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080A - 방현성 코팅 조성물, 방현 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방현성 코팅 조성물, 방현 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080A
KR20090008080A KR1020070071390A KR20070071390A KR20090008080A KR 20090008080 A KR20090008080 A KR 20090008080A KR 1020070071390 A KR1020070071390 A KR 1020070071390A KR 20070071390 A KR20070071390 A KR 20070071390A KR 20090008080 A KR20090008080 A KR 20090008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re
film
coating composition
urea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1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금동기
임거산
김옥형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1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8080A/ko
Publication of KR20090008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08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2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4Electrically-conduct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광성 수지 내에 우레아계 레진 입자를 분산시킨 방현성 코팅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투명기재필름에 도포하여 형성된 방현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현성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 방현층을 구비한 방현 필름은 각종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확산시킴으로써 눈부심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면서 고경도, 내마모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방현성 코팅 조성물, 방현 필름, 우레아계 레진 입자

Description

방현성 코팅 조성물, 방현 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Anti-Glare Coating Composition, Anti-Glar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방현성 코팅 조성물 및 방현 필름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배치되어 이들 디스플레이 외부로 진입하는 광을 확산시킴으로써 눈부심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면서 고경도, 내마모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방현성 코팅 조성물, 코팅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현 필름은 표면 돌출부에 의한 광산란성을 이용하여 광 반사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가지며 각종 디스플레이 패널,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스마 디스플레이(PDP), 브라운관(CRT), 전자발광 디스플레이(EL) 등의 표면에 배치되어 외부광의 반사로 인한 콘트라스트의 감소를 방지하거나 이미지 반사에 의한 디스플레이의 시인성 저하를 방지하는 등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방현 필름은 투명기재필름의 표면에 실리카 또는 수지 비드와 같은 충전재를 함유하는 수지를 적용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적용되는 수지에 따라 실리카 등의 응집에 의해 방현층의 표면에 표면 요철이 형성된 것과, 적용되는 수지 필름의 두께보다 입자 직경이 큰 유기 충전재를 첨가함으로써 표면 요철이 형성된 것 등이 있다.
이러한 실리카 또는 수지 비드 등의 미립자를 함유하는 방현 필름은 입경이 큰 수지 비드(5㎛ 초과)를 사용하는 경우에 필름 표면에 백화 현상과 반짝반짝 빛나는 신틸레이션이 발생하여 화상 정보의 시각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입경이 작은 수지 비드(4㎛ 미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신틸레이션을 방지할 수는 있지만 필름 표면에 백화 현상이 생겨 해상도, 콘트라스트 및 투명성 등의 광학적 특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입자들의 응집이나 침전으로 인한 코팅의 불균일성으로 인해 제품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방현성이 우수하면서 투과선명도가 향상되고 기라츠키(화면번쩍임)가 방지되도록 제조된 방현성 코팅 조성물, 방현 필름, 편광판 및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투광성 수지 내에 우레아계 레진 입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우레아계 레진 입자는 우레아와 포름알데하이드의 공중합체로서 분자량이 5,000~500,000인 우레아 레진으로부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우레아계 레진 입자는 평균 입경이 1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우레아계 레진 입자는 상기 방현성 코팅 조성물의 100 중량 대비 0.5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전도성 미립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투명 기재 필름 및 방현층을 