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850A - 선회 거동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선회 거동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850A
KR20090010850A KR1020070090315A KR20070090315A KR20090010850A KR 20090010850 A KR20090010850 A KR 20090010850A KR 1020070090315 A KR1020070090315 A KR 1020070090315A KR 20070090315 A KR20070090315 A KR 20070090315A KR 20090010850 A KR20090010850 A KR 20090010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torque
turning
vehicl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2968B1 (ko
Inventor
나오키 타카하시
카오루 사와세
유이치 우시로다
케이지 스즈키
타카미 미우라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0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2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2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ifferentials
    • B60W10/14Central differential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front and rear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ifferentials
    • B60W10/16Axle differentials, e.g. for dividing torque between left and right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60W10/18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with wheel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 B60W30/045Improving turning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81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2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force applied to control members, e.g. control members of vehicles, triggers
    • G01L5/221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force applied to control members, e.g. control members of vehicles, triggers to steering wheels, e.g. for power assisted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2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720/30Wheel torq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 Retarder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과제
선회력의 제어 상황을 순식간에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요 모멘트 표시부(31)의 기준 표시부(32)로부터 선회 방향을 향하는 세그먼트(33)의 표시 수를 선회 외륜과 선회 내륜의 토오크의 상대적인 차에 따라 원호상태로 증감시키고, 차량의 요 모멘트 제어량, 즉, 선회 거동(선회력의 상태)의 제어 상황을 직감적으로 시인하여 선회력의 제어 상황을 순식간에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이 갖는 주행 성능과 안전 성능을 확실하게 유효 활용한다.
선회 거동 표시 장치

Description

선회 거동 표시 장치{PIVO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선회 거동 제어 수단을 갖는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의 제어 상황을 표시하는 선회 거동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회하고 있는 차량의 안정화를 도모하고,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이 종래로부터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요 레이트에 의거하여 차량의 좌륜과 우륜 사이의 구동력차 및 각 륜(輪)에 대한 제동력을 피드백 제어하거나, 전륜과 후륜의 차동(差動) 제한의 정도를 가변으로 하는 센터 디퍼렌셜 기어(이하, 센터 데프라고 칭한다)의 전자 제어 LSD(Limited Slip Differential)를 차량의 요 레이트에 의거하여 피드백 제어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요 레이트 피드백 제어를 적용하여, 전후륜 사이의 차동 제한의 정도의 제어나, 좌우륜 토오크 발생 장치에 의한 차량의 좌륜과 우륜 사이의 토오크 제어 및 제동 제어를 통합하여 제어하고 있다. 그리고, 오버 스티어 억제에 한하여, 차량의 좌륜과 우륜 사이의 토오크의 제어와 병행하여 센터 데프에 의한 전후륜 사이의 차동 제어를 행하고, 구속력을 강화하도록 제어하 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선회 거동 제어 수단을 실시하는 경우, 좌륜과 우륜 사이의 토오크의 제어량이나 차동 제어에 의한 구속력의 정도(차동 제한의 정도)를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차량이 갖는 주행 성능과 안전 성능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좌륜과 우륜의 토오크의 제어량이나 전후륜의 구동력 분배비(차동 제한의 정도)를 표시하는 종래 기술로서, 예를 들면, 구동력 분배비나, 좌우륜 각각의 토오크의 크기를 표시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2, 3 참조).
종래로부터 제안되어 있는 표시 장치는, 구동력 분배비에 의한 구속력의 강도가 표시 상태의 다소로 표시됨과 함께, 좌륜의 토오크의 크기 및 우륜의 토오크의 크기가 각각 표시 상태의 다소로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운전자는 표시 상태에 의해 차량의 구속력이나 좌우륜 각각의 토오크의 상태를 시인(視認)하고, 차량의 구속력이나 좌우륜 각각의 토오크의 상태에 따라 차량의 선회 거동(선회력의 상태)의 제어 상황을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표시 장치에서는, 구동력 분배비에 의한 구속력의 강도나, 좌륜의 토오크의 크기 및 우륜의 토오크의 크기가 각각 표시되기 때문에, 각각의 상황이 동시에 표시되면, 내용이 복잡하게 되고 운전자의 시인성이 저하되게 된다. 이 때문에, 우륜의 토오크의 크기의 차에 따라 선회 거동(선회력의 상태)의 제어 상황을 추정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순식간에 차량의 선회 거동(선회력의 상태) 의 제어 상황을 인식하는 것이 곤란하여, 차량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면서 운전하는 것이 어려워질 우려가 있고, 차량이 갖는 주행 성능과 안전 성능을 완전히 유효하게 활용할 수 없는 것이 현재의 상황이었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개2007-131229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국 특개평11-98603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국 실공평5-15046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차량의 선회 거동(선회력의 상태)의 제어 상황을 순식간에 인식할 수 있는 선회 거동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 차량이 갖는 주행 성능과 안전 성능을 확실하게 유효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 제 1항에 관한 본 발명의 선회 거동 표시 장치는,
차량의 좌우륜의 토오크에 차를 생기게 함으로써 차량의 선회 거동을 제어하는 선회 거동 제어 수단과,
상기 선회 거동 제어 수단의 제어 상황을 표시하는 선회 거동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회 거동 표시 장치는,
상기 좌우륜의 토오크가 같은 때를 나타내는 기준 표시부와,
상기 좌우륜의 토오크에 상대적인 차가 발생하고 있는 때에 상기 좌우륜의 각각에 대해 토오크 변동 상태를 표시하는 변동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변동 표시부는,
상기 선회 거동 제어 수단에서 설정되는 선회 외륜과 선회 내륜의 토오크의 상대적인 차에 따라, 상기 좌우륜의 각각에 대한 변동 상태를, 상기 기준 표시부로 부터 선회 방향을 향하여 증감시켜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1항에 관한 본 발명에서는, 좌우륜의 각각에 대한 변동 표시부는, 선회 외륜과 선회 내륜의 토오크의 상대적인 차에 따라, 기준 표시부로부터 선회 방향을 향하여, 증감시켜서 표시하기 때문에, 차량의 선회 거동(선회력의 상태)의 제어 상황을 직감적으로 시인할 수 있다. 이 결과, 선회력의 제어 상황을 순식간에 인식할 수 있고, 차량이 갖는 주행 성능과 안전 성능을 확실하게 유효 활용할 수 있다.
