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1301A - 버섯재배사업의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한 배양용기, 균상선반, 관수·보습장치 및 버섯재배방법 - Google Patents

버섯재배사업의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한 배양용기, 균상선반, 관수·보습장치 및 버섯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1301A
KR20090021301A KR1020090008814A KR20090008814A KR20090021301A KR 20090021301 A KR20090021301 A KR 20090021301A KR 1020090008814 A KR1020090008814 A KR 1020090008814A KR 20090008814 A KR20090008814 A KR 20090008814A KR 20090021301 A KR20090021301 A KR 20090021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ubator
mushroom
mushrooms
water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6646B1 (ko
Inventor
이진우
Original Assignee
이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우 filed Critical 이진우
Priority to KR1020090008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646B1/ko
Publication of KR20090021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301A/ko
Priority to PCT/KR2010/000671 priority patent/WO2010090448A2/ko
Priority to PCT/KR2010/000695 priority patent/WO2010090463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4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4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 A01G18/65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lids, e.g. lids with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탈병(脫甁)된 배양기(培養基)를 A형 균상선반의 사면(斜面)에 적재하여 버섯을 발생·성장시키는 방식의 버섯재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들과 달리, 배양기의 버섯발생 면상(面上)의 버섯발이 부위 면적을 확장하고, 발생된 자실체의 성장공간을 다층식 입체공간이 되도록 배양기를 조성하는 방법, A형 균상선반의 다리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 및 다회(多回)수확 버섯의 재배기간 중 수분공급에 사용할 관수·보습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으로 구성되며, 각 기술의 개별적 효과와 각 기술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창출되는 시너지 효과에 의하여, 자본집약적 버섯재배사업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종합적 버섯재배 기술이다.
배양용기, 배양기(培養基), 균상(菌狀)선반, 화산석, 칼라부, 하부 컵, 다회(多回)수확버섯

Description

버섯재배사업의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한 배양용기, 균상선반, 관수·보습장치 및 버섯재배방법{ The receptacle, framework, water-supplying device and method for cultivating mushroom to get the price competitiveness}
배지(골목, 배양기 등)가 주어진 조건에서 버섯재배의 성패는 온도, 습도, 환기관리에 있다고 한다. 이 3가지 중 습도관리에 더 많은 비용과 기술이 소요되며 따라서 신기술개발의 요구도 높을 수밖에 없다. 특히 3-4 개월 동안 수차례 수확을 하는 다회(多回)수확 버섯류의 배양기의 표면은 딱딱한 각질이기 때문에, 수분이 소모된 배양기 내부에 수분을 공급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 종래기술을 대체할 새로운 기술개발의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송이 버섯류(4c)의 배양기(4)를 생산하는 균사체 배양용기(병)를, 버섯 발생 부위의 실제 면적을 증가시키고('도4의 도4-1' 참조), 개별 자실체의 입체적 생육공간을 조성하며('도5의 도5-2' 참조), 관수·보습장치 설치를 위한 공간(13)을 확보하도록 조성하는 방법, 배양기(4)를 집단적으로 적재한 A형 균상선반('도6의 도6-1 및 도6-2' 참조)의 다리 폭을 버섯의 생장과 작업 시간의 편리에 따라 조절하는 장치('도7' 참조)를 설치하는 방법 및 다회수확 버섯의 재배기간 중에 수분공급과 보습을 위한 관수·보습 장치('도11' 참조)를 설치하는 방법과 동 기술들 의 개별적 사용과 복합적 사용을 통해서 생산량의 증대효과와 비용의 절감효과를 얻고자 하는 '버섯재배사업의 가격경쟁력확보를 위한 배양용기, 균상선반, 관수·보습장치 및 버섯재배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①「재배용기와 그에 따른 재배방법에 관한 종래기술」이다.
