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1230A - 방현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현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방현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현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1230A
KR20130051230A KR1020110116455A KR20110116455A KR20130051230A KR 20130051230 A KR20130051230 A KR 20130051230A KR 1020110116455 A KR1020110116455 A KR 1020110116455A KR 20110116455 A KR20110116455 A KR 20110116455A KR 20130051230 A KR20130051230 A KR 20130051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re
light
hollow
fine particles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6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유연
임거산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6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1230A/ko
Publication of KR20130051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23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2Antiglare, refractive index matching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Abstract

본 발명은 방현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현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방현성 조성물은 투광성 수지(A)와 투광성 미립자(B), 광개시제(C) 및 용제(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투광성 미립자(B)는 평균 입경이 1~3um이며, 굴절률이 1.20~1.40인 중공 투광성 미립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방현성 조성물은 마이크로 사이즈의 중공을 갖는 투광성 미립자를 포함함에 따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방현층을 포함하는 방현필름의 제조시 마이크로 사이즈의 투광성 미립자의 내부의 중공 부분으로 인하여 방현층 내부의 산란성이 증가하여 적은 양을 사용하더라도 내부 헤이즈를 쉽게 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현성 조성물은 방현필름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방현필름은 편광판 및 표시장치에 적용시 우수한 방현성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방현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현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Anti-Glare Hard Coating Composition, Anti-Glare Hard Coating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현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현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현 필름은 표면 돌출부에 의한 난반사를 이용하여 외부 광의 반사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각종 디스플레이 패널,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스마 디스플레이(PDP), 브라운관(CRT), 전자발광 디스플레이(EL) 등의 표면에 배치되어 외부광의 반사로 인한 콘트라스트의 감소를 방지하거나 이미지 반사에 의한 디스플레이의 시인성 저하를 방지하는 등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한 방현 필름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는 방현 필름은 소정의 입경을 갖는 미립자를 분산시킨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투명 기재 상에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미립자에 의해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도록 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고 있다. 보다 세부적으로는 표면 요철에 기인하는 외부헤이즈를 조절하거나, 바인더 수지와의 굴절률 차이는 가지는 미립자를 사용함으로서 내부헤이즈 조절하는 방법을 통해 필름의 방현성을 부여한다.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
한국 특허 제10-2010-0044426 에서는 바인더 수지와의 굴절률이 0.02 미만의 유기미립자와 0.02이상 0.2미만인 무기 미립자와 방현 성능을 향상시키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내부헤이즈의 조정이 용이한 방현성 필름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는 내부헤이즈 조절에 있어 유/무기 미립자, 계면활성제 등 여러 종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사용한 중공 실리카 미립자의 경우 굴절률이 높아(1.46) 중공에 의한 난반사 효과로 인한 내부헤이즈의 조절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 제10-2006-0047606 에서는 10~1000nm 사이즈의 실리카 미세 중공구를 사용하여 빛의 난반사 효과를 이용한 방현필름을 제공한다. 그러나 실리카 미세 중공구가 약 5% 정도 투입시 헤이즈가 10% 미만으로 내부헤이즈 상승으로 인한 방현성 향상의 효과가 미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소량의 마이크로 중공입자를 사용하여 외부헤이즈를 크게 변화시키지 않고 내부헤이즈의 변화를 용이하게 함으로서 방현 필름의 투과선명도를 손상시키지 않고 원하는 방현성을 가지는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방현성 조성물을 제공하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과선명도와 방현성이 우수한 방현필름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과선명도와 방현성이 우수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광성 수지(A)와 투광성 미립자(B), 광개시제(C) 및 용제(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투광성 미립자(B)는 평균 입경이 1~3um이며, 굴절률이 1.20~1.40인 중공 투광성 미립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중공 투광성 미립자는 방현성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5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공 투광성 미립자는 중공 실리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 투광성 미립자의 굴절율은 1.30~1.36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 실리카는 중공부의 부피가 중공부를 포함하는 실리카 전체 부피에 대하여 20 내지 80%의 부피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명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방현성 조성물을 도포시킨 다음 경화시켜 형성된 방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방현필름은 내부헤이즈가 10~4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방현필름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방현필름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방현성 조성물은 마이크로 사이즈의 중공을 갖는 투광성 미립자를 포함함에 따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방현층을 포함하는 방현필름의 제조시 마이크로 사이즈의 투광성 미립자의 내부의 중공 부분으로 인하여 방현층 내부의 산란성이 증가하여 적은 양을 사용하더라도 내부 헤이즈를 쉽게 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현성 조성물은 방현필름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방현필름은 편광판 및 표시장치에 적용시 우수한 방현성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현성 조성물은 투광성 수지(A)와 투광성 미립자(B), 광개시제(C) 및 용제(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성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투광성 수지
