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714B1 - 잠금 기능을 갖는 마개 - Google Patents

잠금 기능을 갖는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714B1
KR101919714B1 KR1020170154791A KR20170154791A KR101919714B1 KR 101919714 B1 KR101919714 B1 KR 101919714B1 KR 1020170154791 A KR1020170154791 A KR 1020170154791A KR 20170154791 A KR20170154791 A KR 20170154791A KR 101919714 B1 KR101919714 B1 KR 101919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ock
grip
fixing
rotation restri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국건
Original Assignee
임국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국건 filed Critical 임국건
Priority to KR1020170154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7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5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14Applications of locks, e.g. of permutation or key-controlled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2Audible, olfactory or visual signal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개를 장착할 때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구성 일부가 헛회전하도록 하여 파손을 방지하고 장탈할 때는 헛회전하지 않도록 하며, 잠금 상태에서는 항상 헛회전하도록 하여 마개를 장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잠금 기능을 갖는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잠금 기능을 갖는 마개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키 조작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해제 되는 자물쇠부와, 상기 파지부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파지부의 회전에 의해 주입구에 탈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자물쇠부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 상태와 연동되어 상기 파지부의 회전 시 상기 고정부와 파지부의 일체 회전 여부를 조절하는 회전제한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물쇠부의 잠금해제 시, 상기 파지부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파지부와 고정부가 일체로 회전하되 일정 이상의 회전력이 가해질 시 헛회전하고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력과 관계 없이 일체로 회전하며, 상기 자물쇠부의 잠금 시, 상기 파지부와 고정부는 회전방향과 관계 없이 헛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잠금 기능을 갖는 마개{A cap for locking function}
본 발명은 마개를 장착할 때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구성 일부가 헛회전하도록 하여 파손을 방지하고 장탈할 때는 헛회전하지 않도록 하며, 잠금 상태에서는 항상 헛회전하도록 하여 마개를 장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잠금 기능을 갖는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 요소수 등을 주입하는 탱크의 입구에는 마개가 장착된다.
이러한 마개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외부에 마개가 노출될 경우에는 별도의 키가 없으면 열지 못하도록 잠금 기능을 적용한다.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 도 1의 "주유구 캡(등록실용신안 20-0441792)"이 공지되어 있으며, 실제 제품에 적용되어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주유구 캡(10)은 주유구에 캡을 탈착하기 위해 손으로 파지하여 회전시킬 때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파지부(11)가 헛회전하면서 파손을 방지하게 됩니다.
주유구 캡(10)의 체결부(12)에는 주유구와 밀착되는 고무재질의 가스켓(13)이 구비되는데, 기온이 높은 지역이나 여름 등과 같이 외부 온도가 매우 높을 경우 고무재질의 가스켓(13)이 주유구와 밀착된 상태에서 눌어붙게 됩니다.
그러나 가스켓(13)이 녹으면서 주유구와 눌어붙게 되면 작업자가 캡(10)을 장탈하기 위해 파지부(11)를 회전시켰을 때 체결부(12)는 회전하지 않고 파지부(11)만 회전하여 캡(10)을 장탈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캡(1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파지부(11)가 헛회전하게 되는데 가스켓(13)이 주유구에 눌어붙어 있는 접착력이 헛회전하기 시작하는 경계점보다 크기 때문에 체결부(12)가 회전하지 못하고 파지부(11)만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부돌기(14)와 하부돌기(15)가 수직 방향으로 접촉됨에 따라 헛회전 기능이 구현되는데, 회전력이 가해지는 회전 방향과 상부돌기(14)가 하부돌기(15)를 타고 넘어가는 방향이 서로 직교하기 때문에 견딜 수 있는 힘이 매우 약한 문제가 있다.