기존 버섯재배는 주로 표고버섯에 적용되는 골목(
Figure 112009500465913-PAT00014
木)이나 주로 양송이에 적용되는 넓은 균상(배지상자)을 이용해왔으나, 요즈음은 혼합·조제된 배지를 병 또는 봉지 같은 용기에 주입하고, 버섯을 접종하여, 균사체가 배양된 배지를 담은 병(배양용기) 자체를 다단의 선반 위에 거치하는 플라스틱 재배상자 속에 수평진열하고, 병의 입구로부터 버섯을 발생시켜 수확하는 재배방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첫째 '종래기술[1]'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위 기존의 병(용기)을 이용한 재배법은 같은 뿌리에서 여러 개의 버섯이 발생하여 총생 하는 느타리버섯이나 팽이버섯의 경우와 달리 뿌리 부분이 1개씩 분리되어 생장하는 송이버섯류(4c)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점 등에 착안하여, 1988년 10월 28일자에 출원하여 등록되었으며, 이미 특허기간이 만료된 기술인,
[문헌 1] 발명 특허 제105094호
발명의 명칭: '식용버섯류의 재배용기 및 재배방법'
(이하 '종래기술[1]'이라 칭한다)
이 있다. 위 '종래기술[1]'에 기하여 재배용기를 뚜껑(2), 본체(1) 및 하부 부재(컵)(3) 등으로 분리 제조된 용기('도1의 도1-1' 참조)를 결합하여 '도12'에 제시된 '버섯재배 순서' 중 일부 공정(15∼20)을 거처 생산된 배양기(4) 다수를 서로 접촉시켜 버섯을 재배하는 기술이 발명된바 있고, 동 기술은 버섯재배를 자동화된 설비를 갖춘 자본집약적인 기업으로 발전시킬 있는 기초기술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1]'에 기하여 생산(배양)된 다회(多回)수확 버섯인 송이버섯류의 배양기를 '도6의 도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형 균상선반에 적재하여 재배할 경우, 공기 중 습도를 조절하는 분무식 습도조절 장치만으로 표면이 딱딱한 각질로 변화된 배양기의 내부에 필요한 수분이 침투되지 못하고, 균상선반 사면(斜面)에 적재된 배양기는 균사에 의해서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분리 불가한 커다란 판을 형성하여 균상선반과 함께 거대한 구조물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이동·운반이 불가능함으로 침수조를 이용한 침수 수분공급방법도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기술[1]'은 다회(多回)수확 버섯의 재배에 사용하기 보다는 단회(單回)수확 버섯의 재배에 사용해야 할 기술이 된다. 이 경우 배양기 생산 원가 상에 경제성분석이 전제되는 것이다.
둘째, '종래기술[2]'
본 발명과 유관한 다른 종래기술로서, '도12'의 버섯재배 순서 중 '균 긁기(접종면 제거)' 공정(19)을 생략함으로써, 균사체의 손상을 방지하고, 시설비를 절감하는 등의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구조상으로 '도1의 도1-1'로 표시되는 '종래기술[1]'과 같은 용기의 3분구도인 '도1의 도1-2'에 도시된 배양용기에 균사체를 배양하고 동 용기의 출구(하부 컵)(3)를 열고 병을 거꾸로 세워 버섯을 재배함으로써 배지의 접종면(입구)이 아래로 향하게 되고 병의 출구(아래면)에서 버섯(자실체)이 발생하도록 하는 버섯재배기술이며, 1999년 10월 16일자로 특허 출원하여 등록된,
[문헌 2] 발명 특허 등록번호 10-0339682
발명의 명칭 : '버섯재배방법 및 그에 이용되는 버섯재배용기'
(이하 '종래기술[2]'라 칭한다)
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내용의 '종래기술 [2]'는 느타리버섯과 팽이버섯 같이 총생(한 개의 뿌리에 여러 개의 자실체가 발생하고 성장하는 버섯류의 특성)하는 버섯류, 단회(單回)수확하는 버섯류 및 균사체가 배양된 배지를 담은 병(배양용기) 자체를 다단의 선반 위에 거치하는 플라스틱 재배상자 속에 수평진열하고 병의 입구(또는 '종래기술[2]'의 출구)로부터 버섯을 발생시켜 수확하는 재배방법의 버섯류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그러나 송이 버섯류(4c)는 '도4의 도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뿌리 부분이 1개씩 분리되어 성장하는 특성과 '도3', '도4의 도4-1' 및 '도5의 도5-2'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버섯발생 부위가 가장자리(테두리)를 따라 원주를 그리며 발생하는 특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종래기술[2]'를 송이 버섯류의 재배에 적용할 경우, 출구(버섯발생 면)의 면적이 모두 버섯발생의 부위로 활용되지 못한다는 점과 다수의 버섯재배용기를 서로 접촉되도록 재배상자에 정리하여 버섯을 재배하기 때문에, 발생된 버섯끼리 서로 맞닿는 개체가 다수 발생하게 됨으로서, 적정 생육공간을 갖지 못하는 버섯 개체가 다수 발생한다는 개선을 요하는 점이 있다. 특히 A형 균상선반의 사면(斜面)에 적재하여 재배할 경우 '도5의 도5-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발생된 자실체 가운데 적정 생장공간을 확보하지 못한 개체 가 다수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2]'에 기하여 다회(多回)수확 버섯을 재배할 경우, 표면이 딱딱한 각질로 변질된 배양기의 내부에 수분을 공급할 적절한 방법이 준비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종래기술[1]'의 문제점과 같고, '종래기술[2]'에 기하여 생산된 배양기(용기를 제거한 배지 알맹이)를 A형 균상선반에 적재해서 재배할 경우, '도5의 도5-1'에서 도시는바 배양용기의 칼라부(2a)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13)이 공기흐름의 통로가 됨으로 배양기 하부의 수분유실이 촉진되고 배양기 내부의 수분부족이 심화될 수 있다는 점에서 대안 기술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②「수분공급방법에 관한 종래기술과 문제점」이다.