선회 거동 제어 수단은, 좌우후륜의 토오크 차를 컨트롤하는 액티브 요 컨트롤(AYC)의 시스템이나, 좌우전륜의 브레이크 제어 토오크 차를 컨트롤하는 시스템이 적용된다. 또한, 좌우후륜의 토오크 차를 컨트롤함과 함께 좌우전륜의 브레이크 제어에 의한 토오크 차를 컨트롤하고, 통합적으로 요 모멘트를 컨트롤하는 시스템이 적용된다.
그리고, 청구항 제 2항에 관한 본 발명의 선회 거동 표시 장치는, 청구항 제 1항에 기재된 차량의 선회 거동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동 표시부는,
토오크가 상대적으로 크게 되는 측을 상기 기준 표시부로부터 상측에 상기 표시 상태를 증가시킴과 함께, 토오크가 상대적으로 작게 되는 측을 상기 기준 표시부로부터 하측에 상기 표시 상태를 증가시키고, 상기 토오크가 크게 되는 측과 작게 되는 측의 각각 상측 증가 표시량과 하측 증가 표시량이 같은 양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2항에 관한 본 발명에서는, 토오크가 크게 되는 측과 작게 되는 측이 기준 표시부로부터 상하로 같은 표시량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차량의 선회 거동(선회력의 상태)의 제어에 의한 좌우륜의 토오크의 크기와 방향을 각각 정확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제 3항에 관한 본 발명의 선회 거동 표시 장치는, 청구항 제 1항에 기재된 차량의 선회 거동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동 표시부는, 표시 상태의 증감을 나타내는 복수의 세그먼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3항에 관한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세그먼트의 표시 수에 의해 차량의 선회 거동(선회력의 상태)의 제어 상황을 직감적으로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제 4항에 관한 본 발명의 선회 거동 표시 장치는, 청구항 제 1항에 기재된 차량의 선회 거동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동 표시부는, 상기 기준 표시부를 한가운데로 한 원호형상으로 표시 상태가 증감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4항에 관한 본 발명에서는, 표시 상태가 원호형상으로 증감하기 때문에, 차량의 선회력의 상태의 제어 상황을 보다 직감적으로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제 5항에 관한 본 발명의 선회 거동 표시 장치는, 청구항 제 1항에 기재된 차량의 선회 거동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동 표시부는, 상기 좌우륜의 토오크의 차가 커짐에 따라 상기 표시 상태의 증감의 변화가 늦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5항에 관한 본 발명에서는, 선회력의 상태의 제어량이 작은 경우에도 표시 상태를 확실하게 증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제어량이 큰 경우에는 표시 상태의 불필요한 증감을 억제할 수 있고, 제어량에 관계없이 정확한 표시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제 6항에 관한 본 발명의 선회 거동 표시 장치는, 청구항 제 1항에 기재된 차량의 선회 거동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회 거동 제어 수단은, 전륜과 후륜 사이의 차동 제한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차량의 구동 성능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차동 제한 정도를 표시하는 차동 제한 표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6항에 관한 본 발명에서는, 차동 제한 표시부를 구비함에 의해 차량의 구동 성능을 가미한 선회력의 상태의 제어 상황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제 7항에 관한 본 발명의 선회 거동 표시 장치는, 청구항 제 6항에 기재된 선회 거동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우륜의 각각에 대해 구비된 상기 변동 표시부 사이에 상기 차동 제한 표시부가 배치되고, 상기 기준 표시부에 대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차동 제한 표시부의 표시 상태가 상기 차동 제한 정도에 따라 양측으로 증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7항에 관한 본 발명에서는, 차동 제한 정도의 제어 상황이 좌우륜의 선회력의 상태의 제어 상황 사이에 표시되고, 기준 표시부를 중심으로 제어의 정도가 표시되기 때문에, 차량의 구동 성능을 가미한 선회력의 상태의 제어 상황을 보다 직감적으로 시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회 거동 표시 장치는, 차량의 선회 거동(선회력의 상태)의 제어 상황을 순식간에 인식할 수 있어서, 차량이 갖는 주행 성능과 안전 성능을 확실하게 유효 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선회 거동 표시 장치가 적용되는 차량은, 4륜 구동 방식의 차량이고, 앤티로크 브레이크 시스템(ABS), 전후륜의 차동 제한력을 제어하는 액티브 센터 디퍼렌셜(ACD), 후륜의 좌우의 구동력을 제어하는 액티브 요 컨트롤(AYC), 4륜의 브레이크력을 제어하는 액티브 스태빌리티 컨트롤(ASC)의 시스템을 