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105U - 틸팅동작이 가능한 지그를 갖춘 제품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틸팅동작이 가능한 지그를 갖춘 제품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105U
KR20090004105U KR2020070017470U KR20070017470U KR20090004105U KR 20090004105 U KR20090004105 U KR 20090004105U KR 2020070017470 U KR2020070017470 U KR 2020070017470U KR 20070017470 U KR20070017470 U KR 20070017470U KR 20090004105 U KR20090004105 U KR 200900041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ing
jig
plate
work process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4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4653Y1 (ko
Inventor
이형걸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74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653Y1/ko
Publication of KR200900041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1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6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6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01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with the conveyor adjustably mounted on the supporting frame or b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07Means for moving conveyor frames and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틸팅동작이 가능한 지그를 갖춘 제품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품(1)이 놓여진 지그(40)가 첫 번째 작업공정과 마지막의 작업공정에서만 틸팅동작 및 언틸팅동작이 진행되도록 하고, 첫 번째와 마지막 사이의 중간 작업공정에서는 제품(1)이 놓여진 지그(40)가 틸팅을 유지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송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비용의 절감을 이룩할 수 있도록 하고, 불필요한 안전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없앨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작업시간의 단축을 통해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컨베이어, 지그, 틸팅

Description

틸팅동작이 가능한 지그를 갖춘 제품 이송장치{Article feeding apparatus having tilting jig}
본 고안은 틸팅동작이 가능한 지그를 갖춘 제품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품이 놓여진 지그가 첫 번째 작업공정에서 마지막 작업공정까지 틸팅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틸팅동작이 가능한 지그를 갖춘 제품 이송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내장부품과 같이 여러 개의 부품들이 순차적으로 조립되어 완성품으로써 제작되는 경우에는 각 작업공정마다 작업자가 배치되거나 또는 조립설비가 설치되어 있으며, 부품이 조립되는 제품은 작업공정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송되면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각 작업공정 간 제품이 이송하는 도중 제품의 불량 발생을 최소화하고 아울러 작업자의 핸들링(handling)을 최소화하기 위해 트랜스퍼(transfer) 또는 컨베이어(conveyor)와 같은 이송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 이송장치는 조립을 위한 제품이 안착되는 지그(jig)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지그는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한 조립작업에 편리하도록 작업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일정각도 틸팅(tilting)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이송장치는 첫 번째 작업공정에서 마지막의 작업공정에 이르기까지 각 작업공정마다 이송된 지그가 틸팅동작과 언틸팅동작을 반복 수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각 작업공정마다 지그의 틸팅동작 및 언틸팅동작을 위한 구동장치가 필요하며, 이로 인해 이송장치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각 작업공정마다 지그의 틸팅동작 및 언틸팅동작이 진행되기 때문에 상기 지그의 틸팅동작시 작업자가 기계동작 범위에 접근하게 되면 협착사고 등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높아지게 되는 바, 이를 예방하기 위해 각 작업공정마다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안전장치를 필수적으로 구비해야 하는 문제도 있다.