버섯수확 횟수에 따라 느타리버섯과 팽이버섯과 같이 1회 수확으로 배지(배양기)의 사용이 끝나는 단회수확(單回收穫) 버섯과 송이 버섯류와 같이 3-4개월 동안 수차례 수확하는 다회수확(多回收穫) 버섯으로 나눌 수 있다. 다회수확 버섯의 경우, 분무식 습도조절 장치에 의한 수분공급과는 별도로, 매회 버섯수확이 끝난 뒤 배양기 내부에 소모된 수분을 충분히 보충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수분공급과 관련하여 참송이(4c) 재배농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의 예를 들면, 비닐봉지를 균사체 배양용기로 사용하여 생산한 배양기(4a) 8개씩을 플라스틱 재배상자에 담아 다단구조의 선반에 올려놓고 버섯을 재배하며, 1개월마다 매 버섯수확 후, 배양기가 담긴 재배상자를 하나하나 선반에서 내려 별도로 마련된 침수조(浸水槽)로 운반하고, 수십 시간씩 침수하는 방식의 수분공급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동 버섯농가의 재배사에도 적정 습도를 유지 시켜 주는 분무식 가습장치가 설치되어 있지만, 배양기(4a)의 표면이 딱딱한 각질 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다회수확 버섯재배에서는 침수방법 아니고는 배양기 내부의 부족한 수분을 공급할 방법을 달리 찾지 못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배양기 침수방식 수분공급방법'은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며, 배양기의 균사체가 저온쇼크를 받을 수 있음으로 버섯발생과 생장에 지장을 주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종래기술[1]'에 기한 다수의 배양기를 서로 접촉시켜 대형화하는 집적재배방법('도6의 도6-1' 참조)에서 분무식 가습만으로 개별 배양기의 밑 부분과 뒤 부분에 대한 수분공급이 어려워 배양기 내부의 수분부족이 발생하게 됨으로, 생산량이 감소 또는 중단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종래기술[2]'에 기한 버섯재배용기(병)를 뒤집어 재배하는 방법에서도 3-4개월 동안 재배용기(병)의 위 열린 부분('도1의 도1-2'의 3, 출구)에 대하여 분사되는 분무식 가습방법만으로, 병 속에 들어 있는 딱딱한 각질의 배양기의 내부에 수분이 침투되지 않는 문제를 안고 있다.
③「A형 균상선반에 관련한 종래기술과 문제점」이다.
'도6의 도6-1' 및 '도6의 도6-2'에 표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A형 균상선반 사이에 작업통로가 설치되어 있다. 동 작업통로용의 공간은 작업이 끝난 후에도 버섯 생장을 위한 직접적인 생산 공간으로 활용되지 못한다. 재배사의 주어진 면적과 공간의 이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종래기술을 개선하여 A형 균상선반의 하변 다리의 폭을 조절하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균상선반의 사면(斜面)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도7' 참조)는 본 발명의 관수와 보습장치('도9' 및 '도11' 참조)를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술이다.
① 뿌리부분이 1개씩 분리되어 생장하는 송이버섯류와 같은 버섯의 실제 발생부위는 면(面)의 면적 전체가 아닌 면과 면이 만나는 가장자리( 테두리, 圓周, Edge)이므로, 면적의 크기만으로 버섯발생량을 규정할 수 없다는 점이다('도4의 도4-1과 도4-2' 참조). 그럼으로 버섯의 발생량의 증가와 품질의 향상을 위해서는 실제 버섯이 발생하는 가장자리(태두리)의 면적을 넓히고 개별 자실체의 성장공간을 확보해 주는 설계기술이 필요한 것이다('도4의 도4-1' 및 '도5의 도5-2' 참조). '종래기술[2]'에 의한 '도1의 도1-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입구(병마개)(2)와 출구(하부 탈부착 컵)(3)를 갖는 버섯재배 용기(병)에 균사체를 배양하고 균사체가 배양된 용기의 출구(하부 컵)(3)를 제거한 후, 출구가 위로 오도록 병을 거꾸로 세워서 버섯을 재배하는 기술이 '균 긁기' 공정을 생략하는 이점이 있고 입구보다 넓은 출구에서 버섯을 발생하게 함으로써 버섯발생면적을 확장해 주는 기술이 분명하다. 그러나 실제 송이 버섯류는 '도3, 4, 5'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병의 발생 면 전체가 아닌 테두리(원주)를 따라 발생하므로, '종래기술[2]'에 기한 다수의 버섯재배용기(배지를 담은 병)를 플라스틱상자에 서로 접촉하게 채워서 재배하는 버섯재배에서는, 다수의 병의 원주(圓周)가 연접하여 형성하는 큰 평면형태의 구조에서 재배됨으로, '도5의 도5-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병의 테두리끼리 접한 위치에서 발생한 버섯(자실체)들은 서로 닿게 되며, 자루의 지름보다 갓의 지름이 더 큰 형태적 특성 때문에 버섯이 자랄수록 갓끼리 서로 쉽게 접촉 되게 된다. 즉 버섯은 입체적인 구조의 작물인데, 정작 '종래기술[2]'에 기한 버섯의 생장현장은 입체적이 아닌 평 면적 구조로 설계되었다는 점이다.
