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3580A -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3580A
KR20220113580A KR1020210016786A KR20210016786A KR20220113580A KR 20220113580 A KR20220113580 A KR 20220113580A KR 1020210016786 A KR1020210016786 A KR 1020210016786A KR 20210016786 A KR20210016786 A KR 20210016786A KR 20220113580 A KR20220113580 A KR 20220113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walnut
walnut extract
weight
parts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7274B1 (ko
Inventor
이현주
Original Assignee
이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주 filed Critical 이현주
Priority to KR1020210016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274B1/ko
Publication of KR20220113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3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D33/3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2Antidiarrhoe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1Emulsifying
    • B01F23/411Emulsifying using electrical or magnetic fields, heat or vibrations
    • B01F23/4111Emulsifying using electrical or magnetic fields, heat or vibrations using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1Mixing of ingredients for cosmetic or perfume compos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정제수와 수상성분들을 혼합하여 수상혼합물을 제조하는 수상혼합물제조단계와, 상기 수상혼합물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수상혼합물에 계면활성제를 혼합한 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계면활성제혼합단계와, 상기 계면활성제혼합단계에서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수상혼합물에 흑호두추출물을 혼합하는 천연색소혼합단계와, 유상성분들을 혼합하고 소정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서 제조된 유상혼합물을 상기 천연색소혼합단계에서 흑호두추출물이 혼합된 수상혼합물과 혼합하는 유상혼합물혼합단계를 포함하며, 흑호두추출물을 이용하여 고른 분산성을 통해 종래의 산화철이나 유기합성색소의 뭉침현상을 개선하여 균일한 발림성을 갖는 효과가 있으며, 중금속과 같은 유해물질이 없으므로 피부에 발생하는 자극성 접촉피부염과 같은 염증유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천연색소가 첨가된 화장료와는 달리 열과 빛에 의해 제형이 불안정하여 탈색되거나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수의 화장료가 충진되는 충진장치가 적용되어 다수의 화장료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용기{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black walnut extra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smetic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용기로 더욱 상세하게는 흑호두의 과피에서 추출된 흑호두추출물이 함유되는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이 메이크업 제품에는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아이섀도우 및 아이브라우 등이 있다. 이들 제품에는 색채 효과와 음영, 입체감을 주어 눈을 아름답게 하고 매력적인 눈매를 가꾸기 위해, 다량의 색소(색재)가 배합된다. 보통 화장품에 사용되는 색소는 인체에 해가 없어야 하므로 안전성을 위한 법규가 마련된다. 특히 눈 주변에 사용할 수 있는 색소는 더욱 제한적이며 안전성이 보증되어야 한다.
화장품에 사용할 수 있는 색소(색재)는 크게 유기합성색소와 천연색소가 주로 이용된다. 유기합성 색소에는 염료, 안료 및 레이크가 있다. 염료는 물 또는 오일 알코올에 용해된 상태로 색채 효과를 주는 물질로서 일반적으로 안료에 비해 피부에 착색되는 효과가 크기 때문에 클렌징에 어려운 단점이 있는 반면 안료는 물 및 기름 용제에 용해되지 않는 유색 분말로 레이크에 비해 착색력, 내광성이 우수하여 메이크업 제품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레이크는 물에 소량 용해되는 염료를 칼슘 등의 염으로 물에 불용화한 것을 말하며, 안료에 비해 내산, 내알카리성이 떨어지고 중성에서 물에 용출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충분한 안정성 실험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유기합성색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천연색소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천연색소는 합성색소에 비해 안전성이 우수하며, 원료에 따라 동물성 색소, 식물성 색소 및 미생물 색소로 구분되며, 화학적인 구조상 기본 골격에 따라 카로티노이드계, 플라보노이드계, 피롤계, 퀴논계 등으로 나뉜다. 마리골드, 카로틴등에 존재하는 황-등적색은 카로티노이드계 색소이며, 카카오에 존재하는 갈색의 카카오 색소는 플라보노이드계 색소, 연두벌레에서 채취한 적색 색소는 퀴논계, 녹색식물에서 추출한 클로로필은 피롤계에 속한다. 대표적인 천연 색소로 인디고와 홍화꽃에서 얻어지는 붉은색 카르티민은 립스틱, 볼연지에 사용되고 당근이나 인삼에서 추출한 황색의 β-카로틴은 립스틱, 기초화장품에서 사용되며 클로로필은 소염, 탈취 효과로 화장수와 치약류에서 주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천연색소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한국등록특허 제10-2009-0010768호)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분산을 위해 전처리가 필요한 천연색소 조성물로서 천연색소로서 안정성과 발림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미리 전처리하지 않은 경우 분산 자체를 진행할 수 없어 제한적이다.
또한 다른 선행기술로서, 입술과 볼의 피부보호와 안전성에 관한 것으로 β-카로틴(β-carotene) 및 카라멜(caramel) 등의 천연색소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한국공개특허 제10-1998-007678호)가 개시되어 있으나, 현재까지 전처리를 하지 않은 천연색소를 이용한 아이메이크업 조성물의 예는 없으며, 전처리를 하지 않을 경우 열과 빛에 불안정하여 탈색되거나 변색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자극성 접촉 피부염이 발생하는 유해성 주장이 나오고 있으므로 더 안전한 천연색소로의 대체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09-0010768호: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한국공개특허 제10-1998-007678호: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흑호두의 과피에서 추출된 흑호두추출물이 함유되는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용기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흑호두로부터 추출한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한다.
상기 흑호두추출물은 상기 흑호두에 물, 알코올 및 에탄올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출용매를 혼합하여 추출한다.
