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489U - 환자용 슬링 - Google Patents

환자용 슬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489U
KR20090012489U KR2020080007345U KR20080007345U KR20090012489U KR 20090012489 U KR20090012489 U KR 20090012489U KR 2020080007345 U KR2020080007345 U KR 2020080007345U KR 20080007345 U KR20080007345 U KR 20080007345U KR 20090012489 U KR20090012489 U KR 200900124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ng
patient
handle
wear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73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록곤
Original Assignee
김록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록곤 filed Critical 김록곤
Priority to KR20200800073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2489U/ko
Publication of KR200900124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48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61G7/1051Flexible harnesses or s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23Slings used manual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이동시킬 때 필요한 환자용 슬링에 관한 것이다.
중증 장애 등으로 인하여 거동이 불편한 환자는 집에서만 생활해야 하는 경우가 많고, 집에 머무를 때에도 침대나 소파 등으로 이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바닥에서만 생활을 하는 경우가 많다. 지금까지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실내 또는 외출하기 위하여 이동할 때에는 도우미가 환자를 안거나 업는 방법을 취했었는데 이는 여간 불편하지 않았다.
본 고안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외출을 하거나 실내에서 이동할 때 도우미가 쉽게 환자를 필요한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슬링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슬링은 착용벨트를 구비하고 후방에는 후방손잡이가 부착되고, 슬링의 전방은 좌우로 분리되며, 분리된 슬링의 끝에는 전방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슬링은 착용 내지 분리가 쉽고 착용에 따른 불편함은 거의 없으며, 슬링을 착용한 환자는 품위 있는 자세로 실내외로 이동시킬 수 있는 특징과 장점이 있다.
슬링, 착용벨트, 전방손잡이, 후방손잡이, 보조손잡이

Description

환자용 슬링{Sling for patient}
본 고안은 슬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이동시킬 때 필요한 환자용 슬링에 관한 것이다.
중증 장애로 인하여 거동이 불편한 환자는 스스로 활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외출이 힘들고 집에서만 생활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집에 머무를 때에도 침대나 소파 등으로 이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바닥에서만 생활을 하는 게 현실이다. 그리고 환자가 실내 또는 외출하기 위하여 이동할 때에는 도우미가 환자를 안거나 업는 방법으로 이동을 하는데 이때에는 환자의 다리가 쳐지는 등의 문제로 여간 불편하지 않았다. 또한, 도우미 혼자서 환자를 업는 게 불가능한 경우에는 다수의 도우미가 환자의 신체의 각 부위를 들기 쉬운 곳으로 나누어 잡고 들어서 차량 등 필요한 곳으로 이동하였다. 이로 인하여 환자는 불편하고 도우미는 환자를 이동을 위해 잡기가 쉽지 않는 등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외출이나 실내에서 이동할 때 환자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환자용 슬링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이동이 쉬운 환자용 슬링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보다 구체적인 목적은, 중증의 장애나 환우로 인하여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외출을 하거나 실내에서 실내로 이동할 때 도우미가 쉽게 환자를 필요한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구체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환자용 슬링의 바람직한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서, 슬링에 있어서, 슬링의 후방에는 좌우측에 후방손잡이가 부착되고, 상기한 후방손잡이의 사이에는 보조 손잡이가 부착되며, 착용벨트는 결속분리장치를 구비하여 슬링의 후방에 부착되고, 슬링의 전방은 좌우로 분리하여 끝에는 전방손잡이가 각각 부착되며, 상기한 전방손잡이와 후방손잡이 사이에는 결속분리장치가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슬링(1)을 착용한 환자는 환자의 체중에 따라 적절한 인원의 도우미에 의해 이동이 쉽다. 또한 슬링(1)을 착용한 환자는 다리의 처짐이 없고 바른 자세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동에 따른 거부감이 없으며, 도우미는 환자를 이동시킬 때 슬링(1)의 손잡이가 견고하고 적절하게 배치되어 있어서 편리하다.
