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8148A - 경로 탐색 시스템, 경로 탐색 서버, 단말 장치 및 경로 탐색 방법 - Google Patents

경로 탐색 시스템, 경로 탐색 서버, 단말 장치 및 경로 탐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8148A
KR20090018148A KR1020087030975A KR20087030975A KR20090018148A KR 20090018148 A KR20090018148 A KR 20090018148A KR 1020087030975 A KR1020087030975 A KR 1020087030975A KR 20087030975 A KR20087030975 A KR 20087030975A KR 20090018148 A KR20090018148 A KR 20090018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route
route search
virtual node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0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7734B1 (ko
Inventor
다카시 다니야마
게이스케 오니시
신 기쿠치
히로시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나비타이무쟈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나비타이무쟈판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나비타이무쟈판
Publication of KR20090018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6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 G09B29/007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using computer meth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23Multimodal routing, i.e. combining two or more modes of transportation, where the modes can be any of, e.g. driving, walking, cycling, public transpor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3Calculating itineraries, i.e. routes leading from a starting point to a series of categorical destinations using a global route restraint, round trips, touristic 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06Q10/047Optimisation of routes or paths, e.g. travelling salesman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0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transmitted instructions are used to compute a route
    • G08G1/096811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transmitted instructions are used to compute a route where the route is computed off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복수의 장소 및 복수의 시간대에 있어서 개최되는 동질의 이벤트 중 하나에 참가하기 위한 안내 경로를 간단하게 탐색할 수 있는 경로 탐색 시스템을 제공한다. 경로 탐색 시스템(1O)은 도보와 교통 기관을 사용한 경로를 탐색하기 위한 경로 탐색용 네트워크 데이터(35)와, 경로 탐색 수단(33)과, 네트워크 데이터 편집 수단(38)과, 이벤트의 개최 장소, 개최 시각을 구비한 이벤트 데이터(39)를 구비하고, 네트워크 데이터 편집 수단(38)은 이벤트의 개최 장소를, 위치 정보를 갖는 이벤트회장 노드로서 경로 탐색용 네트워크 데이터(35)에 접속하고, 이벤트를, 위치 정보를 갖지 않는 이벤트 가상 노드로서 등록하고, 이벤트회장 노드로부터 이벤트 가상 노드로는 이벤트의 다른 개최 시각에 기초하는 복수의 링크로 접속하고, 원하는 지점을 출발지로 하고, 상기 이벤트 중에서 특정 이벤트를 지정하여 경로 탐색이 요구된 경우, 경로 탐색 수단은 해당하는 이벤트 가상 노드를 목적지로 하여 출발지로부터의 안내 경로를 탐색한다.

Description

경로 탐색 시스템, 경로 탐색 서버, 단말 장치 및 경로 탐색 방법{ROUTE SEARCH SYSTEM, ROUTE SEARCH SERVER, TERMINAL, AND ROUTE SEARCH METHOD}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영화 상영과 같이 복수의 장소 및 복수의 시간대에 있어서 동질의 이벤트가 개최되는 경우에, 도보와 교통 기관을 사용하여 멀티 개최 이벤트의 하나에 참가하기 위한 최적 경로, 후보 경로 등의 안내 경로를 탐색하는 경로 탐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경로 탐색 시스템에 있어서, 각 이벤트의 개최 장소를, 위치 정보를 갖는 이벤트회장 노드로 하고, 이벤트를, 위치 정보를 갖지 않는 이벤트 가상 노드로서 당해 이벤트가 개최되는 이벤트회장 노드에 접속하고, 이벤트회장 노드와 이벤트 가상 노드간을 이벤트의 개최 시각에 기초하는 링크로 접속하고, 상기 이벤트회장 노드를 교통 네트워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로 탐색용 네트워크 데이터에 접속하여 경로 탐색하도록 한 경로 탐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지도 데이터, 도로 데이터를 사용하여 원하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여 사용자를 안내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알려져 있고, 이와 같은 내비게이션 장치,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는 자동차에 탑재하여 운전자에게 경로를 안내하는 카 내비게이션 장치, 휴대 전화를 내비게이 션 단말로서 사용하여 경로 탐색 서버에 경로 탐색 요구를 보내고, 그 결과를 수신하여 경로 안내를 받는 통신형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등이 실용화되고 있다.
특히, 통신형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휴대 전화 등의 휴대 단말을 내비게이션 단말로서 사용한 시스템으로서, 보행자용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도 사용되는 것이다. 보행자용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는 교통 기관을 포함한 경로 안내 기능을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보 경로의 탐색과 안내에 더불어, 경로 탐색 서버에 교통 기관의 노선이나 운행 시각 데이터를 축적하여, 원하는 출발역으로부터 원하는 목적역까지의 경로(승차 후보 열차)를, 도보 경로의 탐색과 안내에 더불어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 내비게이션 시스템도 존재한다. 또, 도보 경로의 경로 탐색을 수반하지 않고 정보 전달(distribution) 서버로부터 교통 기관의 노선이나 시각표, 승차 가능한 열차 등의 정보의 전달을 받아 표시하는 교통 안내 시스템도 존재한다.
일반적인 내비게이션 장치, 통신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사용되는 경로 탐색 장치, 경로 탐색 방법은,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 문헌 1(일본 특개 2001-16568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휴대 내비게이션 단말로부터 출발지와 목적지의 정보를 정보 전달 서버에 보내고, 정보 전달 서버에서 도로망이나 교통망의 데이터로부터 탐색 조건에 합치된 경로를 탐색하여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탐색 조건으로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이동 수단, 예를 들어 도보, 자동차, 철도와 도보의 병용 등이 있고, 이것을 탐색 조건의 하나로 하여 경로 탐색한다.
정보 전달 서버는 지도 데이터의 도로(경로)를 그 결절점(結節点), 굴곡점의 위치를 노드로 하고, 각 노드를 연결하는 경로를 링크로 하고, 모든 링크의 코스트 정보(거리나 소요 시간)를 데이터베이스로서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정보 전달 서버는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출발지의 노드로부터 목적지의 노드에 도달하는 링크를 순차적으로 탐색하고, 링크의 코스트 정보가 최소로 되는 노드, 링크를 따라가서 안내 경로로 함으로써 최단 경로를 휴대 내비게이션 단말에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로 탐색의 방법으로는 라벨 확정법 또는 다이크스트라법(Dijkstra method)라고 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상기 특허 문헌 1에는 이 다이크스트라법을 사용한 경로 탐색 방법도 개시되어 있다.
교통 기관을 사용하는 경로를 탐색하는 경로 탐색 시스템은 유저가 지정하는 출발 일시, 출발지, 목적지, 도착 시각 등의 경로 탐색 조건에 기초하여, 각 교통 기관의 운행 시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한 운행 시각 데이터베이스와, 이에 기초하여 교통 네트워크를 데이터베이스화한 데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환승(갈아탐)을 포함해서 출발지와 목적지를 연결하는 사용 가능한 각 교통 수단(개개의 전차나 노선 버스)을 경로로 하여 순차적으로 따라가서, 경로 탐색 조건에 합치하는 안내 경로(출발지역, 목적지역, 노선, 열차 등의 교통 수단)의 후보를 하나 또는 복수 제시하도록 구성된다. 경로 탐색 조건으로는 추가로, 소요 시간, 환승 횟수, 운임 등의 조건을 지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교통 기관에 관한 검색, 안내를 행하는 시스템으로서, 휴대 전화 등의 단말 장치로부터 교통 기관의 노선 정보나 시각표 정보를 안내하는 정보 전달 서버에 접속하여 원하는 출발역, 출발 시각, 목적역 등을 지정하고, 승차 가능한 노선이나 열차, 전차 등의 교통 수단의 정보 전달을 받아 단말 장치에 표시할 수 있는 안내 시스템도 제공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 장치로부터 이와 같은 사용을 행하는 경우에는 다운로드하고 싶은 정보가 존재하는 장소를 특정하기 위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나 도메인명 등의 어드레스 정보를 단말 장치에 입력하여 당해 어드레스에 의해 특정되는 정보 전달 서버(정보 사이트)에 액세스하여 원하는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구성이 취해지고 있다.
교통 기관을 사용한 경로 탐색, 경로 안내를 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등에 있어서 경로 탐색용의 데이터는 차재용(車載用) 내비게이션 시스템이나 보행자용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도로 네트워크의 데이터와 동양(同樣)으로 교통 노선의 각 역을 노드로 하고, 역간을 쌍방향 링크로서 네트워크화한 데이터 외에, 각 교통 노선상을 운행하는 교통 수단마다 각 링크의 운행 시각, 소요 시간이 링크 코스트의 데이터로서 더해진다. 또한, 운임 데이터가 더해지고, 탐색한 안내 경로의 운임이 맞춰서 안내되는 시스템도 존재한다.
따라서, 단말 장치에 전달되는 안내 경로 데이터에는 사용자가 지정한 경로 탐색 조건인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노선 경로나 승차를 안내하는 버스, 전차, 열차 및 그 시각이 포함되어 운행 시각표나 역에 게시(揭示)되는 있는, 이른바 역 게시 시각표(station-posted timetable) 등이 그대로 또는 필요 부분을 화면 표시할 수 있는 표시 데이터 등의 형식으로 가공되어 단말 장치에 전달된다. 단말 장치 에서는 안내 경로의 데이터나 운행 시각표 또는 역 게시 시각표를 표시하여 경로나 승차해야 할 교통 수단을 확인할 수 있다.
