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0279A - 3,4,5-트리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고지혈증 및 mmp 과다활성으로 인한 혈관질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3,4,5-트리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고지혈증 및 mmp 과다활성으로 인한 혈관질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0279A
KR20090020279A KR1020070084916A KR20070084916A KR20090020279A KR 20090020279 A KR20090020279 A KR 20090020279A KR 1020070084916 A KR1020070084916 A KR 1020070084916A KR 20070084916 A KR20070084916 A KR 20070084916A KR 20090020279 A KR20090020279 A KR 20090020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hydroxybenzaldehyde
composition
mmp
preventing
vascular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1881B1 (ko
Inventor
조강진
강순아
김만배
이선주
김정봉
김철호
서석종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to KR1020070084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1881B1/ko
Publication of KR20090020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1Aldehy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4,5-트리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및 MMP 과다활성으로 인한 혈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국내 자생 식물인 뱀무에서 분리한 3,4,5-트리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및 MMP 과다활성으로 인한 혈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포 독성이 없으면서도 혈중 고밀도 콜레스테롤의 증가와 중성지방의 양을 감소시키며, 동맥평활근 세포의 MMP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지질대사의 이상으로 발생되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증과 같은 MMP 과다활성으로 인한 혈관질환의 예방 및 치료하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와 같은 혈관질환의 예방 및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뱀무, 고지혈증, 동맥경화, MMP, 예방, 치료

Description

3,4,5-트리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및 MMP 과다활성으로 인한 혈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hyperlipidemia and vascular disease due to highly activated MMP comprising 3,4,5-trihydroxybenzaldehyd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3,4,5-트리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및 MMP 과다활성으로 인한 혈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국내 자생 식물인 뱀무에서 분리한 3,4,5-트리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및 MMP 과다활성으로 인한 혈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잦은 인스턴트 음식물 섭취와 육식 위주의 식생활로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함량을 높아 고지혈증 등 다양한 대사질환을 가지고 있고, 이로 인해 동맥경화증 등 혈관질환이 많이 발생한다. 그 중, 동맥경화는 오랜 기간에 걸쳐 혈관의 벽에 지방이 축적되고 또한 혈관 벽이 두꺼워지는 질환로서, 주로 고지 질혈증 특히, 고콜레스테롤혈증이 주요 위험인자이며 또한 고혈압 및 당뇨병 등도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동맥경화의 진행과정을 보면, 산화지질, 높은 혈압과 빠른 혈류 등에 의해 혈관 내면을 구성하고 있는 혈관내피세포에 손상이 먼저 일어나고, 점차 혈관 벽에 지방이 축적되며 대식세포 및 T 세포 등의 침윤과 염증반응이 진행되고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으로 인해 혈관 벽이 두꺼워진다. 그 결과 혈관이 좁아지게 되어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심장의 관상동맥이 좁아진 경우 무리한 운동 등에 의해 심장으로 혈액 공급이 부족하여 통증을 느끼게 되는 협심증의 증상을 보이게 된다. 한편 두꺼워진 혈관 벽(이 부분을 동맥경화 플라크라 함)내 대식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이 왕성한 경우 플라크를 덮고 있는 조직의 일부가 터지게 된다. 이때 플라크 안에 있던 지방 및 주변 단백질 등이 혈관 내로 나와 혈전을 형성하며 흔히 심장의 관상동맥 또는 뇌의 혈관 등을 막아버려 심근경색 또는 뇌졸중을 야기하게 된다.
LRCP(Lipid Research Clinica Program)의 연구보고에 의하면 혈중 콜레스테롤치를 1% 감소시키면 관상동맥질환의 위험도가 2%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혈관벽에 있는 콜레스테롤을 간으로 운반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고밀도 콜레스테롤(HDL-cholestrol)의 증가는 관상동맥 협착병변의 진행을 억제하고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기존의 동맥경화 치료는 고지혈증을 낮추는 약물을 오랜 기간 복용하거 나 증상이 심할 경우 수술적 요법으로 플라크를 제거하고 금속성 스텐트를 삽입하여 혈관이 다시 좁아지는 것을 막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대사질환의 특성상 약물요법과 식이요법 등의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데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관리가 어려워 현대인의 대사관련 질환의 발병율은 크게 낮아지지 않고 있다.