또한, 각 작업공정마다 지그의 틸팅동작 및 언틸팅동작 중에는 작업자가 조립작업을 행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그만큼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이로 인해 생산성이 낮은 문제도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제품이 놓여진 지그가 첫 번째 작업공정과 마지막의 작업공정에서만 틸팅동작 및 언틸팅동작이 진행되도록 하고, 첫 번째와 마지막 사이의 중간 작업공정에서는 제품이 놓여진 지그가 틸팅을 유지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송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비용의 절감을 이룩할 수 있도록 하고, 불필 요한 안전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없앨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작업시간의 단축을 통해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틸팅동작이 가능한 지그를 갖춘 제품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품 이송장치는, 이송레일상에 설치된 지그플레이트와 함께 작업자를 향하는 전방쪽을 중심으로 후방쪽이 들어 올려지는 틸팅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그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됨과 더불어 제품이 얹혀지는 공간을 구비한 지그와; 첫 번째와 마지막의 작업공정에 위치한 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지그플레이트를 틸팅 및 언틸팅 동작시키도록 작동하는 제1플레이트작동기와; 첫 번째와 마지막의 작업공정에 위치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지그플레이트의 틸팅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작동하는 제2플레이트작동기와; 첫 번째와 마지막 작업공정 사이에 위치한 중간 작업공정의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다수개가 구비되어 틸팅된 상태의 상기 지그플레이트를 마지막 작업공정까지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틸팅유지가이드조립체와; 상기 이송레일과 상기 제1플레이트작동기 및 상기 제2플레이트작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이송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비용의 절감을 이룩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작업시간의 단축을 통해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내장부품과 같이 여러 개의 부품들이 순차적으로 조립되어 완성품으로써 제작될 때, 작업공정의 순서에 따라 제품을 이송시키도록 하는 제품 이송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제품 이송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공정의 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게 설치된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작업공정의 순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송레일(20)과, 상기 이송레일(20)에 고정되어 상기 이송레일(20)과 함께 작업공정의 순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필요시 작업자를 향하는 전방쪽을 중심으로 후방쪽이 들어 올려지는 틸팅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지그플레이트(30)와, 상기 지그플레이트(30)와 함께 작업자를 향하는 전방쪽을 중심으로 후방쪽이 들어 올려지는 틸팅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그플레이트(30)에 고정 설치됨과 더불어 그 윗면에 제품(1)이 얹혀지는 공간을 구비한 지그(40)와, 첫 번째와 마지막의 작업공정에 위치한 베이스프레임(10)에 구비되어 상기 지그플레이트(30)를 틸팅 및 언틸팅 동작시키도록 작동하는 제1플레이트작동기(50)와, 첫 번째와 마지막의 작업공정에 위치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구비되어 상기 지그플레이트(30)의 틸팅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작동하는 제2플레이트작동기(60)와, 첫 번째와 마지막 작업공정 사이에 위치한 중간 작업공정의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다수개가 구비되어 틸팅된 상태의 상기 지그플레이트(30)를 마지막 작업공정까지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틸팅유지가이드조립 체(70)와, 상기 이송레일(20)과 상기 제1플레이트작동기(50) 및 상기 제2플레이트작동기(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그플레이트(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레일(20)상에 얹혀져서 상기 이송레일(20)과 일체로 고정 결합되는 하부플레이트(31)와, 작업자를 향하는 전방쪽 일단이 상기 하부플레이트(31)의 일단과 힌지 결합되면서 상단에는 상기 지그(40)가 얹혀져서 고정 설치됨은 물론 상기 제1플레이트작동기(5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지그(40)와 함께 작업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후방쪽이 들어 올려지는 틸팅동작 및 언틸팅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상부플레이트(3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플레이트(31)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32)의 언틸팅시 상기 상부플레이트(32)를 상기 하부플레이트(31)와 평행하게 유지시키는 스토퍼부재(31a)가 구비된다.
도시된 미설명 도면부호 H1은 하부플레이트(31)와 상부플레이트(32)의 힌지 결합점이다.
