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9674A - 방현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방현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9674A
KR20120009674A KR1020100069944A KR20100069944A KR20120009674A KR 20120009674 A KR20120009674 A KR 20120009674A KR 1020100069944 A KR1020100069944 A KR 1020100069944A KR 20100069944 A KR20100069944 A KR 20100069944A KR 20120009674 A KR20120009674 A KR 20120009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re
film
glare film
particles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남
오병호
정병선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9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9674A/ko
Publication of KR20120009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67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현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현필름은 투명기재; 및 상기 투명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투광성 수지 및 상기 투광성 수지와 다른 굴절률을 갖는 투광성 입자를 함유하는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코팅하여 형성된 표면에 요철이 구비된 방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방현층은 표면 요철에 의한 외부 헤이즈값(hs)이 0.1<hs<6이고, 상기 방현층의 내부 확산에 의한 내부 헤이즈값(hi)이 15<hi<9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방현 필름은 방현성이 우수하며, 특히 스크린 상의 글레어 현상 발생을 방지하며, 양호한 흑색 재현성을 나타내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방현 필름은 편광판 및 표시 장치에 적용시 우수한 방현성과 글레어 현상 방지 및 양호한 흑색 재현성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현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Anti-Glar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현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 표시 장치(CRT),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디스플레이(ELD) 등의 표시 장치에는 최외측에 반사방지를 위한 광학 적층체가 구비된다. 상기 광학 적층체는 빛의 산란이나 간섭에 의해 상의 찍힘을 억제하거나 반사율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광학 적층체로 편광판의 일면에 방현 필름을 형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방현 필름은 투명 기재의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방현층을 형성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요철은 입자를 사용하여 형성하거나 엠보를 주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방현 필름은 표면의 요철 형상에 의해 외광을 산란시켜서 외광의 반사나 상의 찍힘에 의한 시인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현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는 요철이 미세한 렌즈의 역할을 수행하여, 백라이트 배면으로부터의 투과광이 상기 요철을 투과할 때 표시되는 화소 등을 흩으러 버리는 상태인 "글레어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고해상도를 위하여 상기 요철을 미세화하는 경우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면이 희게 보이거나(백화현상), 콘트라스트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한 광학 적층체는 방현성과 콘트라스트 향상 및 글레어 현상 방지 등의 모든 특성을 성질을 만족시키는 것이 어려워 화면 표시에 있어서의 흑색 재현성(염흑감) 및 콘트라스트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흑색과 회색의 색 인식에 있어서, 색 흐림 및 동일한 색조의 흑색으로 밖에 인식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방현성이 우수하고, 화상 표시면의 글레어 현상 발생을 방지하며, 흑색 재현성이 양호한 방현 필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수한 방현성과, 글레어 현상 방지 및 흑색 재현성이 양호한 편광판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수한 방현성과, 글레어 현상 방지 및 흑색 재현성이 양호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투명기재, 및 상기 투명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투광성 수지 및 투광성 입자를 함유하는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코팅하여 형성된 표면에 요철이 구비된 방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방현층은 표면 요철에 의한 외부 헤이즈값(hs)이 0.1<hs<6이고, 상기 방현층의 내부 확산에 의한 내부 헤이즈값(hi)이 15<hi<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표면 요철은 방현 필름 중심선 평균거칠기(Ra)가 0.05 내지 0.1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광성 수지는 열경화성 수지 또는 광경화형 수지이고, 상기 투광성 입자는 유기계 미립자 또는 무기계 미립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계 미립자는 스티렌 중합체 및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무기계 미립자는 실리카입자일 수 있다.
상기 실리카입자는 구형 또는 무정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방현 필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방현 필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현 필름은 방현성이 우수하며, 특히 스크린 상의 글레어 현상 발생을 방지하며, 양호한 흑색 재현성을 나타내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방현 필름은 편광판 및 표시 장치에 적용시 우수한 방현성과 글레어 현상 방지 및 양호한 흑색 재현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현 필름은 투명기재, 및 상기 투명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표면에 요철이 구비된 방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방현층은 투광성 수지 및 투광성 입자를 함유하는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코팅하여 형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방현성 코팅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현성 코팅 조성물은 투광성 수지 및 투광성 입자를 포함한다.
