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3048A - 전기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3048A
KR20090013048A KR1020080071729A KR20080071729A KR20090013048A KR 20090013048 A KR20090013048 A KR 20090013048A KR 1020080071729 A KR1020080071729 A KR 1020080071729A KR 20080071729 A KR20080071729 A KR 20080071729A KR 20090013048 A KR20090013048 A KR 20090013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lock arm
detecting member
cp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 분 빈센트 림
Original Assignee
미아 테크놀로지 피티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아 테크놀로지 피티이. 엘티디. filed Critical 미아 테크놀로지 피티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90013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0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01R13/5208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having at least two cable receiving open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7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01R13/7032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making use of a separate bridging element directly cooperating with the terminal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한 쌍의 커넥터의 끼워맞춤과정에서 양커넥터의 끼워맞춤상태를 검지할 수 있는 끼워맞춤 검지부재를 구비한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제1 커넥터(14)는 하우징의 외벽면에 제1 걸림돌기(16)을 구비하고, 제2 커넥터(2)는 내측하우징(4)과 그 바깥 둘레를 가리는 외측하우징(5)을 가지며, 양하우징의 사이에 틈새(S1)를 벌림과 동시에 끼워맞춤 검지부재(8)가 삽입되는 수용구멍(S2)을 형성하고, 이 수용구멍에 한 쌍의 제1 스톱퍼돌기(51)와 제2 스톱퍼돌기(52)로 일단을 내측하우징(4)에 고정하여 선단부를 자유단으로 한 탄성변형 가능한 로크암(7)을 설치하며, 로크암(7)은 선단부(7C)의 양단에 각각 가압부(72) 및 제1 스톱퍼(74)를 구비하고, 끼워맞춤 검지부재(8)는 평행하게 대향하는 한 쌍의 탄성변형 가능한 제1, 제2 지편(8A, 8B)을 가지며, 이것들은 각각의 대향면에 작동부(80) 및 스톱퍼 걸어맞춤부(8D)를 설치한다.

Description

전기커넥터{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수컷형 커넥터(male connector)와 암컷형 커넥터(female connector)로 이루어지는 전기커넥터와 관한 것이고, 특히, 양(兩)커넥터의 끼워맞춤상태를 검지할 수 있는 검지수단을 구비한 전기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수컷형 커넥터와 암컷형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전기커넥터는, 통상, 양커넥터를 결합한 상태로 갑자기 어긋나지 않도록 고정(lock)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양커넥터의 끼워맞춤의 도중, 예를 들면 반(半)끼워맞춤상태에서도 양커넥터의 컨택트 단자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일이 있고, 이와 같은 경우,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결합되므로, 사용중에 양커넥터의 결합이 갑자기 어긋나 버리는 일이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반끼워맞춤상태의 결합을 방지하기 위해서, 끼워맞춤상태를 검지할 수 있는 끼워맞춤 검지수단을 설치한 전기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하기(下記) 특허문헌 1(미국특허 제5,720,623호 명세서)에 개시된 전기커넥터(25)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끼워맞춤접속되는 한 쌍의 제1, 제2 커넥터(26, 27)을 구비하고, 한쪽의 제2 커넥터(27)는 그 커넥터 바디(28)와 커버(29)와의 사이에 소정 크기의 공동(空洞)구멍(30)이 형성되며, 이 공 동구멍(30)은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고, 이 공동구멍 냐에 로크암(lock arm)(31) 및 끼워맞춤 검지부재(32)(Connector Position Assurance, 이하, CPA라고 한다)가 장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로크암(31)은 소정의 폭 및 길이를 가지는 장방형상의 탄성 암으로 이루어지고, 이 탄성 암은 후단이 하우징의 뒤쪽에 고정되어 선단부가 차입구(差入口)까지 연장하여 설치되어, 커넥터 바디(28) 및 커버(29)와의 사이에 소정의 틈새가 설치되고, 이 틈새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되도록 되어 있다. 이 탄성 로크암(31)은 소정 폭 및 길이의 얇은 홈(31a)이 길이방향에 형성되어 있다. 이 얇은 홈(31a)에는 CPA(32)의 선단돌기(33)가 삽입된다. 또, 커버(29)는 그 길이방향의 양측 벽면에 제1, 제2 걸림구멍(latching hole)(291, 292)이 형성되어 있다.
또, CPA(32)는 선단돌기(33) 및 고정돌기(34, 34)를 가지는 한 쌍의 사이드 암(35, 35)과, 이 사이드 암에 연결된 L자 모양의 조작 탭(tab)(36)을 가지고, 이 조작 탭(36)의 L자 모양의 단부에 각각의 사이드 암이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CPA(32)의 한 쌍의 고정돌기(34, 34)는 커버(29)의 제1, 제2 걸림구멍(291, 292)에 걸어 맞춰진다.
이 CPA(32)를 이용한 끼워맞춤상태의 검지(檢知)는 미리 제2 커넥터(27)의 공동구멍(30)에 CPA(32)가 장착된다. CPA(32)가 공동구멍(30) 내에 장착되면 CPA(32)의 선단돌기(33)가 로크암의 얇은 홈(31a)의 단부에 부딪쳐 걸리고, 한쪽 고정돌기(34)가 제1 걸림구멍(291, 291)에 걸어 맞춰진다. 이 상태로 제1 커넥 터(26)가 제2 커넥터(27)에 찔러넣어지면, 제1 커넥터의 걸림돌기(26a)가 먼저 로크암(31) 선단의 아래쪽에 맞닿게 되고, 더욱 제1 커넥터가 찔어넣어지면, 걸림돌기(26a)가 로크암(31)의 얇은 홈(31a)에 도달하여 이 홈 내로 비집고 들어가고, CPA(32)의 선단돌기(33)를 밀어올려 로크암(31)의 얇은 홈(31a)의 단부와 선단돌기(33)와의 걸림이 어긋난다. 이 선단돌기(33)의 걸림이 어긋나면, CPA(32)의 밀어넣음이 가능하게 되어, 이 CPA를 밀어넣는다. 이 밀어넣음에 의해, CPA(32)의 고정돌기가 커버의 제2 걸림구멍에 걸어 맞춰져, 제1, 제2 커넥터가 정규(正規)상태로 결합되었던 것을 검지할 수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유럽특허출원공개 제EPO84O398A1호 명세서)에는 커넥터 하우징의 상면에 탄성을 가지는 스톱 윙(stop wing)을 설치한 걸림부재를 일체로 설치하고, 이 걸림부재에 CPA를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게 장착하여, 한 쌍의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검지할 수 있도록 한 전기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미국특허 제5,720,623호 명세서
[특허문헌 2] 유럽특허출원공개 제EPO84O398A1호 명세서
상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전기커넥터는 모두 제1, 제2 커넥터의 한쪽의 커넥터 하우징에 미리 CPA를 장착해 두고, 양제1, 제2 커넥터의 끼워맞춤결합시에 CPA의 밀어넣기를 시도하고, 이 밀어넣기로 CPA가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는 양커넥터가 정규의 끼워맞춤상태인 것이 검지되며, 도중에 걸렸을 때는 정규의 끼워맞춤위치가 아닌 불완전 결합상태인 것을 검지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전기커넥터는 제1, 제2 커넥터의 끼워맞춤과정에 있어서 양커넥터의 끼워맞춤상태를 검지하지 못하고, CPA의 밀어넣어에 의해서 반끼워맞춤상태라고 알았을 때에 재차 양커넥터의 끼워맞춤조작과 CPA의 장착과의 양쪽 모두의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이 조작은 때때로 작업자에게 불안감을 주는 일이 있다.
