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138A - 유연성 보호 커버를 구비한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유연성 보호 커버를 구비한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138A
KR20090012138A KR1020080072435A KR20080072435A KR20090012138A KR 20090012138 A KR20090012138 A KR 20090012138A KR 1020080072435 A KR1020080072435 A KR 1020080072435A KR 20080072435 A KR20080072435 A KR 20080072435A KR 20090012138 A KR20090012138 A KR 20090012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protective
lip
cov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쿠스 힌텐나흐
졸탄 팝
에프라임 뫼저
귄터 렌쯔
Original Assignee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90012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1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007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 B60J7/0015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roller bl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2Covers wound on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1. 유연성 보호 커버를 구비한 보호장치
2.1 보호 커버가 감기고 전개될 수 있도록 유지되는 와인딩 샤프트, 브래킷이 그 대향하는 측면부에서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되며 와인딩 샤프트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브래킷 및 해당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보호 커버의 앞 정면 가장자리를 구비한 보호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2.2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브래킷의 이동 길이에 걸쳐 대향하는 측면부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유연성 커버 프로파일이 제공되며, 이 커버 프로파일이 해당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가이드에 대해 평행하게 뻗어 있고, 커버 프로파일이 보호 커버의 상응하는 측면 가장자리 및 브래킷의 상응하는 측면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나마 덮도록 커버 프로파일이 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보호 커버의 중앙으로 돌출된다.
2.3 승용차용 선바이저로서의 사용.
3. 도 1.
유연성 보호 커버, 선바이저

Description

유연성 보호 커버를 구비한 보호장치{Protection device with flexible protection cover}
본 발명은, 유연성 보호 커버, 보호 커버가 감기고 전개될 수 있도록 유지되는 와인딩 샤프트, 브래킷이 그 대향하는 측면부에서 해당 위치에 고정된 가이드에서 보호 커버의 감김 또는 전개 방향의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되며 와인딩 샤프트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브래킷 및 보호 커버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개된 상태에서 해당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전개 방향을 기준으로 보호 커버의 앞 정면 가장자리를 구비한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보호장치는 일반적으로 선바이저 롤러 블라인드(sunvisor roller blind)로 알려져 있다. 이 보호장치는, 하우징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와인딩 샤프트에서 정면 단부로 고정되는 유연성 보호 커버를 포함한다. 보호 커버의 다른 자유 단부는 해당 위치에 고정된다. 와인딩 샤프트를 위한 브래킷으로서 작용하는 하우징은 그 대향하는 측면부를 통해 가이드 레일에서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된다. 하우징의 이동 시 그 일측 정면 단부에서 해당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보호 커버가 강제적으로 와인딩 샤프트에서부터 풀리거나 또는 그에 감긴다. 이를 위해 와인딩 샤프트는 감김 방향에서 와인딩 샤프트에 토크를 부하하는 리턴 스프링(return spring)을 포함한다. 보호 커버의 대향하는 측면 가장자리와 하우징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사이에는 보호장치가 태양광을 차단하지 못하는 틈새가 남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보호 효과를 달성하는, 서문에 명시한 유형의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적어도 브래킷의 이동 길이에 걸쳐 대향하는 측면부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유연성 커버 프로파일이 제공되며, 이 커버 프로파일이 해당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가이드에 대해 평행하게 뻗어 있고, 커버 프로파일이 보호 커버의 상응하는 측면 가장자리 및 브래킷의 상응하는 측면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나마 덮도록 커버 프로파일이 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보호 커버의 중앙으로 돌출됨으로써 달성된다. 