포함하는 방현 필름으로서, 상기 방현층은 전술한 방현성 코팅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굴절율 1.25 내지 1.45 범위의 저굴절층을 더 포함하는 방현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방현 필름을 구비한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방현 필름을 구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현성 코팅 조성물은 투광성 수지, 광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투광성 수지는 우레아계 레진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상기 방현성 코팅 조성물의 총 100 중량에 대하여 상기 투광성 수지는 10~90 중량%, 상기 우레아계 레진 입자는 0.5~20 중량%, 상기 광개시제는 0.1~10 중량%, 상기 용제는 0.1 내지 60 중량%로 각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광성 수지로는 다관능(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릭에스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덱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퍼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투광성 수지는 상기 다관능(메타)아크릴레이트를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광성 수지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기 방현성 코팅 조성물의 100 중량 대비 10~90 중량%로 함 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와 함께 실리카 표면의 히드록시기에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다관능 실란 화합물을 화학적으로 결합시켜 제조된 유-무기 하이브리드 실리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의 사용량은 제한되지 않으나 방현 코팅 조성액 100중량 당 5~50중량%이다. 이런 형태의 유-무기 하이브리드 실리카를 첨가할 경우 경화에 의한 수축을 저감시켜 코팅 필름의 컬을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투광성 수지에 포함되는 우레아계 레진 입자는 우레아와 포름알데하이드의 공중합체인 우레아 레진을 분쇄하여 형성된다. 상기 우레아계 레진은 우레아-포름알데하이드 또는 우레아 포름알데하이드 수지라고도 하며, 분자량이 5,000 내지 500,000의 범위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아계 레진의 분자량이 5,000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입자가 용제에 용해되어 안정성이 떨어지며, 분자량이 500,000 이상인 경우에는 원하는 크기의 입자로 분쇄하기가 어려워진다. 상기 우레아계 레진 입자는 분쇄 정도에 따라 입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방현성 및 헤이즈의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기 우레아계 레진 입자는 상기 방현성 코팅 조성물의 100 중량 대비 0.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평균 입경이 1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아계 레진 입자의 평균 입경이 1㎛ 이하인 경우에는 투광성 수지층에 표면 요철을 형성하기가 어려워 방현성이 발휘되지 않으며, 10㎛ 이상인 경우에는 방현층의 표면이 거칠어지는 동시에 헤이즈 값이 크게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입자의 함량이 0.5중량%이하인 경우 방현성이 떨어지는 한편 기라츠키(화면번쩍임)도 증가하게 되며, 20중량%보다 많은 함량을 투입할 경우, 코팅층의 백화가 심해진다.
또한, 상기 투광성 수지에 상기 우레아계 레진 입자와는 별도로 ATO, ITO, SnO2, Sb2O5, I2O3, Au, In2O3와 같은 전도성 금속 미립자 또는 폴리티오펜계, 폴리아세틸렌계, 폴리아닐린계, 폴리피롤계와 같은 전도성 고분자를 첨가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방현성 코팅 조성물에 대전 방지 기능을 추가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금속 미립자 및 전도성 고분자 등의 전도성 미립자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기 방현성 코팅 조성물의 100 중량 대비 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도성 미립자가 0.5중량% 이하로 포함되면 대전방지 기능이 발휘되지 않으며, 10 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면 투과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방현성 코팅 조성물에 포함되는 광개시제로는 본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개시제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린프로판온-1, 디페닐케톤벤질디메틸케탈, 2-히드록시-2-메틸-1-페닐-1-온, 4-히드록시시클로페닐케톤, 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안트라퀴논, 플루오렌, 트리페닐아민, 카바졸, 3-메틸아세토페논, 4-클로로아세토페논, 4,4-디메톡시아세토페논, 4,4-디아미노벤조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중에서 1종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본 발명의 방현성 코팅 조성물의 100 중량 대비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개시제가 0.1 중량% 보다 적게 포함되는 경우에는 경화 속도가 늦고, 10 중량%보다 많게 포함되는 경우에는 고분자 체인이 짧아지며 경화가 100% 진행되기에 과량이므로 비경제적이다.
