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567U - 그린보수기 - Google Patents

그린보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567U
KR20090010567U KR2020080004877U KR20080004877U KR20090010567U KR 20090010567 U KR20090010567 U KR 20090010567U KR 2020080004877 U KR2020080004877 U KR 2020080004877U KR 20080004877 U KR20080004877 U KR 20080004877U KR 20090010567 U KR20090010567 U KR 200900105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locking groove
button
groove
g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48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1097Y1 (ko
Inventor
이형춘
이성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비스 스포츠
이형춘
이성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비스 스포츠, 이형춘, 이성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비스 스포츠
Priority to KR20200800048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097Y1/ko
Publication of KR200900105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5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0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0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50Golfing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ourse mainten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그린보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몸체의 내부에 포크의 날부분이 회동 인출 및 인입되도록 핀에 의해 조립되어 있고, 상기 포크의 내측 일단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크를 접었을 때의 상기 걸림홈이 위치하는 몸체의 대응 위치에서 압축스프링에 의해 상단이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버튼이 설치되어 있고, 이 버튼의 일단에 상기 걸림홈이 걸려서 고정되고, 버튼을 눌렀을 때 걸림홈과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도록 된 그린보수기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중간부분은 상기 걸림홈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 있고, 버튼의 하단부는 확경되어 걸림홈의 직경과 대략 일치하도록 단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크를 인출하여 완전히 펼쳤을 때, 상기 버튼과 접촉되는 부분에 상기 걸림홈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제2걸림홈이 더 형성되어 있고, 그 외측으로는 포크를 펼쳤을 때 몸체의 측벽에 접촉되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포크 부분의 절첩이 가능하여 가볍고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사용이 간편한 효과를 제공한다.
그린보수기, 포크, 스토퍼, 볼마커, 자석

Description

그린보수기{green fork}
골프 게임중에는 그린(green)위에 골프공이 떨어지면서 공자국이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공자국은 그린에서의 퍼팅시 정상적인 퍼팅에 지장을 주기 때문에, 골프 중에는 그린의 공자국을 밑에서 위로 들어올려 그린을 평탄하게 하는 작업을 하게 되며, 이와 같이 그린의 평탄작업을 위한 것이 그린포크(green fork) 즉 그린 보수기이며, 본 고안은 이러한 그린보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절첩이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면서 접히거나 펼쳐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면서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된 그린보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그린보수기는 금속의 판형으로 되는 몸체의 일측으로 갈라진 두 개의 포크가 형성되어 있는 단순한 형태의 것으로서, 이러한 종래의 그린보수기는 매끄러운 금속의 판으로 되어 있어서 손으로 쥐고 작업하기에 미끄러운 문제점이 있었고, 포크 형태의 예리한 부분이 노출되어 있어서 이 포크 부분으로 인해 휴대시 불안감을 조성하면서 주머니에 넣고 휴대할 경우 의복이 손상될 수 있 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그린보수기와 더불어 골프 경기중에는 골프 공, 골프 티 등과 함께 항상 휴대하게 되는데, 그 휴대가 번거로워서 게임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더욱이 부피가 커서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절첩식 그린보수기가 본 출원인에 의해 실용신안등록 제0400762호로 제안된 바 있으며, 이 선 등록고안에 의해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의 선 등록고안은 내부에 금속제 판스프링이 내장되는데 그에 따른 구성이 비교적 복잡하고 이 판스프링의 돌출된 부분을 눌러서 포크의 절첩을 조작하여야 하는 등 그 사용이 불편하며, 이 판스프링이 내장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여 전체적인 무게와 부피가 커지게 되고 제조원가마저 상승하는 요인이 되어 경제적 및 실용적인 