그리고, 전기커넥터의 사용형태에 따라서는 제1, 제2 커넥터의 끼워맞춤정도와 CPA의 밀어넣기조작의 정도와의 협동으로 양커넥터를 끼워맞추는 것이 끼워맞춤상황을 보다 확실히 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제1, 제2 커넥터의 끼워맞춤조작과 CPA의 조작을 몇 개의 스텝으로 나누고, 이러한 스텝을 거쳐 결합하는 것이 작업자에게 불안감을 주지 않고 결합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또, 상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전기커넥터는 CPA가 장착되는 커넥터는 모두 CPA가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므로, 커넥터 하우징의 높이가 커지게 된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전기커넥터는 CPA가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로 노출되므로, 이 CPAl에 물건 등이 충돌하여 파손 등 하는 일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이 안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커넥터의 끼워맞춤과정에서 양커넥터의 끼워맞춤상태를 검지할 수 있는 끼워맞춤 검지부재를 구비한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끼워맞춤 검지부재를 일부품으로 형성하여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함과 동시에 커넥터 하우징으로의 장착을 용이하게 한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형화를 도모한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원의 제1 형태에 관한 전기커넥터의 발명은 제1 컨택트 단자가 장착된 제1 커넥터와, 이 제1 컨택트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컨택트 단자가 장착된 제2 커넥터와, 이 제1, 제2 커넥터를 끼워맞춤 하고 이 끼워맞춤상태를 검지하는 끼워맞춤 검지부재를 구비한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컨택트 단자를 장착한 하우징의 외벽면에 제1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2 컨택트 단자를 장착한 내측하우징과, 상기 제1 커넥터의 차입구가 되는 부분을 제외한 이 내측하우징의 바깥 둘레를 가리는 외측하우징을 가지며, 이 내측하우징과 외측하우징과의 사이에는 상기 제1 커넥터가 찔러넣어지는 틈새를 개방함과 동시에 이 틈새와 연통하여 상기 끼워맞춤 검지부재가 삽입되는 수용구멍을 형성하고, 이 수용구멍 내에 한 쌍의 제1 스톱퍼돌 기와 제2 스톱퍼돌기와 일단을 상기 내측하우징에 고정해 선단부를 자유단으로 한 탄성변형가능한 로크암을 설치하며, 이 로크암에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제1 걸림돌기와 걸어 맞춰지는 걸어맞춤홈을 마련함과 동시에 상기 선단부의 양단에 각각 가압부 및 제1 스톱퍼를 구비하고, 상기 끼워맞춤 검지부재는 평행하게 대향하는 한 쌍의 탄성변형가능한 제1, 제2 지편(指片)을 가지며, 이 제1, 제2 지편은 각각의 대향면에 상기 로크암의 가압부가 밀어붙이는 작동부 및 상기 제1 스톱퍼에 걸어 맞춰지는 스톱퍼 걸어맞춤부를 설치하고, 상기 끼워맞춤 검지부재를 상기 제2 커넥터의 수용구멍 내의 상기 로크암과 상기 외측하우징간의 틈새에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게 장착하여, 상기 제1, 제2 커넥터 중 어느 한쪽의 커넥터를 다른 커넥터에 찔러넣어 상기 제1 걸림돌기에 의해 상기 로크암을 밀어올리는 커넥터 제1 찔러넣기조작, 이 끼워맞춤 검지부재를 이 수용구멍에 밀어넣는 검지부재 제1 밀어넣기조작, 또한 이 커넥터를 찔러넣어 상기 로크암이 밀어올림을 해제하는 커넥터 제2 찔러넣기조작, 이 끼워맞춤 검지부재를 더욱 밀어넣는 검지부재 제2 밀어넣기조작을 순서대로 실행하여 이 제1, 제2 커넥터를 끼워맞춤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제1, 제2 커넥터의 결합은 한쪽의 커넥터를 다른 커넥터에 찔러넣는 커넥터의 제1 찔러넣기조작 후에 끼워맞춤 검지부재를 제2 커넥터의 수용구멍에 밀어넣는 검지부재의 제1 밀어넣기조작을 실시하고, 이 제1 밀어넣기조작 후에 커넥터를 더욱 찔러넣는 커넥터의 제2 찔러넣기조작 후에 끼워맞춤 검지부재를 더욱 밀어넣는 검지부재의 제2 밀어넣기조작을 순서대로 거쳐 실시한다. 즉, 제1, 제2 커넥터의 결합은 커넥터의 제1 찔러넣기조작, 끼워맞춤 검지부재의 제1 밀어넣기조작, 커넥터의 제2 찔러넣기조작, 끼워맞춤 검지부재의 제2 밀어넣기조작을 거쳐 끼워맞춤결합하므로, 양커넥터의 결합은 각각의 커넥터의 찔러넣음 정도에 따라 끼워맞춤 검지부재의 밀어넣기가 가능하게 되어, 커넥터와 끼워맞춤 검지부재와의 연계조작에 의해 제1, 제2 커넥터의 결합을 확실히 실시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제2 커넥터의 결합은 양커넥터의 찔러넣기조작과 끼워맞춤 검지부재의 밀어넣기조작과의 교호(交互)한 연속한 조작으로 되고, 이 일련의 조작으로 양커넥터와 끼워맞춤 검지부재의 연계를 확인하면서 끼워맞춤할 수 있으므로 제1, 제2 커넥터의 결합이 확실히 된다.
