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255U - 버스용 사이드 미러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버스용 사이드 미러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255U
KR20090004255U KR2020070017799U KR20070017799U KR20090004255U KR 20090004255 U KR20090004255 U KR 20090004255U KR 2020070017799 U KR2020070017799 U KR 2020070017799U KR 20070017799 U KR20070017799 U KR 20070017799U KR 20090004255 U KR20090004255 U KR 200900042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angle
side mirror
bu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7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희
Original Assignee
이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희 filed Critical 이정희
Priority to KR20200700177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4255U/ko
Publication of KR200900042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25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 몸체에 설치되며,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사이드 미러가 설치된 브라켓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용 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스 몸체에 고정되는 제 1플레이트와, 상기 제 1플레이트의 정면에 용접되어 설치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선단에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의 후방면에 형성된 원형홈에 끼워져 브라켓이 회전하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와, 상기 브라켓의 후방면에 체결고정되며, 중앙으로 상기 지지봉이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된 제 2플레이트와, 상기 지지봉과, 제 2플레이트의 사이에 끼워지며 정면에는 상기 브라켓의 후방면에 밀착되는 플랜지가 형성된 지지관체와, 상기 플랜지의 절곡부에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헤드의 어느 한 면에 밀착되어 브라켓의 각도가 바뀌는 것을 방지하는 모서리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버스용 사이드 미러, 각도조절장치, 회전