교통 기관을 사용한 경로 탐색을 행하는 경로 탐색 방법은,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 문헌 2(일본 특개 2000-258184호 공보)에 교통 네트워크 경로 탐색 방법으로서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교통 네트워크 경로 탐색 방법은 출발 지점으로부터 목적 지점까지의 경로를, 지점을 노드, 지점간을 링크로 하여 교통 네트워크를 표현하고, 컴퓨터를 사용하여 라벨 확정법에 따라 최단 코스트 조건하에서 탐색하는 교통 네트워크 경로 탐색 방법이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출발 지점 및 목적 지점으로부터 사용하는 교통 기관의 역까지의 경로로서, 출발 지점 및 목적 지점으로부터 사용하는 교통 기관의 역까지의 직선 거리 및 목적 지점으로부터 사용하는 교통 기관의 역까지의 직선 거리를, 위도 경도 정보를 사용하여 구하고, 이 직선 거리를 변수로 하여 평균 코스트를 산출하고, 상기 평균 코스트가 지정한 코스트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사용 교통 기관의 역을 구하고, 보행 경로를 결정하여, 구해진 보행 경로를 교통 기관의 교통 네트워크 경로에 편입하여 종합 교통 네트워크를 표현하고, 컴퓨터를 사용하여 라벨 확정법에 따라 구하는 코스트 조건하에서 탐색하도록 하고 있다.
도보와 교통 기관을 병용한 경로 탐색 시스템을 사용하면, 사용자는 원하는 출발지(예를 들어 자택)로부터 주변의 가장 가까운 역까지 도보로 이동하여, 목적지(예를 들어 영화관)의 가장 가까운 역까지 교통 기관으로 이동하고, 또한 가장 가까운 역으로부터 목적지(영화관)까지 도보로 이동하는 각각 최적 경로를 종합적 으로 탐색한 결과를 안내 경로로서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영화관을 목적지로 하는 경우에는 영화 감상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영화 등의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일반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은,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 문헌 3(일본 특개 2001-325514호 공보)에 「서버 장치」로서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 3에 개시된 서버 장치는 원하는 에어리어나 장르에 있어서 상영 영화의 영화 소개 정보 등을 전달 가능하게 하는 것이고,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에어리어 정보를 수신하고, 이 에어리어 정보에 대한 영화 타이틀의 일람 정보를 휴대 단말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일람 정보 중의 어느 하나의 영화 타이틀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이 수신한 정보로 표시되는 영화 타이틀의 영화의 영화 소개 정보를 휴대 단말 장치에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서버 장치로부터 원하는 에어리어 내에 있어서 영화 소개 정보의 전달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영화 감상의 경우, 공개된 지 얼마안된 최신 영화의 경우, 복수의 영화관에서 같은 영화가 상영된다. 이 경우, 상영 시각은 영화관 모두 같지 않고, 영화관마다 상층 시간이 다른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영화관을 목적지로 하여 경로 탐색 시스템을 사용하여 경로 탐색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목적지로서의 영화관을 특정하는 것 외에, 영화의 상영 개시 시각을 염두에 두고 목적지로의 도착 시각을 조건으로 하여 경로 탐색을 구할 필요가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1-165681호 공보(도 1, 도 2)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2000-258184호 공보(도 4, 도 7)
특허 문헌 3: 일본 특개 2001-325514호 공보(도 1, 도 6)
상술한 바와 같이 영화 감상의 경우, 공개된 지 얼마안된 최신 영화의 경우, 복수의 영화관에서 같은 영화가 상영된다. 이 경우, 상영 시각은 영화관 모두 같지 않고, 영화관마다 상영 시각이 다른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영화관을 목적지로 하여 경로 탐색 시스템을 사용하여 경로 탐색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목적지로서의 영화관을 특정하는 것 외에, 영화의 상영 개시 시각을 염두에 두고 목적지로의 도착 시각을 조건으로 하여 경로 탐색을 구할 필요가 있고, 상기 특허 문헌 3에 개시된 바와 같은 서버 장치는 영화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고, 목적으로 하는 영화를 감상하기 위해 어느 영화관을 선택할지, 그 영화관까지의 경로를 어떤 경로로 할지는 사용자가 결정해야 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경로 탐색 시스템에 있어서는 목적지로 하는 영화관의 물리적인 위치를 노드로 하고 도보, 교통 기관을 사용하여 그 노드에 도달하는 최적 경로나 복수의 선택 가능한 후보 경로를 탐색할 수 있으나, 영화의 상영 시각까지를 고려한 경로 탐색은 불가능하다고 하는 기본적인 문제점도 있다. 이 때문에, 같은 영화를 상영하는 부근의 복수 영화관까지의 경로를 비교 검토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영화관을 목적지로 하여 개별적으로 경로 탐색을 할 필요가 생긴다.
도보와 교통 기관을 병용한 경로 탐색 시스템을 사용하여 영화관까지의 경로를 탐색한 경우, 경로 탐색의 결과, 목적지로서 설정한 영화관으로의 최적 경로의 안내를 받아, 해당하는 영화관에 가더라도, 그 회의 상영은 이미 만원이어서 입장 할 수 없는 일을 자주 경험한다. 그런 경우, 근처에 있는 다른 영화관에서 같은 영화가 상영되고 있고, 그 쪽 영화관에는 공석이 있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경로 탐색 시스템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목적지로 하는 영화관을 복수 설정하여 각각의 경로를 탐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영화 감상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장소 및 복수의 시간대에 있어서 동질의 이벤트가 개최될 경우에, 도보와 교통 기관을 사용하여 멀티 개최 이벤트의 하나에 참가하기 위한 경로를 탐색하는 경우에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이다. 예를 들어 미용실이나 병원, 레스토랑 등 복수의 장소에 거의 동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이 존재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간대를 예약에 의해 결정할 수 있고, 예약되어 있지 않은 빈 시간대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서비스를 받기 위한 경로 탐색에 있어서도 동양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복수의 장소 및 복수의 시간대에 있어서 동질의 이벤트나 서비스가 개최되는 케이스를 「멀티 개최 이벤트」라고 하고, 본 발명은 도보와 교통 기관을 사용하여 멀티 개최 이벤트의 하나에 참가하기 위한 최적 경로, 후보 경로 등의 안내 경로를 탐색하는 경로 탐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의 발명자는 상기의 과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검토를 거듭한 결과, 이벤트의 개최 장소를, 위치 정보를 갖는 이벤트회장 노드로 하고, 이벤트를, 위치 정보를 갖지 않는 이벤트 가상 노드로 하여 당해 이벤트가 개최되는 이벤트회장 노드에 접속하고, 이벤트회장 노드와 이벤트 가상 노드간을, 이벤트가 다른 개최 시각에 기초하는 복수의 링크로 접속하고, 상기 이벤트회장 노드를 교통 네트 워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로 탐색용 네트워크 데이터에 접속하여 경로 탐색하게 하면, 상기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복수의 장소 및 복수의 시간대에 있어서 개최되는 동질의 이벤트 중 하나에 참가하기 위한 안내 경로를 복수의 장소를 설정하지 않고 간단하게 탐색할 수 있는 경로 탐색 시스템, 경로 탐색 서버, 단말 장치 및 경로 탐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원의 제1 발명은, 원하는 출발지를 설정하고, 복수의 장소 및 복수의 시간대에 개최되는 동질의 이벤트 중 하나에 참가하기 위한 경로를 탐색하는 경로 탐색 시스템으로서, 상기 경로 탐색 시스템은 도보와 교통 기관을 사용한 경로를 탐색하기 위한 경로 탐색용 네트워크 데이터와, 경로 탐색 수단과, 네트워크 데이터 편집 수단과, 상기 이벤트의 개최 장소, 개최 시각을 구비한 이벤트 데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 편집 수단은 상기 이벤트의 개최 장소를, 위치 정보를 갖는 이벤트회장 노드로서 상기 경로 탐색용 네트워크 데이터에 접속하고, 상기 이벤트를, 위치 정보를 갖지 않는 이벤트 가상 노드로 하여 등록하고, 이벤트회장 노드로부터 이벤트 가상 노드로는 이벤트의 다른 개최 시각에 기초하는 복수의 링크로 접속하고, 원하는 지점을 출발지로 하고, 상기 이벤트 중에서 특정 이벤트를 지정하여 경로 탐색이 요구된 경우, 상기 경로 탐색 수단은 해당하는 이벤트 가상 노드를 목적지로 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의 안내 경로를 탐색하고, 해당하는 이벤트 및 그 이벤트의 개최 장소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경로 탐색 수단은 상기 출발지로부터 목적지인 이벤트 가상 노드까지의 최적 경로, 또는 최적 경로를 포함하는 복수의 후보 경로를 안내 경로로서 탐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의 개최 시각에 기초하는 링크는 이벤트의 개시 시각에 이벤트회장 노드를 나와서 이벤트의 종료 시각에 이벤트 가상 노드에 도착하는 교통 시각표의 포맷으로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데이터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해당하는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이벤트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취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카테고리로 구분되고,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 편집 수단은 상기 이벤트의 카테고리를, 위치 정보를 갖지 않는 카테고리 가상 노드로서 등록하고, 이벤트 가상 노드로부터 카테고리 가상 노드까지를, 일정한 코스트를 갖는 링크로 접속하고, 원하는 지점을 출발지로 