또,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스톱퍼돌기는 상기 수용구멍의 상기 외측하우징의 내벽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시킨 소정 높이의 지주(支柱)돌기로 형성하고, 이 로크암이 상기 제1 커넥터의 제1 걸림돌기로 밀어올려질 때에 이 로크암의 선단부가 상기 지주돌기에 충돌하지 않도록 이 지주돌기와 상기 로크암의 선단부와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제1, 제2 스톱퍼돌기를 수용구멍의 외측하우징의 내벽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시킨 소정 높이의 지주돌기로 하는 것에 의해 돌기의 형성이 간단하게 된다. 또, 로크암이 제1 커넥터의 제1 걸림돌기로 밀어올려질 때에 이 로크암의 선단부가 지주돌기에 충돌하지 않도록 지주돌기와 로크암의 선단부와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수용구멍의 키높이를 낮게 할 수 있어 제2 커넥터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 검지부재는 상기 제1, 제2 지편의 일단을 연결부로 연결하고, 타단을 자유단으로 한 U자형으로 형성하며, 이 연결부를 밀어넣기 조작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끼워맞춤 검지부재를 U자형으로 하는 것에 의해 높이를 낮게 한 수용구멍에 수용할 수 있으므로,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 연결부를 밀어넣기 조작부로 하는 것에 의해 수용구멍으로의 삽입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또,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지편의 각 스톱퍼 걸어맞춤부는 상기 제2 커넥터의 스톱퍼돌기가 비집고 들어가는 크기의 오목부로 형성하고, 이 오목부의 내부 측벽면에 상기 제1 스톱퍼가 부딪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제1, 제2 지편의 스톱퍼 걸어맞춤부를 제2 커넥터의 스톱퍼돌기가 비집고 들어가는 크기의 오목부로 하는 것에 의해, 이 스톱퍼 걸어맞춤부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로크암의 가압부 및 상기 끼워맞춤 검지부재의 작동부는 각각 소정 각도의 경사면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로크암의 가압부 및 끼워맞춤 검지부재의 작동부를 각각 소정 각도의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이 경사면을 이용하여 끼워맞춤 검지부재를 부드럽게 확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제2 커넥터의 결합은 한쪽의 커넥터를 다른 커넥터에 찔러넣는 커넥터의 제1 찔러넣기조작 후에 끼워맞춤 검지부재를 제2 커넥터의 수용구멍에 밀어넣는 검지부재의 제1 밀어넣기조작을 실시하고, 이 제1 밀어넣기조작 후에 커넥터를 더욱 찔러넣는 커넥터의 제2 찔러넣기조작 후에 끼워맞춤 검지부재를 더욱 밀어넣는 검지부재의 제2 밀어넣기조작을 순서대로 거쳐 실시한다. 즉, 제1, 제2 커넥터의 결합은 커넥터의 제1 찔러넣기조작, 끼워맞춤 검지부재의 제1 밀어넣기조작, 커넥터의 제2 찔러넣기조작, 끼워맞춤 검지부재의 제2 밀어넣기조작을 거쳐 끼워맞춤결합하므로, 양커넥터의 결합은 각각의 커넥터의 찔러넣음 정도에 따라 끼워맞춤 검지부재의 밀어넣기가 가능하게 되어, 커넥터와 끼워맞춤 검지부재와의 연계조작에 의해 제1, 제2 커넥터의 결합을 확실히 실시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제2 커넥터의 결합은 양커넥터의 찔러넣기조작과 끼워맞춤 검지부재의 밀어넣기조작과의 교호한 연속한 조작으로 되고, 이 일련의 조작으로 양커넥터와 끼워맞춤 검지부재의 연계를 확인하면서 끼워맞춤할 수 있으므로 제1, 제2 커넥터의 결합이 확실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단,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전기커넥터를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이 전기커넥터에 특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그 외의 실시형태의 것도 동일하게 적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커넥터의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암컷형 커넥터 하우징의 일부 외벽을 절제한 사시도, 도 2(B)는 도 2(A) 의 절제한 하우징 내부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암컷형 커넥터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전기커넥터(1)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암컷형 컨택트 단자(12)가 수용되는 암컷형 커넥터 하우징(이하, 암컷형 하우징이라고 한다)(3)을 가지는 암컷형 커넥터(2)(제2 커넥터)와, 이러한 암컷형 컨택트 단자(12)(제2 컨택트 단자)에 접속되는 수컷형 컨택트 단자(19)(제1 컨택트 단자)가 수용되는 수컷형 커넥터 하우징(이하, 수컷형 하우징과, 한다)(15)을 가지는 수컷형 커넥터(14)(제1 커넥터)를 구비하고, 암컷형 커넥터(2)는 암컷형 하우징(3) 내에 수컷형 커넥터(14)와의 끼워맞춤상태를 검지하는 끼워맞춤 검지부재(이하, CPA라고 한다)(8)가 장착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하, 이 전기커넥터(1)를 구성하는 암컷형 커넥터(2), CPA(8) 및 수컷형 커넥터(14)를 순서대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 ~ 도 4를 참조하여 암컷형 커넥터의 구성을 설명한다.
암컷형 커넥터(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암컷형 컨택트 단자(12)와, 이러한 암컷형 컨택트 단자(12)가 수용되는 암컷형 하우징(3)과, 이 암컷형 하우징(3) 내에 장착되는 CPA(8)와, 암컷형 하우징(3) 내에 암컷형 컨택트 단자(12)가 정확하게 장착되었는지 아닌지를 검지하는 단자검지부재(10)(이하, TPA라고 한다)와, 암컷형 하우징(3)의 뒤쪽 단부에 장착되는 커버부재(11)와, 암컷형 컨택트 단자(12)가 삽입되어 그 바깥 둘레를 밀봉하여 물 등의 침수를 저지하는 씰(seal)부재(9)와, 수컷형 커넥터(14)와의 결합시에 물 등의 침수를 저지하는 씰 부재(13)를 가지고 있다.
암컷형 하우징(3)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컷형 컨택트 단자(12)가 장착되는 내측하우징(4)과, 이 내측하우징(4)의 전후를 제외한 외주 측벽면을 가리는 외측하우징(5)을 가지고, 내측하우징(4)과 외측하우징(5)은 그 하우징 사이에 소정의 틈새를 두고 양하우징(4, 5)의 후방부에서 결합되고 있다. 이 암컷형 하우징(3)은 전기절연성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성형체로 형성되어 있다.
내측하우징(4)은 소정의 가로 폭, 높이 및 깊이를 가지는 직방체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후방부에는 커버부재(11)가 장착되는 돌출부(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내측하우징(4)에는 길이방향의 전방에서부터 후방의 돌출부(4A) 방향으로 향하여, 복수 개의 암컷형 컨택트 단자(12)가 장착되는 복수 개의 관통구멍으로서 장착구멍(42)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 개의 암컷형 컨택트 단자(12)는 돌출부(4A) 측의 각각의 장착구멍(42)으로부터 삽입 부착된다. 또, 이 돌출부(4A)의 측벽면에는 커버부재(11)가 걸리는 걸림돌기(4A1)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하우징(4)의 측벽에는 TPA(10)가 삽입되는 장착구멍(6)이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외측하우징(5)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하우징(4)의 외주벽면을 가리는 외주벽(5A ~ 5D)으로 가려, 전방에 수컷형 커넥터(14)의 수컷형 하우징(15)이 찔러넣어지는 차입구가 형성되고, 후방이 내측하우징(4)의 후방벽(41)에 이어져 있다. 외주벽(5A ~ 5D)은 상벽(5A), 저벽(5B) 및 양측벽(5C, 5D)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측 및 외측하우징(4, 5) 사이에는 수컷형 하우징(15)이 찔러넣어지는 차입틈새(S1) 및 CPA(8)가 삽입되는 수용구멍(S2)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하우징(5) 상벽(5A)은 CPA(8)의 파지부가 삽입되도록 후방부(5A')의 일부가 절제되어 수용구멍(S2)의 내부가 노출되어 있다(도 1 참조).
수용구멍(S2)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하우징(4) 상벽면과 외측하우징(5) 상벽(5A)과의 사이에 CPA(8) 외에 후술하는 로크암(7)이 설치되는 크기로 되어 있다. 이 수용구멍(S2)은 틈새(H1) 및 폭길이(W1)를 가지고 있다. 이 중, 틈새(H1)는 로크암(7)의 이면과 내측하우징(4) 상벽면(4B)과의 사이의 틈새(H3)와, 로크암(7)의 상면과 외측하우징(5)의 상벽(5A)의 이면 사이의 틈새(H2)에 판두께(D)가 더해진 높이로 되어 있다. 또, 이 수용구멍(S2)의 폭길이(W1)는 CPA(8)의 폭길이보다 약간 큰 폭으로 형성되어 CPA(8)의 삽입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상벽(5A)의 이면은 수용구멍(S2) 내에 있어서 내측하우징(4)의 상벽면(4B)에 대해서 위쪽에 위치한 천장벽면(5A0)으로 되어 있다.
