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138A - 몰딩 공구용의 팽창 가능한 밀봉 장치 - Google Patents

몰딩 공구용의 팽창 가능한 밀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138A
KR20090005138A KR1020087026834A KR20087026834A KR20090005138A KR 20090005138 A KR20090005138 A KR 20090005138A KR 1020087026834 A KR1020087026834 A KR 1020087026834A KR 20087026834 A KR20087026834 A KR 20087026834A KR 20090005138 A KR20090005138 A KR 20090005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device
plunger
sleeve
inflatable sea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6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이너 야노타
Original Assignee
크라우스마파이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라우스마파이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크라우스마파이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005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1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46Sealings with packing ring expanded or pressed into place by fluid pressure, e.g. inflatable pack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0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sealing mea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B29C44/351Means for preventing foam to leak out from the foaming device during foa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8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6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positio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ealing Devic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 Encapsulation Of And Coatings For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리브(24) 내에서 가이드 되고 공기 공급부(44, 46)를 통해 공기 압력을 인가한 상태에서 확장될 수 있는 플런저(26) 그리고 상기 플런저(26)에 연결된 밀봉 튜브(34)를 구비한 팽창 가능한 밀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밀봉 튜브의 내부 공간이 공기 공급부(44, 46)에 연결됨으로써, 공기 압력의 인가시에 상기 밀봉 튜브(34)가 팽창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한된 행정이 사전에 결정되도록 상기 플런저(26)가 슬리브(24) 내에서 가이드 되는 방식이 제안된다.

Description

몰딩 공구용의 팽창 가능한 밀봉 장치 {INFLATABLE SEALING DEVICE FOR A DIE}
본 발명은 특허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몰딩 공구용의 팽창 가능한 밀봉 장치와 관련이 있다.
폴리우레탄-재료-코어를 사용해서 코팅된 플라스틱 제품, 특히 발포된 샌드위치-플라스틱 제품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제조 프로세스에서 하나의 공동부 내부로 예를 들어 외피를 형성하는 삽입 재료(삽입부)가 삽입되고, 가능하다면 내부면을 형성하는 표피가 삽입된다. 예를 들어 디프 드로잉 가공된 박막 그리고 알루미늄 부재 등과 같은 금속부일 수 있는 삽입부와 상기 표피 사이에서 공동부 안에는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어 발포성 재료,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재료가 삽입되며, 상기 재료는 열경화성으로 또는 열가소성으로 경화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경화 후에는 다양한 층들로 이루어진 샌드위치-제품이 형성된다; 전술된 예에서는 외피를 형성하는 삽입부 층, 코어를 형성하는 폴리우레탄-층 그리고 내부면을 형성하는 표피층이 존재한다.
삽입부와 표피 사이의 중간 공간을 채우는 경우에는, 특히 제조될 제품의 에지 영역에서 삽입부와 표피 사이의 발포성 재료가 주변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보장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서는, 발포성 재료 내에서 특정 압력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상기 두 가지 부분 사이에서 어떤 것도 주변으로 배출될 수 없도록, 삽입부 및 표피가 적어도 제품의 에지 영역에서 상호 고정 밀봉 방식으로 압축되어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밀봉 상태를 보장하기 위하여, 표피 및 삽입부의 상응하는 상호 압착을 보장해주는 밀봉 장치를 몰딩 공구 내부에 제공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밀봉 장치의 한 가지 변형예는 팽창 가능한 밀봉 튜브로서, 상기 밀봉 튜브는 분리면 측에서 하나의 몰드 절반 안에 삽입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는 표피에 대한 밀봉 튜브의 압착에 의해서 그리고 삽입부에 대한 표피의 반응으로서 표피와 삽입부 사이에 원하는 밀봉이 이루어진다. 밀봉 정도는 인가된 공기 압력에 의해서 결정된다. 밀봉 상태가 전제적으로 보장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밀봉 장치는 바람직하게 당연히 공동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제공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정확히 사전에 규정된 단부까지 밀봉이 보장되고 좁은 전이부까지도 밀봉될 수 있는, 전술한 유형의 팽창 가능한 밀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별도로 설치될 몰드 부분이 반드시 필요치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공구 몰드 내부로의 장착이 간단해야만 한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특징들에 의해서 해결된다.
