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1488A - 고정 클립 - Google Patents

고정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1488A
KR20090021488A KR1020070086042A KR20070086042A KR20090021488A KR 20090021488 A KR20090021488 A KR 20090021488A KR 1020070086042 A KR1020070086042 A KR 1020070086042A KR 20070086042 A KR20070086042 A KR 20070086042A KR 20090021488 A KR20090021488 A KR 20090021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ixing clip
shock absorbing
absorbing memb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6674B1 (ko
Inventor
이양원
임기성
장재수
Original Assignee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filed Critical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070086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674B1/ko
Publication of KR20090021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8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the shank of the stud, pin or spigot having elevations, ribs, fins or prongs intended for deformation or tilting predominant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inse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조립공차를 흡수할 수 있으며, 상대물과의 체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고정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대상체에 끼움 결합되는 가이더 홀이 형성되는 본체와, 본체의 상측에 장착되며 측면으로 돌출된 탄성 걸림단이 형성된 고정체를 구비하며, 가이더 홀은 대상체와 본체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여, 본체가 대상체의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도록 한다.
클립, 헤드라이닝 어셈블리, 고정, 슬라이더

Description

고정 클립{FIXING CLIP}
본 발명은 고정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공차를 흡수할 수 있으며, 대상체와의 체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고정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내장용 부품을 차체에 결합시에는 체결용 클립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즉, 자동차의 차체에 헤드라이닝 어셈블리 등의 고정시에 체결용 클립을 이용하여 결합을 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클립의 본체를 차체에 결합하고, 본체에 장착된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헤드라이닝 어셈블리 등의 차량 부품을 고정함으로써, 내장용 부품을 차체에 고정한다.
그러나, 전술한 체결용 클립은 체결 위치를 맞추기가 어렵고, 체결력이 점점 저하되어 자동차의 주행시 마찰에 의해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주행시에도 마찰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조립 공차를 흡수하여 견고한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 클립을 제공한다.
고정 클립을 이용하여 다수의 방향에서 조립공차를 흡수가능하게 하며, 충격 흡수부재를 장착하여 근접 부품과의 마찰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첫째, 차량 내장용 부품을 차체에 결합시에 다수의 방향에서 조립 공차의 확보됨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차량 내장용 부품의 원활한 장착이 가능하다.
둘째, 충격 흡수부재를 장착하여 차량 주행시에 주변 부품과의 마찰에 따른 소음 발생을 방지하여, 차량 승차감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클립은, 대상체에 끼움 결합되는 가이더 홀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에 장착되며, 측면으로 돌출된 탄성 걸림단이 형성된 고정체;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더 홀은 상기 대상체와 상기 본체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가 상기 대상체의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본체에는 가이더 홀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된다.
본체에는 근접 부품과의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 흡수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충격 흡수부재는, 본체에 일단이 장착되며, 타단은 본체와 이격된 상태로 연장된다.
충격 흡수부재는 고정체를 중심으로 대향된 한 쌍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클립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클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고정 클립을 다른 측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고정 클립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클립(100)은, 대상체(13, 도 4 도시)에 끼움 결합되는 가이더 홀(11)이 형성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상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탄성 걸림단(23)이 형성된 고정체(20)를 포함한다.
도 4는 고정 클립의 본체와 대상체와의 결합을 도시한 측면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체결하고자 하는 차량의 헤드 라이닝 어셈블리 등의 대상체(13)에 끼움 결합 가능한 가이더 홀(11)이 형성된다. 이 러한 본체(10)는 대상체(13)와 결합을 위해 탄성 재질로 구비됨이 가능하다. 가이더 홀(11)은 본체(10) 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더 홀(11)은 대상체(13)의 단면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이더 홀(11)과 대상체(13)의 결합시에 여유 공간(a, b)이 형성되어 일정 부분 유동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본체(10)의 결합시에 조립 공차의 발생을 방지한다. 이러한 여유 공간(a, b)은 대상체(13)의 위치 이동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체(10)의 전, 후 유동은 여유공간(a, b)를 통해 가능하며, 본체(10)의 좌, 우 유동은 가이더 홀(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능하게 된다.
가이더 홀(11)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15)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턱(15)은 대상체(13)의 결합 상태의 해제를 방지하게 된다. 본체(10)의 상측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체(20)가 장착된다.
고정체(20)는 본체(10)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장착되며, 외측에는 탄성 걸림단(23)이 형성된다. 이러한 탄성 걸림단(23)은 결합시 차량의 헤드라이닝 어셈블리등의 대상물(미도시)에 걸림 결합되도록 한다. 고정체(20)를 이용한 대상물의 고정은 자동차의 차체 또는 그 근접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10)는 가이더 홀(11)을 통해, 다수의 방향에서의 조립 공차의 흡수가 가능한 상태로 장착된다. 즉, 본체(10)가 대상체(13)에 삽입되는 방향에서 2방향에서의 조립 공차의 흡수와, 가이더 홀(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2방향에서의 조립공차의 흡수가 가능하다.
도 5는 고정 클립에 구비되는 충격 흡수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에는 충격 흡수부재(30)가 장착되어, 본체(10)에 근접되는 부품과의 간섭됨을 방지한다. 충격 흡수부재(30)는 일단은 본체(10)에 장착되고 타단은 본체(10)와 이격된 상태로 연장된다. 이러한 충격 흡수부재(30)는 본체(10)에 근접된 부품(미도시)과의 접촉시에 충격을 흡수하고, 접촉에 의한 소음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클립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클립(100)은 차량의 헤드 라이닝 어셈블리를 루프 패널 등 차체에 조립시 조립 공차의 흡수가 가능하도록 하며, 원활한 체결 작업이 가능하게 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클립(100)을 본체(10)의 가이더 홀(11)을 이용하여 고정하고자 하는 대상체(13)에 삽입한다. 이러한 본체(10)의 가이더 홀(11)에 대상체(13)가 삽입되면, 대상체(13)와 가이더 홀(11) 간에는 여유 공간(a, b)이 마련되어 전, 후 유동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대상체(13)는 여유 공간(a,b) 만큼의 유동이 가능함으로써, 전, 후 방향의 조립 공차의 흡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체(10)는 가이더 홀(11)을 따라 좌, 우 방향의 유동이 가능함으로써, 본체(10)의 장착시 좌, 우 방향의 조립 공차의 흡수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체(10)의 상측에 구비된 고정체(20)에는 탄성 걸림단(23)이 돌출 형성되어, 차량의 헤드 라이닝 어셈블리(미도시)를 차체에 고정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차량의 헤드 라이닝 어셈블리 등의 대상체(13)의 차체 고정 시에 조립공차의 흡수가 가능하게 되어, 체결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클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정 클립을 다른 측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고정 클립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고정 클립의 본체와 대상체와의 결합을 도시한 측면도면이다.
도 5는 고정 클립에 구비되는 충격 흡수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 11...가이더 홀
13...대상체 15...걸림턱
20...고정체 23...탄성 걸림단
30...충격 흡수부재

