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4606A - 도금장치용 이송벨트 - Google Patents

도금장치용 이송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4606A
KR20090014606A KR1020070078673A KR20070078673A KR20090014606A KR 20090014606 A KR20090014606 A KR 20090014606A KR 1020070078673 A KR1020070078673 A KR 1020070078673A KR 20070078673 A KR20070078673 A KR 20070078673A KR 20090014606 A KR20090014606 A KR 20090014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ubstrate
insertion hole
frame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6424B1 (ko
Inventor
김용언
Original Assignee
지에스티 반도체장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티 반도체장비(주) filed Critical 지에스티 반도체장비(주)
Priority to KR1020070078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424B1/ko
Publication of KR20090014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0Agitating of electrolytes; Moving of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2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2Tanks; Installations therefor
    • C25D17/04External supporting frames or struc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에 도전체를 도금시키는 장치에 설치되어 도금되는 기재를 이송시키는 이송벨트에 있어서,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벨트프레임, 상기 벨트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제1삽입공, 상기 제1삽입공의 하향에 위치하며 상기 제1삽입공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2삽입공, 일 측은 상기 제1삽입공에 결합되고, 타 측은 제2삽입공과 결합되되 기재를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삽입공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격될 수 있는 핑거, 상호 이웃하는 상기 제2삽입공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굴곡방지부를 포함하는 도금장치용 이송벨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금용 기재를 잘 파지할 수 있어 기재의 파손 및 벨트의 파손으로 인한 생산성이 낮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기재의 파손 및 장비의 파손을 억제하여 제조공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금장치, 벨트, 프레임, 굴곡방지

Description

도금장치용 이송벨트{The Film Transfer Belt For Use In Substrate Plating Device}
본 발명은 기재를 도금하는 장치에 설치되어 도금되는 기재를 이송시키는 도금용 이송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기재에 도금을 하기 위해 다수의 롤을 이용하는 도금장치에서 기재를 파지하여 이송하는 도금용 이송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 부품이 표면실장되는 리드 프레임, PCB(Printed Circuit Board)와 같은 기판은 통상적으로 경질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기판의 표면에 도전성이 우수한 동박층을 도금한 후, 필요한 패턴이 인쇄되도록 한 후 필요한 부품을 실장시켜 모듈, 제품을 완성하고 있다.
경질의 기판에 동박을 도금시키는 종래의 방식을 간단히 살펴보면, 무한히 순환하는 벨트에 일정한 단위로 절단된 기판을 파지시킨 후 이송시켜 표면에 동박층을 도금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같은 방식을 이용한 동박도금장치는 피도금물이 반도체 리드프레임과 같이 경질의 재료에는 용이하였으나,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에 동박을 도금하는 것이 용이하 지 않았다.
최근에는 제품의 소형화, 슬림화 경향으로 인하여, 경질의 리드프레임, PCB대신에 F-PCB를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F-PCB의 제조과정은 통상, 필름 형태로 제공되는 기재의 표면에 구리합금체를 도금하여 동박필름을 형성한 후, 회로패턴을 제외한 부분을 제거하여 패턴을 인쇄하고, 그 표면에 각종 부품을 표면 실장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때, 기재는 필름, 리드프레임, FPCB 등이 될 수 있다.
도 1은 이와 같은 구리합금체를 도금하는 도금장치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살펴보면, 다양한 롤에 기재이송수단(200)이 무한궤도의 형태로 결합되어 있다. 구동롤(300)은 기재이송수단(200)이 다양한 목적에 맞도록 설치된 롤에 감겨져 무한히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원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고, 파지롤(600)은 풀림롤(500)로부터 제공되는 도금 전 상태의 기재(1a)를 기재이송수단(200)에 파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때 텐션롤(400a)은 파지롤(600)로부터 기재이송수단(200)이 이탈되지 않도록 기재이송수단(200)의 텐션(tension)을 조절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기재이송수단(200)에 파지된 기재(1a)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금조(700)를 지나면서 기재(1a)의 표면에 기설정된 두께로 도금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후, 도금조(700)에서 도금된 기재(1b)는 감기롤(800)에 감기게 되는데, 기재(1b)는 이탈롤(900)을 거치면서 기재이송수단(20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때 텐션롤(400b) 또한 텐션롤(400a)과 동일한 작용으로 이탈롤(900)로부 터 기재이송수단(200)이 이탈되지 않도록 텐션을 조절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작용을 하는 도금장치에 공급되는 기재의 위상은 수평방향에 대해 수직방향, 즉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기재이송수단(200) 또한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로 제공된다.