상기 흑호두추출물은 상기 흑호두의 과피로부터 추출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아이메이크업을 위한 크림, 화장액, 젤 및 파우더의 제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흑호두추출물은 베이스혼합물과 혼합되며, 상기 베이스혼합물은 정제수에 수상성분들이 혼합되는 수상혼합물과, 유상성분들이 혼합되는 유상혼합물과, 상기 수상혼합물과 유상혼합물이 혼합되도록 첨가되는 계면활성제가 혼합된다.
상기 수상혼합물은 상기 정제수 100 기준중량부에 대하여, 방부제 1.5 ~ 3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 2 ~ 4중량부, 하이드록실에틸셀룰로즈 0.20 ~ 0.50중량부 및 잔탄검 0.40 ~ 0.70중량부가 혼합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정제수 100 기준중량부에 대하여, 8 ~ 10 중량부가 혼합되며, 트리에탄올아민과 스테아레이트가 혼합된다.
상기 유상혼합물은 상기 정제수 100 기준중량부에 대하여, 비즈왁스 2 ~ 3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 0.20 ~ 0.30중량부 및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40 ~ 0.60중량부가 혼합된 후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제조방법은 정제수와 수상성분들을 혼합하여 수상혼합물을 제조하는 수상혼합물제조단계와, 상기 수상혼합물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수상혼합물에 계면활성제를 혼합한 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계면활성제혼합단계와, 상기 계면활성제혼합단계에서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수상혼합물에 흑호두추출물을 혼합하는 천연색소혼합단계와, 유상성분들을 혼합하고 소정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서 제조된 유상혼합물을 상기 천연색소혼합단계에서 흑호두추출물이 혼합된 수상혼합물과 혼합하는 유상혼합물혼합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천연색소혼합단계 실시전, 흑호두의 과피로부터 흑호두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흑호두추출물 추출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흑호두추출물 추출단계는 상기 흑호두의 과피를 소정의 크기로 커팅하는 커팅단계와, 상기 커팅단계에서 커팅된 흑호두의 과피를 추출용매에 침지시키는 침지단계와, 상기 침지단계에서 흑호두의 과피가 침지된 추출용매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흑호두추출물을 열수추출하는 열수추출단계와, 상기 흑호두추출물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흑호두추출물에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추출용매는 흑호두의 과피를 물, 알코올 및 에탄올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추출한다.
상기 수상혼합물은 상기 정제수 100 기준중량부에 대하여, 방부제 1.5 ~ 3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 2 ~ 4중량부, 하이드록실에틸셀룰로즈 0.20 ~ 0.50중량부 및 잔탄검 0.40 ~ 0.70중량부가 혼합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트리에탄올아민과 스테아레이트가 상기 수상부에 혼합되며, 상기 정제수 100 기준중량부에 대하여 8~ 10중량부가 혼합된다.
상기 계면활성제혼합단계에서는 상기 수상혼합물에 계면활성제를 혼합한 후 80℃ 내지 90℃온도로 가열한다.
상기 유상혼합물은 상기 정제수 100 기준중량부에 대하여 비즈왁스 2 ~ 3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 0.20 ~ 0.30중량부 및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40 ~ 0.60중량부가 혼합된 후, 80℃ 내지 90℃로 가열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아이메이크업을 위한 크림, 화장액, 젤 및 파우더의 제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서로 다른 위치에 상호 이격되게 다수의 인입구가 형성된 본체부와, 단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인입구들에 각각 삽입되게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브러쉬유닛과,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브러쉬유닛들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브러쉬부재와, 상기 브러쉬유닛들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브러쉬부재와 상이하게 형성된 제2 브러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의 인체를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영상정보제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정보제공부는 상기 브러쉬유닛에 일단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분리부와, 상기 제1 분리부의 일단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인체를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의 인체의 일부를 밝게 보이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을 발생시키는 광발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발생부는 상기 브러쉬유닛에 일단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분리부와, 상기 제2 분리부의 일단에 설치되며 사용자에게 엘이디광을 조사하는 엘이디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화장료 조성물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마련되는 팽창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팽창유닛은 상기 본체부의 인입구가 형성된 내멱면을 제외한 나머지의 내멱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에어가 주입되어 팽창하는 팽창튜브와, 상기 팽창튜브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팽창튜브가 팽창할 수 있도록 상기 팽창튜브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화장료 조성물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마련되는 진동발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본체부의 서로 다른 위치에 상호 이격된 다수의 인입구 사이의 내멱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진동부와, 상기 진동부가 진동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수용공간의 내벽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용기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흑호두추출물을 이용하여 고른 분산성을 통해 종래의 산화철이나 유기합성색소의 뭉침현상을 개선하여 균일한 발림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2) 흑호두추출물을 이용하여 중금속과 같은 유해물질이 없으므로 피부에 발생하는 자극성 접촉피부염과 같은 염증유발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3) 종래의 천연색소가 첨가된 화장료와는 달리 열과 빛에 의해 제형이 불안정하여 탈색되거나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4) 다수의 화장료가 충진되는 충진장치가 적용되어 다수의 화장료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장품 용기의 영상정보제공부와 광발생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장품의 본체부와 브러시유닛이 분리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흑호두추출물의 세포독성 실험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흑호두추출물의 HA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실험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흑호두추출물의 발색비교 실험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용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흑호두로부터 추출한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한다.
상기 흑호두는 미국의 동부에서 주로 서식하는 흑호두나무(Juglans nigra)의 열매로서 3.5 ~ 5cm이며, 맛은 달콤하고 기름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흑호두는 견과류에 사용되기 위해 재배되며, 흑호두의 과피나 다른 성분들은 이외 연매재로서 사용된다. 특히, 상기 흑호두의 과피는 체내 기생충이나 병충을 사멸시키고 암을 치료하는 효능을 가진 것으로 최근에 발표된 바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흑호두는 다양한 부위를 이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흑호두의 과피에서 추출된 흑호두추출물을 이용한다.
