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013B1 - 자동차용 헤드라이닝 및 이를 이용한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헤드라이닝 및 이를 이용한 장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013B1
KR101534013B1 KR1020140034694A KR20140034694A KR101534013B1 KR 101534013 B1 KR101534013 B1 KR 101534013B1 KR 1020140034694 A KR1020140034694 A KR 1020140034694A KR 20140034694 A KR20140034694 A KR 20140034694A KR 101534013 B1 KR101534013 B1 KR 101534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clip
mounting bracket
roof panel
headl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충호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140034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라이닝을 루프 패널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수단으로서 클립을 이용하여 끼움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헤드라이닝을 쉽고 신속하게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착 수단이 유효 수명 때문에 그 장착 기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헤드라이닝 및 이를 이용한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클립의 보디를 헤드라이닝의 폭 방향으로 끼우고, 이 클립의 장착 돌기를 로케이션 레일에 끼움에 따라 장착 돌기가 탄성 변형되었다가 원래 형태로 펼쳐지면서 걸림 작용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헤드라이닝의 중력이나 유효 수명이 다하여 클립이 헤드라이닝이나 루프 패널에서 장착이 빠지거나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헤드라이닝 및 이를 이용한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착 돌기를 끼워 장착하는 로케이션 레일을 루프 패널에 형성한 장착 구멍의 테두리 전체에 걸쳐 형성함으로써, 클립을 이 로케이션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편리한 위치에 쉽고 신속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헤드라이닝 및 이를 이용한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헤드라이닝 및 이를 이용한 장착 구조{HEADLING FOR VEHICLE AND THE ASEEMBLING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헤드라이닝 및 이를 이용한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착 수단으로서 클립을 이용하여 끼움 방식으로 헤드라이닝을 루프 패널에 장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헤드라이닝을 쉽고 신속하게 루프 패널에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착 수단의 유효 수명이 다하여 루프 패널에서 헤드라이닝이 들뜨거나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루프 패널(R)에는, 도 1과 같이, 완충기능과 무드 등을 제공하기 위하여 그 실내 측에 헤드라이닝(L)을 장착한다. 헤드라이닝(L)은 사이드 루프레일에 고정 설치되며, 비닐이나 면 등의 여러 가지 재질로 구성되어 외부 온도 변화에 대한 단열재 구실도 겸한다. 근래에는 루프 패널에 실내 환기와 통풍성 그리고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하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선루프(Sun Roof)를 장착하기도 한다.
이러한 헤드라이닝(L)은 다양한 방법으로 루프 패널에 장착하는 데, 특허문헌 1에는 매직 테이프(듀얼 락)로 장착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은 차량의 루프와 실내 외장재 사이에 부설되어 단열 등의 목적으로 설치한 차량용 헤드라이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루프에 설치하기가 쉽게 한 차량용 헤드라이닝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헤드라이닝을 비교적 경량재의 쿠션 재질로 이루어져 차량의 루프 아랫면에 고정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비교적 면적이 큰 부품으로써 사람이 이를 차량의 루프에 대고 상부로 향하는 작업자세로 고정하기가 쉽지 않아, 정 위치에 고정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의 헤드라이닝의 상면 소정위치에 매직 테이프를 부설시키고, 그 대응위치의 루프에도 매직 테이프를 부착함으로써 완성된다.
도 1과 도 2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O"는 선루프를 장착하기 위하여 루프 패널에 형성한 장착 구멍을, "O'"은 이 장착 구멍과 마주 보는 헤드라이닝 위치에 형성한 장착 구멍을 각각 나타낸다.
하지만, 이런 종래의 헤드라이닝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헤드라이닝에는 선루프를 장착하기 위해 루프 패널을 통해 하늘을 볼 수 있도록 도 2와 같이 장착 구멍(O')을 형성하고, 이 장착 구멍(O')의 테두리 부분을 선루프를 장착하기 위한 루프 패널의 장착구멍의 테두리 부분과 마주 보게 설치한다.
(2) 이때, 헤드라이닝은 루프 패널과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떨어지게 설치하여 루프 패널에서 냉기 등이 직접 전달로 습기가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게 장착한다. 이를 위하여, 헤드라이닝에는, 도 2와 같이 고정 브래킷(B)을 이용하여 루프 패널(R)에 장착한다.
