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429A - 록 바디 - Google Patents

록 바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429A
KR20090008429A KR1020087029204A KR20087029204A KR20090008429A KR 20090008429 A KR20090008429 A KR 20090008429A KR 1020087029204 A KR1020087029204 A KR 1020087029204A KR 20087029204 A KR20087029204 A KR 20087029204A KR 20090008429 A KR20090008429 A KR 20090008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body
latch plate
follower
control
forc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9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하 라티까이넨
Original Assignee
아블로이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블로이 오이 filed Critical 아블로이 오이
Publication of KR20090008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4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05B47/026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the bolt moving rectilinear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05B47/067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by disconnecting the handle
    • E05B47/0684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by disconnecting the handle radially
    • E05B47/0688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by disconnecting the handle radially with a pivotally moveable coupl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4Key or electric means; Emergency release
    • E05B2047/0086Emergency release, e.g. key or electromagnet
    • E05B2047/0087Electric spare devices, e.g. auxiliary batteries or capacitors for back u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60Systems
    • Y10T70/625Operation and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051Using a powered device [e.g., motor]
    • Y10T70/7062Electrical type [e.g., soleno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051Using a powered device [e.g., motor]
    • Y10T70/7062Electrical type [e.g., solenoid]
    • Y10T70/7102And details of blocking system [e.g., linkage, latch, pawl, sp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642Directly cooperating gears
    • Y10T74/19698Spiral
    • Y10T74/19828Wor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록 바디(lock body)(1)는 볼트(3)와, 그 볼트(3)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볼트(3)와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종동부(6)와, 드라이버(5)를 포함한다. 상기 드라이버는 자신을 종동부(6) 쪽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전달하기 위하여 종동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록 바디는 그 록 바디의 잠금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전력 공급원으로서 작용하는 전기 모터(9)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록 바디{LOCK BODY}
본 발명은 전기 모터가 구비된 록 바디(lock body)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비상문 또는 방화문에 설치하기 위한 모터 록 바디(motor lock body)에 관한 것이다.
록 바디를 잠그거나 열기 위하여 즉, 록 바디의 잠금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록 바디에 전기 모터가 사용되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다. 전기 모터가 구비된 록 바디는 종종 모터 록(motor lock)으로 언급된다. 전기 모터는 예를 들면 자물쇠와 접속하여 설치된 푸시 버튼, 자물에 옆에 배치된 어세스 컨트롤 리더(access control reader), 또는 빌딩의 개폐 방식을 위한 중앙 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모터 록은 또한 열쇠를 사용하여 록 바디의 잠금 상태를 기계적으로 열림/닫힘 상태로 변화시키는 키 실린더에 적합할 수 있다. 또한, 회전될 수 있고, 자물쇠가 전기 모터를 사용하여 열릴 때에만 록 바디 메커니즘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되는, 록 바디와 접속하여 설피된 핸들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전기 모터는 도어 자동화 및 전기 제어와 관련하여 사용하기에 적절하다.
비상문 또는 방화문에 설치된 자물쇠와 관련하여 비상 탈출 손잡이(emergency exit knob)가 사용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인 형태의 비상 탈출 손잡이는 깨뜨릴 수 있는 돔으로 보호되는 회전 그립이다. 그 돔을 깬 후에, 그 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자물쇠는 열릴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돔을 깨뜨림으로써 알람 센터에 전송되는 알람이 유발된다. 따라서, 정전시에, 자물쇠는 일반적인 자물쇠 핸들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비상 탈출 손잡이를 사용하여 열릴 수 있다. 손잡이가 구비된 모터 록은, 도어가 개방 시간 동안 정상적으로 열리거나 열릴 수 있고, 다른 시간(저녁, 밤, 주말)에는 닫히게 하는 용도, 또는 도어와 연계된 어세스 컨트롤 장치(access control device)가 있는 도어에 적용하기에 적절하다. 비상 탈출 손잡이가 구비된 일반적인 모터 록 설치 형상은 정상 사용을 위한 핸들 및 비상 상황용 손잡이를 가지고 있다. 다만 문제는 비상 탈출 손잡이의 돔이 고의로 파괴되고, 이는 잘못된 알람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또한, 일부 형태의 돔은 비상 탈출 손잡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노출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정상적인 상황하에서도 그 손잡이를 실수로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그 목적은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른 수단으로 해결된다. 종속 청구항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더욱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록 바디(1)는, 볼트(3)와, 그 볼트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볼트(3)와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종동부(6)와, 드라이버(5)를 포함한다. 상기 드라이버는 그 드라이버를 종동부 쪽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전달하기 위하여 종동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록 바디(1)는, 그 록 바디의 잠금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전력 공급원으로서 작용하는 전기 모터(9)를 구비한다. 상기 종동부(6)는 힘 전달면(force transmission surface)(19B)을 가진다.