한편, 뱀무(Geum japonicum THUNBERG)는 우리 나라 울릉도, 남부지방, 중부지방의 산야지 초원 및 길가 언덕 등에 자생하는 장미과(薔微科)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이다. 식용, 관상용, 약용으로 쓰이고 어린잎을 나물로 먹으며 관상초 및 한방과 민간에서 위궤양, 고혈압, 치혈(痔血) 등에 약재로 사용하며, 뱀무 추출물에서 분리한 3,4,5-트리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가 우수한 항산화효과가 있다는 것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있으나, 아직까지 혈중 중성지방의 함량 조절과 MMP에 대한 저해 활성 등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뱀무 추출물에서 분리한 3,4,5-트리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의 생리적 효과에 대해서 연구하던 중 3,4,5-트리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가 혈중 고밀도 콜레스테롤(HDL-cholesterol)과 중성지방의 농도 조절, MMP(Matrix metalloproteinase)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증과 같은 MMP 과다활성에 의한 혈관질환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있다는 점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의 새로운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또는 MMP 과다발현에 의한 혈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또는 MMP 과다발현에 의한 혈관질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뱀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또는 MMP 과다발현에 의한 혈관질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3,4,5-trihydroxybenzaldehyde)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는 하기의 화학식 I로 표시된다.
Figure 112007061110640-PAT00001
본 발명에 따른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는 그 자체 또는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염은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경우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산은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구연산, 초산, 젖산, 주석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트리플로오로아세트산, 벤조산, 글루콘산, 메타술폰산, 글리콜산, 숙신산, 4-톨루엔술폰산, 글루탄산 및 아스파르트산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염산, 브롬산, 황산 및 인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는 천연으로부터 분리 정제하거 나, 상업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당 업계에 공지된 화학적 합성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천연으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뱀무(Geum japonicum THUNBERG)로부터 통상적인 추출공정 및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 될 수 있다.
뱀무로부터의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의 추출, 분리는 예를 들어,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펜탄올, 부탄올, 펜탄, 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1-펜텐, 디이소부틸렌, 자일렌,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1-클로로부탄, 1-클로로펜탄, 1-클로로프로판, 2-클로로프로판, 브로모에탄,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1-펜탄올, 2-부톡시에탄올, 벤젠, 톨루엔, 클로로벤젠, 에테르, 에틸에테르,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클로로포름,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톤, 사염화탄소, 이황화탄소(carbon disulfide), 디에틸설피드(diethyl sulfide), 4-메틸-2-프로파논, 테트라히드로퓨란, 2-부타논, 1-니트로프로판, 1,4-디옥산(dioxane), 디메틸설폭시드, 아닐린, 디에틸아민, 아세토니트릴, 피리딘, 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유기용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뱀무 추출물의 제조를 위한 추출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음건된 뱀무 분말 시료를 80% 메탄올로 추출하고, n-헥산:물(1:1)의 혼합용매로 추출하고, 수층을 분리한 다음 메틸렌 클로라이드:물(1:1)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수층을 다시 분리한다. 상기 수층을 에틸아세테이트:물(1:1)의 혼합용매를 추출하고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분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
추출시의 뱀무와 메탄올 등의 용매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뱀무 분말 또는 분획물에 용매를 1배 내지 20배(중량기준)로 첨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추출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뱀무 분말 또는 분획물에 대하여 용매를 2배 내지 5배로 첨가할 수 있다.
추출시 온도는 상압 하의 실온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출시 교반기(shaker)로 교반할 경우에 더욱 추출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추출에 사용되는 뱀무는 수확한 후 세척하여 그대로 사용하거나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건조방법으로는 양건, 음건, 열풍건조 및 자연 건조하는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추출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뱀무 또는 그 건체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추출물에서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를 분리하는 것은 당업계에 공지 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분리방법, 예를 들면,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극성에 따른 분획물을 얻고 분리된 특정 분획물을 다시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 및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법을 통하여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를 분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는 건조된 뱀무를 곱게 분쇄한 다음 상기 뱀무 분말에 80% 메탄올을 3배로 첨가하고 24시간동안 상온에서 추출한다. 상기 추출액을 원심 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회수함으로써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가 함유된 뱀무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n-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로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분획하고, 그 중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실리카겔 컬럼에 통과시킨 후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 용매로 용출시킨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다시 실리카겔 컬럼에 통과시킨 후 클로로포름-메탄올 용매로 용출시킨 분획물을 제조한 다음, 이를 80% 메탄올 용매로 세파덱스 LH-20 컬럼에 통과시켜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를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는 HDL 콜레스테롤의 함량은 높이며, 혈중 중성지방의 함량은 낮추어 고지혈증에 대해서 효과가 있으며, 동맥평활근 세포의 MMP-9의 활성을 억제하며, 그 이주능을 감소시켜 MMP 과다활성으로 인한 혈관질환에도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3,4,5-트리히도 록시벤즈알데히드가 각각 고지혈증 및 MMP 과다활성으로 인한 혈관질환의 예방 및 치료 또는 증상의 개선에 효과적임을 나타내 주는 것으로 이와 같은 점은 본 발명자들에 의해 최초로 밝혀진 것이다.
