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2694A -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2694A
KR20090022694A KR1020070088271A KR20070088271A KR20090022694A KR 20090022694 A KR20090022694 A KR 20090022694A KR 1020070088271 A KR1020070088271 A KR 1020070088271A KR 20070088271 A KR20070088271 A KR 20070088271A KR 20090022694 A KR20090022694 A KR 20090022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groove
cover
camera
sliding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6276B1 (ko
Inventor
안성열
백진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8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276B1/ko
Priority to CNA200810001984XA priority patent/CN101201534A/zh
Publication of KR20090022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다양하고 넓은 시각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CAMERA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다양하고 넓은 시각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젼이나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그 앞에서 벌어지는 장면들을 실시간으로 사진촬영 하거나 동영상 촬영 등을 하도록 카메라 장치가 장착된다.
그러나 이러한 카메라 장치는 고정되어 있어 촬영할 수 있는 범위가 매우 제한되어 있고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각도 조정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각도 조정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고 다양하고 넓은 시각에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카메라 유닛; 상기 카메라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카메라 유닛 및 지지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 유닛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2축무빙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 유닛은,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를 수용하며 상기 카메라의 렌즈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홀이 마련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축무빙유닛은, 상기 커버와 상기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다른 하나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점접촉 하는 돌기부와, 상기 커버와 상기 지지부재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돌기부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안내하는 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커버와 상기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의 좌측에 구비되는 제1돌기부와, 상기 커버와 상기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의 우측에 구비되는 제2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루브는, 상기 제1돌기부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제1그루브와, 상기 제2돌기부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제2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커버와 상기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3돌기부와, 상기 커버와 상기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4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루브는, 상기 제3돌기부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제3그루브와, 상기 제4돌기부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제4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커버와 결합하여 상기 카메라를 고정시키는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루브는, 그 양 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돌기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단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루브의 전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돌기부의 전방 쪽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단턱부와, 상기 그루브의 후단부에 상기 홀더의 전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의 후방 쪽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멈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면에 안착홀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안착홀에 유동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카메라 유닛; 상기 카메라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카메라 유닛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2축무빙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 유닛은,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를 수용하며 상기 카메라의 렌즈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홀이 마련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축 무빙유닛은, 상기 안착홀 및 상기 커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다른 하나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점접촉 하는 돌기부와, 상기 안착홀 및 상기 커버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돌기부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안내하는 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축 무빙유닛은, 상기 커버 및 상기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다른 하나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점접촉 하는 돌기부와, 상기 커버 및 상기 지지부재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돌기부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안내하는 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안착홀과 상기 커버 중 어느 하나의 좌측에 구비되는 제1돌기부와, 상기 안착홀과 상기 커버 중 어느 하나의 우측에 구비되는 제2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루브는, 상기 제1돌기부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제1그루브와, 상기 제2돌기부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제2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커버와 상기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의 좌측에 구비되는 제1돌기부와, 상기 커버와 상기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의 우측에 구비되는 제2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루브는, 상기 제1돌기부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제1그루브와, 상기 제2돌기부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제2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안착홀과 상기 커버 중 어느 하나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3돌기부와, 상기 안착홀과 상기 커버 중 어느 하나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4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루브는, 상기 제3돌기부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제3그루브와, 상기 제4돌기부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제4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루브는, 그 양 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돌기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단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루브는, 그 양 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돌기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단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커버와 결합하여 상기 카메라를 고정시키는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루브는, 그 양 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돌기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단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루브의 전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돌기부의 전방 쪽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단턱부와, 상기 그루브의 후단부에 상기 홀더의 전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의 후방 쪽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멈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는, 그 후단 테두리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캐비닛에 걸림으로써 상기 커버의 상하 방향 회전 또는 좌우 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간단한 구 조에 의해 카메라 장치가 2개의 서로 다른 축에 대한 자유도를 갖도록 할 수 있어 다양하고 넓은 범위의 촬영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각도 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 및 이를 장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에 관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본체(100)와, 이를 지지하는 서포터(30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0)는 캐비닛(110) 내부에 소정의 부품들이 내장되며, 소정의 정보를 화상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캐비닛(110)의 일측에는 화면 앞에서 벌어지는 장면들에 대한 사진촬영이나 동영상 촬영 등을 위한 카메라 장치(200)가 구비되는데, 상기 카메라 장치(200)는 그 전면 일부가 캐비닛(110)의 외부로 노출된 채 캐비닛(110)에 내장된다.