상기 록 바디(1)는, 또한 제 1 메이팅면(first mating surface)(19A) 및 제 2 메이팅면(second mating surface)(18A)을 가진 회전가능한 래치 플레이트(8), 및전기 모터(9)와 기능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래치 플레이트(8)와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힘 전달/제어 수단(11,12)를 포함한다. 상기 래치 플레이트(8)의 제 1 메이팅면(19A)는 상기 힘 전달면(19B)에 기대어 접촉하도록 배열될 수 있고, 이는 전기 모터로 힘 전달/제어 수단(11,12)를 통해서 종동부(6)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 2 메이팅면(18A)은 드라이버(5)에 기대어 연결 위치에 배열될 수 있고, 이는 드라이버를 회전시키는 힘으로 종동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록 바디의 볼트(3)는 전기 모터에 의해 외부 위치 또는 내부 위치로 조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3)는, 래치 플레이트(8)가 전기 모터를 사용하여 연결 위치, 즉 드라이버와 종동부 사이에 힘 전달 연결을 형성할 수 있는 드라이버 제어 위치로 조종될 때,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외부 위치 또는 내부 위치로 조종될 수 있다. 전기 모터 제어하에서, 록 바디는 정상 사용을 위해 적합하다. 드라이버 제어하에서, 록 바디는 문이 록 바디에 있는 핸들을 사용하여 개방될 수 있는 비상 탈출 용도로 적합하다.
별도의 비상 탈출 손잡이는 필요하지 않다. 어세스 컨트롤은 정상 사용 및 비상 탈출 사용 모두에서 작동될 수 있다.
정전을 대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록 바디(1)는 예비 전력 공급원(62)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경우에, 록 바디(1)는 작동 유닛(64) 및 전기 모터를 위한 정상 전력 공급원을 이용할 수 없을 때 제 2 메이팅면(18A)을 드라이버(5)에 기대어 연결 위치 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기 모터(9)용 예비 전력 공급원(62)을 포함한다.
도 1은 모터 제어하에 볼트(외부) 및 종동부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록 바디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모터 제어하에 볼트(내부) 및 종동부를 구비한, 도 1의 록 바디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드라이브 제어하에 볼트(외부) 및 종동부를 구비한, 도 1의 록 바디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드라이브 제어하에 볼트(내부) 및 종동부를 구비한, 도 1의 록 바디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연속적인 드라이버 제어하에 볼트(내부) 및 종동부를 구비한, 도 1의 록 바디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록 바디의 예비 전력 공급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록 바디(1)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볼트(3)는 외부에 돌출되어 있다. 즉 상기 볼트의 말단은 상기 록 바디의 프론트 플레이트(2)와 관련하여 장벽 돌출부를 형성한다.
프론트 플레이트와의 관계에서 볼트의 돌출길이는 예를 들어 14 또는 20㎜이다. 종동부(6)은 도 1에 도시한 상태에서 모터 제어하에 있다.
볼트에 더하여, 록 바디(1)는 볼트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그 볼트(3)와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종동부(6), 및 드라이버(5)를 포함한다. 상기 드라이버는 그 드라이버를 종동부 쪽으로 회전하는 힘을 전달하기 위하여 종동부에 연결될 수 있다. 종동부의 양측에 별개의 드라이버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며, 그 중 하나의 드라이버는 종동부에 강한 전달 연결을 가지는데 비해, 다른 드라이버는 종동부에 접속할 수 있는 힘 전달 연결을 가진다. 이런 경우에, 정형의 스핀들(spindle) 대신에 분할된 스핀들이 사용된다.
통상의 설치 형상에서, 드라이버는 스핀들에 연결되고, 또한 핸들이나 다른 회전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들을 회전시키는 것은 드라이버가 회전하도록 유도할 것이고, 또한 종동부가 드라이버와 힘 전달 연결을 가지도록 연결되어 있다면 종동부 역시 회전할 것이다. 스핀들은 드라이버의 중심 개구(4)에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록 바디는 록 바디의 잠금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전력 공급원으로서 작동하는 전기 모터(9)를 포함한다. 종동부(6)는 또한 힘 전달면(19B, 19C)을 가진다.
본 발명의 록 바디는 또한 제 1 메이팅면(19A) 및 제 2 메이팅면(18A)을 가진 회전가능한 래치 플레이트(8), 및 전기 모터에 기능적으로 연결되고 래치 플레이트(8)에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힘 전달/제어 수단(11,12)를 포함한다.
상기 래치 플레이트(8)의 제 1 레이팅면(19A)은 힘 전달면(19B, 19C)에 기대어 접촉하도록 배열될 수 있고, 이는 전기 모터로 힘 전달/제어 수단(11,12)을 통해서 종동부(6)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 2 레이팅면(18A)는 드라이버(5)에 기대어 연결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이는 드라이버를 회전시키는 힘으로 종동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볼트(3)에 대한 종동부(6)의 기능적인 연결은, 예를 들어 힘 전달 레버(7)를 사용하여 실행된다. 이런 경우에, 상기 종동부는 힘 전달 레버와 힘 전달 연결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접촉면(22)을 가진다. 도 1에서, 힘 전달 레버(7)는 피봇축(24)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배열된다. 스프링(23)은 통상적으로 피봇축에 연결되어 배열된다.