(3) 그리고, 고정 브래킷(B)과 루프 패널(R)이 맞닿는 면에는 각각 매직 테이프(듀얼 락)를 갖추고, 헤드라이닝을 루프 패널의 안쪽, 즉 실내 쪽에서 루프 패널과 맞닿게 장착함에 따라 매직 테이프가 서로 엉켜 선루프를 장착하는 헤드라이닝 부분의 장착을 끝낸다.
(4) 이처럼 매직 테이프를 이용하는 경우 선루프가 장착되는 헤드라이닝 부분은 쉽게 장착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으나 이 부분이 루프 패널에서 떨어질 우려가 있다.
(5) 즉, 고정 브래킷과 루프 패널에 장착한 매직 테이프의 엉킴으로 이들의 결합은 쉽게 분리되지 않으나, 루프 패널 또는 고정 브래킷에서 매직 테이프가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6) 이는 매직 테이프를 각각 고정 브래킷과 루프 패널에 접착하여 장착하는 데, 고정 브래킷과 루프 패널의 접착 부위에서 매직 테이프가 분리되어 결과적으로 헤드라이닝이 루프 패널에서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6) 또한, 이처럼 헤드라이닝이 자중과 중력으로 차량의 실내 바닥 쪽으로 떨어지는 경우 차량에 탑승자가 있는 경우 부상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97-0038883호(공개일 : 1997.07.24)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발명한 것으로, 헤드라이닝을 루프 패널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수단으로서 클립을 이용하여 끼움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헤드라이닝을 쉽고 신속하게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착 수단이 유효 수명 때문에 그 장착 기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헤드라이닝 및 이를 이용한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클립의 보디를 헤드라이닝의 폭 방향으로 끼우고, 이 클립의 장착 돌기를 로케이션 레일에 끼움에 따라 장착 돌기가 탄성 변형되었다가 원래 형태로 펼쳐지면서 걸림 작용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헤드라이닝의 중력이나 유효 수명이 다하여 클립이 헤드라이닝이나 루프 패널에서 장착이 빠지거나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헤드라이닝 및 이를 이용한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착 돌기를 끼워 장착하는 로케이션 레일을 루프 패널에 형성한 장착 구멍의 테두리 전체에 걸쳐 형성함으로써, 클립을 이 로케이션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편리한 위치에 쉽고 신속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헤드라이닝 및 이를 이용한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라이닝을 이용한 장착 구조는, 선루프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멍(110)의 테두리에는 장착 브래킷(120)이 설치되고, 이 장착 브래킷(120)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여러 개의 클립(200)이 끼워진 자동차용 헤드 라이닝에 있어서, 선루프를 장착하기 위해 루프 패널(R)에 형성한 장착 구멍(O)의 테두리에 장착 브래킷(120)과 마주 보게 장착하며 전체 길이에 걸쳐 반원보다 큰 우호(優弧) 형상의 단면을 갖는 로케이션 레일(300)을 형성하고, 상기 로케이션 레일(300)에 상기 장착 브래킷(120)에 끼워진 클립(200)을 강제로 끼워 장착하되;, 상기 클립(200)은 상기 장착 브래킷(120)에 폭 방향으로 끼워서 고정하기 위한 보디(210)· 이 보디(210)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바깥 면에는 적어도 2개의 탄성 편(221)의 끝이 보디(210)를 향하도록 형성하여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장착 돌기(22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클립(200)은 장착 돌기(220)가 로케이션 레일(300)에 끼워짐에 따라 좁아지게 변형되었다가 원래 형태로 복원하면서 끼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장착 브래킷(120)은 격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디(210)는 장착 브래킷(120)을 끼울 수 있도록 삽입 구멍(211)이 형성되며, 이 삽입 구멍(211)의 서로 마주 보는 면 중에서 한 면에는 걸림 턱(212)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장착 브래킷(120)은 이 걸림 턱(212)과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 구멍(12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자동차용 헤드라이닝을 이용한 장착 구조를 포함하며, 선루프를 장착하기 위해 루프 패널(R)에 형성한 장착 구멍(O)의 테두리에 장착 브래킷(120)과 마주 보게 장착하며 전체 길이에 걸쳐 반원보다 큰 우호(優弧) 형상의 단면을 갖는 로케이션 레일(300)을 형성하고, 상기 로케이션 레일(300)에 상기 장착 브래킷(120)에 끼워진 클립(200)을 강제로 끼워 장착하되, 상기 클립(200)은 장착 돌기(220)가 로케이션 레일(300)에 끼워짐에 따라 좁아지게 변형되었다가 원래 형태로 복원하면서 끼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라이닝 및 이를 이용한 장착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끼움 방식으로 장착하는 클립으로 선루프를 가진 차량에 헤드라이닝을 조립하므로 누구든지 쉽게 헤드라이닝을 장착할 수 있다. 이는 숙련자가 아닌 비숙련자라도 쉽게 헤드라이닝을 장착할 수 있다.