Description

버스용 사이드 미러 각도조절장치{side mirror for bus}
본 고안은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구 형태로 형성된 헤드부를 가지는 지지봉을 버스 몸체에 고정하고, 상기 헤드부를 브라켓에 형성된 원형홈에 끼워 상기 브라켓을 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하여, 상기 브라켓에 설치된 사이드 미러가 전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버스용 사이드 미러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나 버스 등 모든 차종에는 사이드 미러가 설치되어 차선을 변경하거나 후진, 또는 주차를 할 경우에 차량의 양측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이드 미러는 통상적으로 운전자가 운행을 하기 전에 미리 자신의 신체에 맞추어 조정을 하여 시야가 잘 확보되도록 설정한다.
하지만, 보통 버스나 트럭 등의 큰 차량은 사이드 미러가 몸체의 측면에 프레임 등으로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사이드 미러의 회전각도가 제한되어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다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운행중에 도로에 방치된 이물질에 걸리거나 비포장 도로를 달릴 때 차 량의 충격으로 인하여 사이드 미러가 흔들림으로 인해서 다시 조정을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경우 승용차는 내부에서 상기 사이드 미러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크게 상관은 없으나 버스나 대형차의 경우에는 내부에서 사이드 미러를 조정할 수 없음으로써, 운행중 차를 정차시킨 후, 상기 사이드 미러를 조정해야 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구 형태를 가지는 헤드에 사이드 미러가 설치된 브라켓을 끼워 상기 브라켓이 자유롭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브라켓에 설치된 사이드 미러가 자유롭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용 사이드 미러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버스 몸체에 설치되며,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사이드 미러가 설치된 브라켓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용 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스 몸체에 고정되는 제 1플레이트와, 상기 제 1플레이트의 정면에 용접되어 설치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선단에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의 후방면에 형성된 원형홈에 끼워져 브라켓이 회전하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와, 상기 브라켓의 후방면에 체결고정되며, 중앙으로 상기 지지봉이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된 제 2플레이트와, 상기 지지봉과, 제 2플레이트의 사이에 끼워지며 정면에는 상기 브라켓의 후방면에 밀착되는 플랜지가 형성된 지지 관체와, 상기 플랜지의 절곡부에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헤드의 어느 한 면에 밀착되어 브라켓의 각도가 바뀌는 것을 방지하는 모서리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구 형태를 가지는 헤드에 상기 헤드가 끼워지는 원형홈이 형성된 브라켓을 끼워 상기 브라켓이 상기 헤드를 타고 전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사이드 미러를 설치하여 상기 사이드 미러가 브라켓을 따라 전방향으로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운전자가 보다 더 좋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사이드 미러(40)가 설치된 브라켓(34)을 버스 몸체(10)에 전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각도조절장치(P)로 연결하여 운전자가 다양한 각도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에서는 도시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각도조절기장치(P)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각도조절장치(P)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각도조절장치(P)의 결합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각도 조절장치(P)는 제 1플레이트(12)를 가진 다.
상기 제 1플레이트(12)는 버스 몸체(10)에 볼트(16)로 체결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 1플레이트(12)의 정면에는 지지봉(18)의 후방이 용접되어 고정된다.
상기 지지봉(18)은 버스 몸체(10)와 브라켓(34)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방에는 구 형태를 가지는 헤드(20)가 형성된다.
상기 헤드(20)는 상기 브라켓(34)의 후방면(14)에 형성된 원형홈(36)에 끼워져 브라켓(34)이 헤드(20)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전방향으로 자유롭게 각도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원형홈(36)에 상기 구 형태의 헤드(20)가 끼워지면, 원형홈(36)과 헤드(20)가 서로 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원형홈(36)이 헤드(20)를 중심으로 전방향으로 회전을 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브라켓(34)이 회전을 하면 브라켓(34)에 설치된 사이드 미러가 상기 브라켓(34)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운전자는 다양한 각도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브라켓(24)의 후방면(14)에는 중앙으로 구멍(24)이 형성된 제 2플레이트(22)가 볼트(32)로 체결고정된다. 이때, 제 2플레이트(22)에 형성된 구멍(24)에는 지지관체(28)가 끼워지고, 상기 지지관체(28)에는 상기 지지봉(18)이 관통된다.
상기 지지관체(28)는 정면에 플랜지(26)가 형성된 관체로 내부에는 구멍(30)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26)에서 구멍(30)으로 절곡되는 부분인 모서리부(4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모서리부(42)는 상기 브라켓(34)의 회전에 따라 상기 헤드 (20)에 밀착되어 볼트(32)의 체결동작에 따라 헤드(20)의 어느 한 면에 압착되어 브라켓(34)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한다.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플랜지(26)가 제 2플레이트(22)와 브라켓(34)의 후방면(14) 사이에 밀착되어 위치함으로써, 상기 브라켓(34)의 회전시 상기 지지관체(28)가 브라켓(34)을 따라 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지지관체(28)를 따라 회전하는 상기 모서리부(42)는 상기 헤드(20)의 어느 한 면에 밀착되어 걸려지게 되고, 모서리부(42)가 헤드(20)의 한 면에 걸려지게 되면, 상기 볼트(32)의 체결동작에 따라 상기 헤드(20)의 어느 한 면에 압착됨으로써, 상기 브라켓(34)은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하, 상기 구성들로 이루어진 각도조절장치(P)의 사용상태를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브라켓(34)과 제 2플레이트(22)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32)를 체결해지하여 지지관체(28)에 형성된 모서리부(42)가 헤드(20)의 어느 한 면에 압착되어 있는 것을 해지시킨다.
이후, 상기 브라켓(34)을 운전자가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키면, 브라켓(34)이 헤드(20)를 타고 회전하며 운전자가 설정한 각도만큼 회전을 한다.
이후, 설정된 각도를 유지한 채로 볼트(32)를 체결하면 상기 지지관체(28)에 형성된 플랜지(26)가 브라켓(34)의 후방면(14)에 밀착되고, 상기 모서리부(42)는 상기 헤드(20)의 어느 한 면에 압착된다.
이후, 모서리부(42)가 헤드(20)의 어느 한 면에 압착되어 상기 헤드(20)에 걸려지면 상기 브라켓(34)은 상기 모서리부(42)에 의해서 더 이상 회전을 할 수 없게 됨으로써, 설정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브라켓(34)에 설치된 사이드 미러(40) 또한, 사용자가 설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사이드 미러(40)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전술한 방법을 통하여 전,후,좌,우 전방향으로 사이드 미러(4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운전자는 보다 다양한 각도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버스용 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버스용 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의 결합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버스용 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에 설치된 브라켓을 외측으로 기울여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버스용 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에 설치된 브라켓을 내측으로 기울여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버스 몸체 12,22: 제 1,2플레이트
14: 후방면 16,32: 볼트
18: 지지봉 20: 헤드
24,30: 구멍 26: 플랜지
28: 지지관체 34: 브라켓
36: 원형홈 40: 사이드 미러