도 1에서, 래치 플레이트와 전기 모터(9) 사이의 기능적인 연결은 래치 플레이트의 제어면(20)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면은 힘 전달/제어 수단(11,12)에 기대어 접촉하도록 배열될 수 있고, 전기 모터와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힘 전달/제어 수단은, 접촉 휠(12)이 래치 플레이트의 제어면(20)에 기대어 접촉을 형성하도록 연결되는 기어휠(11)을 포함한다. 실시 형태에서, 기어휠(11)의 외부 가장자리에는 톱니바퀴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의 실시 형태에서 전기 모터(9)는 웜 스크류(10)를 포함하고, 상기 웜 스크류 의 나사산은 기어휠(11)의 톱니바퀴에 맞게 배열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래치 플레이트(8)는 래치 플레이트의 피봇축을 형성하는 힌지장치(13)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장치는, 록 바디(1) 또는 종동부(6)의 구멍에 적합할 수 있는 래치 플레이트 상의 핀일 수 있으며, 역으로, 구멍이 래치 플레이트에 있고 핀이 록 바디 또는 종동부에 있을 수 있다. 래치 플레이트(8)가 록 바디에 직접적으로 힌지 연결될 수 있다 하더라도, 그 래치 플레이트는 도 1-5에 도시한 것처럼 종동부 상에 피봇 방식으로 힌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봇축과의 관계에서 래치 플레이트의 회전은 신뢰성 있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뢰성 있는 배열의 한 가지 방법은, 상기 록 바디가 래치 플레이트의 제어면(20)을 힘 전달/제어 수단(11,12) 쪽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스프링 장치(14A)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프링 장치(14A)는 래치 플레이트의 제 2 메이팅면(18A)을 드라이버 쪽으로 회전시키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래치 플레이트가 종동부에 힌지 연결될 때, 도 1-5에 도시한 것처럼, 동일한 스프링 장치(14A)는 또한 종동부(6)를 록 바디의 프론트 플레이트(2) 쪽으로 회전시키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면(21)이 록 바디에 부착되고, 종동부가 이것에 기대어 있는 것을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지지면(21)의 사용은 스프링 장치에 의해 힘 전달/제어 수단(11,12)에 부과되는 하중을 경감한다.
도 1-5의 실시 형태에서, 상기 스프링 장치(14A)는, 록 바디에 부착된 제 1 지지점(15), 종동부에 부착된 제 2 지지점(16), 래치 플레이트에 부착된 제 3 지지점(17), 및 상기 지지점들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14)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 장치는 물론 다른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점(15)은, 예를 들어 종동부에 부착될 수 있고, 이런 경우 스프링 장치는 종동부를 회전시키지 않는다. 종동부가 회전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다른 스프링 장치가 필요하다. 도 1-5에서, 스프링(14)과, 다른 부분으로 덮힌 종동부(6)의 형태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래치 플레이트는 서로 다른 많은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도면에서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 래치 플레이트(8)는 상기 제어면(20)을 가진 제 1 캠부 및 상기 제 2 메이팅면(18A)을 가진 제 2 캠부를 포함한다. 제 1 메이팅면(19A), 제 2 메이팅면(18A) 및 제어면(20)은 래치 플레이트(8)의 피봇축과 관련하여 서로 다른 섹터에 위치한다. 만약 래치 플레이트가 록 바디에 직접적으로 힌지 연결된다면, 플레이트의 형태는 달라진다.
도면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에서 언급한 종동부의 힘 전달면은, 종동부에 연결된 스크류의 말단면(19B) 또는 종동부에서의 돌출부의 면(19C)이다. 상기 돌출부는 예를 들어 핀일 수 있다. 즉, 다시 말하면 힘 전달면은 두 대안 사이에서 선택될 수 있게 배열되었다. 그 선택은 볼트로 20㎜ 돌출부 또는 14㎜ 돌출부 중 어느 것이 사용되는가에 의존한다. 스크류가 힘 전달면(19B)을 형성할 때, 돌출부는 20㎜이다. 돌출부가 힘 전달면(19C)를 형성할 때, 돌출부는 14㎜이다. 따라서, 도 1-5에서, 볼트는 프론트 플레이트(2)로부터 20㎜ 돌출한다.
만약 록 바디가 특정 길이의 볼트만을 위해 의도된다면, 힘 전달면은 종동부에서 돌출부, 종동부에서 스크류 또는 다른 적절한 면에 의해 단독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면의 배열은 래치 플레이트의 실행에 의존한다.
도 1에서, 볼트를 제어하는 종동부(6)는 힘 전달 수단(11,12) 및 래치 플레이트(8)를 통해서 전기 모터 제어하에 있다. 전기 모터가 조종되어 볼트(3)가 종동부(6)를 이용하여 락 바디 내로 당겨질 때, 그 결과를 도 2에 도시한다. 전기 모터는 기어휠(11)을 회전시키고 그 결과 접촉휠(12)은 종동부 쪽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래치 플레이트를 밀며, 차례로 록 바디의 뒷부분 쪽으로 회전하도록 종동부를 밀었다. 뒷부분 쪽으로 회전한 종동부는 전달 플레이트(7)를 회전시키고, 이는 볼트(3)를 록 바디 내로 당겼다.
