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501Y1 - 차량용 백미러 - Google Patents

차량용 백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501Y1
KR200395501Y1 KR20-2005-0017242U KR20050017242U KR200395501Y1 KR 200395501 Y1 KR200395501 Y1 KR 200395501Y1 KR 20050017242 U KR20050017242 U KR 20050017242U KR 200395501 Y1 KR200395501 Y1 KR 2003955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irror
rearview mirror
reflecting means
s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2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유진
황순명
황규태
Original Assignee
최유진
황순명
황규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유진, 황순명, 황규태 filed Critical 최유진
Priority to KR20-2005-00172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5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5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5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백미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백미러 연결부에 구비된 반사수단을 통해 주행 중 사각지대를 넓게 볼 수 있음은 물론 후방의 형상을 크게 확인 할 수 있는 차량용 백미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백미러는 차량의 외부 양측에 장착되어 후방을 볼 수 있도록 구비된 백미러에 있어서, 상기 백미러는 내부에 전방 개방부를 포함하는 공간부가 구비되며 내측에 구비된 연결부를 통해 차량의 프론트 도어에 장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전방 개방부에 장착되어 차량 주행시 후방을 볼 수 있도록 구비되는 거울과, 상기 연결부의 전방에 구비되어 운전 주행시 사각지대를 볼 수 있는 반사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백미러{A rearview mirror for cars}
본 고안은 차량용 백미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백미러 연결부에 구비된 반사수단을 통해 주행 중 사각지대를 넓게 볼 수 있음은 물론 후방의 형상을 크게 확인 할 수 있는 차량용 백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미러는 차량의 주행 중 뒤쪽을 보기 위하여 차량의 프론트 도어의 일측 또는 차내의 프론트 창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른 종래의 백미러는 차량의 외측이나 차내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전방에 구비되는 거울을 포함한다.
그리고 최근에는 후방의 사각지대를 볼 수 있도록 상기 평면거울의 가장자리에 볼록거울이 구비된 백미러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용 백미러는 사각지대를 볼 수 있도록 볼록거울을 사용한 것으로서, 볼록거울의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사각지대를 볼 수 있는 위치가 제한되며, 볼록거울의 특성상 후방의 형상이 작게 보여 운전자의 시야확보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백미러 연결부에 구비된 반사수단을 통해 주행 중 사각지대를 넓게 볼 수 있음은 물론 후방의 형상을 크게 확인 할 수 있는 차량용 백미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백미러는 차량의 외부 양측에 장착되어 후방을 볼 수 있도록 구비된 백미러에 있어서, 상기 백미러는 내부에 전방 개방부를 포함하는 공간부가 구비되며 내측에 구비된 연결부를 통해 차량의 프론트 도어에 장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전방 개방부에 장착되어 차량 주행시 후방을 볼 수 있도록 구비되는 거울과, 상기 연결부의 전방에 구비되어 운전 주행시 사각지대를 볼 수 있는 반사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차량용 백미러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차량용 백미러의 연결부에 반사수단이 장착된 차량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사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사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즉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미러는, 차량의 외부 양측에 장착되어 후방을 볼 수 있도록 구비된 백미러에 있어서, 상기 백미러는 내부에 전방 개방부를 포함하는 공간부(31)가 구비되며 내측에 구비된 연결부(2)를 통해 차량의 프론트 도어(1)에 장착되는 케이스(3)와, 상기 전방 개방부에 장착되어 차량 주행시 후방을 볼 수 있도록 구비되는 거울(4)과, 상기 연결부(2)의 전방에 구비되어 운전 주행시 사각지대를 볼 수 있는 반사수단(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차량용 백미러는 상기 반사수단(5)을 통해 후방시야를 넓게 확보함으로써 주행 중 사각지대를 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반사수단(5)은 상기 연결부(2)의 전방에 구비된 조립홀(51)과, 상기 조립홀(51)에 삽입 장착되는 볼록거울(5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볼록거울(52)을 상기 조립홀(51)에 장착함에 있어서 상기 볼록거울(52)의 후방에는 돌출턱(561)을 포함한 탄성의 성질을 갖는 고정체(56)가 구비되며 이 고정체(56)의 돌출턱(561)이 걸리도록 상기 조립홀(51)의 내측에 걸림홈(511)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수동으로 상기 고정체(56)를 압박하여 상기 조립홀(51)에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 돌출턱(561)이 상기 걸림홈(511)에 걸리면서 상기 볼록거울(52)이 조립홀(51)에 견고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한편,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차량용 백미러를 구성하는 반사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반사수단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수단(5)은 상기 연결부(2)의 전방에 부착되는 평면거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접착제등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부(2)의 전방에 평면거울을 부착함으로써 주행시 사각지대를 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차량용 백미러를 구성하는 반사수단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사수단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로서 반사수단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수단(5)은 상기 연결부(2)의 전방에 돌출되어 있는 회전구(531)를 포함하는 돌출축(53)과, 상기 회전구(531)에 자유로이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소켓(54), 및 상기 소켓(54)의 전방에 고정되어 각도의 변경이 자유로운 평면거울(55)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소켓(54)은 상기 회전구(531)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내측에 회전구 홈(541)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구 홈(541)의 사방에는 회전구 홈(541)에 장착된 회전구(531)를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 측벽에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개방장홀(54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운전자의 차량 주행 중 사각지대를 볼 수 있도록 상기 반사수단(5)을 작동시키게 되면, 먼저 운전자의 수동에 의해 상기 평면거울(55)의 일측을 밀게 되면 상기 돌출축(53)을 중심으로 상기 소켓(54)이 회전되어 상기 평면거울(55)의 경사 각도가 가변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백미러는 백미러 연결부에 구비된 반사수단을 통해 주행 중 사각지대를 넓게 볼 수 있음은 물론 후방의 형상을 크게 확인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차량용 백미러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차량용 백미러의 연결부에 반사수단이 장착된 차량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1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사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사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차량용 백미러를 구성하는 반사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사수단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론트 도어
2 : 연결부
3 : 케이스
31 : 공간부
4 : 거울
5 : 반사수단
51 : 조립홀
511 : 걸림홈
52 : 볼록거울
53 : 돌출축
531 : 회전구
54 : 소켓
541 : 회전구 홈, 542 : 개방장홀
55 : 평면거울
56 : 고정체
561 : 돌출턱