사용자는 상기 카메라 장치(200)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을 움직여서 카메라 장치(200)의 각도를 수동으로 조정할 수 있고, 또는 그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미도시)와 상기 카메라 장치(200)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리모컨 등의 조작에 의해 상기 카메라 장치(200)의 각도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카메라 장치(200)가 캐비닛(110)에 내장된 구조에 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카메라 장치(200)는 캐비닛(110)에 형성되는 안착홀(111)에 유동 가능하도록 안착 되는데, 카메라 장치(200)의 앞부분 일부가 캐비닛(1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카메라 장치(200)는 카메라 유닛과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데, 상기 카메라 유닛은 커버(220)와 카메라(210), 그리고 홀더(230)을 포함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220)는 카메라(210)를 전방 쪽에서 덮어서 수용하며, 카메라(210)의 후방 쪽은 상기 커버(220)와 결합하는 홀더(230)가 덮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홀더(230)의 후방에 상기 지지부재(240)가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홀더(230)는 반드시 구비될 필요는 없고 상기 지지부재(240)가 상기 홀더(230)의 역할을 대신 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카메라(210)는 바람직하게는 디지털 카메라로써 구현되는데, 피사체에 관한 화상 정보를 소정의 저장매체에 일시 저장하였다가 이를 디스플레이부(120, 도 1 참조)를 통해 실시간으로 보여주며 사진촬영이나 동영상 촬영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광학장치이다.
상기 카메라(210)는 커버(220) 내부에 마련되는 캐비티(221)에 어느 정도 고정되도록 수용되고, 상기 홀더(230)와 지지부재(240)가 각각 커버(220)와 결합하면서 카메라(210)의 후방 쪽을 덮는다.
상기 커버(220)는 전면에 소정 크기의 홀(222, 도 3 참조)이 형성되어 그 내부의 캐비티(221)에 안착되는 카메라(210)의 전면에 구비되는 렌즈(211, 도 3 참조)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220)의 결합돌기(224)와 홀더(230)의 결합홈(232)이 서로 결합하면서 커버(220)와 홀더(230)가 서로 결합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커버(220)와 상기 지지부재(240)는 2축무빙유닛에 의해 서로 결합한다.
상기 2축무빙유닛은 상기 커버(220)가 상하 방향으로, 또는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커버(220)의 캐비티(221)에 고정된 카메라(210)가 상기 커버(220)와 함께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다양한 각도에서의 촬영을 가능하게 한다.
도 2에서는 상기 2축무빙유닛의 일 예로서 커버(220)에 형성되는 그루브(260)와, 상기 지지부재(240)에 형성되는 돌기부(250)에 관하여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돌기부(250)는 지지부재(240)에서 안쪽으로 소정 간격 돌출되며 그 끝부분이 그루브(260) 내면에 점접촉 되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루브(260)는 커버(220)에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소정 깊이로 패여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돌기부(250)는 상기 그루브(260)에 삽입되어 상기 그루브(260)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거나 제자리에서 상대회전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상대회전을 하다는 것은 돌기부(250)가 그루브(260)에서 스스로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커버(220)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돌기부(250)는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돌기부(250)는 그루브(260)에 결합된 채로 상하 방향 회전의 중심축 역할을 하고, 실제로는 돌기부(250)의 점접촉 되는 점을 중심으로 커버(220)가 회전함으로써 그루브(260)가 움직인다.