또한, 상기 광개시제와 함께 광자극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광자극제로는, 예를들면 트리에틸아민, 디에틸아민, 메틸디에탄올아민, 에탄올아민, 4-디메틸아미노-벤조인산, 이소아밀-4-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현성 코팅 조성물에 포함되는 용제로는 본 기술분야에서 코팅 조성물의 용제로 알려진 것은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용제로는 예를 들면 알코올계(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 또는 케톤계(메틸에틸케톤, 메틸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에틸케톤, 디프로필케톤 등)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제는 본 발명의 방현성 코팅 조성물의 100 중량 대비 0.1 내지 6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방현성 코팅 조성물에는 항산화제, UV 흡수제, 광안정제, 열적고분자화 금지제, 레블링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방오제 등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투명기재필름에 코팅하여 형성된 방현층을 포함하는 방현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투명기재필름은 투명성이 있는 플라스틱 필름이면 어떠한 필름이라도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면 노르보르넨 또는 다환 노르보르넨계 단량체와 같은 시클로올레핀을 포함하는 단량체의 단위를 갖는 시클로올레핀계 유도체,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이소부틸에스테르셀룰로오스,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 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부티릴셀룰로오스, 아세틸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또는 폴리시클로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술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에폭시 등의 열가소성 폴리머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미연신 1축 또는 2축 연신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1축 또는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면서 필름의 대형화에 대응할 수 있는 시클로올레핀계 유도체 필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필름 및 투명성과 광학적으로 이방성이 없다는 점에서 트리 아세틸셀룰로오스 및 이소부틸에스테르셀룰로오스 필름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기재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8 내지 1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내지 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기재 필름의 두께가 8㎛ 이하이면 필름의 강도가 저하되어 가공성이 떨어지게 되고, 1000㎛ 이상이면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편광판의 중량이 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투명기재필름 위에 코팅되는 방현성 코팅 조성물이 전술한 전도성 미립자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대전 방지 기능이 추가적으로 부여된 대전 방지성 방현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현 필름은 다이코터, 에어 나이프, 리버스 롤, 스프레이, 블레이드, 캐스팅, 그라비아, 마이크로 그라비아 또는 스핀코팅 등의 적당한 방식으로 도공(Coating Process)이 가능하다. 상기 투광성 수지에 우레아계 레진 입자를 분산시킨 방현성 코팅 조성물은 습도막으로서 상기 투명 기재 필름에 0.1 내지 50㎛의 두께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 내지 3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기재 필름에 도포된 코팅 조성물은 30 내지 150℃의 온도에서 1초 내지 2시간 동안, 보다 바람직하게는 5초 내지 1시간 동안 휘발물을 증발시켜 건조시킨다. 이후 UV광을 조사하여 경화시킨다. 상기 UV광의 조사량은 약 0.01 내지 10J/㎠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2J/㎠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조된 방현 필름의 일면에 박막의 광간섭막을 적층한 저반사 방현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광간섭막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불소계, 실리카계, 혹은 다공질로 이루어진 굴절율 1.25 내지 1.45 범위의 저굴절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간섭막의 굴절율이 1.25 보다 낮은 경우에는 제조가 어려우며 코팅시의 강도가 약한 단점이 있고, 1.45 보다 높은 경우에는 방현 코팅층과의 굴절율 차가 크지 않아 광간섭 효과가 저감되어 저반사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못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현 필름을 적어도 한면에 적층하여 형성된 우수한 물성의 편광판을 제공한다. 상기 편광판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으로는 예를 들면, 편광 기능을 부여하는 폴리비닐 알코올계(PVA) 필름 또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 또는 2색성 염료 등의 2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1축 연신한 필름, 폴리비닐 알코올(PVA)의 탈수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처리물 등의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 및 요오드 등의 2색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편광판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현 필름이 구비된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일례로,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이 구비된 편광판을 표시 장치에 내장시킴으로써 가시성이 우수한 표시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을 표시 장치의 윈 도우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반사형, 투과형, 반투과형 LCD 또는 TN(Twisted Nematic)형, STN(Super Twisted Nematic)형, OCB(Optical Compensation Bend)형, HAN형, VA(Vertical Alignment)형, IPS(In Plain Switching)형 등의 각종 구동 방식의 LCD에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드 에미션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무기 EL 디스플레이, 전자 페이퍼 등의 각종 표시 장치에도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방현성 코팅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형성된 방현층을 구비한 방현 필름은 우수한 방현성을 지니면서도 우수한 투과선명도와 기라츠키(화면번쩍임) 방지 기능을 나타낸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고경도, 내마모성 및 내후성이 우수하다.
이하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하기에 개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어디까지 예시로써, 본 발명의 범위는 이것들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표시되었고, 더욱이 특허청구범위의 기록과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을 함유하고 있다.