하고, 상기 카테고리 중에서 특정 카테고리를 지정하여 경로 탐색이 요구된 경우, 상기 경로 탐색 수단은 해당하는 카테고리 가상 노드를 목적지로 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의 안내 경로를 탐색하고, 해당하는 이벤트 및 그 이벤트의 개최 장소를 안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명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경로 탐색 수단은 상기 출발지로부터 목적지인 카테고리 가상 노드까지의 최적 경로, 또는 최적 경로를 포함하는 복수의 후보 경로를 안내 경로로서 탐색하고, 해당하는 이벤트 및 그 이벤트의 개최 장소를 안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원의 제2 발명은, 출발지를 설정하는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고, 도보와 교통 기관을 사용한 경로를 탐색하기 위한 경로 탐색용 네트워크 데이터와, 경로 탐색 수단을 구비한 경로 탐색 서버에 있어서, 상기 경로 탐색 서버는 복수의 장소 및 복수의 시간대에 개최되는 동질의 이벤트 중 하나에 참가하기 위한 경로를 탐색하기 위해, 네트워크 데이터 편집 수단과, 상기 이벤트의 개최 장소, 개최 시각을 구비한 이벤트 데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 편집 수단은 상기 이벤트의 개최 장소를, 위치 정보를 갖는 이벤트회장 노드로서 상기 경로 탐색용 네트워크 데이터에 접속하고, 상기 이벤트를, 위치 정보를 갖지 않는 이벤트 가상 노드로서 등록하고, 이벤트회장 노드로부터 이벤트 가상 노드로는 이벤트의 다른 개최 시각에 기초하는 복수의 링크로 접속하고, 원하는 지점을 출발지로 하고, 상기 이벤트 중에서 특정 이벤트를 지정하여 경로 탐색이 요구된 경우, 상기 경로 탐색 수단은 해당하는 이벤트 가상 노드를 목적지로 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의 안내 경로를 탐색하고, 해당하는 이벤트 및 그 이벤트의 개최 장소를 상기 단말 장치에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경로 탐색 수단은 상기 출발지로부터 목적지인 이벤트 가상 노드까지의 최적 경로, 또는 최적 경로를 포함하는 복수의 후보 경로를 안내 경로로서 탐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의 개최 시각에 기초하는 링크는 이벤트의 개시 시각에 이벤트회장 노드를 나와서 이벤트의 종료 시각에 이벤트 가상 노드에 도착하는 교통 시각표의 포맷으로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데이터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해당하는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이벤트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취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카테고리로 구분되고,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 편집 수단은 상기 이벤트의 카테고리를, 위치 정보를 갖지 않는 카테고리 가상 노드로서 등록하고, 이벤트 가상 노드로부터 카테고리 가상 노드까지를, 일정한 코스트를 갖는 링크로 접속하고, 원하는 지점을 출발지로 하고, 상기 카테고리 중에서 특정 카테고리를 지정하여 경로 탐색이 요구된 경우, 상기 경로 탐색 수단은 해당하는 카테고리 가상 노드를 목적지로 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의 안내 경로를 탐색하고, 해당하는 이벤트 및 그 이벤트의 개최 장소를 안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발명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경로 탐색 수단은 상기 출발지로부터 목적지인 카테고리 가상 노드까지의 최적 경로, 또는 최적 경로를 포함하는 복수의 후보 경로를 안내 경로로서 탐색하고, 해당하는 이벤트 및 그 이벤트의 개최 장소를 안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원의 제3 발명은, 원하는 출발지를 설정하고, 복수의 장소 및 복수의 시간대에 개최되는 동질의 이벤트 중 하나에 참가하기 위한 경로를 탐색하는 경로 탐색 시스템에 있어서 경로 탐색 방법으로서, 상기 경로 탐색 시스템은 도보와 교통 기관을 사용한 경로를 탐색하기 위한 경로 탐색용 네트워크 데이터와, 경로 탐색 수단과, 네트워크 데이터 편집 수단과, 상기 이벤트의 개최 장소, 개최 시각을 구비한 이벤트 데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 편집 수단이 상기 이벤트의 개최 장소를, 위치 정보를 갖는 이벤트회장 노드로서 상기 경로 탐색용 네트워크 데이터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이벤트를, 위치 정보를 갖지 않는 이벤트 가상 노드로서 등록하고, 이벤트회장 노드로부터 이벤트 가상 노드로는 이벤트의 다른 개최 시각에 기초하는 복수의 링크로 접속하는 단계와, 원하는 지점을 출발지로 하고, 상기 이벤트 중에서 특정 이벤트를 지정하여 경로 탐색이 요구된 경우, 상기 경로 탐색 수단은 해당하는 이벤트 가상 노드를 목적지로 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의 안내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를 갖고, 해당하는 이벤트 및 그 이벤트의 개최 장소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경로 탐색 수단이 안내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출발지로부터 목적지인 이벤트 가상 노드까지의 최적 경로, 또는 최적 경로를 포함하는 복수의 후보 경로를 탐색하는 처리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카테고리로 구분되고,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 편집 수단이 상기 이벤트의 카테고리를, 위치 정보를 갖지 않는 카테고리 가상 노드로서 등록하고, 이벤트 가상 노드로부터 카테고리 가상 노드까지를, 일정한 코스트를 갖는 링크로 접속하는 단계와, 원하는 지점을 출발지로 하고, 상기 카테고리 중에서 특정 카테고리를 지정하여 경로 탐색이 요구된 경우, 상기 경로 탐색 수단이 해당하는 카테고리 가상 노드를 목적지로 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의 안내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를 추가로 갖고, 해당하는 이벤트 및 그 이벤트의 개최 장소를 안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발명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경로 탐색 수단이 안내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출발지로부터 목적지인 이벤트 가상 노드까지의 최적 경로, 또는 최적 경로를 포함하는 복수의 후보 경로를 탐색하는 처리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원의 제4 발명은, 복수의 장소 및 복수의 시간대에 개최되는 동질의 이벤트 중 하나에 참가하기 위한 경로를 탐색하기 위해, 경로 탐색용 네트워크 데이터와, 경로 탐색 수단과, 네트워크 데이터 편집 수단과, 상기 이벤트의 개최 장소, 개최 시각을 구비한 이벤트 데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 편집 수단은 상기 이벤트의 개최 장소를, 위치 정보를 갖는 이벤트회장 노드로서 상기 경로 탐색용 네트워크 데이터에 접속하고, 상기 이벤트를, 위치 정보를 갖지 않는 이벤트 가상 노드로서 등록하고, 이벤트회장 노드로부터 이벤트 가상 노드로는 이벤트의 다른 개최 시각에 기초하는 복수의 링크로 접속하여 단말 장치로부터 출발지와, 상기 이벤트 중에서 특정 이벤트를 지정하여 경로 탐색이 요구된 경우, 상기 경로 탐색 수단은 해당하는 이벤트 가상 노드를 목적지로 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의 안내 경로를 탐색하는 경로 탐색 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단말 장치로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경로 탐색 서버에 원하는 출발지와 이벤트를 지정하여 경로 탐색 요구를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 발명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이벤트는 카테고리로 구분되고,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 편집 수단은 상기 이벤트의 카테고리를, 위치 정보를 갖지 않는 카테고리 가상 노드로서 등록하고, 이벤트 가상 노드로부터 카테고리 가상 노드까지를, 일정한 코스트를 갖는 링크로 접속하고, 원하는 지점을 출발지로 하고, 상기 카테고리 중에서 특정 카테고리를 지정하여 경로 탐색이 요구된 경우, 상기 경로 탐색 수단은 해당하는 카테고리 가상 노드를 목적지로 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의 안내 경로를 탐색하는 경로 탐색 서버에 접속되는 단말 장치로서, 상기 단말 장치는 추가로, 상기 경로 탐색 서버에 원하는 출발지와 카테고리를 지정하여 경로 탐색 요구를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의 제1 발명에 있어서, 경로 탐색 시스템은 도보와 교통 기관을 사용한 경로를 탐색하기 위한 경로 탐색용 네트워크 데이터와, 경로 탐색 수단과, 네트워크 데이터 편집 수단과, 상기 이벤트의 개최 장소, 개최 시각을 구비한 이벤트 데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 편집 수단은 상기 이벤트의 개최 장소를, 위치 정보를 갖는 이벤트회장 노드로서 상기 경로 탐색용 네트워크 데이터에 접속하고, 상기 이벤트를, 위치 정보를 갖지 않는 이벤트 가상 노드로서 등록하고, 이벤트회장 노드로부터 이벤트 가상 노드로는 이벤트의 다른 개최 시각에 기초하는 복수의 링크로 접속하고, 원하는 지점을 출발지로 하고, 상기 이벤트 중에서 특정 이벤트를 지정하여 경로 탐색이 요구된 경우, 상기 경로 탐색 수단은 해당하는 이벤트 가상 노드를 목적지로 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의 안내 경로를 탐색하고, 해당하는 이벤트 및 그 이벤트의 개최 장소를 안내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영화 상영과 같이 복수의 장소 및 복수의 시간대에 개최되는 동질의 이벤트를, 이 이벤트가 개최되는 개최 장소의 위치 정보를 갖는 이벤트회장 노드와, 각 이벤트를 이 이벤트가 개최되는 이벤트회장 노드에 접속되는 위치 정보를 갖지 않는 이벤트 가상 노드로 하고, 그 사이를 이벤트가 다른 개최 시각에 기초하는 복수의 링크에 의해서 접속하고, 경로 탐색용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때문에, 이벤트를 통상의 교통 기관을 사용한 노드와 동양으로 취급할 수 있어, 이벤트를 지정하여 원하는 출발지로부터 이 지정한 이벤트를 목적지로 한 최적 경로나 후보 경로를 간단하게 탐색할 수 있게 된다.
