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812Y1 -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812Y1
KR200468812Y1 KR2020080007786U KR20080007786U KR200468812Y1 KR 200468812 Y1 KR200468812 Y1 KR 200468812Y1 KR 2020080007786 U KR2020080007786 U KR 2020080007786U KR 20080007786 U KR20080007786 U KR 20080007786U KR 200468812 Y1 KR200468812 Y1 KR 2004688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bushing
lock nut
fixing
shaf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77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811U (ko
Inventor
김선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썬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썬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썬스타
Priority to KR20200800077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812Y1/ko
Publication of KR200900128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8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8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8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22Work-feeding means with means for setting length of stitch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4Control of needle movement, e.g. varying amplitude or period of needle movem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02Mechanical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20Control devices responsive to the number of stitches mad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305/00Operations on the work before or after sewing
    • D05D2305/32Measuring
    • D05D2305/36Quality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싱 작동중에 땀수 조절용 다이얼이 겉돌아서 땀수 불량에 의해 봉제품의 불량이 초래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단순한 구조를 가진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는, 하부에 땀수조절용 나사부를 가지는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의 상부에 고정되는 다이얼부재를 포함하는 다이얼이 미싱본체 일측에 관통 설치되어 다이얼의 회전에 의해 땀수조절을 하는 다이얼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 상단부를 원주방향으로 둘러싸고 다수의 슬릿이 형성되며 외측부에 부싱나사부가 형성된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하단부에서 연장형성된 지지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고정부싱; 및 상기 고정부싱의 상기 부싱나사부와 결합되도록 너트나사부가 내측부에 형성된 락너트;를 포함하여 상기 다이얼의 설정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땀수조절위치를 설정한 상태에서 다이얼의 축부재가 고정되므로 미싱 작업중에 작용하는 진동 등에 의해 다이얼이 원하지 않게 땀수가 커지는 방향으로 겉돌아가는 오작동이 발생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미싱 본체와 다이얼 사이의 좁은 공간에도 다이얼의 위치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어 조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다이얼, 위치, 고정, 장치, 땀수

Description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Position fixing apparatus of stitch control dial}
본 고안은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싱 작동중에 땀수 조절용 다이얼이 겉돌아서 땀수 불량에 의해 봉제품의 불량이 초래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단순한 구조를 가진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싱은 봉제물에 봉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기계장치로서, 미싱용 테이블에서 재봉용 바늘이 신속하게 승강되면서 봉제품을 재봉하게 된다. 이때, 봉제품에 박음질된 재봉실의 간격을 땀이라 하는데, 봉제품에 따라 땀수를 조절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러한 미싱은 본체와, 이 본체의 하측에 승강구동장치를 통해 고속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재봉용 바늘과, 상기 본체에 내장된 땀수조절장치에 연결되어 본체에 노출 설치된 땀수 조절용 다이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다이얼을 전면에 표시된 숫자만큼 회전시키면 봉제용 바늘이 다이얼에 표시된 숫자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승하강 작동되므로, 봉제물의 땀수가 다이얼에 표시된 숫자대로 조절될 수 있다.
종래에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싱의 땀수 조절다이얼 장치의 주요 부분에 대해 설명하면, 미싱본체(1)에는 축홀(121)과 핀홀(122)을 형성하며, 상기 축홀(121) 결합되며 전면에 땀수표시부(112)와 중앙에 고정볼트(113)로 고정된 축부재(111)와 상기 땀수표시부(112)의 후단부에는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돌편(114)이 형성된 다이얼(110)과, 상기 다이얼(110)의 걸림돌편(114)에 걸려지도록 상기 미싱본체(1)의 핀홀(122)에 스톱퍼핀(123)이 고정되도록 설치된 것이다.
다이얼(110)의 전면 땀수표시부(112)에는 원주 방향으로 땀수 표시용 숫자가 인쇄된다. 한편, 다이얼(110)의 축부재(111)는 미싱 본체(1)에 내장되고, 다이얼(110)은 미싱 본체(1)로 노출설치된다.
