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5244Y1 - 다이알축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다이알축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5244Y1
KR200345244Y1 KR20-2003-0039602U KR20030039602U KR200345244Y1 KR 200345244 Y1 KR200345244 Y1 KR 200345244Y1 KR 20030039602 U KR20030039602 U KR 20030039602U KR 200345244 Y1 KR200345244 Y1 KR 2003452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dial shaft
bushing
shaf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6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영
Original Assignee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96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52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52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52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22Work-feeding means with means for setting length of stitch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2Presser-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재봉기를 장시간 사용할 때 발생되는 다이알축 나사부와 재봉기 몸체 사이의 유격에 의해 땀수가 변화되는 문제를 해결한 다이알축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막대 형상의 외곽에 숫나사부가 구비되어 회전하면서 내외측으로 이동하고, 내측 단부에 반구형 곡면부가 구비되어 상기 땀수조절기와 접촉되는 다이알축, 상기 다이알축을 수용하면서 재봉기 몸체에 부착되는 다이알축 붓싱, 상기 다이알축의 외측 단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면서 중심부가 힌지결합되고 힌지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양측의 스프링수용부와 누름부수용부가 시소 운동을 하는 다이알구동판 및 상기 다이알구동판의 외측 단부를 감싸며, 상기 스프링수용부에 맞닿는 스프링, 상기 누름부수용부에 맞닿는 누름부를 구비하는 다이알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수용부를 가압하여 상기 다이알구동판을 상기 다이알축 붓싱에 접촉시켜 상기 다이알축의 회전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스프링과 상기 누름부수용부가 상기 다이알을 외측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재봉기 몸체의 나사결합된 부분에 결합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땀수가 스스로 변동되는 것을 예방하고 재봉품질의 신뢰성을 높이고, 외부 충격에 의해서도 다이알축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다이알축 잠금장치 {LOCKING DEVICE OF DIAL SHAFT}
본 고안은 재봉기의 땀수조절기 각도를 조절하여 재봉 땀수를 조정하는 다이알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봉기를 장시간 사용할 때 다이알축 나사부와 재봉기 몸체와의 유격에 의해 땀수조절기 각도가 변동되어 봉제물의 재봉땀수가 변화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이알축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땀수조절기는 다이알축과 접촉되어 다이알축의 움직임에 따른 위치에 의해 땀수조절기의 각도가 결정되어 땀수가 설정되는 장치이다. 즉, 다이알축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땀수조절기의 각도를 결정하여 이송기구의 운동조건을 변화시켜 재봉땀수를 결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땀수조절기와 다이알축의 결합구조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다.
도 1은 종래 다이알축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에 의하면, 땀수조절기(8)의 일측면(8a)이 다이알축(2)의 내측 단부(2a)와 접촉하고 있다. 다이알축(2)이 측면에 형성된 나사로 인해 회전에 의해 내외로 움직이게 되며,다이알축(2)의 내측 단부(2a)는 그 위치에 따라 땀수조절기(8)를 움직여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땀수조절기(8)는 다이알축(2)의 내측 단부(2a)에 의해 위치된 각도에 따라 땀수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한 다이알축(2)은 재봉기 몸체(6) 내에 직접 나사결합하게 되며, 다이알축(2)은 사용자가 다이알(4)을 회전시킴으로 인해 회전된다. 다이알축(2)과 다이알(4) 사이에는 특별한 구조없이 단순히 결합, 일체화 되어 있으며, 다이알(4)은 단순히 손잡이의 역할만을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재봉기 몸체(6)의 암나사부가 형성된 부분에 다이알축(2)의 숫나사부가 직접 결합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경도가 약한 암나사부의 내구성 문제가 발생한다. 