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447A - 다이얼위치고정장치, 상기 다이얼위치고정장치에 의해고정되는 땀수조절다이얼장치, 및 상기땀수조절다이얼장치가 장착된 미싱 - Google Patents

다이얼위치고정장치, 상기 다이얼위치고정장치에 의해고정되는 땀수조절다이얼장치, 및 상기땀수조절다이얼장치가 장착된 미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447A
KR20090004447A KR1020080032333A KR20080032333A KR20090004447A KR 20090004447 A KR20090004447 A KR 20090004447A KR 1020080032333 A KR1020080032333 A KR 1020080032333A KR 20080032333 A KR20080032333 A KR 20080032333A KR 20090004447 A KR20090004447 A KR 20090004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fixing
stitch
sewing machine
s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2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6540B1 (ko
Inventor
김선욱
Original Assignee
썬스타 산업봉제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스타 산업봉제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썬스타 산업봉제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0810126167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1338497B/zh
Publication of KR20090004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22Work-feeding means with means for setting length of stitch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4Control of needle movement, e.g. varying amplitude or period of needle movem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20Control devices responsive to the number of stitches mad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 D05B69/32Vibration-minimis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305/00Operations on the work before or after sewing
    • D05D2305/32Measuring
    • D05D2305/36Quality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싱용 땀수 조절 다이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싱 작동중에 땀수 조절 다이얼이 겉돌아서 땀수 불량에 의해 봉제품의 불량이 초래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단순한 구조를 가진 다이얼위치고정장치, 상기 다이얼위치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땀수조절다이얼장치, 및 상기 땀수조절다이얼장치가 장착된 미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이얼위치고정장치, 상기 다이얼위치고정장치로 고정된 땀수조절다이얼장치 및 상기 땀수조절다이얼장치가 장착된 미싱에 의하면, 미싱 작업중에 땀수 조절 다이얼의 오작동으로 인한 땀수 불량을 방지하여 봉제물의 불량을 초래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불량품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 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이얼위치고정장치, 상기 다이얼위치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땀수조절다이얼장치, 및 상기 땀수조절다이얼장치가 장착된 미싱{fixing apparatus of stitch dial position, stitch dial control apparatus fixed by the fixing apparatus, and sewing machine including the stitch dial control arrpratus}
본 발명은 미싱용 땀수 조절다이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싱 작동중에 땀수 조절용 다이얼이 겉돌아서 땀수 불량에 의해 봉제품의 불량이 초래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단순한 구조를 가진 다이얼위치고정장치, 상기 다이얼위치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땀수조절다이얼장치, 및 상기 땀수조절다이얼장치가 장착된 미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싱은 봉제물에 봉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기계장치로서, 미싱용 테이블에서 재봉용 바늘이 신속하게 승강되면서 봉제품을 재봉하게 된다. 이때, 봉제품에 박음질된 재봉실의 간격을 땀이라 하는데, 봉제품에 따라 땀수를 조절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러한 미싱은 본체와, 이 본체의 하측에 승강구동장치를 통해 고속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재봉용 바늘과, 상기 본체에 내장된 땀수조절장치에 연결되어 본체 에 노출 설치된 땀수 조절용 다이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다이얼을 전면에 표시된 숫자만큼 회전시키면 봉제용 바늘이 다이얼에 표시된 숫자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승하강 작동되므로, 봉제물의 땀수가 다이얼에 표시된 숫자대로 조절될 수 있다.
종래에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싱의 땀수 조절다이얼 장치의 주요 부분에 대해 설명하면, 미싱본체(20)에는 축홀(21)과 핀홀(22)을 형성하며, 상기 축홀(21) 결합되며 전면에 땀수표시부(12)와 중앙에 고정볼트(13)로 고정된 축부재(11)와 상기 땀수표시부(12)의 후단부에는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돌편(14)이 형성된 다이얼(10)과, 상기 다이얼(10)의 걸림돌편(14)에 걸려지도록 상기 미싱본체(5)의 핀홀(22)에 스톱퍼핀(23)이 고정되도록 설치된 것이다.
다이얼(10)의 전면 땀수표시부(12)에는 원주 방향으로 땀수 표시용 숫자가 인쇄된다. 한편, 다이얼의 축부재는 미싱 본체에 내장되고 다이얼은 미싱 본체로 노출설치된다.