동맥경화와 동맥벽 손상후 혈관협착(intimal thickening, stenosis)은 혈관평활근세포(vascular smooth muscle cells, VSMC)의 증식과 이주능이 주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Ross R., J. Med. 314, pp488-500, 1986). 혈관조직 중간층(media)에 존재하는 VSMC는 낮은 세포 분열능을 가지지만, 동맥경화나 혈관벽 손상 개시단계에서 혈관평활근세포(aortic smooth muscle cells)는 여러 가지 성장 인자들의 협조로 증식 단계로 들어가 혈관 비대를 유발시킨다 (Chamley-Campbell J. et al., Physiol. Rev. 59, pp1-61, 1979 ; Schwartz R. S. et al., J. Am. Coll. Cardio 20, pp1284-1293, 1992). 그러나 VSMC의 복제와 이주는 세포주위의 세포외기질의 리모델링과 분해를 필요로 하며(Matrisian L. M., Trends. Genet. 6, pp121-125, 1990), 그 분해효소 중에서 MMP(Matrix metalloproteinase)들이 주요 역할을 한다(Dollery C.M. et al., Circ. Res. 77, pp863-868, 1995 ;Pauly R.R. et al., Circ. Res. 75, pp 41-54, 1994 ; Cho A. et al., Circ. Res. 91, pp845-851, 2002).
MMP들은 아연(Zn)-의존성 엔도프로테이나제(endoproteinase)의 일종으로 세포외기질을 분해한다(Kleiner, D.E. et al., Cancer chemotherapy and pharmacology 43, pp42-51, 1999). MMP는 사이 콜라게나제(interstitial collagenases ; MMP-1), Ⅳ형 콜라게나제(type IV collagenases) 또는 겔라티나제(gelatinases; MMP-2, -9), 그리고 스트로멜리신(stromelysins ; MMP-3)으로 나뉘며(Woessner J. et al., FASEB J. 5, pp2145-2154, 1991 ; Chung, T.W. et al., FASEB Journal 18(10), pp1123-1125, 2004a), 이들 MMP중에서, 겔라티나제 콜라겐(gelatinase는 collagen)가 천연 기저막을 분해하며, MMP-2/-9의 발현으로 동맥경화병변이 유발됨이 알려져 있다(Newby A. C. et al., J. Pathol. 190, pp300-309, 2000).
최근의 생체 내(in vivo) 연구 결과, MMP-9가 VSMC 이주와 증식을 통하여 동맥병변유발에 결정적임이 알려져 있다(Galis, Z. S. et al., Circ. Res. 91, pp852-859, 2002 ; Cho, A. et al.,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0, pp2527-2532, 2000). 이러한 MMP의 활성은 내인성 MMP 억제제(tissue inhibitors of metalloproteinase)에 의해 억제되어 조절되는데, MMP와 내인성 MMP 억제제의 조절로 매트릭스(matrix)형성과 파괴의 균형을 유지된다(Brew K. et al., Biochim. Biophys. Acta. 1477, pp267-283, 2000).
따라서, 이러한 기작을 이용하여 동맥경화 등의 치료를 위하여 합성 MMP 억제제(예, BB94 batimastatR와 BB2516 marimastatR 등)들이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MMP 저해제들은 지난 몇 년간 개발되어 류머티즘성 관절염, 암 및 심장혈관의 질병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MMP에 대한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은 동맥경화증의 예방 및 치료 물질로 활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가 고지혈증 및 MMP 과다활성으로 인한 혈관질환에 효과적임을 확인하고, 상기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MMP 과다활성으로 인한 혈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를 단독으로 함유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조성물을 말한다.
MMP 과다활성으로 인한 혈관질환은 MMP 활성의 증가가 질환 발병의 원인 또는 질환 진행의 특징이 되는 동맥경화증, 협심증, 심근경색증, 고혈압, 빈혈 , 편두통, 중풍, 혈관종과 같은 혈관질환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동맥경화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지혈증 및 MMP 과다활성으로 인한 혈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구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경피 투여, 피하 내, 정맥 내, 근육 내 또는 복강 내 투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될 수 있다. 상기에서 ‘경구 투여'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구강을 통해 투여하여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함유된 활성성분이 개체 내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 투여용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 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슬러리제, 현탁액 등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용 제제는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말티톨 등을 포함하는 당류와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및 감자 전분 등을 포함하는 전분류,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즈류,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등과 같은 충전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주사제, 크림제, 로션제, 외용연고제, 오일제, 보습제, 겔제, 에어로졸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이들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ition, 197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 18042, Chapter 87: Blaug, Seymour)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의 바람직한 전체 용량은 1일당 환자 체중 1 ㎏ 당 약 0.01 ㎍ 내지 1,000 mg,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 내지 100 mg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의 농도는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 체중, 건 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율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의 