로크암(7)은 소정의 두께(D), 가로 폭 및 길이를 가지는 혀 모양의 탄성판상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로크암(7)은,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부(基 部)(7D)가 내측하우징(4)의 후방벽에 형성되고, 이 기부(7D)로부터 앞쪽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것으로 되어 있다. 두께(D)는 탄성변형하는 두께를 가짐과 동시에, 수평의 연장한 상태에서는 각 제1 천장돌기(51, 51)(제1 스톱퍼돌기)에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가로 폭은 수용구멍(S2)의 폭길이(W1)보다 짧게 되어 있다.
이 로크암(7)은 대략 중앙부에 수컷형 하우징(15)의 걸림돌기(16)가 걸어 맞춰지는 걸어맞춤홈(7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홈(71)은 양측변(7A, 7B) 및 전방의 선단부(7C)로 둘러싸여 있다. 선단부(7C)는 그 양측의 측벽면에 후술하는 CPA(8)의 지편의 경사면과 맞닿아 이 지편을 넓히는 작용을 하는 경사면(72)이 형성되고 있다(도 2(B)참조). 또한, 도 2(B)에서는, 일측벽의 경사면(72)을 도시하고 있지만, 선단부의 타단 측에도 이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사면(72)은 후술하는 CPA(8)의 제1, 제2 지편(8A, 8B)을 확대하는 가압부로 되어 있다. 또, 선단부(7C)의 뒤쪽에는 턱부(jutting part)(74)가 형성되어 있다(도 7(B) 참조). 이 턱부(74)는 이 CPA(8)의 밀어넣기를 일시적으로 걸리게 하는 이른바 스톱퍼로 되어 있다.
이 로크암(7)은 그 기부(7D)가 내측하우징(4)의 뒷벽에 형성되어 선단부(7C)가 자유단으로 되고, 기부(7D)를 기점으로 하여 위쪽으로 탄성변형가능하게 되어 있 다. 이 구성에 의해, 수컷형 커넥터(14)와의 결합시에 수컷형 하우징(15)이 찔어넣어지면 그 걸림돌기(16)가 선단부(7C)에 맞닿고, 이 맞닿음에 의해 로크암(7)은 기부(7D)를 기점으로 하여 위쪽으로 밀어올려진다. 이 밀어올림에 의해 선단부(7C)의 돌출한 양측벽면의 각 경사면(72, 72)이 CPA(8)의 경사면(80, 80)에 맞닿아, CPA(8)의 제1, 제2 지편(8A, 8B) 사이의 틈새를 확대한다. 더욱 수컷형 하우징(15)이 밀어넣어지면, 걸림돌기(16)가 선단부(7C)를 미끄러지면서 선단부(7C)의 이면(73)을 미끄러지면서 통과하여 걸어맞춤홈(71)에 비집고 들어간다. 걸림돌기(16)가 걸어맞춤홈(71)에 비집고 들어가면, 로크암(7)은 자신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강하하여 걸림돌기(16)에 걸어맞춰져 수컷형 하우징(15)이 암컷형 하우징(3)에 걸린다.
수용구멍(S2) 내에는,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장벽면(5A0)에 그 벽면에서부터 아래쪽으로 향하여 돌출한 3개의 천장돌기(51, 51, 52)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1 천장돌기(51, 51)는 주상(柱狀)돌기로 이루어지고, 수용구멍(S2)의 앞쪽에 위치하여 후술하는 CPA(8)의 밀어넣기를 규제하는 기능을 한다. 제2 천장돌기(52)(제2 스톱퍼돌기)는 수용구멍(S2)의 뒤쪽, 즉 암컷형 컨택트 단자(12) 접속 측에 위치하여 CPA(8)의 얇은 홈과 대치(對峙)한다. 이러한 제1, 제2 천장돌기(51, 52)는 로크암(7)의 이동의 장해가 되지 않는 개소에 설치되어 그 높이도 로크암(7) 에 접촉하지 않는 높이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CPA(8)의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도 4는 도 3의 CPA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CPA(8)는 사이에 소정의 틈새(8G)를 두고 평행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탄성변형가능한 제1, 제2 지편(8A, 8B)과 이러한 지편의 일단을 잇는 연결부(8C)를 가지고, 각 지편(8A, 8B) 단부가 개방해 전체 형상이 U자형을 이루고, 전기절연성의 합성수지 성형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CPA(8)는 길이방향의 길이(L1), 폭 길이(W3)를 가지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상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연결부(8C)는 손가락끝으로 파지하기 쉬운 크기의 파지부로 되어 있다. 이 파지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암컷형 하우징(3)의 수용구멍(S2)으로의 삽입이 용이하게 된다. 틈새(8G)는 U자 모양의 입구가 넓은 틈새(8G1)와 안쪽부가 폭이 좁은 얇은 홈(8G2)으로 형성되어 있다.입구의 틈새(8G1)는 입구로부터 거리(L2) 쑥 들어간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거리(L2)는 길이(L1)의 대략 반으로 되어 있다.
간격(W4)은 한 쌍의 천장돌기(51, 51) 사이의 간격(W2)보다 약간 좁게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즉, 이 틈새(W4)는 천장돌기(51, 51) 사이의 틈새(W2)보다 좁게(W4 < W2) 형성되지만, 각 지편(8A, 8B)이 바깥쪽으로 확장되었을 때에 이 틈 새(W4)가 틈새(W2)보다 크게(W4 > W2)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틈새(W4, W2)를 상기와 같이 설정하면, CPA(8)를 수용구멍(S2)에 삽입했을 때에는 CPA(8)의 각 선단부(8T, 8T)가 각 천장돌기(51, 51)에 충돌하여 그 이상의 삽입이 걸려져서, 또 이 각 지편(8A, 8B)이 확장하는 것에 의해, 이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또, 틈새(8G2)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각 지편(8A, 8B)의 탄성변형이 용이하게 된다. 또, 수용구멍(S2)에 CPA(8)가 삽입되었을 때에 이 틈새(8G2)에 천장돌기(52)가 비집고 들어가 위치 결정의 기능을 한다.
여기서 한 쌍의 제1, 제2 지편(8A, 8B)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하에는 한쪽의 지편(8A)에 대해 설명한다.