이와 같은 2축무빙유닛의 구체적인 동작에 관한 내용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2축 무빙유닛은 커버(220)에 구비되는 그루브(260)와 지지부재(240)에 마련되는 돌기부(250)를 포함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부(250)는 그루브(260) 내에서 점접촉 되어, 그 접촉된 점을 중심으로 커버(220)가 상하 회전을 할 수 있으며, 상기 돌기부(250)가 그루브(260)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좌우 회전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223번 구성요소는 스토퍼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상기 도 3의 I-I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캐비닛(110)의 안착홀(111)에 카메라 장치가 장착된 것에 관하여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이미 설명한 바 있는 구성요소에 관한 사항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20)는 안착홀(111)에 안착되는데, 상기 커버(220)의 후단 테두리 부분의 상부과 하부에는 각각 상부스토퍼(223a)와 하부스토퍼(223b)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스토퍼(223a)와 하부스토퍼(223b)는 각각 커버(220)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때 그 회전되는 각도 범위를 제한하도록 하기 위한 것인데, 이를 위해서는 상기 커버(220)를 안착홀(111)에 장착할 때 상기 스토퍼(223a, 223b)와 캐비닛(110)의 내면과의 간격을 어느 정도 이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스토퍼(223a)는 커버(220)가 아랫 방향으로 회전할 때 그 회전 각도의 범위를 제한하고, 상기 하부스토퍼(223b)는 커버(220)가 윗 방향으로 회전할 때 그 회전 각도의 범위를 제한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커버(220)에 마련되는 그루브(260)와 지지부재(240)에 마련되는 돌기부(250)에 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카메라 장치의 II-II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250)는 그루브(260)를 슬라이딩 이동하는 범위를 제한 받는데, 상기 그루브(260)의 일단에는 단턱부(265)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멈춤부(231)가 형성된다.
상기 단턱부(265)는 상기 그루브(260)의 일단에 턱을 형성시킨 것이고, 그루브(260)의 타단은 개방되어 있다. 이 그루브(260)의 개방된 타단에 홀더(230)의 전면이 위치하면서 멈춤부(231)를 형성시킨 것이다.
따라서 돌기부(250)는 전후 방향으로 그루브(26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 서 전방 쪽의 슬라이딩 이동을 단턱부(265)가 제한하고, 후방 쪽의 슬라이딩 이동을 멈춤부(231)가 제한을 한다.
그런데 도 5에서는 그루브(260)의 일단에 단턱부(265)를, 타단에 멈춤부(231)를 구비하는 것에 관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그루브(260)의 양단에 모두 단턱부를 형성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2축무빙유닛에 관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상기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카메라 장치에 관한 사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2축무빙유닛은 커버(22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마련되는 제1돌기부(251)와 제2돌기부(252), 그리고 지지부재(240)에 마련되는 제1그루브(261)와 제2그루브(2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돌기부(251)는 상기 제1그루브(261)에 대응하고, 상기 제2돌기부(252)는 상기 제2그루브(262)에 대응한다.
즉 상기 제1돌기부(251)는 제1그루브(261)에서 점접촉하면서 전후 방향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제2돌기부(252)는 제2그루브(262)에서 점접촉하면서 전후 방향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상기 제1그루브(261) 및 제2그루브(262) 각각의 양 단부에는 각각 전방측 단 턱부(265a)와 후방측 단턱부(265b)가 마련되어 상기 제1돌기부(251) 및 제2돌기부(252)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제한되도록 한다.
이로 말미암아 커버(220)는 좌우 회전을 소정의 각도만큼 제한적으로 할 수 있어 커버(220)가 옆으로 완전히 돌아가 버리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커버(220)의 상하 방향 회전의 제한은 스토퍼(223)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에 관하여는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생략한다.
한편,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2축무빙유닛에 관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상기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카메라 장치에 관한 사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커버(220)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3돌기부(253)와, 하부에 마련되는 제4돌기부(254), 그리고 지지부재(240)의 상단 내면에 마련되는 제3그루브(263)와, 하단 내면에 마련되는 제4그루브(264)를 포함한다.
상기 제3돌기부(253)는 제3그루브(263)에 결합되어 그 내면과 점접촉하며, 상기 제3그루브(263)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4돌기부(254)도 상기 제4그루브(264)에 대해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대응한다.