고지혈증 및 MMP 과다활성으로 인한 혈관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의 특정한 용도에 따른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는 한 그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한편, 본 발명은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 및 이의 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및 MMP 과다활성으로 인한 혈관질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본 발명의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 자체를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와 고지혈증 또는 MMP 과다활성으로 인한 혈관질환의 예방 및 개선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 조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식품으로는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 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본 발명의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중 본 발명의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의 바람직한 함유량으로는 식품의 전체 중량에 대해 약 0.01 내지 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공지의 식품 첨가제와 더불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첨가제로는 바람직하게는 백당, 만니톨, 포도당, 솔비톨, 자일리톨, 이노시톨, 유당 및 과당과 같은 당류 또는 시트르산, 아스코르빈산, 아미노산과 같은 아미노산의 하나 또는 둘이상의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탄소수 1 내지 6의 유기용매로 추출한 뱀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및 MMP 과다활성으로 인한 혈관질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며, 뱀무 추출물의 추출 용매 및 방법은 상기에서 기재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뱀무 분말을 80% 메탄올로 추출한 다음, 상기 추출물을 n-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로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분획하고, 그 중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을 1차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2차 실리카겔 컬럼 및 세파덱스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를 분리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가 포함되어 있는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을 이용하여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실험동물에서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 HDL 콜레스테롤 함량 및 혈중 중성지방 함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혈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실험군간 차이가 없었으나 HDL 콜레스테롤 함량은 높이고, 혈중 중성지방 함량은 낮추어 고지혈증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의 MMP-9 저해활성 및 세포 이주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MMP-9 활성이 세포 종류별로 차이는 있었지만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를 50에서 500 μg/ml 농도로 처리하는 경우 거의 소멸하며,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가 사람 동맥평활근 세포의 침윤-이주능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킴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지혈증 및 MMP 과다활성으로 인한 혈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와 같은 혈관질환의 예방 및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뱀무로부터 3,4,5- 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의 분리
<1-1> 뱀무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에 사용된 뱀무는 경남농업기술원 함양 약초시험팀의 포장에서 재배한 것(도 1)을 수확하여 사용하였으며, 상기 수확한 뱀무의 지상부를 음건하여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상기 음건된 뱀무 시료를 50℃로 드라이 오븐(dry oven)에서 완전히 건조시킨 다음, 곱게 마쇄하여 뱀무 분말을 얻은 후, 분말 시료 1kg에 80% 메탄올을 3리터를 넣은 후 실온에서 가끔 흔들어 주면서 24시간 방치하였다. 추출된 상등액을 여과지(Whatman No.2 filter paper)로 여과하였으며, 남은 뱀무 시료에 다시 80% 메탄올 2리터를 넣은 후 다시 24시간 추출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여과하였으며 이 과정을 한번 더 반복하여 여과액을 모았다. 이 여과액을 회전식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45℃에서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완전히 날려 보낸 80% 메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80% 메탄올 추출물을 동결건조한 후, 이를 n-헥산:물을 1:1의 부피비로 혼합한 용매로 녹여서 분액여두로 옮긴 후 1시간 정도 분액여두 진탕기로 진탕한 다음 정치하여 헥산층을 분리하였으며, 남은 물층에 다시 헥산을 동량의 부피비로 넣은 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하였다. 이 과정을 1회 더하여 총 3회 수행하여 n-헥산층과 수층(ⅰ)을 얻고, 상기 n-헥산층을 회전식 진공 증발기로 감압 농축하여 n-헥산 분획을 얻었다. 다음으로, 상기 수층(ⅰ)을 메틸렌 클로라이드:물을 1:1의 부피비로 3회 분획하여 메틸렌 클로라이드층과 수층(ⅱ)을 얻고, 상기 메틸렌 클로라이드층을 회전식 진공 증발기로 감압 농축하여 메틸렌 클로라이드 분획을 얻었다. 다음으로, 상기 수층(ⅱ)를 에틸아세테이트:물을 1:1의 부피비로 3회 분획하여 에틸 아세테이트층과 수층(ⅲ)을 얻고, 상기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회전식 진공 증발기로 감압 농축하여 에틸클로라이드 분획을 얻었다. 마지막으로, 상기 수층 (ⅲ)으로부터 물을 증발시켜 물 분획을 얻었다.