커버 프로파일의 유연성은 브래킷 측면부의 현재 위치의 구역에서 커버 프로파일의 간헐적 회피(avoiding) 및 조절을 가능하게 하며, 따라서 브래킷이 이동되는 동안에도 상응하는 커버링(covering)이 그대로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 방법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보호장치에서의 사용에 적합하고 적재 공간을 거의 수평하게 덮거나 또는 승객 공간으로부터 적재 공간을 거의 수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차량에서 특히 차량 윈도우 또는 글라스 루프(glass roof)용 선바이저(sunvisor) 또는 차광장치(light protection)로서뿐 아니라 적재공간 보호장치(luggage cpmpartment protection)로도 적합하다. 각각의 커버 프로파일은 원피스 또는 멀티피스형으로 실시될 수 있다. 외측면 또는 내측면이나 상단면 또는 하단면의 구역에서 보호 커버의 각 측면 가장자리 및 브래킷의 상응하는 측면부에 각각 커버 프로파일이 제공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이 보장된다. 하지만 양측 측면에서, 즉 외측면뿐 아니라 내측면에서 또는 상단면에서뿐 아니라 하단면에서도 커버링이 이루어지도록, 커버 프로파일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측면부를 구비한 브래킷은 밀폐된 하우징으로서, 특히 카세트 하우징으로서 또는 바람직하게는 컵 형태의 형상 안정성 측면부 및 측면부 사이의 경직성 횡방향 결합부를 구비한 개방된 브래킷으로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 보호 커버의 앞 정면 가장자리 및/또는 보호 커버의 측면 가장자리에는 보호 커버를 해당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 수단(clamping means)이 제공되는데, 이 클램핑 수단은 정면 가장자리 또는 측면 가장자리를 적어도 간헐적으로 해제하기 위하여 탈착식으로 형성된다. 클램핑 수단은 브래킷의 이동 과정 및 보호 커버의 감김 또는 전개 과정 중에 보호 커버의 정면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 또는 대안적으로 이 클램핑 수단은, 보호 커버의 상응하는 측면 가장자리를 마찰 고정식으로(friction-locked) 고정함으로써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당겨진 상태에서 보호 커버를 팽팽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클램핑 수단이 공간적으로 커버 프로파일에 배치되어 있다. 클램핑 기능 및 커버 기능은 공동의 프로파일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유연성 커버 프로파일이 해당 위치에 고정된 상태의 가이드의 종방향으로 뻗는 더블 립 프로파일에 각각 통합 되어 있으며, 그 양측 립 레그는 상단 및 하단 측에서 브래킷의 측면부 및 보호 커버의 상응하는 측면 가장자리를 감싸고, 양측 립 레그는 탄성의 유연성으로 실시된다. 이미 실시된 바와 같이 "상단 및 하단 측"이라는 표현은, 보호장치가 차량 윈도우 또는 글라스 루프의 차량 실내의 경계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적재공간 커버 또는 적재공간 분리 시에서와 같이 거의 차량 실내의 중앙에 배치되는지에 따라서 외측 및 내측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차량 실내에서의 배치가 전방 및 후방 측이라는 표현을 통하여 전문가들에게 더 쉽게 이해될 수 있는 경우에는 "전방 및 후방 측"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립 레그가 브래킷의 상응하는 측면부의 현재 위치의 높이에서 탄성적으로 벌어지고 브래킷의 동작 후에 일측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다시 상응하게 닫히는 방식으로, 립 레그의 탄성 유연성은 브래킷의 상응하는 이동에 맞게 조절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더블 립 프로파일이 엘라스토머 중공 프로파일로서 실시되는데, 이 프로파일은 양측 립 레그외에도 해당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고정 프로파일 부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더블 립 프로파일이 일체형으로 실시된다. 적어도 립 레그의 구역에서 이 중공 프로파일은 개방식으로 실시되며, 따라서 립 레그가 서로 형상 끼워맞춤식 또는 용접 방법으로 결합되지 않는다. 고정 프로파일 부분은 더블 립 프로파일을 해당 위치에서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브래킷의 종방향 이동을 위한 안내에 사용되는 가이드 레일 프로파일의 그루브에서 고정되는데, 고정 프로파일 부분은 차량에 고정되고 이로써 해당 위치에 고정된다. 더블 립 프로파일의 일체성은 간단한 저비용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엘라스토머 재료의 사용은 립 레그의 필요한 유연성 및 요구되는 탄성 복원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더블 립 프로파일의 양측 립 레그가 브래킷의 해당 측면부를 위한 가이드에 대해 평행하게 뻗어 있으며, 그가 브래킷 측면부의 하우징 부분 둘레로 벌어질 수 있고 적어도 선형 접촉을 통해 하우징 부분에 밀착되도록 탄성 유연성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립 레그는 브래킷의 상응하는 각각의 측면부가 존재하는 구역에서 각각 개방된다. "적어도 선형 접촉을 통해"라는 표현에는 선형 접촉뿐 아니라 면형태의 접촉도 포함된다. 중요한 것은 밀착이 브래킷의 원활한 이동을 방해하는 큰 마찰 저항으로 작용하지 않는 커버 기능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립 레그가 무부하 휴지 위치에서 서로 접촉되게 압박되고, 클램핑 효과(clamping effect) 및 특히 유지 고정 기능이 당김 방향에 대한 횡방향 동작을 거스르는 내측 방향으로 측면 가장자리에 가해지도록, 립 레그 사이에 존재하는 보호 커버의 측면 가장자리에서 마찰력이 측면 가장자리에 가해진다. 