실시예 1
분자량이 10,000~20,000인 우레아 레진을 평균 입경(d50) 3.4㎛ 크기로 분쇄하여 제조된 우레아계 레진 입자(MK-F6, deutron사 제조) 0.89 중량부를 에탄올 9.66 중량부에 투입한 후 30분간 교반하고, 투광성 수지, 용제, 개시제를 포함하는 하드코팅액(DN-0081, JSR사 제조) 89.45 중량부와 혼합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에탄올은 표면 요철 및 방현성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방현성 코팅 조성물의 고형분이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36.7중량%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상기 혼합 코팅 조성물을 투명기재필름(80㎛, TAC;Triacetate Cellulose) 위에 도막 두께가 5㎛가 되도록 마이어바로 도포하고 70℃에서 1분간 건조한 후, 720mJ/㎠으로 경화시킴으로써 방현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분자량이 10,000~20,000인 우레아 레진을 평균 입경(d50) 3.4㎛ 크기로 분쇄하여 제조된 우레아계 레진 입자(MK-F6, deutron사 제조) 1.08 중량부를 에탄올 8.99 중량부에 투입 후 30분간 교반한 후, 투광성 수지, 용제, 개시제를 포함하는 하드코팅액(DN-0081, JSR사 제조) 89.93 중량부와 혼합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에탄올은 표면 요철 및 방현성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방현성 코팅 조성물의 고형분이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37.1중량%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상기 혼합 코팅액을 투명기재필름(80㎛, TAC) 위에 도막 두께가 5㎛가 되도록 마이어 바로 도포하고 70℃에서 1분간 건조한 후, 720mJ/㎠으로 경화시킴으로써 방현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분자량이 10,000~20,000인 우레아 레진을 평균 입경(d50) 4.6㎛ 크기로 분쇄하여 제조된 우레아계 레진 입자(MK-F, deutron사 제조) 1.07 중량부를 에탄올 9.64 중량부에 투입 후 30분간 교반한 후, 투광성 수지, 용제, 개시제를 포함하는 하드코팅액(DN-0081, JSR사 제조) 89.29 중량부와 혼합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에탄올은 표면 요철 및 방현성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방현성 코팅 조성물의 고형분이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36.8중량%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상기 혼합 코팅액을 투명기재필름(80㎛, TAC) 위에 도막 두께가 5㎛가 되도록 마이어바로 도포하고 70℃에서 1분간 건조한 후, 720mJ/㎠으로 경화시킴으로써 방현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분자량 10,000~20,000의 우레아 레진을 평균 입경(d50) 3.4㎛ 크기로 분쇄하여 제조된 우레아계 레진 입자(MK-F6, deutron사 제조) 0.35 중량부를 에탄올 9.71 중량부에 투입 후 30분간 교반한 후, 투광성 수지, 용제, 개시제를 포함하는 하드코팅액(DN-0081, JSR사 제조) 89.94 중량부와 혼합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에탄올은 표면 요철 및 방현성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방현성 코팅 조성물의 고형분이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36.33중량%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상기 혼합 코팅액을 투명기재필름(80㎛, TAC) 위에 도막 두께가 5㎛가 되도록 마이어바로 도포하고 70℃에서 1분간 건조한 후, 720mJ/㎠으로 경화시킴으로써 방현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입자를 평균입경 3㎛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입자로 대체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입자를 평균입경 3㎛인 실리카 입자로 대체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필름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물성 측정 및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물성 평가>
(1) 투과율 및 헤이즈
분광광도계(HZ-1, 일본 스가사 제조)를 이용하여 전광선 투과율(Total Transmittance)과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2) 방현성
상기 방현 필름을 글래스에 접합 후, 스탠드형 3파장 램프의 반사되는 상을 시각 관찰하였다.
O : 방현성 양호(3파장 램프 라인 보이지 않음)
△ : 방현성 보통(3파장 램프 라인 희미함)
X : 방현성 불량(3파장 램프 라인 선명)
(3) 투과선명도
상기 방현 필름을 글래스에 접합 후, 3파장 램프에 투과시켜 투과되는 3파장 램프 상의 선명도를 시각 평가하였다.
O : 투과선명도 양호, △ : 투과선명도 보통, X : 투과선명도 불량
(4) 기라츠키(화면번쩍임)
상기 방현 필름을 15인치 크기의 XGA 액정 패널에 접합 후, 백라이트를 점등하였을 때 나타나는 기라츠키(화면번쩍임)를 시각 평가하였다.
1 : 기라츠키 없음, 2 : 기라츠키 보통, 3 : 기라츠키 심함
(5) 연필경도
연필경도 시험기(PHT, 한국 석보과학사 제조)를 이용하여 500g 하중을 걸고 연필경도를 측정하였다. 연필은 미쯔비시 제품을 사용하고 한 연필 경도당 5회 실시하였다. 기스가 2개 이상이면 불량으로 판정하였다.
기스 : 0 OK
기스 : 1 OK
기스 : 2이상 NG
(6) 내찰상성
스틸울테스트기(WT-LCM100, 한국 프로텍사 제조)를 이용하여 1kg/(2cm x 2cm) 하에서 10회 왕복 운동시켜 내찰상성을 시험하였다. 스틸울은 #0000을 사용하였다.
