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411A - 엔터테인먼트 장치 - Google Patents

엔터테인먼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411A
KR20090005411A KR1020087031989A KR20087031989A KR20090005411A KR 20090005411 A KR20090005411 A KR 20090005411A KR 1020087031989 A KR1020087031989 A KR 1020087031989A KR 20087031989 A KR20087031989 A KR 20087031989A KR 20090005411 A KR20090005411 A KR 20090005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housing
entertainment apparatus
entertainment
media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1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0542B1 (ko
Inventor
켄 쿠타라기
테이유 고토
Original Assignee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05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8Computer housing designed to operate in both desktop and tower ori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보다도 기능성을 향상시킨 외관 형상을 구비하는 엔터테인먼트장치 그 외의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는, 개략 타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길이방향이 설치면에 거의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고, 광디스크 등의 휴대형의 정보기억매체를 삽입하는 매체 삽입구(14, 26, 28, 30)가 형성되는 메인 하우징(main housing; 10)과, 상기 메인 하우징(10)의 하부에 부착되는 개략 상자 형상의 대좌부(臺座部; 52)를 구비한다.
Figure P1020087031989
엔터테인먼트 장치, 정보기억매체, 매체 삽입구, 메인 하우징, 대좌부

Description

엔터테인먼트 장치{ENTERTAINMENT DEVICE}
본 발명은 엔터테인먼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정용 엔터테인먼트장치나 그 외의 전자기기의 외관 형상의 기능성 향상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엔터테인먼트장치 그 외의 전자기기의 대부분은,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2001-77568호 공보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기기의 최전면(最前面)에 조작면을 배치하고, 이 조작면에 조작 버튼, 주변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단자 등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외관 형상에 따르면, 사용자는 조작 버튼이나 접속단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또한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장치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보다도 기능성을 향상시킨 외관 형상을 구비하는 엔터테인먼트장치 그 외의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장치는, 개략 타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길이방향이 설치면에 거의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며, 휴대형의 정보기억매체를 삽입하는 매체 삽입구가 형성되는 메인 하우징(main housing)과, 상기 메인 하우징의 하부에 부착되는 개략 상자 형상의 대좌부(臺座部; base portion)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장치에 따르면, 메인 하우징이 개략 타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타원기둥의 축방향)이 설치면에 거의 수평이 되도록 배치된다. 그 때문에, 오디오 보드(audio board)와 같은 수납 랙에 수용된 경우라도, 메인 하우징의 상부에 공간이 확보되므로,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냉각효율이 증가한다. 그 결과, 엔터테인먼트장치 그 외의 전자기기의 외관 형상의 기능성이 향상한다.
또한, 상기 대좌부는 평면으로 보아 상기 메인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 중 적어도 한쪽의 방향으로 오프셋(offset)하여, 상기 메인 하우징의 하부에 부착되어도 좋다. 이렇게 하면, 메인 하우징의 하부에도 확실하게 공간이 확보된다. 이 공간은 예를 들면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냉각이나, 본 엔터테인 먼트 장치의 배선에 도움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장치는, 휴대형의 정보기억매체를 삽입하는 매체 삽입구가 형성된 삽입구 형성면부와, 상기 매체 삽입구보다도 하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적어도 상기 삽입구 형성면부보다도 앞쪽 측에 거의 수평으로 넓어지는 프론트 보드부(front board portion)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기기는 예를 들면 가정용 게임기 등의 엔터테인먼트장치이며, 휴대형의 정보기억매체가 삽입되면, 상기 매체로부터 정보가 읽어 내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이 정보기억매체를 삽입하기 위한 매체 삽입구보다도 하측에 프론트 보드부가 구비되고, 이 프론트 보드부가, 적어도 매체 삽입구보다도 앞쪽 측(삽입방향과는 반대측)으로 넓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정보기억매체를 매체 삽입구에 삽입하거나, 혹은 매체 삽입구에서 정보기억매체를 꺼낼 때, 상기 매체가 직접 마루에 떨어져 버리는 것이 방지되며, 종래보다도 기능성이 향상한 외관 형상을 구비하는 엔터테인먼트 장치가 실현된다.