또한, 미싱본체(20)의 내부에는 다이얼(10)의 끝단과 접촉되어 봉제물의 재봉 방향이 바뀜에 따라 제자리에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동되는 조절블록(24)이 구비되며, 상기 다이얼의 배면에 형성된 걸림돌편에는 스톱퍼핀이 걸려진다. 이러한 스톱퍼핀과 조절블록을 미싱 본체에 내장하는 구성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미싱의 땀수 조절다이얼 장치에 의하면, 다이얼의 회전수에 따라 봉제용 바늘의 승하강 간격이 달라지는데, 예컨데, 다이얼의 눈금을 1에서 2로 회전시키면, 스톱퍼핀의 전단부가 다이얼 배면의 걸림돌편에 걸리므로, 다이얼이 눈금 2의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처럼 다이얼을 1에서 2로 회전시켜 놓으면, 봉제용 바늘에 의해 형성되는 봉제품의 땀수가 더 늘어나게 된다. 즉, 다이얼의 회전수에 따라 봉제품의 땀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봉제품의 박음질된 봉제용실이 풀어지지 않도록 재봉 부분의 시작단과 끝단은 수차례 반복적으로 박음질하여 마무리하게 된다. 즉, 봉제품의 시작단과 끝단에서는 봉제품을 수차례 전후진(즉, 전진, 후진, 전진, 후진 ....)하는 방식으로 재봉하여 봉제품의 박음질된 부분의 시작단과 끝단을 마무리하는 것이며, 이러한 마무리 과정에서는 봉제품의 재봉 방향이 바뀌게 된다. 그리고, 봉제품을 박음질할 때 재봉 방향이 바뀌는 경우가 많은데, 예를 들면, 봉제품에 재봉실을 지그재그 방향으로 박음질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처럼 봉제품에 대한 재봉 방향이 바뀔 때에는 미싱의 땀수 조절장치를 구성하는 조절블록이 제자리에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순간적으로 다이얼의 축부재 끝단을 타격하게 된다. 즉, 재봉 방향이 바뀔때마다 조절블록이 다이얼의 축부재 끝단을 타격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스토퍼핀에 의해 다이얼을 정해진 회전각도로 고정하도록 지지하기는 하지만, 조절블록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순간적으로 다이얼의 축부재를 타격하면, 다이얼이 순간적으로 앞으로 밀려나가면서 스토퍼핀과 다이얼 걸림돌편의 결합이 해제되고, 이처럼 스토퍼핀과 다이얼 걸림돌편의 결합이 해제되면, 미싱 작업중에 작용하는 진동 등에 의해 다이얼이 원하지 않게 땀수가 커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오작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봉제품의 재봉 방향이 바뀌는 순간 조절블록가 축부재를 타격하여 다이얼이 앞으로 밀리면서 스톱퍼핀에 의해 다이얼이 고정되는 작동을 하지 않기 때문에, 미싱 작업중에 다이얼의 겉돌아서 봉제물의 땀수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며, 나아가, 이러한 봉제품의 불량으로 인해 여러 모로 손실을가져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이얼을 돌려 땀수의 조절을 완료한 다음, 즉 땀수조절위치를 설정한 상태에서 다이얼의 축부재가 고정되므로 미싱 작업중에 작용하는 진동 등에 의해 다이얼이 원하지 않게 땀수가 커지는 방향으로 겉돌아가는 오작동이 발생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다이얼위치고정장치 상기 다이얼위치고정장치로 고정된 땀수조절다이얼장치 및 상기 땀수조절다이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싱 작업중에 땀수 조절 다이얼의 오작동으로 인한 땀수 불량을 방지하여 봉제물의 불량을 초래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불량품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 등을 방지하는 구조의 다이얼위치고정장치, 상기 다이얼위치고정장치로 고정된 땀수조절다이얼장치 및 상기 땀수조절다이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다이얼위치고정장치를 손쉽게 해제하고 해제된 상태에서 다이얼을 돌려 땀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땀수 조절이 완료되면 설정위치에서 상기 다이얼위치고정장치를 매우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사용편리성이 우수한 구조의 다이얼위치고정장치, 상기 다이얼위치고정장치로 고정된 땀수조절다이얼장치 및 상기 땀수조절다이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에 땀수표시부가 형성된 다이얼부재와, 상기 다이얼부재의 후면 중앙부에 구비되는 축부재를 포함하는 다이얼이 미싱본체에 결합되어 땀수를 조절하는 땀수조절다이얼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 상단부를 원주방향으로 둘러싸는 고정부싱; 일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면서 그 관통되는 측벽에 나사골이 형성되는 고정홀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싱에 결합되는 고정링; 및 상기 고정홀에 형성된 나사골에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싱을 가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다이얼의 