도 1 및 도 2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동부의 적절한 형상은 전기 모터로부터 종동부에 지체없이 힘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지체없는 작동은, 볼트가 모터 제어하에 외부에 있을 때, 래치 플레이트의 제어면이 힘 전달/제어 수단(11,12)에 기대어 있고, 제1 메이팅면(19A)이 종동부의 힘 전달면(19B)에 기대어 있을 때 달성될 것이다.
따라서 볼트(3)가 외부에 있을 때, 래치 플레이트의 제어면(20)은 전기 모터(9)의 제어에 의해 정해진 래치 플레이트(8)의 위치에서 힘 전달/제어 수단(11,12)에 기대도록 배열된다고 진술할 수 있다. 또한, 종동부의 힘 전달면(19B)은 래치 플레이트가 힘 전달/제어 수단(11,12)에 기대어 있을 때, 래치 플레이트(8)의 제 1 메이팅면(19A)에 기대어 배열될 수 있다.
도 3에서, 전기 모터는 볼트(3)가 외부에 있고 종동부가 드라이버 제어하에 있도록 조종되었다. 전기 모터는 기어휠(11)을 회전시켰고, 그 결과 접촉 휠(12)은 도 1 및 2와 비교하여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였고, 동시에 래치 플레이트가 그 피봇축과 관련하여 회전하게 하였다. 래치 플레이트의 회전은 스프링 장치를 사용하여 보장되었다. 회전한 래치 플레이트의 제 2 메이팅면(18A)은 드라이버의 제어면(18B)에 기대어 연결 위치에 있다. 드라이버에 연결된 핸들(또는 스핀들에 연결된 다른 회전 부재)이 회전할 때, 드라이버의 메이팅면(18B)은 래치 플레이트의 제 2 메이팅면(18A) 쪽으로 힘 전달 연결을 형성한다. 이런 경우에, 그 핸들은 또한 래치 플레이트 및 래치 플레이트에 연결된 종동부를 회전시킨다. 도 3 및 4에서, 래치 플레이트는 힌지 장치(13)를 통해서 종동부와 연결될 수 있고, 도 4에서, 볼트는 드라이버 제어하에 당겨진다. 다른 형태의 힌지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드라이버 구동하에 래치 플레이트와 종동부 사이의 연결은 다른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종동부의 힘 전달면(19B,19C)은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서, 종동부는 연속적인 드라이버 제어하에 있다. 연속적인 드라이버 제어는 종동부(6)에 부착된 스크류(25)를 통해서 달성된다. 상기 드라이버(5)는 그것이 회전할 때 스크류(25)에 대항하여 위치한 돌출부를 가진다. 도 5에서, 볼트는 연속적인 드라이버 제어하에 당겨진다.
전기 모터 록은 전기 모터 구동/전력 공급 유닛(610)을 가진다. 그 구동/전력 공급 유닛의 임무는 전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전력 공급원은 록 바디 외부의 전기 그리드이다. 정전시에 비상 탈출 작동으로 록 바디를 풀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록 바디는 드라이버 제어하에 있어야만 한다. 그러나, 자물쇠가 모터 제어하에 있는 동안에 자물쇠에 정상 전력 공급은 중단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대비하여 예비 전력 공급원이 있어야만 한다. 예비 전력 공급원은 록 바디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록 바디 내부에 위치하는 예비 전력 공급원을 위한 배열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동시에 구동/전력 공급 유닛(610)의 더 자세한 설명을 나타낸다. 그 배열은 작동 유닛(64) 및 전기 모터를 위한 정상 전력 공급을 이용할 수 없을 때 드라이버(5)에 대항하여 연결 위치에 래치 플레이트의 제 2 메이팅면(18A)을 조종하기 위한 전기 모터(9)용 예비 전력 공급원(62)을 포함한다. 이런 경우에, 록 바디의 잠금 상태는 드라이버(5)를 사용하여 제어될 수 있다.
그 배열은 일반적으로 외부 전기 전압을 록 바디를 작동하기에 적절하도록 변형하기 위한 DC 변압기(61)를 가진다. 제어 유닛(63)은 모터(9)와의 관계에서 전류 스위칭 작동을 실행한다. 작동 유닛(64)은 외부 신호(센서, 푸시 버튼, 중앙 통제 및 다른 이러한 신호)에 반응하여 제어 유닛(63)을 구동한다. 따라서 작동 유닛(64)은 전기 모터(9)를 제어하기 위해 록 바디의 외부에 접속을 포함한다.