<1-2> 3,4,5- 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의 분리
상기 실시예 <1-1>에서 분리한 뱀무(Geum japonicum THUNBERG)의 용매 분획 중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49.5g)을 EtOAc-MeOH용매 (100:0 → 0:100 ; gradient)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5개의 분획 (Fraction I 내지 V)으로 나누었다. 이 중 4개의 분획물 (분획 I, II, III, V)을 CHCl3-MeOH용매체계 (100:0 → 0:100 ; gradient)로 2차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활성분획(항산화활성)을 얻었으며, 활성분획들을 MeOH-H2O 용매 조건(8:2)으로 세파덱스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로 활성물질을 분리하였다. 여기에서 분리된 활성물질들을 최종적으로 분취용 크로마토그래피(Shimadzu사)를 이용하여 5개의 단일 물질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화합물들을 LC/MS/MS와 1H-NMR과 13C-NMR로 구조분석을 하여 3종의 구조를 확인하였으며, 이중 항산화활성이 가장 높고 함량이 가장 많은 화합물 2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1과 같이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3,4,5-trihydroxybenzaldehyde, THBA)로 동정하였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61110640-PAT00002
< 실시예 2>
본 발명의 조성물의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조사
웅성 스프라그 도울리(Sprague-Dawley) 3주령 종 숫컷 흰쥐를 중앙실험동물사에서 구입하여 두 군으로 나누어 정상 식이군과 고지방 식이군을 두었다. 비만 유도 후 10주령부터 4주간 뱀무의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을 각각 식이섭취량의 1%, 5%(w/w)씩, 그리고 상기 실시예 <1-2>에서 분리한 THBA (3,4,5-trihydroxybenzaldehyde)를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에 있는 함량과 비슷한 양의 농도(3mg/ml)로 경구투여하여 고지방대조군, 1% GJ군, 5% GJ군, THBA군으로 하였다. 정상 대조군은 4주령부터 10주의 실험 기간 동안 AIN-76A diet # 100000 (Dytes Inc., Bethleham, PA, USA)를 공급하였고, 고지방 식이군은 지방 급원으로 비프 탤로우(beef tallow)를 사용하여 AIN-76A high fat diet # 100496 (Dytes Inc., Bethleham, PA, USA)으로 총 열량의 40%를 지방으로 공급하여 사육하였다. 각 실험군은 8마리로 하였다.
실험동물은 한 마리씩 분리하여 사육하였고, 물과 식이는 제한없이 공급하였다. 실험 기간 동안 식이 섭취량과 체중은 일주일에 2회 측정하였다. 식이 효율 (FER)은 실험식이 공급일로부터 희생일까지를 총 실험기간으로 하여 실험 기간 동안의 체중 증가량을 실험 기간 동안의 식이 섭취량으로 나누어 산출하였다.
실험동물을 14주령에 희생하여 혈액과 장기를 채취하였다. 혈액은 희생시 심장채혈(heart puncture) 방법으로 채취한 후 3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얻었으며 이들 시료는 분석 시까지 -70℃에서 보관하였다.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 및 H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의 함량을 Sigma Chemical 사(St. Louis. MO)의 Kit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실험군간의 차이를 단방향(one-way) ANOVA에 의하여 검정하고 α=0.05 수준에서 던컨 다중검정법(Duncan‘s multiple range test)을 실시하였다. 유의성은 α=0.05, α=0.01 수준에서 검정하였고, 모든 통계 분석은 SAS program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결과는 평균(mean)±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SD)로 표시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에서 보듯이, 혈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실험군간 차이가 없었으나 HDL 콜레스테롤은 고지방 대조군이 정상 대조군보다 낮았고, 뱀무 추출물 투여군이 고지방 대조군 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혈중 중성지방은 고지방 대조군이 79.62±23.12mg/dl 로 정상 대조군의 50.49±8.11mg/dl 에 비해 상당 히 증가한 반면, 뱀무를 공급한 군에서는 큰 폭으로 감소하여 뱀무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 5% 투여군은 44.26±10.81mg/dl, THBA(3,4,5-trihydroxybenzaldehyde)군은 47.11±8.37mg/dl 로 고지방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보였다.
Total cholesterol (mg/dl) HDL cholesterol (mg/dl) Triglyceride (mg/dl)
정상대조군 (일반식이) 64.33±9.54 38.82±7.42 50.49±8.11
고지방대조군 (고지방식이) 67.51±6.71 22.86±3.90 79.62±23.12
1% GJ군 (고지방 식이 + 1% 뱀무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 63.44±10.12 27.50±10.94 58.50±9.82
5% GJ군 (고지방 식이 + 5% 뱀무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 65.93±11.67 32.59±10.05 44.26±10.81
THBA군 (고지방식이 + THBA) 64.22±9.41 30.34±9.15 47.11±8.37
< 실시예 3>
뱀무 추출물의 사람 동맥평활근 세포( HASMC )에 대한 독성
<3-1> 세포배양
사람 동맥평활근 세포(HASMC)를 문헌에 기재된 방법으로 배양(Moon,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301, pp1069-1078, 2003)하였다. 배양액으로는 평활근 세포 성장 배지-2(10% FBS, 2 ng/ml 인간 기본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0.5 ng/ml 인간 내피 성장 인자, 50 ㎍/ml 젠타마이신(gentamicin, 50 ㎍/ml amphotericin-B, 5 ㎍/ml 소 인슐린 함유)를 사용하였으며, 모든 실험에는 초대 페세지(passage) HASMC(human aortic smooth muscle cells)를 80-90% 컨플루언스(confluence)로 배양하였고, 무혈청(serum starvation, 0.1% FBS)에서 보존하였다.