설정위치를 고정하는 땀수조절다이얼위치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다이얼부재는 상기 땀수표시부의 후단부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돌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림돌편에 걸려지도록 상기 미싱본체의 핀홀에 고정되는 스톱퍼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링의 일측에는 상기 스톱퍼핀이 통과하는 핀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나사골에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를 조이고 풀고 할 수 있도록 상기 나사부의 상측부분에 설치되는 고정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조작부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조작부는 힌지핀에 의해 상,하로 회전할 수 있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조작부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싱은 상기 축부재 상단부를 원주방향으로 둘러싸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하방에서 연장되어 상기 고정편을 감싸게 일체로 결합되는 고정링을 지지하는 지지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편에는 다수개의 슬릿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홀에 결합되는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편이 상기 축부재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싱본체에 결합되어 땀수를 조절하는 땀수 조절 다이얼 장치에 있어서, 전면에 땀수표시부가 형성된 다이얼부재와, 상기 다이얼부재의 후면 중앙부에 구비되는 축부재를 포함하는 다이얼; 및 상기 다이얼의 설정위치를 고정하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다이얼위치고정장치를 포함하는 땀수조절다이얼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1 항의 땀수조절다이얼장치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먼저, 본 발명의 다이얼위치고정장치에 의하면, 다이얼을 돌려 땀수의 조절을 완료한 다음, 즉 땀수조절위치를 설정한 상태에서 다이얼의 축부재가 고정되므로 미싱 작업중에 작용하는 진동 등에 의해 다이얼이 원하지 않게 땀수가 커지는 방향으로 겉돌아가는 오작동이 발생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이얼위치고정장치, 상기 다이얼위치고정장치로 고정된 땀수조절다이얼장치 및 상기 땀수조절다이얼장치가 장착된 미싱에 의하면, 미싱 작업중에 땀수 조절 다이얼의 오작동으로 인한 땀수 불량을 방지하여 봉제물의 불량을 초래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불량품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 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이얼위치고정장치의 의하면 상기 다이얼위치고정장치를 손쉽게 해제하고 해제된 상태에서 다이얼을 돌려 땀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땀수 조절이 완료되면 설정위치에서 상기 다이얼위치고정장치를 매우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사용편리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 도면중 동일한 부분에 대한 부호는 동일부호를 사용하였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3a 내지 도3c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이얼위치고정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3d는 도 3a의 분리사시도이다.
도3a 내지 도3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이얼위치고정장치(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위치고정장치(100)는 고정부싱(110), 고정링 (120), 및 고정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도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30)의 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 변형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먼저, 고정부싱(110)은 얇고 폭이 넓은 링 형상의 고정편(111)과 고정편의 하단부에서 연장되는 길이와 동일하거나 큰 두께를 가진 링형상의 지지편(113)으로 구성되어 다이얼(200)의 축부재(210) 상단부를 원주방향으로 둘러싸게 되는데, 고정편(111)의 하단부에서 연장된 부분인 지지편(113)의 두께부분은 고정편(111)을 감싸게 일체로 결합되는 고정링(120)의 하단부와 접촉하여 고정링(120)을 지지한다.