즉, 재봉기의 자동 역진 작동시, 땀수조절기(8)가 빈번하게 작동하면서 다이알축(2)에 충격력이 전달되면, 그 충격으로 인해 재봉기 몸체(6)의 암나사부 나사산의 마모를 가져와 다이알축(2)의 숫나사부와 재봉기 몸체(6) 암나사부와의 결합유격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결합유격의 증가는 다이알축(2)의 축방향 위치를 변화시키게 되며, 재봉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땀수조절기(8)로부터의 강한 충격이 있더라도, 결합유격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의 다이알축 잠금장치가 요청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이알축이 다이알축 붓싱에 결합되도록 하여 재봉기 몸체와 다이알축의 결합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재봉품질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다이알을 누르고 있을 때에만 다이알축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충격으로 인해 다이알축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불필요한 다이알축 회전을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도 1은 종래 다이알축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이알축 잠금장치 각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이알축 잠금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입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이알을 눌렀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입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이알축 잠금장치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입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이알축 잠금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다이알축 4 : 다이알
6 : 재봉기 몸체 8 : 땀수조절기
10 : 내붓싱 12 : 중공부
14 : 암나사부 16 : 지지부
20 : 외붓싱 22 : 톱니부
24 : 중공부 26 : 지지부
30 : 다이알축 32 : 숫나사부
34 : 곡면부 36 : 결합구멍
40 : 다이알구동판 41 : 톱니맞물림부
42 : 스프링수용부 44 : 누름부수용부
46 : 중심부 46a : 핀
50 : 다이알 52 : 스프링
53 : 스프링삽입부 54 : 다이알누름부
56 : 다이알결합나사 100 : 다이알축 붓싱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막대 형상의 외곽에 숫나사부가 구비되어 회전하면서 내외측으로 이동하고, 내측 단부에 반구형 곡면부가 구비되어 상기 땀수조절기와 접촉되는 다이알축, 상기 다이알축을 수용하면서 재봉기 몸체에 부착되는 다이알축 붓싱, 상기 다이알축의 외측 단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면서 중심부가 힌지결합되고 힌지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양측의 스프링수용부와 누름부수용부가 시소 운동을 하는 다이알구동판 및 상기 다이알구동판의 외측 단부를 감싸며, 상기 스프링수용부에 맞닿는 스프링, 상기 누름부수용부에 맞닿는 누름부를 구비하는 다이알;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수용부를 가압하여 상기 다이알구동판을 상기 다이알축 붓싱에 접촉시켜 상기 다이알축의 회전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스프링과 상기 누름부수용부가 상기 다이알을 외측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다이알축 붓싱의 내부에는 상기 다이알축의 숫나사부에 대응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다이알축 붓싱의 외측면에는 톱니부가 형성되고, 상기 다이알구동판의 상기 스프링수용부 쪽에는 상기 톱니부에 맞물리는 톱니맞물림부가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이 상기 스프링수용부를 가압하면, 상기 톱니맞물림부가 상기 다이알축 붓싱의 톱니부에 맞물려 상기 다이알축의 회전을 방지하는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다이알축 붓싱은 내측의 내붓싱과 외측의 외붓싱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붓싱은 내부에는 상기 다이알축의 숫나사부에 대응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재봉기 몸체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외붓싱의 외측면에는 톱니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붓싱의 외측에 위치하여 재봉기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다이알구동판의 상기 스프링수용부 쪽에는 상기 톱니부에 맞물리는 톱니맞물림부가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이 상기 스프링수용부를 가압하면, 상기 톱니맞물림부가 상기 외붓싱의 톱니부에 맞물려 상기 다이알축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다이알구동판 중심부에는 상기 다이알축의 외측 단부가 관통할 수 있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다이알축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다이알을 관통하는 다이알결합나사가 결합되어, 상기 누름부수용부와 상기 스프링이 상기 다이알을 외측으로 가압하더라도 상기 다이알결합나사에 의해 상기 다이알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본 고안의 다이알축 잠금장치의 각 구성 및 결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각 구성요소를 전개하여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고안의 다이알축 잠금장치는 크게, 다이알축 붓싱(100), 다이알축(30), 다이알구동판(40), 다이알(50)로 구성된다.