도 2a는 종래 기재이송수단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2b는 종래 기재이송수단의 정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종래 기재이송수단(200)은 벨트형프레임(210)과 핑거(220)로 구성되어 있다.
벨트형프레임(210)은 각 롤에 끼워맞춰져 각 롤의 외주연을 따라 벨트형프레임(210)이 안착할 수 있도록 안착홀(211)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방으로 제1삽입공(212) 및 제2삽입공(2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벨트형프레임(210)에는 제2삽입공(213)의 하방으로 벨트형프레임(210)의 외측으로 일부 개방된 개방영역(214)이 형성되어 벨트형프레임(210)의 길이방향즉, y방향으로 짧은 직선형태가 연속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즉, 벨트형 프레임(210)의 상부(210a)는 해당 롤의 외주연에 밀착되어 휘어지되, 그 하부(210b)는 휘어지지 않은 상태를 유지해야만 롤의 외주연으로부터 이탈되었을 때, x방향으로 변위가 없는 즉, y방향으로 직선 형태인 기재를 파지할 수 있고, 이와 같이 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개방영역(214)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개방영역(214)이 형성됨으로써 상부가 x방향으로 변위가 발생했을 때에도 그 하부는 x방향으로의 변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형태를 유지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핑거(220)는 제1삽입공(212)에 삽입되도록 전방이 일부 절곡된 삽 입지지부(221)와, 상기 삽입지지부(221)와 결합하고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부(222), 상기 제1삽입공(221)에 삽입된 삽입지지부(221)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스프링부(222)에 의해 탄성적으로 제2삽입공(213)에 삽입되는 파지부(223)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재이송수단(200)이 파지롤(600)에서 기재를 파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3a는 도 1의 "A"의 종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1의 "B"의 종단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벨트형프레임(10)의 상부(210a)에 형성된 제1삽입공(212) 및 하부(210b)에 형성된 제2삽입공(213)에 핑거(220)의 양단이 탄성적으로 삽입 지지되어 있다. 이후, 도 3b에서와 같이 파지롤의(600)의 외주연을 따라 안착된다.
또한, 파지롤(600)에는 상기 핑거(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략 "V"자를 반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한 형태인 홈(610)이 형성되어 있되, 홈(610)의 상단은 상기 삽입부(221)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그 하부는 소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면(610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경사면의 수평방향으로부터의 각도는 상기 스프링부(222)가 이루고 있는 수평방향으로부터의 경사각보다 낮은 각도의 경사각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핑거(200)가 홈(610)에 삽입되면 홈(610)의 상단에 삽입부(221)의 상단이 삽입되면, 경사면(610a)은 상기 스프링부(222)의 수평방향으로부터의 경사각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향이동되게 되고, 이에 따라 파지부(223)는 벨트형프레임(210)의 하부(210a)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하여 이격공간을 만들게 된다.
이후,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풀림롤(500)로부터 제공되는 기재(1a)가 이격공간으로 삽입되게 되고 파지롤(600)의 외주연을 벗어나는 부분부터는 탄성복원되는 파지부(223)와 이와 대향되는 벨트형프레임의 하부(210a)에 의해 기재가 파지되어 도금조(700)로 이송되게 된다.