따라서, 고정홀(121)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30)에 의해 고정편(111)이 축부재(210)를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고정편(111)에는 다수개의 슬릿(112)이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고정편(111)에 다수개의 슬릿(112)이 형성되면 고정편(111)이 고정홀(121)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30)에 의해 가압될 때, 축부재(210)에 접촉되어 감싸는 고정편(111)을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게 하므로 그 고정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고정링(120)은 고정부싱(110)의 고정편(111)을 감싸고 지지편(113)에 의해 그 하단부가 지지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두꺼운 링형상이다. 고정링(120)은 그 내측면의 폭이 고정편(111)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고, 그 외측면의 폭은 고정편(111)의 폭과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고정링(120)의 두께는 고정링(120)에 형성된 고정홀(121)을 통해 결합되는 고정부재(130)가 고정부싱(110)을 가압하여 축부재(210)를 고정할 때 상기 고정력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는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는 두께로 제공되는데, 고정링(120)의 두께는 지지편(113) 두께의 2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다이얼위치고정장치(100)의 소재의 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 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고정링(120)의 원주표면의 일측면 즉 폭부분에 고정홀(121)이 고정링(120)의 두께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데, 그 관통되는 홀의 측벽에는 나사골이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예를 들어 스톱퍼핀(300)이 다이얼(200)을 고정하는데 사용되어 땀수조절다이얼장치(10)에 더 포함되게 되면, 고정홀(121)이 형성된 위치와 이격되어 고정링(120)의 폭부분에 스톱퍼핀(300)의 일부가 통과될 수 있는 핀홈(122)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부재(130)는 고정홀(121)에 형성된 나사골에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고정부싱(110)을 가압하여 축부재(210)를 고정하게 되는데, 나사골에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131)와, 나사부(131)를 조이고 풀고 할 수 있도록 나사부(131)의 상측부분에 설치되는 고정조작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나사부(131)는 로드형상으로 하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그 원주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모든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나사산은 고정홀(121)에 형성된 나사골에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되며, 나사산이 형성되는 길이는 적어도 고정홀(121)의 깊이보다는 길어야 한다.
고정조작부(132)는 나사부(131)의 상부 즉 머리부분에 일체로 설치되어 나사부(131)를 조이고 풀고 할 수 있도록 조작하는 부분으로 도3a 내지 도3c에 도시된 여러 가지 형태가 제안될 수 있다.
먼저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조작부(132)는 상기 나사부(131)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나사머리부와 상하로 이동하면서 나사머리부에 끼워질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나사머리부에 힘을 가할 수 있는 레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때 나사머리부와 레버의 홈은 동일한 형상으로서 레버의 홈이 나사머리부에 걸려서 힘이 가해질 수 있도록 나사머리부와 레버 홈은 다각 형상인 것이 바람직한데, 도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형상일 수 있다.
또한,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조작부(132)는 상기 나사부(131)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나사머리부와 나사머리부에 형성되는 힌지핀에 의해 상,하로 회전할 수 있는 레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조작부(132)는 상기 나사부(131)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나사머리부가 손잡이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는데, 도면상에는 ㄱ자형 손잡이로 도시되고 있으나 손으로 잡고 나사부(131)에 힘을 가할 수 있기만 하면 그 형태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고정조작부(132)로 나사부(131)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머리부의 표면에 홈을 형성하여 드라이버 등을 이용하여 나사부(131)를 조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a는 도3b에 도시된 다이얼위치고정장치가 다이얼의 축부재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4a의 분리사시도이다.
상술된 기술적 구성을 가진 다이얼위치고정장치(100)가 다이얼(200)에 고정되는 상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다이얼(200)에서 전면에 땀수표시부(221)가 형성된 다이얼부재(220)를 상기 다이얼부재(220)의 후면 중앙부에 구비되는 축부재(210)로부터 분리하였다.