또한 '종래기술[2]'에 기하여 생산된 배양기를 A형 균상선반의 사면에 적재하여 버섯을 재배할 경우, '도5의 도5-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버섯발생 면적상의 양적인 문제와 함께 발생된 버섯 개체들 중 다수가 생장공간을 두고 다른 개체와 경쟁해야 하는 공간구조에 놓이게 된다.
아울러 '도6의 도6-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1]'에 기하여 생산된 송이 버섯류와 같은 다회수확 버섯의 배양기를 A형 균상선반의 사면에 적재하여 재배할 경우, 배양기의 내부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배양기의 하부 구조를 조성하는 방법이 개발의 과제가 된다.
② '도4의 도4-2' 및 '도5의 도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섯의 뿌리부분이 1개씩 분리되어 자라는 송이 버섯류와 같은 다회(多回)수확 버섯의 배양기(4)를 배양용기로부터 분리시키고, 배양기(배지 알맹이)를 A형 균상선반의 사면(斜面)에 빽빽이 채워 재배하는 방식의 버섯재배에 있어서, 천장에서 분무되는 방식의 습도조절 장치로서는 배양기의 내부에 수분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 '종래기술[1]'에 기한 버섯재배의 경우에 배양기와 배양기 사이에 균사가 강하게 연결되어 형성된 한 개의 거대한 배양기 판('도6의 도6-1')에 어떻게 관수(수분공급)할 것인가가 결정적인 해결해야 할 과제가 된다. '종래기술[2]'에 기하여 용기의 본체(1)와 마개(2)는 그대로 두고 출구(하부 컵)(3)만을 제거한 채로 균상선반의 사면에 적재하여 재배할 경우, 용기에 쌓인 배양기의 내부에 수분을 공급할 길은 배지용기 하나하나를 다시 상자 같은 그릇에 담아 침수조에 운반하고 수십 시간 씩 침수한 후, 다시 균상선반에 정리·적재하는 방법 밖에 없다. 결론은 '종래기술[1]'이나 '종래기술[2]'에서는 배양기 내부에 수분을 공급할 방법을 찾기가 힘들거나 방법이 있다할 지라도 경제성이 없는 방법들뿐인 것이다. 그럼으로 A 형 균상선반의 사면에 송이 버섯류와 같은 다회수확 버섯의 배양기를 적재하여 버섯을 재배하는 경우, 새로운 수분공급방법이 개발되지 않고는 버섯재배사업 자체가 성립되기 어렵다는 기술적 판단이다.
③ 버섯 재배사(栽培舍)에 설치된 기존의 A형 균상선반('도6' 참조)은 선반의 다리 폭이 고정되어 있어, 설치 시점에 작업통로를 확보하고 균상선반을 배치해야 함으로, 작업통로를 버섯재배 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설계기술을 통해서 건물과 시설의 이용률의 제고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필요하고, A형 균상선반을 분해 가능한 구조로 설계함으로서 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및 효과]
① 뿌리 부분이 1개씩 분리되어 성장하는 특성이 있는 송이 버섯류의 배양기를 생산하는 균사체 배양용기에 있어, '도2, 도3'의 하부 컵(3)을 갖는 배양용기를 설계하여 버섯발생 부위가 '도3', '도4의 도4-1', '도5의 도5-2'에 표시된 3a, 3b, 3c와 같이 3개의 테두리(원주)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자실체(버섯) 발생의 부위가 형성하는 테두리가 '종래기술[2]'에 의하면 1개의 테두리이나 본 발명에 의하면 3개의 테두리로 증가되게 하고, '도5의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섯발생 테두리 3a, 3b, 3c는 3개의 층으로 입체화되어, 3a와 3b 사이에 3d의 거리가, 3b와 3c 사이에 3e의 거리가 조성되고, 테두리 3a, 3b, 3c 사이에는 높이 차인 3f와 3g가 조 성되도록 설계방법을 개발함으로서, 버섯의 자루보다 지름이 큰 버섯의 갓이 성장공간을 확보하기 쉬운 공간구조를 갖게 되며, 배양기의 버섯발생 테두리가 다층구조임으로서 수직 상위에 설치된 가습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수분을 흡수·유지하기에 좋은 요철구조의 공간을 구성하게 되고, 따라서 생산된 버섯의 품질이 향상되고 버섯의 생산량이 증가되는 효과와 습도조절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표고버섯재배에서 장마철 전후로 해서 골목뒤집기를 함으로서 균사체가 균일하게 발생하도록 하는 기술과 '종래기술[2]'에 기하여 종래 버섯재배공정에서는 필수적 과정인 '균 긁기(접종면 제거)'공정을 생략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발전적으로 채택하여, 배양용기가 제거된 배양기(배지 알맹이)(4)를 뒤집어 A형 균상선반에 적재하여 버섯을 재배함으로써, 버섯재배 시설의 설치비와 시설의 유지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뿐 아니라 다회(多回)수확 버섯의 재배기간 중에 수분공급과 보습을 위한 관수·보습 장치('도11' 참조)를 설치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② '도11'에 표시된바와 같이 배양기를 뒤집어 적재할 때, 용기본체(1)보다 지름이 작은 칼라부(2a)에 의해서 배양기의 하부에 격자구조의 관상(管狀)로 형성된 공간(13)에 보습력이 높고 버섯생장에 유익을 주는 화산석(13a)과 같은 자갈을 충전(13b)하여, 동 공간을 배양기 내부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가로 및 세로 관수통로(13b, 13c)로 사용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통상 천장에 설치한 가습장치는 분무형태의 수분을 공급하여 공기 중 습도를 유지하나, 동 가습장치로 배양기의 하부(뿌리부분)와 배양기의 내부에 수분을 공급하지 못한다. 