(2) 또한, 루프 패널에 클립을 끼우기 위한 로케이션 레일을 장착 구멍의 테두리 전체에 대하여 형성하므로, 클립의 끼움 위치를 쉽게 파악하여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다.
(3)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클립은 보디를 헤드라이닝의 폭 방향으로 끼우고 장착 돌기를 로케이션 레일에 장착함에 따라 이 장착 돌기가 탄성 변형되면서 전체 크기가 줄어들었다가 원래 크기로 넓어지면서 루프 패널에 장착한다. 이에 헤드라이닝의 중력이나 오랜 시간이 지나더라도 클립이 파손되지 않는 한 클립의 유효 수명 때문에 루프 패널에서 헤드라이닝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 접착제나 체결 수단 등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별도의 장착 공구 등이 없이도 쉽고 신속하게 헤드라이닝을 루프 패널에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선루프를 가진 차량의 일례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헤드라이닝의 장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 1에서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장착 구멍의 테두리 부분에 장착 브래킷을 장착한 헤드라이닝의 일례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닝을 루프 패널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 헤드라이닝의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라이닝(100)은,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선루프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멍(110)의 테두리에 장착 브래킷(120)을 설치하고, 이 장착 브래킷(120)과 헤드라이닝(100) 사이에 클립(200)을 끼움 방식으로 장착하여 고정한 것이다.
특히, 상기 클립(200)은 장착 브래킷(120)에 끼운 상태에서 억지 끼움 방식으로 루프 패널(R)에 끼움에 따라 탄성 변형되었다가 원래 크기로 복원되면서 헤드라이닝(100)을 장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오랜 시간이 지나더라도 클립(200)의 기능을 상실하지 않고 계속해서 헤드라이닝(100)을 루프 패널(R)에 고정해 줄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헤드라이닝(100)은, 도 3과 같이, 선루프가 있는 차량에 장착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장착 구멍(110)이 형성된 것을 이용한다.
또한, 상기 헤드라이닝(100)에는, 도 3과 같이, 장착 구멍(110)의 테두리 부분에 장착 브래킷(120)을 갖춘다. 장착 브래킷(120)은 도 5와 같이 헤드라이닝(100)과 루프 패널(R) 사이에 미리 정해진 만큼 떨어지게 하여 헤드라이닝(100)이 직접 루프 패널(R)과 맞닿지 않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 브래킷(120)은 장착 구멍(110)의 테두리에 부분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도 3과 같이 격자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장착 브래킷(120)이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경우, 이 장착 브래킷(120)의 지지를 받지 못하는 헤드라이닝(100) 부분이 차량의 실내 측으로 처지거나 꾸김 등이 발생하여 헤드라이닝(100)의 장착 불량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장착 브래킷(120)은 후술할 클립(200)을 장착하는 데 직접 끼워서 장착할 수도 있으나, 도 3과 같이 전체 길이에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클립(200)을 끼울 수 있도록 시트(12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시트(122)는 헤드라이닝(100)과 나란한 폭 방향으로 클립(200)을 끼울 수 있게 함으로써, 헤드라이닝(100)이 그 하중 등에 의해 실내 바닥 쪽으로 떨어지거나 분리하는 현상을 막을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시트(122)는, 도 3에서, 격자 형상으로 제작한 장착 브래킷(120)의 각 변에 각각 4개씩 16개를 형성한 예를 보여 주고 있으나, 이는 장착 브래킷(120)의 크기와 변의 길이에 따라 그 개수를 달리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 브래킷(120)에는 클립(200)이 끼워지는 부분에 고정 구멍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의 고정 구멍은 클립(200)에 형성하는 걸림 턱(212)이 끼워지게 하여 클립(200)이 장착 브래킷(120)에 견고하게 끼움 고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122)를 형성한 경우, 이 시트(122)에 고정 구멍(12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립(200)은,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장착 브래킷(120)에 끼우기 위한 보디(210)와 루프 패널(R)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돌기(220)를 일체로 형성한다.