특히, 상하 부품에 유격이 조금만 있어도 잡아주는 힘이 더욱 약해져 약한 힘에도 쉽게 헛회전 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41792 (2008. 09. 01)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마개를 장착할 때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구성 일부가 헛회전하도록 하여 파손을 방지하고 장탈할 때는 헛회전하지 않도록 하며, 잠금 상태에서는 항상 헛회전하도록 하여 마개를 장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잠금 기능을 갖는 마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잠금 기능을 갖는 마개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키 조작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해제 되는 자물쇠부와, 상기 파지부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파지부의 회전에 의해 주입구에 탈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자물쇠부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 상태와 연동되어 상기 파지부의 회전 시 상기 고정부와 파지부의 일체 회전 여부를 조절하는 회전제한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물쇠부의 잠금해제 시, 상기 파지부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파지부와 고정부가 일체로 회전하되 일정 이상의 회전력이 가해질 시 헛회전하고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력과 관계 없이 일체로 회전하며, 상기 자물쇠부의 잠금 시, 상기 파지부와 고정부는 회전방향과 관계 없이 헛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다양한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주입구에 고정판이 꽉 끼어 있어도 마개를 손쉽게 장탈하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본 발명은 주입구에 마개를 장착할 때 일정 이상의 회전력이 가해지면 헛회전하므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헛회전 기능을 구현하는 회전제한돌기와 클러치유닛이 회전력이 가해지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타고 넘어가기 때문에 서로 잡아주는 힘이 매우 강하다.
넷째, 본 발명은 회전제한돌기와 클러치유닛이 상하 방향이 아닌 동일선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미세한 유격이 발생하더라도 버티는 힘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섯째, 본 발명은 음향발생부를 적용하여 헛회전 시 작업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주유구 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기능을 갖는 마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기능을 갖는 마개의 각 구성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기능을 갖는 마개의 파지부 및 회전제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기능을 갖는 마개의 고정부 및 회전제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a)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기능을 갖는 마개의 잠금해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잠금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며, 배경기술 및 이미 설명한 구성의 도면번호는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잠금 기능을 갖는 마개에 관한 설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며, 각 구성에 대한 형상 및 크기 등은 대표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일 뿐 고정된 것이 아니고, 동일/유사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면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기능을 갖는 마개(1)는, 파지부(100), 자물쇠부(200), 고정부(300), 회전제한부(400) 및 음향발생부(500)를 포함한다.
파지부(100)는 주입구에 마개(1)를 장탈하기 위해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회전력을 가하는 부분으로, 파지부(100)의 중심 내측에는 자물쇠부(200)가 장착되어 있다. 파지부(100)의 상면에는 자물쇠부(2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110)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자물쇠부(200)는 주입구에 마개(1)를 장착한 후 다른 사람이 임의로 마개(1)를 제거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키가 삽입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실린더(210)와 실린더(210)가 삽입되는 실린더하우징(230) 및 실린더(210)에 장착되는 다수의 텀블러(2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자물쇠부(200)에 대한 구성은 이미 본 출원인이 "작업용 차량의 잠금장치(등록특허 10-1503045)"로 등록 받은 바 있고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기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조의 자물쇠부(200)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자물쇠부(200)는 작업자의 키 조작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해제 되며, 키를 이용하여 잠금 상태로 변경할 경우 파지부(100)와 고정부(300)가 일체로 회전하지 않고 헛회전 하기 때문에 주입구로부터 마개(1)를 장탈하지 못하게 되며, 잠금해제할 경우 파지부(100)와 고정부(300)가 회전 방향에 따라 일체 회전 또는 헛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자물쇠부(200)는 실린더(210) 하측에 누름돌기(220)가 돌출 구비되며, 키와 함께 실린더(210)가 회전함에 따라 누름돌기(220) 역시 원주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누름돌기(220)는 후술하는 가변홈(421)에 삽입되어 클러치유닛(42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기능을 하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고정부(300)는 파지부(100)의 일측에 장착되어 파지부(100)의 회전에 의해 주입구에 탈착되는 구성으로, 마개(1)의 장착 시 파지부(100)는 주입구의 외측에 노출되지만 고정부(300)는 주입구의 내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고정부(300)의 하부 외주면에는 주입구와 대응되는 나사산(320)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후술하는 구성들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빈 공간이 형성되며, 고정부(300)와 파지부(100)는 리테이너링(310)에 의해 서로 분리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고정부(300)의 외주면에는 주입구와 밀착되는 고무재질의 가스켓(340)이 장착될 수 있다.