투광성 수지
상기 투광성 수지는 가교반응 또는 중합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투광성 수지는 열경화형 수지 또는 광경화형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광성 수지가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구체적으로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멜라닌 수지, 구아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아미노알키드 수지, 멜라민-요소 공축합 수지, 규소 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투광성 수지로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방현성 코팅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가교제, 중합 개시제 등의 경화제, 중합 촉진제, 용제, 점도 조절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광성 수지가 광경화형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광경화형 수지는 광경화성의 다관능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의 다관능 모노머의 관능기는 광, 전자선, 방사선 중합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광중합성 관능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광중합성 관능기로는 (메타)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스티릴기, 알릴기 등의 불포화 중합성 관능기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메타)아크릴로일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광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광경화성의 다관능 모노머는 구체적으로 네오펜틸글리콜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렌글리콜의 (메타)아크릴산디에스테르류;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산디에스테르류; 펜타에리스리톨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가 알코올의 (메타)아크릴산디에스테르류; 2,2-비스{4-(아크릴록시ㆍ디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아크릴록시ㆍ폴리프로폭시)페닐}프로판 등의 에틸렌옥시드; 또는 프로필렌옥시드 부가물의 (메타)아크릴산디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광경화성의 다관능 모노머는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류,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류,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류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광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광경화성의 다관능 모노머는 1분자 중에 3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다관능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1분자 중에 3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다관능 모노머의 구체적인 예로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1,2,4-시클로헥산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글리세롤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헥사트리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예시한 광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광경화성의 다관능 모노머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의 다관능 모노머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기 방현성 코팅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85중량부 함유될 수 있다.
상기 투광성 수지로 광경화형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방현 필름 형성용 조성물은 광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광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광경화성의 다관능 모노머의 중합을 개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광경화성의 다관능 모노머의 중합을 개시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당해 분야에서 알려진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벤조인류, 프로피오페논류, 벤질류, 아실포스픽옥사이드류, 미힐러의 벤조일벤조에이트(Michler's benzoyl benzoate), α-아밀옥심에스테르, 테트라메틸퓨란모노설피드 및 티오크산톤류 등을 들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광개시제는 벤조페논,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린프로판-1-온, 디페닐케톤벤질디메틸케탈, 2-히드록시-2-메틸-1-페닐-1-온, 4-히드록시시클로페닐케톤, 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안트라퀴논, 플루오렌, 트리페닐아민, 카바졸, 3-메틸아세토페논, 4-크놀로아세토페논, 4,4-디메톡시아세토페논, 4,4-디아미노벤조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개시제는 광증감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광증감제는 구체적으로 n-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폴리-n-부틸포스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방현성 코팅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가 상기의 기준으로 0.1중량부 미만일 경우 방현성 코팅 조성물의 경화 속도가 늦고, 10중량부 초과일 경우 과경화로 고분자 체인이 짧아져 방현층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상기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현성 코팅 조성물은 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본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제로는 구체적으로 알코올계(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메틸셀루소브, 에틸솔루소브 등), 케톤계(메틸에틸케톤, 메틸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에틸케톤, 디프로필케톤, 시클로헥사논 등), 헥산계(헥산, 헵탄, 옥탄 등), 벤젠계(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예시된 용제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 가능하다.
상기 용제는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용제는 방현 필름 형성용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75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용제의 함량이 상기의 기준으로 0.1중량부 미만이면 방현 필름 형성용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 작업성이 떨어지고, 7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건조 및 경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투광성 입자
상기 투광성 입자는 방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서, 방현 효과가 뛰어나면서도 고정세한 디스플레이 화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선명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투광성 입자는 유기계 미립자 또는 무기계 미립자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계 미립자로는 멜라민계 비드, 아크릴계 비드, 아크릴-스티렌계 비드, 스티렌계 비드, 폴리카보네이트계 비드, 폴리에틸렌계 비드 및 염화비닐계 비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기계 미립자는 스티렌계 비드로서 스티렌 중합체를 사용하거나 아크릴-스티렌계 비드인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계 미립자로는 중탄산칼슘(중탄), 경탄산칼슘, 황산바륨, 실리카 및 알루미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기계 미립자는 실리카 입자일 수 있다..
