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8248A - 차량용 연료캡 - Google Patents

차량용 연료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8248A
KR20090018248A KR1020070082544A KR20070082544A KR20090018248A KR 20090018248 A KR20090018248 A KR 20090018248A KR 1020070082544 A KR1020070082544 A KR 1020070082544A KR 20070082544 A KR20070082544 A KR 20070082544A KR 20090018248 A KR20090018248 A KR 20090018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cap
fuel
valve
fuel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8172B1 (ko
Inventor
윤소문
Original Assignee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2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172B1/ko
Publication of KR20090018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406Filler caps for fuel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캡의 캡 래치에 의해 밸브 래치가 마모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와 차량의 연료 주유구에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외주면에 돌출되는 캡 래치가 형성된 연료캡, 상기 체결부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중공 형태의 내주면에 상기 캡 래치와 대향되게 돌출된 밸브 래치가 형성된 밸브 몸체, 상기 밸브 래치와 동일한 각도로 이루어져 상기 캡 래치의 일면과 면 접촉되게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캡 래치와 밸브 래치가 서로 면 접촉되므로 캡 래치로부터 밸브 래치에 강한 힘이 작용하더라도 밸브 래치가 마모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파손되지 않게 되며, 캡 래치에는 경사진 밸브 래치와 유사한 각도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캡 래치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캡 래치가 밸브 래치로부터 헛돌지 않게 되어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연료캡, 밸브 몸체, 캡 래치, 밸브 래치