예비 전력 공급원(62)은 바람직하게는 정상 작동 상태시에 정상 전력 공급원을 사용하여 충전될 수 있고, 정상 전력 공급원을 사용할 수 없을 때 작동 유닛(64)의 제어하에 방전될 수 있는 캐패시터(65)를 포함한다. 도 6의 일 실시형태에서, DC 변압기는 정상 작동 상태 동안 제어 유닛(63)용 전력 공급원으로서 역할을 한다. 정상 작동 동안, DC 변압기는 또한 캐피시터(65)를 위한 전류 충전의 공급원으로서 역할을 한다. 충전 전류는 제 1 다이오드(66) 및 레지스터(67)를 거쳐 캐패시터(65)로 흐른다. 작동 유닛(64)은 DC 변압기가 정상 전력 공급원으로서 역할을 하는지 여부를 모니터한다. 정전시에, DC 변압기는 더 이상 전력 공급원으로서 역할을 하지 않고, 작동 유닛은 이것을 탐지한다. 이런 경우에, 작동 유닛은 제어 유닛을 구동시켜 캐패시터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가 제 2 다이오드(68) 및 제어 유닛을 거쳐 전기 모터로 방전되게 하고, 모터 제어를 드라이버 제어로 바꾼다. 캐패시터의 에너지는 자물쇠가 드라이버 제어로 변형되기 전에 방전되지 않아야 한다. 캐패시터는 바람직하게는 소위 슈퍼 캐패시터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록 바디에서, 볼트는 내부 위치, 즉 록 바디 내부, 또는 외부 위치에 존재하고, 장벽 돌출부를 형성한다. 그 볼트는 외부 위치에 있는 동안 데드볼트(deadbolt)가 되도록 배열된다. 즉 볼트는 그것을 누름으로써 록 바디 내로 이동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록 바디는 볼트가 외부에 있고 도어가 현관의 프레임에 기대어 있을 때 데드볼트가 된다. 정전 동안, 록 바디는 드라이버 제어로 변경되고 자물쇠는 핸들을 사용하여 열릴 수 있다. 도어가 닫힐 때, 볼트는 데드볼트된(deadbolted) 위치로 바로 되돌아 가는 것이 아니며, 이는 도어가 현관의 가장자리를 막는 것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보조 볼트의 사용은, 도어가 현관의 프레임에 대항하여 위치할 때, 메인 볼트가 데드볼트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보조 볼트의 사용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 자물쇠는 방화문을 위한 규정을 충족시키고, 이에 따라 도어는 닫힐 때 현관의 프레임에 대항하여 잠기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록 바디는 별도의 비상 탈출 손잡이 및 돔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상기 록 바디는 비상 상황에서도 보통의 핸들을 사용하여 열릴 수 있다. 이는 돔의 파괴 및 잘못된 경고음의 발생을 해소할 것이다.
상기 록 바디는 또한 도어 자동화(도어의 자동 개폐)에 사용하기도 적절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록 바디를 구비한 도어는 도어 자동화와 연계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할 것이고 동시에 방화문으로서 역할을 할 것이다. 상기 록 바디는 또한 어세스 컨트롤과 연계하여 사용하기에 적절할 것이다. 정상 작동에 더하여, 어세스 컨트롤은 또한 비상 상황에 작동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록 바디를 구비한 도어를 통해서 자유롭게 탈출가능하고 대신 유효환 접근권 없이 출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정상 작동에 관해서, 본 발명에 따른 록 바디는 또한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한다. 록 바디의 볼트가 정상 작동시에 전기 모터로 완전히 조종될 수 있으므로, 핸들을 회전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전기 모터 제어 후에(예를 들어, 어세스 컨트롤 시스템, 푸시 버튼 컨트롤), 그 도어는 단순한 누름 또는 당김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실시 형태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록 바디는 또한 다른 수단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 범위에 포함되는 어떠한 실시 형태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18)

  1. 볼트(3)와, 그 볼트(3)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볼트(3)와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종동부(6)와, 자신을 종동부(6) 쪽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전달하기 위하여 종동부에 연결될 수 있는 드라이버(5)와, 잠금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전력 공급원으로서 작용하는 전기 모터(9)를 포함하는 록 바디(lock body)(1)에 있어서,
    상기 종동부(6)는 힘 전달면(force transmission surface)(19B)을 포함하고,
    상기 록 바디는 회전가능한 래치 플레이트(8) 및 힘 전달/제어 수단(11,12)를 더 포함하며, 상기 래치 플레이트(8)는 제 1 메이팅면(first mating surface)(19A) 및 제 2 메이팅면(second mating surface)(18A)을 가지고, 상기 힘 전달/제어 수단(11,12)은 전기 모터(9)와 기능적으로 연결되고 래치 플레이트(8)와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래치 플레이트(8)의 제 1 메이팅면(19A)은 상기 힘 전달면(19B)에 기대어 접촉하도록 배열될 수 있고, 이는 전기 모터로 힘 전달/제어 수단(11,12)를 통해서 종동부(6)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며, 상기 제 2 메이팅면(18A)은 드라이버(5)에 기대어 연결 위치에 배열될 수 있고, 이는 드라이버를 회전시키는 힘으로 종동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바디(1).