면에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절첩이 가능하면서 볼 마커를 부착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여 사용이 편리하면서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서 원가를 절감하고 무게를 줄여서 휴대가 편리하도록 된 그린보수기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특히, 본 고안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절첩 조작이 매우 편리하면서, 접히거나 펼쳐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된 그린보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몸체의 내부에 포크의 날부분이 회동 인출 및 인입되도록 핀에 의해 조립되어 있고, 상기 포크의 내측 일단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크를 접었을 때의 상기 걸림홈이 위치하는 몸체의 대응 위치에서 압축스프링에 의해 상단이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버튼이 설치되어 있고, 이 버튼의 일단에 상기 걸림홈이 걸려서 고정되고, 버튼을 눌렀을 때 걸림홈과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도록 된 그린보수기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중간부분은 상기 걸림홈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 있고, 버튼의 하단부는 확경되어 걸림홈의 직경과 대략 일치하도록 단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크를 인출하여 완전히 펼쳤을 때, 상기 버튼과 접촉되는 부분에 상기 걸림홈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제2걸림홈이 더 형성되어 있고, 그 외측으로는 포크를 펼쳤을 때 몸체의 측벽에 접촉되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몸체를 다양한 재질로 선택할 수 있어서 차가운 금속을 직접 접촉하지 않아도 되며, 보다 두터운 그립감각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볼 마커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과 조작에 의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포크의 걸림홈 및 제2걸림홈은 그 중심이 상기 포크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제2걸림홈은 반구형보다 작은 홈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포크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근접한 일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포크가 펼쳐졌을 때 상기 경사면과 접촉하는 완충핀이 스프링에 탄지된 상태로 몸체의 일단에 설치되어 회동하여 펼쳐지는 포크가 최종단계에서 그 회전력을 완충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몸체의 외면 일단에는 볼마커를 수용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안착홈의 중앙에 자석이 매입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절첩이 가능한 그린보수기를 제공함과 동시에 볼 마커를 안정적으로 수용하여 동시에 휴대할 수 있음은 물론,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안정적인 동 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원가절감의 효과를 제공하고, 무게를 줄여서 휴대가 더욱 간편한 효과를 아울러 제공한다.
그리고, 버튼의 누름 조작에 의해 포크를 인출 또는 인입하도록 하여 사용이 더욱 간편하게 이우러질 수 있고, 펼쳐질 때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켜 몸체와 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보다 소프트한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일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린보수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포크의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린보수기의 절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상기 도 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상기 도 3의 B-B선 단면도로서 버튼의 작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몸체(1)와 포크(2) 및 버튼(3)으로 대별된다.
상판(5)과 하판(6)으로 이루어진 몸체(1)의 내부는 인접한 두 측면이 개방된 수용부(8)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수용부(8)의 일단에 2단으로 갈라진 상기 포크(2)의 후단부가 핀(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상기 포크(2)는 몸체(1)의 수용부(8)에 수용되면서 개방된 측면을 통해 회전 하여 인출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핀(9)은 일측으로 암나사를 형성하고 있어서 여기에 나사(10)를 결합함으로써 몸체(1)의 상측과 하측을 통해 포크(2)를 조립하고 있고, 핀(9)의 헤드면과 나사(10)의 헤드면은 내측으로 완만한 곡면을 형성함으로써 그린보수기의 사용시 엄지 손가락이 이 곡면에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도면에서와 다르게 리벳 등에 의해 조립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포크(2)는 스프링을 이용하여 탄성적으로 인출되도록 할 수 있는데, 상기 핀(9)의 외측으로 토션스프링(11)이 설치되어 토션스프링(11)의 일단은 상판(5)의 일단에 고정하고, 토션스프링(11)의 다른 쪽 단부는 포크(2)의 