본 고안에 따른 슬링(1)은 환자가 옷을 입은 상태에서 착용이 가능하고 슬링(1)을 착용하고 있더라도 일상생활이나 외출할 때에 불편함은 없다. 따라서 슬 링(1)을 착용한 환자는 언제든지 도우미에 의해서 바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슬링(1)은 착용과 분리도 쉬워 화장실을 사용할 때에는 신속하게 분리하여 용변을 본 다음 바로 착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슬링(1)을 환자가 착용하고 있으면 도우미에 의해서 환자는 품위 있는 자세로 실내에서는 물론 외출을 위하여 휠체어, 자동차 등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환자와 도우미에게는 매우 유용한 제품이라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나타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슬링의 전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슬링을 사용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를 확대한 부분도이다.
슬링(1)의 후방에는 그 끝단의 좌우에 후방손잡이(2a, 2b)가 구비되고, 상기한 손잡이의 사이에는 보조손잡이(3)가 배치되며, 슬링의 전방은 슬링의 가운데 부근에서 앞으로 V자 형으로 개방되어 둘로 나누어지고, 좌우로 나누어진 슬링의 끝에는 전방손잡이(4a, 4b)가 구비된다. 상기한 후방손잡이 근처에는 적당한 크기의 벨크로(5a, 5b)가 부착되고, 전방손잡이 근처에도 후방손잡이 근처에 부착된 벨크로(5a, 5b)에 짝을 이루는 벨크로(6a, 6b)를 부착하여 상호 결속분리가 가능하다.
착용벨트(7)는 슬링의 후방에 배치하여 착용벨트의 가운데 일부를 슬링에 고정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착용벨트(7)의 고정부에서 우측으로 연장된 단 부에는 벨크로(8a)가 부착되고, 상기한 착용벨트(7)의 고정부에서 좌측으로 연장된 단부에도 우측에 부착된 벨크로(8a)와 짝을 이루는 벨크로(8b)를 부착하여 상호 결속분리가 가능하다. 상기한 착용벨트(7)는 환자의 체격에 따라 줄이거나 늘려서 착용할 수 있도록 길게 제작하며, 착용벨트(7)에 부착되는 벨크로(8a)도 적절한 길이를 갖도록 부착하면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슬링을 환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슬링(1)를 환자가 착용하는 바람직한 실시례를 설명한다. 환자는 자연스럽게 앉고 슬링(1)을 환자의 뒤에서 편 다음 착용벨트(7)를 환자의 허리 부위를 감싼 다음 약간 긴장되게 당겨서 벨크로(8a, 8b)를 상호 결속시켜 착용한다. 이어서 슬링(1)의 우측 전방은 환자의 우측 엉덩이와 허벅지를 감싸면서 가랑이 사이로 빼어내 올린 뒤 전방손잡이(4a) 부근에 부착된 벨크로(6a)를 슬링(1)의 우측에 배치된 후방손잡이(2a) 부근에 부착된 벨크로(5a)에 결속시켜 고정하고, 슬링(1)의 좌측 전방은 환자의 좌측 엉덩이와 허벅지를 감싸면서 가랑이 사이로 빼어내 올린 뒤 전방손잡이(4b) 부근에 부착된 벨크로(6b)를 슬링(1)의 좌측에 배치된 후방손잡이(2b) 부근에 부착된 벨크로(5b)에 결속시켜 고정한다. 환자의 우측에 배치된 전방손잡이(4a)와 후방손잡이(2a)는 가지런히 정렬하여 함께 잡을 수 있게 준비하고, 환자의 좌측에 배치된 전방손잡이(4b)와 후방손잡이(2b)도 가지런히 정렬하여 함께 잡을 수 있게 준비한다. 상기한 슬링(1)을 착용할 때는 슬링(1)이 꼬이지 않고 펴진 상태가 되어야 환자가 불편하지 않다.
