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161Y1 - 교체가 용이한 차량용 백미러 - Google Patents

교체가 용이한 차량용 백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161Y1
KR200443161Y1 KR2020070009771U KR20070009771U KR200443161Y1 KR 200443161 Y1 KR200443161 Y1 KR 200443161Y1 KR 2020070009771 U KR2020070009771 U KR 2020070009771U KR 20070009771 U KR20070009771 U KR 20070009771U KR 200443161 Y1 KR200443161 Y1 KR 2004431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view mirror
fastened
mirror housing
fasten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97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6327U (ko
Inventor
박옥남
Original Assignee
박옥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옥남 filed Critical 박옥남
Priority to KR20200700097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161Y1/ko
Publication of KR200800063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3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1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1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60J5/0404Outside rear view mirror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양측에 구비되어 차량의 후미를 볼 수 있도록 하는 백미러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에 백미러(110)가 결합된 백미러하우징(100)의 저면으로 너트부(N)를 갖는 고정판(111)이 구비되고, 상기 백미러하우징(100)이 회동가능하도록 고정판(111)과 결합되는 받침대(210)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은 차량프레임(F)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200)로 이루어진 통상의 차량용 백미러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00)의 받침대(210) 내측 외주면으로 체결공(212)이 천공된 단턱(21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체결공(212)과 볼트(B)에 의해 체결가능하도록 너트부(N)가 구비되어 있고, 다수의 삽입공(310)이 천공되어 있는 체결판(300)이 상기 단턱(211)에 안착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체결판(300)의 삽입공(310)에 상기 백미러하우징(100)의 저면에 형성된 너트부(N)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일반적으로 차량에 부착되는 백미러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교체하는데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백미러가 부착된 백미러하우징이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받침대의 내측으로 체결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때 상기 체결판에 다수의 삽입공이 천공되어 있어 백미러하우징 저면에 형성된 너트부가 삽입된 후 볼트에 의해 체결판과 체결되고, 상기 체결판은 받침대에 체결되어 결과적으로 백미러하우징이 받침대에 체결되어 지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체결판에 다수의 삽입공을 천공하여 백미러하우징 저면에 형성된 너트부의 간견이 일정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백미러하우징을 체결할 수 있는 교체가 용이한 차량용 백미러에 관한 것이다.
백미러, 삽입공, 백미러 하우징, 연결부.

Description

교체가 용이한 차량용 백미러{The rearview of easily change}
도 1은 본 고안인 교체가 용이한 차량용 백미러에 있어서 백미러하우징과 체결판의 분리 사시도 이며,
도 2는 본 고안인 교체가 용이한 차량용 백미러에 있어서 백미러하우징에 체결판이 체결된 상태에서 연결부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인 교체가 용이한 차량용 백미러에 있어서 체결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4는 본 고안인 교체가 용이한 차량용 백미러가 차량프레임에 체결된 상태를 평면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인 교체가 용이한 차량용 백미러가 차량프레임에 체결된 상태를 정면도로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며,
도 6은 내지 도 7은 본 고안인 교체가 용이한 차량용 백미러의 사용상태도 이다.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백미러하우징 110; 백미러
111; 고정판 200; 연결부
210; 받침대 211; 단턱
222; 체결공 300; 체결판
310; 삽입공 320; 장공
B; 볼트 F; 차량프레임
N; 너트 P; 방향지시등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일반적으로 차량에 부착되는 백미러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교체하는데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백미러가 부착된 백미러하우징이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받침대의 내측으로 체결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때 상기 체결판에 다수의 삽입공이 천공되어 있어 백미러하우징 저면에 형성된 너트부가 삽입된 후 볼트에 의해 체결판과 체결되고, 상기 체결판은 받침대에 체결되어 결과적으로 백미러하우징이 받침대에 체결되어 지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체결판에 다수의 삽입공을 천공하여 백미러하우징 저면에 형성된 너트부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백미러하우징을 체결할 수 있는 교체가 용이한 차량용 백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가 후방의 시계를 확보하여 안전운행에 기여할 수 있는 장치로서, 백미러라고 불리는 아웃사이드 미러가 차량의 외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 백미러는 차량 주행시 차선 변경이나 다른 차량을 추월할 때, 또는 차량의 주차나 후진시 운전자가 후방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백미러는 사각지역을 최소화하면서 보다 넓고 먼 거리를 비춰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설치된 백미러는 평면형태로 이루어진 거울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후방 시계의 확보 범위가 크게 제한되어 관측 불가능한 사각지대가 형성됨으로 운전할 때 신중을 기하지 않으면 사고발생의 위험요소가 항상 내재하게 된다.