지편(8A)은 연결부(8C)로부터 앞쪽으로 연장하여 설치되고, 도중부터 내측벽면이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되어 있다. 즉, 이 지편(8A)은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선단부(8T)와, 이 선단부로부터 약간 들어간 개소의 내벽면에 형성한 오목부(8D)를 가지고 있다. 선단부(8T)는 평탄면으로 이루어진 단부(81)와, 내측벽면에서부터 아래쪽으로 향하여 예각으로 경사지게 형성한 경사면(80)을 가지고 있다. 이 경사면(80)은 수컷형 커넥터(14)와의 결합시에 암컷형 하우징(3)의 로크암(7)의 경사면(72)이 맞닿아져, 이 지편(8A)을 바깥쪽으로 탄성변형시키는 기능을 하는 이른바 작동부로 되어 있다. 오목부(8D)는 천장돌기(51)가 비집고 들어가는 크기를 가지고, 이른바 스톱퍼 걸어맞춤부로서 이 천장돌기(51)가 끼워 넣어져 걸어 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이 오목부(8D)의 한쪽의 측벽면, 즉 연결부(8C)에 가까운 측의 측벽면(82)은 로크암(7)의 턱부(74)(도 6 참조)와 충돌하여, CPA(8)의 삽입을 저지하는 스톱퍼로 되어 있다. 이 오목부(8D)는 천장돌기와의 걸어맞춤 및 로크암(7)의 턱부(74)에 부딪쳐, 일시 밀어넣기를 저지하는 스톱퍼의 기능을 가진 스톱퍼 걸어맞춤부로 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암컷형 컨택트 단자, TPA, 커버부재 및 씰부재를 설명한다.
암컷형 컨택트 단자(12)는 암컷형 컨택트(12A) 및 이 암컷형 컨택트(12A)에 접속된 리드선(12B)으로 구성되어 있다. 커버부재(11)는 내측하우징(4)의 돌출부(4A)에 끼워 넣어지는 크기의 상자형을 이루고, 전기절연성의 수지 성형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커버부재(11)는 저벽(11A)에 장착구멍(42)에 연통하는 삽통(揷通)구멍(1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저벽(11A)으로부터 연장하여 외주벽에는 복수 개의 얇은 홈 및 대향하는 측벽에 걸어맞춤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외주벽에 복수 개의 얇은 홈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탄성변형이 용이하게 되어 돌출부로의 장착이 간단하게 된다. 씰부재(9)는 내부에 암컷형 컨택트 단자를 삽입하여 통하게 하는 삽통 구멍(9A)을 가지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탄성재, 예를 들면 고무재로 형성되어 있다. 씰부재(13)는 내측하우징(4)의 외주위에 압입(壓入)되어, 수컷형 커넥터(14)와의 사이에서 밀봉하는 것으로, 내부에 내측하우징(4)을 삽입하여 통하게 하는 열린 구멍(13A)을 가지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탄성재, 예를 들면 고무재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암컷형 커넥터(2)의 조립을 설명한다.
먼저, 커버부재(11) 및 씰부재(9)의 각 삽통구멍(9A)에 각각 암컷형 컨택트 단자(12)를 삽입하여 통하게 하여, 씰부재(9)를 내측하우징(4)의 돌출부(4A)에 맞닿게 하고, 이 돌출부(4A)에 커버부재(11)를 걸어 암컷형 컨택트 단자(12)를 암컷형 하우징(3) 내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외측하우징(5)의 절개홈(5D1)으로부터 TPA(10)를 찔러넣고, 각 컨택트 단자(12)를 암컷형 하우징(3) 내에 위치결정하여 고정한다. 그 후, 암컷형 하우징(3)의 뒤쪽으로부터 CPA(8)의 제1, 제2 지편(8A, 8B)을 수용구멍(S2)에 찔러 넣는다. 이 찔러넣음에 의해, CPA(8)의 선단부(8T, 8T)가 천장돌기(51, 51)에 부딪쳐 블록(block)된다. 이것에 의해, 암컷형 커넥터(2)의 조립을 완료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수컷형 커넥터를 설명한다. 또한, 도 5는 수컷형 커넥터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수컷형 커넥터(14)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수컷형 컨택트 단자(19)와, 이러한 수컷형 컨택트 단자(19)가 수용되는 수컷형 하우징(15)과, 이 수컷형 하우징(15) 내에 수컷형 컨택트 단자(19)가 정확하게 장착되었는지 아닌지를 검지하는 단자검지부재(20)(이하, TPA라고 한다)와, 수컷형 하우징(15)의 뒤쪽, 즉 수컷형 컨택트 단자(19) 접속 측의 단부에 장착되는 커버부재(18)와, 수컷형 컨택트 단자(19)가 삽입되어 그 바깥 둘레를 밀봉하여 물 등의 침수를 방지하는 씰부재(17)를 가지고 있다.
수컷형 하우징(15)은 외주벽(15A ~ 15D)을 가지고, 암컷형 하우징(3)의 내측하우징(4)과 외측하우징(5)과의 틈새에 삽입할 수 있는 크기의 통상체(筒狀體)로 이루어지고, 전기절연성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 수컷형 하우징(15)에는 위쪽의 외주벽(15A)에 1개의 걸림돌기(16)가 설치되어 있다.
수컷형 커넥터(14)의 조립은, 먼저, 커버부재(18) 및 씰부재(17)의 각 삽통구멍에 각각 암컷형 컨택트 단자(12)를 삽입하여 통하게 하여, 씰부재(17)를 수컷형 하우징(15) 내에 삽입하고, 커버부재(18)를 걸어 수컷형 컨택트 단자(19)를 수컷형 하우징(15) 내에 삽입한다. 그 다음에, 수컷형 하우징(15)의 앞쪽에서부터 단자검지부재(20)를 장착부재(21)와 함께 장착하여 수컷형 커넥터(14)의 조립을 완료한다.
다음에, 주로 도 6 ~ 도 9를 참조하여, 암컷형 커넥터와 수컷형 커넥터와의 접속 및 CPA(8)의 작용을 설명한다. 또한, 도 6 ~ 도 9는 암컷형 커넥터와 수컷형 커넥터와의 접속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로서, 도 6은 암컷형 커넥터에 수컷형 커넥 터를 찔러넣은 최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A)는 도 6의 상태로부터 더욱 수컷형 커넥터를 찔러넣은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B)는 도 7(A)의 X부분의 확대도, 도 8은 도 7의 상태로부터 더욱 CPA를 찔러넣은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A)는 도 8의 상태로부터 더욱 수컷형 커넥터를 찔러넣은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B)는 최종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컷형 커넥터(2)에는, 미리 암컷형 하우징(3)의 수용구멍(S2)에 CPA(8)를 장착해 둔다. 이 CPA(8)의 장착은 수용구멍(S2)으로의 찔러넣기에 의해 행해진다. 암컷형 하우징(3)의 수용구멍(S2)에 CPA(8)를 찔러넣으면, 도 2,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A(8)의 각각의 선단부(8T, 8T)가 수용구멍(S2) 내의 각 천장돌기(51, 51)에 부딪치고, 이 상태로 CPA(8)가 수용구멍(S2) 내에 장착된다. CPA(8)가 장착된 암컷형 하우징(3)에 수컷형 커넥터(14)의 수컷형 하우징(15)을 찔러넣는다. 이 최초의 찔러넣기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컷형 하우징(15)의 걸림돌기(16)가 암컷형 하우징(3)에 설치한 로크암(7)의 선단부(7C)의 이면(73)에 맞닿게 된다. 또, 이 단계에서는 CPA(8)의 오목부(8D)의 측벽면(82)과 수용구멍(S2) 내의 로크암(7)의 턱부(74)와의 사이에 갭(GA)이 벌어져 있다. 또한, CPA(8) 및 로크암(7)에는 각각 쌍을 이룬 오목부(8D) 및 턱부(74)가 형성되어 있지만, 도 6 ~ 도 9에서는 커넥터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하고 있으므로, 이하 이러한 쌍을 이루는 부재, 예를 들면 오목부(8D) 및 턱부(74) 등 쌍 으로 이루어져 있는 부재는 그 한쪽을 도시하여 설명한다.