특히 팽창 가능한 밀봉 장치는 슬리브 내에 수용된, 특히 슬리브 내에서 가이드 되고 공기 공급부를 통해 공기 압력을 인가한 상태에서 확장될 수 있는 플런저 그리고 상기 플런저에 연결된 밀봉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 튜브의 내부 공간이 공기 공급부에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공기 압력의 인가시에 상기 밀봉 튜브가 방사형으로 팽창된다. 본 발명에 따라 플런저는 제한된 행정이 사전에 결정되도록 슬리브 내에서 가이드 된다.
밀봉 튜브 및 행정 제한된 플런저로 구성된 조합 부품을 배치하면 간단한 방식으로 밀봉 장치의 정확하게 규정된 단부까지 밀봉이 보장되는데, 그 이유는 튜브 및 확장 가능한 플런저의 형태로 된 상기 밀봉부가 확정된 단부까지 "팽창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으로써, 좁은 전이부도 확실하게 밀봉될 수 있다. 더욱이 표준 라운드 튜브가 밀봉을 위한 부재로서 사용될 수 있음으로써, 과도한 비용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으로는 표피 및 삽입부의 손상을 방지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몰딩 공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팽창 가능한 밀봉 장치의 유닛들이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보장해주는 확장 가능한 플런저의 행정 제한이 독특성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행정 제한은, 플런저의 외부 둘레에 홈 및 리세스가 배치되고, 상기 홈 및 리세스 내부로 슬리브의 결합부가 돌출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홈 또는 리세스 그리고 결합부는 제한된 행정이 구조적으로 확정되도록 치수 설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교체된 부재들로써도 당연히 구현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하자면 슬리브의 내부 둘레에 홈이 제공되고, 상기 홈 내부로 플런저의 결합부가 돌출하거나 결합될 수 있다. 한 가지 중요한 점은, 리세스/홈 및 결합부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플런저의 동작을 위한 스토퍼가 구현된다는 것이다.
슬리브에 배치된 결합부를 형성하기 위한 간단한 구조물은 슬리브의 내부 홈 안에 고정 수용된 안전 링 또는 로킹 링이다.
장치의 밀봉 상태를 보장하기 위하여, 플런저와 슬리브 사이에 고유한 밀봉 장치가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O자형 링이 제공될 수 있는데, 상기 링은 플런저 또는 슬리브의 홈 안에 삽입되어 있다.
표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런저의 헤드 영역에는 바람직하게 플라스틱 코팅 또는 플라스틱 캡이 제공되며, 대안적으로는 고무 또는 상응하는 부드러운 재료도 제공된다.