특히 승용차에 설치된 백미러는 그 길이와 폭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어 필연적으로 사각지대가 생기며, 따라서 대부분의 운전자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룸미러와 백미러를 수시로 주시하면서 운전을 하게 됨은 물론이고, 보다 확실한 후방의 상황을 판단하기 위하여 고개를 돌려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와 같은 기존 백미러의 사각지대 시야 확보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원인에 의해 출원된 "등록번호 20-0420737"에 의하면 백미러 하우징에 미러를 체결함에 있어 주행 및 정차중 사각지대를 최소화하여 넓게 볼 수 있도록 백미러 하우징 내측으로 백미러가 돌출되도록 결합하고 상기 백미러 하우징과 결합된 연결부 전방에 상기 백미러 하우징을 전동식으로 회동시 상기 내측으로 돌출된 백미러가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홈을 형성하여 백미러 하우징이 원활하게 회동 되도록 하였으며 특히, 상기 백미러의 곡률을 외측보다 내측이 작게 형성함으로써 사각지대의 차량 및 물체를 더욱 용이하게 식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사각지대의 최소화를 위한 차량용 백미러가 개발되어 진 것으로,
기존의 백미러가 볼 수 없었던 사각지대의 시야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어 운전자가 보다 안전하고 편안하게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백미러는 시야 확보에 상당한 효율성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기존의 차량에 부착된 백미러를 상기와 같은 시야 확보가 용이한 백미러로 교체하는데 상당한 불편함이 따름은 물론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백미러를 교체하기 위한 작업 또한 차량프레임에 부착된 연결부를 백미러하우징에 맞는 종류로 교체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상의 효율성이 떨어짐은 물론 상당한 비용이 추가로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차량에 부착되는 백미러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교체하는데 용 이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백미러가 부착된 백미러하우징이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받침대의 내측으로 체결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때 상기 체결판에 다수의 삽입공이 천공되어 있어 백미러하우징 저면에 형성된 너트부가 삽입된 후 볼트에 의해 체결판과 체결되고, 상기 체결판은 받침대에 체결되어 결과적으로 백미러하우징이 받침대에 체결되어 지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체결판에 다수의 삽입공을 천공하여 백미러하우징 저면에 형성된 너트부의 간견이 일정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백미러하우징을 체결할 수 있는 교체가 용이한 차량용 백미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교체가 용이한 차량용 백미러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외부에 백미러(110)가 결합된 백미러하우징(100)의 저면으로 너트부(N)를 갖는 고정판(111)이 구비되고, 상기 백미러하우징(100)이 회동가능하도록 고정판(111)과 결합되는 받침대(210)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은 차량프레임(F)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200)로 이루어진 통상의 차량용 백미러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00)의 받침대(210) 내측 외주면으로 체결공(212)이 천공된 단턱(21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체결공(212)과 볼트(B)에 의해 체결가능하도록 너트부(N)가 구비되어 있고 다수의 삽입공(310)이 천공되어 있는 체결판(300)이 상기 단턱(211)에 안착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체결판(300)의 삽입공(310)에 상기 백미러하우징(100)의 저면에 형성된 너트부(N)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는바, 도 1은 본 고안인 교체가 용이한 차량용 백미러에 있어서 백미러하우징과 체결판의 분리 사시도 이며, 도 2는 본 고안인 교체가 용이한 차량용 백미러에 있어서 백미러하우징에 체결판이 체결된 상태에서 연결부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인 교체가 용이한 차량용 백미러에 있어서 체결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4는 본 고안인 교체가 용이한 차량용 백미러가 차량프레임에 체결된 상태를 평면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인 교체가 용이한 차량용 백미러가 차량프레임에 체결된 상태를 정면도로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며, 도 6은 내지 도 7은 본 고안인 교체가 용이한 차량용 백미러의 사용상태도 이다.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이전에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면,
외부에 백미러가 결합된 백미러하우징과 상기 백미러하우징 내에 구비된 전동수단과 상기 백미러하우징이 상기 전동수단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일측이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차량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차량 용 백미러에 하기에서 설명하는 본 고안의 구성을 추가적으로 고안한 것으로서 이하, 그 내용을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본 고안은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백미러하우징(100)과 연결부(200)를 체결하는데 있어 체결판(3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백미러하우징(100)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면 외측으로 백미러(110)가 체결되어 있고, 저면으로 다수의 너트부(N)를 갖는 고정판(111)이 구비되는 것으로 일반적은 백미러하우징(100)의 구성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백미러(110)는 백미러하우징(100)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하고 외측보다 내측의 곡률을 작게 형성함으로서 사각지대의 차량 및 물체를 더욱 용이하게 식별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백미러하우징(100)에는 일반적으로 저면에 고정판(11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정판(111)에 다수의 너트부(N)를 구비하여 후술하는 연결부(200)와 볼트(B)에 의해 체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것이다.