일단에 고정함으로써 포크(2)가 몸체(1)에 대하여 외측으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작용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토션스프링(11)이 수납되기 위한 공간이 상판(5)의 내부에 마련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포크(2)의 내측 일단에는 훅크 형상의 걸림홈(13)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 일단에는 제2걸림홈(14)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걸림홈(13)은 포크(2)가 접혀졌을 때 접혀진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제2걸림홈(14)은 포크(2)가 펼쳐졌을 때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걸림홈(13) 및 제2걸림홈(14)은 서로 반대의 방향에서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원호를 형성하고 있으며, 각 원호의 중심은 포크(2)의 회전 중심으 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원호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걸림홈(13)과 제2걸림홈(14)은 상기 버튼(3)과 접촉하여 이 버튼(3)에 의해 걸림 상태가 유지 또는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버튼(3)은 포크(2)가 수용부(8) 내에 인입되어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13)이 위치하는 몸체(1)의 대응 위치, 그리고, 포크(2)가 인출되어 완전히 펼쳐졌을 때 상기 제2걸림홈(14)이 접촉되는 위치에 수직으로 조립되어 있는데, 이 버튼(3)은 하측에 설치되는 압축스프링(15)에 의해 몸체(1)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고 있으며, 이 버튼(3)의 설치를 위해 상판(5)과 하판(6)에는 마주하는 수용홈(17,18)이 형성되어 있고, 상판(5)의 수용홈(17)에는 버튼(3)의 상단이 인출되기 위한 구멍(19)이 더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판(6)의 수용홈(18)에는 압축스프링(15)이 위치하여 버튼(3)을 상측으로 탄성 지지하며, 버튼(3)의 상단 측면에는 버튼(3)이 완전히 몸체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판(5)의 구멍(19)에 걸리는 걸림턱(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버튼의 중간 부분의 지름은 상기 포크(2)의 걸림홈(13) 및 제2걸림홈(14)보다 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고, 그 하단부는 상기 걸림홈(13) 및 제2걸림홈(14)과 대략 일치하는 직경의 단턱(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단턱(23)은 버튼(3)이 압축스프링(15)에 지지된 평상시의 상태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수용부(8)에 노출된 상태로 되며, 도 7과 같이 버튼(3)의 상단을 누르게 되면, 하판(6)의 수용 홈(18)에 인입되어 수용부(8)에 노출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이렇게 버튼(3)의 단턱(23)이 수용홈(18)에 인입되어 수용부(8)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포크(2)의 걸림홈(13) 및 제2걸림홈(14)의 직경이 버튼(3)의 중간부분의 직경보다 크므로 포크(2)가 자유로이 회동이 가능하게 되며, 포크(2)가 완전히 접혀져서 걸림홈(13)이 버튼(3)의 위치에 일치되는 지점에서 버튼(3)을 놓으면, 압축스프링(15)의 탄발력에 의해 버튼(3)이 상승하면서 단턱(23)이 수용부(8)에 위치되어 걸림홈(13)과 밀착된다.
따라서, 걸림홈(13)과 단턱(23)이 밀착된 상태에서는 포크(2)가 회동되지 못하고 고정된 접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버튼(3)을 누르면 걸림홈(13)과 단턱(23)의 밀착 상태가 해제되면서 토션스프링(11)에 의해 포크(2)가 회동되어 펼쳐지게 되고,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는 버튼(3)과 제2걸림홈(14)이 동일한 위치에 있게 된다. 이 때 누르고 있던 버튼(3)을 놓으면 압축스프링(15)의 탄발력에 의해 버튼(3)이 상승하면서 단턱(23)이 제2걸림홈(14)과 밀착되어 포크(2)의 회동이 방지되고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포크(2)의 외측 일단에는 포크(2)가 펼쳐진 상태를 고정하는 또 하나의 수단으로 스토퍼(24)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스토퍼(24)는 포크(2)의 외측 일단에서 돌출된 형태로서 포크(2)가 완전히 펼쳐졌을 때, 몸체(1)의 개방된 끝부분의 측벽(4)에 접촉되도록 되어 있으며, 측벽(4)과 스토퍼(24)가 면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토션스프링(11)에 의해 탄발되어 회전되는 포크(2)가 회동되는 것이 스토퍼(24)에 의해 정확한 위치에서 제어되고, 버튼(3)의 단턱(23)과 제2걸림홈(14)의 밀착 고정과 더불어 펼쳐진 포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포크(2)가 토션스프링(11)에 의해 강하게 회동되면서 펼쳐질 때, 상기 스토퍼(24)가 몸체의 측벽(4)에 강하게 부딪히면서 충격을 주게 되는데, 이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완충핀(26)이 설치될 수 있다.
완충핀(26)은 상기 포크(2)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근접된 위치에서 몸체()의 일단에 설치되며, 몸체(1)에 형성된 구멍(27)에서 그 선단부가 내측의 수용부(8)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스프링(28)에 의해 탄발되도록 설치되고, 외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나사(29)에 의해 마감 조립되어 있다.