또, 본원의 제2 발명에 있어서는 본원의 제1 발명에 관한 경로 탐색 시스템을 구성하는 경로 탐색 서버를 제공할 수 있게 되고, 본원의 제3 발명에 있어서는 본원의 제1 발명에 관한 경로 탐색 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한 경로 탐색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본원의 제4 발명에 있어서는 본원의 제1 발명에 관한 경로 탐색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경로 탐색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경로 탐색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복수의 장소 및 복수의 시간대에 개최되는 동질의 이벤트에 관한 정 보(이벤트 데이터)를 축적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로 네트워크의 데이터의 개념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교통 네트워크의 데이터의 개념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이벤트회장 노드가 경로 탐색용 네트워크 데이터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이벤트회장 노드와 이벤트 가상 노드의 접속 개념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이벤트의 카테고리를 카테고리 가상 노드로서 해당하는 카테고리의 이벤트 가상 노드에 접속하는 개념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7의 지점 S를 출발점으로 하고, 이벤트를 선택하여 경로 탐색한 결과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이벤트 가상 노드를 경유지로 하고, 그 앞에 다른 실위치를 갖는 지점을 최종 목적지로 하는 경로 탐색의 개념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부호의 설명
10ㆍㆍㆍㆍ내비게이션 시스템
12ㆍㆍㆍㆍ네트워크
20ㆍㆍㆍㆍ단말 장치
21ㆍㆍㆍㆍ제어 수단
22ㆍㆍㆍㆍ통신 수단
23ㆍㆍㆍㆍ측위 수단
24ㆍㆍㆍㆍ표시 수단
25ㆍㆍㆍㆍ안내 경로 데이터 기억 수단
26ㆍㆍㆍㆍ전달 요구 편집 수단
27ㆍㆍㆍㆍ조작ㆍ입력 수단
30ㆍㆍㆍㆍ경로 탐색 서버
31ㆍㆍㆍㆍ제어 수단
32ㆍㆍㆍㆍ경로 안내 수단
33ㆍㆍㆍㆍ경로 탐색 수단
34ㆍㆍㆍㆍ통신 수단
35ㆍㆍㆍㆍ경로 탐색용 네트워크 데이터
36ㆍㆍㆍㆍ도로 네트워크 데이터
37ㆍㆍㆍㆍ교통 네트워크 데이터
38ㆍㆍㆍㆍ네트워크 데이터 편집 수단
39ㆍㆍㆍㆍ이벤트 데이터
40ㆍㆍㆍㆍ어플리케이션 링크 수단
50ㆍㆍㆍㆍ정보 전달 서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를 실시예 및 도면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경로 탐색 시스템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을 이 경로 탐색 시스템으로 특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며, 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그 외의 실시 형태의 경로 탐색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경로 탐색 시스템(1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 전화나 PDA, 뮤직 플레이어 등의 휴대형 단말을 사용한 단말 장치(20)와, 경로 탐색 서버(30)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12)를 통하여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신형의 경로 탐색, 안내 경로를 제공하는 경로 탐색 시스템(10)을 구체적인 예로서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독립형(standalone-type) 경로 탐색 시스템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경로 탐색 서버(30)는 경로 탐색을 위해 도로 네트워크의 데이터를 축적한 데이터베이스(DB1), 시각표 데이터에 기초하는 교통 네트워크의 데이터를 교통 네트워크 데이터로서 축적한 데이터베이스(DB2), 복수의 장소 및 복수의 시간대에 개최되는 동질의 이벤트에 관한 데이터를 축적한 이벤트 데이터의 데이터베이스(DB3), 표시용의 지도 데이터 등을 축적한 데이터베이스(DB4)를 구비하고 있다. 이벤트 데이터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 전달 서버(50)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이벤트 데이터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경로 탐색 시스템(10)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경로 탐색 시스템(10)은, 도 2의 블록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12)를 통하여 통신하는 단말 장치(20)와, 경로 탐색 서버(30)와, 정보 전달 서버(50)를 구비하고 구성되어 있다.
단말 장치(20)는 경로 탐색 서버(30)에 출발지와 목적지 등의 경로 탐색 조건을 설정하여 경로 탐색 요구를 송신하고, 경로 탐색 서버(30)는 경로 탐색 조건에 따라서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36), 교통 네트워크 데이터(37)로 이루어진 경로 탐색용 네트워크 데이터(35)를 참조하여 최적 경로를 탐색하고, 그 최적 경로를 안내 경로 데이터에 편집하여 단말 장치(20)에 전달한다.
경로 탐색 서버(30)는 보행자를 위한 내비게이션이나 자동차를 위한 카 내비게이션에 있어서 경로 탐색을 위한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36)와 교통 기관을 사용하는 경로 구간을 탐색하기 위한 교통 네트워크 데이터(37)를 축적한 경로 탐색용 네트워크 데이터(35; 데이터베이스)와, 상술한 이벤트 데이터(39)를 축적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장소 및 복수의 시간대에 개최되는 동질의 이벤트로는 영화를 구체적인 예로 하여 설명한다. 종래 영화를 감상하고자 하는 사람은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시스템 등을 사용하여, 에어리어(영화관의 소재 에어리어)나 장르(영화의 카테고리), 감상 시간대를 선택하여 감상할 영화를 결정하고, 당해 영화를 상영하는 영화관 지도의 전달을 받게 되어 있었다. 즉, 종래부터 영화 잡지 등에 게재된 정보를 최신 정보로서 휴대 단말로부터 입수하고 있는 것과 다르지 않다.
특히 도시부에 있어서는 인기가 있는 영화는 많은 영화관에서 개봉되어져 같은 에어리어에서도 복수의 영화관에서 상영되고, 또 어느 에어리어에서 만석이더라도 바로 근처 에어리어에서는 공석이 있는 등 검색하는 것이 상당히 힘들다. 또, 영화관에 따라서 상영 개시 시각이 다르기 때문에, 실제로 그 영화관까지 가는 경로의 소요 시간 등을 고려하면, 선택지가 상당히 많아져서 자신에게 있어서 최적의 선택을 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영화관에서 행하는 영화의 흥행과 같이 개시 시간과 종료 시간이 정해져 있고, 또 복수의 장소, 복수의 시간대에 개최되는 이벤트의 하나에 참가할 때의 경로 탐색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렇기 때문에, 영화 상영에 관한 데이터를 이벤트 데이터(39)에 축적한다.
이벤트 데이터(39)에 축적되는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 수단(40)을 기동하여,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내는 데이터 구성에 따라서 정보 전달 서버(50)로부터 수집한다. 즉, 이벤트의 개최 장소, 영화의 경우에는 영화관마다 그 위치 정보(위도ㆍ경도), 각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영화의 타이틀(이벤트 타이틀), 영화의 카테고리, 개최 기간을 축적한다. 영화관에서 상영 시각을 구분하여 복수 회 상영되는 각 이벤트(영화 상영)를 개개의 이벤트로서 식별 부호(이벤트 ID)를 부여하고, 그 상영 개시 시각, 종료 시각이 기록된다. 그리고, 각 이벤트에 관해, 상영 개시 시각, 종료 시각에 기초하는 링크 번호가 부여된다.
도 3에 있어서, 영화관 A(Theater A)의 위치는 위도ㆍ경도가 각각(X1ㆍY1)이고, 상영하는 영화는 영화 1(Movie 1에서 카테고리는 Romance: 로맨스)이고, ID인 A101 ~ A104의 4회, 도 3의 각각의 개최 시각에 따라서 상영된다. 영화관 B(Theater B)의 위치는 위도ㆍ경도가 각각(X2ㆍY2)이고, 상영하는 영화는 영화관 A와 같은 영화 1(Movie 1에서 카테고리는 Romance: 로맨스)이고, ID인 B101 ~ B104 의 4회, 도 3의 각각의 개최 시각에 따라서 상영된다.
영화 1이 상영되는 영화관 A나 영화관 B는 위치 정보(위도ㆍ경도)를 갖는 이벤트회장 노드이고, 경로 탐색용의 네트워크 데이터에 접속하면, 영화관 A나 영화관 B를 목적지로 하는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영화를 이벤트 가상 노드로서 정의하고, 상영 시각대(개시 시각, 종료 시각)에 기초하는 다른 복수의 링크(도 3의 링크 L-AM1 등을 참조)로 이벤트회장 노드와 접속하면, 이벤트 가상 노드는 교통 기관의 역에 상당하고, 개개의 링크는 이벤트회장 노드인 영화관 A나 영화관 B를 발착역으로 하는 전차와 동양으로 취급할 수 있다.
여기서, 교통 네트워크와 다른 것은 이벤트 가상 노드가 전차의 역과 같이 위치 정보를 갖지 않는 점이다. 그리고, 이벤트회장 노드와 이벤트 가상 노드가 다른 개최 시각에 기초하는 복수의 링크(도 3의 링크 L-AM1 등을 참조)로 접속된다. 이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벤트회장 노드와 이벤트 가상 노드를 접속하는 링크가 이벤트회장을 출발역으로 하고, 또한 이벤트 가상 노드를 도착역으로 하는 전차와 동양으로 정의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위치 정보를 갖지 않는 이벤트 가상 노드는 위치 정보의 필요가 없는 노드라는 의미이고, 만일 어떠한 위치 정보를 부여해도, 그 위치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위치 정보를 갖지 않는 이벤트 가상 노드이면 된다.
