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1239Y1 - 병마개 - Google Patents

병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1239Y1
KR200371239Y1 KR20-2004-0027463U KR20040027463U KR200371239Y1 KR 200371239 Y1 KR200371239 Y1 KR 200371239Y1 KR 20040027463 U KR20040027463 U KR 20040027463U KR 200371239 Y1 KR200371239 Y1 KR 2003712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bottle
spout
sealing
seal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74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한
Original Assignee
박경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한 filed Critical 박경한
Priority to KR20-2004-00274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12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12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1239Y1/ko
Priority to US11/088,174 priority patent/US20060016778A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65D1/0246Closure retaining means, e.g. beads, screw-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052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made in more tha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16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with handles or other special means facilitating manual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n orifice, capillary or labyrinth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밀폐를 위하여 꺾게되는 밀폐수단의 레버 작동이 용이토록 하면서 밀폐수단의 밀폐력이 보전토록 하기 위한 구조로 이루어진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탄산음료가 담겨진 패트병에의 사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에 이러한 기능의 병마개로는 본 출원인이 실용신안 제0346808호로 등록하여 현재까지 제공되고 있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병마개는 병 주둥이가 일자 형태로 길죽하게 이루어진 병에는 밀폐력의 보전이 가능한 것이나, 탄산음료가 담겨진 패트병의 경우, 탄산가스에 의한 내부압으로 패트병의 주둥이 내부에 밀착되어진 밀폐수단이 주둥이 상부로 밀려 올려가 빠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치 못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따라서 본 고안의 병마개는 병 주둥이의 외측에 끼워지는 캡의 내주면에 병 주둥이와의 결착을 위한 조임수단을 형성시켜 병 주둥이에 캡을 먼저 결착시킨 상태에서 레버를 작동시켜 밀폐수단이 팽창토록 함으로서 병마개가 임의로 빠지는 현상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병 주둥이와의 조임수단을 갖는 병마개.

Description

병마개{A bottle lid}
본 고안은 밀폐를 위하여 꺾게되는 밀폐수단의 레버 작동이 용이토록 하면서 밀폐수단의 밀폐력이 보전토록 하기 위한 구조로 이루어진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탄산음료가 담겨진 패트병에의 사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종래에 이러한 기능을 갖는 병마개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이 실용신안 제 0346808호로 등록하여 현재까지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서, 병의 주둥이 외측에 끼워지는 캡(100)의 내부에 병의 주둥이 내측에 끼워지는 밀폐수단(200)이 캡의 상부까지 관통되게 축 결합되어진 작동레버(400)의 꺾임에 의한 가압력으로 작동레버(400)에 연결된 작동체(300)의 받침판(301)이 상승되면서 밀폐수단(200)을 상부로 밀어 올려 좌우로 팽창토록 함으로서 병 입구의 밀폐가 가능토록 한 것으로서, 이때 상기 밀폐수단(200)의 상부에서도 가압력이 작용토록 가압수단(500)을 형성시켜 밀폐수단(200)의 하부에서 작용하는 작동체(300)의 받침판(301)에 의한 상, 하 가압력에 의하여 밀폐수단(200)이 용이하게 팽창토록 함으로서 작동레버(400)의 작동이 용이토록 함과 동시에 병 주둥이 내면에의 밀착면 증가로 우수한 밀폐력을 제공시킬 수 있도록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병마개는 포두주 병과 같이 병 주둥이가 일자 형태로 길죽하게 이루어진 병에는 밀폐수단이 병 주둥이 내면에 밀착되는 면적이 증가되어 우수한 밀폐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나, 통상의 음료수 병처럼 병 주둥이가 짧은 패트병에 사용할 경우는 밀폐수단이 밀착되는 면적이 작아 우수한 밀폐력의 제공이 어려운 것으로, 특히 이러한 패트병에 탄산음료가 담겨져 있을 경우 탄산가스에 의한 내부압으로 병의 주둥이 내면에 밀착되어진 밀폐수단이 주둥이 상부로 밀려 올려가 빠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치 못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밀폐수단의 상, 하부로 가압력이 작용토록 구성된 공지의 병마개에 있어서, 병 주둥이의 외측에 끼워지는 캡의 내주면에 병 주둥이와의 결착을 위한 조임수단을 형성시켜 병 주둥이에 캡을 먼저 결착시킨 상태에서 레버를 작동시켜 밀폐수단이 팽창토록 함으로서 병마개가 임의로 빠지는 현상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참고 사용 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참고 사용 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출원인이 등록한 병마개의 참고 사용 상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캡 11: 관통구
12: 조임수단 13: 통공구
14: 요철부
20: 탄성체 30: 작동체
31: 지지축 32: 받침판
40: 작동레버 50: 가압관
60: 패킹 70: 외부캡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병의 주둥이 외측에 끼워지는 캡(10) 상단의 관통구(11)를 통하여 하단에 받침판(32)이 형성된 작동체(30)의 지지축(31)이 관통되어지고, 상기 작동체(30)의 지지축(31)의 상단에는 작동레버(40)가 동일선상으로 축홈(41)에 핀(42)이 결합되고, 상기 작동체(30)의 받침판(32) 상단으로는 지지축(31)과의 유동간격이 형성될 정도의 내경을 갖는 관통구멍(21)이 형성된 탄성관(20)이 끼워지고 그 상단으로는 가압관(50)이 끼워져 상기 작동레버(40)를 꺾으면 탄성관(20)의 상, 하부에서 작용되는 가압력에 의하여 탄성관(20)이 팽창되어 병의 밀폐가 가능토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캡(10)은 내주면에 병(100)의 주둥이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선부(101)를 타고 결합되어 조여져 결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임수단(12)이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조임수단(12)은 상기 캡(10)의 내주면 어느 위치에 돌기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시켜 패트병(100)의 나선부(101)에 형성되어진 나선홈을 타고 결합되어 조여질 수 있도록 하여도 가능하고, 나선부(100)의 나선홈과 나선돌기를 타고 맞물려 결합될 수 있도록 나선부의 형태를 갖도록 하여도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캡(10)의 상단면에는 미세한 통공구(13)를 형성시켜 패트병(100) 에 탄산음료가 담겨진 채로 흔들 경우 과다로 발생되어지는 탄산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본 고안의 병마개를 여는 순간 탄산가스의 과다 발생에 따른 음료수의 넘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캡(10)의 외주면에는 요철부(14)를 형성시켜 캡(10)의 회전이 용이하게 함으로서 본 고안의 병마개를 패트병(100)의 주둥이에 용이하게 결착시키거나 해체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10)의 외측으로는 캡(10)의 상단면이 연장되게 형성되어지는 외부캡(70)을 형성시켜 패트병(100)의 주둥이에 이물질 등이 묻지 않도록 함으로서 위생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에는 상기 요철부(14)를 캡(10)에 형성시키지 않고 외부캡(70)에 형성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작동체(20)의 지지축(31)에는 상기 가압관(50)의 상부로 패킹(60)이 끼워져 가압관(50)과 캡(10)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여 캡(10)과 가압관(50)의 손상을 방지토록 함과 동시에 캡(10)과의 긴밀한 결합으로 누수가 방지토록 되어 있고, 가압관(50)에는 패킹(60)의 고정을 위한 결합돌부(50a)가 형성되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은 본 출원인이 이미 등록하여 공지되어진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고안의 병마개는 캡(10)을 회전시키면 병(100) 주둥이에 형성되어진 나선부(101)를 타고 캡(10)이 조여져 결착토록 한 상태에서 작동레버(40)를 꺾으면 병의 주둥이 내부에 끼워진 탄성관(20)이 상, 하부에서 가압되어 양측으로 팽창토록 됨으로서 병의 밀폐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병마개는 캡(10)이 병의 주둥이에 결착됨으로서 본 고안의 병마개를 탄산음료가 담겨진 패트병에 사용할 경우 탄산가스 발생에 따른 내부압의 발생에 의한 병마개의 임의 빠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병마개는 병 주둥이와의 결착이 가능토록 되어 탄산음료가 담겨진 패트병에 사용할 경우에도 밀폐력을 그대로 보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병의 입구 외측에 끼워지는 캡(10)의 외측으로 관통되어진 작동체(30)의 지지축(31) 상단으로 작동레버(40)가 핀 결합되어 작동레버(40)의 꺾임에 의하여 캡(10)의 내측으로 관통되어진 탄성관(20)의 상, 하부로 가압력이 작용되어 밀폐토록 구성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상기 캡(10)은 내주면에 병(100)의 주둥이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선부(101)를 타고 결합되어 조여져 결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임수단(12)이 형성된 것이 특징인 병마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수단(12)은 상기 캡(10)의 내주면 어느 위치에 돌기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수단(12)은 나선부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10)의 상단면에는 탄산가스 배출을 위한 미세한 통공구(1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10)의 외측으로는 캡(10)의 상단면이 연장되게 형성되어지는 외부캡(7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6.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캡(10)의 외주면에는 요철부(1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KR20-2004-0027463U 2004-07-23 2004-09-23 병마개 KR2003712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463U KR200371239Y1 (ko) 2004-09-23 2004-09-23 병마개
US11/088,174 US20060016778A1 (en) 2004-07-23 2005-03-23 Bottle l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463U KR200371239Y1 (ko) 2004-09-23 2004-09-23 병마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9443A Division KR20060027774A (ko) 2004-10-06 2004-10-06 병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239Y1 true KR200371239Y1 (ko) 2004-12-29