Claims (4)

  1. 차량의 외부 양측에 장착되어 후방을 볼 수 있도록 구비된 백미러에 있어서,
    상기 백미러는,
    내부에 전방 개방부를 포함하는 공간부(31)가 구비되며 내측에 구비된 연결부(2)를 통해 차량의 프론트 도어(1)에 장착되는 케이스(3)와,
    상기 전방 개방부에 장착되어 차량 주행시 후방을 볼 수 있도록 구비되는 거울(4)과,
    상기 연결부(2)의 전방에 구비되어 운전 주행시 사각지대를 볼 수 있는 반사수단(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수단(5)은,
    상기 연결부(2)의 전방에 구비된 조립홀(51)과,
    상기 조립홀(51)에 삽입 장착되는 볼록거울(5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수단(5)은,
    상기 연결부(2)의 전방에 부착되는 평면거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수단(5)은,
    상기 연결부(2)의 전방에 돌출되어 있는 회전구(531)를 포함하는 돌출축(53)과,
    상기 회전구(531)에 자유로이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소켓(54), 및
    상기 소켓(54)의 전방에 고정되어 각도의 변경이 자유로운 평면거울(5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
KR20-2005-0017242U 2005-06-15 2005-06-15 차량용 백미러 KR2003955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242U KR200395501Y1 (ko) 2005-06-15 2005-06-15 차량용 백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242U KR200395501Y1 (ko) 2005-06-15 2005-06-15 차량용 백미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1630 Division 2005-06-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501Y1 true KR200395501Y1 (ko) 2005-09-13

Family

ID=43696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242U KR200395501Y1 (ko) 2005-06-15 2005-06-15 차량용 백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50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09866T3 (es) Retrovisor exterior con dispositivo de ajuste.
WO2005039934A3 (fr) Montage d’une camera de vision arriere dans un boitier de protection comportant une fenetre de vision
EP1584528A2 (en) Wiper apparatus and wiper structure
KR200395501Y1 (ko) 차량용 백미러
US7427141B2 (en) Mirror unit for automobile
JP4472427B2 (ja) 車両用サンバイザ
JP5351968B2 (ja) 特に実用車用外装バックミラーの取り付け台用の保持ヒンジ部品、及びこの保持ヒンジ部品を備える実用車用外装バックミラー
KR200395500Y1 (ko) 차량용 백미러
USD543915S1 (en) Combined automotive window and pillar unit
JP4509813B2 (ja) アシストグリップ
USD490174S1 (en) Exterior surface configuration of an automobile front light assembly
KR200452660Y1 (ko) 사각지대 미러
JP4490974B2 (ja) 車両用アウターミラー
JP4472707B2 (ja) 車両用アウターミラー
KR200366712Y1 (ko) 자동차 아웃사이드 백미러의 빗물차단장치
KR100503337B1 (ko) 다양한 곡률로 굴곡된 룸미러
KR100223793B1 (ko)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패널내장형 후사경
KR200153103Y1 (ko) 스토퍼 겸용의 회전축을 갖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KR100341863B1 (ko) 인사이드 미러 장착구조
USD467020S1 (en) Exterior surface configuration of an automobile front light assembly
KR200337406Y1 (ko)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
USD490173S1 (en) Exterior surface configuration of an automobile front light assembly
JP2006096257A (ja) ワイパブレード
KR19980036628U (ko) 자동차의 주야간 겸용 룸미러
USD466634S1 (en) Exterior surface configuration of an automobile front ligh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