구비하고, 이들의 시스템을 통합 제어하여 차량의 선회성이나 가속성을 양립시키는 선회 거동 제어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선회 거동 표시 장치가 적용되는 차량은, 예를 들면, 코너링이나 감속시에는 후륜의 좌우의 구동력을 제어함과 함께 전후륜의 차동 제한력을 강화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선회중은 회두성(回頭性)을 높이기 위해 후륜의 좌우의 구동력을 제어함과 함께 전후륜의 차동 제한력을 약하게 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선회 거동 표시 장치는, 선회 거동 제어 장치에서의 차량의 선회 거동(선회력의 상태)의 제어 상황, 즉, 후륜의 좌우의 구동력의 제어 상황이나 전후륜의 차동 제한력의 강도의 제어 상황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 선회력의 상황을 구부러지는 방향 및 구부러지는 힘으로서 표시하고, 선회력의 상태를 직감적으로 시인하여 선회 거동의 제어 상황을 순식간에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선회 거동 표시 장치가 적용되는 차량의 선회 거동의 제어 상황을 도시하는 개념, 도 2에는 선회 거동 표시 장치가 탑재된 차량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선회 거동 표시 장치가 구비되는 계기반의 전체, 도 4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선회 거동 표시 장치의 상세 상황, 도 5에는 요 모멘트 제어량과 세그먼트 값과의 관계, 도 6에는 ACD 제어량과 세그먼트 값과의 관계, 도 7에는 세그먼트의 천이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8에는 본 발명의 선회 거동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도 2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선회 거동 표시 장치가 적용되는 차량의 선회 거동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1)은, 엔진(2)의 구동력이 센터 디퍼렌셜(센터 데프)(3)에서 전륜(4) 및 후륜(5)에 분배되고, 전후륜의 차동 제한력의 강도(ACD 제어량)가 제어된다. 또한, 전륜(4)의 좌우의 브레이크 제어에 의한 토오크 차와, 후륜(5)의 좌우 토오크 이동에 의한 토오크 차가 요 모멘트로 변환되고, 차량(1)의 요 모멘트 제어량으로 된다. 본 발명의 선회 거동 표시 장치는, 전후륜의 차동 제한력의 강도(ACD 제어량)와 요 모멘트 제어량을 표시기에 표시시키는 것이다.
도 2에 의거하여 선회 거동 표시 장치가 탑재된 차량의 개략을 설명한다.
차량(1)에는 엔진(2)이 탑재되고, 엔진(2)으로부터의 출력은 트랜스미션(6) 및 중간 기어 기구(17)를 통하여 센터 데프(3)에 전달된다. 센터 데프(3)에 전달된 출력은, 차축(8L)을 통하여 좌전륜(4L)에 전달됨과 함께 차축(8R)을 통하여 우전륜(4R)에 전달된다.
센터 데프(3)에는, 디퍼렌셜 피니언(3a, 3b)이 구비되고, 디퍼렌셜 피니언(3a, 3b)에 맞물리는 사이드 기어(3c, 3d)가 구비되어 있다. 디퍼렌셜 피니언(3a, 3b)으로부터 입력된 토오크는 사이드 기어(3c)를 통하여 전륜(4)에 전달되고, 디퍼렌셜 피니언(3a, 3b)으로부터 입력된 토오크는 사이드 기어(3d) 및 프로펠러 샤프트(11)를 통하여 후륜(5)에 전달된다. 센터 데프(3)에 의해 전륜(4)과 후륜(5) 사이의 차동이 허용된다.
또한, 센터 데프(3)에는, 전륜(4)과 후륜(5)의 차동 제한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차량의 구동 성능을 제어하는 기능(선회 거동 수단의 기능)인 전후륜 사이 차동 제한 기구(9)가 구비된다.
전후륜 사이 차동 제한 기구(9)는, 전륜(4)과 후륜(5) 사이에서 허용된 차동을 가변으로 제한하면서 엔진(2)으로부터 출력된 토오크를 전륜(4) 및 후륜(5)에 대해 가변으로 배분하는 것이다. 즉, 전후륜 사이 차동 제한 기구(9)는 습식 유압 다판 클러치 기구에 의해 구성되고, 도시하지 않은 유압 유닛으로부터의 유압에 따라 전륜(4)과 후륜(5) 사이에서의 차동 제한의 정도가 조정되도록 되어 있다(ACD 제어).
전후륜 사이 차동 제한 기구(9)에 작용하는 유압은 ECU(전자 컨트롤 유 닛)(20)의 센터 데프 컨트롤러(21)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제어된다.
한편, 리어 데프(7)에 전달된 출력은, 차축(13L)을 통하여 좌후륜(5L)에 전달됨과 함께 차축(13R)을 통하여 우후륜(5R)에 전달된다. 리어 데프(7)에는, 좌후륜(5L)과 우후륜(5R)에 전달되는 구동 토오크에 토오크 차를 생기게 함으로써 차량(1)의 선회 거동(요 모멘트)을 제어하는 선회 거동 수단으로서의 좌우륜 사이 구동력 이동 기구(14)가 구비되어 있다.
좌우륜 사이 구동력 이동 기구(14)는, 변속 기구(14a)와 전달 용량 가변 제어식의 토오크 전달 기구(14b)로 구성되어 있다. 변속 기구(14a)는 한쪽의 후륜, 즉, 좌후륜(5L)의 회전 속도를 증속시키거나 감속시키거나 하여 토오크 전달 기구(14b)에 출력하는 것이다. 토오크 전달 기구(14b)는 전달 토오크 용량을 조정할 수 있는 습식 유압 다판 클러치 기구에 의해 구성되고, 변속 기구(14a)에 의해 증속 또는 감속된 좌후륜(5L)의 회전 속도와, 한쪽의 후륜, 즉, 우후륜(5R)의 회전 속도의 회전 속도차를 이용하고, 좌후륜(5L)과 우후륜(5R) 사이에서 토오크의 수수(授受)(토오크 이동)를 행하는 것이다. 좌후륜(5L)과 우후륜(5R) 사이에서 토오크의 수수를 행함으로써, 한쪽의 차륜의 구동 토오크를 증대 또는 감소시키고, 다른쪽의 차륜의 구동 토오크를 감소 또는 증대시킬 수 있다.