특히, 상기 보디(210)는 장착 브래킷(120), 더욱 바람직하게는 시트(122)를 끼울 수 있도록 삽입 구멍(211)을 형성한다. 이때, 삽입 구멍(211)은 시트(122)가 억지 끼움 방식으로 끼워 고정할 수 있는 폭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 구멍(210)에는 서로 마주 보는 면 중에서 어느 한 면에 걸림 턱(212)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이 걸림 턱(212)은 삽입 구멍(210)에 시트(122)를 끼움에 따라 상기 고정 구멍(121)에 걸리게 하여 헤드라이닝(100)에 클립(200)을 견고하게 끼워서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장착 돌기(220)는 보디(210)에 일체로 형성하며 루프 패널(R)에 장착할 때 탄성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장착 돌기(210)에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적어도 2개의 탄성 편(221)이 형성된다. 특히, 탄성 편(221)은 그 끝이 보디(210)를 향하도록 장착 돌기(220)를 절개하여 형성한다. 이러한 장착 돌기(220)는 외부에서 외력이 가해지면 탄성 편(221)이 장착 돌기(220) 바깥면과 밀착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 상태로 복원된다.
이처럼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닝을 이용한 장착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헤드라이닝의 장착 구조)
우선,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닝(100)을 루프 패널(R)에 장착하기 위한 구조로서, 루프 패널(R)에 로케이션 레일(300)을 장착한다.
로케이션 레일(300)은, 도 5와 같이, 그 단면 형상이 우호(優弧) 형상으로 제작한다. 여기서, 우호(優弧)란 그 단면 형상이 파이프와 같은 원보다 작고 반원보다 큰 호를 말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로케이션 레일(300)은 그 단면이 상기 장착 돌기(220) 부분을 감싸 빠지지 않는 크기로 제작함으로써, 이 로케이션 레일(300)에 장착 돌기(220)를 끼우면 오랜 시간이 지나더라도 클립(200)이 유효 수명 때문에 로케이션 레일(30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로케이션 레일(300)은 상술한 장착 브래킷(120)과 마주 보는 루프 패널(R)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로케이션 레일(300)은 격자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여기에 끼워질 장착 돌기(220)의 위치가 조금 벗어나더라도 이에 상관없이 헤드라이닝(100)을 장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로케이션 레일(300)은, 도 5와 같이 루프 패널(R)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별도로 제작하여 루프 패널(R)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이루어진 로케이션 레일(300)에는 클립(200)의 장착 돌기(220)가 끼움 방식으로 끼워서 고정한다. 이때, 클립(200)은 삽입 구멍(211)에 시트(122)를 끼워 걸림 턱(212)이 고정 구멍(121)에 걸리게 하여 헤드라이닝(100)에 끼워 고정한 상태이다.