상기 제1플레이트작동기(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와 마지막 작업공정에 위치한 베이스프레임(10)에 고정 설치되면서 위쪽을 향하는 선단이 상기 상부플레이트(32)의 후방쪽을 향하도록 설치된 틸팅실린더(51)와, 상기 틸팅실린더(51)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틸팅실린더(51)의 동작시 상기 상부플레이트(32)와 접촉하는 틸팅베어링(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플레이트작동기(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와 마지막 작업공정에 위치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단에 구비되면서 양단이 작업자를 향하는 전방과 후방쪽을 향하도록 고정 설치된 가이드레일(61)과, 상기 가이드레일(61)을 따라 직선왕복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61)에 결합되어 설치된 이동블록(62)과, 상기 가이드레일(61)과 인접하게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이동블록(62)과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61)을 따라 상기 이동블록(62)을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는 틸팅유지실린더(63)와, 작업자를 향하는 상기 이동블록(62)의 전방쪽에 고정 결합되면서 상기 틸팅유지실린더(63)의 동작시 틸팅된 상기 상부플레이트(32)의 후방쪽 밑면과 접촉하여 상기 상부플레이트(32)의 틸팅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틸팅유지베어링(6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틸팅유지가이드조립체(7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의 작업공정(첫 번째와 마지막 작업공정을 제외한 중간의 작업공정)에 위치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단에서 작업자를 향하는 전방쪽으로 돌출되게 고정 설치되면서 작업공정의 순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베어링마운팅브라켓(71)과, 작업자를 향하는 상기 베어링마운팅브라켓(71)의 전방쪽에 결합되면서 상기 이동블록(62)이 상기 가이드레일(61)을 따라 작업자를 향하는 전방쪽으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틸팅유지베어링(64)과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작업공정의 순서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가이드베어링(7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플레이트(32)는, 상기 상부플레이트(32)가 작업공정의 순서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틸팅유지베어링(64)과 상기 가이드베어링(72)에 의해 동시에 지지되면서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 두 개의 상기 가이드베어링(72)에 의해 동시 에 지지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부품의 조립작업을 행하기 위한 제품(1)이 첫 번째의 작업공정에 위치한 베이스프레임(10)으로 공급되어 도 2와 같이 지그(40)상에 얹혀지고 나면, 틸팅실린더(51)는 도시된 화살표 M1의 방향을 따라 그 길이가 늘어나도록 작동하게 된다.
틸팅실린더(51)의 작동에 따라 틸팅베어링(52)은 상부플레이트(32)의 밑면에 접촉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32)는 상기 틸팅실린더(51)의 작동에 의해 힌지점(H1)을 중심으로 후방쪽이 도시된 화살표 R1과 같이 들어올려지면서 작업자가 있는 전방쪽으로 틸팅이 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32)가 틸팅되면, 틸팅유지실린더(63)의 작동에 의해 이동블록(62)은 가이드레일(61)을 따라 작업자가 있는 전방쪽(도시된 화살표 M2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틸팅유지베어링(64)은 틸팅된 상태의 상기 상부플레이트(32)의 밑면과 접촉하여 상기 상부플레이트(32)를 틸팅된 상태로서 유지시켜 주게 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32)와 결합된 제품(1)이 얹혀진 지그(40)도 함께 틸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32)가 틸팅되어 상기 틸팅유지베어링(64)에 의해 지지된 상태가 되면, 길이가 늘어난 상기 틸팅실린더(51)는 그 길이가 줄어들도록 도시된 화살표 M1의 반대방향으로 작동하여 최초의 상태로 복귀한 후 다음 번의 작동을 준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첫 번째의 작업공정에서 제품(1)이 얹혀진 지그(40)가 틸팅이 완료되고 나면, 작업자는 상기 제품(1)에 부품을 조립하여 첫 번째의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첫 번째의 작업공정에서 조립작업이 완료되고 나면,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이송레일(20)이 작업공정의 순서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이송레일(20)과 결합된 하부플레이트(31)도 작업공정의 순서를 따라 이동하여 두 번째의 작업공정에서 멈추게 된다.
한편, 첫 번째의 작업공정에서 두 번째의 작업공정으로 이송되는 상부플레이트(32)는 그 밑면이 틸팅유지베어링(64)과 가이드베어링(72)에 의해 지속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이동하므로, 상기 제품(1)이 얹혀진 지그(40)도 계속해서 작업자가 있는 전방쪽으로 틸팅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32)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두 번째의 작업공정에서 제품(1)에 부품의 조립작업이 완료되고 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품(1)이 얹혀진 지그(40)는 그 다음 작업공정으로 이동하게 되는 바, 이때 상기 상부플레이트(32)는 그 밑면이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 가이드베어링(72)에 의해 도 3과 같이 지속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하게 되므로, 이때에도 제품(1)이 얹혀진 지그(40)는 작업자가 있는 전방쪽으로 틸팅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로 마지막의 작업공정까지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마지막 작업공정에서 부품의 조립작업이 완료되고 나면, 마지막 작업공정의 베이스프레임(10)에 구비된 틸팅실린더(51)는 그 길이가 늘어나는 방향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M1의 방향)으로 작동하여 틸팅베어링(52)이 틸팅된 상태의 상부플레이트(32)의 밑면과 접촉하면서 지지하게 된다.