브래킷의 양측 측면 및 이로써 보호 커버의 양측 측면에도 각각 하나의 더블 립 프로파일이 제공되므로, 보호 커버의 양측 측면 가장자리가 조여지고 따라서 당겨진 상태에서 보호 커버가 접히거나 또는 처지는 것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도 보호 커버는, 특히 큰 온도 변동 시 보호 커버의 손상 없이 횡방향에서 수축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그가 측면에서 형상 끼워맞춤식이 아니라 단지 마찰 고정식으로만 고정되기 때문이다. 립 레그의 클램핑 힘(clamping force)은, 상응하는 수 축 과정 중에 보호 커버의 측면 가장자리가 활주될 수 있도록 한정된다. 보호 커버의 측면 가장자리의 클램핑은, 특히 보호 커버가 적재 공간과 승객 공간 사이에서 거의 수직으로 펼쳐질 수 있는 분리 구조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보호 커버가 보호 커버로 삽입되는 물체에 대한 유지 고정 기능을 형성하는 작용을 한다. 이로써 립 레그는 본 발명의 의미에서 클램핑 수단을 형성하며, 클램핑 기능은 종방향에서뿐 아니라 횡방향에서도 측면 가장자리를 고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와인딩 샤프트를 위한 브래킷이 하우징을 포함하는데, 하우징 부분은 측면부에서 이 하우징에 통합되어 있고 이 하우징은 횡단면에서 양측 측면 방향으로 쐐기 형태로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의 평평한 부분은 더블 립 프로파일의 립 레그에서 쐐기 효과(wedge effect)를 구현하며, 일측 평탄부는 일측 종방향의 이동 방향에서 쐐기 효과를 발생시키며 다른 평탄부는 반대되는 종방향의 이동 방향에서 쐐기 효과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루프 구역에서 차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도 1에 따른 승용차(1) 형태의 차량은 루프 구역에서 글라스 루프(2)에 의해 닫힌 루프 개구(roof opening)를 포함한다. 글라스 루프(2)임에도 불구하고 차량 탑승객에 대한 차광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차량 실내에서 거의 평행하게 글라스 루프(2) 아래에 배치된 보호장치(protection device)(3)가 제공된다.
도 2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장치(3)는 차량(1)의 차체 지지 구조물의 대향하는 측면 루프 프레임의 구역에서 두 개의 가이드 프로파일(guide profile)(9)을 포함한다. 이 가이드 프로파일은 측면 루프 프레임에 고정되며 따라서 차량(1)에 대해 상대적으로 해당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프로파일(9)은 적어도 글라스 루프(2)의 대부분의 길이에 걸쳐 뻗어 있으며, 대향하는 가이드 프로파일(9)이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다. 가이드 프로파일(9) 사이에서 카세트 하우징(cassette housing)(7)은 차량 횡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즉 가이드 프로파일(9)의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 카세트 하우징은 카세트 하우징(7)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와인딩 샤프트(winding shaft)(6)를 위한 브래킷(bracket)으로 기능한다. 와인딩 샤프트(6)에는 보호 커버 형태의 유연한 면 구조물이 감기고 전개될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다. 차량 종방향에서 볼 때 보호 커버의 길이는 적어도 거의 커버할 글라스 루프 구역의 길이에 해당한다. 보호 커버(4)의 폭은 가이드 프로파일(9)의 상호 간격보다 약간 작다. 보호 커버(4)의 정면 단부 구역은 원칙적으로 알려진 방식에 따라 와인딩 샤프트(6)에 고정된다. 전개 방향에서 앞에 있는, 이로써 전술한 정면 단부 구역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정면 단부 구역(5)은 보호 커버(4)의 자유 정면 단부에 제공된다. 이 정면 단부 구역은, 보호 커버(4)의 전체 폭에 걸쳐 뻗어 있으며 가이드 프로파일(9)의 단부 구역에서 해당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형상 안정성의 프로파일 스트립(profile strip)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정면 단부 구역(5)은 보호장치(3)의 후방 단부를 형성한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정면 단부 구역(5)이 추가적인 형상 안정성의 프로파일 스트립을 포함하지 않는다.
카세트 하우징(7)은 가이드 레일 장치(guide rail arrangement)(10, 11)(도 2)를 통해 가이드 프로파일(9)의 종방향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카세트 하우징(7)의 종방향 이동은 해당 조작자에 의해 차량 실내에서 수동으로 이루어진다. 하기 설명에서와 같이 보호 커버(4)의 정면 단부 구역(5) 및 보호 커버(4)의 다른 면 부분이 해당 위치에서 가이드 프로파일(9) 사이에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차량 종방향에서 앞으로 카세트 하우징(7)이 이동될 때 보호 커버(4)가 강제적으로 와인딩 샤프트(6)에서부터 전개되고 그 결과 보호 커버(4)가 카세트 하우징(7)에서 당겨진다. 이를 위하여 카세트 하우징(7)에는 상응하는 출구 슬롯(outlet slot)(15)이 제공된다(도 3, 도 4, 도 7, 도 8). 상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감김 방향에서 와인딩 샤프트(6)에 한정된 토크를 전달하는 리턴 스프링 장치(return spring device)가 와인딩 샤프트(6)에 제공된다. 카세트 하우징(7) 또는 당겨진 보호 커버(4)의 상응하는 자체 억제 기능을 극복하지 못하게 하고 이로써 카세트 하우징(7)의 의도치 않은 이동 또는 보호 커버(4)의 의도치 않은 감김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리턴 스프링 장치는 비교적 약한 복원력으로 설계되어 있다.