네트워크 데이터 편집 수단(38)은 단말 장치(20)로부터 원하는 출발지가 지정되고, 이벤트인 영화가 선택되어 경로 탐색 요구가 이루어진 경우, 이벤트 데이터(39)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지정된 영화(이벤트)의 개최 장소(영화관 A나 영 화관 B)를, 위치 정보를 갖는 이벤트회장 노드로서 경로 탐색용 네트워크 데이터(35)에 접속하고, 각 이벤트를, 위치 정보를 갖지 않는 이벤트 가상 노드로서 등록하고, 이벤트회장 노드로부터 이벤트 가상 노드로는 이벤트의 다른 개최 시각에 기초하는 복수의 링크로 접속하는 편집을 행하고, 경로 탐색 수단(33)은 편집된 경로 탐색용의 네트워크 데이터를 참조하여 지정된 영화를 감상하는데 최적의 안내 경로, 또는 최적의 안내 경로를 포함하는 몇 가지의 후보 경로를 안내 경로로서 탐색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이벤트회장 노드나 이벤트 가상 노드가 접속되는 경로 탐색용의 네트워크 데이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행자를 위한 내비게이션이나 자동차를 위한 카 내비게이션에 있어서 경로 탐색을 위한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36)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로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로 A, B, C로 이루어진 경우, 도로 A, B, C의 단점(端点), 교차점, 굴곡점 등을 노드로 하고, 각 노드간을 잇는 도로를 유향성(有向性)의 링크로 나타내고, 노드 데이터(노드의 위도ㆍ경도), 링크 데이터(링크 번호)와 각 링크의 링크 코스트(링크의 거리 또는 링크를 주행하는데 필요한 소요 시간)를 데이터로 한 링크 코스트 데이터로 구성된다.
즉, 도 4에 있어서, Nn, Nm이 노드를 나타내고, Nm은 도로의 교차점을 나타내고 있다. 각 노드간을 연결하는 유향성의 링크를 화살표선(실선, 점선,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링크는 도로의 오르막, 내리막 각각의 방향을 향한 링크가 존재하지만, 도 4에서는 도시를 간략화하기 위해 화살표 방향의 링크만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도로 네트워크의 데이터를 경로 탐색용의 데이터베이스로서 경로 탐색을 행하는 경우, 출발지의 노드로부터 목적지의 노드까지 연결된 링크를 따라가 그 링크 코스트를 누적하고, 누적 링크 코스트의 최소가 되는 경로를 탐색하여 안내한다. 즉, 도 4에 있어서 출발지를 노드 AX, 목적지를 노드 CY로 하여 경로 탐색을 행하는 경우, 노드 AX로부터 도로 A를 주행하여 2번째의 교차점에서 우회전하여 도로 C에 들어가 노드 CY에 도달하는 링크를 순차적으로 따라가 링크 코스트를 누적하고, 링크 코스트의 누적치가 최소로 되는 경로를 탐색하여 안내한다.
도 4에서는 노드 AX로부터 노드 CY에 도달하는 다른 경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실제로는 그와 같은 경로가 그 밖에도 존재하기 때문에, 노드 AX로부터 노드 CY에 도달하는 가능한 경로를 동양으로 하여 탐색하고, 그들 경로 중 링크 코스트가 최소로 되는 경로를 최적 경로로서 결정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예를 들어 다이크스트라법이라고 불리는 주지의 방법에 따라 행해진다.
이에 대해, 교통 기관의 경로 탐색을 위한 교통 네트워크 데이터(37)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통 노선 A, B, C로 이루어진 경우, 각 교통 노선 A, B, C에 마련된 각 역(항공기의 노선에 있어서는 각 공항)을 노드로 하고, 각 노드간을 연결하는 구간을 유향성의 링크로 나타내고, 노드 데이터(위도ㆍ경도), 링크 데이터(링크 번호)를 네트워크 데이터로 하고 있다. 도 5에 있어서, Nn, Nm이 노드를 나타내고, Nm은 교통 노선의 환승점(환승역 등)을 나타내고, 각 노드간을 연결하는 유향성의 링크를 화살표선(실선, 점선,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링크는 교통 노선의 오르막, 내리막 각각의 방향을 향한 링크가 존재하지만, 도 5에서는 도시를 간략화하기 위해 화살표 방향의 링크만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교통 네트워크는 도로 네트워크와 비교해서 링크 코스트가 기본적으로 다르다. 즉, 도로 네트워크에서는 링크 코스트는 고정적, 정적(靜的)이었으나, 교통 네트워크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통 노선을 운행하는 열차나 항공기(이하, 개개의 열차나 항공기 등의 각 경로를 교통 수단이라고 칭함)가 다수 있다. 각 교통 수단마다 어떤 노드를 출발하는 시각과 다음 노드에 도착하는 시각이 정해지고 있고(시각표 데이터, 운행 데이터로 규정됨), 한편 개개의 경로가 반드시 인접하는 노드에 링크하고 있지 않은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급행과 각 역 정차의 열차와 같은 경우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같은 교통 노선상에 다른 복수의 링크가 존재하게 되고, 또 노드간의 소요 시간이 교통 수단에 따라 다른 경우도 있다.
도 5에 예시하는 교통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교통 노선 A의 같은 링크에 복수의 교통 수단(경로) Aa ~ Acㆍㆍㆍ, 교통 노선 C에 복수의 교통 수단(경로) Ca ~ Ccㆍㆍㆍ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교통 기관의 운행 네트워크는 단순한 도로 네트워크와 달리, 노드, 링크, 링크 코스트의 각 데이터는 교통 수단(개개의 항공기나 열차 등의 경로)의 총수에 비례한 데이터량이 된다. 이 때문에 교통 네트워크의 데이터는 도로 네트워크의 데이터량에 비해 방대한 데이터량이 된다. 따라서, 그에 따라, 경로 탐색에 필요로 하는 시간도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교통 네트워크 데이터를 사용하여, 어떤 출발지로부터 어느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기 위해서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 도달할 때에 사용(승차)할 수 있는 모든 교통 수단을 탐색하여 탐색 조건에 합치하는 교통 수단을 특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있어서, 출발지를 교통 노선 A의 노드 AX로 하여 어떤 특정 출발 시각을 지정하고, 교통 노선 C의 노드 CY를 목적지로 하는 경로 탐색을 행하는 경우, 교통 노선 A상을 운행하는 교통 수단 Aa ~ Acㆍㆍㆍ중 출발 시각 이후의 모든 교통 수단을 순차적으로 출발시의 경로로서 선택한다. 그리고, 교통 노선 C로의 환승 노드로의 도착 시각에 기초하여, 교통 노선 C상을 운행하는 각 교통 수단 Ca ~ Ccㆍㆍㆍ중, 환승 노드에 있어서 승차 가능한 시각 이후의 교통 수단의 모든 편성을 탐색하여 각 경로의 소요 시간이나 환승 횟수 등을 누계하여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로 탐색용 네트워크 데이터(35)에, 상술한 이벤트회장 노드, 이벤트 가상 노드를 접속하고, 원하는 출발지를 설정하여, 참가하고 싶은 이벤트(영화 1이나 영화 2)를 지정하면, 해당하는 이 이벤트 가상 노드를 목적지로 하여 경로 탐색 수단(33)은 통상의 경로 탐색과 동양으로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그리고, 원하는 시각에 목적지에 도착하는(영화 감상을 종료함) 최적 경로나 몇 가지의 후보 경로를 안내 경로로서 탐색하고, 해당하는 이벤트 가상 노드가 접속되는 이벤트회장 노드를 안내할 수 있게 된다.
경로 탐색 서버(30)는, 추가로 일반의 경로 탐색 서버와 동양으로, 제어 수 단(31), 경로 안내 수단(32), 통신 수단(34)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어 수단(31)은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RAM, ROM, 프로세서를 갖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이고, R0M에 격납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각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 수단(34)은 네트워크(12)를 통하여 단말 장치(20) 등과 통신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경로 안내 수단(32)은 경로 탐색 수단(33)이 탐색한 안내 경로의 데이터나 표시용의 지도 데이터, 가이던스 데이터를 편집하여 단말 장치(20)에 전달한다.
한편, 단말 장치(20)는 제어 수단(21), 통신 수단(22), 측위 수단(23), 표시 수단(24), 안내 경로 데이터 기억 수단(25), 전달 요구 편집 수단(26), 조작ㆍ입력 수단(27)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어 수단(31)은 도시하고는 있지 않지만 RAM, ROM, 프로세서를 갖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이고, R0M에 격납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각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측위 수단(23)은 GPS 수신기를 구비하고 GPS 위성 신호를 수신, 처리하여 내비게이션 단말 장치(20)의 현재 위치(위도ㆍ경도)를 측위한다.
통신 수단(22)은 무선 통신 유닛을 포함하고, 경로 탐색 서버(30)와 통신하기 위한의 것이다. 조작ㆍ입력 수단(27)은 키, 다이얼 등으로 이루어지며, 단말 장치(20)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 출발지, 목적지 등의 입력 기능으로서 사용된다. 표시 수단(24)은 액정 표시 패널 등으로 이루어지며, 경로 탐색 서버(30)로부터 전달된 안내 경로 데이터의 안내 경로, 지도의 표시에 사용되는 것이다. 또, 표시 수단(24)은 메뉴 화면을 표시하여 단말 장치(20)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 수단으로도 기능한다.