상기 흑호두추출물은 흑호두의 과피에 추출용매를 혼합하여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추출용매는 물, 알코올, 에탄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하나의 추출용매를 사용하며,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로 메탄올, 에탄올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다가 알코올로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혼합물로는 물 및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 물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 저급 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 또는 물 및 저급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흑호두추출물은 상기 흑호두에 상기 추출용매를 혼합한 후, 가열하여 80℃ 내지 100℃에서 11시간 내지 13시간 열수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흑호두추출물은 후술되는 정제수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 17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흑호두추출물이 15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균일한 분산이 이루어지지 않고, 17 중량부 이상으로 첨가되면 다른 성분들의 기능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상기 흑호두추출물은 베이스혼합물과 혼합되며, 상기 베이스혼합물은 정제수에 수상성분들이 혼합되는 수상혼합물과, 유상성분들이 혼합되는 유상혼합물과, 상기 수상혼합물과 유상혼합물이 혼합되도록 첨가되는 계면활성제가 혼합된다.
상기 수상혼합물은 상기 정제수 100 기준중량부에 대하여, 방부제 1.5 ~ 3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 2 ~ 4중량부, 하이드록실에틸셀룰로즈 0.20 ~ 0.50중량부 및 잔탄검 0.40 ~ 0.70중량부가 혼합된다.
상기 방부제는 화학적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서 헥산디올(Hexandiol)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방부제가 헥산디올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방부제는 어떤 성분을 사용하는 것에 따라 함량이 달라지는 바,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성분의 방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틸렌라이콜(Butylenglycol)은 사탕수수에서 추출한 천연유래 원료의 보습제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글리세린보다 점보다 낮아 사용감이 가벼우며, 항미생물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부틸렌글라이콜은 부패를 방지하는 방부기능을 함유하고 있다.
상기 부틸렌글라이콜은 2 중량부 이하로 첨가할 경우 보습제로서의 영향이 미미하며, 상기 4 중량부 이상 첨가할 경우 전체적으로 점도가 높아질 우려가 있으며, 다른 성분의 기능에 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다.
상기 하이드록실에틸셀룰로즈(Hydroxyethylcellulose)는 식물에서 추출한 설룰로오서 성분을 정제해 수득하는 것으로서, 피부의 볼륨감과 피부표면에 엷은 피막을 형성하는 천연물 유래 수용성 점증제이며, 상기 0.20 중량부 이하로 첨부될 경우 피막의 형성이 안될 수 있고, 0.50 중량부 이상 첨가될 경우 접착성이 지나치게 높아질 수 있다.
상기 잔탄검(Xanthan Gum)은 탄수화물을 순수배양한 후 발효하여 수득되는 것으로서, pH변화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점도를 유지하는 천연물 유래의 다당류의 수용성 점증제이며, 유화제 및 분산 안정제의 역할을 한다. 상기 잔탄검은 상기 0.40 중량부 이하로 첨가할 경우 일정수준의 점도를 유지할 수 없으며, 0.70 중량부 이상을 첨가할 경우 전체적인 성분의 점도가 증가하는 우려가 있다.
상기 유상혼합물은 정제수 100 기준중량부에 대하여, 비즈왁스 2 ~ 3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 0.20 ~ 0.30중량부 및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40 ~ 0.60중량부가 혼합된 후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다.
상기 비즈왁스(Beeswax)는 피부 친화성이 우수한 천연에스테르의 지용성 점도 조절제로서, 상기 비즈확은 2 중량부 이하로 첨가될경우 유상물들의 점도가 낮을 우려가 있고, 3 중량부 이상을 첨가할 경우 지나치게 점도가 증가할 우려가 있다.
상기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는 상기 유상성분들을 혼합시키는 계면활성제로 사용된다. 상기 토코페릴아스테이트(Tocopheryl Acetate)는 친유성 항산화 성분으로서 피부 흡수시 세포막의 구성물질이 인지질 성분의 불포화지방산 인접위치에서 불포화 지방산이 산화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수상혼합물과 유상혼합물을 믹스(Mix)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정제수 100 기준중량부에 대하여, 8 ~ 10 중량부가 혼합되며, 트리에탄올아민(TEA)과 스테아레이트(Stearate)가 혼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아이메이크업을 위한, 크림, 화장액, 젤 및 파우더의 제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각종공지의 성분 등을 추가하여 화장수, 로션, 크림, 에센스, 팩, 파우더, 메이컵베이스, 파운데이션, 바디오일, 바디로션, 클렌징오일, 클렌징폼, 헤어오일, 헤어샴프 및 헤어린스, 비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흑호두추출물을 이용하여 자체의 고른 분산을 통해 종래의 산화철이나 유기합성색소의 뭉침을 개선하여 균일한 발림성을 갖으며, 중금속과 같은 유해물질이 없으므로 피부에 발생하는 자극성 접촉피부염과 같은 염증유발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종래의 천연색소와는 달리 열과 빛에 의해 제형이 불안정하여 탈색되거나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갖는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제조방법은 정제수와 수상성분들을 혼합하여 수상혼합물을 제조하는 수상혼합물제조단계(S100)와, 상기 수상혼합물제조단계(S100)에서 제조된 수상혼합물에 계면활성제를 혼합한 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계면활성제혼합단계(S200)와, 상기 계면활성제혼합단계(S200)에서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수상혼합물에 흑호두추출물을 혼합하는 천연색소혼합단계(S400)와, 유상성분들을 혼합하고 소정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서 제조된 유상혼합물을 상기 천연색소혼합단계(S400)에서 흑호두추출물이 혼합된 수상혼합물과 혼합하는 유상혼합물혼합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상혼합물제조단계(S100)에서는 정제수와 수상성분들을 혼합하여 수상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수상혼합물은 상기 수상혼합물은 상기 정제수 100 기준중량부에 대하여, 방부제 1.5 ~ 3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 2 ~ 4중량부, 하이드록실에틸셀룰로즈 0.20 ~ 0.50중량부 및 잔탄검 0.40 ~ 0.70중량부가 혼합된다.