즉, 파지부(100)의 하측에 고정부(300)가 삽입된 상태에서 리테이너링(310)이 장착됨으로써 파지부(100)와 고정부(300)는 서로 분리되지 않게 되며, 파지부(100)와 고정부(300)가 일체로 회전하지 않게 되는 헛회전 역시 가능해진다.
마개(1)가 장착되는 탱크 내에 있는 연료나 요소수가 사용에 의해 줄어들게 되면 내부에 압축력이 발생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고정부(300)의 상부 외주면에는 다수의 벤팅홈(340)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제한부(400)는 자물쇠부(200)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 상태와 연동되어 파지부(100)의 회전 시 고정부(300)와 파지부(100)의 일체 회전 여부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자물쇠부(200)의 잠금해제 시 파지부(100)를 일 방향(마개를 장착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파지부(100)와 고정부(300)가 일체로 회전하되 일정 이상의 회전력이 가해질 시 헛회전하고, 파지부(100)를 반대방향(마개를 장탈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력과 관계 없이 파지부(100)와 고정부(300)가 일체로 회전하며, 자물쇠부(200)의 잠금 시 파지부(100)와 고정부(300)는 회전방향과 관계 없이 항상 헛회전 한다.
즉, 자물쇠부(200)가 잠금해제 상태일 경우 마개(1)를 장착하기 위해 파지부(100)를 장착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처음에는 파지부(100)와 고정부(300)가 일체로 회전하기 때문에 주입구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고정부(300)가 완전히 장착된 상태에서 파지부(100)를 더 회전시켜 회전력이 일정 이상을 넘어가게 되면 파지부(100)가 헛회전하게 되어 파손이 방지된다.
또한, 마개(1)를 주입구에 장착한 후 키를 이용해 자물쇠부(200)를 잠금 상태로 변경하면 주입구의 외측에 위치하는 파지부(100)와 주입구의 내측에 장착되어 있는 고정부(300)가 서로 헛회전하게 되어 마개(1)를 장탈하는 것이 불가능해지며, 마개(1)를 장탈하기 위해 자물쇠부(200)를 잠금해제 상태로 변경한 후 파지부(100)를 장탈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력과 무관하게 파지부(100)와 고정부(300)가 일체로 회전하게 되어 장탈이 가능해진다.
이렇듯, 본 발명은 고무재질의 가스켓(340)이 주입구와 밀착된 상태에서 눌어붙더라도 잠금상태만 해제되면 회전력에 관계없이 파지부(100)와 고정부(300)를 일체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술한 회전제한부(400)는 회전제한돌기(411), 클러치고정유닛(430), 클러치유닛(420) 및 제1탄성부재(440)를 포함한다.
회전제한돌기(411)는 고정부(300)의 내측면에 파지부(100)의 회전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다수 개가 구비되며, 서로 인접한 회전제한돌기(411) 사이에는 후술하는 클러치유닛(420)의 헤드부(423)가 위치하게 된다.
헤드부(423)의 측면과 접하는 회전제한돌기(411)의 측면은 헤드부(423)의 원활한 전후진을 위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클러치고정유닛(430)은 후술하는 클러치유닛(420)이 수용되어 파지부(100)와 클러치유닛(420)을 일체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파지부(100)의 중심부 하측에 구비되어 파지부(100)의 회전 시 일체로 회전한다.
이러한 클러치고정유닛(430)에는 클러치유닛(420)이 수용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클러치수용홈(431)이 형성되며, 클러치수용홈(431)의 일측은 클러치유닛(420)의 헤드부(423)가 인입/인출될 수 있도록 인입구(432)가 개방 형성되되 클러치유닛(420)의 바디부(422)가 이탈되지 않도록 바디부(422)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클러치유닛(420)은 클러치수용홈(431)에 수용되는 바디부(422)와, 바디부(422)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되 인입구(432)를 통해 클러치고정유닛(430)의 외측으로 인입/인출되는 헤드부(423)를 포함한다.
파지부(100)를 장착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고정부(300)가 일체로 회전하되 일정 이상의 회전력이 가해지면 헛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제한돌기(411)와 접촉되는 헤드부(423)의 양측면 중 일면은 경사면(424)이 형성된다.