도 2에 따른 실시 형태에서는 카세트 하우징(7)의 대향하는 측면부에서 카세트 하우징(7)의 종방향 이동이 각각 하나의 가이드를 통해 달성되는데, 이 가이드는 방사상 내측으로 돌출된 거의 수평한 가이드 웨브(11) 및 카세트 하우징(7)에서 정면측에 배치된 슬라이드 부재(10)를 통해 형성된다. 가이드 웨브(11)는 가이드 프로파일의 거의 절반 높이에서 고정 프로파일 부분(12)에 매립되어 있는데, 이 고정 프로파일 부분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더블 립 프로파일(double lip profile)(8)의 일부분이다. 가이드 웨브(11)는 가이드 프로파일(9)의 전체 안내 길이에 걸쳐 뻗어 있고 가이드 프로파일(9)의 상응하는 중공 챔버(hllow chamber)에서 고정 프로파일 부분(12)을 통해 해당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각 가이드 프로파일(9)의 중공 챔버는 차량 중앙에 대해 내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도 5, 도 6, 도 7 및 도 8에 따른 실시 형태에서는 각 카세트 하우징(7c, 7d, 7e)의 가이드를 위하여 다른 안내 수단이 선택된다. 여기에서도 카세트 하우징(7c, 7d, 7e)의 대향하는 각 정면에는 차량 내에서 해당 위치에 고정된 가이드 프로파일(9c, 9d)이 배치된다. 이 실시 형태는 도 1에 따른 실시 형태의 원칙적 기능 배치에 상응하며, 따라서 설명이 반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에 대한 설명을 참조한다. 도 5, 도 6, 도 7 및 도 8에 따른 실시 형태에서는 카세트 하우징(7c, 7d, 7e)의 안내가 도 2에 따른 실시 형태에서처럼 거의 와인딩 샤프트의 회전축 높이에 배치된 상응하는 안내 부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카세트 하우징(7c, 7d, 7e)의 상단면에서부터 상방향 및 측방향 외측으로 카세트 하우징(7c, 7d, 7e)의 해당 정면보다 돌출되는 두 개의 확장 아암(extension arm)(10c, 10d, 10e)을 통해 이루어진다. 카세트 하우징(7c, 7d, 7e)의 대향하는 정면에는 각각 하나의 확장 아암(10c, 10d, 10e)이 제공된다. 각각의 확장 아암은 아래로 돌출되며, 가이드 프로파일(9c, 9d)의 상단면 구역의 안내홈(11c, 11d)에서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안내되는 슬라이딩 웨브(sliding web)를 포함한다. 카세트 하우 징(7c, 7d, 7e)의 자체 중량이 확장 아암(10c, 10d, 10e)의 각 슬라이딩 웨브를 안내홈(11d) 방향으로 누르며, 따라서 카세트 하우징(7c, 7d, 7e)에 대한 안정적인 미끄럼 지지(sliding bearing)가 달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확장 아암(10c, 10d, 10e), 그에 포함된 슬라이딩 웨브 및 대응 안내홈(11c, 11d)을 통해 작동되는 가이드는 카세트 하우징(7c, 7d, 7e)에 대해 방사상 외측에 배치되며, 따라서 카세트 하우징(7c, 7d, 7e)에 대향하는 가이드는, 차량 횡방향에서 볼 때의 각 카세트 하우징(7c, 7d, 7e)의 종방향 확장(longitudinal extension)보다 더 큰 상호 간격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 방법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슬라이딩 가이드대신 롤러 가이드 또는 롤러 베어링 가이드가 제공된다. 슬라이딩 가이드, 롤러 가이드 또는 롤링 가이드로서의 해당 가이드의 배치 및 형태로 사용 목적에 따라 서로 다른 유형 및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보호 커버(4, 4a, 4b, 4c, 4d)의 측면 가장자리(14)와 해당 가이드 프로파일(9, 9a, 9b, 9c, 9d) 사이의 남은 틈새를 덮고 그리고 보호 커버(4, 4a, 4b, 4c, 4d)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개된 상태 및 감긴 작동 상태에서 고정하고 그리고/또는 팽팽하게 하기 위하여, 카세트 하우징(7, 7a, 7b, 7c, 7d, 7e)의 각각의 측면부에는 해당 위치에서 각 가이드 프로파일(9, 9a, 9b, 9c, 9d)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각각 하나의 더블 립 프로파일(8, 8a, 8b, 8c, 8d)이 제공된다. 