즉 제3돌기부(253) 및 제4돌기부(254)가 각각 제3그루브(263)와 제4그루브(264) 내에서 점접촉 하면서 제자리에서 회전하면 커버(220)가 좌우 방향으로 회 전하게 되고, 제3돌기부(253) 및 제4돌기부(254)가 각각 제3그루브(263)와 제4그루브(264)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 커버(220)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그루브(263) 및 제4그루브(264)는 각각 그 양단에 단턱부(265a, 265b)가 형성되어 상기 제3돌기부(253) 및 제4돌기부(254)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커버(220)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는 범위를 제한한다.
즉 커버(220)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다가 완전히 한쪽으로 돌아가 버리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스토퍼(223)가 커버(220)의 후단 테두리의 좌측 부분와 우측부분에 각각 마련되어, 캐비닛(110) 등에 안착되는 경우 커버(220)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는 범위를 제한하도록 한다.
한편,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2축무빙유닛에 관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상기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카메라 장치에 관한 사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버(220)에는 좌측과 우측 부분, 그리고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제1돌기부(251), 제2돌기부(252), 제3돌기부(253) 및 제4돌기부(254)가 각각 마련된다.
그리고 지지부재(240)의 내면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 그리고 상단 부분 및 하단 부분에 각각 상기 제1돌기부(251), 제2돌기부(252), 제3돌기부(253) 및 제4돌기부(254)에 대응하도록 제1그루브(261), 제2그루브(262), 제3그루브(263) 및 제4그루브(264)가 마련된다.
각 돌기부(251, 252, 253, 254)는 각 그루브(261, 262, 263, 264)의 내면에 점접촉 되며 슬라이딩 가능하도로 결합한다.
상기 커버(220)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제1돌기부(251) 및 제2돌기부(252)가 각각 제1그루브(261) 및 제2그루브(262) 내에서 회전하고, 이때 제3돌기부(253) 및 제4돌기부(254)는 각각 제3그루브(263) 및 제4그루브(264)를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기 커버(220)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제3돌기부(253) 및 제4돌기부(254)가 각각 제3그루브(263) 및 제4그루브(264) 내에서 회전하고, 이때 제1돌기부(251) 및 제2돌기부(252)는 각각 제1그루브(261) 및 제2그루브(262)를 슬라이딩 이동한다.
각 그루브(261, 262, 263, 264)의 양단에는 각각 전방측 단턱부(265a)와 후방측 단턱부(265b)가 마련되어, 상기 각 돌기부(251, 252, 253, 254)는 각 그루브(261, 262, 263, 264)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때 그 이동 범위가 제한된다.
즉 커버(220)는 상기 단턱부(265a, 265b)로 말미암아 어느 한쪽 방향으로 완전히 돌아가지 않고 적절한 범위에서 상하좌우 방향의 회전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210)는 커버(220)의 캐비티(221)에 고정되고 그 후방 쪽에서 홀더(230)가 커버(220)와 결합하면서 카메라(210)를 고정시킨다.
상기 커버(220)(카메라(210)와 홀더(230)가 결합된 상태)는 캐비닛(110)의 안착홀(111)에 안착되는데, 이때 2축무빙유닛은 안착홀(111)의 좌측과 우측 부분에 각각 마련되는 돌기부(250)와, 커버(220)의 좌측과 우측 부분에 각각 마련되는 그루브(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캐비닛(110)의 안착홀(111)의 좌측과 우측 부분에 형성되는 돌기부(250)는 커버(220)의 좌측과 우측 부분에 형성되는 그루브(26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커버(220)를 위아래로 움직이면 상기 안착홀(111)의 돌기부(250)를 중심으로 커버(220)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고, 커버(220)를 옆으로 움직이면 상기 돌기부(250)는 그루브(260)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커버(220)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9에 도시된 커버(220)의 후단 테두리 부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마련되는 스토퍼(223)는 커버(220)의 상하 방향 회전을 소정 각도 범위로 제한하기 위한 것이고, 커버(220)의 좌우 방향 회전의 제한은 그루브(260)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는 단턱부 또는 멈춤부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도면 상으로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상기 돌기부(250)와 그루브(260)의 위치를 바꾸도록 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안착홀(111)의 좌측과 우측 부분에 각각 그루브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도록 커버(220)의 좌측과 우측 부분에 각각 돌기부를 마련함으로써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동작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싱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2축무빙유닛에 있어서 상기 도 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차이가 있고, 그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대체로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버(22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돌기부(250)가 마련되고, 캐비닛(110)의 안착홀(11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그루브(260)가 마련된다.