좌우륜 사이 구동력 이동 기구(14)에 작용하는 유압은 ECU(20)의 리어 데프 컨트롤러(22)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제어된다.
예를 들면, 차량(1)이 우선회하면서 전진하고 있는 경우에, 좌우륜 사이 구동력 이동 기구(14)에 유압력이 작용하여 우후륜(5R)에 전달하는 토오크가 감소되 면 우후륜(5R)이 감속한다. 이때, 좌후륜(5L)에 전달하는 토오크가 증대되어 좌후륜(5L)이 증속한다. 이로써, 차량(1)에 시계회전 방향(우회전 방향)의 요 모멘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AYC 제어).
차량(1)의 좌우의 전륜(4)에는 브레이크 장치(31L, 31R)가 마련되고, 좌우의 후륜(5)에는 브레이크 장치(32L, 32R)가 마련되어 있다. 브레이크 장치(31L, 31R) 및 브레이크 장치(32L, 32R)에는, 각각 독립하여 유압이 공급되고, 좌우의 전륜(4) 및 좌우의 후륜(5)의 각각에 대해 브레이크 상황이 제어된다. 브레이크 장치(31L, 31R, 32L, 32R)에 작용하는 유압은 ECU(20)의 브레이크 장치 컨트롤러(23)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제어된다.
브레이크 상황이 제어되는 경우, 예를 들면, 좌우의 전륜(4)의 브레이크력의 차(브레이크 토오크 차)에 의해, 차량(1)에 선회력이 발생한다. 좌우의 전륜(4)의 브레이크 토오크 차와 좌우의 후륜(5)의 토오크 차가 통합되어 차량(1)의 요 모멘트가 된다.
상술한 차량(1)에서는, 예를 들면, 주행시의 스티어링 각(角)이나 브레이크 압, 차량(1)의 전후·가로(橫) 가속도와 요 레이트를 검출하고, 이들의 정보에 응하여, 전륜(4)과 후륜(5)의 차동 제한 정도를 조정함과 함께, 좌후륜(5L)과 우후륜(5R) 사이의 토오크 차를 조정하고, 또한, 좌우의 전륜(4) 및 후륜(5)의 브레이크력을 독립하여 제어한다. 예를 들면, 코너링이나 감속시에는 후륜의 좌우의 구동력을 제어함과 함께 전후륜의 차동 제한력을 강화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선회중은 회두성을 높이기 위해 후륜의 좌우의 구동력을 제어함과 함께 전후륜의 차동 제한력을 약하게 하도록 하고 있다.
이로써, 한계 주행 영역에서의 차량(1)의 거동을 어시스트할 수 있고, 높은 선회 성능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저(低)μ로(路)의 선회에서는 수정 조타가 적게 끝남으로써 안정성과 컨트롤성이 향상하고, 긴급 회피의 경우에도 급한 스티어링 조작(操作)에 의한 거동의 혼란이 적고, 안정성과 수속성(收束性)이 향상한다.
본 발명의 선회 거동 표시 장치는, 전후륜의 작동 제한력의 강도(ACD 제어량), 및, 전륜(4)의 좌우의 브레이크 제어에 의한 토오크 차와, 후륜(5)의 좌우의 토오크 이동에 의한 토오크 차가 통합된 요 모멘트 제어량(세그먼트 값)을 표시하는 것이고, 차량(1)의 선회 거동(선회력의 상태)의 제어 상황을 운전자가 순식간에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1)이 갖는 주행 성능과 안전 성능을 확실하게 유효 활용할 수 있도록 기도(企圖)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선회 거동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석의 전방에 있는 계기반의 스피드 미터(25)와 타코 미터(26) 사이에 차량 상황 표시 장치(30)가 배치되고, 선회 거동 표시 장치(27)가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운전자가 패널에 터치함에 의해, 필요한 정보의 표시 장치가 표시되고, 복수의 표시 장치중의 하나가 선회 거동 표시 장치(27)로 된다. 도시예에서는, 선회 거동 표시 장치(27) 외에, 외기온(外氣溫), 노면 상황, 운전 모드, 연료의 잔량이 표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회 거동 표시 장치(27)에는, 요 모멘트 제어량이 표시되는 요 모멘트 표시부(31)와, 전후륜의 차동 제한력의 강도(ACD 제어량)가 표시되는 차동 제한 표시부(35)가 구비되어 있다. 요 모멘트 표시부(31)는, 좌우에 좌변동 표시부(31a)와 우변동 표시부(31b)가 구비되어 있다. 좌변동 표시부(31a)와 우변동 표시부(31b)는 동심원상태의 원호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좌우륜의 토오크가 같은 때의 기준 표시부(32)가 좌변동 표시부(31a)와 우변동 표시부(31b)의 상하 방향의 한가운데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좌변동 표시부(31a) 및 우변동 표시부(31b)에는 직사각형의 세그먼트(33)가 복수(도시예에서는 5세그먼트) 표시되도록 되어 있고, 좌변동 표시부(31a)의 기준 표시부(32)보다도 상측에 세그먼트(33)가 표시된 때는 우변동 표시부(31b)의 기준 표시부(32)보다도 하측에 세그먼트(33)가 같은 수만큼 표시된다. 세그먼트(33)의 표시 수는, 선회 외륜과 선회 내륜의 토오크의 상대적인 차에 따라, 즉, 요 모멘트 제어량에 따라 설정되고, 기준 표시부(32)로부터 선회 방향을 향하는 세그먼트(33)의 표시 수가 원호를 그리는 상태로 증감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상태인 경우, 우선회 방향으로 요 모멘트 제어량이 최대한으로 발생하고 있는 상태가 표시되어 있다. 즉, 도 4에 도시한 상태는, 좌후륜(5)의 구동 토오크가 크고, 우후륜(5)의 구동 토오크가 작은 상태이고, 좌전륜(4)의 브레이크 제어 토오크가 작고, 우전륜(4)의 브레이크 제어 토오크가 큰 상태이다. 이 경우, 구동 토오크와 브레이크 제어 토오크로부터 변환되는 요 모멘트량은, 우선회측으로 작용하는 상태로 되고, 좌우륜의 상대적인 토오크의 차가 세그 먼트(33)의 표시 수로서, 좌변동 표시부(31a)는 기준 표시부(32)로부터 상측에 표시되고(선회 방향으로 증가), 우변동 표시부(31b)는 기준 표시부(32)로부터 하측에 동수로 표시된다(선회 방향으로 증가).