상기 방부제는 화학적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서 헥산디올(Hexandiol)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방부제가 헥산디올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방부제는 어떤 성분을 사용하는 것에 따라 함량이 달라지는 바,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성분의 방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틸렌라이콜(Butylenglycol)은 사탕수수에서 추출한 천연유래 원료의 보습제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글리세린보다 점보다 낮아 사용감이 가벼우며, 항미생물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부틸렌글라이콜은 부패를 방지하는 방부기능을 함유하고 있다.
상기 부틸렌글라이콜은 2 중량부 이하로 첨가할 경우 보습제로서의 영향이 미미하며, 상기 4 중량부 이상 첨가할 경우 전체적으로 점도가 높아질 우려가 있으며, 다른 성분의 기능에 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다.
상기 하이드록실에틸셀룰로즈(Hydroxyethylcellulose)는 식물에서 추출한 설룰로오서 성분을 정제해 수득하는 것으로서, 피부의 볼륨감과 피부표면에 엷은 피막을 형성하는 천연물 유래 수용성 점증제이며, 상기 0.20 중량부 이하로 첨부될 경우 피막의 형성이 안될 수 있고, 0.50 중량부 이상 첨가될 경우 접착성이 지나치게 높아질 수 있다.
상기 잔탄검(Xanthan Gum)은 탄수화물을 순수배양한 후 발효하여 수득되는 것으로서, pH변화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점도를 유지하는 천연물 유래의 다당류의 수용성 점증제이며, 유화제 및 분산 안정제의 역할을 한다. 상기 잔탄검은 상기 0.40 중량부 이하로 첨가할 경우 일정수준의 점도를 유지할 수 없으며, 0.70 중량부 이상을 첨가할 경우 전체적인 성분의 점도가 증가하는 우려가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혼합단계(S200)에서는 수상혼합물제조단계(S100)에서 제조된 수상혼합물에 계면활성제를 혼합한 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한다. 상기 계면활성제혼합단계(S200)에서는 수상혼합물제조단계(S100)에서 제조된 수상혼합물에 계면활성제를 혼합한 후 70 ~ 80℃의 온도로 가열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수상혼합물과 유상혼합물을 믹스(Mix)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정제수 100 기준중량부에 대하여, 8 ~ 10 중량부가 혼합되며, 트리에탄올아민(TEA)과 스테아레이트(Stearate)가 혼합된다.
상기 천연색소혼합단계(S400)에서는 상기 계면활성제혼합단계(S200)에서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수상혼합물에 흑호두추출물을 혼합한다.
유상혼합물혼합단계에서는 유상성분들을 혼합하고 소정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서 제조된 유상혼합물을 상기 천연색소혼합단계(S400)에서 흑호두추출물이 혼합된 수상혼합물과 혼합한다.
상기 유상혼합물은 정제수 100 기준중량부에 대하여, 비즈왁스 2 ~ 3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 0.20 ~ 0.30중량부 및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40 ~ 0.60중량부가 혼합된 후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다.
상기 비즈왁스(Beeswax)는 피부 친화성이 우수한 천연에스테르의 지용성 점도 조절제로서, 상기 비즈확은 2 중량부 이하로 첨가될경우 유상물들의 점도가 낮을 우려가 있고, 3 중량부 이상을 첨가할 경우 지나치게 점도가 증가할 우려가 있다.
상기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는 상기 유상성분들을 혼합시키는 계면활성제로 사용된다. 상기 토코페릴아스테이트(Tocopheryl Acetate)는 친유성 항산화 성분으로서 피부 흡수시 세포막의 구성물질이 인지질 성분의 불포화지방산 인접위치에서 불포화 지방산이 산화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수상혼합물과 유상혼합물을 믹스(Mix)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정제수 100 기준중량부에 대하여, 8 ~ 10 중량부가 혼합되며, 트리에탄올아민(TEA)과 스테아레이트(Stearate)가 혼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아이메이크업을 위한, 크림, 화장액, 젤 및 파우더의 제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각종공지의 성분 등을 추가하여 화장수, 로션, 크림, 에센스, 팩, 파우더, 메이컵베이스, 파운데이션, 바디오일, 바디로션, 클렌징오일, 클렌징폼, 헤어오일, 헤어샴프 및 헤어린스, 비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천연색소혼합단계(S400) 실시전, 흑호두의 과피로부터 흑호두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흑호두추출물 추출단계(S3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천연색소혼합단계(S400)는 커팅단계(S310), 침지단계(S320), 열수추출단계(S330) 및 여과단계(S340)를 포함한다.
상기 커팅단계(S310)에서는 흑호두의 과피를 소정의 크기로 커팅한다. 상기 침지단계(S320)에서는 상기 커팅단계(S310)에서 커팅된 흑호두의 과피를 추출용매에 침지시킨다. 이때, 상기 추출용매는 흑호두의 과피를 물, 알코올 및 에탄올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추출한 것이다.