또한, 미싱본체(1)의 내부에는 다이얼(110)의 끝단과 접촉되어 봉제물의 재봉 방향이 바뀜에 따라 제자리에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동되는 조절블록(124)이 구비되며, 상기 다이얼(110)의 배면에 형성된 걸림돌편(114)에는 스톱퍼핀(123)이 걸려진다. 이러한 스톱퍼핀(123)과 조절블록(124)을 미싱 본체(1)에 내장하는 구성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미싱의 땀수 조절 다이얼 장치에 의하면, 다이얼의 회전수에 따라 바늘 땀간격이 달라지는데, 예컨데, 다이얼의 눈금을 1에서 2로 회전시키면, 스톱퍼핀의 전단부가 다이얼 배면의 걸림돌편에 걸리므로, 다이얼이 눈금 2의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처럼 다이얼을 1에서 2로 회전시켜 놓으면, 봉제용 바늘에 의해 형성되는 봉제품의 땀간격이 더 늘어나게 된다. 즉, 다이얼의 회전수에 따라 봉제품의 땀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봉제품의 박음질된 봉제용 실이 풀어지지 않도록 재봉 부분의 시작단과 끝단은 수차례 반복적으로 박음질하여 마무리하게 된다. 즉, 봉제품의 시작단과 끝단에서는 봉제품을 수차례 전후진(즉, 전진, 후진, 전진, 후진 ....)하는 방식으로 재봉하여 봉제품의 박음질된 부분의 시작단과 끝단을 마무리하는 것이며, 이러한 마무리 과정에서는 봉제품의 재봉 방향이 바뀌게 된다. 그리고, 봉제품을 박음질할 때 재봉 방향이 바뀌는 경우가 많은데, 예를 들면, 봉제품에 재봉실을 지그재그 방향으로 박음질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처럼 봉제품에 대한 재봉 방향이 바뀔 때에는 미싱의 땀수 조절장치를 구성하는 조절블록이 제자리에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순간적으로 다이얼의 축부재 끝단을 타격하게 된다. 즉, 재봉 방향이 바뀔때 마다 조절블록이 다이얼의 축부재 끝단을 타격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스토퍼핀에 의해 다이얼을 정해진 회전각도로 고정하도록 지지하기는 하지만, 조절블록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순간적으로 다이얼의 축부재를 타격하면, 다이얼이 순간적으로 앞으로 밀려나가면서 스토퍼핀과 다이얼 걸림돌편의 결합이 해제되고, 이처럼 스토퍼핀과 다이얼 걸림돌편의 결합이 해제되면, 미싱 작업중에 작용하는 진동 등에 의해 다이얼이 원하지 않게 땀수가 커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오작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봉제품의 재봉 방향이 바뀌는 순간 조절블록이 축부재를 타격하여 다이얼이 앞으로 밀리면서 스톱퍼핀에 의해 다이얼이 고정되는 작동을 하지 않 기 때문에, 미싱 작업중에 다이얼의 겉돌아서 봉제물의 땀수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며, 나아가, 이러한 봉제품의 불량으로 인해 여러 모로 손실을 가져오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되 왔고, 연구된 발명인 특허출원 10-2008-0032333호(발명의 명칭: 다이얼위치고정장치, 상기 다이얼위치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땀수조절다이얼장치, 및 상기 땀수조절다이얼장치가 장착된 미싱)을 살펴보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땀수표시부가 형성된 다이얼부재(240)와, 상기 다이얼부재(240)의 후면 중앙부에 구비되는 축부재(205)를 포함하는 다이얼(200)이 미싱본체(1)에 결합되어 땀수를 조절하는 땀수조절다이얼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205) 상단부를 원주방향으로 둘러싸는 고정부싱(210); 일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면서 그 관통되는 측벽에 나사골이 형성되는 고정홀(221)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싱(210)에 결합되는 고정링(220); 및 상기 고정홀(221)에 형성된 나사골에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싱(210)을 가압하는 고정부재(230)를 포함하여 상기 다이얼의 설정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축부재(205)와 다이얼위치고정장치 간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축부재(205)의 상단부를 원주방향으로 고정부싱(210)이 감싸도록 고정부싱(210)의 지지편(213)이 하방으로 향하도록 축부재(205)에 삽입한다. 이때, 축부재(205)와 고정부싱(210)은 딱 맞게 끼워질 수도 있고 약간의 간격을 둘 수도 있다. 그 다음 고정부싱(210)의 고정편(211)을 일체로 감싸고 그 하방이 지지편(2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고정링(220)이 설치된다. 그 후, 고정링(220)의 고정홀(221)에 고정부재(230)를 결합시키는데 고정조작부(232)를 조작하여 나사부(231)가 죄어 지도록 하면 나사부(231)의 하단부가 고정부싱(210)의 고정편(211)을 가압하게 되어 도 4와 같이 축부재(205)를 다이얼위치고정장치가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미싱의 땀수를 다이얼(200)을 돌려서 맞춘 후, 도 4와 같이 축부재(205)에 다이얼(200)의 위치가 고정되게 되면 미싱 작업 중의 진동 등 여러 원인으로 인해 다이얼(200)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최초 작업자가 설정한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출원 10-2008-0032333호는 일반적으로 미싱본체(1)와 다이얼부재(240)의 간격을 넓게 설치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 미싱본체(1)와 상기 다이얼부재(240) 사이에 상기 고정부재(230)의 설치 및 작동이 제약을 받는 문제가 있어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이얼을 돌려 땀수의 조절을 완료한 다음, 즉 땀수조절위치를 설정한 상태에서 다이얼의 축부재가 고정되므로 미싱 작업중에 작용하는 