한편, 요 모멘트 표시부(31)의 좌변동 표시부(31a)와 우변동 표시부(31b) 사이에 차동 제한 표시부(35)가 배치되어 있다. 차동 제한 표시부(35)는 차동 제한 정도가 복수의 직사각형의 세그먼트(36)로 표시되는 것으로, 중심의 세그먼트(36a)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동수가 증감하여 표시된다. 중심의 세그먼트(36)의 상하 방향의 표시 위치는, 요 모멘트 표시부(31)의 기준 표시부(32)와 동위치로 되어 있다. 전후륜의 차동 제한력의 강도(ACD 제어량)가 강해짐에 따라, 세그먼트(36)의 표시 수가 상하로 증가하여 간다. 도 4의 예는 최대의 강도(최대의 ACD 제어량)로 되고, 차량(1)(도 1 참조)의 구동 성능이 높은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이다.
도 5에 의거하여 요 모멘트 제어량과 세그먼트(33)의 표시 수(연산된 세그먼트 값)와의 관계를 설명하고, 도 6에 의거하여 ACD 제어량과 세그먼트(36)의 표시 수(연산된 세그먼트 값)와의 관계를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 모멘트 제어량이 상대적으로 커짐에 따라 세그먼트 값이 1부터 5까지 설정된다. 요 모멘트 제어량은 정(正)이 좌선회 방향, 부(負)가 우선회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세그먼트 값이 정인 경우, 좌변동 표시부(31a)가 하측, 우변동 표시부(31b)가 상측에 표시되고, 세그먼트 값이 부인 경우, 좌변동 표시부(31a)가 상측, 우변동 표시부(31b)가 하측에 표시된다.
그리고, 요 모멘트 제어량이 커짐에 따라, 표시 상태의 증감의 변화가 늦어 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세그먼트 값이 1인 경우의 요 모멘트 제어량(h)에 대해 세그먼트 값이 4인 경우의 요 모멘트 제어량(h)이 많게(길게) 설정되고, 요 모멘트 제어량이 클수록(작을수록) 세그먼트(33)의 표시의 전환이 느리게(빠르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요 모멘트 제어량이 작은 경우에도 세그먼트(33)의 표시를 확실하게 증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요 모멘트 제어량이 큰 경우에는 세그먼트(33)의 표시의 불필요한 증감을 억제할 수 있고, 요 모멘트 제어량에 관계없이 정확한 표시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ACD 제어량이 커지는 측으로 세그먼트 값이 1부터 5까지 설정되고, 세그먼트(36)의 표시 수가 많아지게 되어 있다. 즉, 세그먼트(36)의 표시에 의해 차량(1)(도 1 참조)의 구동 성능이 높아지는 상태가 표시된다. 그리고, ACD 제어량이 커짐에 따라, 표시 상태의 증감의 변화가 늦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세그먼트 값이 1인 경우의 ACD 제어량(h)에 대해 세그먼트 값이 4인 경우의 요 모멘트 제어량(h)이 많게(길게) 설정되고, ACD 제어량이 클수록(작을수록) 세그먼트(36)의 표시의 전환이 느리게(빠르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ACD 제어량이 작은 경우에도 세그먼트(36)의 표시를 확실하게 증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ACD 제어량이 큰 경우에는 세그먼트(36)의 표시의 불필요한 증감을 억제할 수 있고, ACD 제어량에 관계없이 정확한 표시를 실시할 수 있다.
도 7에 의거하여 세그먼트의 천이(遷移) 상황을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 명중의 부호는, 도 4에 도시한 부호이기 때문에, 도 4와 더불어 설명한다.
ACD 제어량에 대한 세그먼트(36)의 상황은, 세그먼트 값이 1인 경우, 중심의 세그먼트(36a)가 표시되고, 세그먼트 값이 2인 경우, 중심의 세그먼트(36a)를 포함하여 상하로 1개의 세그먼트(36)가 더욱 표시되고, 전부에서 3개의 세그먼트(36)가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세그먼트 값이 3인 경우, 전부에서 5개의 세그먼트(36)가 표시되고, 세그먼트 값이 4인 경우, 전부에서 7개의 세그먼트(36)가 표시되고, 세그먼트 값이 5인 경우, 9개 모두의 세그먼트(36)가 표시된다.