밀봉 튜브의 충돌은 상기 밀봉 튜브의 내부 공간에 충전 코드(cord)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방지된다. 상기 충전 코드는 횡단면 상으로 볼 때 예를 들어 별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런저 내에는 유동 기술적으로 채널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채널은 밀봉 튜브가 삽입되는 팩 보어(pack bore)를 갖는 유동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채널의 다른 단부에서는 유동 방향으로 가면서 점차 좁아지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점차 좁아지는, 예를 들어 원추형으로 형성된 유입구에 의해서는, 인가되는 공기 압력에 따라서 플런저를 위로 밀어 올려주고 삽입부를 향해 표피를 프레스 하는 파워가 결정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장점들 및 특징들은 종속 청구항에 규정되어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 그리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삽입부, 표피 및 발포제를 갖는 폐쇄된 몰딩 공구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삽입부와 표피 사이의 단부들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장치에 의해서 밀봉되며,
도 2는 몰드로부터 인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밀봉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고,
도 3은 도 2에 따른 팽창 가능한 밀봉 장치의 분해도며,
도 4는 충전 코드를 갖는 밀봉 튜브의 횡단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도 2에 따른 밀봉 장치를 위한 슬리브의 사시도며,
도 6은 본 발명의 도 2에 따른 밀봉 장치를 위한 플런저의 사시도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장치의 플런저 내에 있는 공기 채널의 개략도며,
도 8은 나란히 배치되고 밀봉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는 본 발명의 도 2에 따른 두 개의 밀봉 장치의 개략도고,
도 9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팽창 가능한 밀봉 장치의 분해도며,
도 9b는 도 9a에 따른 밀봉 장치를 조립된 상태에서 보여주는 개략도고,
도 10은 도 9a에 따른 밀봉 장치에서 밀봉을 위한 밀링 윤곽의 상세도며,
도 11은 도 9a에 따른 밀봉 장치를 조립된 상태에서 절단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장치 또는 상기 밀봉 장치의 한 부분이 어떻 게 작용하는지가 매우 개략적인 방식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부 공구 절반(12) 및 상부 공구 절반(14)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공구 절반들은 폐쇄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자신들 사이에 몰드 공동부를 형성한다. 상기 몰드 공동부 내부에는 한편으로는 상기 상부 공구 절반(14)에 접하는 삽입부(16) 그리고 상기 하부 공구 절반(12)의 공동부 면에 접하는 표피(18)가 삽입되어 있다. 삽입부(16)와 표피(18) 사이에는 경화되는 폴리우레탄-재료가 삽입되어 있음으로써, 경화 후에는 전체적으로 볼 때 삽입부, 폴리우레탄-코어 및 표피로 구성된 샌드위치 형태의 제품이 제조된다.
경화 전에 가소성의 폴리우레탄-재료 또는 액체 폴리우레탄-재료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포성 몰드의 에지 영역에 밀봉 장치(22)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밀봉 장치는 도 1에서 단지 밀봉 튜브의 단면도에서만 볼 수 있다. 밀봉 장치(22)는 하부 공구 절반(12)의 홈 또는 리세스 안에 수용되어 있고, 분리 평면에서 공동부 둘레를 실질적으로 완전히 둘러싸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팽창 가능한 밀봉 장치(22)에 대한 세부 내용들은 도 2 내지 도 7에서 알 수 있으며, 모든 도면에서 라운드 밀봉 튜브(34)는 길이가 단축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실제 실시예에서는 상기 라운드 밀봉 튜브(34)가 훨씬 더 길게 구현될 수 있다.
밀봉 장치(22)는 슬리브(24) 또는 부시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 또는 부시 내에는 플런저(26)가 제한된 행정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수용되어 있다. 추후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팽창 가능한 라운드 밀봉 튜브(34)는 헤드 영역에서 플런저(26)에 연결되어 있다. 도 3, 도 5 및 도 6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24)는 내부 홈을 갖고, 상기 내부 홈 안에는 로킹 링(32)이 고정 삽입되어 있다. 플런저(26)는 다른 측에서 중간 영역에 링 형태의 계단식 홈(40) 또는 리세스를 구비한다. 상기 계단식 홈(40)의 상부에서는 플런저의 헤드 영역이 연장된다. 상기 계단식 홈(40)의 하부에서는 상기 플런저의 실질적으로 원통형 부분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통형 부분 내에서 실질적으로 중앙에는 깊이가 덜 깊은 추가의 환상 홈(38)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환상 홈(38) 안에 O자 링(30)이 삽입되어 있다.