Claims (5)

  1. 대상체에 끼움 결합되는 가이더 홀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에 장착되며, 측면으로 돌출된 탄성 걸림단이 형성된 고정체;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더 홀은 상기 대상체와 상기 본체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가 상기 대상체의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 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가이더 홀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는 고정 클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근접 부품과의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 흡수부재가 장착되는 고정 클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재는,
    상기 본체에 일단이 장착되며, 타단은 상기 본체와 이격된 상태로 연장되는 고정 클립.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재는 상기 고정체를 중심으로 대향된 한 쌍으로 장착되는 고정 클립.
KR1020070086042A 2007-08-27 2007-08-27 고정 클립 KR100916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042A KR100916674B1 (ko) 2007-08-27 2007-08-27 고정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042A KR100916674B1 (ko) 2007-08-27 2007-08-27 고정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488A true KR20090021488A (ko) 2009-03-04
KR100916674B1 KR100916674B1 (ko) 2009-09-08

Family

ID=40691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042A KR100916674B1 (ko) 2007-08-27 2007-08-27 고정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6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013B1 (ko) * 2014-03-25 2015-07-07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헤드라이닝 및 이를 이용한 장착 구조
KR20170059644A (ko) * 2015-11-23 2017-05-31 (주)엘지하우시스 사이드 실 몰딩 고정용 클립
KR20200115741A (ko) * 2019-03-25 2020-10-08 주식회사 동희산업 차량용 펌프의 라인 고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1744A (ja) * 1998-04-08 1999-10-26 Denso Corp 装備品固定具
JP4001525B2 (ja) * 2002-08-19 2007-10-31 矢崎総業株式会社 クリップ及びクリップの固定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013B1 (ko) * 2014-03-25 2015-07-07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헤드라이닝 및 이를 이용한 장착 구조
KR20170059644A (ko) * 2015-11-23 2017-05-31 (주)엘지하우시스 사이드 실 몰딩 고정용 클립
KR20200115741A (ko) * 2019-03-25 2020-10-08 주식회사 동희산업 차량용 펌프의 라인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6674B1 (ko) 2009-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9742B2 (ja) バッテリユニットの車体取付構造
JP6048318B2 (ja) 車体前部構造
KR101014139B1 (ko) 자동차의 범퍼 스테이 구조
JP5727883B2 (ja) 車両用バンパ構造
KR20140130914A (ko) 차량의 스티어링 장치
KR20090021488A (ko) 고정 클립
JP5882163B2 (ja) ラジエータグリル
JP5369866B2 (ja) バッテリ搭載構造
JP2009035032A (ja) 車体前部構造
KR100740772B1 (ko) 차량용 온도조절기의 충격 흡수 장치
KR101327952B1 (ko) 차량용 리어 시트백 프레임의 조립장치
JP5728312B2 (ja) 車両のバンパー装置
KR101744911B1 (ko) 자동차 범퍼의 충격흡수부재 조립구조
WO2009081694A1 (ja) ヘッドランプ取付構造
JP2005132325A (ja) 車体のリアバンパー組立構造
JP2009073425A (ja) 車両用外装部品
KR101330236B1 (ko) 차량용 프론트 엔드 모듈
JP2007131135A (ja) 車体前部構造
JP4797085B2 (ja) エンジンルームにおける衝撃吸収構造
JP2015131545A (ja) 車体前部構造
KR100932610B1 (ko) 자동차 범퍼와 서포트 브래킷 간의 가 조립을 위한 장착구조
KR101543396B1 (ko) 차량용 프론트엔드모듈
KR101896792B1 (ko) 차체 하부 측면구조
JP2014226982A (ja) バンパフェイシャの取付構造
KR101545680B1 (ko) 프론트 엔드 모듈의 캐리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