 커넥터(23)를 더 포함하여, USB 저장카드(10)가 수용공간(21)에 삽입되며 USB 저장카드(10)가 휴대폰(20) 내부의 도시안된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로써, 사진, 영상 등의 파일이 휴대폰(20) 내의 USB 저장카드(10)에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자기기 내의 파일이 USB 저장카드(10)에 저장될 수 있고, USB 저장카드(10) 내의 파일이 전자기기로 다운로드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는 모니터(41)와 호스트(42)를 가진 노트북컴퓨터(40)이고, 호스트(42)는 그 안에 마더보드를 가지고 둘레부에 수용공간(43)을 가진다. 수용공간(43)은 USB 저장카드(10)가 삽입되는 슬롯이고, 복수의 도전성 단자(도 2a 내지 도 2c 참조)를 가진 제1 커넥터(45)로 구성되어, USB 저장카드(10)가 노트북컴퓨터(40)의 호스트(42)의 마더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USB 저장카드(10)가 수용공간(43)에 삽입되면, 유저는 노트북컴퓨터(40)의 호스트(42) 내의 마더보드에 의해 구성되는 운영체제를 사용하여 USB 저장카드(10) 내의 파일을 도시안된 저장매체, 예를들면 하드디스크 등에 다운로드하거나 제1 커넥터(45)를 통해 파일을 USB 저장카드(10)로 저장할 수 있다.
물론, 도 3a 내지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카드와 같은 다른 전자카드용 제2 커넥터가 전자기기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USB 저장카드가 응용되는 전자기기는 디지털카메라, 팜컴퓨터, PDA, 데스크탑 컴퓨터, 및 휴대폰 이외의 다른 휴대용 전자기기일 수 있으며,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노트북컴퓨터(40)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신호어댑터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어댑터(5)는 USB 저장카드(USC)(50)를 그 속에 삽입하여, USB 저장카드(50)가 신호어댑터(5)를 통해 전자기기의 USB 포트에 신호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USB 저장카드(50)에 저장된 데이터는 전자기기의 저장매체,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등에 다운로드될 수 있고, 역으로 전자기기에 저장된 데이터는 신호어댑터(5)를 통해 USB 저장카드(50)에 저장될 수 있다. 신호어댑터(5)는 케이싱(51), 슬롯(52), 신호변환기(53), USB 커넥터(54)와 커버(55)로 구성된다. 케이싱(51)은 서로 조립되어 박스형태를 이루는 상부플라스틱케이싱(511)과 하부플라스틱케이싱(512)을 포함한다. USB 저장카드(50)의 배면의 네측면의 각각에는 한 세트의 접점패드(510)를 가진다(도 4c참조). 각각의 접점패드(510) 세트는 신호변환기(5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접점패드(510)의 각 세트는 5개의 핀(513)을 가지며, 이들은 종래의 USB 포트보다 하 나 더 많으며, 추가적인 5번째 핀은 USB 저장카드(50)의 전송속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다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USB 저장카드(50)는 상부플라스틱케이싱(511)과 하부플라스틱케이싱(512)을 조립한 후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슬롯(52)을 통해 삽입되어(도 4a 및 도 4b 참조) 신호변환기(5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전송한다. 신호변환기(53)는 USB 저장카드(5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USB 포맷신호로 변환하거나, 전자기기로부터의 진호를 USB 저장카드(50)에서 판독가능한 신호포맷으로 변환하는데 사용된다.
신호변환기(53)의 타단은 USB 커넥터(5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USB 커넥터(54)가 전자기기의 USB 포트에 삽입되면, 신호변환기(53)에 의해 변환된 USB 포맷신호가 전자기기의 내부로 전송되어 USB 커넥터(54)와 USB 포트를 통해 저장된다. 이와는 달리, 전자기기의 신호는 USB 포트 및 USB 커넥터(54)를 통해 신호변환기(53)로 전송되어 신호변환되어 USB 저장카드(50) 내에 저장된다.