상기 실리카 입자는 구형 또는 무정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투과선명도향상을 위해서는 구형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실리카 입자는 그 표면을 테트라메톡시실란 등과 같은 유기물로 처리하여 그 표면의 친수성인 히드록시기를 소수성으로 변형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용제에 대한 안정성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투광성 입자는 투광성 수지와 다른 굴절률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광성 입자의 굴절율(n2)는 상기 투광성 수지의 굴절율(n1)과의 차이(|n1-n2|)가 0.01 내지 0.2인 것이 바람직하며, 0.01 내지 0.1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투광성 입자와 투광성 수지의 굴절율 차이가 0.01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광확산 효과를 얻기 위하여 투광성 수지에 대하여 투광성 입자를 다량으로 첨가하여야 하며, 0.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측면 시야각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광성 입자는 표면에 소정의 거칠기를 부여하여 충분한 방현성을 확보하고, 아울러 충분한 광확산 효과를 얻기 위하여 그 직경이 0.1㎛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7㎛의 직경을 갖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투광성 입자의 직경이 0.1㎛보다 작으면 만족스러운 광확산 효과를 얻지 못하여 화상이 알루미늄 색상으로 변색되는 단점이 있으며, 투광성 입자의 직경이 10㎛보다 크면 화면의 배경이 거칠어지기 쉽고 화상 콘트라스트가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투광성 입자는 상기 방현성 코팅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 내지 40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투광성 입자의 함량이 상기 기준으로10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헤이즈 값이 작아져 모아레 현상(간섭무늬가 발생하는 현상)이 강해지며, 5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헤이즈 값이 커져 편광도가 낮아지고 휘도 및 점착 내구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방현성 코팅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서 항산화제, UV 흡수제, 광안정제, 열적고분자화 금지제, 레벨링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방오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방현층을 구비하는 방현 필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현 필름은 상기한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투명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도포한 다음 경화시켜 형성된 방현층을 포함한다.
상기 투명기재는 투명성이 있는 필름이면 어떤 필름이라도 사용가능하다.
상기 투명기재는 구체적으로 노르보르넨이나 다환 노르보르넨계 단량체와 같은 시클로올레핀을 포함하는 단량체의 단위를 갖는 시클로올레핀계 유도체들, 셀룰로오스(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이소부틸에스테르셀룰로오스, 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부티릴셀룰로오스, 아세틸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술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우레탄, 에폭시 중에서 선택된 것으로 이루어진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며, 미연신(未延伸), 1축 또는 2축 연신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 바람직하게는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1축 또는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필름 또는 폴리시클로올레핀계 필름이나, 투명성 및 광학적으로 이방성이 없다는 점에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나 이소부틸에스테르셀룰로오스 필름 등이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투명기재필름은 두께가 얇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너무 얇으면 강도가 저하되어 가공성이 뒤떨어지게 되고, 한편으로 너무 두꺼우면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편광판의 중량이 커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투명기재필름은 그 두께가 8~1,0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40~1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방현성 코팅 조성물의 도포는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다이코터, 에어 나이프, 리버스 롤, 스프레이, 블레이드, 캐스팅, 그라비아, 마이크로 그라비아 또는 스핀코팅 등에서 선택되는 적당한 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되는 방현층의 두께는 1 내지 20㎛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이다.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도포한 후 30~150℃ 온도에서 10초~1시간, 바람직하게는 30초~10분 동안 건조시킨다. 건조가 완료되면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경화시킨다. 광경화의 경우 UV광을 조사하여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경화시켜 방현층을 형성한다. 상기 UV광의 조사량은 약 0.01~10J/cm2이고, 바람직하게는 0.1~2J/cm2이다.
상기와 같이 투명기재에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도포한 후 경화시켜 방현층을 형성하면, 상기 방현층의 표면에는 투광성 수지 입자에 기인한 소정의 거칠기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거칠기는 그 중심선 평균거칠기(Ra)가 0.05?0.11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중심선 평균거칠기(Ra)는 JIS B 0601에 의해 규정된 방법으로 측정된 것이다. 상기 중심선 평균거칠기 값이 0.05?0.11인 경우 우수한 방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방현층은 표면 요철에 의한 외부 헤이즈값(hs)이 0.1<hs<6이고, 상기 방현층의 내부 확산에 의한 내부 헤이즈값(hi)이 15<hi<9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 헤이즈값과 내부헤이즈값이 상기 범위내로 포함될 경우 우수한 방현성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편광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은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어느 한면에 위치하는 방현 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은 편광자의 한면 또는 양면에 본 발명의 따른 방현 필름을 적층하여 형성된다.