플런저(26) 및 부시(24)를 조립하는 경우에는 상기 로킹 링(32)이 상기 계단식 홈(40)의 영역 안으로 연장되며, 이 경우에는 플런저(26)의 원통형 하부와 상기 로킹 링(32)의 연결에 의해서 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는 플런저(26)가 슬리브(24)로부터 위로 과도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행정을 제한한다. 행정 제한은 다른 무엇보다도 도 8에 철자 A 및 B로 지시되어 있고, 예를 들어 5 mm의 범위 안에서 선택될 수 있다.
플런저(26)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대략 5 mm의 이동성을 갖는다. 플런저의 헤드 영역에는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은 팩 보어(4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팩 보어(48) 내에는 라운드 밀봉 튜브(34)의 개방된 단부가 수용되어 있다.
상기 보어(48)는 공기 채널(44)을 규정하는, 플런저(26) 내에 있는 추가의 보어와 도 7에 도시된 방식으로 유동에 따라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공기 채널(44)은 팩 보어(48)에 마주 놓인 단부에서 원추형 확장부(46)로 넘어가거나 또는 유동 방향으로 볼 때는 협착부로 넘어간다. 그럼으로써, 상기 원추형 확장부(46)는 본 경우에 플런저(26)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조립된 상태에서 플런저(26)의 헤드 주변에는 플라스틱 코팅(28)이 배치되어 있다. 더욱이 라운드 밀봉 튜브(34)의 내부에는 충전 코드(36)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충전 코드는 -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 실질적으로 별 모양의 횡단면을 갖는다.
팽창 가능한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장치(22)의 기능 방식은 도 2에서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공기가 예정된 압력으로 하부로부터 플런저(26)에 공급되면, 유동에 따라 원추형으로 형성된 협착부(26)는 상기 플런저(26)가 공기 압력에 따라 위로 밀려지도록 그리고 상기 플런저의 플라스틱 코팅(28)에 의해 표피(18)가 삽입부(16)를 향해 프레스 되도록 작용한다. 플런저(26)의 헤드부의 플라스틱 캡 또는 상응하는 코팅 때문에 표피(18)의 손상이 피해진다. 공기는 채널(44) 및 팩 보어(48)를 통해 라운드 밀봉 튜브(34)의 내부에 도달하게 되고, 상기 라운드 밀봉 튜브는 공기 압력에 상응하게 방사형으로 팽창되는 동시에 표피(18)도 마찬가지로 삽입부(16)를 향해 프레스 된다. 전체적으로 볼 때 매우 날카로운 한계부까지 선 형태의 밀봉이 성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한 측에서는 플런저(26)의 코팅 제한된 단부에 의해서 제한이 이루어지고, 다른 측에서는 튜브 단부에 의해서 제한이 이루어진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상응하는 밀봉 장치(22 및 22')가 상호 인접 배치되면, 두 개의 밀봉 장치들 사이에서 거의 무선으로 밀봉 전이가 이루어 질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상응하게 정렬된 경우에는 두 개의 플런저(28 및 28')가 서로 직접 이웃하여 표피(18)를 삽입부(16)로 압착하기 때문이다. 추가 진행에서는 표피(18)가 두 개의 라운드 밀봉 튜브(24 및 24')를 통해 삽입부(18)로 프레스 된다. 이 경우 슬리브는 또한 공구의 부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슬리브는 반드시 고유한 부품으로 제공될 필요는 없다.
도 9a 내지 도 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장치의 추가의 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는 전술한 도 2 내지 도 8에 따른 밀봉 장치의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 부호에 '가 첨가된 도면 부호를 갖는 유사한 부분들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장치(22')는 재차 슬리브(24') 또는 부시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 또는 부시 내에는 플런저(26')가 제한된 행정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수용되어 있다. 추후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팽창 가능한 라운드 밀봉 튜브(34')는 헤드 영역에서 플런저(26')에 연결되어 있다.