다이알축 붓싱(100)은 일체형으로 할 수도 있으며, 내붓싱(10)과 외붓싱(20)의 분리된 형태인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다이알축 붓싱(100)은 재봉기 몸체(미도시)에 직접 구비되므로, 재봉기 몸체(미도시)에 별도의 암나사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다이알축 붓싱(100)의 역할은 내측으로부터의 충격을 전달받는 부분이다. 내붓싱(10)은 다이알축(30)의 내측 외곽에 형성된 숫나사부(32)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붓싱(10)의 내측부에 형성된 중공부(12) 내에는 암나사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내붓싱(10)의 외곽 내측에는 재봉기 몸체(미도시)의 내측 벽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돌출된 지지부(16)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붓싱(10)은 재봉기 몸체(미도시)에 결합되며, 초기 위치설정 이후에는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내붓싱(10)과 별도로 분리되어 내붓싱(10)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붓싱(20)은 내붓싱(10)과 마찬가지로 내측부에 중공부(24)가 형성되어 있으나, 그 내부에 암나사부는 구비되지 않는다. 따라서 다이알축(3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은 내붓싱(10)을 통해 재봉기 몸체(미도시)로 전해지므로, 외붓싱(20)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외붓싱(20) 역시 재봉기 몸체(미도시)에 결합되며,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내붓싱(10)과 외붓싱(20)은 재봉기 몸체(미도시)와 고정나사, 핀 등을 사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외붓싱(20)은 외곽 외측에 톱니부(22)를 구비하고, 톱니부(22)와 다이알구동판(40)이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톱니부(22)와 다이알구동판(40)이 서로 분리되기 전까지는 다이알축(3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외붓싱(20)의 톱니부(22)가 형성된 부분은 내붓싱(10)과 마찬가지로 돌출된 지지부(26)를 구비하여 재봉기 몸체(미도시)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알축(30)은 외주면상에 숫나사부(32)가 형성된 봉의 형상이며, 내측 단부에는 반구형 곡면부(34)가 구비되어 땀수조절기(미도시)와 접촉된다. 다이알축(30)은 회전되면서 내·외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내붓싱(10)의 내측 암나사부(14)와 결합된다. 외측 단부에는 다이알구동판(40)이 수직으로 결합되며, 대략 T자의 구조로 결합된다. 또한 끝부분에는 다이알결합나사(56)를 삽입 결합시키기 위해 내측부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결합구멍(3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알구동판(40)은 충격이나 유격증가로 인해, 다이알축(30)이 스스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다이알(50)을 누를 경우에만 회전을 허용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다이알구동판(40)은 다이알축(30)의 외측 단부에 중심부(46)가 힌지결합된다.
힌지결합된 다이알구동판(40)은 다이알축(30)의 끝부분에서 중심부(46)를 기준으로 시소운동을 하게 된다. 힌지결합은 다이알축(30)의 측면에서 고정시키도록 하여, 다이알축(30)과 다이알구동판(40)은 같이 회전하도록 한다. 즉, 다이알구동판(40)이 움직이지 않으면, 다이알축(30)도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다이알구동판(40)은 힌지결합된 중심부(46)를 기준으로 일정 각도의 시소운동만을 하게 된다. 시소운동의 방향은 다이알축(30)이 회전되는 방향이 아니므로, 시소운동이 가능하더라도 다이알축(30)의 회전과는 무관하다. 다이알구동판(40)의 중심부(46)를 기준으로 양단은 스프링수용부(42)와 누름부수용부(44)이다.
스프링수용부(42)는 다이알(50)에 끼워지는 스프링(52)이 접촉되어 가압되는 부분이며, 누름부수용부(44)는 다이알(50) 내측의 다이알누름부(54; 도 3)와 접촉되는 부분이다. 다이알(50) 내부의 스프링(52)은 스프링수용부(42)를 내측으로 누르게 되고, 반대측의 누름부수용부(44)는 외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외측으로 밀려나는 누름부수용부(44)는 다이알(50) 내부의 다이알누름부(54)에 의해 지지된다.
