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768A -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768A
KR20090010768A KR1020070074132A KR20070074132A KR20090010768A KR 20090010768 A KR20090010768 A KR 20090010768A KR 1020070074132 A KR1020070074132 A KR 1020070074132A KR 20070074132 A KR20070074132 A KR 20070074132A KR 20090010768 A KR20090010768 A KR 20090010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ment
natural
eye makeup
pigments
makeup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4966B1 (ko
Inventor
노영혜
장순희
최영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70074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966B1/ko
Priority to CN2007101872498A priority patent/CN101352400B/zh
Publication of KR20090010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 A61K2800/872Pencils; Crayons; Felt-tip pe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색소를 함유하는 안전성과 발림성이 우수한 아이메이크업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자, 홍국균, 홍화, 코치닐 및 식용 적양배추에서 추출한 천연색소를 물이나 오일에 쉽게 용해될 수 있도록 전처리하여 사용함으로써 분산 안정도를 향상시키고 균일한 발림성을 증진시킨 아이메이크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아이메이크업 조성물을 싸인펜 구조 용기의 아이라이너에 적용하면 손쉽게 균일한 라인을 그릴 수 있다.
아이메이크업 * 천연색소 * 안전성 * 발림성 * 싸인펜 구조

Description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natural coloring}
본 발명은 천연색소를 함유하는 안전성과 발림성이 우수한 아이메이크업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자, 홍국균, 홍화, 코치닐 및 식용 적양배추에서 추출한 천연색소를 물이나 오일에 쉽게 용해될 수 있도록 전처리하여 사용함으로써 분산 안정도를 향상시키고 균일한 발림성을 증진시킨 아이메이크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아이메이크업 조성물을 싸인펜 구조 용기의 아이라이너에 적용하면 손쉽게 균일한 라인을 그릴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아이 메이크업제품에는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아이섀도우 및 아이브라우 등이 있으며, 이들 제품에는 색소(색재)가 다량 배합되는데 그 배합 목적은 눈 주위의 기미와 주근깨 등을 음폐하고 아름다운 색채 효과를 주어 건강하고 매력적인 눈매를 가꾸는데 있다. 화장품에 사용할 수 있는 색소(색재)는 크게 유기합성색소, 천연색소 및 무기안료로 나눌 수 있고 특히 눈 주변에 사용할 수 있는 색소는 더욱 제한적이며 안전성이 보증되어야 한다.
유기합성 색소에는 염료(Dye), 레이크 및 안료(pigment) 3종류가 있다.
염료는 물 또는 오일 알코올에 용해된 상태로 색채효과를 주는 물질로서 적색 230호 및 적색 223호는 크산텐(Xanthene)계 염료에 속하며, 일반적으로 염료는 안료에 비해 피부에 착색되는 효과가 크기 때문에 클렌징에 어려운 단점이 있다.
레이크는 적색 201호와 같이 물에 소량 용해되는 염료를 칼슘 등의 염으로 물에 불용화한 것을 말하고, 적색 204호, 206호, 207호, 208호 및 220호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레이크는 안료에 비해 내산, 내알카리성이 떨어지고 중성에서 물에 용출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충분한 안정성 실험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안료는 물 및 기름 용제에 용해되지 않는 유색 분말로 레이크에 비해 착색력,내광성이 우수하여 메이크업 제품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반면 합성색소에 비해 안전성이 우수한 천연색소는 동물성 색소, 식물성 색소 및 미생물에서 유래된 색소 등이 있다. 이러한 천연색소들은 화학적인 구조의 관점에서 카로티노이드계, 플라보노이드계, 플라빈계, 퀴논계, 포르피린계, 디케톤계 및 베타시아니딘계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당근, 토마토, 송어, 새우 및 누에 등에 주로 존재하는 황-등적색은 카로티노이드계 색소이며, 카카오에 존재하는 갈색의 카카오 색소는 프라본계 색소, 연두벌레에서 채취한 적색 색소인 코치닐 색소 등은 퀴논계인 안트라퀴논계에 속한다. 화장료에 사용하는 대표적인 천연 색소로는 당근에서 추출한 황색의 β-카로틴, 연두벌레에서 추출한 코치닐 색소, 락 벌레에서 추출한 등-적자색의 락카 인산(Laccaic acid) 색소, 홍화 꽃잎에서 추출한 홍색의 홍화적색소(cathamin), 파프리카(고추의 일종)에서 추출한 카프산틴 색소 및 치자 열매에서 추출한 황색의 크로신 색소 등이 있다.