플런저(26')는 하부 스톱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스톱 플랜지에 의해 상기 플런저는 조립된 상태에서 슬리브(24')의 상부 최종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상기 스톱 플랜지 상부에는 플런저(26')의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부분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통형 부분 안에서 실질적으로 중앙에는 깊이가 덜 깊은 추가의 환상 홈(38')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환상 홈(38) 안에 O자 링(30')이 삽입되어 있다.
또한, 슬리브(24')의 하부 영역에는 O자 환상 밀봉부(50)를 위한 밀봉 리세스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밀봉 리세스의 윤곽은 도 10에서 알 수 있다. 상기 O 자 환상 밀봉부(50)는 장착된 상태에서 슬리브(24')를 몰딩 공구에 대하여 밀봉시킨다.
플런저(26') 및 슬리브(24')의 조립 후에는 밀봉 장치(22')가 공구의 상응하는 리세스 안으로 삽입된다(도 11 참조). 상기 공구는 슬리브 수용부 영역에 내부 나사선을 갖는 보어(62)를 구비하며, 상기 보어 안에 스터드 스크루(60)(stud screw)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밀봉 장치(22')를 삽입한 후에는 슬리브(24')가 상기 스터드 스크루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슬리브(24')의 원하는 위치 설정은 상기 슬리브의 축 방향으로 가능하다.
플런저(26')는 슬리브(24') 내부의 고정된 영역 안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나의 스토퍼는 플런저를 위해 공구에 의해서 결정되고, 하나의 스토퍼는 슬리브(24')의 하단부에 의해서 결정된다. 상기 플런저(26')의 각각의 스톱 플랜지가 상기 스토퍼에 대하여 설치된다. 슬리브(24')의 조정 상태에 따라 밀봉 장치(22)의 플런저(26')는 다소 멀리 더 위로 이동할 수 있다.
슬리브(24')의 나사 고정에 의해서 전체 밀봉 장치(22')는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특수한 공구가 전혀 필요 없고, 더욱이 안전 구조에 의해서 큰 공간이 요구되지 않는다.
행정 제한은 재차 5 mm의 범위 안에서 선택될 수 있다. 플런저(26')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재차 약 5 mm의 이동성을 갖는다. 플런저의 헤드 영역에는 - 제 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 팩 보어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팩 보어(48) 내에는 라운드 밀봉 튜브(34')의 개방된 단부가 수용되어 있다.
상기 팩 보어는 공기 채널(44')을 규정하는, 플런저(26') 내에 있는 추가의 보어와 유동에 따라 연결된다. 공기 채널(44')은 팩 보어에 마주 놓인 단부에서 원추형의 확장부로 넘어가거나 또는 유동 방향으로 볼 때는 협착부로 넘어간다. 따라서, 이와 같은 원추형 확장은 본 경우에는 플런저(26')의 하단부에서 형성된다.
조립된 상태에서 플런저(26')의 헤드 둘레에는 플라스틱 코팅(28')이 배치되어 있다. 더욱이 라운드 밀봉 튜브(34') 내부에는 충전 코드(36')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충전 코드는 재차 실질적으로 별 모양의 횡단면을 갖는다.
팽창 가능한 밀봉 장치(22')의 기능 방식은 도 11에서 알 수 있다. 공기가 예정된 압력으로 하부로부터 플런저(26')에 공급되면, 유동에 따라 원추형으로 형성된 협착부는 상기 플런저(26')가 공기 압력에 따라 위로 밀려지도록 그리고 상기 플런저의 플라스틱 코팅(28')에 의해 표피가 삽입부를 향해 프레스 되도록 작용한다. 플런저(26')의 헤드부의 플라스틱 캡 또는 상응하는 코팅 때문에 표피의 손상이 피해진다. 공기는 채널(44') 및 팩 보어를 통해 라운드 밀봉 튜브(34')의 내부에 도달하게 되고, 상기 라운드 밀봉 튜브는 공기 압력에 상응하게 방사형으로 팽창되는 동시에 표피도 마찬가지로 삽입부를 향해 프레스 된다. 전체적으로 볼 때 매우 날카로운 한계부까지 선 형태의 밀봉이 성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한 측에서는 플런저(26')의 코팅 제한된 단부에 의해서 제한이 이루어지고, 다른 측에서는 튜브 단부에 의해서 제한이 이루어진다.