  2. 제 1 항에 있어서, 작동 유닛(64) 및 전기 모터를 위한 정상 전력 공급원을 이용할 수 없을 때 제 2 메이팅면(18A)을 드라이버(5)에 기대어 연결 위치 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기 모터(9)용 예비 전력 공급원(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바디(1).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전력 공급원(62)은 정상 작동 상태시에 정상 전력 공급원을 사용하여 충전될 수 있고, 정상 전력 공급원을 사용할 수 없을 때 작동 유닛(64)의 제어하에 방전될 수 있는 캐패시터(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바디(1).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플레이트(8)는 힘 전달/제어 수단(11,12)에 기대어 접촉하도록 배열될 수 있는 제어면(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바디(1).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플레이트(8)는 그 래치 플레이트의 피봇축을 형성하는 힌지 장치(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바디(1).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플레이트(8)는 힌지 장치(13)를 사용하여 종동부(6) 상에 피봇 방식으로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바디(1).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플레이트의 제어면(20)을 힘 전 달/제어 수단(11,12) 쪽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스프링 장치(14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바디(1).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장치(14A)는 또한 래치 플레이트의 제 2 메이팅면(18A)을 드라이버(5) 쪽으로 회전시키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바디(1).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장치(14A)는 또한 종동부(6)를 록 바디의 프론트 플레이트(2) 쪽으로 회전시키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바디(1).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3)가 외부에 있을 때, 래치 플레이트의 제어면(20)은 전기 모터(9)의 제어에 의해 정해진 래치 플레이트(8)의 위치에서 힘 전달/제어 수단(11,12)에 기대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바디(1).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부의 힘 전달면(19B)은 래치 플레이트가 힘 전달/제어 수단(11,12)에 기대어 있을 때, 래치 플레이트(8)의 제 1 메이팅면(19A)에 기대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바디(1).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플레이트(8)는 상기 제어면(20)을 가진 제 1 캠부 및 상기 제 2 메이팅면(18A)을 가진 제 2 캠부를 포함하고, 제 1 메이팅 면(19A), 제 2 메이팅면(18A) 및 제어면(20)은 래치 플레이트(8)의 피봇축과 관련하여 서로 다른 섹터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바디(1).
  13. 제 7 항 내지 제 12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장치(14A)는 록 바디에 부착된 제 1 지지점(15), 종동부에 부착된 제 2 지지점(16), 래치 플레이트에 부착된 제 3 지지점(17), 및 상기 지지점들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바디(1).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힘 전달/제어 수단(11,12)은 접촉 휠(12)이 래치 플레이트의 제어면(20)에 기대어 접촉을 형성하도록 연결되는 기어휠(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바디(1).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휠(11)의 외부 가장자리에는 톱니바퀴가 형성되어 있고, 전기 모터(9)는 웜 스크류(10)를 포함하며, 상기 웜 스크류의 나사산은 기어휠(11)의 톱니바퀴에 맞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바디(1).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부의 힘 전달면은 종동부에 연결된 스크류의 말단면(19B) 또는 종동부에서의 돌출부의 면(19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바디(1).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부에 연결된 스크류(25)를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버(5)가 그 스크류(25)에 대항하여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바디(1).
  18. 제 2 항 내지 제 1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유닛(64)은 전기 모터(9)를 제어하기 위해 록 바디의 외부에 접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바디(1).
KR1020087029204A 2006-05-02 2007-04-23 록 바디 KR200900084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65281A FI120109B (fi) 2006-05-02 2006-05-02 Lukkorunko
FI20065281 2006-05-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429A true KR20090008429A (ko) 2009-01-21

Family

ID=36539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9204A KR20090008429A (ko) 2006-05-02 2007-04-23 록 바디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20090178449A1 (ko)
EP (1) EP2016243B1 (ko)
JP (1) JP2009535542A (ko)
KR (1) KR20090008429A (ko)
CN (1) CN101432496B (ko)
AR (1) AR060741A1 (ko)
AT (1) ATE445754T1 (ko)
AU (1) AU2007245589A1 (ko)
BR (1) BRPI0709407A2 (ko)
CA (1) CA2644470A1 (ko)
CL (1) CL2007001247A1 (ko)
DE (1) DE602007002808D1 (ko)
DK (1) DK2016243T3 (ko)
FI (1) FI120109B (ko)
IL (1) IL193546A0 (ko)
MX (1) MX2008014016A (ko)
NO (1) NO339975B1 (ko)
RU (1) RU2409732C2 (ko)
TW (1) TW200745429A (ko)
WO (1) WO2007125163A1 (ko)
ZA (1) ZA2008084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R200801927A2 (tr) * 2008-03-24 2009-01-21 Vemus Endüstri̇y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Li̇mi̇ted Şi̇rketi̇ Mikro motorlu kilitleme dili sistemi.