ACD 제어량이 커지는 경우, 차량(1)(도 1 참조)의 구동 성능이 높아지는 상태이기 때문에, 중심의 세그먼트(36a)로부터 차동 제한 표시부(35)의 상하 방향으로 세그먼트(36)가 증가하여 구동 성능이 높아지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우선회 경우의 요 모멘트 제어량에 대한 세그먼트(33)의 상황은, 세그먼트 값이 1인 경우, 좌변동 표시부(31a)의 세그먼트(33)가 기준 표시부(32)의 상측에 하나 표시됨과 함께 우변동 표시부(31b)의 세그먼트(33)가 기준 표시부(32)의 하측에 하나 표시되고, 세그먼트 값이 2인 경우, 좌변동 표시부(31a)의 세그먼트(33)가 기준 표시부(32)의 상측에 2개 표시됨과 함께 우변동 표시부(31b)의 세그먼트(33)가 기준 표시부(32)의 하측에 2개 표시되어, 직감적으로 우선회 상태의 어시스트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세그먼트 값이 하나 증가할 때마다, 좌변동 표시부(31a)의 세그먼트(33)가 기준 표시부(32)의 상측에 하나 증가됨과 함께 우변동 표시부(31b)의 세그먼트(33)가 기준 표시부(32)의 하측에 하나 증가되고, 세그먼트 값이 5인 경 우, 좌변동 표시부(31a)의 세그먼트(33)가 기준 표시부(32)의 상측에 5개 표시됨과 함께 우변동 표시부(31b)의 세그먼트(33)가 기준 표시부(32)의 하측에 5개 표시되어, 직감적으로 우선회 상태의 어시스트가 큰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좌 선회인 경우의 요 모멘트 제어량에 대한 세그먼트(33)의 상황은, 세그먼트 값이 1인 경우, 좌변동 표시부(31a)의 세그먼트(33)가 기준 표시부(32)의 하측에 하나 표시됨과 함께 우변동 표시부(31b)의 세그먼트(33)가 기준 표시부(32)의 상측에 하나 표시되고, 세그먼트 값이 2인 경우, 좌변동 표시부(31a)의 세그먼트(33)가 기준 표시부(32)의 하측에 2개 표시됨과 함께 우변동 표시부(31b)의 세그먼트(33)가 기준 표시부(32)의 상측에 2개 표시되어, 직감적으로 좌선회 상태의 어시스트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세그먼트 값이 하나 증가할 때마다, 좌변동 표시부(31a)의 세그먼트(33)가 기준 표시부(32)의 하측에 하나 증가됨과 함께 우변동 표시부(31b)의 세그먼트(33)가 기준 표시부(32)의 상측에 하나 증가되고, 세그먼트 값이 5인 경우, 좌변동 표시부(31a)의 세그먼트(33)가 기준 표시부(32)의 하측에 5개 표시됨과 함께 우변동 표시부(31b)의 세그먼트(33)가 기준 표시부(32)의 상측에 5개 표시되어, 직감적으로 좌선회 상태의 어시스트가 큰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상술한 선회 거동 표시 장치(27)에서는, 요 모멘트 표시부(31)의 기준 표시부(32)로부터 선회 방향을 향하는 세그먼트(33)의 표시 수가 선회 외륜과 선회 내륜의 토오크의 상대적인 차에 따라 원호 상태로 증감하기 때문에, 차량(1)(도 1 참조)의 요 모멘트 제어량, 즉, 선회 거동(선회력의 상태)의 제어 상황을 직감적으로 시인할 수 있다. 이 결과, 선회력의 제어 상황을 순식간에 인식할 수 있고, 차량(1)(도 1 참조)이 갖는 주행 성능과 안전 성능을 확실하게 유효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좌변동 표시부(31a)의 표시량과 우변동 표시부(31b)의 표시량이 같은 양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요 모멘트 제어량의 크기와 방향을 각각 정확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요 모멘트 표시부(31)의 좌변동 표시부(31a)와 우변동 표시부(31b) 사이에 차동 제한 표시부(35)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차동 제한 정도의 제어 상황이 좌우륜의 선회력의 상태의 제어 상황 사이에 표시되고, 기준 표시부(32)를 중심으로 제어의 정도가 표시되어, 차량(1)의 구동 성능을 가미한 선회력 상태의 제어 상황을 보다 직감적으로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요 모멘트 표시부(31)의 좌변동 표시부(31a)와 우변동 표시부(31b) 사이에 차동 제한 표시부(35)가 배치되어 있는 예를 들어서 설명하였지만, 적어도 요 모멘트 표시부(31)를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4륜 구동 방식의 차량에서 전후륜의 차동 제한력을 제어하는 ACD 제어의 상황을 표시하도록 하였지만, 2륜 구동 방식의 차량에서는 요 모멘트 표시부(31)만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좌우후륜의 토오크 차를 컨트롤함과 함께 좌우전륜의 브레이크 제어 토오크 차를 컨트롤하고, 통합적으로 요 모멘트를 컨트롤하는 시스템에 의한 요 모멘트 제어량을 표시하는 예를 들어서 설명하였지만, 좌우후륜의 토오크 차를 컨트롤하는 액티브 요 컨트롤(AYC)에 의한 요 모멘트양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 한, 좌우전륜의 브레이크 제어 토오크 차를 컨트롤하는 시스템에 의한 요 모멘트량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선회 거동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8(a)에 도시한 선회 거동 표시 장치(27A)는, 차동 제한 표시부(35A)의 세그먼트가 동심원 상태로 증감하여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ACD 제어량의 증감이 인식하기 쉬워진다.
도 8(b)에 도시한 선회 거동 표시 장치(27B)는, 요 모멘트 제어량이 커짐에 따라 요 모멘트 표시부(31B)의 세그먼트가 길게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선회 제어의 어시스트량이 인식하기 쉬워진다.
도 8(c)에 도시한 선회 거동 표시 장치(27C)는, 기준 표시부(32C)가 일체로 표시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선회 제어의 어시스트 상황과 ACD 제어의 상황이 일체적으로 인식하기 쉬워진다.