전달 요구 편집 수단(26)은 조작ㆍ입력 수단(27)을 사용하여 입력된 출발지, 목적지, 또는 측위 수단(23)으로 측위한 내비게이션 단말 장치(20)의 현재 위치를 출발지로 하고, 이들 정보에 기초하여, 경로 탐색 서버(30)에 송신하는 경로 탐색 요구를 작성하는 것이다. 경로 탐색 서버(30)에 영화 등의 이벤트에 참가하기 위한 경로 탐색을 요구하는 경우, 사용자는 조작ㆍ입력 수단(27)으로부터, 또는 표시 수단(24)에 표시된 메뉴 화면으로부터 원하는 출발지, 감상하고 싶은 영화(이벤트), 원하는 시각(영화 종료 시각 등)을 지정한다.
또한, 전달 요구 편집 수단(26)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경로 탐색 서버(30)가 영화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카테고리 가상 노드를 경로 탐색용 네트워크 데이터(35)에 접속하는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조작ㆍ입력 수단(26), 또는 표시 수단(24)에 표시되는 메뉴 화면을 사용하여 감상하고 싶은 영화의 카테고리를 지정하고, 경로 탐색 서버(30)에 송신하는 경로 탐색 요구를 편집할 수도 있다.
안내 경로 데이터 기억 수단(25)은 경로 탐색 서버(30)로부터 전달된 경로 탐색 결과인 안내 경로 데이터, 지도 데이터, 가이던스 등을 기억하는 것이고, 이들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안내 경로 데이터 기억 수단(25)으로부터 독출되어 표시 수단(24)에 표시된다. 일반적으로는 측위 수단(23)으로 측위한 내비게이션 단말 장치(20)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일정한 축척, 일정한 범위의 지도에, 안내 경로와, 내비게이션 단말 장치(2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겹쳐서 이 현재 위치 마크가 표시 화면의 중심이 되도록 표시한다.
측위 수단(23)에 의해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측위한 현재 위치 정보(위도ㆍ경도의 정보)에는 오차가 포함되기 때문에, 현재 위치가 안내 경로로부터 이탈되어 있는 경우에는 현재 위치를 안내 경로상에 보정하는 루트 매칭 처리(route-matching processing)나 지도상의 도로에 매칭하는 맵 매칭 처리(map-matching processing)가 행해진다. 또, 경로 탐색 서버(30)로부터 전달되는 안내 경로 데이터에 음성 가이드(예를 들어 「전방, 300m 교차점입니다. 좌회전해주세요」 등의 음성 메세지)의 데이터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는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 메시지를 재생 출력하여 유저를 가이드한다.
다음에,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경로 탐색 시스템(10)에 있어서 네트워크 데이터의 편집 방법, 경로 탐색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예에서는, 예를 들어 현재지(자택)로부터 가장 빨리 원하는 영화를 보기 위한 경로 탐색의 예로 설명한다.
경로 탐색 서버(30)에는 이벤트 데이터(39)에 흥미 대상 장소(POI: Point of Interest)의 정보로서 영화관이 위치 정보가 딸려 등록되어 있다. 이와 같은 POI 정보는 각종 정보 제공 서버(50)로부터 수집하여, POI 데이터로서 이벤트 데이터(39)와는 별도로 축적해 두어도 된다. POI 정보를 축적한 데이터베이스를 갖추면, POI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 이벤트 데이터(39)에는 영화 흥행을 안내하는 것이기 때문에, 각 영화관의 상영 스케줄도 데이터로서 축적되어 있다(도 3 참조).
도 6은 이벤트회장 노드인 영화관 A나 영화관 B가 경로 탐색용 네트워크 데 이터(35)에 접속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있어서 실선 TR은 교통 노선 구간을, 점선 RD는 도보 구간(도로 구간)을 나타내고, 참조 부호 TA, TB는 이벤트회장 노드인 영화관 A, 영화관 B를 나타내고, ST는 교통 노선의 각 역을 나타낸다. 영화관 A, 영화관 B는 위도ㆍ경도에 따라서 위치가 특정되기 때문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도로 구간(도보 구간)에 의해, 가장 가까운 역 ST의 노드에 접속할 수 있다. 이벤트회장 노드는 그 밖에도 다수 있으나, 도 6에서는 대표적으로 영화관 A, 영화관 B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이벤트회장 노드 TA, TB(영화관 A, 영화관 B) 등에서 개최되는 영화의 작품을 이벤트로 하여, 이벤트회장 노드에 접속하는 개념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7은 도 6의 경로 탐색용 네트워크 데이터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데이터를 사용하여 표현한 도면으로 하고 있다. 이벤트로는, 예를 들어 영화 M1, 영화 M2, 영화 M3이 있고, 각각에 이벤트 가상 노드 M1 ~ M3을 부여한다. 이 가상 노드는 경로 탐색 네트워크에 포함되지만 위치 정보는 갖지 않는다(적당한 위치 정보를 붙여도 되지만, 경로 탐색상은 사용하지 않음). 또, 이들 이벤트 가상 노드에는 상영하고 있는 영화관으로부터 링크를 접속한다.
링크는 이벤트회장 노드와 이벤트 가상 노드를 접속하는 것이고, 영화 M1이 상영되는 시간대(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마다 다른 복수의 링크로 접속된다. 도 7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영화관 TA(이벤트회장 노드)에서 상영되는 영화 1(이벤트 가상 노드)을 연결하는 링크는 링크 L-AM1, 영화관 TB(이벤트회장 노드)에서 상영되는 영화 1(이벤트 가상 노드)을 연결하는 링크는 링크 L-BM1만을 도시하고 있다(다른 링크는 도 3을 참조). 이들 링크는 한쪽 방향 링크이고, 영화관으로부터 영화에 연장되어 있다. 이들 링크에는 시각표(개최 시간대)가 관련지어져 있고, 그 시각표에는 영화의 상영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이 포함되어 있다. 이 시각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차 등의 운행 시각표와 같은 포맷의 데이터이다.
즉, 전차 시각표에 대조하면, 이벤트회장 노드를 출발역, 도착역으로 하는 시각표로 간주하는 하기와 같은 시각표로 하여 표현한다.
영화 M1 1회째 상영 10:00발 12:30착
영화 M1 2회째 상영 13:00발 15:30착
영화 M1 3회째 상영 16:00발 18:30착
영화 M1 4회째 상영 19:00발 21:30착
이와 같이 하면, 마치 영화관에서 각 상영 개시 시각에 전차를 타고, 상영이 끝나면 영화 가상 노드에 도착하는 것과 같은 교통 네트워크로 편집된다.
또, 이벤트(영화)의 카테고리에도 카테고리 가상 노드를 설정하고, 이벤트(영화)로부터 당해 카테고리에 링크 L-M1R을 접속한다. 예를 들어 이벤트인 영화 M1이 속하는 카테고리(분야)가 로맨스(Romance)인 경우, 이벤트 가상 노드로부터 「Romance」의 카테고리 가상 노드에 링크 L-M1R이 접속된다. 이 부분을 골라내어 도시한 것이 도 8이다. 이 링크 L-M1R도 카테고리로의 한쪽 방향 링크이고, 이 부분의 링크 코스트는 차이가 나지 않도록 코스트 0, 또는 일정한 값으로 정하고 있다. 이 경우, 「Romance」의 카테고리 가상 노드에는 영화 2도 같은 카테고리에 속 하는 영화이면, 이 영화 2도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카테고리 가상 노드, 즉 영화의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관심있는 영화를 선택하여 감상하기 위한 경로 탐색도 가능하게 된다.
도 7로 돌아와서, 현재지 S(예를 들어 자택)로부터 영화 1(M1)을 보고 싶은 경우의 경로 탐색을 설명하면, 현재지 S의 위치를 GPS 등으로 취득하고, 현재지 S를 출발지로 하고, 보고 싶은 영화가 영화 1(M1)이라면 목적지를 영화 1(M1)의 이벤트 가상 노드로 하여 경로 탐색을 행한다. 이 경로 탐색 자체는 전차의 시각표도 고려한 상기 특허 문헌 2나 일본 특개 2003-227732호 공보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발지를 9:30에 출발한다고 하는 조건에서는 그 경로 탐색 결과는 도 9와 같이 되어, 가장 빨리 영화를 볼 수 있는(끝까지 다 볼 수 있는) 것은 영화관 TA의 1회째의 상영 10:30이라고 하는 탐색 결과가 된다. 출발지에 가까운 것은 영화관 TB이지만, 상영 시각이나 이동 시간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고 상기 결과가 얻어진 것이 된다. 또한, 이 탐색은 시행착오를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조건에 따라서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1회 구함으로써 최적의 해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 경로 탐색 수단(33)이 최적 경로뿐만 아니라, 조건을 만족하는 몇 가지의 후보 경로도 탐색하여 안내할 수 도 있다. 후보 경로를 안내하면, 사용자는 최적 경로로 특정된 영화관이 만석이었을 경우에, 제2 후보 이하의 영화관으로 이동하는 것도 검토할 수 있게 된다.