<3-2> 세포독성 검정
세포독성은 문헌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HASMC에서 XTT 키트(XTT II, Boehringer Mannheim, Mannheim, Germany)로 측정하였다(Ha, et al, pharmacological Research 50(3), pp279-285, 2004). 세포를 96-웰 배양 플레이트(culture plate)에서 2시간 동안 1 × 104세포/웰 DMEM로 키우고 뱀무 추출물에서 분리한 THBA(3,4,5-trihydroxybenzaldehyde)을 여러 농도로 (0, 10, 50, 200, 및 500㎍/ml)하여 3개의 실험 군으로 나누어 처리하였다. 20시간 후에 50㎕의 XTT 환원 용액(나트륨 3'-[1-(페닐-아미노카보닐)-3, 4-테트라졸리움]-비스(4-메톡시-6-니트로)벤젠술폰산 수화물 및 N-메틸 디벤조피라진 메틸 설페이트; 50:1로 혼합)을 첨가하였다. 24시간 후에 490 nm에서 엘리사(ELISA) 플레이트 리더(plate reader)로 XTT와 함께 배양기에서 측정하였다(37℃, 5% CO2 + 95% 공기). 실험은 3회씩 독립적으로 실시하였고, 결과는 평균치(mean±SE)로 표시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보듯이, THBA(3,4,5-trihydroxybenzaldehyde)의 사람 동맥평활근 세포(HASMC)에 대한 독성은 다양한 THBA 농도(0, 10, 50, 200, 500 ㎍/ml)에서 살펴보았을 때, 미약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THBA는 사람 동맥평활근 세포(HASMC)에 대해 500 ㎍/ml 농도에서도 정상세포에 대비한 증식율이 65.6%에 이르러 그 독성이 미약하므로 인체에 큰 해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실시예 4>
MMP-9 저해 활성 및 세포의 이주능 실험
<4-1> THBA의 사람동맥평활근 세포(HASMC)가 생성하는 MMP-9의 저해력 검정
본 발명의 뱀무 추출물 및 THBA의 MMP-9 억제활성을 알아 보기 위하여, MMP-9 활성을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다소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Demeule, et al.,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1478, pp51-60,2000 ; Chung, et al., FASEB Journal 18(14), pp1670-1681, 2004b ; Ha, et al.,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200 (1), pp1-6, 2004a).
TNF-α(100 ng/ml)를 처리(비교용으로 무처리한 군 이용)한 사람 동맥평활근 세포(HASMC)의 배양액을 62.5 mM 농도의 트리스-염산(TrisHCl, pH 6.8), 10% 글리세롤(glycerol), 2% SDS와 0.00625% (w/v)의 브로모페놀 블루(bromophenol blue)를 함유한 완충액에 현탁한 다음 가열하지 않은 상태로 젤라틴 0.1% (w/v)를 함유한 7.5%의 아크릴아미이드/비스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 bisacrylamide, 29.2:0.8) 전기영동용 분리 젤에서 100 볼트 전압으로 일정하게 전기영동을 하였다. 전기영동 후 젤을 실온에서 Triton X-100 0.25%액에 30분간 2회 침윤한 다음 순수한 물로 세척하였다.
TNF-α로 유도된 MMP-9의 발현에 대한 THBA의 저해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HASMC에 THBA를 농도별로(0, 20, 50, 100, 200, 500 μg/ml) 처리하였으며 이에 대해서 지모그래피(zymography)를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HASMC 세포들을 10% FBS/DMEM 배지에서 배양하여 PBS(phosphated buffed saline)로 세척한 다음 TNF-α를 처리한 혈청이 없는 DMEM 배지에 THBA를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정상 생육된 세포들을 수거하여 젤라틴 0.1%가 함유된 폴리아크릴아마이드 10% 젤에 현탁하여 전기영동하였다. 전기영동한 젤은 SDS를 제거하기 위하여 Triton X-100 2.5%(v/v)용액으로 1시간 세척한 다음 젤라틴의 단백질이 분해 될 수 있도록 37°C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젤을 쿠마시 브릴리언트 블루 R-250(Coomassie Brilliant blue R-250, Bio-Rad, USA)로 염색하여 효소 활성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와 대비하여 LPS를 처리한 raw 264.7 세포, MMP-9이 상시 발현되는 Hep3B 세포에서 MMP-9에 대한 THBA의 저해효과도 동일한 방법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도 4에서 보듯이, THBA에 의한 MMP-9 저해활성은 TNF-α를 처리한 HASMC, LPS를 처리한 raw 264.7 세포, MMP-9이 상시 발현되는 Hep3B 세포에서, 세포 종류별로 차이는 있었지만 50에서 500 μg/ml 농도에서 활성이 거의 소멸됨을 알 수 있었다.