도4a 및 도4b를 참조하여 축부재(210)와 다이얼위치고정장치(100)의 간의 결합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축부재(210)의 상단부를 원주방향으로 고정부싱(110)이 감싸도록 고정부싱(110)의 지지편(113)이 하방으로 향하도록 축부재(210)에 삽입한다. 이 때 축부재(210)와 고정부싱(110)은 딱 맞게 끼워질 수도 있고 약간의 간격을 둘 수도 있다. 그 다음 고정부싱(110)의 고정편(111)을 일체로 감싸고 그 하방이 지지편(1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고정링(120)이 설치된다. 그 후, 고정링(120)의 고정홀(121)에 고정부재(130)를 결합시키는데 고정조작부(132)를 조작하여 나사부(131)가 죄어 지도록 하면 나사부(131)의 하단부가 고정부싱(110)의 고정편(111)을 가압하게 되어 도4a와 같이 축부재(210)를 다이얼위치고정장치(100)가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미싱의 땀수를 다이얼(200)를 돌려서 맞춘 후, 도 4a와 같이 축부재(210)에 다이얼위치고정장치(100)가 고정되게 되면 다이얼(200)에 미싱 작업 중의 진동 등 여러 원인으로 인해 힘이 가해지더라도 최초 작업자가 설정한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도 3a에 도시된 다이얼위치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땀수조절 다이얼장치가 미싱에서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5에 도시된 땀수조절 다이얼장치가 미싱에 결합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5에 도시된 다이얼의 배면을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다이얼위치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땀수조절 다이얼 조절장치가 미싱에서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8에 도시된 땀수조절 다이얼장치가 미싱에 결합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다이얼위치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땀수조절 다이얼장치 및 상기 땀수조절 다이얼장치가 장착된 미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땀수조절다이얼장치(10)는 전면에 땀수표시부(221)가 형성된 다이얼부재(220)와 축부재(210)를 포함하는 다이얼(200)과 상술된 다이얼위치고정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축홀(2)이 형성된 미싱본체(1)의 축홀(2)에 축부재(210)가 결합되어 미싱(1)에 장착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미싱(10)에 핀홀(3)이 더 형성되고, 땀수조절다이얼장치(10)가 스톱퍼핀(300)을 더 포함하여 미싱(1)에 장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다이얼부재(220)는 전면에는 땀수표시부(221)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돌편(230)이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후면의 걸림돌편(230)에 걸려지도록 상기 미싱본체(1)의 핀홀(3)에 스톱퍼핀(300)이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다이얼부재(220)는 축부재(210)와 고정볼트(222)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다이얼위치고정장치(100)의 고정링(120)의 고정홀(121)에 결합되는 다이얼 고정장치(130)는 나사부(131)의 상부에 형성된 육각형상의 나사머리부에 육각홈이 형성된 레버(132)가 상하로 이동되며 나사부(131)를 조이고 풀고 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다.
상기 미싱본체(1)의 외부에 설치되는 땀수조절다이얼장치(10)의 축부재(210)에는 고정링(120)의 내측면이 고정편(111)을 감싸고 그 하방이 지지편(113)에 의해 지지되어 일체로 고정부싱(110)과 결합되며 고정링(120)의 고정홀(121)에 설치된 나사부(131)에 의해 고정편(111)이 축부재(210)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땀수조절다이얼장치(10)의 다이얼부재(220)의 후면 중앙부에 결합되는 축부재(210)의 후단부에 미싱본체(10)의 조절블록(4)이 접촉된다.
상기 조절블록(4)는 미싱본체(1)에 내장되어 공지의 연동장치에 의해 봉제용 바늘과 연동되도록 설치된다. 조절블록(4)에 형성된 홈부에 축부재(210)의 후단부가 접촉되어 수용되는데, 조절블록(4)는 봉제품의 재봉 방향이 바뀔 때마다 제자리에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축부재(210)의 후단부를 타격하게 된다.
상기 미싱본체(1)에는 땀수조절다이얼장치(10)의 다이얼부재(220) 후면의 걸림돌편(230)에 걸려지도록 스톱퍼핀(300)이 핀홀(3)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미싱 작업자가 봉제품의 땀수를 조절하고자 할 때는 고정장치(130)의 나사부(131)를 고정조작부(132) 즉 레버를 돌려서 풀고 나서, 땀수조절다이얼장치(10)의 땀수표시부(221)를 회전시키면, 상기 스톱퍼핀(1)이 땀수조절다이얼장치(10)의 다이얼부재(220) 후면의 걸림돌편(230)에 걸려지면서 땀수조절다이얼장치(10)의 땀수 조절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즉, 땀수조절다이얼장치(10)가 스톱퍼핀(1)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축부재(210)에 설치된 고정링(120)의 고정홀(121)에 결합된 다이얼 고정장치(130)의 나사부(131)의 상측 머리부분에 육각홈이 형성된 레버 즉 고정조작부(132)를 상하로 이동시키며 나사부(131)를 조이게 된다.