한편, 프론트 보드부의 면적을 정보기억매체의 면적보다도 크게 하면, 보다 확실하게 정보기억매체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매체 삽입구에 삽입하고자 하는 정보기억매체, 혹은 매체 삽입구에서 꺼낸 정보기억매체를 프론트 보드부에 임시로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보드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를 더 구비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프론트 보드부에 먼지가 쌓이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정보기억매체가 프론트 보드부에 닿더라도, 상기 매체에 먼지가 부착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 경우, 상기 커버는 상기 프론트 보드부의 상기 적어도 일부를 덮는 위치와 상기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위치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프론트 보드부의 상기 적어도 일부와 함께, 상기 매체 삽입구를 덮도록 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매체 삽입구로부터 엔터테인먼트 장치로 먼지가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엔터테인먼트 장치는, 세로 배치 및 가로 배치의 쌍방이 가능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삽입구 형성면부를 복수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복수의 삽입구 형성면부 중 1개에 형성된 상기 매체 삽입구의 하측에 배치된 프론트 보드부를 덮으며, 상기 복수의 삽입구 형성면부는, 상기 엔터테인먼트 장치가 가로 배치되는 경우에 가로방향으로 늘어섬과 아울러, 세로 배치되는 경우에 세로방향으로 늘어서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삽입구 형성면부 중 상기 1개는 상기 엔터테인먼트 장치가 세로 배치되는 경우에, 가장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이렇게 하면, 엔터테인먼트 장치가 세로 배치되었을 때, 가장 접지면에 가까우며, 먼지가 흩날리기 쉬운 프론트 보드부가 커버로 덮여진다.
본 발명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장치에 따르면, 메인 하우징이 개략 타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타원기둥의 축방향)이 설치면에 거의 수평이 되도록 배치된다. 그 때문에, 오디오 보드와 같은 수납 랙에 수용된 경우라도, 메인 하우징의 상부에 공간이 확보되므로,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냉각효율이 증가한다. 그 결과, 엔터테인먼트장치 그 외의 전자기기의 외관 형상의 기능성이 향상한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정면도, 도 3은 좌측면도, 도 4는 우측면도, 도 5는 배면도, 도 6은 상면도, 도 7은 저면도이다.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는 가로 배치 및 세로 배치의 쌍방이 가능한 것이다.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는, 가로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개략 타원기둥 형상의 메인 하우징(main housing; 10)과, 상기 메인 하우징(10)의 하부에 부착되며, 메인 하우징(10)을 측벽에 의해 지지하면서, 내부가 상기 메인 하우징(10)의 내부와 연통(連通)하고 있는 개략 상자 형상의 대좌부(臺座部; 52)로 구성된다. 이 메인 하우징(10)은, 그 길이방향이 설치면에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정보처리장치나 정보기억장치, 각종 미디어 드라이브장치 등은, 각각 이 메인 하우징(10)과 대좌부(52) 중 어느 한쪽 또는 쌍방에 걸쳐 수납되어 있다. 특히, 대좌부(52)에는 직사각형의 기반(基盤) 등이 효율 좋게 수납된다.
대좌부(52)의 전방에는, 하부가 전방을 향해서 돌출하는 프론트 스커트(front skirt; 64)가 형성되어 있어,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미관 및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를 놓았을 때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프론트 스커트(64)의 상방에는 복수의 USB단자(74)가 설치되며, 각 USB단자(74)의 우측에는, USB단자(74)가 동작하고 있을 때에 점등하여 사용자에게 어떠한 USB단자(74)가 동작하고 있는지를 통지하는 램프(74a)(예를 들면, LE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엔터테 인먼트 장치는 작동시 또는 슬립시(작동 대기시)에, 이 USB단자(74)에 접속되는 외부장치(예를 들면, 배터리를 내장하는 컨트롤러)도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램프(74a)는 충전시에는, 충전중이라는 뜻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색으로 점등하고, 배터리가 만충전(滿充電)에 이르렀을 때에는, 램프(74a)의 점등색이 변경되어, 사용자에게 만충전에 이른 것을 통지하도록도 되어 있다.