<4-2> 동맥평활근 세포의 이주능 실험
TNF-α로 유발된 동맥 평활근 세포의 이주능을 시험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매트리겔 이주 분석법(Matrigel migration assay)을 사용하였다.(Chung, et al., FASEB Journal 18(14), pp1670-1681, 2004b ; Ha et al., Pharmacological Research 50(3), pp279-285, 2004c). 마트리겔(Matrigel)-코팅된 여과 삽입물(8m 공삭크기)을 벡톤-디킨슨(Becton-Dickinson, USA)사의 24-웰 인베이전 챔버(invasion chambers)에 고정 후 HASMC(5 × 104 세포/웰) 세포를 24 시간 배양하였다. 여기에 TNF-α를 처리한 다음(100ng/ml) 24시간 배양 후 다양한 농도의 THBA(0, 20, 50, 및 100㎍/ml)을 처리하였다. 대조군으로는 TNF-α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와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알려져 있는 EGCG(epigallocatechin-3-gallate) 80μg/ml 농도로 사용하였다. 매트리겔 인베이전 챔버는 37℃, 24시간, 5% CO2에서 보온하였다.
그 결과, 도 5에서 보듯이, 이주한 세포(여과지 안으로 침윤한 세포)수가 THBA의 첨가에 의해서 농도 의존적으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대조군으로 사용한 EGCG와 대등한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뱀무 추출물에서 분리한 THBA가 사람 동맥평활근 세포의 침윤-이주능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보여 준다.
< 제조예 1>
THBA 가 포함된 고지혈증 또는 MMP 과다활성으로 인한 혈관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의 제조
<1-1> 정제의 제조
THBA 25 ㎎을 부형제 직타용 락토오스 26 ㎎과 아비셀(미결정 셀룰로오스) 3.5 ㎎, 붕해 보조제인 나트륨 전분 글리코네이트 1.5 ㎎ 그리고 결합제인 직타용 L-HPC(low-hydrosyprophylcellulose) 8 ㎎과 함께 U형 혼합기에 넣고 20분간 혼합하였다. 혼합이 완료된 후 활탁제로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1 ㎎을 추가로 첨가하고 3분간 혼합하였다. 정량 시험과 항습도 시험을 거쳐 타정하고 필름 코팅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2> 시럽제의 제조
THBA 2 g, 사카린 0.8 g 및 당 25.4 g을 온수 80 g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을 냉각시킨 후, 여기에 글리세린 8.0 g, 향미료 0.04 g, 에탄올 4.0 g, 소르브산 0.4 g 및 적량의 증류수를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100 ㎖가 되도록 하여 액테오시드를 유효성분 2 %(W/V)로 함유하는 시럽을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THBA 50 ㎎, 유당 50 ㎎, 전분 46.5 ㎎, 탈크 1 ㎎ 및 적량의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을 혼합하고 이를 경질 젤라틴 캡슐에 충진 함으로써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 주사액제의 제조
THBA 1 g, 염화나트륨 0.6 g 및 아스코르브산 0.1 g을 증류수에 용해시켜서 100 ㎖를 제조하였다. 상기 용액을 병에 넣고 20 ℃에서 30분간 가열하여 멸균시켰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포 독성이 없으면서도 혈중 고밀도 콜레스테롤의 증가와 중성지방의 양을 감소시키며, 동맥평활근 세포의 MMP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지질대사의 이상으로 발생되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증과 같은 MMP 과다활성으로 인한 혈관질환의 예방 및 치료하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와 같은 혈관질환의 예방 및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뱀무의 지상부 생육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뱀무로부터 본 발명의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THBA)의 분리 과정 중 유기용매 추출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의 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의 MMP-9 활성 억제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의 사람 동맥평활근 세포의 이주능에 대한 억제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12)

  1.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3,4,5-trihydroxybenzaldehyd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I>
    Figure 112007061110640-PAT00003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는 뱀무(Geum japonicum THUNBERG)에서 분리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MMP 과다활성으로 인한 혈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MMP 과다활성으로 인한 혈관질환은 동맥경화증, 협심증, 심근경색증, 고혈압, 빈혈 , 편두통, 중풍 및 혈관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 및 이의 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6.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3,4,5-트리히도록시벤즈알데히드 및 이의 염을 포함하는 MMP 과다활성으로 인한 혈관질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MMP 과다활성으로 인한 혈관질환은 동맥경화증, 협심증, 심근경색증, 고혈압, 빈혈 , 편두통, 중풍 및 혈관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당류 및 유기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 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당류는 백당, 만니톨, 포도당, 솔비톨, 자일리톨, 이노시톨, 유당 및 과당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은 시트르산, 아스코르빈산 및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탄소수 1 내지 6의 유기용매로 추출한 뱀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12. 탄소수 1 내지 6의 유기용매로 추출한 뱀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MMP 과다활성으로 인한 혈관질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070084916A 2007-08-23 2007-08-23 3,4,5-트리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고지혈증 및 mmp 과다활성으로 인한 혈관질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0891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916A KR100891881B1 (ko) 2007-08-23 2007-08-23 3,4,5-트리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고지혈증 및 mmp 과다활성으로 인한 혈관질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916A KR100891881B1 (ko) 2007-08-23 2007-08-23 3,4,5-트리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고지혈증 및 mmp 과다활성으로 인한 혈관질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279A true KR20090020279A (ko) 2009-02-26
KR100891881B1 KR100891881B1 (ko) 2009-04-07

Family