한편 미설명 부호 "P"는 방향 지시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백미러하우징(100)의 저면에 구비되어 전방에서 차량의 방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20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이 차량프레임(F)는 것으로 받침대(220)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받침대(210)는 내측 외주면으로 단턱(21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단턱(211)에 다수의 체결공(212)을 천공하여서 된다.
또한, 상기 체결판(310)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너트부(N)를 구비하여 상기 받침대(220)의 단턱(221)에 천공된 체결공(222)과 볼트(B)에 의해 체결되며, 다수의 삽입공(310)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삽입공(310)은 상기 백미러하우징(100)의 저면 고정판(111)에 구비된 너트부(N)가 삽입되기 위한 것으로 볼트(B)에 의해 체결판(300)과 백미러하우징(100)이 체결되어 진다.
또한, 도 3a 및 도 3b는 상기 체결판(300)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다수의 장공(320)을 천공하여 상기 백미러하우징(100)의 너트부(N)가 삽입되는 데 있어 보다 용이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교체가 용이한 차량용 백미러의 체결 및 교체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차량프레임(F)에 상기 연결부(200)를 체결하게 되는데, 이는 연결부(200)를 차량프레임(F)에 밀착시킨 후 체결부재를 이용해 차량프레임(F)에 체결 하여 연결부(200)가 차량프레임(F)에 체결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차량프레임(F)에 연결부(200)를 체결한 후 백미러하우징(100)을 연결부(200)에 체결하게 되는데, 백미러하우징(100)을 연결부(200)에 체결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백미러하우징(100) 저면에 형성된 너트부(N)를 상기 체결판(300) 의 삽입공(310)에 삽입시킨 후 볼트(B)로 체결하여 백미러하우징(100)과 체결판(300)을 체결한다.
이때 상기 체결판(300)에 다수의 삽입공(310)이 천공되어 있어 백미러하우징(100)에 구비된 너트부(N)의 위치 및 수가 변하더라고 체결판(300)에 체결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형태의 백미러하우징(100)을 체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백미러하우징(100)에 체결판(300)을 체결한 후 체결판(300)을 상기 연결부(200)의 받침대(210) 내측에 형성된 단턱(211)에 안착시키고, 상기 단턱(211)에 천공된 체결공(212)과 체결판(300)의 너트부(N)를 볼트(B)를 이용하여 체결하게 되면 체결판(300)이 받침대(210)에 체결되어 지고 결과적으로 연결부(200)에 백미러하우징(100)을 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본 고안인 교체가 용이한 차량용 백미러를 사용하다 사용자가 백미러를 교체할 시에는 상기 연결부(200)는 차량프레임(F)에 체결된 생태를 유지하고, 연결부(200)에서 체결판(300)을 분리한 다음 상기 백미러하우징(100)을 체결판(300)에서 분리하고, 새로운 백미러하우징(100)을 상기 체결 판(300)에 체결하고 다시 체결판(300)을 연결부(200)의 받침대(210)에 체결하여서 되는 것으로, 백미러하우징(100)만 교체하고 연결부(200)와 체결판(300)은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판(300)에 다수의 삽입공(310)이 천공되어 있어 백미러하우징(100) 저면에 형성된 너트부(N)의 위치나 수에 관계없이 체결판(300)에 체결이 가능하여 상기의 체결과정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기 백미러하우징(100) 배면부의 외곽을 이루는 내각 θ1은 상기 배면부의 외곽과 차체프레임(F) 외각 θ2보다 큰 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운전자가 창문을 닫고 빠른 속도로 차량을 운행하게 되면 백미러하우징(100)의 배면부의 외곽을 이루는 내각 θ1이 배면부의 외곽과 차체프레임(F) 외각 θ2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을 경우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지않아 상당한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와 같이 백미러하우징(100) 배면부의 외곽을 이루는 내각 θ1은 상기 배면부의 외곽과 차체프레임(F) 외각 θ2보다 크게 형성하게 되면 공기의 흐름을 최대한 원활하게 하여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θ1의 각도는 대략 50도 정도로 하고 θ2 40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교체가 용이한 차량용 백미러는 사용자가 백미러를 교체하는 데 있어, 차량프레임에 체결되어 있는 연결부는 교체하지 않고 백미러하우징만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백미러를 교체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경제적이며,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백미러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백미러하우징 배면부의 외곽을 이루는 내각 θ1은 상기 배면부의 외곽과 차체프레임 외각 θ2보다 크게 형성하여 공기의 흐름을 최대한 원활하게 하여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3)