상기 돌기부(250)는 그루브(260)에 결합하여 회전하거나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커버(220)가 상하 좌우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즉 커버(220)를 위아래로 움직이면 상기 돌기부(250)가 그루브(260)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커버(220)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고, 커버(220)를 옆으로 움직이면 상기 돌기부(250)를 중심으로 커버(220)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하 방향의 회전의 제한은 그루브(260)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는 단턱부 또는 멈춤부에 의해 이루어지고, 좌우 방향의 회전 제한은 커버(220)의 후단 테 두리 부분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마련되는 스토퍼(223)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면상으로 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상기 돌기부(250)와 그루브(260)의 위치가 바뀌어도 상기한 바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안착홀(11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돌기부를 마련하고 커버(22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그루브를 마련하여, 상기 그루브에서 상기 돌기부가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2축무빙유닛에 있어서 상기 도 9나 도 10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차이가 있고, 그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대체로 도 9나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10)의 안착홀(111)의 상하좌우측면에는 각각 그루브(260)가 마련되고, 이에 대응하도록 커버(220)의 상하좌우측면에 각각 돌기부(250)가 마련된다.
상기 각 돌기부(250)는 각 그루브(260)에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커버(220)의 상하 방향 회전 시에는, 커버(220)의 측면 쪽 돌기부(250)는 그루브(260)에서 상대회전을 하고 상하부 돌기부(250)는 그루브(260)에서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한다.
그리고 커버(220)가 좌우 방향 회전 시에는, 커버(220)의 측면 쪽 돌기 부(250)는 그루브(260)에서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하고, 상하부 돌기부(250)는 그루브(260)에서 상대회전을 한다.
도면상으로 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상기 돌기부(250)와 그루브(260)의 위치가 바뀌어도 상기한 바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안착홀(111)의 상하부 및 좌우측 부분에 각각 돌기부를 마련하고 커버(220)의 상하부 및 좌우측 부분에 각각 상기 돌기부에 대응하도록 그루브를 마련하여, 상기 그루브에서 상기 돌기부가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 및 이를 장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에 관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에 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카메라 장치의 I-I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카메라 장치의 II-II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치 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각각의 실시예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21)

  1. 카메라 유닛;
    상기 카메라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카메라 유닛 및 지지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 유닛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2축무빙유닛을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은,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를 수용하며 상기 카메라의 렌즈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홀이 마련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축무빙유닛은,
    상기 커버와 상기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다른 하나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점접촉 하는 돌기부와,
    상기 커버와 상기 지지부재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돌기부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안내하는 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커버와 상기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의 좌측에 구비되는 제1돌기부와, 상기 커버와 상기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의 우측에 구비되는 제2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루브는, 상기 제1돌기부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제1그루브와, 상기 제2돌기부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제2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커버와 상기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3돌기부와, 상기 커버와 상기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4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루브는, 상기 제3돌기부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제3그루브와, 상기 제4돌기부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제4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커버와 결합하여 상기 카메라를 고정시키는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그 양 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돌기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단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의 전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돌기부의 전방 쪽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단턱부와,
    상기 그루브의 후단부에 상기 홀더의 전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의 후방 쪽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멈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9. 일면에 안착홀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안착홀에 유동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카메라 유닛;
    상기 카메라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카메라 유닛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2축무빙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은,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를 수용하며 상기 카메라의 렌즈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홀이 마련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2축 무빙유닛은,
    상기 안착홀 및 상기 커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다른 하나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점접촉 하는 돌기부와,
    상기 안착홀 및 상기 커버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돌기부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안내하는 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2축 무빙유닛은,
    상기 커버 및 상기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다른 하나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점접촉 하는 돌기부와,
    상기 커버 및 상기 지지부재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돌기부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안내하는 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안착홀과 상기 커버 중 어느 하나의 좌측에 구비되는 제1돌기부와, 상기 안착홀과 상기 커버 중 어느 하나의 우측에 구비되는 제2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루브는, 상기 제1돌기부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제1 그루브와, 상기 제2돌기부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제2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커버와 상기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의 좌측에 구비되는 제1돌기부와, 상기 커버와 상기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의 우측에 구비되는 제2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루브는, 상기 제1돌기부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제1그루브와, 상기 제2돌기부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제2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안착홀과 상기 커버 중 어느 하나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3돌기부와, 상기 안착홀과 상기 커버 중 어느 하나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4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루브는, 상기 제3돌기부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제3그루브와, 상기 제4돌기부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제4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그 양 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돌기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단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그 양 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돌기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단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커버와 결합하여 상기 카메라를 고정시키는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그 양 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돌기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단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의 전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돌기부의 전방 쪽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단턱부와,
    상기 그루브의 후단부에 상기 홀더의 전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의 후방 쪽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멈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 플레이 장치.