스프링수용부(42)의 단부는 'ㄱ'자 모양으로 절곡 형성되어 외붓싱(20)의 외측 톱니부(22)와 맞물리는 톱니맞물림부(4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상시에는 스프링(52)이 스프링수용부(42)를 내측으로 가압하고, 이에 톱니맞물림부(41)는 외붓싱(20)의 톱니부(22)에 맞물리게 되어, 다이알축(30)이 외붓싱(20)에 고정되어 회전되지 않게 된다.
다이알(50)은 사용자가 손으로 다이알축(30)을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로, 안쪽으로는 스프링(52)이 수용되도록 스프링삽입부(53; 도 3)가 구비되어 있으며, 다이알누름부(54)가 구비되어 있다. 중앙에는 다이알결합나사(56)가 관통하고, 다이알결합나사(56)는 안쪽으로는 다이알축(30)의 단부와 결합된다.
다이알(50)의 회전이 다이알축(30)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다이알결합나사(56)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다이알결합나사(56)와 별도로 다이알구동판(40)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다이알결합나사(56)가 회전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다이알결합나사(56)의 내측 측면에 각이 져 있고, 다이알(50)의 구멍(58; 도 3) 내에도 각이 져 있어 서로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다이알구동판(40)을 이용해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다이알누름부(54)가 누름부수용부(44)를 감쌀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알결합나사(56)는 스프링(52)과 누름부수용부(44)가 다이알(50)을 외측으로 밀더라도,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다이알결합나사(56)의 외측 단부의 머리(56a) 지름은 다이알(50)의 구멍(58) 지름보다 크게 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각 구성요소가 결합된 상태(평상시)를 나타낸 입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내붓싱(10) 내에 다이알축(30) 내측의 숫나사부(32)가 나사결합되고, 내붓싱(10)의 외측으로는 외붓싱(20)이 결합된다. 외붓싱(20)은 직접적으로 다이알축(30)과 접촉하지 않으며, 내·외방향 이동시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
도 3의 A 방향으로, 땀수조절기(미도시)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면, 먼저 다이알축(30)에 힘이 전달되고, 이는 나사결합된 부분을 통해 내붓싱(10)의 지지부(16)를 통해 재봉기 몸체(미도시)로 전달된다. 결국 충격력은 외붓싱(20)까지 전달되지 않게 되므로, 외붓싱(20)의 톱니부(22)로부터 다이알구동축(40)의 톱니맞물림부(41)가 빠질 염려가 없게 되고, 따라서 다이알축(30)이 스스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재봉기 몸체(미도시)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견고하게 제작된 내붓싱(10)을 사용하여 지지부(16)에 의한 압력만을 전달받으므로, 결합 유격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내붓싱(10)은 재봉기 몸체(미도시)보다 소형의 간단한 구성이므로, 제작공정상 재봉기 몸체(미도시)보다 강도가 높고, 견고하게 제작할 수 있다.
다이알축(30)은 다이알구동판(40)과 측면을 관통하는 핀(46a)으로 결합된다. 핀(46a) 등으로 결합(힌지결합이라 한다)된 상태에서, 양단의 스프링수용부(42)와 누름부수용부(44)는 서로 시소운동을 하듯이, 일정 각도만큼 움직인다. 평상시에는 스프링(52)에 의해 내측으로 스프링수용부(42)가 가압되며, 그 반대편의 누름부수용부(44)는 외측으로 다이알누름부(54)를 가압하게 된다. 스프링수용부(42)가 내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스프링수용부(42) 쪽에 구비된 톱니맞물림부(41)는 강한 압력으로 외붓싱(20)의 톱니부(22)에 맞물려 있게 된다.