여러 형태의 아이메이크업에 사용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색소로서 유기 합성 색소인 염료나 유기 안료 또는 무기안료인 체질안료 및 착색안료 등을 사용하고(5∼30%), 유화 제형일 경우 왁스로는 라이스 왁스(rice wax), 밀납(bees wax) 및 캐스터 왁스(Hydrogenated caster oil) 등의 식물성 왁스를 사용해 왔다(5∼25%).
한국특허출원 제2002-0034229호에는 산화철과 테트라 소듐 피로 포스페이트를 사용하여 점도 안정성이 우수한 수분산형 아이메이크업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수분산형 아이메이크업 조성물은 통상적인 산화철을 화학적, 물리적인 처리없이 사용한 고점도 조성물로서 일반 솔(브러시)을 사용하는 액상 타입 아이라이너로는 적당하나 카트리지(싸인펜) 구조의 아이라이너 조성물로 적합하지 않아 부재료 사용에 있어 제한적이다.
또한 한국특허출원 제1991-0020741호에는 100nm 이하의 미세한 입자경의 흑색 산화철과 액체 이소파라핀을 함유하는 싸인펜형 유성 아이라이너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 싸인펜형 유성 아이라이너 조성물의 경우 조성물의 점도가 저 점도 (50cp 이하)이어서 펜형 또는 싸인펜 구조의 조성물에는 적당하나 유성 타입이므로 물에 대한 클렌징이 어렵고 휘발성이 강한 액체 이소파라핀을 사용함에 따라 눈에 대한 안전성이 나쁜 단점이 있다.
기존의 아이메이크업 특허들은 색소로서 합성색소 및 착색 안료 등의 색소를 함유한 조성물 특허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다. 과거에는 천연색소보다는 합성색소를 이용한 제품개발이 많았는데 이는 천연색소 추출의 어려움과 소재와 용도의 제한성이 커서 제한적으로 사용되어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천연색소가 합성색소 보다 안전성이 우수하고 생리 활성적 효능, 효과가 우수하며 대량 생산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어 식품이나 의류뿐만 아니라 화장품에서도 천연색소를 이용한 제품개발이 증가되고 있다.
한국특허출원 제1998-007678호에는 입술과 볼에 피부보호와 안전성에 관한 것으로 β-카로틴(β-carotene) 및 카라멜(caramel) 등의 천연색소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아직까지 천연색소를 이용한 아이메이크업 조성물의 예는 없으며 합성색소의 유해성 주장이 나오고 있는 것으로 보아 더 안전한 천연색소로의 대체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눈에 안전하고 균일한 발림성을 가지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합성색소나 착색안료인 흑색 산화철 보다 유상, 수상에서 분산이 용이하고, 눈에 안전하며 아울러 고른 분산에 의해 균일한 발림성을 가지는 천연색소를 연구하고 이를 아이메이크업 조성물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치자황색소, 치자청색소, 비트레드색소, 코치닐추출색소, 락색소, 적양배추색소, 고량색소 및 카라멜색소 등의 천연색소를 사용하여 합성색소나 착색안료인 흑색 산화철 보다 유상, 수상에서 분산이 용이하고, 눈에 안전하며 아울러 고른 분산에 의해 균일한 발림성을 가지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고, 더 나아가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여 싸인펜 구조의 아이라이너에 적용하면 손쉽게 균일한 아이라이너를 그릴 수 있는 사용감을 나타냄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물이나 오일에 잘 분산되도록 전처리한 천연색소를 함유하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천연색소의 전처리를 통해 고른 분산으로 인하여 기존 산화철 이나 유기합성색소의 뭉침이나 가루날림을 개선하여 균일한 발림성을 가지며, 중금속과 같은 유해물질이 없어 더 안전한 아이메이크업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아이메이크업 조성물을 싸인펜 구조의 아이라이너에 적용하면 손쉽게 균일한 라인을 그릴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산화철 대신에 사용하는 천연색소는 치자황색소, 치자청색소, 비트레드색소, 코치닐추출색소, 락색소, 적양배추색소, 고량색소 및 카라멜색소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천연색소는 합성색소에 비해 자연스런운 발색력을 나타내므로 진한 색상을 표현하고자 할 때는 합성색소의 1.5∼2배정도 함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천연색소들의 함량은 색소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5∼80 중량%가 바람직하며, 이때 각 천연색소를 5 중량% 미만으로 혼합하면 그 특유의 색상이 발현되지 않으며 80 중량% 를 초과하여 혼합하면 색소가 균일하게 용해되지 않아 덩어리지고 뭉쳐서 깨끗한 라인을 그릴 수가 없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치자황색소는 황-적갈색의 액체, 덩어리, 분말 또는 페이스트상의 물질로서 약간 특이한 냄새가 있고 수용액은 선명한 황색을 띤다. 