기재를 이탈시키는 방법은 상술한 방법을 역순으로 전개하여 이탈롤(900)을 통해 기재를 이탈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롤을 이용한 기재의 파지 방법 이외에도 클램프를 이용한 파지방법 및 클램프 파지, 슬라이드를 이용한 파지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4a는 도 1 "A"의 종래 기재이송수단의 횡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1 "B"의 종래 기재이송수단의 횡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벨트형프레임(210)은 x방향으로 변위가 없는 즉, y방향으로 평행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도 4b에서와 같이 파지롤(600)의 외주연에 밀착되어 감기게 되면, 벨트형프레임(210)은 외주연과 대응되도록 소정의 반지름을 가진 원호 형태로 휘어지게 되고, 벨트형프레임(210) 하부에는 개방영역(214)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제2삽입공(213)을 기준으로 양측은 짧은 직선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개방영역(214)이 형성됨으로써 벨트형프레임(210)의 하부는 파지롤(600)의 외주연을 따라서 짧은 직선형태가 연속적으로 분포하게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파지롤(600)의 외주연으로부터 이탈되었을 때에도 벨트형프레임(210)의 하부는 x방향으로 변위가 발생하지 않고 y방향으로 평행한 직선형태를 유지함으로써 제공되는 직선형태의 기재를 잘 파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기재를 파지 및 이탈시키는 과정 즉, 도 4a 또는 도 4b의 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시에는 벨트형프레임(210)의 하부는 핑거와 탄성적으로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어, 핑거의 탄성력 및 복원력에 의해 벨트형프레임(210)의 하부는 짧은 직선형태의 연속적 분포로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짧은 직선형태의 일부가 음의 x방향 또는 양의 x방향으로 변위를 일으켜 일 방향 또는 불규칙한 굴곡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해당 롤에서 이탈된 뒤 파지해야할 기재를 제대로 파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기재의 일부가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벨트형프레임(210)의 하부는 상부의 휘어지는 힘을 일정부분 받게 되어 미소하게 굴곡 및 비틀림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것이 누적되면 벨트형프레임(210)의 하부의 직선형태는 x방향으로 변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벨트프레임(210)의 일부가 양의 x방향 또는 음의 x방향으로 굴곡이 발생하면 직선형태의 기재가 휘어진 상태로 파지되게 되고, 이에 따라 도금조에 삽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굴곡 변형된 기재이송수단의 잦은 교체로 인해 생산성이 낮아져 제조공정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도금용 기재를 잘 파지할 수 있도록 휨이 발생하지 않는 도금장치용 이송벨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휨이 발생하지 않는 도금장치용 이송벨트를 제공하여 파지하는 기재의 파손 및 제조장비의 파손 예방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휨이 발생하지 않는 도금장치용 이송벨트를 제공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휨이 발생하지 않는 도금장치용 이송벨트를 제공하여 제조공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과제를 위한 수단으로서, 기재에 도전체를 도금시키는 장치에 설치되어 도금되는 기재를 이송시키는 이송벨트에 있어서,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벨트프레임, 상기 벨트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제1삽입공, 상기 제1삽입공의 하향에 위치하며 상기 제1삽입공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2삽입공, 일 측은 상기 제1삽입공에 결합되고, 타 측은 제2삽입공과 결합되되 기재를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삽입공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격될 수 있는 핑거, 상호 이웃하는 상기 제2삽입공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굴곡방지부를 포함하는 도금장치용 이송벨트를 해결수단으로 제시한다.
이때 상기 굴곡방지부는 상기 벨트프레임의 전면으로부터 배면으로 돌출되되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굴곡방지부의 상부에는 굴곡방지홀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굴곡방지부는 상기 벨트프레임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리브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금장치용 이송벨트에 따르면, 휨이 발생하지 않는 이송벨트를 제공함으로써, 기재를 잘 파지할 수 있고, 기재의 파손 및 벨트의 굴곡 또는 비틀림으로 인한 생산성이 낮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재를 잘 파지할 수 있음으로 인해 기재의 파손 및 장비의 파손을 억제하여 제조공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단절단장치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금장치용 이송벨트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금장치용 이송벨트의 정면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금장치용 이송벨트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벨트프레임(10)과 상기 벨트프레임(10)에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핑거(200)로 구성된다.
벨트프레임(10)은 탄성력이 있는 금속 재질이고, 다수의 제1삽입공(11) 및 제2삽입공(12), 굴곡방지부(13), 굴곡방지홀(15)이 형성되어 있다.
제1삽입공(11)은 벨트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후술할 핑거(200)의 상부측 단부를 수용할 수 있다.
제2삽입공(12)은 제1삽입공(11)의 하향에 위치하며 제1삽입공(11)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후술할 핑거의 하부측 단부를 수용할 수 있다.
굴곡방지부(13)는 벨트프레임(10)의 하부 즉, 상호 이웃하는 제2삽입공(12)의 사이에 위치하는 판넬부(14)에 마련되며, 판넬부(14)에 강성(Rigidity)를 부여할 수 있도록 벨트프레임(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강성(Rigidity)이란 재료의 외부에서 변형을 가할 때 그 재료가 주어진 변형에 저항하는 정도를 수치화한 것이다.