JP5086219B2 (ja) * 2008-09-30 2012-11-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トランク施錠装置
JP5407561B2 (ja) * 2009-06-03 2014-02-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非常ドア監視装置及び非常ドア監視システム
CN101696608B (zh) * 2009-10-17 2012-05-30 烟台三环科技有限公司 一种偏心连杆机构
CN101705769B (zh) * 2009-11-23 2012-02-15 烟台三环科技有限公司 一种锁具
US8671724B2 (en) * 2010-04-19 2014-03-18 Adams Rite Manufacturing Co. Multiple access door lock mechanism
EP2683893A4 (en) * 2011-03-11 2016-03-30 Gainsborough Hardware Ind Ltd LOCK ASSEMBLY
US9512654B2 (en) * 2011-05-16 2016-12-06 Fire & Security Hardware Pty Ltd Locking device
TWI467081B (zh) * 2011-12-09 2015-01-01 Sargent Mfg Co 將電子門鎖自防火門分離的致動型釋放機構
CN102936981B (zh) * 2012-04-17 2015-04-15 大连鼎信机电技术有限公司 机械式应急快速开启装置
EP3561202A1 (en) 2012-12-19 2019-10-30 Lock II, L.L.C. Device and methods for preventing unwanted access to a locked enclosure
ITBO20130071A1 (it) * 2013-02-19 2014-08-20 Alberici S P A Dispositivo di chiusura elettromeccanico
DE102013112380A1 (de) * 2013-11-11 2015-05-13 Dorma Deutschland Gmbh Gangreserve für ein motorbetriebenes Schloss
US9435142B2 (en) 2014-02-28 2016-09-06 Schlage Lock Company Llc Method of operating an access control system
US10227143B2 (en) * 2014-06-12 2019-03-12 The Boeing Company Lock actuation system for aircraft
DE102014215177A1 (de) * 2014-08-01 2016-02-04 Aug. Winkhaus Gmbh & Co. Kg Treibstangenschloss
DE102014011780A1 (de) * 2014-08-12 2016-02-18 Buchele Gmbh Türanordnung
US20160097220A1 (en) * 2014-10-01 2016-04-07 Yiqi Wu Woodling Cabinet Locking Device Using an Electromagnetic Switch Actuated System with Fingerprint Identification, Combination Code and Bluetooth System
US20170226775A1 (en) * 2014-10-17 2017-08-10 Euchner Gmbh + Co. Kg Device for Locking or Releasing a Safety-Relevant, Movable Component in a Controlled Manner
DE102015200117B9 (de) * 2015-01-08 2018-10-25 Geze Gmbh Motorschloss
FI126771B (fi) * 2015-04-21 2017-05-15 Abloy Oy Lukkorunko
FI128706B (fi) * 2015-09-18 2020-10-30 Abloy Oy Lukkorunko
RU2598246C1 (ru) * 2015-09-21 2016-09-20 Михаил Юрьевич Рылеев Замок
RU2598277C1 (ru) * 2015-09-21 2016-09-20 Михаил Юрьевич Рылеев Замок
KR101897186B1 (ko) * 2015-12-28 2018-09-12 주식회사 우보테크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101860841B1 (ko) * 2015-12-28 2018-05-28 주식회사 우보테크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US10253527B2 (en) 2016-06-10 2019-04-09 Steelcase Inc. Smart locker
US11377875B2 (en) * 2016-09-19 2022-07-05 Level Home, Inc. Deadbolt position sensing
RU171084U1 (ru) * 2016-12-26 2017-05-19 Михаил Юрьевич Рылеев Запир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US11162279B1 (en) * 2017-01-04 2021-11-02 Andersen Corporation Driven lock systems, fenestration units and methods
FI128211B (fi) * 2017-05-23 2019-12-31 Abloy Oy Sähkölukkojärjestely
FR3069666B1 (fr) * 2017-07-27 2021-11-05 Bernard Controls Systeme de came comportant au moins un module mobile de commande d'un dispositif actionnaire
TWI694203B (zh) * 2019-03-07 2020-05-21 廖奕帆 電子鎖扣
CZ308671B6 (cs) * 2019-11-20 2021-02-03 Brano A.S. Ovládací mechanismus víčka karoserie automobilu
EP4172436A1 (en) * 2020-06-24 2023-05-03 Autida AB Blocking and autoclosing arrangement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42706A (en) * 1963-11-27 1966-03-29 Yale & Towne Inc Lock with deadlocking latchbolt
US3750433A (en) * 1972-02-07 1973-08-07 Norris Industries Mortise lock retract mechanism
US4237711A (en) * 1978-02-10 1980-12-09 Brink's Locking Systems, Inc. Lock mechanism
JPS61500675A (ja) * 1983-10-19 1986-04-10 ザ エフコ マニユフアクチユアリング カンパニイ ピ−テイ−ワイ リミテツド ラッチ錠機構
US4589691A (en) * 1984-05-04 1986-05-20 Best Lock Corporation Lever handle mortise lock
US4950005A (en) * 1988-10-06 1990-08-21 Yale Security Inc. Lock deadbolt protector
DE3835349A1 (de) * 1988-10-17 1990-04-19 Winkhaus Fa August Schloss
FI83802C (fi) * 1988-11-25 1991-08-26 Abloy Security Ltd Oy Elektromekaniskt doerrlaos.