그래서 '도11'에 도시 된 바와 같은, 관수와 배수 장치를 설치한 배양기상자(5a)를 만들고 동 배양기 상자를 A형 균상선반의 사면에 '도10'과 같이 적재한 한 후 연접한 배양기상자의 급수 및 배수관을 서로 연결하여 전체 배양기의 내부에 수분을 공급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A형 균상선반의 다리 폭 조절장치('도7' 및 '도8' 참조)를 사용하여, 배양기상자(5a)의 침수 수심을 조절할 수 있고, 배양기 상자에 남아 있는 물기를 한꺼번에 배수처리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별 기술을 함께 사용하여 창출되는 시너지 효과이다.
3-4개월의 긴 재배기간을 요하는 다회수확 버섯재배에 있어, 종래 수분공급 방법은 1개월에 한 번씩 다수의 배양기가 담긴 재배용기 상자 하나하나를 선반에서 내려 침수조로 옮겨서 침수시키고 다시 재배용기 상자를 균상선반에 올려놓고 재배하는 식의 많은 인력과 비용을 수반하는 방법임에 비하여, 본 발명의 기술은 최초에 A형 균상선반에 적재한 배양기를 그대로 둔 채로 배양기 내부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편리하고 비용절감의 효과를 주는 기술인 것이다.
③ 기존의 A형 균상선반('도6의 도6-1' 및 '도6의 도6-2' 참조 )은 두 개의 판형 균상선반의 위아래 부분을 연결하는 바(bar, 막대기)에 의하여 결속함으로서 A형의 모양을 이루고 입상(立狀)의 균상선반이 된다. 본 발명은 '도7' 및 '도8'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양 판형 균상선반 사이의 간격을 고정시킨 위아래의 결속 바를 제거하고 조절 가능한 장치로 대치한 기술이다. 주어진 면적·공간을 버섯생육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관리 및 수확 시 작업공간으로 이용되는 통로를 버섯재배 면적·공간으로 활용함으로써, 건물 및 시설의 이용률을 높이고, 수확작업 시 균상선반의 하변 양 다리의 폭을 좁혀 균상선반을 직립에 가깝도록 각도를 높임으로, 채취된 버섯의 밑 둥이 더 깨끗한 상태로 채취되어 2차 가공이 불필요하게 됨으로 인건비를 절약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은 배양기를 관수할 시와 배수할 시에 선반의 다리 폭을 조절하여 배양기상자의 수심을 조절할 수 있게 해 줌으로써, 본 발명의 '관수·보습장치' 및 동 장치의 이용 기술의 효과를 높게 한다.
① 버섯 용기(병)의 호칭에 있어, 균사체 배양기간 동안 사용하고 탈병하는 경우의 용기(병)는 '배양용기'라 칭하고 균사체 배양이 완료된 이후도 탈병하지 않고 용기(병)채로 버섯을 재배하는 경우는 '재배용기'라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탈병(脫甁)된 배양기(培養基)를 뚜껑(2) 쪽이 아래로 향하고 하부 컵(3) 쪽이 위로 향하도록 뒤집어서 A형 균상선반의 사면(斜面)에 적재하여 재배하는 방식의 버섯재배 기술이므로, 균사체 배양기를 생산하는 '배양용기'를 조성하는 방법에 관한 설계기술이다. 배양용기(병)의 하부를 '도2'와 '도3'의 하부 컵(3)과 같이 설계하여 버섯발생부위가 '도3'과 '도4의 도4-1'에 표시된 3a, 3b, 3c와 같이 반경이 다른 3개의 동심 테두리(圓周)를 형성하도록 조성함으로써, 송이 버섯류의 자실체 발생(발이)특성에 따른 버섯발생의 부위가 '종래기술[2]'에 의하면 1개의 테두리(원주)를 형성하나, 본 발명에 의하면 3개의 테두리로 증가되고, '도5의 도5-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버섯발생부위를 나타내는 3개의 테두리 중 3b는 맨 아래 층에, 3c는 중간 높이에, 3a는 맨 위층에 위치하도록 입체화된 구조를 이룸으로, 버섯의 자 루보다 지름이 큰 갓의 성장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공간구조를 갖게 되며, A형 균상선반에 적재된 배양기의 버섯발생 테두리가 다층구조임으로서 통상 천장에 설치된 가습장치로부터 분무식으로 공급되는 수분을 흡수·유지하기에 알맞은 요철구조의 공간형태(도9 참조)가 조성되도록 하는 방법이고, '도2'와 '도3'에 도시된 용기의 본체(1) 보다 지름이 작은 칼라부(2a)를 가진 배양용기에 의하여 생산된 배양기(4)는 결국 '도5의 도5-2'에서와 같이 뒤집어 적재되면서 그 하부에 공간(13)을 형성하게 되고 동 공간(13)은 본 발명의 관수·보습장치의 설치 공간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다.