천연 비타르계 색소 중 카로티노이드계 착색료로 치자의 과실을 물 또는 에틸알콜로 추출 또는 가수분해하여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치자청색소는 암청색의 액체, 덩어리, 분말 또는 페이 스트상으로 약간의 특이한 냄새가 있고 수용액은 선명한 청색을 띤다. 천연 비타르계 색소 중 카로티노이드계 착색료로 치자의 과실추출액에 함유된 이리도이드(Iridoid) 배당체와 단백질 분해물과의 혼합물에 β-글루코시다제(β-Glucosidase)를 작용시켜 얻어지는 색소이다. 물에 녹고 에탄올이나 유지 등에 녹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비트레드색소는 적자-암자색의 액체, 덩어리, 분말 또는 페이스트상의 물질로서 약간의 특이한 냄새가 있다. 베타인계의 베타닌(C24H26O13N2)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 비타르계 적-자색 색소로 물에 녹으며 에탄올, 유지에는 잘 녹지 않는다. 비트(Beta vulgaris)의 뿌리에서 물 또는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는다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코치닐추출색소는 비타르계 천연 색소로 적색 음료수나 아이스크림, 과일 음료, 우유 등의 착색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천을 염색하는데 사용하기도 한다. 적-암갈색의 액체, 덩어리, 분말 또는 페이스트상으로 약간의 특이한 냄새가 있다. 천연 비타르계 착색료인 코치닐추출색소는 선인장(Nopalea coccinellifera) 등에 기생하는 연지벌레 암컷인 Dactylopius coccus costa(Coccus cacti. L.)의 건조충체를 물-알콜성용액으로 추출하여 얻어지는 농축물로서 색소의 주성분은 카민(C22H20O13)이다. 물에 잘 녹고 에탄올에 약간 녹으며 유지류에 거의 녹지 않는다. 열이나 빛에 안정하고 내산성이 우수하나 단백질과 결합하는 성질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락색소(Lac Color)는 적색-암적갈색의 액체, 분말, 덩어리 또는 페이스트상의 물질로서 약간 특이한 냄새가 있다. 비타르계 천연 착색료인 락색소는 락크패각층(Laccifer lacca KERR. Coccidae)의 유층이 분비하는 수지상 물질을 물로 추출하여 얻어진다. 주색소는 안트라퀴논계의 락카인산(Laccaic acid, C26H19NO12)이다. 물에 아주 약간 녹으며, 에탄올이나 프로필렌글리콜에는 녹는다. 수용액은 산성에서 등색-등적색, 중성에서 적색, 알카리성에서 적자색을 나타낸다. 특히 묽은 에탄올용액에는 적색을 띠며 열, 빛, 산화, 환원 등에 안정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적양배추색소는 암적색의 액체, 분말 또는 페이스트상의 물질로서 약간의 특이한 냄새가 있다. 천연 비타르계 색소 중 후라보노이드계 착색료인 적양배추색소는 적양배추의 잎을 물로 추출하여 얻어지는 색소로서 주색소는 안토시아닌이다. 물이나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등에 녹고 유지에는 녹지 않는다. 빛이나 열에 안정하며 염착성은 강한 편은 아니지만 내염성은 비교적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량색소는 암갈색의 분말 또는 액체로서 약간의 특이한 냄새가 있다. 수용액은 중성-알카리성에서 적갈색-갈색을 나타낸다. 비타르계 천연 착색료인 고량색소는 수수의 열매를 물 또는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어지는 색소로서 주색소는 플라보노이드계의 아피게닌(Apigenin, C15H10O5) 이다. 고량색소는 물, 함수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및 알카리용액에 용해되나 유지에는 용해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카라멜색소는 암갈색-흑색의 덩어리 혹은 분말, 페이스트상의 물질로서 종류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갈색의 착색료로서 적합한 색소이다. 냄새는 없거나 설탕 탄화의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상쾌한 쓴맛을 가지고 있다. 수용액은 담갈색-흑갈색을 나타낸다. 비타르계 천연 착색료이며 물에 잘 녹고 에탄올, 아세톤, 에테르 또는 클로로포름 등에 거의 녹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청색 색소, 황색 색소 및 적색 색소의 천연색소를 혼합하여 블랙색상을 표현하였고 블랙색상을 표현하기 위하여 혼합한 청색색소, 황색색소 및 적색색소의 혼합비는 1:1:1∼4:3:2로 청색을 많이 사용하여 조색하면 블루블랙 색상이 표현되고 적색색소의 함량이 다른 색소에 비해 많으면 암흑색이 표현된다. 이를 만족하는 청색 색소 류로는 MSC 코리아사의 치자 청 및 치자 그린 등을 사용하였고, 황색 색소류로는 MSC 코리아사의 치자 옐로우, 수용성 파프리카 및 수용성 안나토 등을 사용하였으며, 적색 색소는 MSC 코리아사의 MSC 레드 색소 비트레드, 붉은 양배추 색소 및 MSC 칼라 케이텐비 등을 사용하였다. 