도 4b 및 도 4d를 참조하면, 신호어댑터(5)는 상부플라스틱케이싱(511)의 홈(5111)에 수용되어 위치 A와 B 사이에서 슬라이드되는 커버(55)를 포함한다. USB 커넥터(54)가 전자기기의 USB포트 내로 삽입되면, 커버(55)가 홈(5111) 내에 완전히 수용된다. 한편, 신호어댑터(5)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커버(55)가 위치 A로부터 B로 이동되어, USB 커넥터(54)를 커버하도록 하여(도 4d 참조), 먼지나 이물질이 USB 커넥터(54)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USB 커넥터(54)를 보호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53)의 두 상부코너(521)는 원호형상이고 두 하부코너(522)는 직각이다. 따라서, USB 저장카드(50)의 두 상부측면(501)도 역시 원호형상이고 두 하부측면(502)는 직각이다. 그러므로, USB 저장카드(50)는 슬롯(52)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끼워질 수 없다. 물론, 슬롯(52)과 USB저장장치(50)의 대응하는 구조는 역으로 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다른 적절한 형태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신호어댑터를 통해, USB 저장카드 및 전자기기의 USB포트는 신호적으로 연결되어 USB 저장카드에 저장된 데이터가 전자기기로 다운로드되거나 그 역으로 다운로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신호어댑터는 산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요약하면, USB 저장카드는 전자기기의 내부의 수용공간에 배치되거나, 전자기기의 일 부분에 의해 커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기기의 둘레부 상의 슬롯에 끼워질 수도 있다. 한편, USB 저장카드는 제1 커넥터를 통해 전자기기의 내부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USB 저장카드에 있는 파일에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USB 저장카드는 전자기기의 내에 배치되므로, 전자기기의 부피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전자기기의 소형화추세에 부응할 수 있다. 또한, 저장카드의 빈번한 교체 또는 착탈에 따른 저장카드의 손상이나 분실의 위험은 USB 저장카드의 높은 저장용량과 높은 전송속도로 인해 방지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커넥터를 통해 전자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USB 저장카드로 구성되어,
    USB 저장카드 내의 파일에 액세스하거나 파일을 USB 저장카드에 저장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은 전자기기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자기기의 일 부분에 의해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USB 저장카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전자기기의 둘레부에 배치되는 슬롯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USB 저장카드에 연결되는 복수의 도전성 단자로 구성되고, 상기 도전성 단자는 도전편 또는 도전성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휴대용 전자기기이고, 휴대폰, 팜컴퓨터, 노트북컴퓨터, PDA, 데스크탑 컴퓨터 또는 디지털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USB 저장카드를 상기 수용공간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스마트카드를 연결하는 제2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카드는 SIM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USB 저장카드와 전자기기의 USB 포트를 신호적으로 연결하는 신호어댑터에 있어서,
    케이싱,
    상기 USB 저장카드를 삽입하는 슬롯,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상기 USB 저장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USB 저장카드로부터의 신호를 USB 포맷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기, 및
    상기 신호변환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자기기의 USB 포트에 삽입되어 상기 USB 포맷신호를 USB 포트를 통해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USB 커넥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어댑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USB 커넥터가 상기 전자기기의 상기 USB 포트에 삽입되지 않으면 상기 USB 커넥터를 보호하기 위해 두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어댑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복수의 플라스틱 케이싱을 조립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어댑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두 상부코너는 원호형상이고, 두 하부코너는 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어댑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USB 저장카드의 두 상부측면은 원호형상이고, 두 하부측면은 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어댑터.
KR2020060016643U 2005-07-05 2006-06-21 유에스비 저장카드를 구비한 전자기기 KR2004251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643U KR200425157Y1 (ko) 2005-07-05 2006-06-21 유에스비 저장카드를 구비한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TW094211391 2005-07-05
TWTW094213278 2005-08-03
TWTW095201147 2006-01-18
KR2020060016643U KR200425157Y1 (ko) 2005-07-05 2006-06-21 유에스비 저장카드를 구비한 전자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5157Y1 true KR200425157Y1 (ko) 2006-08-30

Family

ID=41773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6643U KR200425157Y1 (ko) 2005-07-05 2006-06-21 유에스비 저장카드를 구비한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515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1238B2 (en) Card-type peripheral device
US6976111B1 (en) High-density removable expansion module having I/O and second-level removable expansion memory
US6567273B1 (en) Small silicon disk card with a USB plug
TWI235339B (en) Apparatus supporting multiple memory card formats
US20040087213A1 (en) Plug used for connection with a usb receptacle
US20040033727A1 (en) Plug used for connection with a USB receptacle
JP2007534034A (ja) 複数のコネクタ標準と互換性を有するメモリカード
US20070032122A1 (en) Electronic device with USB storage card
KR20070012404A (ko) 접촉들의 2가지 표준 세트들을 갖는 메모리 카드들
US20030201322A1 (en) Adapter of compact flash memory card for various types of flash memory card
WO2006052293A1 (en) Combined mass data storage and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20040175976A1 (en) Card type USB connector, and USB gender changer and USB memory card using the card type USB connector
EP1605386A2 (en) Radio communication card
KR200425157Y1 (ko) 유에스비 저장카드를 구비한 전자기기
TWM249143U (en) Signal adaptor of embedded memory card
US20070011372A1 (en) Signal adapter
JP3125336U (ja) Usbメモリカードを備えた電子装置
US20050252969A1 (en) Card reader for electronic device
CN1363909A (zh) 一种连接器
TW201807536A (zh) 攜帶式儲存裝置
US20070150639A1 (en) Multiple-interface connection port
US7149082B1 (en) Protective sheath for peripheral cards used in digital devices
CN215870135U (zh) 一种Micro SD卡的转接装置
US20080160791A1 (en) Memory card with a slim USB connector
US20050114584A1 (en) Multimedia access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