Description

차량용 연료캡{Fuel Cap}
본 발명은 차량용 연료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캡의 래치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차량용 연료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가 구비되고, 연료 탱크는 엔진 및 연료 펌프와 연결 설치되어 연료 탱크에 저장중인 연료를 연료 펌프에 의해 엔진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연료 탱크에는 연료를 보충할 수 있도록 연료 주입구가 마련되며, 연료 주입구에는 연료를 주입하는 연료 주입구와 상기 연료 주입구에 체결되어 주유구를 밀폐시키는 연료캡이 마련된다.
이러한 연료캡은 연료 주유구를 짧은 시간 내에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밀폐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연료 주유구와 연료캡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회전식으로 개폐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연료캡은 연료 주유구를 확실하게 밀폐되면 규칙적인 소리, 예를 들어 '딸깍'하는 소리가 연속적으로 발생되어 연료 주유구의 밀폐가 이루어졌는지 밀폐가 이루어지지 않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연료캡의 구조를 도1a 내지 도1c에 도시하였다.
도1a 내지 도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캡(10)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11), 상기 손잡이(11)로부터 연장되어 연료 주유구에 체결되는 체결부(12)가 형성되며, 체결부(12) 외측에는 캡 래치(13)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2)의 외측에는 중공 형상으로 된 밸브 몸체(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밸브 몸체(20)에는 내주면에 안쪽으로 돌출된 밸브 래치(21)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 상기 밸브 몸체(20) 외측에는 패킹 부재(22)가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캡 래치(13)는 그 형상이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 래치(21)는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연료캡(10)은 사용자가 연료 주유구에 연료캡(10)을 체결하는 경우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체결부(11)가 주유구에 체결되고, 연료캡(10)이 연료 주유구에 체결된 이후에는 캡 래치(13)가 밸브 래치(21)를 지나면서 '딸깍'하는 소리가 발생되며, 사용자는 연료캡(10)이 체결되었음을 인지하게 된다.
이와 달리 연료캡(10)을 풀고자 하는 경우 도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캡 래치(13)가 밸브 래치(21)를 가압하면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강제적으로 밸브 래치(21)를 타고 넘어가게 된다.
이와 같은 연료캡의 캡 래치는 그 형태가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강한 힘이 작용하게 되더라도 캡 래치가 손상되는 경우는 희박하나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밸브 래치는 강한 힘이 작용함에 따라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즉, 밸브 래치는 그 구조적인 형상으로 인해 뾰족한 부분에 캡 래치가 선 접촉된 상태에서 강한 힘이 작용하게 되고, 밸브 래치가 그 형태를 유지하는 강도 보다 강한 힘이 작용하는 경우 밸브 래치 선단의 뾰족한 부분은 그 일부가 마모되거나 부러지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연료캡을 잠그는 경우에는 사용에 무리가 없으나 연료캡을 풀고자 하는 경우 캡 래치가 밸브 래치를 타고 넘어 연료캡이 헛도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료캡이 마모 또는 파손됨에 따라 헛돌게 되는 경우 주유를 할 수 없게 됨은 물론 연료캡을 강제적으로 파손시켜 교체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캡의 캡 래치에 의해 밸브 래치가 마모되거나 파손되지 않는 차량용 연료캡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차량용 연료캡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와 차량의 연료 주유구에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외주면에 돌출되는 캡 래치가 형성된 연료캡, 상기 체결부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중공 형태의 내주면에 상기 캡 래치와 대향되게 돌출된 밸브 래치가 형성된 밸브 몸체, 상기 밸브 래치와 동일한 각도로 이루어져 상기 캡 래치의 일면과 면 접촉되게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캡 래치와 밸브 래치가 서로 면 접촉되므로 캡 래치로부터 밸브 래치에 강한 힘이 작용하더라도 밸브 래치가 마모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파손되지 않게 되며, 캡 래치에는 경사진 밸브 래치와 유사한 각도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캡 래치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캡 래치가 밸브 래치로부터 헛돌지 않게 되어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차량용 연료캡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3은 도2의 B-B선 단면도이며, 도4는 도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연료캡(100)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110), 상기 손잡이(110)로부터 연장되어 차량의 연료 주유구에 체결되는 체결부(111) 및 상기 체결부(111)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캡 래치(120)가 형성된다.
이러한 캡 래치(120)는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측에는 일측으로 연장된 지지부(121)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21) 선단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 캡 래치(120)의 바깥면 즉, 밸브 래치(131)와 접하는 면에는 일정 부분만큼 경사진 경사면(122)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11)의 외측에는 중공 형상으로 된 밸브 몸체(130)가 결합되며, 상기 밸브 몸체(130)의 내주면에는 안쪽으로 돌출된 밸브 래치(131)가 형성된다. 이 밸브 래치(131)는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일측 선단이 밸브 몸체(130)의 중공 안 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됨으로써 상기 캡 래치(120)와 접하는 면은 모두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차량용 연료캡(100)은 차량에 연료를 주입하기 위해 연료 주유구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구를 레버 등으로 당겨주어 개방된 상태에서 연료캡(100)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연료캡(100)은 캡 래치(120)의 지지부(121)가 상기 밸브 래치(131)의 일면과 면 접촉되며, 연료캡(100)의 캡 래치(120)로부터 밸브 래치(131)에 강한 힘이 작용하게 되더라도 상기 밸브 래치(131)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 어 지지부(121)로부터 가해지는 힘은 밸브 래치(131)에 선 접촉이 아닌 면 접촉되어 가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밸브 래치(131)는 마모되거나 파손되지 않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연료캡(120)을 닫기 위해 연료캡(120)을 회전시키면 캡 래치(120)는 밸브 래치(131)와 면 접촉하게 되는데, 캡 래치(120)의 경사면(122)은 밸브 래치(131)의 완만한 각도로 경사진 면에 접촉된 상태로 힘을 가하게 된다.
이렇게 캡 래치(120)는 밸브 래치(131)에 힘을 가하는 상태로 연료캡(100)이 회전되어 밸브 몸체(120)를 회전시키고, 밸브 몸체(120)의 회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캡 래치(120)는 밸브 래치(130)에 힘을 계속적으로 가하게 된다.
즉, 밸브 몸체(130)의 회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캡 래치(120)로부터 힘이 가해지게 되면 캡 래치(120)는 밸브 래치(131)를 타고 넘어가게 되는데, 캡 래치(120)는 경사면(122)이 형성되어 있어 밸브 래치(131)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으면서 밸브 래치(131)를 타고 넘어가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딸깍'하는 소리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딸깍'하는 소리가 2~4회 정도 발생되면 밸브 몸체(130)는 차량의 연료 주유구에 밀착된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연료캡(100)의 회전을 중지하게 되고, 연료캡(100)을 연료 주유구에 밀착되어 연료 탱크로부터 증발되는 연료 가스 등이 누설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연료 주유구를 밀폐시켜 연료 가스가 증발됨을 방지함은 물론 기화되거나 액화되는 기체 또는 액체 등을 저장하는 탱크의 주입구 등에 결합되어 밀폐하고자 하는 부위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1a는 종래의 연료캡을 도시한 정면도.
도1b는 도1a의 A-A선 단면도.
도1c는 도1a의 A-A선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차량용 연료캡을 도시한 정면도.
도3은 도2의 B-B선 단면도.
도4는 도2의 B-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연료캡 110: 손잡이
111: 체결부 120: 캡 래치
121: 지지부 122: 경사면
130: 밸브 몸체 131: 밸브 래치