전체적으로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장치는 팽창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밀봉 장치의 규정된 단부까지 확실한 밀봉을 보장해 줄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좁은 전이부도 밀봉될 수 있다. 표준 라운드 튜브를 밀봉 장치 내부에 밀봉부로서 사용하는 것은 비용 절감 효과를 낳는다. 더욱이 플런저는 행정 제한으로 인해 서로 충돌하지 않고, 원치 않은 형태로 위로 확장하지도 않는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몰딩 공구 12: 하부 공구 절반
14: 상부 공구 절반 16: 삽입부
18: 표피 20: 폴리우레탄-포움(PUR-포움)
22, 22': 팽창 가능한 밀봉 장치
24, 24': 슬리브 26, 26': 플런저, 황동 볼트
28, 28': 플라스틱 캡 또는 플라스틱 코팅
30, 30': O자 링 32: 로킹 링
34, 34': 라운드 밀봉 튜브 36, 36': 충전 코드
38: O자 링을 위한 홈
40: 로킹 링을 위한 플런저(황동 볼트) 내에 있는 계단식 홈
42: 로킹 링을 위한 슬리브 내에 있는 내부 홈
44, 44': 공기 채널
46: 공기 채널을 위한 원추형 유입구
48: 라운드 밀봉 튜브를 위한 보어
50: O자 환상 밀봉부
52: 슬리브 절개면
54: O자 환상 밀봉부를 위한 밀링 리세스
60: 스터드 스크루 62: 보어
A: 라운드 밀봉 튜브와 표피의 간격
B: 팽창 반경

Claims (11)

  1. 슬리브(24, 24') 내에 수용되어 있고 공기 공급부(44, 46; 44')를 통해 공기 압력을 인가한 상태에서 확장될 수 있는 플런저(26, 26') 그리고 상기 플런저(26, 26')에 연결된 밀봉 튜브(34, 34')를 구비하며, 상기 밀봉 튜브의 내부 공간이 공기 공급부(44, 46; 44')에 연결됨으로써, 공기 압력의 인가시에 상기 밀봉 튜브(34, 34')가 팽창하도록 구성된, 팽창 가능한 밀봉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26, 26')는 제한된 행정이 사전에 결정되도록 슬리브(24, 24') 내에서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가능한 밀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26)의 외부 둘레에는 홈(40) 또는 리세스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홈 또는 리세스 안으로는 슬리브(24)의 결합부(32)가 돌출하며, 상기 홈(40) 또는 리세스의 치수는 상기 결합부(32)와 함께 제한된 행정이 결정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가능한 밀봉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외부 둘레에는 결합부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는 슬리브의 홈 또는 리세스 안으로 돌출하며, 상기 홈 또는 리세스의 치수는 상기 결합부와 함께 제한된 행정이 결정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가능한 밀봉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슬리브(24)의 내부 홈(42) 안에 수용된 안전 링 또는 로킹 링(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가능한 밀봉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24')는 해체 가능한 나사, 특히 스터드 스크루(62)에 의해서 공구 내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가능한 밀봉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지(26, 26')의 외부 둘레에 또는 상기 슬리브(24, 24')의 내부 둘레에는 홈(38, 38')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홈 안으로 밀봉 링, 특히 O자 링(30, 30')이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밀봉 링은 플런저(26, 26')와 슬리브(24, 24') 사이에서 밀봉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가능한 밀봉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을 야기하고 몰딩 공구의 삽입부를 향하여 프레스 작용하는 상기 플런저(26, 26')의 헤드부에는 플라스틱 코팅, 플라스틱 캡(28, 28'), 고무 코팅 또는 상응하게 탄성적인 재료로 이루어진 코팅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가능한 밀봉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튜브(34, 34')의 내부 공간에는 충전 코드(36, 36')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가능한 밀봉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코드(36, 36')는 횡단면 상으로 볼 때 별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가능한 밀봉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26, 26') 내에는 채널(44, 44')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채널은 팩 보어(48)와 유동 결합하며, 상기 팩 보어 안으로 상기 밀봉 튜브(34, 34')의 한 단부가 삽입되거나 또는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가능한 밀봉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팩 보어(48)에 마주 놓인 상기 채널(44, 44')의 단부에는 유동 방향으로 가면서 점차 좁아지는, 특히 원추형으로 형성된 유입구(46)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가능한 밀봉 장치.