더블 립 프로파일(8, 8a, 8b, 8c, 8d)은 개방된 엘라스토머 중공 프로파일, 바람직하게는 고무 프로파일로서 실시되며 그리고 횡단면에서 심장 또는 스페이 드(spade) 모양의 윤곽을 갖는다. 스페이드 모양의 윤곽이란 카드 게임의 스페이드 기호에서와 같이 뒷면에서 봉오리에 연결되는 돌출부가 포함된 봉오리 형태의 윤곽을 의미한다. 더블 립 프로파일(8, 8a, 8b, 8c, 8d)은 형상 끼워맞춤식(form fit)으로 상응하는 가이드 프로파일(9, 9a, 9b, 9c, 9d)의 중공 그루브(hollow groove) 또는 중공 챔버에 고정된, 일체형으로 형성된 고정 프로파일 부분(12, 12a, 12b, 12c, 12d)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프로파일 부분(12, 12a, 12b, 12c, 12d)이 정면에서부터 종방향으로 가이드 프로파일(9, 9a, 9b, 9c, 9d)의 중공 그루브 또는 중공 챔버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더블 립 프로파일(8, 8a, 8b, 8c, 8d)은 보호 커버(4, 4a, 4b, 4c, 4d)의 감김 또는 전개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차량 중앙의 내측을 향한다. 더블 립 프로파일(8, 8a, 8b, 8c, 8d)은 두 개의 립 레그(lip leg)(13, 13a, 13b, 13c, 13d)를 포함하는데,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이 레그가 양측에서 보호 커버(4, 4a, 4b, 4c, 4d)의 해당 측면 가장자리(14)에 중첩된다. 양측 립 레그는 보호 커버(4, 4a, 4b, 4c, 4d)가 팽팽하게 당겨지는 수평 중앙면을 기준으로 프로파일 내에서 서로 거울 대칭상으로 실시되며 각각 횡단면이 볼록하게 휘어져 있다. 부하가 없는 휴지 위치(rest position)상태에서 립 레그는 그 자유 정면 가장자리 구역을 통해 서로 접촉한다. 양측 더블 립 프로파일(13, 13a, 13b, 13c, 13d)은 휴지 상태에서 사전 부하(pre-load)를 통해 서로 압박되도록 만곡되게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보호 커버(4, 4a, 4b, 4c, 4d)의 해당 측면 가장자리(14)가 서로 대향하는 양측 더블 립 프로파일(8, 8a, 8b, 8c, 8d)의 립 레그(13, 13a, 13b, 13c, 13d) 사이에 배치되는 즉시 보호 커버(4, 4a, 4b, 4c, 4d)의 해당 측면 가장자리가 립 레그(13, 13a, 13b, 13c, 13d)의 사전 부하로 인해 만곡된다.
이외에도 도 2, 도 6 및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카세트 하우징(7, 7a, 7b, 7c, 7d)의 해당 측면부가 립 레그(13, 13a, 13b, 13c, 13d) 사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각 더블 립 프로파일(8, 8a, 8b, 8c, 8d)의 립 레그(13, 13a, 13b, 13c, 13d)가 벌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세트 하우징(7, 7a, 7b, 7c, 7d)의 해당 측면부가 립 레그(13, 13a, 13b, 13c, 13d)의 대향하는 내측벽 사이에서 여유를 가지면서 위치되도록, 가이드 프로파일(9, 9a, 9b, 9c, 9d) 및 이로써 해당 고정 프로파일 부분(12, 12a, 12b, 12c, 12d)에 대해 바로 인접한 부분에서 립 레그(13, 13a, 13b, 13c, 13d)의 간격이 결정된다. 도 2 및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립 레그(13, 13a, 13b, 13c, 13d)는 카세트 하우징(7, 7a, 7b, 7c, 7d, 7e)의 상단면에 접촉하며 따라서 비교적 좁은 구역에서만 접촉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도 거의 선형의 좁은 접촉은 카세트 하우징과 립 레그의 내측벽 사이의 접착력 또는 미끄럼 마찰력(sliding frictional force)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카세트 하우징(7, 7a, 7b, 7c, 7d)의 측면부 높이에서 립 레그(13, 13a, 13b, 13c, 13d)의 확장 또는 벌어짐은 오로지 탄성 영역에서만 이루어지며, 따라서 다른 가이드 부분에 대한 카세트 하우징(7, 7a, 7b, 7c, 7d)의 길이 변위 후에 립 레그(13, 13a, 13b, 13c, 13d)가 다시 보호 커버(4, 4a, 4b, 4c, 4d)의 측면 가장자리를 조이고 감싸면서 다시 닫힌다.