② '도9'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배기구(排氣口)가 있는 관수용(灌水用) 급수관(14)과 다수의 배기구가 있는 흡수용(吸收用) 배수관(14b)이 설치된 소정 수의 배양기상자(5a)를 A형 균상선반의 사면에 '도10'과 같이 쌓으면서 배양기 상자의 관수용 급수관(14)과 흡수용 배수관(14b)을 나사 조절식 이음관(14a)으로 연결하고, 매 배양기상자(5a)에 배양기를 한 켜 깐 뒤 배양기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13)에 충분한 수분을 머금은 화산석 자갈(13a)를 충전하고, 다시 그 위로 배양기를 한 켜 깐 뒤 전과 같은 방법으로 화산석 자갈을 충전하는 방법으로 소정 수의 배양기를 배양기상자(5a) 내에 적재하여 '도11'에 도시된 '관수와 보습 장치'를 설치한 배양기상자를 만들어서, A형 균상선반의 사면에 적재된 전체 배양기의 내부에 수분을 공급하는 관수와 보습 장치를 설치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의 A형 균상선반 하변 다리 폭 조절장치('도7' 및 '도8' 참조)를 사용하여 관수 시에는 선반의 다리 폭을 넓힘으로서 배양기상자(5a)의 침수 수심을 깊게 하고, 침수를 마친 다음에는 선반의 다리 폭을 좁힘으로서 배양기상자(5a)에 남아 있는 물기를 한꺼번에 배수처리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별 기술을 함께 사용하여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③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A형 균상선반의 다리(6)에 바퀴(6a)와 밧줄을 결속할 밧줄 고리(11a) 그리고 양 상단에 걸쇠 고리(7)와 중간 높이에 설치용 걸쇠 고리(7a)를 설치한 2개의 사면(斜面) 균상(5)선반을 제작하고,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3쌍의 고정 도르래(10)와 윈치(9)를 부착한 균상선반의 가로 길이와 같은 길이의 도르래 받침대(8)를 제작한 후, 2개의 균상선반을 상단은 걸쇠 고리(7)와 걸쇠(12)를 사용하고, 중간 높이에 부착된 설치용 걸쇠 고리(7a)와 설치용 걸쇠(12a)를 사용하여 조립함으로써, 일단 입상(立狀)의 A형 균상선반을 세우고, 2개의 균상선반의 양쪽 다리의 밧줄 고리(11a)와 도르래(10)와 윈치(9)가 설치된 도르래 받침대(8) 사이를 연결하는 밧줄(11)을 사용하여 '선반 다리 폭 조절장치'의 조립을 완성하고, 설치용 걸쇠를 제거한 후, '선반 다리 폭 조절장치'를 사용하여 필요에 따라 선반의 폭을 조절한다.
도1의 도1-1은 '종래기술[1]'에 의한 버섯배양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1의 도1-2는 '종래기술[2]'에 의한 버섯재배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버섯 배양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버섯 배양용기의 종단면도
도4의 도4-1은 본 발명에 의해 생산된 배양기 상의 버섯발생 부위가 그리는 테두리를 표시하는 3개의 동심 테두리의 평면도.