블랙 색상을 더욱 선명하게 하기 위해 그 외 MSC 코리아사의 갈색인 카라멜 색소와 고량색소를 첨가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천연색소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총 중량의 0.1∼8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 중량%이다. 상기 천연 색소의 함량이 8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조 시 점도의 상승으로 인하여 교반기를 제대로 작동시킬 수 없어 분산을 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제대로 분산이 되지 않은 조성물은 층 분리가 일어나며 균일하게 발리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천연색소를 수상에서 분산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분말의 천연 색소를 폴리올과 물에 넣어 액상화하는 전처리 과정을 거쳤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올은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및 1,3-부틸렌글리콜을 들 수 있으며, 상기 폴리올의 함량은 천연색소의 함량에 따라서 다른데, 천연색소의 20 중량% 이하로 사용한다. 만약 폴리올의 함량이 과도하게 들어가면 사용감적으로 건조속도가 늦어지고 답답해진다. 또 마스카라나 아이라이너와 같이 수분에 대한 지속력이 필요한 제형은 수산기(-OH)가 많은 폴리올을 20 중량% 이상 사용할 경우, 번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폴리올은 천연색소 중량의 1∼2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색소를 폴리올과 물에 액상화하는 전처리 없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천연색소와 폴리머 및 다른 성분들과 엉겨 분산 자체를 진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폴리올로 전처리된 본 발명의 천연색소는 수용성임이 특징이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천연색소는 유상에서 분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유화제로 유용화하는 전처리 과정을 거쳐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전처리에 사용한 유화제는 HLB(Hydrophilic-Lipophilic Balance)가 4∼5인 것을 전체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5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LB값은 계면 활성제의 성질을 가장 잘 나타내며, 본질적으로 그 계의 성질을 결정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HLB가 1.5∼3인 유화제는 소포제로 사용하며, 4∼6인 유화제는 W/O 유화제로, 7∼9인 유화제는 습윤제로, 8∼18은 O/W유화제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천연색소를 유용화할 수 있는 유화제는 HLB가 4∼5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소르 비탄 시스퀴오레이트,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및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때 천연색소는 20∼30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이 유화제로 전처리된 본 발명의 천연색소는 유용성임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천연색소의 경우 일반 합성 색소에 비해 원료의 성질에 따라서 열과 빛에 불안정하여 탈색이 되거나 변색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천연 색소류들의 내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외선 흡수제인 벤조페논 유도체, 파라아미노안식향산 유도체, 메토시계핀산 유도체 또는 살리실산 유도체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5.0 중량%로 첨가하여 전처리해 줌으로써 내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Parsol#1789) 및 벤조페논-5(Benzophenone-5)로 이루어진 유도체에서 선택된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의한 아이메이크업 조성물은 끝부분이 펜촉이고, 천연색소가 흡수되는 필터 및 용기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싸인펜 구조의 용기에 담지되어 제품화될 수 있으나(도 1a 및 1b),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천연색소의 전처리 유무에 따른 분산성 조사
하기 표 1에는 천연색소를 전처리한 경우와 하지 않은 경우의 분산성 유무를 나타내었다.