도 7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카세트 하우징(7, 7a, 7b, 7c, 7d)의 구역에서 립 레그(13, 13a, 13b, 13c, 13d)의 손상 없는 벌어짐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카세트 하우징(7, 7a, 7b, 7c, 7d)이 그 외측 윤곽 부분에서 양측 이동 방향으로 쐐기 형태로 평평하게 형성된다. 천천히 벌어짐으로써 립 레그(13, 13a, 13b, 13c, 13d)의 엘라스토머 재료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보호장치의 양측 종방향에서 카세트 하우징(7, 7a, 7b, 7c, 7d)을 쐐기 형태로 설계함으로써 립 레그(13, 13a, 13b, 13c, 13d)가 카세트 하우징(7, 7a, 7b, 7c, 7d) 바로 전에 비로소 펴지는 것이 달성되고, 따라서 보호 커버(4, 4a, 4b, 4c, 4d)의 측면 가장자리(14)가 카세트 하우징의 상응하는 종방향 이동 시 가능한 한 오랫동안 조여지고 이로써 팽팽하게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마찬가지로 도 8에 따른 카세트 하우징(7e)도 양측 방향으로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횡단면에서 조개 형태의 윤곽이 나타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카세트 하우징(7e)이 두 개의 하우징 쉘(housing shell)(G1, G2)을 포함하는데, 이 하우징 쉘은 서로 거의 거울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시되지 않은 접힘부에서 바람직하게는 측면 부분을 통하여 하우징의 대향하는 정면에서 서로 결합된다. 양측 하우징 쉘(G1, G2) 사이에는 출구 슬롯(15)이 제공된다.
도 3에는 유사한 카세트 하우징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따른 이 카세트 하우징(7a)은 일체형 중공 프로파일로서 실시된다.
도 4에 따른 카세트 하우징(7b)은 거의 중공 원통형의 프로파일을 가지며 마찬가지로 일체형으로 실시된다.
도면에 도시되고 전술된 바와 같이 모든 실시 형태의 작동 방식은 다음과 같다: 보호장치(3)의 최초 가동 시 보호 커버(4)의 자유 정면 단부 구역이 카세트 하 우징에서 밖으로 당겨지고 가이드 사이의 해당 위치에서 고정된다. 이 고정은 정면 단부 구역이 그 대향하는 측면 가장자리의 높이에서 립 레그와 더블 립 프로파일 사이에 조여지는 간단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에 대한 대안적 방법으로서 보호 커버의 정면 단부 구역이, 보호장치의 대향하는 가이드의 대응 작동부에서 해당 위치에 고착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고정되는 형상 안정성 프로파일 스트립 또는 유사한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든 실시 형태에서 각 보호 커버의 폭이 대향하는 더블 립 프로파일의 차량 중앙의 내측 전방 모서리의 상호 간격보다 크고, 따라서 카세트 하우징에서부터 밖으로 당길 때 보호 커버의 측면 가장자리(14)가 강제적으로 더블 립 프로파일의 립 레그 사이로 당겨지고 보호 커버가 그 탄성 사전 부하로 인해 조여진다. 이로써 카세트 하우징이 얼마나 가이드로 이동되는지와는 무관하게 현재 밖으로 당겨진 보호 커버의 각각의 면 부분이 각각 거의 완전하게 더블 립 프로파일 사이에 조여지고 그 결과로 팽팽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더블 립 프로파일의 립 레그가 전술한 클램핑 기능으로만 실시되는 것이 아니라 추가적으로 보호 커버의 횡방향 및 이로써 감김 또는 전개 방향에 대해 횡방향에서 팽팽하게 유지하는 기능도 포함한다. 이를 위해 립 레그는 횡방향에서 외측으로 그리고 이로써 차량 중앙 또는 보호 커버의 중앙에서부터 멀어지게 하는 탄성 사전 부하 성분(preload component)을 포함한다. 이런 팽팽하게 유지하는 기능은, 각각의 립 레그가 가상의 무부하 휴지 위치에서 각각의 인접한 립 레그에 대해 위 또는 아래로만 돌출되는 것이 아니라 그에 추가적으로 고정 프로파일 부분(12, 12a, 12b, 12c, 12d)에 대해 내측으로 후퇴 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로써 립 레그는 인접한 립 레그의 방향에서뿐 아니라 후면에 배치된 고정 프로파일 부분의 방향에서도 굽힘력 성분(bending force component)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은 도면을 통해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하기 설명 및 청구항에서 나타난다.
도 1은 차량의 글라스 루프 구역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의 실시 형태에 대한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보호장치의 일부분에 대한 개략적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서와 유사한 보호장치의 와인딩 샤프트를 위한 하우징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3에서와 유사한 보호장치의 다른 하우징을 나타낸다.
도 5는 보호 커버 측면 가장자리의 클램핑 부분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의 일부분에 대한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보호 커버를 위한 와인딩 샤프트의 수용을 위한 하우징 부분에서 도 5에 따른 보호장치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5 및 도 6에서와 유사한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3에서와 유사한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위한 하우징을 나타낸다.