메인 하우징(10)의 가로 폭 및 세로 폭에 비해서, 대좌부(52)의 가로 폭 및 세로 폭은 각각 좁게 되어 있다. 대좌부(52)는 그 좌측면이 메인 하우징(10)의 좌측면과 개략 동일평면이 되도록 해서 부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대좌부(52)는 평면으로 보아 그 정면 및 우측면, 배면(109)이 각각 메인 하우징(10)의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하우징(10)의 전측(前側)에는, 전측 오버행(돌출)부(overhanging portion; 69)가 구비되어, 사용자는 상방에서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를 내려다 본 경우에는, USB단자(74)가 보이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대좌부(52)에는 프론트 스커트(64)가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는 이 프론트 스커트(64)를 눈으로 봄으로써, USB단자(74)에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주변기기의 단자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USB단자(74)의 접속부분 상방에는, 전측 오버행부(69)가 위치하여, 이 USB단자(74)의 접속부분을 보호하고 있다. 메인 하우징(10)의 후측(배면측)에는, 후측 오버행부(71)가 구비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대좌부(52)의 배면(109) 및 메인 하우징(10)의 배면(111)에도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에 접속하는 각종 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접속부분은, 메인 하우징(10)의 후측 오버행부(71)에 의해 보호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하우징(10)의 우측에는 오버행(돌출)부(68)가 구비된다.
메인 하우징(10)은 설치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배치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부재(6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프레임부재(60)는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강성을 확보하는 데 적절한 두께를 갖고 있다. 프레임부재(60)의 좌측 가장자리부에는, 타원판을 장축(長軸)으로 절단한 형상의 좌측 상측판(110)이 기립하도록 부착되며, 마찬가지로 타원판을 장축으로 절단한 형상의 좌측 하측판(112)이 수하(垂下)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우측 가장자리부에도, 타원판을 장축으로 절단한 형상을 갖는 우측 상측판(116)이 기립하도록 부착되며, 마찬가지로 타원판을 장축으로 절단한 형상을 갖는 우측 하측판(118)이 수하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만곡한 판 형상의 알루미늄 커버(56)가, 좌측 상측판(110) 및 우측 상측판(116)의 만곡한 상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부착되며, 이것에 의해 엔터테인먼트 장치(10)의 상면이 덮여 있다. 또한, 만곡한 알루미늄 커버(108)가 좌측 하측판(112) 및 우측 하측판(118)의 만곡한 하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부착되며, 이 알루미늄 커버(108)와 대좌부(52)에 의해, 메인 하우징(10)의 하면이 덮여 있다.
이렇게 해서, 알루미늄 커버(56 및 108)에 의해 개략 타원기둥 형상의 메인 하우징(10)의 타원 측면부분이 구성되며, 좌측 상측판(110) 및 좌측 하측판(112)에 의해 일단면 부분이 구성되고, 우측 상측판(116) 및 우측 하측판(118)에 의해 타단면 부분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알루미늄 커버(56, 108)는 각각 만곡함으로써, 메인 하우징(10)의 미관을 향상시키고, 메인 하우징(10)의 직경방향 외방에, 즉 메인 하우징(10)의 상방 및 하방에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키고 있다. 한편, 알루미늄 커버(56, 108), 좌측 상측판(110), 좌측 하측판(112), 우측 상측판(116) 및 우측 하측판(118)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압출에 의해 성형된다.
메인 하우징(10)은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가로 배치 상태에 있어서, 타원기둥 형상의 통체(筒體)의 전방에 노치(notch)가 형성된 형상을 갖고 있다. 이 노치부분은 메인 하우징(10)의 상면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커버(56)의 전방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되는 패널부재(12)의 전면(前面)과, 상기 패널부재(12)의 전면의 하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전방으로 넓어지며,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설치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형성되는 프론트 보드부(20, 22)로 구성되어 있다. 패널부재(12)는 그 경사하는 전면에 삽입구 형성면부(18, 24)를 갖고 있다. 한편, 프론트 보드부(20, 22)에 대해서는 뒤에 있어서 상세히 설명한다.