ID=40687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916A KR100891881B1 (ko) 2007-08-23 2007-08-23 3,4,5-트리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고지혈증 및 mmp 과다활성으로 인한 혈관질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18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3059A1 (en) * 2009-06-12 2010-12-16 Generex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ins and preparation methods of composition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ypertension
WO2015099491A1 (ko) * 2013-12-27 2015-07-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3-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WO2019172174A1 (ja) * 2018-03-05 2019-09-12 日本新薬株式会社 Rageシグナル阻害作用をもつ食品素材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40870B (zh) * 2009-06-12 2016-06-29 基因雷克斯制药有限公司 日本路边青有机提取物在制备用于治疗或预防高血压药物中的用途
CN102548571A (zh) * 2009-06-12 2012-07-04 基因雷克斯制药有限公司 用于预防和治疗脑部疾病和疾病状态的组合物和方法
JP2015164967A (ja) * 2009-06-12 2015-09-17 ジェネレックス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生存期間及び健康寿命を増加させ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US9283255B2 (en) 2009-06-12 2016-03-15 Generex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red blood cell coagulation
CN102740870A (zh) * 2009-06-12 2012-10-17 基因雷克斯制药有限公司 用于预防和治疗高血压的组合物和组合物制备方法
JP2012529487A (ja) * 2009-06-12 2012-11-22 ジェネレックス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脳疾患及び状態の予防及び治療の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EP2440222A4 (en) * 2009-06-12 2012-12-12 Generex Pharm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SEASES AND CONDITIONS OF THE BRAIN
US9050277B2 (en) 2009-06-12 2015-06-09 Generex Pharmaceuticals, Inc. Combined Geum japonicum and Centella asiatica extracts for the therapeutic treatment of heart failure
AU2017202573B2 (en) * 2009-06-12 2019-02-21 Generex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brain diseases and conditions
EP2440222A1 (en) * 2009-06-12 2012-04-18 Generex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brain diseases and conditions
CN102573865A (zh) * 2009-06-12 2012-07-11 基因雷克斯制药有限公司 用于预防和治疗红细胞聚集的组合物
AU2010258352B2 (en) * 2009-06-12 2016-04-28 Generex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ypertension
WO2010143059A1 (en) * 2009-06-12 2010-12-16 Generex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ins and preparation methods of composition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ypertension
US9629884B2 (en) 2009-06-12 2017-04-25 Generex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creasing lifespan and health span
US9950019B2 (en) 2009-06-12 2018-04-24 Generex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brain diseases and conditions
AU2017202572B2 (en) * 2009-06-12 2019-02-21 Generex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brain diseases and conditions
WO2015099491A1 (ko) * 2013-12-27 2015-07-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3-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WO2019172174A1 (ja) * 2018-03-05 2019-09-12 日本新薬株式会社 Rageシグナル阻害作用をもつ食品素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1881B1 (ko) 2009-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7060B1 (ko) 발효 녹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JP2019520319A (ja) 小豆を含む筋機能改善又は運動遂行能力向上用組成物
JP4686173B2 (ja) ポリフェノールおよび/またはビタミンcを含有するアセロラ処理物
JP2012051940A (ja) ビワ葉抽出物を含有する飲食品及び医薬品
KR20100122333A (ko) 콩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고지혈증, 동맥경화, 지방간, 당뇨 또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25155A (ko) 무청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19649B1 (ko) 캠퍼롤 및 에피카테킨 갈레이드를 포함하는 홍경천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91881B1 (ko) 3,4,5-트리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고지혈증 및 mmp 과다활성으로 인한 혈관질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WO2005074961A1 (ja) 体脂肪調整剤
KR20180134161A (ko) 타트체리추출물 및 미배아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또는 불안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98201B1 (ko) 판두라틴 유도체 또는 보에센베르기아 판두라타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증가 촉진, 항-피로 및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조성물
KR101135132B1 (ko) 판두라틴 유도체 또는 보에센베르기아 판두라타 추출물의 신규한 용도
KR20230143580A (ko) 호프 및 백수오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KR101152479B1 (ko) 탈지된 녹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또는 항암 조성물
KR101963439B1 (ko) 아라자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590726B1 (ko) 목질진흙버섯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페린신 에이를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WO2018230931A2 (ko)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83071A (ko) 모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113709A (ko)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US10961176B2 (en) Compound hexadecaphlorethol isolated from Ishige okamurae and use thereof
KR102336045B1 (ko)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20030687A (ko) 둥굴레 추출물과 그를 함유한 혈장 지질 및 혈당 강하용조성물
KR101219185B1 (ko) 신규 바이페닐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25572B1 (ko) 고욤나무 잎 및 포도송이 줄기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76053A (ko) 스페니쉬 오레가노 추출물 또는 여름세이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