우선, 수컷형 하우징(15)을 암컷형 하우징(3)으로 밀어넣는 커넥터의 제1 찔러넣기조작을 실시한다. 이 찔러넣기조작에 의해, 수컷형 하우징(15)의 걸림돌기(16)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컷형 하우징(3)에 설치한 로크암(7)의 선단부(7C)의 이면(73)을 밀어올린다. 이 밀어올림에 의해, 로크암(7)은 기부(7D)를 기점으로 하여 위쪽으로 탄성변형된다. 이 로크암(7)의 위쪽으로의 탄성변형에 의해, 선단부(7C)의 양측벽면의 경사면(72)이 CPA(8)의 경사면(80)에 맞닿아 CPA(8)의 지편(8A)을 바깥쪽으로 확대한다. 이 지편(8A)이 확대되면, 지금까지 지편(8A)의 선단부(8T)가 천장돌기(51)에 부딪쳐 CPA(8)의 밀어넣기이동이 걸려 있었던 것이 이 지편(8A)의 확대에 의해 선단부(8T)가 천장돌기(51)에 의한 걸림상태로부터 어긋나 CPA(8)의 밀어넣기가 가능하게 된다. 그래서, CPA(8)를 수용구멍(S2) 내로 밀어넣는 CPA의 제1 밀어넣기조작을 실시한다.
이 밀어넣기조작에 의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8D)의 측벽면(82)이 로크암(7)의 턱부(74)에 부딪쳐 이 밀어넣기가 일시적으로 걸린다. 이 밀어넣기량은 갭(GA)만큼으로 되고, 한쪽 CPA(8)의 선단부(8T)가 천장돌기(51)의 외측면과 이 갭(GA)과 동일한 갭(GA')만큼으로 접촉한 상태가 된다. 이 CPA의 제1 밀어넣기조작 후에 수컷형 하우징(15)을 밀어넣는 커넥터의 제2 찔러넣기조작을 실시한 다.
이 찔러넣기조작에 의해, 수컷형 하우징(15)의 걸림돌기(16)는,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돌기(16)의 선단부가 로크암(7)의 이면(73)을 미끄러지면서 통과하여 걸어맞춤홈(71)에 비집고 들어간다. 걸림돌기(16)가 걸어맞춤홈(71)에 비집고 들어가면, 로크암(7)은 자신의 탄성복원력에 강하하여 걸림돌기(16)와 걸어 맞춰진다. 동시에, CPA(8)의 오목부(8D)의 측벽면(82)가 로크암(7)의 턱부(74)에 부딪치고 있었던 것이 해제되어 CPA(8)의 밀어넣기가 가능하게 된다. 그래서, CPA(8)를 수용구멍(S2) 내에 더욱 밀어넣는 CPA의 제2 밀어넣기조작을 실시한다.
이 제2 밀어넣기조작에 의해,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A(8)의 오목부(8D)가 천장돌기(51)에 비집고 들어가 CPA(8)가 걸린다. 이것에 의해, 수컷형 하우징(15)이 암컷형 하우징(3) 내에 정확하게 결합되고, 수컷형 커넥터(14)와 암컷형 커넥터(2)와의 접속이 완료해 접속이 고정된다. 또한, 수컷형 커넥터(14)의 떼어내기는 암컷형 하우징(3)의 수용구멍(S2) 내에 공구를 찔러넣어 CPA(8)의 고정을 어긋나게 하여 수컷형 커넥터(14)를 뽑아 내 떼는 것으로 실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암컷형 커넥터(2)와 수컷형 커넥터(14)는, 한쪽의 커넥터를 다른 커넥터에 찔러넣어 제1 걸림돌기에 의해 로크암을 밀어올리는 커넥터 제1 찔러넣기조작, 끼워맞춤 검지부재를 제2 커넥터의 수용구멍으로 밀어넣는 검지부재 제1 밀어넣기조작, 또한 이 커넥터를 찔러넣어 상기 로크암의 밀어올리기 를 해제하는 커넥터 제2 찔러넣기조작, 끼워맞춤 검지부재를 더욱 밀어넣는 검지부재 제2 밀어넣기조작의 각 조작을 순서대로 실행하여 끼워맞춤 접속을 실시한다.
이상으로부터, 암컷형 커넥터(2)와 수컷형 커넥터(14)는 커넥터의 제1 찔러넣기조작, 끼워맞춤 검지부재의 제1 밀어넣기조작, 커넥터의 제2 찔러넣기조작, 끼워맞춤 검지부재의 제2 밀어넣기조작을 거쳐 끼워맞춤하므로, 제1, 제2 커넥터의 결합은 양커넥터의 찔러넣음 정도에 따라 끼워맞춤 검지부재의 밀어넣기가 가능하게 되고, 양커넥터와 끼워맞춤 검지부재와의 연계조작에 의해 제1, 제2 커넥터의 결합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암컷형 커넥터(2)와 수컷형 커넥터(14)와의 결합은 양커넥터의 찔러넣기조작과 끼워맞춤 검지부재의 밀어넣기조작과의 교호의 연속한 조작이 이루어지고, 이 일련의 조작으로 양커넥터와 끼워맞춤 검지부재의 연계를 확인하면서 끼워맞춤하므로 양커넥터의 결합이 작업자에게 불안감을 주는 일 없이 확실히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전기커넥터를 암컷형 커넥터 하우징의 일부 외벽을 절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절제한 하우징 내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암컷형 커넥터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CPA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수컷형 커넥터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암컷형 커넥터에 수컷형 커넥터를 찔러넣은 최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6의 상태로부터 더욱 수컷형 커넥터를 찔러넣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B)는 도 7(A)의 X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로부터 더욱 CPA를 밀어넣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A)는 도 8의 상태로부터 더욱 수컷형 커넥터를 찔러넣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B)는 도 9(A)의 상태로부터 더욱 CPA를 밀어넣은 최종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 기술의 전기커넥터의 외관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전기커넥터
2 암컷형 커넥터(제2 커넥터)
3 암컷형(커넥터) 하우징
4 내측하우징
5 외측하우징
51, 52 제1, 제2 천장돌기(제1, 제2 스톱퍼돌기)
S2 수용구멍
7 로크암
71 걸어맞춤홈
72 경사면(가압부)
74 턱부(제1 스톱퍼)
7C 선단부
8 끼워맞춤 검지부재(CPA)
8A, 8B 제1, 제2 지편
8C 연결부(조작부)
8D 오목부(스토퍼 걸림부)
8T 선단부
80 경사면(작동부)
10 단자검지부재(TPA)
12 암컷형 컨택트 단자(제2 컨택트 단자)
14 수컷형 커넥터(제1 커넥터)
15 수컷형(커넥터) 하우징
16 걸림돌기
19 제1 컨택트 단자
S1 틈새

Claims (5)

  1. 제1 컨택트 단자가 장착된 제1 커넥터와, 이 제1 컨택트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컨택트 단자가 장착된 제2 커넥터와, 이 제1, 제2 커넥터를 끼워맞춤 하고 이 끼워맞춤상태를 검지하는 끼워맞춤 검지부재를 구비한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컨택트 단자를 장착한 하우징의 외벽면에 제1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2 컨택트 단자를 장착한 내측하우징과, 상기 제1 커넥터의 차입구(差入口)가 되는 부분을 제외한 이 내측하우징의 바깥 둘레를 가리는 외측하우징을 가지고, 이 내측하우징과 외측하우징과의 사이에는 상기 제1 커넥터가 찔러넣어지는 틈새를 벌림과 동시에, 이 틈새에 연통하여 상기 끼워맞춤 검지부재가 삽입되는 수용구멍을 형성하며, 이 수용구멍에 한 쌍의 제1 스톱퍼돌기와 제2 스톱퍼돌기와 일단을 상기 내측하우징에 고정해 선단부를 자유단으로 한 탄성변형 가능한 로크암을 설치하고, 이 로크암에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제1 걸림돌기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홈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선단부의 양단에 각각 가압부 및 제1 스톱퍼를 구비하며,
    상기 끼워맞춤 검지부재는,
    평행하게 대향하는 한 쌍의 탄성변형 가능한 제1, 제2 지편(指片)을 가지고, 이 제1, 제2 지편은 각각의 대향면에 상기 로크암의 가압부가 닿는 작동부 및 상기 제1 스톱퍼에 걸어맞춰지는 스톱퍼 걸어맞춤부를 설치하며,
    상기 끼워맞춤 검지부재를 상기 제2 커넥터의 수용구멍 내의 상기 로크암과 상기 외측하우징 사이의 틈새에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게 장착하여, 상기 제1, 제2 커넥터의 어느 한쪽의 커넥터를 다른 커넥터에 찔러넣어 상기 제1 걸림돌기에 의해 상기 로크암을 밀어올리는 커넥터 제1 찔러넣기조작, 이 끼워맞춤 검지부재를 이 수용구멍에 밀어넣는 검지부재 제1 밀어넣기조작, 또한 이 커넥터를 찔러넣어 상기 로크암의 밀어올림을 해제하는 커넥터 제2 찔러넣기조작, 이 끼워맞춤 검지부재를 더욱 밀어넣는 검지부재 제2 밀어넣기조작을 순서대로 실행하여 이 제1, 제2 커넥터를 끼워맞춤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스톱퍼돌기는 상기 수용구멍 내의 상기 외측하우징의 내벽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벌려 돌출시킨 소정 높이의 지주(支柱)돌기로 형성하고, 이 로크암이 상기 제1 커넥터의 제1 걸림돌기로 밀어올려질 때에 이 로크암의 선단부가 상기 지주돌기에 충돌하지 않도록 이 지주돌기와 상기 로크암의 선단부와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 검지부재는 상기 제1, 제2 지편의 일단을 연결부로 연결하고, 타단을 자유단으로 한 U자형으로 형성하며, 이 연결부를 밀어넣기 조작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지편의 각 스톱퍼 걸어맞춤부는 상기 제2 커넥터의 스톱퍼돌기가 비집고 들어가는 크기의 오목부로 형성하고, 이 오목부의 내부 측벽면에 상기 제1 스톱퍼가 부딪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크암의 가압부 및 상기 끼워맞춤 검지부재의 작동부는 각각 소정 각도의 경사면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KR1020080071729A 2007-07-31 2008-07-23 전기커넥터 KR200900130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200705546-0A SG149732A1 (en) 2007-07-31 2007-07-31 Electric connector
SG200705546-0 2007-07-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048A true KR20090013048A (ko) 2009-02-04

Family

ID=39884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729A KR20090013048A (ko) 2007-07-31 2008-07-23 전기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44081B2 (ko)