KR1020087026834A 2006-04-01 2007-02-16 몰딩 공구용의 팽창 가능한 밀봉 장치 KR200900051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15184A DE102006015184A1 (de) 2006-04-01 2006-04-01 Aufblasbare Dichtvorrichtung für ein Formwerkzeug
DE102006015184.4 2006-04-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138A true KR20090005138A (ko) 2009-01-12

Family

ID=37981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6834A KR20090005138A (ko) 2006-04-01 2007-02-16 몰딩 공구용의 팽창 가능한 밀봉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80315533A1 (ko)
EP (1) EP2005042B1 (ko)
JP (1) JP2009532642A (ko)
KR (1) KR20090005138A (ko)
CN (1) CN101395414B (ko)
AT (1) ATE444462T1 (ko)
CA (1) CA2646523A1 (ko)
DE (2) DE102006015184A1 (ko)
PT (1) PT2005042E (ko)
WO (1) WO20071130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26743B1 (fr) * 2008-01-30 2012-12-28 Faurecia Interieur Ind Moule pour la fabrication d'une planche de bord en matiere plastique
EP2279843B1 (en) * 2008-05-28 2019-02-27 Bridgestone Corporation Mold for foam molding and foam molding method
IT1393100B1 (it) * 2009-02-20 2012-04-11 Crios S P A Ora Cannon Ergos S P A Metodo e apparecchiatura per la schiumatura sottovuoto di armadi frigoriferi.
EP2907643B1 (de) * 2014-02-13 2019-06-12 FRIMO Group GmbH Dichteinrichtung
DE102015111078B4 (de) * 2015-07-09 2017-09-14 Kraussmaffei Technologies Gmbh Schäumwerkzeug mit fahrbarem Dichtungsendstück
DE102016104693B4 (de) * 2016-03-15 2021-05-06 Kraussmaffei Technologies Gmbh Schäumwerkzeug mit aufblasbarem End-/Anschluss-/Verschlussstück und Verfahren zum Abdichten eines Schäumwerkzeugs
US10882227B2 (en) * 2018-05-23 2021-01-05 Faurecia Interior Systems, Inc. Foam mix-head bush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vehicle interior panel with the bushing
CN110497562A (zh) * 2019-08-30 2019-11-26 中国商用飞机有限责任公司 组合模具的密封装置和组合模具的密封方法
CN111231207B (zh) * 2020-03-30 2020-08-25 安徽森泰木塑科技地板有限公司 一种pvc实心发泡地板的模具
CN111421738A (zh) * 2020-06-15 2020-07-17 常源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平面封胶式微开模发泡注塑模具
US20230228040A1 (en) * 2020-09-01 2023-07-20 Dow Global Technologies Llc Molding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elastomeric pads for use as rail tie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29050A (en) * 1942-08-19 1943-09-07 Humphreys Hanna Raymond Stuffing box
JPS6069867U (ja) * 1983-10-20 1985-05-17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シリンダ構造
JPS62121160U (ko) * 1986-01-24 1987-07-31
JPH0268180A (ja) * 1988-08-24 1990-03-07 Vses N I Proekt Inst Mekh Obrabotki Poleznyk 振動ふるい機
JPH0589909U (ja) * 1992-05-01 1993-12-07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流体圧シリンダ
FR2691100A1 (fr) * 1992-05-18 1993-11-19 Ecia Equip Composants Ind Auto Pièce moulée et procédé et moule pour sa fabrication.