또한, 파지부(100)를 장탈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고정부(300)와 파지부(100)가 회전력과 관계 없이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헤드부(423)의 반대측 면에는 수평면(425)이 형성된다.
즉, 회전제한돌기(411)와 경사면(424)이 접촉하는 방향으로 파지부(100)를 회전시키게 되면 처음에는 경사면(424)과 회전제한돌기(411)가 접촉된 상태로 일체 회전하게 되지만, 일정 이상의 회전력이 가해지면 경사면(424)이 회전제한돌기(411)를 타고 넘어가게 되어 헛회전하게 되며, 회전제한돌기(411)와 수평면(425)이 접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헤드부(423)가 회전제한돌기(411)를 타고 넘어가지 못하기 때문에 회전력과 관계없이 일체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클러치유닛(420)의 상면에는 실린더(210)의 하측에 돌출된 누름돌기(220)가 수용되는 가변홈(421)이 형성되며, 가변홈(421)은 누름돌기(220)의 회전반경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즉, 누름돌기(220)는 실린더(210)의 회전시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대응하여 클러치유닛(420)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가변홈(421) 역시 누름돌기(220)의 회전반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부드러운 이동을 위해 굴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탄성부재(440)는 자물쇠부(200)의 잠금해제 시 헤드부(423)가 회전제한돌기(411)와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해 클러치유닛(420)의 위치를 원복시키는 구성으로, 클러치수용홈(431)의 내측에 위치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수용홈(431)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있는 헤드부(423)가 완전히 인입되어 회전제한돌기(411)와 비접촉될 수 있도록 클러치수용홈(431)의 길이는 적어도 클러치유닛(420) 전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탄성부재(440)는 클러치유닛(420)의 이동경로 상 인입구(432)와 반대되는 후방에 위치하여 클러치유닛(420)을 인입구(432) 측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도 7의 (a)처럼 자물쇠부(200)가 잠금해제 상태일 땐 제1탄성부재(440)의 탄성력에 의해 클러치유닛(420)이 인입구(432) 방향으로 밀려 서로 인접한 회전제한돌기(411) 사이에 형성된 밀착영역(411)에 헤드부(423)가 위치하며, 파지부(100)가 경사면(424) 방향으로 회전하면 클러치유닛(420)이 탄성압축영역(433) 방향으로 후진하여 제1탄성부재(440)가 압축되고 다음 밀착영역(411)으로 이동이 완료되면 제1탄성부재(440)에 의해 클러치유닛(420)이 다시 전진하게 된다.
클러치유닛(420)의 회전시 밀착영역(411)에 정확하게 위치하지 못하고 제1회전제한돌기(411)의 돌출된 전면 방향에 위치하게 되면 헤드부(423)가 완전히 인출되지 못하게 되는데, 파지부(100)를 조금만 좌우측으로 이동하면 헤드부(423)가 밀착영역(411)으로 자연스럽게 인출되도록 제1회전제한돌기(411)의 양측면을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파지부(100)와 고정부(300)의 헛회전 시 서로 잡아주는 힘이 약해지면 매우 작은 힘에도 쉽게 헛돌아 정상적인 기능을 구현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고자 헤드부(423)가 회전제한돌기(411)를 타고 넘어가는 방향이 회전력이 가해지는 방향과 동일해지는 구조를 적용하였다.
즉, 헤드부(423)가 회전제한돌기(411)를 타고 넘어가는 방향이 회전력이 가해지는 방향과 직교할 경우 회전력이 해당 구성의 측면에서 가해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버티는 힘이 취약해지며, 상하 방향으로 조금만 유격이 있어도 잡아주는 힘이 급격히 약해지기 때문에 이러한 단점을 해결한 것이다.
(b)와 같이 자물쇠부(200)가 잠금 상태일 땐 누름돌기(220)가 클러치수용홈(431)의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클러치유닛(420)을 탄성압축영역(433) 방향으로 강제로 후진시키게 되고, 누름돌기(220)에 의해 클러치유닛(420)이 전진하지 못하게 된다.