상기 투광성 수지는 후술하는 광개시제에 의해 중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화합물이라면 당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투광성 수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 등의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레이트계의 올리고머, 프리폴리머 또는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또는 프리폴리머는 비교적 저분자량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알키드 수지, 스피로아세탈 수지, 폴리부타디엔 수지, 폴리티올폴리엔 수지, 다가 알코올 등의 다관능 화합물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머 또는 프리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관능 화합물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머 또는 프리폴리머는 구체적으로 비스페놀A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비스페놀A형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노볼락형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등),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예를 들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형 (메타)아크릴레이트, 방향족 폴리에스테르형 (메타)아크릴레이트 등), (폴리)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형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형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실리콘(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예시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머 또는 프리폴리머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구체적으로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릭에스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덱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퍼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에서 예시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의 올리고머, 프리폴리머 또는 모노머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투광성 수지는 금속 산화물 표면을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치환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타입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금속 산화물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표면에 수산화기를 가지면 쉽게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실리카, 안티모니 도프 산화 주석(ATO), 인듐 도프 산화 주석(ITO), 인 도프 산화 주석(PTO), 오산화안티몬, 지르코늄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메타)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상기 투광성 수지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기 방현성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8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투광성 수지의 함량이 상기 기준으로 1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경도 향상을 도모하기 어렵고 80중량부를 초과 할 경우 컬링이 심해지는 문제가 있다.
(B) 투광성 미립자
상기 투광성 미립자는 코팅층의 내부 산란성을 증가시켜 내부헤이즈를 높이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투광성 미립자는 평균 입경이 1~3um이며, 굴절률이 1.20~1.40인 중공 투광성 미립자이다. 이와 같이 중공 투광성 미립자를 사용하게 되면 상기 중공 투광성 미립자는 마이크로 사이즈의 중공으로 인하여 코팅층의 내부 산란성을 증가시켜 내부헤이즈를 높여준다.
상기 중공 투광성 미립자는 중공 실리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공 투광성 미립자는 상온에서의 굴절률이 1.20~1.40, 특히 1.30~1.36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 투광성 미립자의 굴절률이 상기의 기준으로 1.20 미만일 경우 중공 실리카의 강도가 약해져 내스크래치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굴절률이 1.40 초과일 경우 굴절률이 낮으므로 충분한 내부헤이즈 발현이 어렵다.
여기서 굴절률은 중공 투광성 미립자의 굴절률, 즉 중공 입자를 형성하는 외곽의 굴절률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입자 전체의 굴절률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중공 투광성 미립자의 굴절률은 Abbe 굴절률계(ATAGO사 제품)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중공 투광성 미립자는 입도가 1~3u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 투광성 미립자의 입도가 1um 미만일 경우 중공의 내부 산란에 의한 내부헤이즈 변화가 미비하며, 3um 초과일 경우 과도한 산란에 의한 백화현상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중공 투광성 미립자의 중공 부분의 부피는 중공 부분를 포함하는 미립자의 전체 부피에 대하여 20~80%의 부피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 투광성 미립자의 중공 부분의 부피가 상기의 기준으로 20% 미만일 경우 내부 산란에 의한 내부헤이즈의 변화가 미비하고, 80% 초과일 경우 중공 투광성 미립자의 강도가 약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중공 투광성 미립자는 방현성 조성물의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5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 투광성 미립자의 함량이 상기의 기준으로 0.5중량부 미만일 경우 그 함량이 적어 내부헤이즈의 변화가 미비하고, 5중량부 초과일 경우 내부 산란에 의한 내부헤이즈가 너무 높아 백화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C) 광개시제
상기 광개시제는 본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구체적으로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린프로판온-1, 디페닐케톤벤질디메틸케탈, 2-히드록시-2-메틸-1-페닐-1-온, 4-히드록시시클로페닐케톤, 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안트라퀴논, 플루오렌, 트리페닐아민, 카바졸, 3-메틸아세토페논, 4-클로로아세토페논, 4,4-디메톡시아세토페논, 4,4-디아미노벤조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예시된 광개시제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가 벤조페논과 같은 수소 탈환형 광개시제를 포함할 경우 산소장애 효과를 억제하여 표면 경도를 향상 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광개시제는 벤조페논계 수소 탈환형 광개시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벤조페논계 수소 탈환형 광개시제로는 벤조페논, 2,4,6-트리메틸벤조페논, 4-메틸벤조페논, 4-(4-메틸페닐티오)페닐메탄논,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메틸-2-벤조일벤조레이트, 4-페닐-벤조페논, 4,4'-비스(디메릴아미노)-벤조페논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로 벤조페논계 수소 탈환형 광개시제를 사용하는 경우 광 중합과정에서 발생하는 휘발성의 문제와 산소 장애 문제를 최대한 억제시키기 위하여 상기 광개시제와 함께 광증감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광증감제는 구체적으로 아민(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에틸아민, 디에틸아민, 메틸디에탄올아민, 에탄올아민, 이소아밀4-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제한되지는 않지만, 상기 방현성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가 상기의 기준으로 0.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경화속도가 느려지는 단점이 있고,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경화에 의해 방현층의 표면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D) 용제
상기 용제는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투명기재에 적용할 시 코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용한다.