도 8(d)에 도시한 선회 거동 표시 장치(27D)는, 기준 표시부(32D)가 일체로 표시됨과 함께, 요 모멘트 표시부(31D)와 차동 제한 표시부(35D)가 동일 형상으로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심플한 표시로 제어 상황이 인식하기 쉬워진다.
도 8(e)에 도시한 선회 거동 표시 장치(27E)는, 요 모멘트 표시부(31E)의 표시가 부채꼴 형상으로 증감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선회 제어의 어시스트량이 연속적으로 인식하기 쉬워진다.
도 8(f)에 도시한 선회 거동 표시 장치(27F)는, 요 모멘트 표시부(31F)의 내측의 테두리가 없는 상태의 표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선회 제어의 어시스트 상황과 ACD 제어와의 상황이 보다 일체적으로 인식하기 쉬워진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회 거동 표시 장치의 표시중에, ACD(액티브 센터 디퍼렌셜), AWC(올 휠 컨트롤), S-AWC(슈퍼·올 휠 컨트롤) 등의 실시중의 제어 상황을 동시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선회 거동 제어 수단을 갖는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의 제어 상황을 표시하는 선회 거동 표시 장치의 산업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선회 거동 표시 장치가 적용되는 차량의 선회 거동의 제어 상황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2는 선회 거동 표시 장치가 탑재된 차량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선회 거동 표시 장치가 구비되는 계기반의 전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선회 거동 표시 장치의 상세도.
도 5는 요 모멘트 제어량과 세그먼트 값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6은 ACD 제어량과 세그먼트 값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7은 세그먼트의 천이 상황을 설명하는 표의 도.
도 8은 본 발명의 선회 거동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
2 : 엔진
3 : 센터 디퍼렌셜(센터 데프)
4 : 전륜
5 : 후륜
6 : 트랜스미션
7 : 리어 디퍼렌셜(리어 데프)
8, 13 : 차축
9 : 전후륜 사이 차동 제한 기구
10 : 전륜측 하이포이드 기어 기구
11 : 프로펠러 샤프트
12 : 후륜 하이포이드 기어 기구
14 : 좌우륜 사이 구동력 이동 기구
17 : 중간 기어 기구
20 : ECU(전자 컨트롤 유닛)
21 : 센터 데프 컨트롤러
22 : 리어 데프 컨트롤러
23 : 브레이크 장치 컨트롤러
25 : 스피드 미터
26 : 타코 미터
27 : 선회 거동 표시 장치
30 : 차량 상황 표시 장치
31 : 요 모멘트 표시부
32 : 기준 표시부
33, 36 : 세그먼트

Claims (7)

  1. 차량의 좌우륜의 토오크에 차를 생기게 함으로써 차량의 선회 거동을 제어하는 선회 거동 제어 수단과,
    상기 선회 거동 제어 수단의 제어 상황을 표시하는 선회 거동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회 거동 표시 장치는,
    상기 좌우륜의 토오크가 같은 때를 나타내는 기준 표시부와,
    상기 좌우륜의 토오크에 상대적인 차가 발생하고 있는 때에 상기 좌우륜의 각각에 대해 토오크 변동 상태를 표시하는 변동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변동 표시부는,
    상기 선회 거동 제어 수단에서 설정되는 선회 외륜과 선회 내륜의 토오크의 상대적인 차에 따라, 상기 좌우륜의 각각에 대한 변동 상태를, 상기 기준 표시부로부터 선회 방향을 향하여 증감시켜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선회 거동 표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동 표시부는,
    토오크가 상대적으로 크게 되는 측을 상기 기준 표시부로부터 상측에 상기 표시 상태를 증가시킴과 함께, 토오크가 상대적으로 작게 되는 측을 상기 기준 표 시부로부터 하측에 상기 표시 상태를 증가시키고, 상기 토오크가 크게 되는 측과 작게 되는 측의 각각 상측 증가 표시량과 하측 증가 표시량이 같은 양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선회 거동 표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동 표시부는, 표시 상태의 증감을 나타내는 복수의 세그먼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선회 거동 표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동 표시부는, 상기 기준 표시부를 한가운데로 한 원호형상으로 표시 상태가 증감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선회 거동 표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동 표시부는, 상기 좌우륜의 토오크의 차가 커짐에 따라 상기 표시 상태의 증감의 변화가 늦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선회 거동 표시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거동 제어 수단은, 전륜과 후륜 사이의 차동 제한 정도를 조정함 으로써 차량의 구동 성능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차동 제한 정도를 표시하는 차동 제한 표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선회 거동 표시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제한 표시부는,
    상기 좌우륜의 각각에 대해 구비된 상기 변동 표시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기준 표시부에 대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차동 제한 정도에 따라 양측에 증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 거동 표시 장치.