또, 보고 싶은 영화를 직접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카테고리로 지정할 수도 있다. 카테고리의 「Romance」를 지정하면, Romance의 카테고리 가상 노드가 목적지가 되어 최적 경로 탐색이 행해진다. 영화 2가 속하는 카테고리가 Romance인 경우, Romance의 카테고리 가상 노드에는 영화 2도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도 7과 같이 되어, 상영 시각에 따라서는 영화 2가 최적 경로로 선택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그 카테고리에 속하는 복수의 이벤트(영화) 중에서 원하는 시간대에 감상할 수 있는 영화관이 탐색되어, 그 영화에 흥미를 가지면, 희망한 시간을 영화 감상으로 보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가장 빨리 영화를 보고 싶다고 하는 조건으로 탐색을 하였으나, 가상 노드로의 도착 시각을 조건으로 탐색함으로써, 도착 시각에 가장 가깝게 되도록 영화를 다 보는 경로를 찾아낼 수도 있다.
또, 상기의 설명에서는 이벤트인 영화의 이벤트 가상 노드를 목적지로 한 경로 탐색을 설명하였으나, 그 앞에 더 경로를 기대하고 싶은 경우도 있다. 즉, 영화관은 경유지이고, 그 앞에 다음 경유지나 최종 목적지를 설정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러한 용도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이벤트 가상 노드를 출발점으로 하지 않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곳에 이를 때까지의 경로를 되돌아가서, 실위치를 갖는 노드, 즉 영화관 TA나 영화관 TB(이벤트회장 노드)까지 경로를 돌아와, 거기로부터 다음 목적지에 도달하는 경로의 탐색을 개시하도록 하면 된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영화와 같이 그 이벤트의 맨 처음부터 맨 마지막까지 있는 것에 의미가 있는 스케줄을 가상 노드와, 그 가상 노드로의 링크에 시각 정보를 갖게 함으로써, 교통 네트워크와 일체로 경로 탐색 가능하게 한 것이다. 따라서, 이벤트는 영화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여행 중에 이가 아파와서, 어느 곳인가의 치과의원에서 30분의 치료가 필요하게 된 사태에, 점재하는 치과의원의 온라인 예약이 비어 있는 시간 틀을 이벤트로 옮겨놓으면, 영화의 경우와 동양으로 경로를 탐색할 수 있어, 가장 빨리 치료받을 수 있는 치과의원을 찾을 수 있다. 또, 최종적인 목적지로의 도착이 되도록 영향을 주지 않는 경로를 탐색할 수도 있다.

Claims (18)

  1. 원하는 출발지를 설정하고, 복수의 장소 및 복수의 시간대에 개최되는 동질 이벤트의 하나에 참가하기 위한 경로를 탐색하는 경로 탐색 시스템으로서,
    상기 경로 탐색 시스템은 도보와 교통 기관을 사용한 경로를 탐색하기 위한 경로 탐색용 네트워크 데이터와, 경로 탐색 수단과, 네트워크 데이터 편집 수단과, 상기 이벤트의 개최 장소, 개최 시각을 구비한 이벤트 데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 편집 수단은 상기 이벤트의 개최 장소를, 위치 정보를 갖는 이벤트회장 노드로서 상기 경로 탐색용 네트워크 데이터에 접속하고, 상기 이벤트를, 위치 정보를 갖지 않는 이벤트 가상 노드로서 등록하고, 이벤트회장 노드로부터 이벤트 가상 노드로는 이벤트의 다른 개최 시각에 기초하는 복수의 링크로 접속하고,
    원하는 지점을 출발지로 하고, 상기 이벤트 중에서 특정 이벤트를 지정하여 경로 탐색이 요구된 경우, 상기 경로 탐색 수단은 해당하는 이벤트 가상 노드를 목적지로 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의 안내 경로를 탐색하고, 해당하는 이벤트 및 그 이벤트의 개최 장소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탐색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로 탐색 수단은 상기 출발지로부터 목적지인 이벤트 가상 노드까지의 최적 경로, 또는 최적 경로를 포함하는 복수의 후보 경로를 안내 경로로서 탐색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탐색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의 개최 시각에 기초하는 링크는 이벤트의 개시 시각에 이벤트회장 노드를 나와서 이벤트의 종료 시각에 이벤트 가상 노드에 도착하는 교통 시각표의 포맷으로 표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탐색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데이터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해당하는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이벤트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탐색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카테고리로 구분되고,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 편집 수단은 상기 이벤트의 카테고리를, 위치 정보를 갖지 않는 카테고리 가상 노드로서 등록하고, 이벤트 가상 노드로부터 카테고리 가상 노드까지를, 일정한 코스트를 갖는 링크로 접속하고,
    원하는 지점을 출발지로 하고, 상기 카테고리 중에서 특정 카테고리를 지정하여 경로 탐색이 요구된 경우, 상기 경로 탐색 수단은 해당하는 카테고리 가상 노드를 목적지로 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의 안내 경로를 탐색하고, 해당하는 이벤트 및 그 이벤트의 개최 장소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탐색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경로 탐색 수단은 상기 출발지로부터 목적지인 카테고리 가상 노드까지의 최적 경로, 또는 최적 경로를 포함하는 복수의 후보 경로를 안내 경로로서 탐색하고, 해당하는 이벤트 및 그 이벤트의 개최 장소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탐색 시스템.
  7. 출발지를 설정하는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고, 도보와 교통 기관을 사용한 경로를 탐색하기 위한 경로 탐색용 네트워크 데이터와, 경로 탐색 수단을 구비한 경로 탐색 서버에 있어서,
    상기 경로 탐색 서버는 복수의 장소 및 복수의 시간대에 개최되는 동질의 이벤트 중 하나를 선택하고 원하는 출발지를 설정하여 그 이벤트에 참가하기 위한 경로를 탐색하기 위해, 네트워크 데이터 편집 수단과, 상기 이벤트의 개최 장소, 개최 시각을 구비한 이벤트 데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 편집 수단은 상기 이벤트의 개최 장소를, 위치 정보를 갖는 이벤트회장 노드로서 상기 경로 탐색용 네트워크 데이터에 접속하고, 상기 이벤트를, 위치 정보를 갖지 않는 이벤트 가상 노드로서 등록하고, 이벤트회장 노드로부터 이벤트 가상 노드로는 이벤트의 다른 개최 시각에 기초하는 복수의 링크로 접속하고,
    원하는 지점을 출발지로 하고, 상기 이벤트 중에서 특정 이벤트를 지정하여 경로 탐색이 요구된 경우, 상기 경로 탐색 수단은 해당하는 이벤트 가상 노드를 목적지로 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의 안내 경로를 탐색하고, 해당하는 이벤트 및 그 이벤트의 개최 장소를 상기 단말 장치에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탐색 서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경로 탐색 수단은 상기 출발지로부터 목적지인 이벤트 가상 노드까지의 최적 경로, 또는 최적 경로를 포함하는 복수의 후보 경로를 안내 경로로서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탐색 서버.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의 개최 시각에 기초하는 링크는 이벤트의 개시 시각에 이벤트회장 노드를 나와서 이벤트의 종료 시각에 이벤트 가상 노드에 도착하는 교통 시각표의 포맷으로 표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탐색 서버.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데이터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해당하는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이벤트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탐색 서버.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카테고리로 구분되고,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 편집 수단은 상기 이벤트의 카테고리를, 위치 정보를 갖지 않는 카테고리 가상 노드로서 등록하고, 이벤트 가상 노드로부터 카테고리 가상 노드까지를, 일정한 코스트를 갖는 링크로 접속하고,
    원하는 지점을 출발지로 하고, 상기 카테고리 중에서 특정 카테고리를 지정하여 경로 탐색이 요구된 경우, 상기 경로 탐색 수단은 해당하는 카테고리 가상 노드를 목적지로 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의 안내 경로를 탐색하고, 해당하는 이벤트 및 그 이벤트의 개최 장소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탐색 서버.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경로 탐색 수단은 상기 출발지로부터 목적지인 카테고리 가상 노드까지의 최적 경로, 또는 최적 경로를 포함하는 복수의 후보 경로를 안내 경로로서 탐색하고, 해당하는 이벤트 및 그 이벤트의 개최 장소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탐색 서버.
  13. 원하는 출발지를 설정하고, 복수의 장소 및 복수의 시간대에 개최되는 동질의 이벤트 중 하나에 참가하기 위한 경로를 탐색하는 경로 탐색 시스템에 있어서 경로 탐색 방법으로서,
    상기 경로 탐색 시스템은 도보와 교통 기관을 사용한 경로를 탐색하기 위한 경로 탐색용 네트워크 데이터와, 경로 탐색 수단과, 네트워크 데이터 편집 수단과, 상기 이벤트의 개최 장소, 개최 시각을 구비한 이벤트 데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 편집 수단이 상기 이벤트의 개최 장소를, 위치 정보를 갖는 이벤트회장 노드로서 상기 경로 탐색용 네트워크 데이터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각 이벤트를, 위치 정보를 갖지 않는 이벤트 가상 노드로서 등록하고, 이벤트회장 노드로부터 이벤트 가상 노드로는 이벤트의 개최 시각에 기초하는 링크로 접속하는 단계와, 원하는 지점을 출발지로 하고, 상기 이벤트 중에서 특정 이벤트를 지정하여 경로 탐색이 요구된 경우, 상기 경로 탐색 수단은 해당하는 이벤트 가상 노드를 목적지로 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의 안내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를 갖고, 해당하는 이벤트 및 그 이벤트의 개최 장소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탐색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경로 탐색 수단이 안내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출발지로부터 목적지인 이벤트 가상 노드까지의 최적 경로, 또는 최적 경로를 포함하는 복수의 후보 경로를 탐색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탐색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카테고리로 구분되고,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 편집 수단이 상 기 이벤트의 카테고리를, 위치 정보를 갖지 않는 카테고리 가상 노드로서 등록하고, 이벤트 가상 노드로부터 카테고리 가상 노드까지를, 일정한 코스트를 갖는 링크로 접속하는 단계와,
    원하는 지점을 출발지로 하고, 상기 카테고리 중에서 특정 카테고리를 지정하여 경로 탐색이 요구된 경우, 상기 경로 탐색 수단이 해당하는 카테고리 가상 노드를 목적지로 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의 안내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를 추가로 갖고, 해당하는 이벤트 및 그 이벤트의 개최 장소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탐색 방법.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경로 탐색 수단이 안내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출발지로부터 목적지인 이벤트 가상 노드까지의 최적 경로, 또는 최적 경로를 포함하는 복수의 후보 경로를 탐색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탐색 방법.