이에, 장착 돌기(220)는 로케이션 레일(300)에 대고 누름에 따라 탄성 편(221) 부분이 눌리면서 로케이션 레일(300) 안으로 들어가고, 이 로케이션 레일(300) 안으로 완전히 들어가면 눌렸던 탄성 편(221)이 원래 형태로 펼쳐지면서 헤드라이닝(100)을 루프 패널(R)에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헤드라이닝(100)은 폭 방향으로 삽입 구멍(211)에 끼워지므로 루프 패널(R)에 장착한 상태에서 그 자체 중량이 실리더라도 실내 측으로 분리되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헤드라이닝(100)을 지지하는 클립(200)은 장착 돌기(220)가 변형되었다가 원래 형태로 복원되면서 로케이션 레일(300)에 끼워져서 견고히 고정되므로 오랫동안 시간이 지나더라도 클립(200)이 로케이션 레일(30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헤드라이닝
110 : 장착 구멍
120 : 장착 브래킷
121 : 고정 구멍
122 : 시트
200 : 클립
210 : 보디
211 : 삽입 구멍
212 : 걸림 턱
220 : 장착 돌기
221 : 탄성 편
300 : 로케이션 레일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선루프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멍(110)의 테두리에는 장착 브래킷(120)이 설치되고, 이 장착 브래킷(120)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여러 개의 클립(200)이 끼워진 자동차용 헤드 라이닝에 있어서,
    선루프를 장착하기 위해 루프 패널(R)에 형성한 장착 구멍(O)의 테두리에 장착 브래킷(120)과 마주 보게 장착하며 전체 길이에 걸쳐 반원보다 큰 우호(優弧) 형상의 단면을 갖는 로케이션 레일(300)을 형성하고, 상기 로케이션 레일(300)에 상기 장착 브래킷(120)에 끼워진 클립(200)을 강제로 끼워 장착하되,
    상기 클립(200)은 상기 장착 브래킷(120)에 폭 방향으로 끼워서 고정하기 위한 보디(210)· 이 보디(210)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바깥 면에는 적어도 2개의 탄성 편(221)의 끝이 보디(210)를 향하도록 형성하여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장착 돌기(22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클립(200)은 장착 돌기(220)가 로케이션 레일(300)에 끼워짐에 따라 좁아지게 변형되었다가 원래 형태로 복원하면서 끼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 라이닝을 이용한 장착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래킷(120)은 격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라이닝을 이용한 장착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210)는 장착 브래킷(120)을 끼울 수 있도록 삽입 구멍(211)이 형성되며, 이 삽입 구멍(211)의 서로 마주 보는 면 중에서 한 면에는 걸림 턱(212)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장착 브래킷(120)은 이 걸림 턱(212)과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 구멍(12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라이닝을 이용한 장착구조.



KR1020140034694A 2014-03-25 2014-03-25 자동차용 헤드라이닝 및 이를 이용한 장착 구조 KR101534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694A KR101534013B1 (ko) 2014-03-25 2014-03-25 자동차용 헤드라이닝 및 이를 이용한 장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694A KR101534013B1 (ko) 2014-03-25 2014-03-25 자동차용 헤드라이닝 및 이를 이용한 장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4013B1 true KR101534013B1 (ko) 2015-07-07

Family

ID=53790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694A KR101534013B1 (ko) 2014-03-25 2014-03-25 자동차용 헤드라이닝 및 이를 이용한 장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0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1488A (ko) * 2007-08-27 2009-03-04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고정 클립
KR20130029159A (ko) * 2011-09-14 2013-03-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선루프용 헤드라이닝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1488A (ko) * 2007-08-27 2009-03-04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고정 클립
KR20130029159A (ko) * 2011-09-14 2013-03-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선루프용 헤드라이닝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8846B1 (ko) 자동차 내장용 부품 고정클립
US9440596B2 (en) Retention clip for interior vehicle components
JP6475827B2 (ja) テザー付きファスナ及びこれに関連した方法
US9216629B2 (en) Vehicle enclosure and method and system of installation
KR200481508Y1 (ko) 차양 어셈블리를 위한 당김 바 장치
KR101534013B1 (ko) 자동차용 헤드라이닝 및 이를 이용한 장착 구조
JP2008012957A (ja) 車両のルーフ構造
KR100953996B1 (ko) 자동차 내장용 부품 고정클립
JP2011213172A (ja) カーペット留め具
JP2006298049A (ja) 車内用荷物支持装置
JP2011229759A (ja) 車両用消火器の保持装置
CA2914079A1 (en) Deployable seat cover
KR200409060Y1 (ko) 와이어 고정 클립의 고정구조
JP2010501391A (ja) フレーム素子、航空機構造コンポーネント組立システム、および構造コンポーネントを航空機に装着する方法
KR101527051B1 (ko) 헤드라이닝 보강재 장착 구조
JP4247384B2 (ja) 車両用ポケット構造
KR200482535Y1 (ko) 차랑용 테더 클립 고정 구조물
CN219769880U (zh) 一种内饰安全保护的对波双层贯通道
KR200482534Y1 (ko) 차량용 테더 클립 고정 구조물
JP6027526B2 (ja) 車両用バイザ
JP2013023097A (ja) 車内キャリア
ES2317471T3 (es) Dispositivo para el montaje rapido de accesorios sobre el revestimiento del techo interior de un vehiculo automovil.
KR102041559B1 (ko) 케이블 고정 클립
JP2008174925A (ja) シート接続方法及び取付治具
KR101251409B1 (ko) 자동차 결합부용 클립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