EP (1) EP2020704A3 (ko)
JP (1) JP2009038010A (ko)
KR (1) KR20090013048A (ko)
CN (1) CN101359794A (ko)
SG (1) SG1497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3784A1 (en) * 2012-11-08 2014-05-15 Ls Cable & System Ltd. Connector and connection device for high voltage power supply having the connecto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89705A (zh) * 2009-07-30 2011-03-23 上海先锋电声器材有限公司 连接器的连接结构及具备该连接结构的汽车
US7762854B1 (en) * 2009-05-19 2010-07-27 F Time Technology Industrial Co., Ltd. RF connector assembly
EP2485341B1 (en) * 2009-09-29 2017-01-25 Yazaki Corporation Locking mechanism for molded resin component
JP5524728B2 (ja) * 2010-06-10 2014-06-1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結合検知手段を有するコネクタ
JP5724896B2 (ja) * 2011-02-28 2015-05-2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923898B2 (ja) * 2011-08-30 2016-05-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
US9496665B2 (en) 2012-02-09 2016-11-15 Apple Inc. Connector receptacle with side ground contacts
DE102012012527B4 (de) * 2012-06-26 2015-05-21 Krohne Analytics Gmbh Messvorrichtung zum Bestimmen einer Prozessgröße
US8926355B2 (en) * 2012-06-29 2015-01-06 Lear Corporatio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for a connector assembly
US9065212B2 (en) * 2012-08-29 2015-06-23 Apple Inc. Connector architecture and insertion profile
JP5768802B2 (ja) 2012-11-14 2015-08-2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12223739B4 (de) * 2012-12-19 2016-09-29 Tyco Elektronics Amp Gmbh Steckverbinder und Steckverbindersystem
DE102013205447B4 (de) * 2013-03-27 2022-06-09 Lisa Dräxlmaier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sowie elektrische Steckverbindung mit einem solchen Steckverbinder
US9203183B2 (en) * 2013-07-30 2015-12-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6008250B2 (ja) * 2013-08-05 2016-10-1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479063B1 (ko) 2013-08-08 2015-01-1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JP2015082363A (ja) * 2013-10-21 2015-04-2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9054458B1 (en) 2014-02-10 2015-06-09 Yazaki North America, Inc.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US9281619B2 (en) * 2014-04-11 2016-03-08 Delphi Technologies, Inc. Vibration resistant connector system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US10050382B2 (en) * 2014-04-14 2018-08-14 Fci Usa Llc Crimp-to-wir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9397445B1 (en) * 2015-04-15 2016-07-1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EP3089280A1 (en) * 2015-04-29 2016-11-02 Delphi International Operations Luxembourg S.à r.l. Electrical connector system comprising a secondary locking device
US9705228B2 (en) * 2015-08-20 2017-07-11 Delphi Technologies, Inc. Connector system with disconnection evident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feature
JP6198793B2 (ja) * 2015-09-16 2017-09-2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109955B2 (en) * 2016-01-14 2018-10-23 J.S.T.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having a male housing and a female housing with ribs
US10673169B2 (en) 2016-01-14 2020-06-02 J.S.T. Corporation Method of operating MSL connector series
US10622746B2 (en) 2016-01-15 2020-04-14 J.S.T. Corporation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and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JP6288125B2 (ja) * 2016-03-03 2018-03-07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
FR3049118A1 (fr) * 2016-03-15 2017-09-22 Tyco Electronics France Sas Dispositif d'assurance de position de connecteur, boitier de connecteur et systeme de connecteur electrique
JP6422908B2 (ja) * 2016-03-15 2018-11-1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038278B2 (en) * 2016-03-17 2018-07-31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element
US9680256B1 (en) * 2016-03-17 2017-06-13 Te Connectivity Corporation Connector system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JP6571119B2 (ja) * 2017-01-13 2019-09-0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9935389B1 (en) * 2017-02-23 2018-04-0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Inline connector housing assemblies with removable TPA
JP6574804B2 (ja) * 2017-03-27 2019-09-11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部品
US10454209B2 (en) * 2017-05-01 2019-10-22 J.S.T. Corporatio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a connector apparatus having male and female connector assemblies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a male connector assembly, a female connector assembly, and a method for assembling the connector apparatus
US10855025B2 (en) 2017-05-01 2020-12-01 J.S.T. Corporatio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connector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connector system
WO2018225527A1 (ja) * 2017-06-06 2018-12-13 日本端子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JP2019008970A (ja) * 2017-06-23 2019-01-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N111262077B (zh) * 2017-06-23 2022-01-14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源连接器
US10038269B1 (en) * 2017-06-29 2018-07-31 Cisco Technology, Inc. Self-locking electrical cable retainer
WO2019048602A1 (de) * 2017-09-07 2019-03-14 Hirschmann Automotive Gmbh Steckverbinder mit verriegelungshaken zur festlegung seines kontaktträgers in seinem aussengehäuse
US10109950B1 (en) * 2017-09-13 2018-10-23 Delphi Technologies, Inc. High vibration connector with a connector-position-assurance device
CN107706666B (zh) * 2017-09-19 2023-04-21 河南天海电器有限公司 一种维修开关电连接器及其安装方法
US10116095B1 (en) * 2017-10-26 2018-10-30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position assurance device