이러한 완충핀(26)이 포크(2)와 연계하여 동작되는 상태가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9와 도 11은 완충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핀(26)은 그 선단부가 몸체(1)의 내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포크(2)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만 접촉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스토퍼(24)의 일면에 경사면(30)이 형성되고, 이 스토퍼(24)가 측벽(4)에 접촉되기 직전의 회전 위치에서 상기 완충핀(26)의 선단부와 경사면(30)이 일정 구간(a)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적으로 펼쳐지는 포크(2)의 스토퍼(24)가 측벽(4)에 접촉하기 직전에 완충핀(26)이 먼저 스토퍼(24)의 경사면(30)에 접촉되면서 포크(2)의 회전력을 감소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30)은 포크(2)의 다른 부분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그에 따른 완충핀(26)의 위치도 변경될 것이고, 경사면(30)이 형성하는 궤적에는 완충핀(26)이 다른 부분과의 접촉이 되지 않도록 구성되면 될 것이다.
상기 몸체(1)의 외면에는 볼 마커(35)를 부착하여 함께 휴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도면에서와 같이 상판(5)의 외면 일단에 볼 마커(35)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안착홈(36)이 형성되어 있고, 이 안착홈(36)의 중앙에 자석(37)이 매입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볼 마커(35)를 상기 안착홈(36)에 수납하면 자석(37)에 의해 볼 마커(35)가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어 볼 마커의 간편한 휴대가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몸체(1)의 일단에는 고리부(38)가 형성되어 줄이나 고리 등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상판(5)과 하판(6)의 외면에는 주름부를 형성하고, 몸체(1)의 개방 측면은 파형으로 형성하여 사용시 손으로 몸체를 쥐었을 때 일체감을 주면서 미끄럼을 방지하여 편리한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39'는 자석(37)위에 부착시키는 스티커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포크(2)가 접혀진 상태에서는 포크(2)의 걸림홈(13)이 버튼(3)의 단턱(23)에 걸려서 고정된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압축스프링(15)의 탄성에 저항하여 버튼(3)을 누르면 버튼(3)의 단턱(23)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포크(2)와 버튼(3)의 결합상태가 해제되고, 동시에 토션스프링(11)의 탄성에 의해 포크(2)는 핀(9)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회전하여 인출되며, 완전히 인출됨과 동시에 스토퍼(24)가 측벽(4)에 접촉되어 멈추면서 제2걸림홈(14)이 버튼(3)의 단턱(23)에 밀착 결합되어 펼쳐진 상태가 고정된다.
여기서, 포크(2)가 완전히 펼쳐지기 직전에 완충핀(26)과 경사면(30)의 접촉에 의해 회전력이 다소 감소하면서 펼쳐지게 되어 스토퍼(24)와 측벽(4)의 강한 접촉으로 인한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포크(2)는 제2걸림홈(14)과 버튼(3)의 결합으로 인해 펼쳐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 상태로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 후에는 버튼(3)을 눌러서 제2걸림홈(14)과 버튼(3)의 결속을 해제한 다음, 포크(2)를 회전시켜서 몸체(1)의 수용부(8)로 인입시키게 되며,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는 포크(2)의 걸림홈(13)이 버튼(3)의 단턱(23)에 걸리면서 고정되어 접혀진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원 그린보수기를 사용할 때에는 몸체(1)를 쥐고 그린의 평탄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몸체(1)의 일측이 파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면에 형성된 주름부 등에 의해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원활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휴대시에는 상기 고리부(38)에 고리나 줄 등을 연결하여 열쇠고리 등에 연결하여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되며, 볼 마커(35)를 안착홈(36)에 부착하여 함께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원 그린보수기는 접혀진 상태에서 휴대하게 되므로 포크의 날 부분 으로 인한 불안감과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보다 적은 부피로서 간편한 휴대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 또는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원 고안에 따른 그린보수기의 몸체나 포크 또는 걸림홈 등의 형상이나 조립 위치 등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린보수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포크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포크의 절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상기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상기 도 3의 B-B선 단면도로서 버튼의 작용 상태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완충핀의 작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몸체 2 ; 포크