다이알(50)은 외측으로 힘을 받게 되나, 다이알축(30)에 결합된 다이알결합나사(56)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이알(50)에 특별히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톱니부(22)의 지지력에 의해 다이알축(30)이 회전하지 않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각 구성요소가 결합된 상태(사용자 회전시)를 나타낸 입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사용자가 다이알(50)을 누른 상태의 각 구성요소의 상태를 알 수 있다.
사용자가 다이알(50)을 내측으로 누른 경우, 다이알누름부(54)는 누름부수용부(44)를 누르게 되고, 반대쪽의 톱니맞물림부(41)는 시소운동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톱니맞물림부(41)가 톱니부(22)로부터 이탈하면, 다이알축(30)은 회전이 자유롭게 되며, 사용자는 다이알(50)을 회전시켜 다이알축(30)을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각 구성요소 중 내붓싱과 외붓싱이 일체로 된 다이알축 붓싱을 구비한 것을 나타내는 입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내붓싱(10)과외붓싱(20)이 일체로 된 다이알축 붓싱(100)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체형 다이알축 붓싱(100)의 각 구성은 내붓싱(10) 및 외붓싱(20)이 연결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구성이나, 내붓싱(10)의 지지부(16)와 같은 구성이 생략되어 있다. 일체형의 다이알축 붓싱(100)을 사용하는 경우 설치가 간단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각 구성요소의 결합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재봉기 몸체(6)의 내측에는 내붓싱(10)이 결합되고, 외측에는 외붓싱(20)이 결합된다. 내붓싱(10) 내에 나사결합된 다이알축(30)의 내측 단부는 땀수조절기(8)와 접촉되어 있다.
내붓싱(10)에 가해진 충격력이 외붓싱(20) 쪽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내붓싱(10)과 외붓싱(20)은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이알(50)은 재봉기 몸체(6)와 간격을 두고 있어서, 사용자가 다이알(50)을 내측 방향으로 밀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본 고안은 다이알축 붓싱을 사용하여 다이알축을 재봉기 몸체에 결합시키므로써 다이알축에 전해지는 충격력으로 인해 결합된 부분에 결합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땀수가 스스로 변동되는 것을 차단하고 재봉품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다이알을 누르고 있을 때에만 다이알축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외부 충격에 의해서도 다이알축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재봉기를 이용한 재봉 작업시 봉제물의 재봉 땀수를 조절하는 땀수조절기의 각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다이알축을 포함하는 다이알축 잠금장치에 있어서,
    막대 형상의 외곽에 숫나사부가 구비되어 회전하면서 내외측으로 이동하고, 내측 단부에 반구형 곡면부가 구비되어 상기 땀수조절기와 접촉되는 다이알축;
    상기 다이알축을 수용하면서 재봉기 몸체에 부착되는 다이알축 붓싱;
    상기 다이알축의 외측 단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면서 중심부가 힌지결합되고 힌지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양측의 스프링수용부와 누름부수용부가 시소 운동을 하는 다이알구동판; 및
    상기 다이알구동판의 외측 단부를 감싸며, 상기 스프링수용부에 맞닿는 스프링, 상기 누름부수용부에 맞닿는 다이알누름부를 구비하는 다이알;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수용부를 가압하여 상기 다이알구동판을 상기 다이알축 붓싱에 접촉시켜 상기 다이알축의 회전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스프링과 상기 누름부수용부가 상기 다이알을 외측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알축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알축 붓싱의 내부에는 상기 다이알축의 숫나사부에 대응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다이알축 붓싱의 외측면에는 톱니부가 형성되고,
    상기 다이알구동판의 상기 스프링수용부 쪽에는 상기 톱니부에 맞물리는 톱니맞물림부가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이 상기 스프링수용부를 가압하면, 상기 톱니맞물림부가 상기 다이알축 붓싱의 톱니부에 맞물려 상기 다이알축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알축 잠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알축 붓싱은
    내측의 내붓싱과 외측의 외붓싱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붓싱은 내부에는 상기 다이알축의 숫나사부에 대응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재봉기 몸체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외붓싱의 외측면에는 톱니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붓싱의 외측에 위치하여 재봉기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다이알구동판의 상기 스프링수용부 쪽에는 상기 톱니부에 맞물리는 톱니맞물림부가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이 상기 스프링수용부를 가압하면, 상기 톱니맞물림부가 상기 외붓싱의 톱니부에 맞물려 상기 다이알축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알축 잠금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알구동판 중심부에는 상기 다이알축의 외측 단부가 관통할 수 있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다이알축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다이알을 관통하며 끼워지는 다이알결합나사가 결합되어,
    상기 누름부수용부와 상기 스프링이 상기 다이알을 외측으로 가압하더라도 상기 다이알결합나사에 의해 상기 다이알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알축 잠금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개 또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상기 다이알축 붓싱은 축방향 또는 원주방향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해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알축 잠금장치.