상기 용제는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제로는 구체적으로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탄올, 이소부틸알코올, 메틸글리콜, 메틸글리콜아세테이트,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등의 알코올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디아세톤알코올 등의 케톤류; 포름산메틸, 초산메틸, 초산에틸, 젖산에틸, 초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니트로메탄, N―메틸피롤리돈, N,N―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함질소 화합물;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디옥솔란 등의 에테르류;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트리클로로에탄, 테트라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디메틸술폭시드, 탄산프로필렌 등의 기타 물질을 들 수 있다. 상기 예시된 용제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방현성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80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제가 상기 기준으로 30중량부 미만이면 점도가 높아 코팅이 힘들고, 8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화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성분들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방현성 조성물에는 당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 예를 들어 대전방지제, 항산화제, UV 흡수제, 광안정제, 열적고분자화 금지제, 레벨링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방오제 등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방현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현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현필름은 투명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상술한 본 발명의 방현성 하드코팅 조성물을 도포시킨 다음 경화시켜 형성된 방현층을 구비한다.
상기 투명기재로는 투명성이 있는 플라스틱 필름이면 어떤 필름이라도 사용가능하며, 예를 들면, 노르보르넨이나 다환 노르보르넨계 단량체와 같은 시클로올레핀을 포함하는 단량체의 단위를 갖는 시클로올레핀계 유도체들, 셀룰로오스(디아세틸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아세틸 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이소부틸에스테르 셀룰로오스, 프로피오닐 셀룰로오스, 부티릴 셀룰로오스, 아세틸 프로피오닐 셀룰로오스),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술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에폭시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미연신, 1축 또는 2축 연신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1축 또는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나, 투명성 및 광학적으로 이방성이 없는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이 사용된다.
상기 투명기재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8~1000㎛ 정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100㎛이다.
본 발명에서 방현성 조성물의 도포는 다이코터, 에어 나이프, 리버스 롤, 스프레이, 블레이드, 캐스팅, 그라비아, 스핀코팅 등 공지된 방식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도포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5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30㎛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0~25㎛이다. 특히 상기 방현성 조성물의 도포 두께는 경화 후의 두께가 투입한 입자 사이즈의 70~85% 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시의 두께가 85% 초과일 경우 입자가 바인더층에 묻혀 외부 요철이 없이 방현성을 가지지 않는 필름이 형성되며, 코팅시의 두께가 70% 미만일 경우 필름의 강도가 떨어져 표면 손상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내부 헤이즈가 아닌 외부 헤이즈에 의해 방현성이 좌우되게 된다.
방현성 조성물을 도포한 후 30~150℃의 온도에서 10초~1시간, 바람직하게는 30초~10분 동안 휘발물의 증발에 의해서 건조시킨 다음, UV 광을 조사하여 경화시킨다. UV광의 조사량은 약 0.01~10J/㎠이고, 바람직하게는 0.1~2J/㎠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방현필름은 전광선 투과율 90% 이상이고, 전체 헤이즈가 10~50%이고, 내부헤이즈가 10~40%이며, 투과선명도 150이상인 특성을 나타낸다. 특히 내부헤이즈가 10% 미만일 경우 방현성이 너무 낮다는 단점이 있으며, 내부헤이즈가 40%초과일 경우 투과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방현필름이 구비된 편광판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편광판은 통상의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현필름을 적층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편광자는 적어도 일면에 보호필름이 구비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편광자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2색성 염료 등의 2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1축 연신한 필름, 폴리비닐 알코올의 탈수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과 요오드 등의 2색성 물질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들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5~80㎛ 정도이다.