상기 열수추출단계(S330)에서는 상기 침지단계(S320)에서 흑호두의 과피가 침지된 추출용매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흑호두추출물을 열수추출한다. 상기 여과단계(S340)에서는 상기 흑호두추출물 추출단계(S300)에서 추출된 흑호두추출물에서 이물질을 여과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흑호두추출물을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제조방법은 흑호두추출물을 이용하여 자체의 고른 분산을 통해 종래의 산화철이나 유기합성색소의 뭉침을 개선하여 균일한 발림성을 갖으며, 중금속과 같은 유해물질이 없으므로 피부에 발생하는 자극성 접촉피부염과 같은 염증유발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제조방법은 종래의 천연색소와는 달리 열과 빛에 의해 제형이 불안정하여 탈색되거나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갖는다.
한편, 도 2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장품은 내부에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105)이 마련되며, 서로 다른 위치에 상호 이격되게 다수의 인입구(108)가 형성된 본체부(100)와, 단부가 상기 수용공간(105)에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인입구(108)들에 각각 삽입되게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되는 복수의 브러쉬유닛(200)과,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브러쉬유닛(200)들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브러쉬부재(300)와, 상기 브러쉬유닛(200)들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브러쉬부재(300)와 상이하게 형성된 제2 브러쉬부재(4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양단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내부공간에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격벽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이 구획되어 수용공간(105)이 마련된다.
상기 격벽은 상기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며, 각각 인입구(108)가 형성된다. 상기 인입구(108)는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러쉬유닛(200)은 단부가 상기 수용공간(105)에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인입구(108)들에 각각 삽입되게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파지부(210), 솔대부(220) 및 걸림턱(230)을 포함한다.
상기 파지부(210)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부(100)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100)와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솔대부(220)는 상기 인입구(108)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105)으로 인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파지부(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30)은 상기 솔대부(220)의 인입깊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격벽에 의해 간섭되게 상기 솔대부(220)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30)은 상기 파지부(210)로부터 상기 솔대부(220)의 타단부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브러쉬부재(300)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브러쉬유닛(200)들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지부(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상기 솔대부(220)의 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제1 브러쉬부재(300)는 종류별로 상이하게 형성된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아이섀도우 및 아이브라우 브러쉬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의 브러쉬 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브러쉬부재(400)는 상기 브러쉬유닛(200)들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부러쉬부재와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지부(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상기 솔대부(220)의 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제2 브러쉬부재(400)는 종류별로 상이하게 형성된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아이섀도우 및 아이브라우 브러쉬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의 브러쉬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장품은 사용자의 인체를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영상정보제공부(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정보제공부(500)는 제1 분리부(510), 촬영부(520) 및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분리부(510)는 상기 걸림턱(230)을 기준으로 상기 파지부(210) 방향의 상기 솔대부(220)의 일측에 일단이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분리부(51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일단을 상기 솔대부(220)와 분리시킬 수 있도록 제1 손잡이(530)가 마련된다.
상기 촬영부(520)는 상기 제1 분리부(510)의 일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인체일부를 화장할 때 사용자의 인체 일부를 촬영한다. 상기 촬영부(520)는 종래의 일반적인 카메라가 적용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전송부는 상기 촬영부(520)에서 촬영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장품은 사용자의 인체의 일부를 밝게 보이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을 발생시키는 광발생부(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발생부(600)는 제2 분리부(610)와 엘이디부(62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분리부(610)는 상기 걸림턱(230)을 기준으로 상기 파지부(210) 방향의 상기 솔대부(220)의 일측에 일단이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 분리부(61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분리시킬 수 있도록 제2 손잡이(630)가 마련된다.
상기 엘이디부(620)는 상기 제2 분리부(610)의 일단에 설치되며 사용자에게 엘이디광을 조사한다. 이때, 상기 엘이디광은 사용자의 인체의 일부 밝게 보이도록 상기 백색 또는 연한 적색의 광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장품은 복수개의 브러쉬부재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화장부위에 적합한 브러쉬부재가 마련된 브러쉬유닛(200)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장품은 영상정보제공부(500)가 사용자가 화장할 때 사용자의 인체 일부를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통해 화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장품은 광발생부(600)가 사용자의 인체의 일부를 밝게 보이도록 광을 발생시킴으로서, 화장부위를 밝게하여 화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장품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상기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장품은 팽창유닛(7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팽창유닛(700)은 상기 본체부(100)의 수용공간(105)에 수용된 화장료 조성물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팽창튜브(710)와 공기공급부(720)를 포함한다.
상기 팽창튜브(710)는 상기 본체부(100)의 인입구(108)가 형성된 내멱면을 제외한 나머지의 내멱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격벽사이의 수용공간(105)의 내주면에 설치된다.
상기 팽창튜브(710)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도록 주입공간이 마련되며, 에어가 주입되었을 때 팽창되도록 연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공급부(720)는 상기 팽창튜브(710)와 연통되게 설치되며, 상기 팽창튜브(710)가 팽창할 수 있도록 상기 팽창튜브(71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공기노즐(721), 공기관(722) 및 공기공급장치(723)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노즐(721)은 상기 팽창튜브(710)의 내부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팽창튜브(710)와 연통되게 설치된다. 상기 공기관(722)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공기노즐(721)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공기공급장치(723)와 연결된다.