삽입구 형성면부(18)는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우측에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 형성면부(18)에는,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동작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주기억 매체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동작 프로그램은 광디스크에 기억되어 있으며, 삽입구 형성면부(18)에는 광디스크를 삽입하는 광디스크 삽입구(14)가 형성되어 있다. 광디스크 삽입구(14)의 안쪽부에는 자동 로딩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광디스크의 일부를 광디스크 삽입구(14)에 삽입하면,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가로 배치 상태에 있어서 설치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는 디스크 통로(82)(도 4 참조)를, 자동적으로 광디스크가 이동해서, 광디스 크 전체가 엔터테인먼트 장치 안에 받아들여진다(도 4 참조).
한편,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치면에 대하여 비평행이 되는 디스크 통로(82a)를 형성해도 좋다. 이때, 디스크 통로(82a)가 삽입구 형성면부(18)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형성됨으로써,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가로 배치시에는 사용자의 시선방향과 디스크 통로(82a)가 거의 평행하게 되어, 보다 기능성이 우수한 엔터테인먼트 장치가 실현된다. 한편, 삽입구 형성면부(24)는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좌측에 형성되며,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동작 프로그램으로 이용되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미디어를 삽입하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삽입구 형성면부(24)에는, 메모리 스틱(상표) 삽입구(26), SD(상표) 카드 삽입구(28) 및 콤팩트 플래시(등록상표) 카드 삽입구(30)가 좌측에서부터 이 순서로, 메인 하우징(10)의 길이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 형성면부(18)의 하단은 프레임부재(60)의 상면에 접속하고 있다. 프레임부재(60)의 내측에 형성되는 평평한 프론트 보드부(20)는 상기 삽입구 형성면부(18)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또한,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가로 배치 상태에서 설치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넓어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삽입구 형성면부(24)의 하단은 프레임부재(60)의 상면에 접속하고 있다. 프레임부재(60)의 내측에 형성되는 평평한 프론트 보드부(22)는, 상기 삽입구 형성면부(24)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또한,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가로 배치 상태에서 설치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넓어지고 있다.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에서는,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가로 배치 상태에 있어서, 이들 프론트 보드부(20, 22)의 상면이 각 미디어 (정보기억매체)의 삽입구의 하측으로 넓어지고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가 미디어를 삽입구에 삽입하거나, 혹은 삽입구에서 꺼낼 때에 손에서 미끄러진 경우라도, 프론트 보드부(20, 22)상에 미디어가 놓여, 마루까지 낙하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또한, 프론트 보드부(22)는 메모리 스틱이나 SD 카드의 면적보다도 넓게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미디어의 교환시, 사용자는 프론트 보드부(22)에 임시로 배치할 수 있으며, 편리성이 향상하고 있다. 또한, 각 미디어의 삽입방향은 프론트 보드부(20, 22)에 대하여 거의 평행하므로, 사용자는 이 프론트 보드부(20, 22)를, 각 미디어를 삽입할 때의 가이드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프론트 보드부(22) 및 삽입구 형성면부(24)는 개폐 커버(76)에 의해 덮여지도록 되어 있다. 개폐 커버(76)는 알루미늄 압출에 의해 형성되는, 만곡한 판 형상의 알루미늄 커버(3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알루미늄 커버(32)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된 커버 지지부재(36)에 부착되어 있다. 커버 지지부재(36)는 알루미늄 커버(32)의 이면에 접착되는 평판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커버 지지부재(36)의 한 변의 양단에는 힌지 암(hinge arm; 36L, 36R)이 부착되어 있다. 힌지 암(36L, 36R)은 삽입구 형성면부(24)의 좌우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힌지 암(36L, 36R)의 단부는 개폐축(78)에 의해 회동(回動)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도 3 참조). 또한, 프론트 보드부(22)의 좌우에는 스토퍼(40, 38)가 세워져서 설치되어 있으며, 개폐 커버(76)를 닫았을 때에, 알루미늄 커버(32)의 양단에 접촉한다. 스토퍼(40)는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세로 배치 상태에서는, 삽입구 형성면부(24)의 하측에서 전방으로 넓어진다. 이것에 의해, 사용 자는 각종 미디어를 상기 스토퍼(40)에 임시로 배치할 수 있으며, 편리성이 향상하고 있다.