이때 땀수조절다이얼장치(10)의 축부재(210)에는 고정링(120)이 고정편(111)을 감싸고 그 하방이 지지편(13)에 의해 지지되어 일체로 고정부싱(110)과 결합되어 있어 고정링(120)의 고정홀(121)에 결합된 나사부(131)의 하단부가 고정편(111)을 누르게 되므로, 축부재(210)를 고정부싱(110)의 고정편(111)에 의해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미싱(1)에 장착된 땀수조절다이얼장치(10)에서 다이얼위치고정장치(130)를 이용하여 다이얼 축부재(210)가 겉돌지 않도록 손쉽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봉제물의 땀수를 조절하기 위해 땀수조절다이얼장치(10)을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가 고정장치(130)의 고정조작부(132)를 이용하여 나사부(131)를 풀고 땀수조절다이얼장치(10)의 다이얼부재(220)를 돌려 땀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미싱 작업중에 작용하는 진동 등에 의해 땀수조절다이얼장치(10)이 원하지 않게 땀수가 커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오작동이 발생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이처럼 미싱 작업중에 땀수 조절 땀수조절다이얼장치(10)의 오작동으로 인한 땀수 불량을 방지하여, 봉제물의 불량을 초래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불량품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 등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다이얼위치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땀수조절 다이얼 조절장치가 미싱에서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8에 도시된 땀수조절 다이얼장치가 미싱에 결합된 단면도인데, 이를 설명하면 상술한 도5 및 도6에서 설명한 일실시예와 다른 차이는 다이얼위치고정장치(100)의 구성에만 차이가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링(120)의 고정홀(121)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30)가 나사부(131)의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조작부(132)를 힌지핀에 의해 상,하로 회전할 수 있는 레버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레버를 이용하여 나사부(131)를 조이고 풀고 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점에서만 상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미싱용 땀수조절 다이얼장치가 미싱에서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미싱용 땀수조절 다이얼장치가 결합된 단면도.
도 3a 내지 도3c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이얼위치고정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3d는 도 3a의 분리사시도
도 4a는 도 3b에 도시된 다이얼위치고정장치가 다이얼의 축부재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4a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3a에 도시된 다이얼위치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땀수조절 다이얼장치가 미싱에서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5에 도시된 땀수조절 다이얼장치가 미싱에 결합된 단면도.
도 7은 도5에 도시된 다이얼의 배면을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다이얼위치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땀수조절 다이얼장치가 미싱에서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도8에 도시된 땀수조절 다이얼장치가 미싱에 결합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미싱 2 : 축홀
3 : 핀홀 10 : 땀수조절다이얼장치
100 : 다이얼위치고정장치 110 : 고정부싱
111 : 고정편 112 : 슬릿
120 : 고정링 121 : 고정홀
121a : 나사골 122 : 핀홈
130 : 고정부재 131 : 나사부
132 : 고정조작부
200 : 다이얼 210 : 축부재
220 : 다이얼부재 221 : 전면표시부
230 : 걸림돌편 300 : 스톱퍼핀

Claims (12)

  1. 전면에 땀수표시부가 형성된 다이얼부재와, 상기 다이얼부재의 후면 중앙부에 구비되는 축부재를 포함하는 다이얼이 미싱본체에 결합되어 땀수를 조절하는 땀수조절다이얼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 상단부를 원주방향으로 둘러싸는 고정부싱;
    일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면서 그 관통되는 측벽에 나사골이 형성되는 고정홀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싱에 결합되는 고정링; 및
    상기 고정홀에 형성된 나사골에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싱을 가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다이얼의 설정위치를 고정하는 땀수조절다이얼위치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부재는 상기 땀수표시부의 후단부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돌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림돌편에 걸려지도록 상기 미싱본체의 핀홀에 고정되는 스톱퍼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수조절다이얼위치고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의 일측에는 상기 스톱퍼핀이 통과하는 핀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수조절다이얼위치고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나사골에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를 조이고 풀고 할 수 있도록 상기 나사부의 상측부분에 설치되는 고정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수조절다이얼위치고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조작부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수조절다이얼위치고정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조작부는 힌지핀에 의해 상,하로 회전할 수 있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용 땀수 조절다이얼장치의 설정위치고정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조작부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수조절다이얼위치고정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싱은 상기 축부재 상단부를 원주방향으로 둘러싸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하방에서 연장되어 상기 고정편을 감싸게 일체로 결합되는 고정링을 지지하는 지지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수조절다이얼위치고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에는 다수개의 슬릿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땀수조절다이얼위치고정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에 결합되는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편이 상기 축부재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수조절다이얼위치고정장치.
  11. 미싱본체에 결합되어 땀수를 조절하는 땀수 조절 다이얼 장치에 있어서,
    전면에 땀수표시부가 형성된 다이얼부재와, 상기 다이얼부재의 후면 중앙부에 구비되는 축부재를 포함하는 다이얼; 및
    상기 다이얼의 설정위치를 고정하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다이얼위치고정장치를 포함하는 땀수조절다이얼장치.