  21.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그 후단 테두리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캐비닛에 걸림으로써 상기 커버의 상하 방향 회전 또는 좌우 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70088271A 2007-08-31 2007-08-31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66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271A KR101366276B1 (ko) 2007-08-31 2007-08-31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A200810001984XA CN101201534A (zh) 2007-08-31 2008-01-02 照相机装置及配备其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271A KR101366276B1 (ko) 2007-08-31 2007-08-31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694A true KR20090022694A (ko) 2009-03-04
KR101366276B1 KR101366276B1 (ko) 2014-02-20

Family

ID=39516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271A KR101366276B1 (ko) 2007-08-31 2007-08-31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66276B1 (ko)
CN (1) CN1012015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48653B2 (en) 2014-08-14 2020-11-24 Hanwha Techwin Co., Ltd. Dome camera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41268B (zh) * 2013-05-24 2016-02-10 广州睿火智能科技有限公司 多功能装置及其应用方法
JP6700131B2 (ja) * 2016-07-13 2020-05-27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カメラ、スタンド、及びそれらを備えるカメラ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999A (ja) * 1997-06-25 1999-01-22 Minolta Co Ltd 撮像装置
JP2000059674A (ja) * 1998-08-12 2000-02-25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2005311758A (ja) * 2004-04-22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モジュ−ル及びカメラ付き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48653B2 (en) 2014-08-14 2020-11-24 Hanwha Techwin Co., Ltd. Dome camera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6276B1 (ko) 2014-02-20
CN101201534A (zh) 200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4051U (ja) ディスプレイ支持装置
US8593567B2 (en) Web camera with position adjustment function
JPH01177530A (ja) 立体カメラの支持機構
US20070242150A1 (en) Display apparatus and imaging device
BR112012013841B1 (pt) Computador portátil tendo um painel de exibição, método para ajustar o ângulo de visão de um arranjo de câmera digital e arranjo de câmera digital
JP4479818B2 (ja) ビューファインダーおよび撮像装置
BR112015016419B1 (pt) Aparelho de exibição que fornece interações com usuário
CN209402587U (zh) 摄像装置
KR101366276B1 (ko)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05024629A (ja) 立体カメラ用雲台装置
US10831038B2 (en) Stereo viewer and/or stereo view finder
KR101297836B1 (ko) 입체영상 촬영용 휴대폰 장착리그
KR100944214B1 (ko) 도브테일 방식을 이용한 파노라마 촬영 장치
JP2006527415A (ja) 異なる投影面に映像を投影する装置
JP2009177585A (ja) 可動式表示装置およびカメラ
KR20160001330A (ko) 카메라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화기
KR20100064552A (ko) 디스플레이장치
JP2006308846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12168486A (ja) 撮像装置取付器具
KR200345084Y1 (ko) 파노라마촬영 카메라의 지지대 구조
US11042036B2 (en) Device mount for mixed-reality capture
JP4994154B2 (ja) ステレオ写真アダプター
JP3204877B2 (ja) 資料提示装置
KR102625680B1 (ko) 렌즈 프로젝터 레일 시스템
KR200362033Y1 (ko) 다목적 영상촬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