Claims (3)

  1.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와 차량의 연료 주유구에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외주면에 돌출되는 캡 래치가 형성된 연료캡,
    상기 체결부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중공 형태의 내주면에 상기 캡 래치와 대향되게 돌출된 밸브 래치가 형성된 밸브 몸체,
    상기 밸브 래치와 동일한 각도로 이루어져 상기 캡 래치의 일면과 면 접촉되게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래치에는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밸브 래치와 접촉되는 면에 상기 밸브 래치와 유사한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캡.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 래치는 상기 밸브 래치의 일부분과 면 접촉되게 형성하되, 상기 밸브 래치의 절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캡.
KR1020070082544A 2007-08-17 2007-08-17 차량용 연료캡 KR100888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544A KR100888172B1 (ko) 2007-08-17 2007-08-17 차량용 연료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544A KR100888172B1 (ko) 2007-08-17 2007-08-17 차량용 연료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248A true KR20090018248A (ko) 2009-02-20
KR100888172B1 KR100888172B1 (ko) 2009-03-10

Family

ID=40686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544A KR100888172B1 (ko) 2007-08-17 2007-08-17 차량용 연료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1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9714B1 (ko) 2017-11-20 2018-11-16 임국건 잠금 기능을 갖는 마개
KR102452696B1 (ko) 2017-12-12 2022-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음정을 발생하는 락킹 구조를 구비한 차량용 연료캡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62208B2 (ja) 2003-08-11 2008-03-19 豊田合成株式会社 キャッ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8172B1 (ko) 2009-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172B1 (ko) 차량용 연료캡
FR2727735A1 (fr) Dispositif de purge ou de vidange d&#39;un conduit
JP4736312B2 (ja) タンク
FR2939079A1 (fr) Instrument d&#39;ecriture et capuchon pour un instrument d&#39;ecriture
US7243675B2 (en) Drop tube segments adapted for use with a liquid reservoir
CN207579590U (zh) 一种快速安装和拆卸的加油口盖
JP2016088218A (ja) 燃料タンクの給油部構造
CN211032170U (zh) 加油口盖总成及油箱密封组件
KR100759535B1 (ko) 연료탱크용 셧 오프 밸브
JP2014125008A (ja) ネックエンドの取付構造
FR2689050A1 (fr) Dispositif injecteur pour le traitement du bois.
CN207274405U (zh) 加油盖及包括其的汽车
KR0144042B1 (ko) 탱크로리의 맨홀구조
CN206973127U (zh) 一种燃气三通
KR200422975Y1 (ko) 가습기용 물통 캡의 결합구조
JP3284271B2 (ja) 燃料フィーラカップ
KR19980025927U (ko) 연료필러 캡 개폐구조
CN211423443U (zh) 一种球阀
CN201427521Y (zh) 车辆活动式油箱
KR200196116Y1 (ko) 타이어용 공기주입노즐
EP1198681B1 (fr) Dispositif de remplissage d&#39;un reservoir a liquide
KR100360908B1 (ko) 엘피지 충전밸브 연결장치
KR200398704Y1 (ko) 가스 충전용 퀵 커플링
KR200371239Y1 (ko) 병마개
KR20030073201A (ko) 부착식 자동차연료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