따라서, 굴곡방지부(1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판넬부(14)는 강성이 증대되고, 이에 따라 판넬부(14)는 외력에 의해 x방향으로 굴곡 또는 비틀림 발생이 억제되어 음의 x방향 또는 양의 x방향으로 굴곡 발생이 억제되며, 또한 파지할 기재를 음의 x방향 또는 양의 x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은 형태로 파지할 수 있어 후공정인 도금조로 유입시에도 도금조의 선단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굴곡방지부(13)는 이웃하는 제2삽입공(12)보다 그 높이가 높을 수 있 으며, 벨트프레임(10)의 하단까지 형성될 수 있고, 벨트프레임(10)의 전면에 파지되는 기재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벨트프레임(10)의 전면에서 배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굴곡방지홀(15)은 형성해야할 굴곡방지부(13)의 상단에 형성된다. 상기 굴곡방지홀(15)이 형성된 후, 굴곡방지부(13)가 압인(押印) 등의 방식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같은 굴곡방지홀(15)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굴곡방지부(13)가 형성되면 굴곡방지부(13)의 상부 즉, 벨트프레임(10)의 상부측으로 압인력이 전달되어 굴곡방지부(13)의 상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핑거(2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금장치용 이송벨트의 핑거(20)는 지지몸체(21), 스프링(22)로 구성되며, 제1삽입공(11) 및 제2삽입공(12)의 숫자와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지지몸체(21)는 전방으로 벨트프레임(10)의 제1삽입공(1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절곡된 절곡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22)은 대략 "V"자 형태를 반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킨 형상이며, 지지몸체(21)와 결합하는 결합부(22a)와 상기 결합부(22a)를 지지축으로 탄성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가동부(22b)와, 상기 가동부에서 하향절곡되어 벨트프레임(10)의 제2삽입공(12)에 삽입되는 파지부(22c)로 구성되어 있다.
즉, 핑거(20)는 제1삽입공(11)에 절곡부(21a)가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기 절곡부(21a)를 지지축으로 가동부(22c)가 시계방향으로 가압되어 파지부(22c)가 제2삽입공으로 삽입되면 가동부(22c)의 탄성복원력으로 인해 파지부(22c)가 제2삽입 공(12)의 내측에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핑거(20)는 상기와 같이 스프링이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부분을 다수 절곡하여 판스프링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설명에 따라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금장치용 이송벨트의 사용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파지롤의 외주면에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금장치용 이송벨트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7a는 도 6 "C"지점의 횡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6 "D"지점의 횡단면도이고, 도 7c는 도 6 "E"지점의 횡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파지롤(60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금장치용 이송벨트도 파지롤(600)의 외주면을 따라서 이동하고 있다.
파지롤(600)의 외주면에 밀착되기 전에는 도 7a에서와 같이 파지부(22c)는 판넬부(14)의 외측에 탄성지지되어 결합되어 있다. 이후 도 7b에서와 같이, 파지롤(600)에 감겨지게 되면 파지부(22c)는 판넬부(600)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이격공간이 발생하게 된다. 이후 도 7c에서와 같이, 제공되는 기재를 이격공간으로 수용하여 도금조로 이송되게 되고, 이탈롤을 통해 도금된 필름을 회수하게 된다. 이탈롤에서의 기재를 회수하는 것은 파지롤(600)에서 기재를 제공하는 방법의 역순으로 전개된다.
그런데, 파지롤(600)에서는 파지부(22c)가 판넬부(14)에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되고, 이탈롤에서는 기재를 이탈시키고 난 후 파지부(22c)가 최초위치로 환원되는 과정에서 판넬부(14)에 복원력을 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공정은 반복되는 공정 속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판넬부(14)는 굴곡현상 및 비틀림현상이 심화된다.
또한, 벨트프레임(10)의 판넬부(14)의 상부로는 롤의 외주연을 따라서 휘어지는 힘이 하부로도 일부분 전달됨으로 인해 판넬부(14)의 굴곡 및 비틀림현상이 심화된다.
따라서, 굴곡방지부(13)가 형성되어 판넬부(14)의 강성이 보강되면 굴곡 및 비틀림현상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도금장치용 이송벨트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도금장치용 이송벨트의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는 제 1실시예와 달리 굴곡방지부로써 리브(1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리브(15)는 직육면체 형태의 긴 기둥으로서 제 1 실시예와 대응되는 높이로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벨트프레임(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리브(15)를 구비하게 되면, 제 1실시예와는 달리 굴곡방지홀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리브(15)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하고, 그 사용상태 또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외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변형할 수 있는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도금장치 시스템의 평면도
도 2a는 종래 기재이송수단의 배면사시도
도 2b는 종래 기재이송수단의 정면도이다.