도4의 도4-2는 종래기술의 봉투를 이용하여 생산한 배양기에 버섯이 발생·생장한 모양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5의 도5-1은 '종래기술[2]'에 의한 배양기 또는 재배용기를 A형 균상선반에 적재하여 재배할 경우의 버섯의 생육공간을 분석한 정면도
도5의 도5-2는 본 발명에 의한 배양기를 A형 균상선반에 적재하여 재배할 경우의 버섯 생육공간을 분석한 정면도
도6의 도6-1은 종래기술의 A형 균상선반에 배양기를 적재하고 버섯을 수확하는 모양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6의 도6-2는 종래기술의 A형 균상선반의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반다리의 폭을 조절하는 장치가 설치된 A형 균상선반의 정면도
도8은 본 발명의 A형 균상선반의 다리 폭을 조절하는 장치의 평면도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배양기상자(5a)를 A형 균상선반의 사면에 설치하고 배 양기상자의 내부를 투시함으로써, 본 발명의 대강을 도시한 정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A형 균상선반의 사면에 소정 수의 배양기상자(5a)를 적재한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관수와 보습장치가 설치된 배양기상자를 도시한 정면도
도12는 종래기술의 버섯 재배방법을 간략히 적은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용기의 본체 1a: 턱(스토퍼)
2: 용기의 뚜껑 2a: 용기의 칼라부
3: 하부 컵
3a: 버섯발생부위를 나타내는 바깥 테두리
3b: 버섯발생부위를 나타내는 중간 테두리
3c: 버섯발생부위를 나타내는 안쪽 테두리
4: (본 발명에 의한) 배양기 4a: 종래 봉지 배양기
4b: 종래기술[2]에 의한 배양기 4c: 송이류 버섯(자실체)
5: 균상 5a: 배양기 상자
6: 선반의 다리 6a: 선반의 바퀴
7: 걸쇠 고리 7a: 설치용 걸쇠 고리
8: 도르래 받침대 9: 윈치(Winch)
10: 고정 도르래(Pulley) 11: 밧줄
11a: 밧줄 고리 12: 걸쇠(latch)
12a: 설치용 걸쇠 13: 배양기 하부 공간
13a: 화산석 자갈 13b: 가로 관수 통로
13c: 세로 관수 통로
14: 다수의 배기구가 있는 관수용 급수관 14a: 나사 조절식 이음관
14b: 배수관(drainage pipe) 14c: 배수구
15 ∼ 25 : 종래의 주요 버섯재배공정의 명칭

Claims (7)

  1. 탈병(脫甁)된 배양기(培養基)의 위아래를 뒤집어 A형 균상선반의 사면(斜面)에 적재하여 재배하는 버섯재배방법에 있어서,
    배양용기의 하부 컵(3)이 '도2' 및 '도3'에 도시된 하부 컵(3)과 같이 설계된 배양용기에 버섯의 균사체를 배양을 하고, 배양용기에서 배양기(4)를 분리한 뒤, 배양기(4)를 하부 컵(3) 쪽이 위로 향하고, 뚜껑(2) 쪽이 아래로 향하도록 A형 균상선반의 사면에 적재하여 버섯을 재배함으로써, 버섯발생의 부위가 '도4의 도4-1'과 같이 3개의 테두리로 형성되고, '도3' 및 '도5의 도5-2'의 3a, 3b, 3c로 표시된 각 버섯발생 테두리의 높이가 서로 달라 입체적 버섯성장공간을 형성하는 것과 서로 연접된 배양기의 칼라부(2a)로 인하여 형성되는 공간(13)을 관수 및 보습 장치를 설치할 공간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방법.
  2. 배양기 내부의 균사체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관수(灌水) 및 보습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도11'과 같이 다수의 배기구가 뚫린 관수용 급수관(14)과 배수관(14b)이 바닥에 설치된 배양기상자에 소정의 수의 배양기(4)를 적재함으로서 연접한 배양기의 칼라부(2a)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13)에 화산석 자갈을 충전하여 관수 및 보습 장치가 설치된 배양기상자를 만드는 것과 '도10'과 같이 배양기상자를 A형 균상선반의 사면에 쌓으면서 연접되는 배양기상자의 관수용 급수관(14)과 배수관(14b)을 나사 조절 이음관(14a)으로 연결하여 A형 균상선반의 사면에 적재된 전체 배양기의 내부에 수분을 공급하고 잔여 수분을 배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11'과 같이 다수의 배기구가 뚫린 관수용 급수관(14)관 배수관(14b)이 바닥에 설치되고 연접하는 배양기상자의 관끼리 서로 연결하는 나사 조절식 이음관과 배양기상자 속에 직립하게 접촉시켜 적재될 배양기의 하부 공간에 충전할 화산석 자갈로 구성되는 '관수 및 보습장치'와 동 '관수와 보습장치'를 수용하는 배양기상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관수 및 보습장치'가 설치된 배양기상자를 평면 다단식 선반을 사용하는 다회(多回)수확 버섯류의 재배에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관수와 보습장치'가 설치된 배양기상자의 재료를 플라스틱이 아닌 소정 뚜께의 비닐을 사용하되, 비닐 배양기상자의 크기에 있어, A형 균상선반의 가로변의 길이를 길이로 하고, 소정 수의 배양기의 지름을 더한 길이를 넓이로 하며, 배양기의 키를 높이로 하여, 동 비닐 배양기상자의 바닥에 관수용 급수관(14)을 설치하고, 소정 수의 배양기(4)를 적재함으로서 연접한 배양기의 칼라부(2a)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13)에 화산석 자갈을 충전하여, '관수 및 보습장치'가 설치된 단위 비닐 배양기상자를 만든 후, 소정 수의 동 비닐 배양기상자를 '도10'과 같이 A형 균상선반의 사면위로 쌓아서 버섯을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방법.