상기 편광자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2색성 염료 등의 2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1축 연신한 필름, 폴리비닐 알코올의 탈수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편광자는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에 요오드 등의 2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제조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5 내지 80㎛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표시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방현 필름을 포함한다. 일예로 상기 표시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현 필름이 구비된 편광판을 내장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표시 장치의 표면에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이 위치할 경우 가시성이 우수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표시 장치의 윈도우에 부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반사형, 투과형, 반투과형 LCD 또는 TN형, STN형, OCB형, HAN형, VA형, 또는 IPS형 등의 각종 구동 방식의 LCD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드 에미션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무기 EL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 페이퍼 등의 각종 표시 장치에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표시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현 필름을 적용하는 것 이외에는 당해분야에서 알려진 구성을 채택하여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우수한 방현성과 글레어 현상 방지 및 양호한 흑색 재현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화될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M340, 미원상사제) 40중량부, 광개시제로서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I-184, 시바사제) 2중량부 및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린프로판온-1(I-907, 시바사제) 0.5중량부, 투광성입자로서 평균입경 5㎛ 폴리스테렌 입자(SH510X, 쇼켄사제) 15중량부, 용제로서 시클로헥사논(알드리치사제) 8중량부 및 톨루엔(알드리치사제) 34중량부, 분산제로 변성 실리콘 오일(DisperBYK2008, 비와이케이사제) 0.3중량부, 및 레벨링제로 변성실리콘 오일(BYK371, 비와이케이사제) 0.2중량부를 혼합한 후, 메카니컬 스터러를 이용하여 30분간 교반하여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80㎛ 두께의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투명 기재에 그라비어 코팅기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80℃에서 1분 동안 건조시키고,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시켜 두께가 4㎛인 방현층이 형성된 방현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방현 필름의 외부헤이즈와 내부헤이즈는 분광광도계(HZ-1, 일본 스가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JIS B 0601에 의해 규정된 방법에 따라 중심선 평균거칠기(Ra)값을 측정하고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내지 11 및 비교예 1 내지 3>
각각의 조성 및 조성비를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방현 필름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방현 필름의 헤이즈 및 중심선 평균거칠기(Ra)값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중량부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7 8 9 10 11 1 2 3
다관능 모노머 40 40 40 40 40 40 32 22 42 46 18 47 47 47
광개시제 (a) 2 2 2 2 2 2 2 2 2 2 2 2 2 2
(b)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유기 입자 (a) 15 9 2 - -
(b) 15 20 5
(c) 15 51
(d) 15 30 - -
무기 입자 (a) 15 2
(b) 15 10
용제 (a) 8 8 8 8 8 8 8 8 8 8 8 8 8 8
(b) 34 34 34 34 34 34 37 37 37 34 20 40 40 37
첨가제 분산제 Disper
BYK2008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레벨링제 BYK371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외부헤이즈 0.5 1 2 1 1 3 3 4 2 1 5 7 8 7
내부헤이즈 60 62 63 61 60 68 73 70 46 40 89 12 10 14
Ra 0.09 0.08 0.10 0.08 0.09 0.07 0.08 0.1 0.06 0.04 0.10 1.5 2.5 2
상기 표 1에서 사용된 성분은 아래와 같다.