전처리물질 X (없음)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
치자 청색소 분산성 X
치자 황색소 분산성 X
비트 레드색소 분산성 X
코치닐 색소 분산성 X
카라멜색소 분산성 X
○ : 매질에 분산 잘됨
X : 분산되지 않음
수용성 제품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 또는 1,3-부틸렌글리콜로 전처리하는데 이때 천연색소 50 중량%를, 1,3-부틸렌 글리콜 10 중량%에 충분히 적시기 위해 실온에서 10분간 믹싱한 후 물 40 중량%를 넣고 10분간 믹싱하여 수용성색소로 전처리하였다.
또한 유용성 제품에 사용하기 위해서 유화제를 이용하여 전처리하여 유용화하였다. 이때 유화제인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 1∼2 중량%에 오일로는 하이드로카본류인 이소도데칸 또는 유동 파라핀(LP) 60∼70 중량%를 넣어 70℃에서 5분간 믹싱한 다음 1,3-부틸렌글리콜로 전처리된 천연색소 30 중량%를 첨가하여 70℃에서 10분간 믹싱한 후 30℃까지 냉각하였다.
상기 표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천연색소를 미리 전처리하지 않은 경우 분산 자체를 진행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전처리를 한 천연색소를 사용한 샘플은 기존에 산화철을 사용한 샘플에 비하여 균일한 분산 및 유화 표면을 만들 수 있었다. 이는 특히 도포 시에 부드러운 펴 발림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5 및 비교예 1,2]
하기 표 2에는 아이라이너 및 마스카라의 제조 예로서 실시예 1∼5 및 비교예 1,2의 구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2에 사용한 천연색소 블랙-A는 MSC사의 천연색소 블랙을 1,3-부틸렌글리콜로 전처리한 것으로서 기존의 산화철과 동량으로 수용성 아이라이너를 제조한 것이고, 실시예 3∼5에 사용한 천연색소 블랙-B는 MSC사의 천연색소 블랙을 유화제인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하여 유용성으로 전처리한 것으로 수중유형(O/W) 유화 타입의 아이라이너, 마스카라를 제조한 것이다. 실시예 2 및 4는 각각 내광성 향상을 위해서 벤조페논-5와 파솔 #1789를 추가하여 실시예 1 및 3과 내광성을 비교하였다. 비교예 1은 실시예 1∼4와의 발림성을 비교하기 위한 대조군으로 기존에 주로 사용되는 색소인 산화철 30중량%로 제조한 것이다.
비교예 2는 마스카라의 제조예로서 실시예 5와 발림성을 비교하기 위한 대조군으로 제조한 것이다.
성분명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1.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2. 부틸렌글리콜 3.0 3.0 3.0 3.0 3.0 3.0 3.0
3. 하이드록실 에틸 셀루로즈 0.5 0.5 0.5 0.5 0.5 0.5 0.5
4. 에스테르계 오일 - - 10.0 10.0 - - -
5. 비즈왁스 - - - - 8.0 - 8.0
6. 세테아릴 알코올 - - 1.5 1.5 2.5 - 2.5
7.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 - 1.5 1.5 1.0 - 1.0
8.에탄올 2.0 2.0 2.0 2.0 2.0 2.0 2.0
9.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0.천연 색소 블랙(MSC사)-A 30.0 30.0 - - - - -
11.천연 색소 블랙(MSC사)-B - - 30.0 30.0 15.0 - -
12.산화철 - - - - - 30.0 15.0
13.벤조페논-5 - 1.0 - - - - -
14. 파솔 #1789 - - - 1.0 1.0 - -
15.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의 제조방법>
1) 성분 1∼3을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2) 상기 1)에 성분 10(또는 성분 12번)을 투입하여 교반한 후 성분 9,13,15를 넣고 교반하였다.
3) 상기 2)에 성분 8을 넣고 교반한 다음 탈기하였다.
4) 상기 3)의 조성물을 아이라이너 용기에 충진하였다.
<실시예 3∼5 및 비교예 2의 제조방법>
1) 성분 1∼3을 70℃로 가열하였다.
2) 성분 4∼7 및 14∼15를 80℃로 가열하였다.
3) 전처리한 블랙의 천연색소 성분 11번(또는 12번)을 상기 2)의 혼합물에 투입하고 교반하였다.