FI87681C (fi) * 1990-10-24 1993-02-10 Abloy Security Ltd Oy Elektromekaniskt doerrlaos
JPH06229155A (ja) * 1992-01-13 1994-08-16 C & M Technology Inc セキュリティロック機構
US5813255A (en) * 1996-09-25 1998-09-29 Pdq Industries, Inc. Lock mechanism with closed case changeovers
DE19701761C1 (de) * 1997-01-20 1998-04-16 Fuss Fritz Gmbh & Co Selbstverriegelndes Schloß
US6022056A (en) * 1998-01-09 2000-02-08 Securitron Magnalock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door latch actuator
US6112563A (en) * 1998-10-02 2000-09-05 Ramos; Israel Remote control locking device
US5987818A (en) * 1998-10-21 1999-11-23 Dabideen; Pooran Remotely controlled door locking and opening system
TW439835U (en) * 2000-10-23 2001-06-07 Tong Lung Metal Ind Co Ltd Driving structure for electronic lock
WO2002057575A1 (de) * 2001-01-22 2002-07-25 Richard Wendl Elektronisch steuerbare schliessvorrichtung
FI20010139A (fi) * 2001-01-24 2002-07-25 Abloy Oy Asennusjärjestely solenoidilla ohjattua painiketoimintoa varten ovenlukossa
US6619705B2 (en) * 2002-01-04 2003-09-16 Schlage Lock Company Mortise lockset with internal clutch
US6584817B1 (en) * 2002-08-14 2003-07-01 Wfe Technology Corp. Electronic anti-theft lock
CN2599162Y (zh) * 2002-12-18 2004-01-14 徐锐炳 遥控电子门锁
AU2003902925A0 (en) * 2003-06-12 2003-06-26 Trimec Technology Pty. Ltd. An improved lock for bi directional doors
FI115479B (fi) * 2003-10-30 2005-05-13 Abloy Oy Ohjattavalla painiketoiminnolla varustettu ovenlukko
US6983962B2 (en) * 2003-12-10 2006-01-10 Inovec Pty Ltd. Deadlock arrangement for locks
US7303215B2 (en) * 2004-10-25 2007-12-04 Computerized Security Systems Mortise locking device
US7445254B2 (en) * 2005-04-29 2008-11-04 Truth Hardware Corporation Dual dead bolt la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7002808D1 (de) 2009-11-26
ZA200808484B (en) 2009-11-25
NO339975B1 (no) 2017-02-27
AU2007245589A1 (en) 2007-11-08
CA2644470A1 (en) 2007-11-08
WO2007125163A1 (en) 2007-11-08
RU2409732C2 (ru) 2011-01-20
FI20065281A0 (fi) 2006-05-02
IL193546A0 (en) 2009-02-11
FI120109B (fi) 2009-06-30
ATE445754T1 (de) 2009-10-15
CL2007001247A1 (es) 2008-02-08
US20090178449A1 (en) 2009-07-16
AR060741A1 (es) 2008-07-10
CN101432496A (zh) 2009-05-13
EP2016243A1 (en) 2009-01-21
FI20065281A (fi) 2007-11-03
TW200745429A (en) 2007-12-16
RU2008147400A (ru) 2010-06-10
EP2016243B1 (en) 2009-10-14
MX2008014016A (es) 2008-11-14
JP2009535542A (ja) 2009-10-01
CN101432496B (zh) 2011-12-21
DK2016243T3 (da) 2010-01-04
BRPI0709407A2 (pt) 2011-07-12
NO20085008L (no) 2009-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8429A (ko) 록 바디
AU2011279531B2 (en) A lock assembly
US6099048A (en) Automotive door latching system
US6648379B1 (en) Motor vehicle door lock or the like
US6045168A (en) Door latch with improved double lock
US6098432A (en) Closure for doors, bonnets, tailgates or the like, in particular of vehicles, such as motor vehicles
RU2633237C2 (ru) Дверной замок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2002147089A (ja) スライドドアのロックコントローラ
WO2006070062A1 (en) Lock
EP1747335A1 (en) Divided spindle
AU2017101371A4 (en) Cathode lock with preload release function
KR100256175B1 (ko) 자동차 전동식 도어래치
CN109025489B (zh) 用于锁的按钮链轮装置
EP2306480B1 (en) A switching device
CN101281836A (zh) 断路器的分闸锁定安全装置
JPH10302580A (ja) 安全スイッチ
JP5067686B2 (ja) 電動錠前システム
JP3664451B2 (ja) 電気錠
JP4840016B2 (ja) クラッチ機構
JP3904618B2 (ja) 鍵スイッチ
EP1167665B1 (en) Key-operated lock assembly for emergency actuation of the button of a handle for doors of trucks, trailers or the like
JPS6251350B2 (ko)
AU2014200216B2 (en) A lock assembly
NO323115B1 (no) Dorlas
JP2004132128A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