상기 편광자가 적어도 일면에 보호필름이 구비된 것일 경우, 상기 보호필름은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폐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보호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필름;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필름;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필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또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필름,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필름; 폴리이미드계 필름; 폴리에테르술폰계 필름; 술폰계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예시한 보호필름 중에서 투명성이 우수하면서 광학적으로 이방성이 없다는 점에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8 내지 1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내지 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방현필름이 구비된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일례로, 본 발명의 방현필름이 구비된 편광판을 표시 장치에 내장함으로써, 가시성이 우수한 다양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현필름을 표시 장치의 윈도우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현필름은 반사형, 투과형, 반투과형 LCD 또는 TN형, STN형, OCB형, HAN형, VA형, IPS형 등의 각종 구동 방식의 LCD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현필름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드 에미션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무기 EL 디스플레이, 전자 페이퍼 등의 각종 표시 장치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직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실시예 1>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34중량부, 평균입경 1um를 가지는 중공실리카 0.1 중량부,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0.5중량부, 레벨링제(BYK사, BYK378) 0.5중량부, 1-메톡시-2-프로판올 32.5중량부, 에틸아세테이트 32.5중량부를 배합하여 방현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11>
중공실리카 및 그 함량을 하기 표 1과 같이 변화시키면서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로 전체를 100중량부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방현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29중량부, 평균입경 0.1um를 가지는 중공실리카 5중량부,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0.5중량부, 레벨링제(BYK사, BYK378) 0.5중량부, 1-메톡시-2-프로판올 32.5중량부, 에틸아세테이트 32.5중량부를 배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및 3>
중공실리카 및 그 함량을 하기 표 1과 같이 변화시키면서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로 전체를 100중량부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방현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입자사이즈(um) 굴절률 중공율* 입자 함량(%)
실시예1 1 1.35 20 0.5
실시예2 1 1.35 20 1
실시예3 1 1.35 20 3
실시예4 1 1.35 20 5
실시예5 1 1.35 20 6
실시예6 3 1.35 20 0.5
실시예7 3 1.35 20 1
실시예8 3 1.35 20 3
실시예9 3 1.35 20 5
실시예 10 3 1.35 20 6
실시예 11 3 1.25 85 5
비교예1 0.5 1.35 20 3
비교예2 4 1.35 20 3
비교예3 3 1.46 0 1
* 상기 표 1에서 중공율은 중공부를 포함하는 실리카 전체 부피에 대하여 중공부의 부피비율을 나타낸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방현성 조성물을 투명기재(두께 40㎛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필름)에 바코 팅한 다음, 100℃에서 2분 동안 건조시키고, UV 조사(고압수은, 400mJ/㎠)에 의해 경화시켜, 두께가 3㎛인 반사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방현필름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물성 측정 및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1) 전광선투과도 및 헤이즈 측정
분광광도계(스가사의 HZ-1 Haze Meter)를 이용하여 각 방현 필름의 전광선 투과도와 Haze를 측정하였다.
(2) 방현성 평가
제조된 방현 필름을 검은색 아크릴판에 점착제를 이용해 접합한 후 삼파장 스탠드 불빛을 반사시켜 다음과 같이 스탠드 빛의 형상이 뚜렷이 보이는 정도로 방현성을 평가하였다.
방현성 ◎: 스탠드 빛의 형상이 뭉그러져 시인되지 않음
방현성 ○: 스탠드 빛의 형상이 매우 흐리게 시인됨
방현성 Δ: 스탠드 빛의 형상이 흐리게 시인됨
방현성 X: 스탠드 빛의 형상이 선명하게 시인됨
(3) 투과선명도 측정
선명도 측정기(ICM-1T, 스가사)를 이용하여 각 필름의 투과선명도를 측정하였다. 투과선명도 측정 시 투과선명도 수치는 슬릿간격 0.001mm, 0.5mm, 1.0mm, 2.0mm의 투과선명도 수치의 합산으로 결정하였다.
(4) 반사선명도 측정
방현필름의 반사선명도 값은 방현성과 상관관계성이 있으며, 반사선명도 수치가 작을수록 방현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조된 방현 필름을 흑색 아크릴판에 점착제를 이용해 접합한 후 선명도 측정기(ICM-1T, 스가사)를 이용하여 60도 각도에서의 반사선명도를 측정하였으며, 반사선명도 수치는 슬릿간격 0.5mm, 1.0mm, 2.0mm에서의 수치를 합산하였다.