JPH071387U (ja) * 1993-06-07 1995-01-10 堤 繁 ホースが捻れ折れるのを防止する補強用芯線
DE29612132U1 (de) * 1996-07-12 1996-09-12 Heidel Gmbh & Co Kg Form zur Herstellung von Kunststoffformteilen, insbesondere hinterschäumten Formteilen aus Polyurethan
US6315295B1 (en) * 1997-03-04 2001-11-13 Magna International Investments (Barbados) Inc. Inflatable seals
JP2000088014A (ja) * 1998-09-09 2000-03-28 Sumitomo Electric Ind Ltd 浮動型ディスクブレーキ
DE19916789C1 (de) * 1999-04-15 2000-09-21 Fritsche, Moellmann Gmbh & Co Kg Dichtvorrichtung
DE10220842B4 (de) * 2002-05-08 2005-06-16 Frimo Group Gmbh & Co. Dichteinrichtung
DE102004038114B4 (de) * 2004-08-03 2008-08-28 Frimo Group Gmbh Dichteinrichtung für den Spalt zwischen zwei benachbarten, unnachgiebigen Maschinenteilen
AT8084U1 (de) * 2005-01-19 2006-01-15 Alba Tooling & Engineering Gmb Dichtein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6015184A1 (de) 2007-10-11
EP2005042A1 (de) 2008-12-24
WO2007113042A1 (de) 2007-10-11
ATE444462T1 (de) 2009-10-15
JP2009532642A (ja) 2009-09-10
CN101395414B (zh) 2011-04-13
DE502007001640D1 (de) 2009-11-12
CN101395414A (zh) 2009-03-25
CA2646523A1 (en) 2007-10-11
US20080315533A1 (en) 2008-12-25
EP2005042B1 (de) 2009-09-30
PT2005042E (pt) 200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5138A (ko) 몰딩 공구용의 팽창 가능한 밀봉 장치
US11771022B2 (en) Sealed connection for fluid conduit parts
KR20140075690A (ko) 액체 펌프, 피스톤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HU228786B1 (en) Sealing ring
US10788059B2 (en) Multi-purpose and tunable pressure chamber for pyrotechnic actuator
JP5965742B2 (ja) 吐出容器
JP6498360B2 (ja) 管の製造法ならびに射出成形装置
KR20210013245A (ko) 블로우 몰딩 방법 및 장치
KR20170020772A (ko) 유압 실린더, 그 제조 방법 및 상기 실린더를 포함하는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
JPH079542A (ja) 蛇腹部をもつホースの製造方法
CA3061813C (en) Dispenser container
US20170361552A1 (en) Tire mold and vent insert having corresponding surfaces
US20170204845A1 (en) Air Compressor
US9937654B2 (en) Molding device of inbuilt component fixing section of fuel tank
US10766171B2 (en) Controlling the formation of imperfections due to polymeric shrinkage during molding operations
US9090007B2 (en) Composite component and a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the composite component
KR101738617B1 (ko) 부분 미발포 및 발포 사출 성형용 금형
KR102405725B1 (ko) 연결구, 연결 조립체 및 타이어 수리 기계
JP4161407B2 (ja) ポンプディスペンサのアキュムレータの製造方法及び成形型
KR101530854B1 (ko) 하이드로포밍 장치
TWI541438B (zh) The combination of inflatable mouth
CN107405799B (zh) 用于熔融塑料的密封系统
CN112606366A (zh) 具有安装特征的容器
US20160185495A1 (en) Closure having a mandrel for a container
KR200205200Y1 (ko) 자동차용 마스터 실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