도 3a는 도 1의 "A"의 종단면도
도 3b는 도 1의 "B"의 종단면도
도 4a는 도 1 "A"의 종래 기재이송수단의 횡단면도
도 4b는 도 1 "B"의 종래 기재이송수단의 횡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금장치용 이송벨트의 배면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금장치용 이송벨트의 정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금장치용 이송벨트의 결합상태도
도 7a는 도 6 "C"지점의 횡단면도
도 7b는 도 6 "D"지점의 횡단면도
도 7c는 도 6 "E"지점의 횡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도금장치용 이송벨트의 사시도
도 8b는 도 8a의 횡단면도
※ 도면에 사용된 부호에 대한 설명※
10 : 벨트프레임 11 : 제1삽입공 12 : 제2삽입공
13 : 굴곡방지부 14 : 판넬부 15 : 리브
20 : 핑거

Claims (4)

  1. 기재에 도전체를 도금시키는 장치에 설치되어 도금되는 기재를 이송시키는 이송벨트에 있어서,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벨트프레임;
    상기 벨트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제1삽입공;
    상기 제1삽입공의 하향에 위치하며 상기 제1삽입공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2삽입공;
    일 측은 상기 제1삽입공에 결합되고, 타 측은 제2삽입공과 결합되되 기재를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삽입공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격될 수 있는 핑거;
    상호 이웃하는 상기 제2삽입공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굴곡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장치용 이송벨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방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전면으로부터 배면으로 돌출되되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장치용 이송벨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방지부의 상부에는 굴곡방지홀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도금장치용 이송벨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방지부는 상기 벨트프레임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장치용 벨트
KR1020070078673A 2007-08-06 2007-08-06 도금장치용 이송벨트 KR100936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673A KR100936424B1 (ko) 2007-08-06 2007-08-06 도금장치용 이송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673A KR100936424B1 (ko) 2007-08-06 2007-08-06 도금장치용 이송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606A true KR20090014606A (ko) 2009-02-11
KR100936424B1 KR100936424B1 (ko) 2010-01-12

Family

ID=40684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673A KR100936424B1 (ko) 2007-08-06 2007-08-06 도금장치용 이송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64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654B1 (ko) * 2020-06-10 2021-05-14 정을연 단품 자동 래크 회전 전기도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4843A (en) 1983-01-28 1985-08-13 Technic, Inc. Apparatus for electroplating and chemically treating contact elements of encapsulated electronic components and their like
JP3317938B2 (ja) 1999-09-29 2002-08-26 山口日本電気株式会社 被処理材搬送用ベルト及びそれを使用した表面処理装置
KR100341519B1 (ko) * 1999-11-04 2002-06-22 마이클 디. 오브라이언 리드프레임 도금용 집게벨트
KR100740603B1 (ko) * 2005-08-08 2007-07-19 지에스티 반도체장비(주) 동박도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6424B1 (ko) 2010-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027246A (ja) テープフィーダ
JP2008285323A (ja) 基板材のコンベア
US20130255732A1 (en) Substrate treating apparatus
KR20090068670A (ko) 롤투롤 기판 이송 장치, 이를 포함하는 습식 식각 장치 및회로 기판 제조 장치
KR100936424B1 (ko) 도금장치용 이송벨트
KR20170004049U (ko) 박형 인쇄회로기판 도금용 클램핑 지그 및 클램핑 테이블
JP2006182399A (ja) 電子部品連
JP4191068B2 (ja) 基板保持装置、接合材料の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KR102000988B1 (ko) 박막필름 이송장치
JP4924459B2 (ja) テープフィーダ
KR100740603B1 (ko) 동박도금장치
JP2875796B2 (ja) プリント基板の表面処理用保持治具
TW201416302A (zh) 夾具及輸送系統
JPH07237746A (ja) リードフレームの搬送装置
US6230394B1 (en) X-Y table shield for component placement device
TWI564440B (zh) 電鍍裝置
KR100423962B1 (ko) 와이어스프링그립, 리드프레임 캐리어벨트 및 도금시스템
KR101929925B1 (ko) 기판 신장 유닛을 이용한 전극 패턴 형성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극 패턴 형성방법
KR100771326B1 (ko)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CN103687311A (zh) 用于传输板的载体夹具
KR102351289B1 (ko) 지그장치가 필요없는 롤투롤 방식의 fpcb기판 처리장치
KR101281007B1 (ko) 운반 장치 및 플랙서블 기판 롤투롤 이송 장치
JP4013860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CN1954650A (zh) 安装装置及其部件盒以及基板的保持输送方法
KR200390905Y1 (ko) 도금설비의 인쇄회로기판 마스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