  전광선투과율(%)  Haze(%) 방현성  투과선명도(400%) 
전체 내부 외부
실시예1 91.8 10.3 7.5 2.8 Δ 344
실시예2 91.7 13.2 12.6 0.6 321
실시예3 91.5 28.6 25.3 3.3 252
실시예4 91.0 47.4 39.8 7.6 212
실시예5 89.5 53.2 50.3 2.9 186
실시예6 91.8 13.6 9.6 4.0 O 320
실시예7 91.6 16.1 14.0 2.1 301
실시예8 91.3 32.7 28.6 4.1 223
실시예9 91.0 49.1 45.3 3.8 181
실시예 10 89.6 57.2 52.4 4.8 121
실시예 11 91.5 10.1 8.7 1.4 Δ 379
비교예1 92.3 7.6 6.9 0.7 X 331
비교예2 89.4 58.0 55.5 2.5 89
비교예3 91.6 6.5 2.2 4.3 X 301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균입경이 1~3um 사이즈를 가지면서 굴절률이 1.20 내지 1.40인 중공입자를 첨가한 실시예 1 내지 11의 경우 평균입경과 굴절률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범위를 벗어나는 중공입자를 첨가한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에 비하여 방현성과 투과선명도가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중공입자의 평균입경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범위를 벗어나는 비교예 1 또는 2의 경우 방현성 또는 투과선명도가 실시예들에 비하여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굴절률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범위를 벗어나는 비교예 3의 경우 방현성이 실시예들에 비하여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9)

  1. 투광성 수지(A)와 투광성 미립자(B), 광개시제(C) 및 용제(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투광성 미립자(B)는 평균 입경이 1~3um이며, 굴절률이 1.20~1.40인 중공 투광성 미립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공 투광성 미립자는 방현성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5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공 투광성 미립자는 중공 실리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공 투광성 미립자의 굴절율은 1.30~1.3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조성물.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중공 실리카는 중공부의 부피가 중공부를 포함하는 실리카 전체 부피에 대하여 20 내지 80%의 부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조성물.
  6. 투명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의 방현성 조성물을 도포시킨 다음 경화시켜 형성된 방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필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방현필름은 내부헤이즈가 10~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필름.
  8. 청구항 6의 방현필름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9. 청구항 6의 방현필름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110116455A 2011-11-09 2011-11-09 방현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현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300512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455A KR20130051230A (ko) 2011-11-09 2011-11-09 방현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현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455A KR20130051230A (ko) 2011-11-09 2011-11-09 방현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현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230A true KR20130051230A (ko) 2013-05-20

Family

ID=48661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455A KR20130051230A (ko) 2011-11-09 2011-11-09 방현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현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12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34284B2 (en) 2013-10-30 2017-04-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protection film having nanobeads
WO2022220445A1 (ko) * 2021-04-13 2022-10-20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편광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34284B2 (en) 2013-10-30 2017-04-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protection film having nanobeads
WO2022220445A1 (ko) * 2021-04-13 2022-10-20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편광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9643A (ko) 방현성 반사방지 코팅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현성 반사방지 필름, 편광판 및 표시장치
KR20210143822A (ko) 반사 방지용 원편광판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101771104B1 (ko) 방현 필름,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60137435A (ko) 적층체 및 액정 표시 장치
US11815759B2 (en)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1915284B1 (ko) 방현 필름,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20024211A (ko) 방현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JP2020129140A (ja) 防眩フィルム
JP2013105178A (ja) 帯電防止防眩性反射防止コーティング組成物、これを用いた帯電防止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及び表示装置
KR20130051230A (ko) 방현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현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220132511A (ko) 편광판, 액정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132510A (ko) 편광판, 액정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150335A (ko) 부착력이 우수한 반사방지필름
KR20110027283A (ko) 방현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US11650362B2 (en)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panel and display device
KR20120009674A (ko) 방현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20038701A (ko) 광학적층체, 편광판 및 표시장치
KR20100138109A (ko) 방현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10057519A (ko)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방현성 코팅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방현 필름
KR20130026269A (ko) 하드코팅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102428883B1 (ko)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51290A (ko) 하드코팅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00132785A (ko) 반사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20024210A (ko) 방현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50108600A (ko) 내찰상성이 우수한 반사방지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