KR1020070090315A 2007-07-24 2007-09-06 선회 거동 표시 장치 KR1009229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92594 2007-07-24
JP2007192594A JP4471132B2 (ja) 2007-07-24 2007-07-24 旋回挙動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850A true KR20090010850A (ko) 2009-01-30
KR100922968B1 KR100922968B1 (ko) 2009-10-22

Family

ID=39048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315A KR100922968B1 (ko) 2007-07-24 2007-09-06 선회 거동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355841B2 (ko)
JP (1) JP4471132B2 (ko)
KR (1) KR100922968B1 (ko)
CN (1) CN101462552B (ko)
DE (1) DE102008004894B4 (ko)
FR (1) FR2919386B1 (ko)
GB (1) GB2452348B (ko)
RU (1) RU2361753C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9240B2 (en) 2010-11-30 2013-04-16 Lg Innotek Co., Ltd. Light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41198A1 (de) * 2009-09-14 2011-04-1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Anzeigeinstrument und Verfahren zur Anzeige der Fahrstabilität eines Fahrzeugs
WO2011071177A1 (ja) * 2009-12-11 2011-06-16 オプテックス株式会社 運転挙動検出方法および装置
DE102010011088B4 (de) * 2010-03-12 2021-11-04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zeigen von Informationen in einem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mit einer solchen Anzeigevorrichtung
CN102971177B (zh) * 2010-07-09 2015-06-10 日产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显示装置
DE102010049720A1 (de) * 2010-10-26 2012-04-26 Volkswagen Ag Anzeige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Darstellen grafischer Objekte,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JP5657997B2 (ja) * 2010-10-29 2015-01-2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の横方向運動制御装置
EP2662232A4 (en) * 2012-03-09 2016-04-27 Mitsubishi Motors Corp VEHIC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DE112012007150B4 (de) 2012-11-20 2019-03-2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Drehmoment-Anzeigevorrichtung und Fahrzeug mit derselben
FR2998531B1 (fr) * 2012-11-26 2016-03-18 Renault Sas Procede et systeme de commande d'un vehicule hybride a moteurs electriques arriere independants.
JP2015101310A (ja) * 2013-11-28 2015-06-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走行状態表示装置
JP2015129729A (ja) * 2014-01-09 2015-07-16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MY177665A (en) * 2015-02-19 2020-09-23 Honda Motor Co Ltd Vehicle
DE102015005975B4 (de) 2015-05-08 2019-01-31 Audi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Querführungssystems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JP6760827B2 (ja) * 2016-11-24 2020-09-2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操舵角表示装置
CN113928117B (zh) * 2021-03-25 2023-04-14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四驱车辆前后桥扭矩显示方法及系统
USD1009899S1 (en) 2021-03-31 2024-01-02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Vehicle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image
JP2023007986A (ja) 2021-07-04 2023-01-19 株式会社Subaru 車両挙動報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7606A (ja) 1984-04-13 1985-10-31 Toshiba Corp 超電導コイル
JPH0641251B2 (ja) * 1985-04-22 1994-06-01 マツダ株式会社 4輪駆動車のトルク配分表示装置
JPS6336166A (ja) * 1986-07-29 1988-02-16 Toshiba Corp 配線簡易型dutボ−ド
JPH0515046Y2 (ko) 1987-04-24 1993-04-21
JPH0374266A (ja) * 1989-08-11 1991-03-28 Nippon Seiko Kk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アシスト量表示装置
JPH05176402A (ja) * 1991-11-19 1993-07-13 Hitachi Automot Eng Co Ltd 電気車の状態表示装置
JPH06336166A (ja) 1993-05-27 1994-12-06 Hino Motors Ltd パワ−ステアリング作動確認装置
US5479715A (en) * 1994-07-19 1996-01-02 Zircon Corporation Electronic level displaying inclination using a multi-segment fan-like display
US5956260A (en) * 1996-08-09 1999-09-21 Zircon Corporation Electronic level displaying inclination having digital and analog displays
JPH1198603A (ja) * 1997-09-18 1999-04-09 Honda Motor Co Ltd 車両の左右輪間の連結装置
US7145442B1 (en) * 2003-10-14 2006-12-05 Yu Hei Sunny Wai Vehicle operation display system
JP4618105B2 (ja) 2005-11-11 2011-01-2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旋回挙動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9240B2 (en) 2010-11-30 2013-04-16 Lg Innotek Co., Ltd. Ligh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19386A1 (fr) 2009-01-30
CN101462552A (zh) 2009-06-24
KR100922968B1 (ko) 2009-10-22
RU2361753C1 (ru) 2009-07-20
US20090030572A1 (en) 2009-01-29
GB0724885D0 (en) 2008-01-30
JP2009029181A (ja) 2009-02-12
DE102008004894A1 (de) 2009-01-29
GB2452348B (en) 2012-04-04
GB2452348A (en) 2009-03-04
DE102008004894B4 (de) 2016-04-07
FR2919386B1 (fr) 2021-01-15
JP4471132B2 (ja) 2010-06-02
CN101462552B (zh) 2011-06-01
US8355841B2 (en) 201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2968B1 (ko) 선회 거동 표시 장치
WO2014054432A1 (ja) 車両の運動制御装置
EP2380798A2 (en)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JP5315174B2 (ja) 車両用トルク表示装置
JPH082292A (ja) 左右輪と前後輪の駆動力配分総合制御装置
JP2011183904A (ja) 車両の運動制御装置
JP2011183865A (ja) 車両の運動制御装置
CN109987084B (zh) 四轮驱动车辆的控制装置
JP2015101310A (ja) 車両の走行状態表示装置
JP2011139561A (ja) 車両の速度制御装置
EP1882618A1 (en) Steering device for vehicle
JP2010166740A (ja) 電気自動車の制御装置
KR101090584B1 (ko) 좌우 구동력 제어 장치
CN208376729U (zh) 一种线控转向和制动系统
JP4626550B2 (ja) 車両の旋回挙動制御装置
KR101033712B1 (ko) 좌우구동력 제어 장치
JP5559833B2 (ja) 加加速度情報を用いた車両の運動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5218763B2 (ja) 車両の表示装置
JP2010260544A (ja) 加加速度情報を用いた車両の運動制御方法
JP5033008B2 (ja) 4輪駆動車の駆動力配分制御装置
JP2012091656A (ja) 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5040013B2 (ja) 車両の旋回挙動制御装置
JP2005306273A (ja) 車両駆動システム
JP6295894B2 (ja) 車両の制御装置
JP4993105B2 (ja) 車両の挙動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