  1. 외부에 백미러(110)가 결합된 백미러하우징(100)의 저면으로 너트부(N)를 갖는 고정판(111)이 구비되고, 상기 백미러하우징(100)이 회동가능하도록 고정판(111)과 결합되는 받침대(210)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은 차량프레임(F)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200)로 이루어진 통상의 차량용 백미러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00)의 받침대(210) 내측 외주면으로 체결공(212)이 천공된 단턱(21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체결공(212)과 볼트(B)에 의해 체결가능하도록 너트부(N)가 구비되어 있고, 다수의 삽입공(310)이 천공되어 있는 체결판(300)이 상기 단턱(211)에 안착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체결판(300)의 삽입공(310)에 상기 백미러하우징(100)의 저면에 형성된 너트부(N)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차량용 백미러.
  2. 삭제
  3. 삭제
KR2020070009771U 2007-06-14 2007-06-14 교체가 용이한 차량용 백미러 KR2004431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771U KR200443161Y1 (ko) 2007-06-14 2007-06-14 교체가 용이한 차량용 백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771U KR200443161Y1 (ko) 2007-06-14 2007-06-14 교체가 용이한 차량용 백미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327U KR20080006327U (ko) 2008-12-18
KR200443161Y1 true KR200443161Y1 (ko) 2009-01-16

Family

ID=41327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9771U KR200443161Y1 (ko) 2007-06-14 2007-06-14 교체가 용이한 차량용 백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1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327U (ko) 200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0736B2 (ja) 鞍乗り型車両のメータ支持構造
FR2909594B1 (fr) Pavillon vitre de vehicule automobile,procede de montage et vehicule correspondants
KR200443161Y1 (ko) 교체가 용이한 차량용 백미러
JP4689437B2 (ja) 車両の灯火器取付構造
KR200226769Y1 (ko) 승용차의 후사경
JP2007308124A (ja) 車載用液晶モニターの保持構造
KR200295840Y1 (ko) 자동차의 전,후방 동시관측용 보조미러
JPH0722849U (ja) 車両用補助ミラー及びこの補助ミラーを用いたサイドミラー
EP1584516A1 (fr) Ensemble de montage d'une barre de toit longitudinale sur un toit d'un véhicule automobile
KR20090004255U (ko) 버스용 사이드 미러 각도조절장치
KR200277861Y1 (ko) 승용차의 주차용 실내 오목렌즈
JP7253473B2 (ja) 鞍乗型車両におけるウインドシールドの固定構造
KR200431967Y1 (ko) 큐빅이 부착된 자동차용 휠
CN219172361U (zh) 雨刮连接结构
ES2541844T3 (es) Un vehículo a motor de dos ruedas que tiene un guardacadena
JP4681012B2 (ja) ホイールカバー
KR200366712Y1 (ko) 자동차 아웃사이드 백미러의 빗물차단장치
KR100794037B1 (ko) 선바이저 튜브 장착구조
KR100223793B1 (ko)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패널내장형 후사경
KR0142351B1 (ko) 상용차용 백밀러의 절첩장치
JP6264820B2 (ja) 自動車用ドアミラー装置
KR200321282Y1 (ko) 차량용 위성안테나
KR200395501Y1 (ko) 차량용 백미러
US20050207043A1 (en) Automobile side view mirror
KR200353409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보조 받침구의 설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