상술한 슬링(1)에서 착용벨트(7)는 슬링(1)이 환자로부터 흘러내리거나 탈거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전방손잡이(4a, 4b) 부근에 부착된 벨크로(6a, 6b)와 후방손잡이(2a, 2b) 부근에 부착된 벨크로(5a, 5b)에 양측을 각각 결속시켜 고정하는 것도 슬링(1)이 환자로부터 이탈되는 못하게 함과 동시에 환자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 즉시 슬링(1)의 손잡이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한편, 환자로부터 슬링(1)을 탈거할 때에는 착용벨트(7)를 착용할 때 상호 결속한 벨크로(8a, 8b)를 분리하고, 또한 전방손잡이(4a, 4b) 부근에 부착된 벨크로(6a, 6b)와 후방손잡이(2, 2b) 부근에 부착된 벨크로(5a, 5b)가 양측에서 각각 상호 결속된 것을 분리하면 환자로부터 슬링(1)이 쉽게 탈거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슬링(1)을 착용할 때 착용벨트(7)를 결속 내지 분리하는 방법과 전방손잡이(4a, 4b)와 후방손잡이(2a, 2b)를 상호 결속 내지 분리하는 방법으로 벨크로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벨크로가 아닌 버클을 이용하여 결속 내지 분리 되는 구조를 취해도 된다. 또한, 손잡이는 전방손잡이(4a, 4b)와 후방손잡이(5a, 5b), 그리고 보조손잡이(3)를 부착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것 역시 한정된 것은 아니다. 슬링에 손잡이를 측면 등에 더 부착하여 손잡이 수를 늘리면 슬링(1)을 사용하는데 더 편리하게 됨은 당연하다.
본 고안에 따른 슬링(1)은 환자가 착용할 때 앉은 환자의 엉덩이가 바닥에 밀착된 부위는 피하면서 착용하게 된다. 이는 슬링(1)의 후방은 좌우가 연결되어 있지만 전방은 V자형으로 개방되어 둘로 나눠진 구조를 갖기 때문이다. 따라서 슬링(1)을 앉은 환자가 착용하면 환자의 허리 부위는 슬링(1)의 좌우 연결된 부위가 감싸고, 환자의 우측에 위치한 엉덩이 측면과 하면의 일부 그리고 허벅지 부위는 분리된 슬링(1)의 우측이 이를 감싸고, 환자의 좌측에 위치한 엉덩이 측면과 하면의 일부 그리고 허벅지 부위는 분리된 슬링(1)의 좌측이 이를 감싸기 때문에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환자는 앉아서 크게 움직이지 않더라도 슬링(1)을 착용 내지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입장에서는 매우 편리하다. 한편, 환자는 상기한 슬링(1)이 환자의 허리와 엉덩이 그리고 허벅지를 넓게 분포된 면적으로 감싸기 때문에 슬링(1)의 착용에 따른 불쾌감이 작다.
본 고안에 따른 슬링(1)을 착용한 환자를 이동시키는 바람직한 실시례를 설명한다. 도우미 혼자서 환자의 체중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을 때에는 혼자서 환자를 이동시키면 된다. 이 때에는 슬링(1)을 착용한 환자의 우측에 배치되어 정렬된 전방손잡이(4a)와 후방손잡이(2a)는 도우미의 우측 손으로 잡고, 환자의 좌측에 배치된 전방손잡이(4b)와 후방손잡이(2b)는 도우미의 좌측 손으로 잡은 다음 환자를 안은 자세로 들어서 필요한 곳으로 이동하면 된다.