상: 스크래치 0~20개
중: 스크래치 21~40개
하: 스크래치 41개 이상
(7) 밀착성
필름의 도포된 면에 1mm 간격으로 가로 세로 각각 11개의 직선을 그어 100개의 정사각형을 만든 후, 테이프(CT-24, 일본 니치방사 제조)를 이용하여 3회 박리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100개의 사각형 3개를 테스트하여 평균치를 기록하였다.
밀착성은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다.
밀착성 = n/100
n = 전체 사각형 중 박리되지 않는 사각형 수
100 = 전체 사각형의 수
따라서, 하나도 박리되지 않았을 시 100/100으로 기록하였다.
[표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전광선 투과율(%) 91.2 91.8 90.3 91.9 90.1 90.3
헤이즈(%) 15.2 21.0 35.3 6.1 22.1 15.3
방현성 O O O X
투과선명도 O O O X
기라츠키(화면번쩍임) 1 1 1 2 3 2
연필경도 3H 2H 2H 2H 2H 2H
내찰상성
밀착성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의 방현 필름은 모두 우수한 방현성을 나타내면서도, 투과선명도가 보통 이상으로 선명하고, 기라츠키(화면번쩍임) 또한 모두 "1"을 나타내어 기라츠키(화면번쩍임) 방지 기능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연필경도가 최소 2H이상이고, 내찰상성이 모두 "상"을 나타내어 고경도이며, 내마모성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9)

  1. 투광성 수지 내에 우레아계 레진 입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현성 코팅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아계 레진 입자는 우레아와 포름알데하이드의 공중합체로서 분자량이 5,000~5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코팅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아계 레진 입자는 평균 입경이 1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코팅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아계 레진 입자는 상기 방현성 코팅 조성물의 100 중량 대비 0.5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코팅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전도성 미립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코팅 조성물.
  6. 투명 기재 필름 및 방현층을 포함하는 방현 필름으로서,
    상기 방현층은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현성 코팅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굴절율 1.25 내지 1.45 범위의 저굴절층을 더 포함하는 방현 필름.
  8. 제6항의 방현 필름을 구비한 편광판.
  9. 제6항의 방현 필름을 구비한 표시 장치.
KR1020070071390A 2007-07-16 2007-07-16 방현성 코팅 조성물, 방현 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0900080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390A KR20090008080A (ko) 2007-07-16 2007-07-16 방현성 코팅 조성물, 방현 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390A KR20090008080A (ko) 2007-07-16 2007-07-16 방현성 코팅 조성물, 방현 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080A true KR20090008080A (ko) 2009-01-21

Family

ID=40488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390A KR20090008080A (ko) 2007-07-16 2007-07-16 방현성 코팅 조성물, 방현 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80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92913B (zh) 光学层叠体
US9182522B2 (en) Hard coat film,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hard coat film
JP5751249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20210143822A (ko) 반사 방지용 원편광판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CN102782529A (zh) 防眩性膜、防眩性膜的制造方法、偏振片和图像显示装置
KR20080070349A (ko) 방현성 하드코팅액 및 이를 사용한 고경도 하드코팅 필름
JP2010265461A5 (ja) 光学用面状熱可塑性樹脂成形体、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2247779A (ja) 防眩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偏光板、並びに表示装置
KR101725995B1 (ko) 반사방지 필름, 그 제조방법, 반사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101915284B1 (ko) 방현 필름,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40075508A (ko) 방현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편광판
JP2007041495A (ja) 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該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を用いた偏光板、該偏光板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13105178A (ja) 帯電防止防眩性反射防止コーティング組成物、これを用いた帯電防止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及び表示装置
JP2020129140A (ja) 防眩フィルム
KR20120024211A (ko) 방현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10027283A (ko) 방현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10114304A (ko) 방현성 하드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현 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102053703B1 (ko) 광확산 방현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확산 방현필름
KR20120009674A (ko) 방현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30141967A (ko) 방현성 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현성 필름
KR20100138109A (ko) 방현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10013753A (ko) 저굴절층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반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20038701A (ko) 광학적층체, 편광판 및 표시장치
KR20090008080A (ko) 방현성 코팅 조성물, 방현 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30051230A (ko) 방현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현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