진동 등에 의해 다이얼이 원하지 않게 땀수가 커지는 방향으로 겉돌아가는 오작동이 발생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미싱 작업중에 땀수 조절용 다이얼의 오작동으로 인한 땀수 불량을 방지하여 봉제물의 불량을 초래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불량품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 등을 방지하는 구조의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땀수 조절용 다이얼을 돌려 땀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땀수 조절이 완료되면 설정위치에서 상기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를 매우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사용편리성이 우수한 구조의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특히,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미싱 본체와 다이얼 사이의 좁은 공간에도 다이얼의 위치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하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 에게 명백하게 드러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는, 하부에 땀수조절용 나사부를 가지는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의 상부에 고정되는 다이얼부재를 포함하는 다이얼이 미싱본체 일측에 관통 설치되어 다이얼의 회전에 의해 땀수조절을 하는 다이얼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 상단부를 원주방향으로 둘러싸고 다수의 슬릿이 형성되며 외측부에 부싱나사부가 형성된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하단부에서 연장형성된 지지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고정부싱; 및 상기 고정부싱의 상기 부싱나사부와 결합되도록 너트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된 락너트;를 포함하여 상기 다이얼의 설정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편에는 락너트 스톱퍼핀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락너트의 외측부에는 다수의 단속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락너트 스톱퍼핀의 단속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락너트의 내주면 일측에는 다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락너트 스톱퍼핀의 단속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부싱나사부와 너트나사부는 지지편 방향으로 테이퍼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는 다이얼을 돌려 땀수의 조절을 완료한 다음, 즉 땀수조절위치를 설정한 상태에서 다이얼의 축부재가 고정되므로 미싱 작업중에 작용하는 진동 등에 의해 다이얼이 원하지 않게 땀수가 커지는 방향으로 겉돌아가는 오작동이 발생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싱 작업중에 땀수 조절용 다이얼의 오작동으로 인한 땀수 불량을 방지하여 봉제물의 불량을 초래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불량품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 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땀수 조절용 다이얼을 돌려 땀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땀수 조절이 완료되면 설정위치에서 상기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를 매우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사용편리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특히, 미싱 본체와 다이얼 사이의 좁은 공간에도 다이얼의 위치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어 조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가 미싱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가 미싱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 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땀수표시부가 형성된 다이얼부재(50)와, 상기 다이얼부재(50)의 후면 중앙부에 구비되는 축부재(20)를 포함하는 다이얼(10)이 미싱본체(1)에 결합되어 땀수를 조절하는 다이얼 장치에서 상기 다이얼(10)의 설정위치를 고정하는 본 고안의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의 구성은 고정부싱(30)과, 락너트(4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싱(30)은 고정편(31)과, 지지편(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편(31)은 축부재(20)의 상단부를 원주방향으로 둘러싸고, 외측부에 부싱나사부(36)가 형성되어 상기 락너트(40)와 결합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부싱나사부(36)는 숫나사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편(31)은 다수의 슬릿(32)이 형성되어 락너트(40)와 결합시 상기 락너트(40)에 의해 가압되고, 아울러 상기 축부재(20)를 상기 고정편(31)이 가압하기 용이하게 되어진다.
상기 지지편(33)은 고정편(31)의 하단부에서 연장되는 길이와 동일하거나 큰 두께를 가진 링형상으로 구비되고, 얇고 폭이 넓은 링형상으로 구비되된다. 또한, 상기 지지편(33)에는 락너트 스톱퍼핀(34)이 구비되어 상기 락너트(40)의 회전을 단속하게된다.