도우미가 둘이서 슬링(1)을 착용한 환자를 이동시킬 때에는 환자의 우측에 배치된 도우미는 환자의 우측에 배치된 전방손잡이(4a)와 후방손잡이(2a)를 함께 잡아들고, 환자의 좌측에 배치된 도우미는 환자의 좌측에 있는 전방손잡이(4b)와 후방손잡이(2b)를 함께 잡아들어서 환자를 들어서 필요한 곳으로 이동하면 된다. 이 때 좌우에 배치된 도우미가 동시에 같은 높이로 들어주는 것이 바람직하고, 좌우측에 배치된 도우미가 슬링(1)의 보조손잡이(3)를 함께 잡으면 균형유지가 쉽다.
도우미가 셋이서 슬링(1)을 착용한 환자를 이동할 때에는 환자의 좌우에 각 각 한명을 배치하고 환자의 뒤에 한명을 배치한 다음, 환자의 우측에 배치된 도우미는 환자의 우측에 있는 전방손잡이(4a)와 후방손잡이(2a)를 함께 잡아들고, 환자의 좌측에 배치된 도우미는 환자의 좌측에 있는 전방손잡이(4b)와 후방손잡이(2b)를 함께 잡아들며, 환자의 후방에 배치된 도우미는 보조손잡이(3)를 잡고 환자를 들어서 필요한 곳으로 이동하면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슬링의 전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슬링을 사용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를 확대한 부분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슬링을 환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Claims (1)

  1. 환자용 슬링에 있어서, 슬링(1)의 후방에는 좌우측에 후방손잡이(5a, 5b)가 부착되고, 상기한 후방손잡이(5a, 5b)의 사이에는 보조손잡이(3)가 부착되며, 착용벨트(7)는 결속분리장치를 구비하여 슬링(1)의 후방에 부착되고, 슬링(1)의 전방은 좌우로 분리하여 끝에는 전방손잡이(4a, 4b)가 각각 부착되며, 상기한 전방손잡이(4a, 4b)와 후방손잡이(5a, 5b) 사이에는 상호 결속분리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슬링
KR2020080007345U 2008-06-03 2008-06-03 환자용 슬링 KR2009001248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345U KR20090012489U (ko) 2008-06-03 2008-06-03 환자용 슬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345U KR20090012489U (ko) 2008-06-03 2008-06-03 환자용 슬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489U true KR20090012489U (ko) 2009-12-08

Family

ID=49299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7345U KR20090012489U (ko) 2008-06-03 2008-06-03 환자용 슬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248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9526A (en) Lifting apparatus for use in lifting a disabled person or patient
US9420832B2 (en) Progressive mobility assistance garment for rehabilitation
US10080700B1 (en) Walker harness
US11246779B2 (en) Manual assistance transfer belt utilizing individual thigh straps
US6578210B2 (en) Patient assistive device and lift system
JP2007185246A (ja) 吊り具
JP4051926B2 (ja) 車椅子
CN111110481A (zh) 用于移乘器的安全绑带、身体防护结构以及移乘器
JP4105748B1 (ja) オムツ型介助ベルト
US9925097B2 (en) Portable stretcher
JP6026555B2 (ja) 抱きかかえ補助具
JP6398109B2 (ja) 移乗介助・起立介助等補助具
JP2005312600A (ja) 介護リフト用装着具及びリフト機能付き歩行車
KR20090012489U (ko) 환자용 슬링
JP3215104U (ja) 介護リフト用吊り具
JP2005034260A (ja) 看護・介護用装着具及び看護・介護用上着並びに看護・介護用装着具による看護・介護方法
JP3138658U (ja) 介護用ベルト
KR20130030578A (ko) 휠체어용 안전벨트
JP3217028U (ja) 介護者用移乗具
CN204709242U (zh) 一种人体吊篮和设有这种人体吊篮的瘫痪人员移动装置
JP2015009133A (ja) 重力を利用する腰痛又は配隋損傷痛改善具
JP6662985B1 (ja) 移乗介助支援ベルト
KR101454075B1 (ko) 다목적 슬링
JPH11253511A (ja) 介護用シート、及び該介護用シートを係止した自立歩行支援機
JP3668808B2 (ja) 被介助者移動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