스토퍼(40)의 더 측방(側方)에는 좌측 상측판(110)이 세워져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38)의 더 측방에는 칸막이판(62)이 세워져서 설치되어 있다. 칸막이판(62)은 알루미늄 압출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칸막이판(62)에 의해, 삽입구 형성면부(18)와 삽입구 형성면부(24)가 구획됨과 아울러, 프론트 보드부(20)와 프론트 보드부(22)가 구획되어 있다. 개폐 커버(76)가 폐위치(閉位置; closing position)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개폐 커버(76)의 좌측은 좌측판(110)에 의해 막히고, 우측은 칸막이판(62)에 의해 막힌다. 한편, 알루미늄 커버(32)의 상면에는, 앞쪽 측의 가장자리부에 미끄럼 방지용 돌기(34)가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상기 미끄럼 방지용 돌기(34)에 손을 댐으로써, 용이하게 개폐 커버(76)를 개폐할 수 있다.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에 따르면, 개폐 커버(76)는 프론트 보드부(22) 및 삽입구 형성면부(24)를 덮는 폐위치(도 3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나는 위치)와, 그들을 노출시키는 개위치(開位置; opening position)(도 3에 있어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나는 위치)를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메모리 스틱, SD 카드 또는 콤팩트 플래시를 삽입 또는 꺼내지 않을 때에 개폐 커버(76)를 폐위치로 함으로써, 프론트 보드부(22) 또는 스토퍼(40)에 먼지가 쌓이거나, 메모리 스틱 삽입구(26), SD 카드 삽입구(28) 및 콤팩트 플래시 삽입구(30)에 먼지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주용도가 광디스크에 기록 된 각종 콘텐츠의 재생·실행에 있는 경우에는, 광디스크의 이용에 필요한 광디스크 삽입구(14)만이 노출되고, 평소에는 다른 미디어의 삽입구가 개폐 커버(76)에 의해 막힘으로써, 초심자도 이용방법을 이해하기 쉽게 되어 있다.
계속해서, 메인 하우징(10)의 좌우 측면에 대해서 설명한다. 메인 하우징(10)의 좌측면에 배치된 좌측 상측판(110)에는 확장 인터페이스 커버(58)가 부착되어 있다. 사용자는 상기 확장 인터페이스 커버(58)를 벗겨, 하드디스크나 ROM 카트리지 등의 정보기억매체나, 통신 모듈, 센서 등의 주변기기를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도 3 참조). 그리고, 이 확장 인터페이스 커버(58)에 덮여지는 주변기기의 부착 위치는 메인 하우징(10)의 좌측면의 중심위치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에 주변기기가 장착되고,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가 세로 배치되면,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중심(重心)이 보다 하측에 집중하게 되어,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가 안정되게 설치된다.
또한,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세로 배치시에,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가 안정되게 설치되며, 또한, 설치면과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가 비접촉으로 됨으로써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냉각효과가 증가하도록, 메인 하우징(10)의 좌측면에는 세로 배치용의 돌기부(예를 들면, 고무제)가 형성되어 있다. 즉, 좌측 상측판(110)의 상측 가장자리부에는 돌기부(4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부재(60)의 메인 하우징(10)의 좌측면으로부터 노출한 부분에도 2개의 돌기부(42, 44)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메인 하우징(10)의 하부에 부착된 대좌부(52)의 좌측면에도 2개의 돌기부(48, 50)가 부착되어 있다. 세로 배치시에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는, 이들 돌기 부(42, 44, 46, 48, 50)에 의해 지지된다. 특히, 프레임부재(60)에 돌기부(42, 44)가 부착되므로,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는 안정적으로 세로 배치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좌부(52)의 저면(底面)에는 돌기부(70, 72, 80, 84)가 부착되어 있다.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가로 배치시에는,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는 이들 돌기부(70, 72, 80, 84)에 의해 지지된다.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메인 하우징(10)의 우측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우측 상측판(116) 및 우측 하측판(11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중, 우측 하측판(118)에는 다수의 통기구(66)가 개설되어 있다(도 2, 도 4 참조). 이 통기구(66)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팬이 설치되어,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를 냉각하고 있다. 