Claims (10)

  1. 유연성 보호 커버, 보호 커버가 감기고 전개될 수 있도록 유지되는 와인딩 샤프트, 브래킷이 그 대향하는 측면부에서 해당 위치에 고정된 가이드에서 보호 커버의 감김 또는 전개 방향의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되며 와인딩 샤프트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브래킷 및 보호 커버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개된 상태에서 해당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전개 방향을 기준으로 보호 커버의 앞 정면 가장자리를 구비한 보호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브래킷(7, 7a, 7b, 7c, 7d)의 이동 길이에 걸쳐 대향하는 측면부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유연성 커버 프로파일(8, 8a, 8b, 8c, 8d)이 제공되며, 이 커버 프로파일은 해당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가이드(9, 9a, 9b, 9c, 9d)에 대해 평행하게 뻗어 있고, 커버 프로파일(8, 8a, 8b, 8c, 8d)이 보호 커버(4, 4a, 4b, 4c, 4d)의 상응하는 측면 가장자리(14) 및 브래킷(7, 7a, 7b, 7c, 7d)의 상응하는 측면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나마 덮도록 커버 프로파일이 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보호 커버(4, 4a, 4b, 4c, 4d)의 중앙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장치.
  2. 제1항의 상위 개념 또는 제1항에 따른 보호장치에 있어서, 보호 커버(4, 4a, 4b, 4c, 4d)의 앞 정면 가장자리(5) 및/또는 보호 커버(4, 4a, 4b, 4c, 4d)의 측면 가장자리(14)에 보호 커버(4, 4a, 4b, 4c, 4d)를 해당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 수단(13, 13a, 13b, 13c, 13d)이 제공되고, 이 클램핑 수단은 측면 가장자 리(14) 또는 앞 정면 가장자리(5)를 적어도 간헐적으로 해제하기 위하여 탈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클램핑 수단(13, 13a, 13b, 13c, 13d)이 공간적으로 커버 프로파일(8, 8a, 8b, 8c, 8d)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유연성 커버 프로파일이 해당 위치에 고정된 상태의 가이드(9, 9a, 9b, 9c, 9d)의 종방향으로 뻗는 더블 립 프로파일(8, 8a, 8b, 8c, 8d)에 각각 통합되어 있으며, 그 양측 립 레그(13, 13a, 13b, 13c, 13d)는 상단 및 하단 측에서 브래킷(7, 7a, 7b, 7c, 7d)의 측면부 및 보호 커버(4, 4a, 4b, 4c, 4d)의 상응하는 측면 가장자리(14)를 감싸고, 양측 립 레그(13, 13a, 13b, 13c, 13d)는 탄성의 유연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더블 립 프로파일(8, 8a, 8b, 8c, 8d)이 엘라스토머 중공 프로파일로서 실시되며, 이 프로파일은 양측 립 레그(13, 13a, 13b, 13c, 13d) 이외에도, 해당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고정 프로파일 부분(12, 12a, 12b, 12c, 12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더블 립 프로파일(8, 8a, 8b, 8c, 8d)의 양측 립 레그(13, 13a, 13b, 13c, 13d)가 브래킷(7, 7a, 7b, 7c, 7d, 7e)의 해당 측면부를 위한 가이드(9, 9a, 9b, 9c, 9d)에 대해 평행하게 뻗어 있으며, 양측 립 레그가 브래킷(7, 7a, 7b, 7c, 7d, 7e) 측면부의 하우징 부분 둘레로 벌어질 수 있고 적어도 선형 접촉을 통해 하우징 부분에 밀착되도록 탄성 유연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양측 립 레그(13, 13a, 13b, 13c, 13d)가 무부하 휴지 위치에서 서로 접촉되게 압박되고, 당김 방향에 대한 횡방향 동작을 거스르는 내측 방향으로, 클램핑 효과 및 특히 유지 고정 기능이 측면 가장자리(14)에 가해지도록, 립 레그 사이에 존재하는 보호 커버(4, 4a, 4b, 4c, 4d)의 측면 가장자리(14)에서 마찰력이 측면 가장자리(14)에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와인딩 샤프트를 위한 브래킷은 하우징(7, 7a, 7b, 7c, 7d, 7e)을 포함하고, 하우징 부분은 측면부에서 이 하우징에 통합되어 있고, 이 하우징은 횡단면에서 양측 측면 방향으로 쐐기 형태로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하우징(7, 7a, 7b, 7c, 7d, 7e)이 횡단면에서 볼 때 그 상단면 구역뿐 아니라 그 하단면 구역에서도 볼록하게 휘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하우징(7e)이 횡단면에서 볼 때 두 개의 서로 결합된 하우징 프로파일 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장치.