4) 성분 8∼9를 상기 1)의 혼합물에 투입한 다음 상기 3)에 상기 1)을 서서히 가하면서 유화시킨 후 35℃로 냉각하였다.
5) 상기 4)의 조성물을 아이라이너 및 마스카라 용기에 충진하였다.
[시험예 2] 사용감(균일한 발림성) 비교 시험
<아이라이너의 사용감 비교실험>
상기 실시예 1∼4와 비교예 1의 사용감을 비교하기 위해 아이라인의 균일성을 관능 평가로 측정하였다. 아이라이너를 매일 사용하거나 일주일에 3번 이상 사용하는 20∼30대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발림성과 라인이 그려진 길이 및 형태를 10점 만점으로 관능평가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4의 아이라이너는 손쉽게 그릴 수 있는 싸인펜 구조의 용기에 담아 관능평가에 사용하였으나, 비교예 1의 내용물이 싸인펜 구조에 적합하지 않아 일반 솔로 내용물을 취해 평가하였다.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발림성 8 8 8 8 5
라인 길이 9 9 8 8 4
색상 표현 6 8 6 8 8
종합 평가
◎: 매우 우수(8점 이상), ○: 우수(6점 이상)
△: 보통(5점 이상), X: 나쁨(4점 이하)
<마스카라의 균일한 발림성 실험>
상기 실시예 5와 비교예 2의 마스카라의 균일한 발림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도포시의 점도 데이터를 측정하였다. 기기는 AR2000 레오미터(AR2000 Rheometer)를 사용하였고, 이때 사용한 악세사리는 반지름 길이가 짧아 크림이나, 마스카라 등의 고점도를 측정하기 용이하게 개발된 것으로서, 상기 기기를 반지름 1cm 및 기울기 각도 1°로 사용하여 전달율(Shear rate) 1000(1/s)에서의 점도(Viscosity)를 측정하였다. 일반적으로 화장료 도포시의 전달율은 1∼1000(1/s)으로 보고 있으며, 이때의 점도는 유체가 움직일 때 움직임에 대한 저항의 값으로 그 값이 클수록 움직임을 방해하는 힘이 많이 들어가서 흐르기 어렵다. 반대로 점도가 낮을 때에는 이 움직임을 방해하는 저항이 작아 쉽게 흐를 수 있다. 그러므로 도포시의 점도의 값이 작다는 말은 도포를 하는 방향대로 내용물이 쉽게 펴발라짐을 뜻한다.
하기 표 4에는 실시예 5와 비교예 2에 대한 전달율 1000(1/s)에서 측정한 점도 값을 나타내었다. 이와 함께 실제 마스카라 도포 시 발림성에 대한 관능 평가도 실시하였다.
시험물질 점도(Pa·s) 발림성 관능평가 색상표현 종합평가
실시예 5 0.23 9 7
비교예 2 8.24 4 9
◎: 매우 우수(8점이상), ○: 우수(6점이상)
△: 보통(5점이상), X: 나쁨(4점이하)
천연색소를 사용한 실시예 5의 조성물에 힘이 가해지면, 산화철을 사용한 비교예 2의 조성물과 달리 천연 색소들은 물이나 오일에 용해되어 색소(안료)들의 입자감이 없어 상기 이유로 전달율 1000(1/s)에서의 점도가 낮아 쉽게 내용물을 펴 바를 수 있으며, 결국 발림성이 좋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도의 값을 통한 펴발림성은 패널을 통한 사용감 평가와도 일치하였다.
[시험예 3] 안자극 시험
상기 실시예 1∼5 및 비교예 1∼2의 조성물로 제조된 마스카라의 안자극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달걀을 이용한 안자극 시험(HETCAM-HEN'S EGG TEST ON THE CHORIOALLANTOIC MEMBRANE)을 수행하였다. 시험방법은 CTFA 안전성 시험지침(CTFA SAFETY TESTING GUIDELINES)에서 정한 시험방법을 사용하였다. 흰 종란을 10일간 37±0.5도, 55±7%에서 부화시켜 기실이 관찰되면 CAM(Chorioallantoic membrane)이 잘 발달된 종란만을 선택한 후 난각과 난각막을 제거하고 실시예 1∼5 및 비교예 1∼2의 시험물질을 파라필름(PARAFILM)에 얇게 펴 바른 다음, 상기 시험물질이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CAM에 일정시간(30초)동안 적용하고 생리식염수로 CAM을 세척하여 반응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의 사전실험에서의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HET-CAM에 의한 평가는 각 관찰항목 H(Hemorrhage, 출혈), L(Lysis, 용해) 및 C(Coagulation, 응고)의 합 <S> 값으로 나타내며 자극지수로 S 값을 구하였다.