즉, 헤드부(423)가 클러치수용홈(431) 내측으로 인입되어 헤드부(423)와 회전제한돌기(411)가 비접촉 상태가 되므로 파지부(100)의 회전방향과 무관하게 항상 헛회전하게 된다.
음향발생부(500)는 파지부(100)의 회전 시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인위적인 소리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소리발생판(510), 볼고정홀(530), 소리발생볼(540) 및 제2탄성부재(550)를 포함한다.
소리발생판(510)은 회전제한돌기(411)가 형성된 고정부(300)의 내측 빈 공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삽입되며 고정부(300)와 일체로 회전한다. 이러한 소리발생판(510)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볼안착홀(52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소리발생볼(540)이 안착된다.
볼고정홀(530)은 파지부(100)의 하측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 소리발생볼(540) 및 제2탄성부재(550)가 수용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파지부(100)의 회전시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클러치고정유닛(430)의 일측에 형성하였다.
소리발생볼(540)은 볼고정홀(530)에 수용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소리발생판(510)과 밀착된 상태에서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인위적인 소리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파지부(100)의 회전시 소리발생볼(540)과 소리발생판(510) 사이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도록 볼고정홀(53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볼고정홀(530) 내측에는 제2탄성부재(550)가 수용되어 소리발생볼(540)을 지지하며, 볼고정홀(530)보다 작은 볼고정홀(530)이 볼고정홀(530)의 안쪽으로 완전히 인입되지 않고 외부에 위치하여 소리발생판(510)과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볼고정홀(530)과 소리발생볼(540) 및 제2탄성부재(550)를 한 쌍으로 적용하였지만 그 수량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적용함에 따라, 파지부(100)의 헛회전 시 볼고정홀(530)에 수용된 소리발생볼(540)의 위치 역시 원주방향을 따라 변하게 되고, 소리발생볼(540)이 안착되는 볼안착홀(520)의 위치가 바뀌게 된다.
이때, 볼안착홀(520)이 소리발생판(510) 표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하여 볼안착홀(520)에 안착될 때 '딱'하는 소리가 나게 되며, 이러한 소리가 더욱 크게 발생될 수 있도록 소리발생볼(540) 및 소리발생판(510)을 금속재질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 : 마개 100 : 파지부
200 : 자물쇠부 300 : 고정부
400 : 회전제한부 500 : 음향발생부

Claims (5)

  1.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키 조작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해제 되는 자물쇠부;
    상기 파지부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파지부의 회전에 의해 주입구에 탈착되는 고정부;
    상기 자물쇠부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 상태와 연동되어 상기 파지부의 회전 시 상기 고정부와 파지부의 일체 회전 여부를 조절하는 회전제한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물쇠부의 잠금해제 시, 상기 파지부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파지부와 고정부가 일체로 회전하되 일정 이상의 회전력이 가해질 시 헛회전하고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력과 관계 없이 일체로 회전하며,
    상기 자물쇠부의 잠금 시, 상기 파지부와 고정부는 회전방향과 관계 없이 헛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기능을 갖는 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부는,
    상기 고정부 상에 회전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회전제한돌기와,
    상기 파지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파지부와 일체로 회전하며 클러치수용홈이 형성되는 클러치고정유닛과,
    상기 클러치수용홈에 수용되어 전후진하는 바디부 및 상기 클러치수용홈의 내외측으로 인입인출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클러치유닛과,
    상기 자물쇠부의 잠금해제 시 상기 헤드부가 회전제한돌기와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해 클러치유닛의 위치를 원복시키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자물쇠부의 잠금 시 헤드부와 회전제한돌기는 비접촉되고, 상기 자물쇠부의 잠금해제 시 헤드부와 회전제한돌기는 밀착되며,
    헛회전 시, 상기 헤드부가 회전제한돌기를 타고 넘어가는 방향은 회전력이 가해지는 방향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기능을 갖는 마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물쇠부의 일측에 돌출되는 누름돌기와,
    상기 클러치유닛의 일면에 상기 누름돌기의 회전반경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가변홈을 포함하고,
    상기 자물쇠부의 잠금 시, 상기 헤드부와 회전제한돌기가 비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누름돌기가 가변홈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클러치유닛을 클러치수용홈 내에서 후진 및 위치를 고정시키고,