  12. 제 11 항의 땀수조절다이얼장치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KR1020080032333A 2007-07-06 2008-04-07 다이얼위치고정장치, 상기 다이얼위치고정장치에 의해고정되는 땀수조절다이얼장치, 및 상기땀수조절다이얼장치가 장착된 미싱 KR101006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8101261677A CN101338497B (zh) 2007-07-06 2008-06-27 调节盘固定装置、调节盘装置及配有调节盘装置的缝纫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173 2007-07-06
KR20070011173 2007-07-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447A true KR20090004447A (ko) 2009-01-12
KR101006540B1 KR101006540B1 (ko) 2011-01-07

Family

ID=40212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2333A KR101006540B1 (ko) 2007-07-06 2008-04-07 다이얼위치고정장치, 상기 다이얼위치고정장치에 의해고정되는 땀수조절다이얼장치, 및 상기땀수조절다이얼장치가 장착된 미싱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06540B1 (ko)
CN (1) CN1013384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812Y1 (ko) 2008-06-11 2013-09-11 주식회사 썬스타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752B2 (ja) * 1980-08-14 1985-03-19 三菱電機株式会社 縫目加減調整装置
US4993338A (en) * 1987-02-09 1991-02-19 Aberdeen Manufacturing Corporation Stitch switching mechanism for a chain stitch sewing machine
KR920000676Y1 (ko) * 1989-11-30 1992-01-20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재봉기용 땀수조절 다이얼의 고정장치
CN2311503Y (zh) * 1997-10-10 1999-03-24 陈贵宗 拉帮针车针距调整结构
KR100665395B1 (ko) * 1999-11-22 2007-01-04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재봉틀의 이송량 조절장치
KR20030045244A (ko) * 2001-12-01 2003-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컬러 엘씨디 디스플레이 방법
CN2537722Y (zh) * 2002-02-08 2003-02-26 标准缝纫机菀坪机械有限公司 缝纫机倒顺缝针距可调机构
KR200345244Y1 (ko) 2003-12-19 2004-03-18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다이알축 잠금장치
CN1793472B (zh) * 2004-12-22 2012-05-16 兄弟工业株式会社 缝纫机的送料调节机构
JP2006238905A (ja) 2005-02-28 2006-09-14 Brother Ind Ltd ミシン及びミシンの送り調節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6540B1 (ko) 2011-01-07
CN101338497B (zh) 2012-07-04
CN101338497A (zh) 200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98124B1 (en) Winding device
KR101006540B1 (ko) 다이얼위치고정장치, 상기 다이얼위치고정장치에 의해고정되는 땀수조절다이얼장치, 및 상기땀수조절다이얼장치가 장착된 미싱
JP4822247B2 (ja) ミシンのかがり幅調整装置
US20040040186A1 (en) Craft hoop clamp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786760B1 (ko) 미싱용 땀수 다이얼 고정장치
JP2004277985A (ja) 刺繍機用帽子保持装置
KR200468812Y1 (ko)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
JP4783473B2 (ja) ミシン用アタッチメント、ミシン及び縫製方法
FR2684394A1 (fr) Cadre a broder de machine a broder, deplacable horizontalement.
TWI293345B (en) Circular type flat knitting machine for intarsia fabrics
US4364494A (en) Smock gathering apparatus
JPH11241257A (ja) 丸編機の糸切断装置
JP5095314B2 (ja) ミシン
KR200315323Y1 (ko) 재봉기용 랍바
JP2005095314A (ja) ミシンの天秤装置
US5533460A (en) Thread tension device with latch for a sewing machine
US20120222595A1 (en) Punch needle and sewing machine
KR200395111Y1 (ko) 낚시대 받침구
JP3394893B2 (ja) 帽子枠装置
JP3046602B2 (ja) ミシンの糸張力調整装置
JP6292446B2 (ja) 畳縫着装置
WO2010100670A1 (ja) 装飾品固定装置及びその固定装置による装飾品の固定方法
US6904853B2 (en) Take-up cam phase adjustment structure of looper thread take-up apparatus of a sewing machine
JP2004091974A (ja) 被縫製物用枠
JP2009055966A (ja) 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