기준물질 판정 반응양상 점수
0.5% 텍사폰 ASV 약함(Weak) 출혈 및 용해 (Hemorrhage and Lysis) 1 (반응없으면 0)
1.0% 텍사폰 ASV 보통(Moderate) 2
5.0% 텍사폰 ASV 강함(Strong) 3
시험은 각각 6회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정리하였다. 하기 표 6에서 자극점수의 총합이 6 미만인 것은 경자극(SLIGHTLY IRRITATING)으로 "◎", 6∼12인 것은 중자극(MOERATELY IRRITATING)으로 "O", 12∼16인 것은 자극(IRRITATING)으로 "△", 16 초과인 것은 심각한 자극(SEVERELY IRRITATING)으로 "×"로 각각 표시하였다.
시험물질 HET-CAM 시험결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O
비교예 2 O
상기 표 7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기존의 산화철을 사용한 비교예 1∼2와 비교하여 볼 때,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5은 경미한 자극 수준을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존의 제품보다 눈에 대한 자극없이 더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에 의한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싸인펜 구조 아이라이너 사진이다.

Claims (12)

  1. 천연색소를 함유하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색소는 치자황색소, 치자청색소, 비트레드색소, 코치닐추출색소, 락색소, 적양배추색소, 고량색소 및 카라멜색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색소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80 중량%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색소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및 1,3-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폴리올과 함께 물에 넣어 액상화되는 전처리 과정을 거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천연색소의 총 중량에 대하여 1∼20 중량%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로 전처리된 천연색소는 수용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색소는 HLB(Hydrophilic-Lipophilic Balance)가 4∼5인 유화제로 전처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5 중량%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로 전처리된 천연색소는 유용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벤조페논 유도체, 파라아미노안식향산 유도체, 메토시계핀산 유도체 및 살리실산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자외선 흡수제를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5.0 중량%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아이메이크업 조성물을 함유하는 싸인펜형 아이메이크업 화장품.
KR1020070074132A 2007-07-24 2007-07-24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KR101404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132A KR101404966B1 (ko) 2007-07-24 2007-07-24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CN2007101872498A CN101352400B (zh) 2007-07-24 2007-11-15 含有天然色素的眼部化妆品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132A KR101404966B1 (ko) 2007-07-24 2007-07-24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768A true KR20090010768A (ko) 2009-01-30
KR101404966B1 KR101404966B1 (ko) 2014-06-13

Family

ID=40305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132A KR101404966B1 (ko) 2007-07-24 2007-07-24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04966B1 (ko)
CN (1) CN101352400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020B1 (ko) * 2012-03-02 2014-04-2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수수 부산물로부터 추출한 천연색소를 함유한 플라스틱의 제조방법
CN111840114A (zh) * 2019-04-25 2020-10-30 株式会社常盘 水性化妆料
KR20220113580A (ko) 2021-02-05 2022-08-16 이현주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용기
KR102461841B1 (ko) * 2022-05-25 2022-11-02 주식회사 네츄럴샤인 이중 보습 기능을 제공하는 입술 보호용 립밤 조성물
KR20220163544A (ko) * 2021-06-02 2022-12-12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Lac 색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12005133B2 (en) 2019-04-25 2024-06-11 Tokiwa Corporation Aqueous cosmetic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38478B (zh) * 2010-05-27 2013-02-27 河南中大生物工程有限公司 天然色素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6418131A (zh) * 2016-11-22 2017-02-22 云南瑞宝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油溶性天然色素的制备方法
CN107951768A (zh) * 2017-12-08 2018-04-24 林燕 一种含有春黄菊的抗过敏天然色素添加剂的制备方法
CN108852962A (zh) * 2018-07-13 2018-11-23 哈尔滨伟平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抗皱眼影膏的制作方法
CN108567645A (zh) * 2018-07-19 2018-09-25 黄礼莲 一种植物配方的防水眼线膏及其制备方法