상기 공기공급장치(723)는 상기 팽창튜브(710)로 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콤프레셔를 말하며,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사용자는 공기관(722)과 컴프레셔를 제외하고 공기노즐(721)에 직접 구강을 통해 상기 팽창튜브(710)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팽창유닛(700)은 팽창튜브(710)가 팽창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수용공간(105)의 부피를 협소하게함으로서, 상기 본체부(100)의 수용공간(105)에 수용된 화장료 조성물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균일하게 분산되어 상기 제1 및 제2 브러쉬부재(400)가 상기 화장료 조성물과 접촉할 때, 충분한 양의 화장료 조성물과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장품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장품은 상기 본체부(100)의 수용공간(105)에 수용된 화장료 조성물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진동발생부(8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진동발생부(800)는 진동부(810)와 전력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부(810)는 상기 본체부(100)의 서로 다른 위치에 상호 이격된 다수의 인입구(108) 사이의 내멱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진동부(810)는 상기 본체부(100)의 수용공간(105)의 내벽면으로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전력공급부는 외부와 연결되어 상기 진동부(810)가 진동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진동발생부(8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수용공간(105)에 수용된 화장료 조성물을 진동부(810)가 진동시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브러쉬부재(400)가 상기 화장료 조성물과 접촉할 때, 충분한 양의 화장료 조성물과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 시험예 1: 세포독성시험
MTT assay는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의 산화, 환원 반응에 의한 물질대사 능력을 측정함으로써 세포의 생존력과 활성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흑호두 과피 추출물에 의한 세포 독성을 알아보기 위해 인체를 외부물질, 미생물 등에 대해 보호하는 피부에 속하는 각질 세포(keratinocyte)로서 표피세포의 95%를 차지하고 각질을 생성하는 HaCat세포를 10% fetal bovine serum과 항생제(50 μg/mL streptomycin과 50 U/mL penicillin)가 첨가된 DMEM으로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3일에 한번씩 subculture를 수행하였다. 이후, 5×104 cells/mL로 96 well에 100 μL씩 분주한 후 24시간 배양했다.
이어서, HaCaT 세포에 흑호두추출물을 15.6, 31.2, 62.5, 125 및 250 μg/mL의 농도로 처리하고, 처리 48시간 후 MTT (5 mg/mL) 시약을 10 μL 가하고 4시간을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DMSO를 200μL씩 넣어 준 후 Microplate ELISA reader로 450 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100%와 0%의 세포 생존율은 배양액 0.1% Triton X-100을 각각 처리한 세포의 흡광도를 기준으로 계산하였다.
도 8을 참조하면, MTT assay를 수행한 결과 실험한 모든 농도에서 유의한 세포 독성이 없었으며 흑호두추출물의 250μg/mL 농도에서 92.6%의 생존율을 보여 세포 생존력에 미치는 영향이 현저히 낮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된 흑호두추출물은 눈에 대한 자극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시험예 2: 항염증 효과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은 생체고분자로서 피부와 관절, 안구 점막 등 다양한 인체 조직 내에 기본적으로 존재하는 성분으로 분해 효소인 HAase에 의해 매일 분해되고 다시 생성되기를 반복한다. 특히 피부에서 보습 및 탄력을 유지에 기여하는 표피와 진피층의 주요세포외 매트릭스로서 glucuronic acid와 glucosamine이 반복해서 연결된 점액성 다당체로서, 히알루론산은 염증반응에 중요한 대식세포(macrophage)의 식세포 작용(phagocytosis)을 저해한다.
한편, HAase에 의해 분해된 저분자 히알루론산은 상처 치유과정에서 염증반응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HAase의 활성 저해에 의해 히알루론산을 분해되지 않게 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9을 참조하면, 흑호두추출물에 대한 HA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100 μg/mL 농도에서는 100%의 HA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고 대조군인 vitamin C와 tannic acid는 50 μg/mL 농도에서는 거의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100 μg/mL 농도에서 각각 3.22%, 68.55%의 HAase 저해 활성을 나타냈다.
특히, 흑호두추출물은 100μg/mL의 10분의 1 농도인 10μg/mL 농도에서 76.33% HA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매우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가진 것으로 염증반응에 따른 세포 손상 또한 억제할 수 있다.
- 색차와 발색비교
실시예 A
실시예 A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트리에탄올아민/스테아레이트 9.70중량부, 방부제 2.00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 3.00 중량부, 하이드록실에틸셀룰로즈 0.30 중량부, 잔탄검 0.59 중량부, 비즈왁스 2.50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 0.40 중량부,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50 중량부, 흑호두추출물(천연색소) 17.0 중량부 가 혼합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B
실시예 B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트리에탄올아민/스테아레이트 9.70중량부, 방부제 2.00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 3.00 중량부, 하이드록실에틸셀룰로즈 0.30 중량부, 잔탄검 0.59 중량부, 비즈왁스 2.50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 0.40 중량부,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50 중량부, 흑산화철(천연색소) 17.0 중량부 가 혼합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C
비교예C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트리에탄올아민/스테아레이트 9.70중량부, 방부제 2.00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 3.00 중량부, 하이드록실에틸셀룰로즈 0.30 중량부, 잔탄검 0.59 중량부, 비즈왁스 2.50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 0.40 중량부,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50 중량부, 일반색소물 17.0 중량부 가 혼합되어 시중에 유통중인 비건 아이라이너 제품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A와 비교예 B의 색차와 발색비교
조성물로 제조된 올인원 아이 메이크업 제품의 발색도를 측정하기 위해 은폐율 측정지(청화인쇄)에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A와 흑산화철(IOB)를 함유한 실시예 B와, 일반색소물을 함유한 비교예 C를 각각 0.3 g씩 떨어뜨린 후 어플리케이터 K3580 (Applicator K3580, Elcometer)를 사용하여 0.1 μm로 도포하고 30분간 건조시킨 후 색차계(Konica minolta社의 CR-400)로 측정하였다. 색상 값은 CIE 색차계의 L*(lightness), a*(redness), b*(yellowness) 값으로 표시하고 Munsell의 표색계 변환법(Munsell Conversion CMC20)으로 색의 삼속성 H V/C를 구하였다. 색차 분석은 CIE L*a*b* 표색계에 의한 색차식을 이용하여 천연 색소를 포함하는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A(control)와 조성물 B, C 간의 색차(ΔE)를 구하고 허용치를 분류하였다.