틸팅베어링(52)이 틸팅된 상태의 상부플레이트(32)를 지지하고 되면, 틸팅유지실린더(63)의 작동에 의해 작업자가 있는 전방쪽으로 이동하고 있던 이동블록(62)은 가이드레일(61)을 따라 후방쪽(도 2에 도시된 화살표 M2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상부플레이트(32)의 밑면을 지지하고 있던 틸팅유지베어링(64)은 상기 상부플레이트(32)로부터 멀어지면서 더 이상 상기 상부플레이트(32)를 지지하지 않게 된다.
이동블록(62)이 후방쪽으로 복귀하여 틸팅유지베어링(64)이 상부플레이트(32)로부터 떨어지고 나면, 길이가 늘어난 상태로 작동하고 있던 상기 틸팅실린더(51)는 그 길이가 줄어들도록 작동(도 2에 도시된 화살표 M1의 반대방향으로 작동)하여 최초의 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자를 향해 틸팅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지그(40)는 힌지점(H1)을 중심으로 후방쪽이 하강하는 회전(도 2에 도시된 화살표 R1의 반대방향 회전)을 하면서 언틸팅 동작하여 최초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그(40)의 언틸팅 동작은 상기 상부플레이트(32)가 스토퍼부재(31a)와 접촉할 때까지 진행된다.
상기 지그(40)의 언틸팅 동작이 완료되고 나면, 작업자는 상기 지그(40)로부터 부품 조립이 완료된 제품(1)을 취출하여 다음의 작업공정으로 이송시키고, 제품(1)을 취출된 빈 지그(40)는 첫 번째의 작업공정에 위치한 베이스프레임(10)으로 이동 복귀하여 전술한 바의 작업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이송장치는, 제품(1)이 얹혀진 지그(40)가 첫 번째와 마지막의 작업공정에서만 틸팅 및 언틸팅 동작되고, 그 사이의 중간 작업공정에서는 상기 지그(40)가 틸팅을 유지한 상태로 마지막의 작업공정까지 이송되는 구성이므로, 중간의 작업공정에서 지그(40)의 틸팅 및 언틸팅 동작을 위한 장치의 구성을 없앨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이송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이송장치는, 중간의 작업공정에서 지그(40)가 틸팅 및 언틸팅 동작을 수행하지 않게 됨으로써, 중간의 작업공정에서 지그(40)의 틸팅동작시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을 제거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중간의 작업공정에서 불필요하게 구비된 안전장치를 없앨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중간의 작업공정에서 지그(40)가 틸팅 및 언틸팅 동작을 수행하지 않게 됨으로써, 작업시간의 단축을 통해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품 이송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첫 번째 및 마지막 작업공정에 위치한 제품 이송장치의 구성도,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에 따라 첫 번째 및 마지막 작업공정 사이의 중간 작업공정에 위치한 제품 이송장치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베이스프레임 20 - 이송레일
30 - 지그플레이트 40 - 지그
50 - 제1플레이트작동기 60 - 제2플레이트작동기
70 - 틸팅유지가이드조립체

Claims (8)

  1. 이송레일(20)상에 설치된 지그플레이트(30)와 함께 작업자를 향하는 전방쪽을 중심으로 후방쪽이 들어 올려지는 틸팅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그플레이트(30)에 고정 설치됨과 더불어 제품()이 얹혀지는 공간을 구비한 지그(40)와;
    첫 번째와 마지막의 작업공정에 위치한 베이스프레임(10)에 구비되어 상기 지그플레이트(30)를 틸팅 및 언틸팅 동작시키도록 작동하는 제1플레이트작동기(50)와;
    첫 번째와 마지막의 작업공정에 위치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구비되어 상기 지그플레이트(30)의 틸팅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작동하는 제2플레이트작동기(60)와;
    첫 번째와 마지막 작업공정 사이에 위치한 중간 작업공정의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다수개가 구비되어 틸팅된 상태의 상기 지그플레이트(30)를 마지막 작업공정까지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틸팅유지가이드조립체(70)와;
    상기 이송레일(20)과 상기 제1플레이트작동기(50) 및 상기 제2플레이트작동기(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
    를 포함하는 틸팅동작이 가능한 지그를 갖춘 제품 이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레일(2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작업공정의 순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동작이 가능한 지그를 갖춘 제품 이송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그플레이트(30)는,