3 ; 버튼 4 ; 측벽
5 ; 상판 6 ; 하판
8 ; 수용부 9 ; 핀
11 ; 토션스프링 13 ; 걸림홈
14 ; 제2걸림홈 15 ; 압축스프링
17,18 ; 수용홈 23 ; 단턱
24 ; 스토퍼 26 ; 완충핀
30 ; 경사면 35 ; 볼 마커
37 ; 자석 38 ; 고리부

Claims (4)

  1. 몸체의 내부에 포크의 날부분이 회동 인출 및 인입되도록 핀에 의해 조립되어 있고, 상기 포크의 내측 일단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크를 접었을 때의 상기 걸림홈이 위치하는 몸체의 대응 위치에서 압축스프링에 의해 상단이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버튼이 설치되어 있고, 이 버튼의 일단에 상기 걸림홈이 걸려서 고정되고, 버튼을 눌렀을 때 걸림홈과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도록 된 그린보수기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중간부분은 상기 걸림홈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 있고, 버튼의 하단부는 확경되어 걸림홈의 직경과 대략 일치하도록 단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크를 인출하여 펼쳤을 때, 상기 버튼과 접촉되는 부분에 상기 걸림홈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제2걸림홈이 더 형성되어 있고, 그 외측으로는 포크를 펼쳤을 때 몸체의 측벽에 접촉되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보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 및 제2걸림홈은 그 중심이 상기 포크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제2걸림홈은 반구형보다 작은 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보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근접한 일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포크가 펼쳐졌을 때 상기 경사면과 접촉하는 완충핀이 스프링에 탄지된 상태로 몸체의 일단에 설치되어 회동하여 펼쳐지는 포크가 최종단계에서 그 회전력을 완충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보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면 일단에는 볼마커를 수용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안착홈의 중앙에 자석이 매입 설치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보수기.
KR2020080004877U 2008-04-14 2008-04-14 그린보수기 KR2004510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877U KR200451097Y1 (ko) 2008-04-14 2008-04-14 그린보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877U KR200451097Y1 (ko) 2008-04-14 2008-04-14 그린보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567U true KR20090010567U (ko) 2009-10-19
KR200451097Y1 KR200451097Y1 (ko) 2010-11-24

Family

ID=41553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4877U KR200451097Y1 (ko) 2008-04-14 2008-04-14 그린보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0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264Y1 (ko) * 2013-03-29 2014-09-05 (주) 민성정밀 내구성이 뛰어난 그린 보수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650Y1 (ko) 2001-11-30 2002-02-16 김영기 잔디보수용 도구
KR200277369Y1 (ko) 2002-03-06 2002-06-01 김영기 잔디보수용 도구
KR200400762Y1 (ko) 2005-08-05 2005-11-09 주식회사 코비스 스포츠 그린포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264Y1 (ko) * 2013-03-29 2014-09-05 (주) 민성정밀 내구성이 뛰어난 그린 보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097Y1 (ko) 201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96187A1 (en) Jogging machine having a platform folding structure
CN104393740B (zh) 电源适配器
EP2796355A1 (en) Reinforced scooter folding device
JP2005253984A (ja) ゴルフアクセサリー
AU706753B2 (en) A golfing aid
CN103921883A (zh) 一种折叠车把
KR200451097Y1 (ko) 그린보수기
GB2608655A (en) Tee time
US5476113A (en) Umbrella for catching golf ball
KR200400762Y1 (ko) 그린포크
KR101255844B1 (ko) 우산
US20060201543A1 (en) Automatic close umbrella with automatic resetting feature
KR101261152B1 (ko) 머니클립
CN206476034U (zh) 一种滑板车及其折叠把手的固定锁
KR200474264Y1 (ko) 내구성이 뛰어난 그린 보수기
CN209333167U (zh) 一种出行辅助装置
CN207000705U (zh) 滑板车折叠结构
CN206967380U (zh) 十字扳手
CN206511044U (zh) 滑板车折叠结构
KR101658500B1 (ko) 골프 볼 마커를 구비한 그린 보수기
CN214904400U (zh) 一种转向装置及电动行李箱
CN216653344U (zh) 一种防滑型象棋棋盘
CN2579216Y (zh) 一种自动开合伞
KR20100029614A (ko) 자동우산
KR20180012490A (ko)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