통기구(66)는 가로 배치한 상태에서는 하측에 위치하고, 마루 등의 설치면에 가까운 부분에서는 통기구(66)의 수는 적으며, 또한 그 사이즈(개구면적)도 작아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통기구(66)는 설치면에 대하여 거의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의 열 위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통기구(66)는 설치면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그 열에 배치되는 통기구(66)의 수나 사이즈가 변화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통기구(66)로부터 공기를 배출할 때에는, 설치면에 쌓인 먼지가 그 공기에 의해 말려올라가기 어렵게 되어 있다. 반대로, 통기구(66)로부터 공기가 도입되는 경우에도, 설치면에 쌓인 먼지가 빨려들어가기 어렵게 되어 있다.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에서는, 메인 하우징(10)의 전측 및 후측뿐만 아니라, 메인 하우징(10)의 통기구(66)가 형성된 우측에도 오버행부(68)가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즉, 통기구(66)가 형성된 우측면과 대좌부(52)의 우측면은 동일평면 상에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대좌부(52)의 우측면은 메인 하우징의 우측면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 하우징(10)의 우측부의 하측에는 대좌부(52)가 부착되어 있지 않으며, 공중에 떠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통기구(66) 위 및 좌우방향뿐만 아니라, 하방향(下方向)도 공간이 확보되어,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최후로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배면에 대해서 설명한다. 배면에는, 각종 접속단자 및 스위치가 2단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각종 접속단자 등 중 하단에 배치되는 단자는, 2개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단자(96), AV단자(100), 광디지털단자(102), 주전원 스위치(104), 전원 케이블단자(106)이다. 이들은 대좌부(52)의 배면(109)에 좌측에서부터 이 순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종 접속단자 등 중 상단에 배치되는 단자는 2개의 USB단자(86), 3개의 이더(Ether)포트(90)이다. 이들은 좌측에서부터 순서대로 대좌부(52)의 배면(109)과 메인 하우징(10)의 평면형상 배면(111)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평면형상 배면(111)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하우징(10)의 최후단보다 전측(前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하우징(10)의 후측에는 후측 오버행부(71)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후측에 접속되는 각종 접속단자의 접속부분은 메인 하우징(10)에 의해 보호된다.
이상 설명한 엔터테인먼트 장치에 따르면, 메인 하우징(10)이 개략 타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타원기둥의 축방향)이 설치면에 대하여 거의 수평이 되도록 배치된다. 그 때문에, 오디오 보드와 같은 수납 랙에 수용된 경우라도, 메인 하우징(10)의 상부에 확실하게 공간이 확보되므로, 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냉각효율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광디스크 삽입구(14), 메모리 스틱 삽입구(26), SD 카드 삽입구(28), 콤팩트 플래시 삽입구(30)의 전방에 프론트 보드부(20, 22)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종 미디어의 취급 중에, 이들이 직접 마루에 떨어져 버리는 것이 방지되며,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편리성이 향상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게 있어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들의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Claims (2)

  1. 전체적으로 타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길이방향이 설치면에 거의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며, 휴대형의 정보기억매체를 삽입하는 매체 삽입구가 형성되는 메인 하우징(main housing)과,
    상기 메인 하우징의 하부에 부착되는 전체적으로 상자 형상의 대좌부(臺座部; base portion)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터테인먼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좌부는 평면으로 보아 상기 메인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 중 적어도 한쪽의 방향으로 치우쳐서, 상기 메인 하우징의 하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터테인먼트 장치.