다관능 모노머 :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M340, 미원상사제)
광개시제(a) :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I-184, 시바사제)
광개시제(b) :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린프로판온-1(I-907, 시바사제)
유기입자(a) : 평균입경 5㎛ 폴리스테렌 입자(SH510X, 쇼켄사제)
유기입자(b) : 평균입경 3㎛ 폴리스테렌 입자(XX-10HW, 세끼스이사제)
유기입자(c) : 평균입경 5㎛ 폴리스테렌-폴리메틸메타아크릴 입자(XX-05HW, 세끼스이사제)
유기입자(d) : 평균입경 7㎛ 폴리스테렌 입자(SH710X, 쇼켄사제)
무기입자(a) : 평균입경 3㎛ 구형 실리콘입자(Tospearl145, 모멘티브사)
무기입자(b) : 평균입경 1㎛ 구형 실리콘입자(Tospearl120, 모멘티브사)
용제(a) : 시클로헥사논(알드리치사제)
용제(b) : 톨루엔(알드리치사제)
<제조예> 편광판제조
두께 75㎛의 폴리비닐알콜 필름(중합도 2,400, 비누화도 99.9몰% 이상)에 건식으로 연신 배율 5배의 일축 연신을 실시하고, 긴장상태로 유지한 채 60℃의 순수에 60초간 침지한 다음에 요오드/요오드화 칼륨/물이 중량비로 0.05/5/100의 수용액에 60초간 침지하여 염색하였다. 그 후 요오드화칼륨/붕산/물이 중량비로 6/7.5/100의 비율로 혼합되어 있는 수용액(73℃)에서 300초간 침지하였다. 그 다음 25℃ 증류수에서 5분간 침지한 후 50℃에서 5분간 건조하여 편광자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편광자의 일면에 폴리비닐알콜계 접착제(쿠라레)를 이용해 검화된 TAC 필름을 접착하고, 다른면에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방현 필름을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한 후 60℃에서 5분간 건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방현 필름 및 이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한 편광판에 대한 물성을 아래와 같이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1) 표면 평활성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방현 필름의 도포된 표면을 전등광에 비춰서 기울기 20~30도의 방향에서 관찰하여, 표면층의 균일성(미시적)인 응집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A: 표면층에 미시적인 응집이 없어 균일하다.
B: 표면층에 미시적인 응집이 보이지만 매우 경미하다.
C: 표면층에 미시적인 응집이 현저히 보인다.
(2) 글레어현상 시험
HAKUBA제 뷰어(라이트 뷰어 7000PRO) 위에 0.7 ㎜ 두께의 글래스에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 패턴판(105ppi, 140ppi)을 두고(패턴면을 아래로 해서 두고), 그 위에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편광판을 올려놓은 다음 필름이 뜨지 않도록 필름의 모서리를 손가락으로 가볍게 누르면서 암실에서 번쩍거림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평가했다.
평가 ◎ : 140 ppi에서 번쩍거림이 없어 양호
평가 ○ : 105 ppi에서 번쩍거림이 없어 양호
평가 × : 105 ppi에서 번쩍거림이 보여 불량
(3) 방현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방현 필름의 이면을 폴리비닐알코올 접착제로 표면 처리한 다음 흑색 아크릴판에 부착하였다. 이후 폭 20㎜의 흑백 스트라이프판을 준비한 다음 상기 방현 필름이 부착된 흑색 아크릴판을 30도 기울인 상태에서 방현 필름의 표면에 스트라이프를 곡선형태로 이동하며 관찰한다. 이때 방현 필름의 표면의 조도는 250lx이고, 스트라이프의 휘도(백색)는 65cd/㎡로 하였으며, 스트라이프판과 방현 필름과의 거리는 1.5m이고, 방현 필름과 관찰자의 거리는 1m로 하였다. 이것을 관찰자가 보았을 때의 스트라이프가 보이는 쪽에 의해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 스트라이프를 인식할 수 없음
× : 스트라이프를 인식할 수 있음
(4 ) 염흑감(blackness)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방현 필름의 이면을 폴리비닐알코올 접착제로 표면 처리한 다음 흑색 아크릴판에 부착하였다. 이후 삼파장 스탠드 불빛을 반사시켜 필름의 검은 정도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흑감 ◎: 검은색으로 시인됨
흑감 ○: 어두운 회색으로 시인됨
흑감 △: 중간 회색으로 시인됨
흑감 ×: 밝은 회색으로 시인됨
(5) 콘트라스트비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방현 필름을 제조예로부터 제작된 편광판을 32인치 삼성 보르도 패널에 부착한 후 콘트라스트 측정기(SR-3A-12, TOPCON)를 이용하여 9점에 대한 콘트라스트비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7 8 9 10 11 1 2 3
표면평활성 A A A A A A A A A A A B B B
글레어현상 ×
방현성 × × ×
염흑감 × × ×
콘트라스트비 1625 1700 1680 1677 1653 1654 1710 1693 1720 1680 1620 1520 1102 1050
상기 표 1 및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소정의 내부헤이즈와 외부헤이즈를 갖는 실시예의 방현 필름의 경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헤이즈를 갖는 비교예의 방현 필름에 비하여 방현성이 우수하며, 특히 스크린 상의 글레어 현상 발생을 방지하며, 양호한 흑색 재현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Claims (10)

  1. 투명기재; 및 상기 투명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투광성 수지 및 투광성 입자를 함유하는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코팅하여 형성된 표면에 요철이 구비된 방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방현층은 표면 요철에 의한 외부 헤이즈값(hs)이 0.1<hs<6이고, 상기 방현층의 내부 확산에 의한 내부 헤이즈값(hi)이 15<hi<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필름.