Figure pat00001
도 10을 참조하면 One-way ANOVA로 비교 분석한 결과 비교예 C를 제외하고 조성물 A와 B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표면 발색도에서도 큰 차이점을 느낄 수 없었다. 색의 차이란 인간의 기본적 색지각인 보색을 기초로 한 CIE Lab 색공간 내에서 두 색 간의 입체적인 거리라고 할 수 있으며 거리가 서로 멀면 색 차이가 많이 나는 것이고, 거리가 거의 차이가 없으면 동일한 색으로 인지된다. 일반적으로 ΔE 0.5 이하의 값은 동일한 색으로 인지되며 실제 공장에서 생산할 경우 보통 색차 값은 0.8 ~ 1.2를 유지한다. 표준물질인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 A와 흑산화철을 함유한 조성물 B를 비교한 ΔE 값은 1.5로 색차는 느껴지나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색차의 정도로 흑호두 과피 추출물의 검정 색재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흑산화철을 대체할 수 있는 천연 소재로서 활용 가치가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100: 수상혼합물제조단계 S200: 계면활성제혼합단계
S300: 흑호두추출물 추출단계 S400: 천연색소혼합단계
S500: 유상혼합물혼합단계 100: 본체부
105: 수용공간 108: 인입구
200: 브러쉬유닛 210: 파지부
220: 솔대부 230: 걸림턱
300: 제1 브러쉬부재 400: 제2 브러쉬부재
500: 영상정보제공부 510: 제1 분리부
520: 촬영부 530: 제1 손잡이
600: 광발생부 610: 제2 분리부
620: 엘이디부 700: 팽창유닛
710: 팽창튜브 720: 공기공급부
721: 공기노즐 722: 공기관
723: 공기공급장치 800: 진동발생부
810: 진동부

Claims (22)

  1. 흑호두로부터 추출한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흑호두추출물은 상기 흑호두에 물, 알코올 및 에탄올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출용매를 혼합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흑호두추출물은 상기 흑호두의 과피로부터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아이메이크업을 위한 크림, 화장액, 젤 및 파우더의 제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흑호두추출물은 베이스혼합물과 혼합되며,
    상기 베이스혼합물은 정제수에 수상성분들이 혼합되는 수상혼합물과, 유상성분들이 혼합되는 유상혼합물과, 상기 수상혼합물과 유상혼합물이 혼합되도록 첨가되는 계면활성제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혼합물은 상기 정제수 100 기준중량부에 대하여,
    방부제 1.5 ~ 3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 2 ~ 4중량부, 하이드록실에틸셀룰로즈 0.20 ~ 0.50중량부 및 잔탄검 0.40 ~ 0.70중량부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정제수 100 기준중량부에 대하여, 
    8 ~ 10 중량부가 혼합되며, 트리에탄올아민과 스테아레이트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혼합물은 상기 정제수 100 기준중량부에 대하여,
    비즈왁스 2 ~ 3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 0.20 ~ 0.30중량부 및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40 ~ 0.60중량부가 혼합된 후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정제수와 수상성분들을 혼합하여 수상혼합물을 제조하는 수상혼합물제조단계와;
    상기 수상혼합물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수상혼합물에 계면활성제를 혼합한 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계면활성제혼합단계와;
    상기 계면활성제혼합단계에서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수상혼합물에 흑호두추출물을 혼합하는 천연색소혼합단계와;
    유상성분들을 혼합하고 소정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서 제조된 유상혼합물을 상기 천연색소혼합단계에서 흑호두추출물이 혼합된 수상혼합물과 혼합하는 유상혼합물혼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제조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색소혼합단계 실시전, 흑호두의 과피로부터 흑호두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흑호두추출물 추출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흑호두추출물 추출단계는
    상기 흑호두의 과피를 소정의 크기로 커팅하는 커팅단계와;
    상기 커팅단계에서 커팅된 흑호두의 과피를 추출용매에 침지시키는 침지단계와;
    상기 침지단계에서 흑호두의 과피가 침지된 추출용매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흑호두추출물을 열수추출하는 열수추출단계와;
    상기 흑호두추출물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흑호두추출물에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제조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는 흑호두의 과피를 물, 알코올 및 에탄올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제조방법.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혼합물은 상기 정제수 100 기준중량부에 대하여,
    방부제 1.5 ~ 3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 2 ~ 4중량부, 하이드록실에틸셀룰로즈 0.20 ~ 0.50중량부 및 잔탄검 0.40 ~ 0.70중량부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제조방법.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트리에탄올아민과 스테아레이트가 상기 수상부에 혼합되며, 상기 정제수 100 기준중량부에 대하여 8~ 10중량부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제조방법.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혼합단계에서는 상기 수상혼합물에 계면활성제를 혼합한 후 80℃ 내지 90℃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제조방법.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혼합물은 상기 정제수 100 기준중량부에 대하여 비즈왁스 2 ~ 3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 0.20 ~ 0.30중량부 및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40 ~ 0.60중량부가 혼합된 후, 80℃ 내지 90℃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제조방법.
  16.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아이메이크업을 위한 크림, 화장액, 젤 및 파우더의 제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제조방법.