    상기 자물쇠부의 잠금해제 시, 상기 누름돌기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탄성부재에 의해 클러치유닛의 위치가 원복되며,
    헛회전 시, 상기 클러치유닛이 전후진하여 상기 헤드부가 회전제한돌기를 타고 넘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기능을 갖는 마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돌기와 접촉되는 헤드부의 일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반대측 면에는 수평면이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가 경사면 방향으로 회전하면 파지부와 고정부가 일체로 회전하되 일정 이상의 가해지면 헛회전하고,
    상기 파지부가 수평면 방향으로 회전하면 헛회전하지 않고 일체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기능을 갖는 마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회전 시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소리를 발생시키는 음향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향발생부는,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일체로 회전하며,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볼안착홀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소리발생판과, 상기 파지부의 일측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는 볼고정홀과, 상기 볼고정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볼고정홀에 수용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소리발생볼과, 상기 볼고정홀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소리발생볼을 소리발생판과 밀착시키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고,
    헛회전 시 상기 소리발생볼이 안착되는 볼안착홀의 위치가 변경되면서 소리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기능을 갖는 마개.
KR1020170154791A 2017-11-20 2017-11-20 잠금 기능을 갖는 마개 KR101919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791A KR101919714B1 (ko) 2017-11-20 2017-11-20 잠금 기능을 갖는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791A KR101919714B1 (ko) 2017-11-20 2017-11-20 잠금 기능을 갖는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714B1 true KR101919714B1 (ko) 2018-11-16

Family

ID=64565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791A KR101919714B1 (ko) 2017-11-20 2017-11-20 잠금 기능을 갖는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7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419B1 (ko) 2004-09-09 2006-03-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연료 캡의 키 실린더 구조
JP4062208B2 (ja) 2003-08-11 2008-03-19 豊田合成株式会社 キャップ装置
KR200441792Y1 (ko) 2007-02-15 2008-09-08 이용선 주유구 캡
KR100888172B1 (ko) 2007-08-17 2009-03-10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차량용 연료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62208B2 (ja) 2003-08-11 2008-03-19 豊田合成株式会社 キャップ装置
KR100558419B1 (ko) 2004-09-09 2006-03-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연료 캡의 키 실린더 구조
KR200441792Y1 (ko) 2007-02-15 2008-09-08 이용선 주유구 캡
KR100888172B1 (ko) 2007-08-17 2009-03-10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차량용 연료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1538B2 (en) F figure wrench
CA2908544C (en) Lock assembly
KR101919714B1 (ko) 잠금 기능을 갖는 마개
JP4993710B2 (ja) ノズルカバー
CA2984989C (fr) Dispositif, systeme et procede de protection d'une arete de godet
KR100913792B1 (ko) 연료탱크캡 렌치
TWI811226B (zh) 注射針的保護具
JP2011068459A (ja) フォークリフト用フォークカバー
WO2013014173A1 (fr) Dispositif antivol pour colonne de direction et colonne de direction associée
US11428502B1 (en) Self-securing firearm holster and self-securing magazine holster
KR101318466B1 (ko) 트랙터용 연결장치
KR200441792Y1 (ko) 주유구 캡
JP5936814B2 (ja) 注射器の針カバー
JP5397852B2 (ja) 靴用噴射アダプタ
KR101638768B1 (ko) 스토핑볼을 포함하는 가스주입장치
JP3695588B2 (ja) 蓋の跳ね上げ防止用ロック装置
JP4282422B2 (ja) シリンダ錠
JP3483192B2 (ja) こませかご
KR101363899B1 (ko) 글로브박스의 잠금장치
JP2007076569A (ja) 自転車用錠装置および自転車
KR101751693B1 (ko) 자동차용 그로밋 조립 구조
JP2008265852A (ja) キャップ付き容器
KR20080036396A (ko) 견인용 범퍼커버 개구부의 개폐구조
JP3932948B2 (ja) 引き出し装置
JP2000084077A (ja) 針キャップ付き注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