CN108524340A (zh) * 2018-07-19 2018-09-14 黄礼莲 一种不易脱妆的眼线膏及其制备方法
CN108542811A (zh) * 2018-07-19 2018-09-18 黄礼莲 一种防水眼线膏及其制备方法
CN108567646A (zh) * 2018-07-19 2018-09-25 黄礼莲 一种植物配方的眼线膏及其制备方法
CN108524341A (zh) * 2018-07-19 2018-09-14 黄礼莲 一种眼线膏及其制备方法
CN108714125A (zh) * 2018-07-19 2018-10-30 黄礼莲 一种以植物组织为原料的眼线膏及其制备方法
KR102304899B1 (ko) 2019-12-03 2021-09-23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원두 추출물을 이용한 마스카라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137657B (zh) * 2022-07-29 2024-02-23 上海百雀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化妆品栀子色素颜色稳定的组合物及其应用
CN115414292A (zh) * 2022-08-25 2022-12-02 宁波爱诗化妆品有限公司 一种眉笔组合物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092B1 (ko) * 1990-11-17 1993-03-26 대평양화학 주식회사 복합안료 및 그들 함유한 화장료
US6171602B1 (en) 1997-08-29 2001-01-09 E-L Management Corp. Natural pigment-containing flowable powder
CN1220139A (zh) * 1998-10-30 1999-06-23 新疆穆舒丽曼化妆品有限责任公司 紫草红色素保健美容化妆品及其制造方法
FR2868696B1 (fr) * 2004-04-08 2008-09-12 Oreal Composition destinee a etre appliquee sur la peau, les levres et/ou les phaneres
JP4647494B2 (ja) * 2003-09-22 2011-03-09 日本板硝子株式会社 黒色系光輝顔料およ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塗料組成物、樹脂組成物およびインキ組成物
US20070196298A1 (en) 2005-05-31 2007-08-23 Kostick Richard H Cosmetic and dermatological formulations with natural pigments and methods of use
KR100659040B1 (ko) 2006-01-26 2006-12-19 정성원 아이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020B1 (ko) * 2012-03-02 2014-04-2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수수 부산물로부터 추출한 천연색소를 함유한 플라스틱의 제조방법
CN111840114A (zh) * 2019-04-25 2020-10-30 株式会社常盘 水性化妆料
US12005133B2 (en) 2019-04-25 2024-06-11 Tokiwa Corporation Aqueous cosmetic
KR20220113580A (ko) 2021-02-05 2022-08-16 이현주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용기
KR20220163544A (ko) * 2021-06-02 2022-12-12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Lac 색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61841B1 (ko) * 2022-05-25 2022-11-02 주식회사 네츄럴샤인 이중 보습 기능을 제공하는 입술 보호용 립밤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4966B1 (ko) 2014-06-13
CN101352400B (zh) 2013-04-17
CN101352400A (zh) 2009-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0768A (ko)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JP3309221B1 (ja) 染毛性整髪用組成物
EP1500385B1 (fr) Procede de stabilisation de mousse pour mousse cosmetique
DE102005033520B4 (de) Zubereitung, insbesondere kosmetische Zubereitung,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69926862T2 (de) Kosmetische oder dermo-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 in form von hydrophoben perlen und herstellungsverfahren
EP0956315A1 (en) Stable natural pigment-containing composition
KR101934526B1 (ko) 초기 착색력이 우수하고 점도 조절이 용이한 필오프 타입 눈썹 문신용 화장료 조성물
CN104168873B (zh) 变色组合物
CN104168874B (zh) 具有多元醇的变色组合物
EP1486193A1 (fr) Procede de stabilisation d&#39;une composition cosmetique contenant de l&#39;huile de silicone
KR100787784B1 (ko) 과립을 함유하는 입술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64044B1 (ko) 유용성 천연 색소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438905B1 (ko)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CN110366410A (zh) 水包油型化妆材料
KR102092340B1 (ko) 워터드롭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CN104168960A (zh) O/w乳剂形式的变色组合物
KR20170061803A (ko) 품질 안정성이 높은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3746260B2 (ja) 皮膚外用剤
KR20160101314A (ko) 입술용 필오프 타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73659B1 (ko) 스크럽제용 유색 설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57274B1 (ko)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용기
CN104168959B (zh) 具有uv过滤剂的变色组合物
CN109199912A (zh) 一种玫瑰唇膏及其制备方法
KR100770123B1 (ko) 5,15-디아세틸-3-벤조일라티롤을 함유하는 미백용나노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101844348B1 (ko) 품질 안정성이 높은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