  17. 내부에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서로 다른 위치에 상호 이격되게 다수의 인입구가 형성된 본체부와;
    단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인입구들에 각각 삽입되게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브러쉬유닛과;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브러쉬유닛들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브러쉬부재와;
    상기 브러쉬유닛들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브러쉬부재와 상이하게 형성된 제2 브러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장품 용기.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인체를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영상정보제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정보제공부는
    상기 브러쉬유닛에 일단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분리부와;
    상기 제1 분리부의 일단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인체를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장품 용기.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인체의 일부를 밝게 보이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을 발생시키는 광발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발생부는
    상기 브러쉬유닛에 일단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분리부와;
    상기 제2 분리부의 일단에 설치되며 사용자에게 엘이디광을 조사하는 엘이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장품 용기.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화장료 조성물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마련되는 팽창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팽창유닛은
    상기 본체부의 인입구가 형성된 내멱면을 제외한 나머지의 내멱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에어가 주입되어 팽창하는 팽창튜브와;
    상기 팽창튜브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팽창튜브가 팽창할 수 있도록 상기 팽창튜브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장품 용기.
  2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화장료 조성물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마련되는 진동발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본체부의 서로 다른 위치에 상호 이격된 다수의 인입구 사이의 내멱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진동부와;
    상기 진동부가 진동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장품 용기.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수용공간의 내벽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장품 용기.

KR1020210016786A 2021-02-05 2021-02-05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용기 KR102557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786A KR102557274B1 (ko) 2021-02-05 2021-02-05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786A KR102557274B1 (ko) 2021-02-05 2021-02-05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580A true KR20220113580A (ko) 2022-08-16
KR102557274B1 KR102557274B1 (ko) 2023-07-20

Family

ID=83064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786A KR102557274B1 (ko) 2021-02-05 2021-02-05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27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678A (ko) 1996-06-29 1998-03-30 배순훈 적외선을 이용한 영상생성처리장치
KR200362349Y1 (ko) * 2004-06-18 2004-09-16 주식회사 태평양 풍선부재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90010768A (ko) 2007-07-24 2009-01-30 (주)아모레퍼시픽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KR20100043717A (ko) * 2008-10-21 2010-04-2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익소라 콕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60071744A (ko) * 2014-12-12 2016-06-22 애경산업(주) 온도 감응성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207461659U (zh) * 2017-11-10 2018-06-08 上海创元化妆品有限公司 化妆笔
JP2018529395A (ja) * 2015-06-11 2018-10-11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角質表面を改質するための装置で使用するためのカートリッ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678A (ko) 1996-06-29 1998-03-30 배순훈 적외선을 이용한 영상생성처리장치
KR200362349Y1 (ko) * 2004-06-18 2004-09-16 주식회사 태평양 풍선부재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90010768A (ko) 2007-07-24 2009-01-30 (주)아모레퍼시픽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KR20100043717A (ko) * 2008-10-21 2010-04-2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익소라 콕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60071744A (ko) * 2014-12-12 2016-06-22 애경산업(주) 온도 감응성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8529395A (ja) * 2015-06-11 2018-10-11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角質表面を改質するための装置で使用するためのカートリッジ
CN207461659U (zh) * 2017-11-10 2018-06-08 上海创元化妆品有限公司 化妆笔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nathan Wenzel 외 6명. Antioxidant potential of Juglans nigra, black walnut, husks extracted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with an ethanol *
Xiao Wang 외 6명.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e xanthine oxidase inhibition effects of walnut (Juglans regia L.) fruit, stem and leaf.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015* *
한국일 외 9명. 호두과피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생명과학회지, 201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7274B1 (ko) 202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09221B1 (ja) 染毛性整髪用組成物
KR20090010768A (ko)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EP1563827A2 (fr) Procédé de préparation d'une composition de traitement cosmétique à partir de fluide sous pression, et d'actifs cosmétiques non colorants sensibles à un stimulus extérieur
AU2017243956A1 (en) Topical composition comprising plant extracts
DE202008014069U1 (de) Kosmetische Zusammensetzung für die topische Anwendung
EP2240154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glycogen for skin application with velvet effect
EP3052199B1 (fr) Utilisation d'une composition huileuse contenant un extrait d'hemerocalle pour ameliorer la fermete de la peau
KR102557274B1 (ko) 흑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용기
WO2019077217A1 (fr) Utilisation cosmetique d'un extrait d'une plante indigofere
FR3033699A1 (fr) Extrait de pivoine de chine, composition comprenant ledit extrait et utilisation cosmetique
WO2009024671A2 (fr) Composition cosmetique ayant des proprietes anti-radicalaires et procede d'application correspondant
EP3068496B1 (fr) Composition huileuse a base d'extraits lipophiles de rose de porcelaine et de jacinthe d'eau
RU2232587C1 (ru) 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на основе аквагомогената икры осетровых рыб или на основе аквагомогената икры лососевых рыб, или на основе комплекса аквагомогената икры осетровых и лососевых рыб (варианты)
EP3052198B1 (fr) Composition huileuse contenant un extrait d'hemerocalle et utilisations
JP2008120712A (ja) 化粧料用水系分散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化粧料
FR3001634A1 (fr) Utilisation de l'huile essentielle d'orange pour traiter les troubles de la pigmentation cutanee
CN112545914A (zh) 一种红花丰盈丝绒滋养口红
RU2242216C1 (ru) Лифтинг-крем "д" для сухой и чувствительной кожи
FR2895257A1 (fr) Actif pour le traitement du contour des yeux.
JP2008247830A (ja) 化粧料
Shah et al. Natural Products for Cosmeceuticals
EP3052201B1 (fr) Utilisation d'une composition huileuse contenant un extrait d'hemerocalle pour ameliorer l'eclat du teint
EP4312575A1 (fr) Huile concrete d'avocat enrichie en acide palmitique
RU2236842C1 (ru) Крем для век "диамант"
FR3123807A1 (fr) Serum cosmetique activateur et utilisation dans un procede de soin cosmet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