  17. 복수의 장소 및 복수의 시간대에 개최되는 동질의 이벤트 중 하나에 참가하기 위한 경로를 탐색하기 위해, 경로 탐색용 네트워크 데이터와, 경로 탐색 수단과, 네트워크 데이터 편집 수단과, 상기 이벤트의 개최 장소, 개최 시각을 구비한 이벤트 데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 편집 수단은 상기 이벤트의 개최 장소를, 위치 정보를 갖는 이벤트회장 노드로서 상기 경로 탐색용 네트워크 데이터에 접속하고, 상기 이 벤트를, 위치 정보를 갖지 않는 이벤트 가상 노드로서 등록하고, 이벤트회장 노드로부터 이벤트 가상 노드로는 이벤트의 다른 개최 시각에 기초하는 복수의 링크로 접속하고, 단말 장치로부터 출발지와, 상기 이벤트 중에서 특정 이벤트를 지정하여 경로 탐색이 요구된 경우, 상기 경로 탐색 수단은 해당하는 이벤트 가상 노드를 목적지로 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의 안내 경로를 탐색하는 경로 탐색 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단말 장치로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경로 탐색 서버에 원하는 출발지와 이벤트를 지정하여 경로 탐색 요구를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카테고리로 구분되고, 상기 네트워크 데이터 편집 수단은 상기 이벤트의 카테고리를, 위치 정보를 갖지 않는 카테고리 가상 노드로서 등록하고, 이벤트 가상 노드로부터 카테고리 가상 노드까지를, 일정한 코스트를 갖는 링크로 접속하고, 원하는 지점을 출발지로 하고, 상기 카테고리 중에서 특정 카테고리를 지정하여 경로 탐색이 요구된 경우, 상기 경로 탐색 수단은 해당하는 카테고리 가상 노드를 목적지로 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의 안내 경로를 탐색하는 경로 탐색 서버에 접속되는 단말 장치로서,
    상기 단말 장치는 추가로, 상기 경로 탐색 서버에 원하는 출발지와 카테고리를 지정하여 경로 탐색 요구를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KR1020087030975A 2006-06-20 2006-06-20 경로 탐색 시스템, 경로 탐색 서버, 단말 장치 및 경로 탐색 방법 KR1010477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6/312275 WO2007148378A1 (ja) 2006-06-20 2006-06-20 経路探索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端末装置および経路探索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148A true KR20090018148A (ko) 2009-02-19
KR101047734B1 KR101047734B1 (ko) 2011-07-07

Family

ID=38833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0975A KR101047734B1 (ko) 2006-06-20 2006-06-20 경로 탐색 시스템, 경로 탐색 서버, 단말 장치 및 경로 탐색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235082A1 (ko)
EP (1) EP2031570B1 (ko)
JP (1) JP4038528B1 (ko)
KR (1) KR101047734B1 (ko)
CN (1) CN101473358B (ko)
WO (1) WO20071483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247B1 (ko) * 2012-08-07 2014-12-10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Nfc와 ips를 이용한 병원 이용 도우미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287B1 (ko) * 2008-07-03 2011-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위치정보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단말기
CN101340718B (zh) * 2008-08-12 2012-04-25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无线移动装置及其设定通信网络搜寻时间的方法
JP5547112B2 (ja) * 2011-02-16 2014-07-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経路探索システム
US8972185B1 (en) * 2012-10-01 2015-03-03 Google Inc. Constructing a transit transfer network from transit data
CN104977008A (zh) * 2014-04-09 2015-10-14 广东融讯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自驾与公交无缝接驳的导航系统
US9212924B1 (en) 2014-08-21 2015-12-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mode transportation transitions
US9803988B2 (en) * 2014-12-30 2017-10-31 Excalibur Ip, Llc Method and/or system for walking route recommendation
US10337876B2 (en) * 2016-05-10 2019-07-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strained-transportation directions
US10386197B2 (en) 2016-05-17 2019-08-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alculating an optimal route based on specified intermediate stops
US10060752B2 (en) 2016-06-23 2018-08-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tecting deviation from planned public transit route
CN108151746B (zh) * 2017-12-27 2020-11-10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技大学 基于多分辨率态势建图的改进标签实时航路重规划方法
CN109447343B (zh) * 2018-10-26 2022-02-01 北京交通大学 基于线网结构和时序组合的城轨列车换乘接续优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0400B2 (ja) 1999-03-08 2006-03-01 株式会社ナビタイムジャパン 交通ネットワーク経路探索方法および装置
JP2001014297A (ja) 1999-06-28 2001-01-19 Sony Corp 行動予測方法、情報提供方法及びそれらの装置
US6650902B1 (en) * 1999-11-15 2003-11-18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that provides location-based information delivery to a wireless mobile unit
JP2001165681A (ja) 1999-12-09 2001-06-22 Navitime Japan Co Ltd 交通ネットワーク経路探索方法
JP2001325514A (ja) 2000-05-15 2001-11-22 Kyubunkan:Kk サーバー装置、端末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2002269151A (ja) * 2001-03-09 2002-09-20 Fujitsu Ltd イベント連動型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イベント連動型情報表示方法
US7139722B2 (en) * 2001-06-27 2006-11-21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Location and time sensitive wireless calendaring
JP2003227732A (ja) 2001-10-02 2003-08-15 Navitime Japan Co Ltd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2003114135A (ja) * 2001-10-04 2003-04-18 Communication Research Laboratory 地理情報提供方法及び装置、ソフトウェア
US6816778B2 (en) * 2001-12-29 2004-11-09 Alpine Electronics, Inc Event finder with navigation system and display method thereof
JP3924683B2 (ja) * 2003-10-02 2007-06-06 株式会社ナビタイムジャパン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419621B2 (ja) 2004-03-17 2010-02-24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旅行計画作成管理システム
JP4271107B2 (ja) * 2004-08-18 2009-06-03 株式会社東芝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US7668653B2 (en) * 2007-05-31 2010-02-23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filtering and providing event program inform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247B1 (ko) * 2012-08-07 2014-12-10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Nfc와 ips를 이용한 병원 이용 도우미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48378A1 (ja) 2007-12-27
EP2031570B1 (en) 2013-02-13
US20100235082A1 (en) 2010-09-16
CN101473358A (zh) 2009-07-01
CN101473358B (zh) 2011-11-02
JPWO2007148378A1 (ja) 2009-11-12
JP4038528B1 (ja) 2008-01-30
EP2031570A1 (en) 2009-03-04
KR101047734B1 (ko) 2011-07-07
EP2031570A4 (en) 2010-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7734B1 (ko) 경로 탐색 시스템, 경로 탐색 서버, 단말 장치 및 경로 탐색 방법
KR101022148B1 (ko) 네비게이션 시스템, 경로 탐색 서버, 경로 탐색 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JP4423349B2 (ja) 経路案内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経路案内方法ならびに端末装置
JP4097677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端末装置
JP5038644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端末装置および広告表示方法
WO2010052790A1 (ja) 経路案内仲介システム、経路案内仲介サーバおよび経路案内方法
JP2008209164A (ja) 路線図表示装置、路線図表示システム、路線図表示方法及び路線情報配信サーバ
JP5047920B2 (ja) 経路情報配信システム、経路情報案内サーバおよび端末装置ならびに経路情報配信方法
JP2007210507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経路探索方法並びに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端末装置
JP2009145080A (ja) 経路案内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携帯端末装置ならびに経路案内方法
JP4851402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サーバ、携帯端末装置、及び情報配信方法
JP2008286596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経路探索方法ならびに端末装置
JP2007064846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4694534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案内方法および経路探索サーバならびに端末装置
JP2010204115A (ja) 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装置、端末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4448532B2 (ja) 経路探索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端末装置および経路探索方法
JP2008232671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経路探索方法ならびに端末装置
JP2009002821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端末装置ならびに経路案内方法
US20110301833A1 (en) Route guidance system, route search server, and route guidance method
JP2011112387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端末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ならびに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2092193A (ja) 情報案内システムおよび情報案内方法
JP5199174B2 (ja) 乗換探索システム、乗換探索サーバ及び乗換探索方法
JP5461794B2 (ja) 経路探索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経路探索方法および端末装置
JP2011202984A (ja) 経路案内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携帯端末および経路案内方法ならびに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9128092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及び経路探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