상기 락너트(40)는 상기 고정편(31)의 부싱나사부(36)와 결합되도록 너트나사부(46)가 내주면에 형성되어진다. 또한, 락너트(40)는 상기 고정편(31)을 감싸고, 상기 고정편(31)에 의해 그 하단부가 지지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두꺼운 링형상 이다. 아울러, 락너트(40)는 그 내측면의 폭이 고정편(31)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외측면의 폭은 지지편(33)의 폭과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락너트(40)의 외측부에는 다수의 단속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편(31)의 상기 락너트 스톱퍼핀(34)의 단속을 받게되며, 사용자가 접촉하여 상기 락너트(40)를 회전시킬때 회전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단속돌기(45) 사이에는 단속홈(44)이 형성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단속돌기(45)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너트나사부(46)는 암나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땀수를 조절하는 다이얼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락너트(40)를 상기 고정편(31)과 나사결합되는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락너트(40)는 상기 고정편(31)과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락너트(40)는 지지편(33) 방향으로 이동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31)은 축부재(20)를 점점 더 가압하게 되고, 상기 축부재(20)는 상기 고정편(31)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이 단속되어진다.
이때, 상기 부싱나사부(36)와 너트나사부(46)는 지지편(33) 방향으로 테이퍼된 형태로 구비되어 락너트(40)와 고정부싱(30)의 결합력을 증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편(33)에 락너트 스톱퍼핀(34)이 구비되어, 상기 락너트(40)의 회전을 단속하게 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락너트(40)의 외측부에 다수의 단속돌기(45)가 상기 락너트 스톱퍼핀(34)과 접촉되어 락너트(40)의 회전이 단속되어진다. 이에따라, 다이얼(10)의 회전이 단속되어 미싱 작동중에 상기 다이얼(10)이 겉돌아서 땀수 불량에 의해 봉제품의 불량이 초래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되어진다.
아울러, 상기 단속돌기(45)의 단면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회전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상기 락너트 스톱퍼핀(34)의 이탈을 방지되어진다. 또한, 상기 락너트 스톱퍼핀(34)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락너트(40)에 회전시키는 힘을 가할때 상기 락너트(40)의 회전이 용이하게 된다.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가 미싱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가 미싱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에서 락너트와 고정부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는, 락너트(340)의 내주면 일측에 다수의 걸림돌기(337)가 형성되고, 내주면 타측에는 고정편(331)의 부싱나사부(336)와 결합되도록 너트나사부(346)가 형성되어진다.
이에따라, 상기 락너트(340)의 너트나사부(346)가 상기 고정편(331)의 부싱 나사부(336)에 결합시 상기 락너트(340)의 결합에 의해 상기 고정편(331)이 축부재(20)에 가압하여 다이얼(300)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고, 아울러, 락너트 스톱퍼핀(334)이 상기 걸림돌기(337)에 걸림으로써 상기 락너트(340)의 회전이 단속되어진다.
이때, 상기 부싱나사부(336)와 너트나사부(346)는 지지편(333) 방향으로 테이퍼된 형태로 구비되어 락너트(340)와 고정부싱(330)의 결합력을 증대하게 된다.