KR1020087031989A 2005-05-15 2006-05-12 엔터테인먼트 장치 KR1009705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171591 2005-05-15
JP2005171591 2005-05-15
JPJP-P-2005-143333 2005-05-16
JP2005143333A JP4433412B2 (ja) 2005-05-15 2005-05-16 電子機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6427A Division KR100897983B1 (ko) 2005-05-15 2006-05-12 엔터테인먼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411A true KR20090005411A (ko) 2009-01-13
KR100970542B1 KR100970542B1 (ko) 2010-07-16

Family

ID=374311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1989A KR100970542B1 (ko) 2005-05-15 2006-05-12 엔터테인먼트 장치
KR1020077006427A KR100897983B1 (ko) 2005-05-15 2006-05-12 엔터테인먼트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6427A KR100897983B1 (ko) 2005-05-15 2006-05-12 엔터테인먼트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687711B2 (ko)
EP (1) EP1818753A4 (ko)
JP (1) JP4433412B2 (ko)
KR (2) KR100970542B1 (ko)
CN (1) CN102393789B (ko)
BR (1) BRPI0605871A (ko)
CA (2) CA2712872C (ko)
HK (1) HK1106307A1 (ko)
MX (1) MX2007000617A (ko)
MY (1) MY140863A (ko)
RU (1) RU2374676C2 (ko)
TW (1) TWI321483B (ko)
WO (1) WO20061235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4416B2 (ja) * 2007-06-08 2011-02-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記録再生装置
US20090190298A1 (en) * 2008-01-24 2009-07-30 Panas Dean Functional and ornamental cover for flash memory stick device
US8289722B2 (en) * 2009-04-02 2012-10-1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Electronic apparatus
CN201781135U (zh) * 2010-07-27 2011-03-30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电子装置
TWI462025B (zh) * 2011-11-30 2014-11-21 Wistron Corp 具有可動式插卡結構之卡讀取器及電子裝置
US9253902B2 (en) 2012-04-13 2016-02-02 Sony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US9105296B2 (en) 2012-04-13 2015-08-11 Sony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TWI540798B (zh) * 2012-11-09 2016-07-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連接器機構及其相關電子裝置
EP2972648A1 (en) * 2013-03-13 2016-01-20 Ergotron, Inc. Storage enclosure for electronic devices
USD742852S1 (en) * 2013-07-03 2015-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peaker
BR302014000417S1 (pt) * 2013-07-31 2014-09-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figuração aplicada à equipagem para receptor de tv
JP1586534S (ko) * 2016-09-23 2017-09-25
JP6824560B2 (ja) * 2017-03-31 2021-02-03 フクダ電子株式会社 医療機器の筐体構造
CN107819243B (zh) * 2017-09-19 2019-08-30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显示装置
USD940709S1 (en) * 2018-01-25 2022-01-11 Tecnologia Bancária S.A. Panel for banking equipment
CN109976476B (zh) * 2019-05-15 2024-04-26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安装M.2硬盘的锁紧结构及riser卡
CN111555221B (zh) * 2020-05-19 2021-05-07 湖南鑫源地信科技有限公司 一种城市电法勘探信号导线的蚌形接线盒的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3111A (ja) 1986-11-13 1988-05-26 Canon Inc パ−ソナルコンピユ−タ
JPH0538960A (ja) 1991-08-07 1993-02-19 Mazda Motor Corp 車両の動力伝達制御装置
JP2521294Y2 (ja) * 1991-10-29 1996-12-25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気機器の筐体
KR0130883Y1 (ko) * 1994-02-02 1998-12-15 김광호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버 착탈장치
JP3603338B2 (ja) 1994-08-30 2004-12-22 ソニー株式会社 カセット装填装置
USD432523S (en) * 1995-05-18 2000-10-24 Bose Corporation Music source central controller
JP2771477B2 (ja) 1995-06-14 1998-07-02 日本電気オフィスシステム株式会社 防塵カバー及び電子機器
AU130088S (en) * 1996-03-06 1997-05-26 Ericsson Business Mobile Networks B V Charging station for a portable telephone
USD410469S (en) * 1997-03-13 1999-06-01 Innomedia Pte Ltd. Modem