Claims (1)

  1. 버스 몸체(10)에 설치되며,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사이드 미러(40)가 설치된 브라켓(34)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용 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스 몸체(10)에 고정되는 제 1플레이트(12)와;
    상기 제 1플레이트(12)의 정면에 용접되어 설치되는 지지봉(18)과;
    상기 지지봉(18)의 선단에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34)의 후방면(14)에 형성된 원형홈(36)에 끼워져 브라켓(34)이 회전하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20)와;
    상기 브라켓(34)의 후방면(14)에 체결고정되며, 중앙으로 상기 지지봉(18)이 관통되는 구멍(24)이 형성된 제 2플레이트(22)와;
    상기 지지봉(18)과, 제 2플레이트(22)의 사이에 끼워지며 정면에는 상기 브라켓(34)의 후방면(14)에 밀착되는 플랜지(26)가 형성된 지지관체(28)와;
    상기 플랜지(26)의 절곡부에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34)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헤드(20)의 어느 한 면에 밀착되어 브라켓(34)의 각도가 바뀌는 것을 방지하는 모서리부(42)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절장치.
KR2020070017799U 2007-11-01 2007-11-01 버스용 사이드 미러 각도조절장치 KR2009000425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799U KR20090004255U (ko) 2007-11-01 2007-11-01 버스용 사이드 미러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799U KR20090004255U (ko) 2007-11-01 2007-11-01 버스용 사이드 미러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255U true KR20090004255U (ko) 2009-05-07

Family

ID=41299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799U KR20090004255U (ko) 2007-11-01 2007-11-01 버스용 사이드 미러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425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40094A (zh) * 2017-10-10 2018-01-30 江门市宏力后视镜实业有限公司 一种后视镜杆
CN107719236A (zh) * 2017-10-10 2018-02-23 江门市宏力后视镜实业有限公司 一种后视镜的连接结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40094A (zh) * 2017-10-10 2018-01-30 江门市宏力后视镜实业有限公司 一种后视镜杆
CN107719236A (zh) * 2017-10-10 2018-02-23 江门市宏力后视镜实业有限公司 一种后视镜的连接结构
CN107640094B (zh) * 2017-10-10 2024-02-13 江门市宏力后视镜实业有限公司 一种后视镜杆
CN107719236B (zh) * 2017-10-10 2024-03-26 江门市宏力后视镜实业有限公司 一种后视镜的连接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2572A (en) System for viewing an infant in the rear seat of a vehicle
US4906088A (en) Readily attachable auxiliary wide-angle outside rearview mirror
KR20090004255U (ko) 버스용 사이드 미러 각도조절장치
JP2001158294A (ja) 自動車用後付け式フェンダーミラー
US6302550B1 (en) Rear mounted mirror assembly for motor vehicles
JP2007308124A (ja) 車載用液晶モニターの保持構造
KR200445334Y1 (ko) 전방 사각지대 디스플레이패널 고정장치
JP3119612U (ja) 車両用ルームミラー
KR102650319B1 (ko) 대형트럭 사각지대 보조미러
JP3234593U (ja) 自動車用先端カーブミラー
JPH08198151A (ja) 自動車用バックバイザー
JP2566811Y2 (ja) 自動車用アンダーミラー装置
CN209336599U (zh) 一种新型双层汽车后视镜
CN208149171U (zh) 一种用于辅助后车的行车辅助视镜
JP3082385U (ja) 自動車用サイドミラー
KR0140618B1 (ko) 자동차의 룸미러 지지구조
JP3018736U (ja) 二視界ミラー付リアスポイラー
KR200374560Y1 (ko) 차량용 후측방 사각 미러
JP3174382U (ja) 車のフロントの側面と、側面の下の道路を一緒に映す補助鏡。
JP3104880U (ja) 自動車の斜め後方確認の為の、曲面鏡及び曲面鏡の取付位置
KR200443161Y1 (ko) 교체가 용이한 차량용 백미러
US20060279864A1 (en) On structure of a side mirror
TWM641338U (zh) 旋轉式後照鏡
JPS60139547A (ja) 緩衝機構付ドアミラ−
JPH10309988A (ja) 自動車用ドアミラ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