이하, 일시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가 미싱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가 미싱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가 다이얼의 축부재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가 미싱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가 미싱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가 미싱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가 미싱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에서 락너트와 고정부싱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미싱본체 2 : 핀홀
3 : 축홀 4 : 조절블럭
10 : 다이얼 20 : 축부재
23 : 스톱퍼핀 30 : 고정부싱
31 : 고정편 32 : 슬릿
33 : 지지편 34 : 락너트 스톱퍼핀
36 : 부싱나사부 40 : 락너트
44 : 단속홈 45 : 단속돌기
46 : 너트나사부 50 : 다이얼 부재
52 : 땀수표시부 53 : 고정볼트
300 : 다이얼 330 : 고정부싱
331 : 고정편 332 : 슬릿
333 : 지지편 334 : 락너트 스톱퍼핀
336 : 부싱나사부 340 : 락너트
346 : 너트나사부 347 : 걸림돌기

Claims (5)

  1. 하부에 땀수조절용 나사부를 가지는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의 상부에 고정되는 다이얼부재를 포함하는 다이얼이 미싱본체 일측에 관통 설치되어 다이얼의 회전에 의해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 상단부를 원주방향으로 둘러싸고 다수의 슬릿이 형성되며 외측부에 부싱나사부가 형성된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하단부에서 연장형성된 지지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고정부싱; 및
    상기 고정부싱의 상기 부싱나사부와 결합되도록 너트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된 락너트;를 포함하여 상기 다이얼의 설정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에는 락너트 스톱퍼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락너트의 외측에는 다수의 단속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락너트 스톱퍼핀의 단속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락너트의 내주면 일측에는 다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락너트 스톱퍼핀의 단속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나사부와 너트나사부는 지지편 방향으로 테이퍼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
KR2020080007786U 2008-06-11 2008-06-11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 KR2004688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786U KR200468812Y1 (ko) 2008-06-11 2008-06-11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786U KR200468812Y1 (ko) 2008-06-11 2008-06-11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811U KR20090012811U (ko) 2009-12-16
KR200468812Y1 true KR200468812Y1 (ko) 2013-09-11

Family

ID=49299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7786U KR200468812Y1 (ko) 2008-06-11 2008-06-11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812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676Y1 (ko) * 1989-11-30 1992-01-20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재봉기용 땀수조절 다이얼의 고정장치
JP2006238905A (ja) 2005-02-28 2006-09-14 Brother Ind Ltd ミシン及びミシンの送り調節機構
KR100786760B1 (ko) 2007-05-25 2007-12-18 윤성용 미싱용 땀수 다이얼 고정장치
KR101006540B1 (ko) 2007-07-06 2011-01-07 주식회사 썬스타 다이얼위치고정장치, 상기 다이얼위치고정장치에 의해고정되는 땀수조절다이얼장치, 및 상기땀수조절다이얼장치가 장착된 미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676Y1 (ko) * 1989-11-30 1992-01-20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재봉기용 땀수조절 다이얼의 고정장치
JP2006238905A (ja) 2005-02-28 2006-09-14 Brother Ind Ltd ミシン及びミシンの送り調節機構
KR100786760B1 (ko) 2007-05-25 2007-12-18 윤성용 미싱용 땀수 다이얼 고정장치
KR101006540B1 (ko) 2007-07-06 2011-01-07 주식회사 썬스타 다이얼위치고정장치, 상기 다이얼위치고정장치에 의해고정되는 땀수조절다이얼장치, 및 상기땀수조절다이얼장치가 장착된 미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811U (ko)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37706B (zh) 送布牙调节装置及具备该调节装置的缝纫机
KR200468812Y1 (ko) 땀수 조절 다이얼의 위치고정장치
JP2009045207A (ja) ミシンの糸調子装置
KR100786760B1 (ko) 미싱용 땀수 다이얼 고정장치
JP2015123338A (ja) 多針ミシン
CN107780060B (zh) 平缝机的针距表盘锁扣装置
KR101006540B1 (ko) 다이얼위치고정장치, 상기 다이얼위치고정장치에 의해고정되는 땀수조절다이얼장치, 및 상기땀수조절다이얼장치가 장착된 미싱
JP7363422B2 (ja) 押え金の取付構造
JP2004277985A (ja) 刺繍機用帽子保持装置
JP2021153852A (ja) 刺繍枠、刺繍枠に被縫製物を保持させる方法、及び刺繍枠の内枠
JP2005261847A (ja) ミシンのかまおよび外かま
JP4083890B2 (ja) ミシンの針棒
KR200280382Y1 (ko) 단추홈 가공 공구
KR20080101783A (ko) 재봉기, 이러한 재봉기용 훅크 및 이러한 훅크용 보호 요소
KR100847085B1 (ko) 재봉기의 땀수 조절장치
JP2005000401A (ja) ミシンのかがり幅調整装置
US20090056608A1 (en) Sewing machine
JPH0530700Y2 (ko)
KR920000676Y1 (ko) 재봉기용 땀수조절 다이얼의 고정장치
CN201908208U (zh) 具有环形凹槽的旋梭内梭压板
JP2002035457A (ja) ミシンの垂直釜
KR20100003704U (ko) 재봉기의 땀수 조절장치
JP2008302120A (ja) ミシン
JPH0331269Y2 (ko)
JP2001301519A (ja) ミキサ車のシュート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