KR1020080072435A 2007-07-25 2008-07-24 유연성 보호 커버를 구비한 보호장치 KR200900121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36652A DE102007036652B4 (de) 2007-07-25 2007-07-25 Schutzvorrichtung mit einer flexiblen Schutzplane
DE102007036652.5 2007-07-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138A true KR20090012138A (ko) 2009-02-02

Family

ID=39134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2435A KR20090012138A (ko) 2007-07-25 2008-07-24 유연성 보호 커버를 구비한 보호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045648A1 (ko)
EP (1) EP2018987A1 (ko)
JP (1) JP2009029420A (ko)
KR (1) KR20090012138A (ko)
CN (1) CN101353010A (ko)
DE (2) DE202007016320U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7596A2 (ko) 2009-01-30 2010-08-05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휘도강화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4003338T2 (de) 2004-04-29 2007-06-21 Kverneland Asa Ballenpresse zum Ausbilden eines zylindrischen Ballens
DE102009011917A1 (de) * 2009-03-10 2010-10-07 Tesa Se Rollosystem
KR100947925B1 (ko) 2009-05-29 2010-03-15 이상호 컨버터블 카 루프 시스템
DE102010018259B4 (de) * 2010-04-26 2011-12-01 Webasto Ag Fahrzeugrolloanordnung, Baugruppe mit einer Fahrzeugrolloanordnung, und Dachanordnung
DE102016015398A1 (de) * 2016-12-22 2018-06-28 Webasto SE Rollovorrichtung an einem Fahrzeugdach
US10421344B2 (en) 2017-05-16 2019-09-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Windshield barrier
CN107747384A (zh) * 2017-09-08 2018-03-02 新奥泛能网络科技股份有限公司 遮阳板帘组件
WO2021053664A1 (en) * 2019-09-16 2021-03-25 Slide2Seal Ltd. System and method for reversibly covering a zon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28663A1 (de) * 1989-08-30 1991-03-14 Herbert Kielkopf Abdeckung fuer eine bauwerksoeffnung
DE19625215C2 (de) * 1996-06-25 2001-05-03 Cardo Door Continental B V Schnellaufrolltor für Tiefkühlhäuser
DE10223684B4 (de) * 2002-05-23 2005-12-01 Bos Gmbh & Co. Kg Fahrzeugraum mit wenigstens einem, auf-und abwickelbaren, flexiblen Flächengebilde
DE10243068B4 (de) * 2002-09-16 2005-02-24 Webasto Vehicle Systems International Gmbh Sonnenrollo für ein Fahrzeugdach
FR2848919B1 (fr) * 2002-12-24 2006-03-31 Wagon Automotive Snc Dispositif d'occultation pour vehicule automobile, a deploiement/repliement modulable de la toile, et vehicule correspondant
DE102004020338A1 (de) * 2004-01-13 2005-08-04 Webasto Ag Himmelmodul für ein Fahrzeugdach sowie mit einem Himmelmodul versehenes Fahrzeugdach
DE102004028882B4 (de) * 2004-06-15 2006-09-28 Daimlerchrysler Ag Rollo mit Y-Fixierung
DE102004039094A1 (de) * 2004-08-11 2006-02-23 Webasto Ag Bedien- und Steuerungseinrichtung für eine Rolloanordn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7596A2 (ko) 2009-01-30 2010-08-05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휘도강화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53010A (zh) 2009-01-28
DE102007036652B4 (de) 2010-07-29
DE102007036652A1 (de) 2009-01-29
US20090045648A1 (en) 2009-02-19
DE202007016320U1 (de) 2008-02-28
JP2009029420A (ja) 2009-02-12
EP2018987A1 (de) 2009-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2138A (ko) 유연성 보호 커버를 구비한 보호장치
KR101473201B1 (ko) 삽입 보조기를 구비한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EP2272699B1 (en) Roller shade apparatus for vehicle
US9889726B2 (en) Shade apparatus
JP6401206B2 (ja) サンルーフ装置
US7090281B2 (en) Sliding sun visor
KR960017230A (ko) 자동차의 절첩 지붕
KR20170094344A (ko) 차량 내부 칸막이용 보호 장치
US7306258B2 (en) Guide unit for guiding curtain airbag and curtain airbag device
US20170015179A1 (en)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interior
JP6303869B2 (ja) 車両用デフレクタ装置
KR20170072934A (ko) 자동차 창문용 차양 장치
US20170225549A1 (en) Roller sunshade device
CN111051098B (zh) 遮挡卷帘设备
CN111065534B (zh) 遮挡卷帘设备
JP2013252742A (ja) 車両用ロールシェード装置
JP2024504650A (ja) 車両の積荷エリア用カバー
KR100401710B1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KR100471321B1 (ko) 선바이저 조립체
JP4994593B2 (ja) 自動車用サンシェード装置
KR20200077670A (ko) 차량용 파노라마 선루프의 패브릭 디플렉터 정상수납을 위한 접힘 유도장치
JP2004314875A (ja) ガラスランチャンネル
ITMI20000550U1 (it) Dispositivo di copertura per autoveicoli
ITFI20000084U1 (it) Copritetto mobile per abitacoli di autoveicoli, fungente da schermo alla radiazione solare.
KR20020096702A (ko) 컨버터블 자동차의 덮개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