  2. 청구항 1에 있어서,
    표면 요철은 중심선 평균거칠기(Ra)가 0.05 내지 0.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필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수지는 열경화성 수지 또는 광경화형 수지이고, 상기 투광성 입자는 유기계 미립자 또는 무기계 미립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필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기계 미립자는 스티렌 중합체 및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필름.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무기계 미립자는 실리카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필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입자는 구형 또는 무정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필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입자는 0.1㎛ 내지 10㎛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필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입자는 상기 방현성 코팅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필름.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의 방현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의 방현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100069944A 2010-07-20 2010-07-20 방현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200096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944A KR20120009674A (ko) 2010-07-20 2010-07-20 방현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944A KR20120009674A (ko) 2010-07-20 2010-07-20 방현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674A true KR20120009674A (ko) 2012-02-02

Family

ID=45834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9944A KR20120009674A (ko) 2010-07-20 2010-07-20 방현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967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5531A1 (ko) * 2012-10-23 2014-05-01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방현 필름, 편광판 및 표시장치
KR20140137567A (ko) * 2013-05-23 2014-12-0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셀프어셈블리형 방현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99121A (ko) * 2018-02-16 2019-08-26 가부시키가이샤 산릿쯔 편광판 및 화상 표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5531A1 (ko) * 2012-10-23 2014-05-01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방현 필름, 편광판 및 표시장치
KR20140137567A (ko) * 2013-05-23 2014-12-0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셀프어셈블리형 방현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99121A (ko) * 2018-02-16 2019-08-26 가부시키가이샤 산릿쯔 편광판 및 화상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6658B1 (ko) 광확산성 시트, 광학소자 및 화상 표시장치
US8350988B2 (en) Anti-glare film, polarizing plate and transmission type LCD
TWI556021B (zh) 偏光板、畫像顯示裝置、及畫像顯示裝置之亮處對比之改善方法
US20090231713A1 (en) Laser pointer visibility improving film,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and laser pointer display method
WO2011027905A1 (ja) 光拡散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拡散性偏光板、ならびに液晶表示装置
US7589897B2 (en) Antiglare film
US2005003044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080038456A (ko) 반사방지필름, 그의 제조방법, 광학소자 및 화상표시장치
JP2010256888A (ja) 防眩フィルムの製造方法、防眩フィルム、偏光板、画像表示装置及び透過型/半透過型液晶表示装置
KR20120129643A (ko) 방현성 반사방지 코팅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현성 반사방지 필름, 편광판 및 표시장치
WO2012046662A1 (ja) 防眩性フィルム、防眩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TWI494613B (zh) 防眩膜、以及使用其之穿透型液晶顯示器及偏光板
JP2008268934A (ja) 光散乱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3092782A (ja) 光学積層体
JP2009103734A (ja) 防眩性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120112097A (ko) 광확산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이를 위한 도포액, 및 이것을 이용한 편광판, 액정 표시 장치
JP5176826B2 (ja) 防眩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透過型液晶ディスプレイ
JP2009048092A (ja) 光学積層体
KR20160037117A (ko) 광학 필름 및 그것을 구비한 편광판, 액정 표시 장치, 및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KR20120009674A (ko) 방현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JP2011081118A (ja) 防眩フィルム
KR20140040382A (ko) 방현 필름,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10027283A (ko) 방현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20038701A (ko) 광학적층체, 편광판 및 표시장치
JP2007086601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