  6. 버섯재배방법에 있어, A형 균상선반의 다리의 폭을 조절하는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도7'과 같이 소정의 유격을 가진 걸쇠 고리(7)와 다리(6)에 바퀴(8)가 설치된 2개의 판상(板狀) 균상선반을, '도10'과 같이 3쌍의 도르래(10)와 윈치(9)를 부착한 도르래 받침대(8)와 연결용 밧줄(11)로 구성되는 '선반 다리 폭 조절장치'와 균상선반의 양 상단에 설치된 걸쇠 고리(7)와 걸쇠(12)를 사용하여 연결하고, 필요에 따라 균상선반의 다리 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관수 시 배양기상자(5a)의 수위조절 용도와 신속한 배수 용도에 상기 '선반의 다리 폭 조절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방법.
KR1020090008814A 2009-02-04 2009-02-04 버섯 균사체 배양용기 KR101396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814A KR101396646B1 (ko) 2009-02-04 2009-02-04 버섯 균사체 배양용기
PCT/KR2010/000671 WO2010090448A2 (ko) 2009-02-04 2010-02-03 버섯 재배 용기
PCT/KR2010/000695 WO2010090463A2 (ko) 2009-02-04 2010-02-04 버섯 재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814A KR101396646B1 (ko) 2009-02-04 2009-02-04 버섯 균사체 배양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301A true KR20090021301A (ko) 2009-03-02
KR101396646B1 KR101396646B1 (ko) 2014-05-16

Family

ID=40691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814A KR101396646B1 (ko) 2009-02-04 2009-02-04 버섯 균사체 배양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96646B1 (ko)
WO (1) WO201009044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91582A (zh) * 2015-10-27 2015-12-30 仙芝科技(福建)股份有限公司 一种袋料灵芝孢子粉收集技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50917A (zh) * 2013-12-13 2014-03-26 重庆市福鑫洋食用菌有限公司 一种缩短养菌时间的菌种制作方法
CN107771620A (zh) * 2017-12-19 2018-03-09 吴泽英 一种装食用菌培养料的装置
KR102350714B1 (ko) 2018-11-07 2022-01-14 최영상 버섯 재배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59Y2 (ko) * 1976-03-14 1980-01-14
JPS55976U (ko) * 1979-03-16 1980-01-07
JPS6345160U (ko) * 1986-09-09 1988-03-26
JPH053724A (ja) * 1991-06-27 1993-01-14 Kiriyuu Kogyo Kk きのこ栽培容器
JPH1189425A (ja) * 1997-09-18 1999-04-06 Etsuo Kobayashi キノコ栽培容器及びキノコ栽培方法
JP3090294U (ja) * 2002-05-28 2002-11-29 勝男 横田 きのこ類の発生容器
KR100804597B1 (ko) * 2007-06-08 2008-02-20 주두심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와 이를 이용한 2회 수확버섯재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91582A (zh) * 2015-10-27 2015-12-30 仙芝科技(福建)股份有限公司 一种袋料灵芝孢子粉收集技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6646B1 (ko) 2014-05-16
WO2010090448A2 (ko) 2010-08-12
WO2010090448A3 (ko) 201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1915B2 (en) Vertical hydroponic plant production apparatus
CN206423319U (zh) 一种梯形气雾栽培装置
CN101331841A (zh) 吊装坐地配套用长条形培养土立体培育盆
KR20090021301A (ko) 버섯재배사업의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한 배양용기, 균상선반, 관수·보습장치 및 버섯재배방법
CN203788841U (zh) 一种拼接式无土栽培种植箱
CN205546706U (zh) 一种高架穴盘草莓育苗装置
CN107223480A (zh) 一种可移动育苗架
KR101252893B1 (ko) 버섯재배 장치
CN203467355U (zh) 一种无土栽培装置
CN205922194U (zh) 储气储液式立柱栽培设施
CN206284027U (zh) 一种培育水生植物的装置
CN202979766U (zh) 水土组合栽培花盆
CN202587951U (zh) 有机经济作物栽培槽
CN206091413U (zh) 鱼菜共生系统布局结构
CN205611384U (zh) 一种可实现多层立体栽培的蔬菜大棚
CN208581570U (zh) 一种温室大棚内悬吊式花卉培育架
CN209861787U (zh) 一种蔬菜育苗的栽培装置
CN209390730U (zh) 一种挂墙式组合花盆
CN201821726U (zh) 立体无土草莓栽培架
CN206651113U (zh) 一种蔬菜一体化嫁接育苗装置
CN206629678U (zh) 自吸式立柱栽培设施
CN202456016U (zh) 水稻水培育秧装置
CN204317205U (zh) 一种新型植物墙组合模块
CN209251186U (zh) 一种植物培育系统的供水机构
CN106665323A (zh) 一种农业大棚的立体栽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210

Effective date: 2014032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