US5907127A (en) * 1997-08-29 1999-05-25 Lucent Technologies Inc. Enclosure for telecommunications applications having a configurable mounting plane
US6510226B1 (en) * 1997-11-24 2003-01-21 Lucent Technologies Inc. Dual network housing device
US6392872B1 (en) * 1999-03-15 2002-05-21 Emc Corporation Computer system
US6147859A (en) * 1999-08-18 2000-11-14 Ops, Inc. Modular external peripheral housing
JP4388174B2 (ja) 1999-09-06 2009-12-24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電子機器
JP3370978B2 (ja) 1999-09-10 2003-01-27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エンタテインメント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3639489B2 (ja) 2000-02-23 2005-04-20 東急車輛製造株式会社 カード処理装置
JP4501245B2 (ja) 2000-07-26 2010-07-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接続機器
CA96949S (en) * 2001-04-04 2002-10-30 Nokia Corp Communication device
USD457153S1 (en) * 2001-06-25 2002-05-14 Kef Audio (Uk) Limited Lifestyle stereo system
JP2003295971A (ja) 2002-03-29 2003-10-17 Denon Ltd 電子機器
JP2003347761A (ja) 2002-05-30 2003-12-05 Active:Kk 電子機器ケーシング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ンピュータ装置
US7329152B2 (en) * 2003-08-26 2008-02-12 Belkin International, Inc. Universal serial bus hub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D500299S1 (en) * 2004-01-15 2004-12-28 Sony Corporation Disc player
AU306419S (en) * 2005-05-16 2006-04-1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Arithmetic and control unit
AU306418S (en) * 2005-05-16 2006-04-1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Arithmetic and control unit
CN2821659Y (zh) * 2005-06-08 2006-09-2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顶盖旋转装置
US7304852B2 (en) * 2005-10-14 2007-12-04 Alltrade Tools Llc Inverter apparatus
AU313675S (en) * 2006-10-10 2007-04-17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Arithmetic and control unit
US7443691B1 (en) * 2007-09-07 2008-10-28 Davis Steven M Interior and exterior shell containing a printed circuit board with extending connector
USD595735S1 (en) * 2008-10-10 2009-07-07 Bose Corporation Combined audio and video switch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33412B2 (ja) 2010-03-17
RU2007146266A (ru) 2009-06-20
HK1106307A1 (en) 2008-03-07
JP2006350396A (ja) 2006-12-28
TWI321483B (en) 2010-03-11
RU2374676C2 (ru) 2009-11-27
KR100970542B1 (ko) 2010-07-16
MX2007000617A (es) 2007-03-30
WO2006123591A1 (ja) 2006-11-23
EP1818753A4 (en) 2012-10-03
KR100897983B1 (ko) 2009-05-18
US20080310082A1 (en) 2008-12-18
AU2006248530A1 (en) 2006-11-23
EP1818753A1 (en) 2007-08-15
TW200709832A (en) 2007-03-16
MY140863A (en) 2010-01-29
KR20070088529A (ko) 2007-08-29
CA2572428C (en) 2010-11-02
CA2712872A1 (en) 2006-11-23
BRPI0605871A (pt) 2007-12-18
CN102393789B (zh) 2014-02-19
CA2712872C (en) 2015-02-10
US7687711B2 (en) 2010-03-30
CN102393789A (zh) 2012-03-28
CA2572428A1 (en) 200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7983B1 (ko) 엔터테인먼트 장치
EP2998825B1 (en) Electronic device
KR100834314B1 (ko) 배터리 팩 및 이를 이용한 전자 기기
JP3725636B2 (ja) 携帯形電子機器
US5995377A (en) Reduced static raid enclosure
US20180166895A1 (en) Portable battery charger
US20070230102A1 (en) Modular computer housing
JP4814971B2 (ja) 電子機器
ES2299291B2 (es) Paquete de bateria y equipo electronico que usa el mismo.
WO2011007989A4 (en) Disk drive
KR100804045B1 (ko) 섀시프론트에 광디스크드라이버를 장착한 컴퓨터 케이스
JP3927472B2 (ja) パチンコ遊技機
JP7319323B2 (ja) 電子機器及び機器保持システム
JP2022045623A (ja) 冷蔵庫
JP3895951B2 (ja) 電池ケース及び該電池ケースを具えた電気機器
JP5896052B2 (ja) メモリカード保持装置及び撮像装置
JP5493740B2 (ja) メモリカード保持装置
JP5696241B2 (ja) メモリカード保持装置及び撮像装置
MXPA01004492A (en) Electronic device and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