Family

ID=49353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463U KR200371239Y1 (ko) 2004-07-23 2004-09-23 병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12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27768A (zh) * 2019-04-30 2019-07-19 北京卓越元素解码技术研究院(普通合伙) 一种酒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27768A (zh) * 2019-04-30 2019-07-19 北京卓越元素解码技术研究院(普通合伙) 一种酒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15474B (zh) 容器盖子
JP5480251B2 (ja) 容器用閉塞体
MXPA01006639A (es) Adaptacion para resellar recipientes de bebidas carbonatadas.
JP5121843B2 (ja) 飲料用容器のための分配キャップ
WO2003021139A3 (en) Pressure-activated flexible valve
CA2341875C (en) Synthetic resin made tube container
USD550496S1 (en) Leak-proof straw
CA2526711A1 (en) Lid for disposable drink cups having a flap wherein the lid/cup assembly is leak and drop resistant
WO2005069919A3 (en) Beverage dispenser
WO2009020202A1 (ja) 注出突部を備えた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KR20050044715A (ko) 음료용기에서 액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방법 및 이의 장치
WO2008098362A1 (fr) Bouchon sans joint rapporte
KR200371239Y1 (ko) 병마개
PL1954584T3 (pl) Zamknięcie dozujące do pojemników na ciecz
KR20060027774A (ko) 병마개
GEP20135815B (en) Container having a closure combination of a lid ring in the manner of a press-in lid and a resealable cap
JP2000079991A (ja) 飲料容器用フィッティング
JP5901354B2 (ja) カクテルシェーカー
KR100915096B1 (ko) 밀폐용기
KR20060036321A (ko) 병마개
JP5007749B2 (ja) 飲料用容器
CN109533636B (zh) 一种翻折式盖体结构
JP2554505Y2 (ja) 合成樹脂製コック並びにそのコックを用いた貯蔵タンク
KR200305957Y1 (ko) 식수통 마개
KR200250733Y1 (ko) 액체저장 용기용 공기유입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