KR20-2003-0039602U 2003-12-19 2003-12-19 다이알축 잠금장치 KR2003452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602U KR200345244Y1 (ko) 2003-12-19 2003-12-19 다이알축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602U KR200345244Y1 (ko) 2003-12-19 2003-12-19 다이알축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5244Y1 true KR200345244Y1 (ko) 2004-03-18

Family

ID=49426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602U KR200345244Y1 (ko) 2003-12-19 2003-12-19 다이알축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524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760B1 (ko) 2007-05-25 2007-12-18 윤성용 미싱용 땀수 다이얼 고정장치
KR100847085B1 (ko) 2008-04-30 2008-07-18 한상만 재봉기의 땀수 조절장치
KR101006540B1 (ko) 2007-07-06 2011-01-07 주식회사 썬스타 다이얼위치고정장치, 상기 다이얼위치고정장치에 의해고정되는 땀수조절다이얼장치, 및 상기땀수조절다이얼장치가 장착된 미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760B1 (ko) 2007-05-25 2007-12-18 윤성용 미싱용 땀수 다이얼 고정장치
KR101006540B1 (ko) 2007-07-06 2011-01-07 주식회사 썬스타 다이얼위치고정장치, 상기 다이얼위치고정장치에 의해고정되는 땀수조절다이얼장치, 및 상기땀수조절다이얼장치가 장착된 미싱
KR100847085B1 (ko) 2008-04-30 2008-07-18 한상만 재봉기의 땀수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14888B (ko)
US7389858B2 (en) Disk brake with adjustment device
KR20110009030A (ko) 체인 텐셔너
JP2005069484A (ja) ばね変位固定ボルト
JP6053861B2 (ja) ヨーク遊隔補償装置
JP2018504221A (ja) 手術台のスライドレールに取り付けるためのクランプクロウ
KR200345244Y1 (ko) 다이알축 잠금장치
JP2017087334A (ja) 基軸ホルダ及び電動工具
JP4205073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CN112438686A (zh) 带有锁紧功能的内窥镜手柄结构及其内窥镜
JP2001121444A (ja) ロック機構付きトルクドライバー
JP3390821B2 (ja) 噛み合いクラッチ
AU2003294920A1 (en) Sewing machine
KR100774260B1 (ko) 핸드피스용 스핀들축의 브레이킹 겸용 푸싱장치
JP2006266296A (ja)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及び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におけるシリンダ孔の形成方法
JP4200570B2 (ja) テンショナー
JP4083890B2 (ja) ミシンの針棒
CN216876548U (zh) 一种防误碰驱动结构及锁定结构
CN215687664U (zh) 带有锁紧功能的内窥镜手柄结构及其内窥镜
US10988878B2 (en) Overlock sewing machine
JP3103885U (ja) ヒンジ固定装置
JP4363583B2 (ja) リールシート
CN211752219U (zh) 按压式安全锁定机构及健身器械
KR101858453B1 (ko) 크라샤의 본체부 제동장치
JP3716798B2 (ja) ねじ締め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