DE112018006608T5 (de) * 2017-12-26 2020-09-0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Verbinder
DE112018006609T5 (de) * 2017-12-26 2020-09-17 Sumitomo Wiring Systems, Ltd. Verbinder
US10355414B1 (en) 2018-02-08 2019-07-16 Delphi Technologies, Llc Connector with 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US11374356B2 (en) * 2018-03-12 2022-06-28 J.S.T. Corporatio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JP7091749B2 (ja) * 2018-03-20 2022-06-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186803B1 (en) * 2018-04-05 2019-01-22 Delphi Technologies, Llc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or lock
US10630016B2 (en) * 2018-04-11 2020-04-21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housing assembly having an anti-rotational locking structure
US10404012B1 (en) * 2018-04-20 2019-09-03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element
CN108879164B (zh) * 2018-06-29 2019-06-28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汽车线束插件
CN108879165B (zh) * 2018-06-29 2019-08-06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汽车线束插件
JP6876659B2 (ja) * 2018-08-24 2021-05-2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構造
CN209045863U (zh) * 2018-10-19 2019-06-28 矢崎(中国)投资有限公司 端子保持器以及连接器
US10505314B1 (en) * 2018-11-02 2019-12-10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for a shrouded latch
FR3088491B1 (fr) * 2018-11-12 2021-12-03 Raydiall Boitier de connecteur equipe d'un dispositif d'assurance de position de terminal de cable (tpa) ameliore
JP2020080271A (ja) * 2018-11-14 2020-05-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20080270A (ja) * 2018-11-14 2020-05-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9546406B (zh) * 2018-11-29 2020-05-05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汽车线束插件
US11251560B2 (en) * 2019-03-11 2022-02-15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with multiple latches
JP7063848B2 (ja) 2019-06-04 2022-05-09 矢崎総業株式会社 ハウジング
JP2021005447A (ja) * 2019-06-25 2021-01-1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嵌合位置保証部材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7073422B2 (ja) * 2020-01-16 2022-05-2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7345991B2 (ja) * 2020-02-21 2023-09-1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嵌合構造
US11394151B2 (en) * 2020-10-01 2022-07-19 Aptiv Technologies Limited Primary locks with terminal serviceablity features for mixed connection coaxial cables
US11837806B2 (en) * 2020-12-09 2023-12-05 Lear Corporation Grounding electrical connector
CN113571940B (zh) * 2021-04-30 2023-08-11 安波福连接器系统(南通)有限公司 端子位置保持器、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311B2 (ja) * 1988-04-06 1995-04-26 アンプ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US5720623A (en) * 1996-06-10 1998-02-24 General Motors Corporation Position assurance electrical connector
JPH10112356A (ja) * 1996-10-07 1998-04-28 Yazaki Corp 半嵌合防止コネクタ
EP0840398B1 (en) 1996-11-04 2007-01-24 Molex Incorporated Housing adapted to an electrical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system
US6068507A (en) * 1996-11-04 2000-05-30 Molex Incorporated Housing adapted to an electrical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system
JP2002164125A (ja) * 2000-11-27 2002-06-0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6435895B1 (en) * 2001-04-27 2002-08-20 Delphi Technologies, Inc.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US6780045B2 (en) * 2002-03-06 2004-08-2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DE10255531B3 (de) * 2002-11-27 2004-07-01 Yazaki Europe Ltd., Hemel Hempstead Stecker mit Schieber zum Verbinden mit einer Steckbuchse
SG143088A1 (en) * 2006-11-22 2008-06-27 Mea Technologies Pte Ltd Electrical connector
US7470138B1 (en) * 2007-07-18 2008-12-30 J.S.T. Corporatio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and connector assembly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3784A1 (en) * 2012-11-08 2014-05-15 Ls Cable & System Ltd. Connector and connection device for high voltage power supply having the connec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44081B2 (en) 2009-06-09
US20090035981A1 (en) 2009-02-05
JP2009038010A (ja) 2009-02-19
EP2020704A3 (en) 2010-07-21
CN101359794A (zh) 2009-02-04
EP2020704A2 (en) 2009-02-04
SG149732A1 (en) 200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3048A (ko) 전기커넥터
KR101329952B1 (ko) 전기 커넥터
JP3324690B2 (ja) コネクタ
JP4752606B2 (ja) コネクタ
EP1703599B1 (en) A connection detecting connector and a connection detecting connector assembly
US7294013B2 (en) Connector
EP1763114A1 (en) An electrical connector
TWI435500B (zh) Joint connector and terminal half insert inspection method
EP2503649A1 (en) Connector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US6887106B2 (en) Shielding connector
US7059902B2 (en) Connector, a connector assembly and a method of assembling a connector assembly
JP4168906B2 (ja) 分割コネクタ
JPH10172672A (ja) コネクタ
US5746628A (en) Engaging structure of a terminal and a connector housing
US6551146B2 (en) Connector and a method for assembling a connector
US6685506B1 (en) Connector and a method for connecting such connector with a mating connector
US7125292B2 (en) Connector with retainer having means for preventing inclination of the front part
JP2009301775A (ja) 電気コネクタ
US6953364B2 (en) Connector, a shorting terminal and a method of assembling it
JP2002280133A (ja) コネクタ
EP1916746B1 (en) A connector
JP7318311B2 (ja) 雌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
US6530800B2 (en)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a connector
JP3591621B2 (ja) コネクタ
US7001224B2 (en) Connector with retainer for locking terminal fit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