    상기 이송레일(20)상에 얹혀져서 상기 이송레일(20)과 일체로 고정 결합되는 하부플레이트(31)와;
    작업자를 향하는 전방쪽 일단이 상기 하부플레이트(31)의 일단과 힌지 결합되면서 상단에는 상기 지그(40)가 얹혀져서 고정 설치됨은 물론 상기 제1플레이트작동기(5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지그(40)와 함께 작업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후방쪽이 들어 올려지는 틸팅동작 및 언틸팅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상부플레이트(32);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동작이 가능한 지그를 갖춘 제품 이송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레이트(31)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32)의 언틸팅시 상기 상부플레이트(32)를 상기 하부플레이트(31)와 평행하게 유지시키는 스토퍼부재(31a);
    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동작이 가능한 지그를 갖춘 제품 이송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작동기(50)는,
    첫 번째와 마지막 작업공정에 위치한 베이스프레임(10)에 고정 설치되면서 위쪽을 향하는 선단이 상기 상부플레이트(32)의 후방쪽을 향하도록 설치된 틸팅실린더(51)와;
    상기 틸팅실린더(51)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틸팅실린더(51)의 동작시 상기 상부플레이트(32)와 접촉하는 틸팅베어링(52);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동작이 가능한 지그를 갖춘 제품 이송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플레이트작동기(60)는,
    첫 번째와 마지막 작업공정에 위치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단에 구비되면서 양단이 작업자를 향하는 전방과 후방쪽을 향하도록 고정 설치된 가이드레일(61)과;
    상기 가이드레일(61)을 따라 직선왕복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61)에 결합되어 설치된 이동블록(62)과;
    상기 가이드레일(61)과 인접하게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이동블록(62)과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61)을 따라 상기 이동블록(62)을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는 틸팅유지실린더(63)와;
    작업자를 향하는 상기 이동블록(62)의 전방쪽에 고정 결합되면서 상기 틸팅유지실린더(63)의 동작시 틸팅된 상기 상부플레이트(32)의 후방쪽 밑면과 접촉하여 상기 상부플레이트(32)의 틸팅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틸팅유지베어링(64);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동작이 가능한 지그를 갖춘 제 품 이송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틸팅유지가이드조립체(70)는,
    중간 작업공정에 위치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단에서 작업자를 향하는 전방쪽으로 돌출되게 고정 설치되면서 작업공정의 순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베어링마운팅브라켓(71)과;
    작업자를 향하는 상기 베어링마운팅브라켓(71)의 전방쪽에 결합되면서 상기 이동블록(62)이 상기 가이드레일(61)을 따라 작업자를 향하는 전방쪽으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틸팅유지베어링(64)과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작업공정의 순서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가이드베어링(72);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동작이 가능한 지그를 갖춘 제품 이송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32)는, 상기 상부플레이트(32)가 작업공정의 순서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틸팅유지베어링(64)과 상기 가이드베어링(72)에 의해 동시에 지지되면서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 두 개의 상기 가이드베어링(72)에 의해 동시에 지지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동작이 가능한 지그를 갖춘 제품 이송장치.
KR2020070017470U 2007-10-29 2007-10-29 틸팅동작이 가능한 지그를 갖춘 제품 이송장치 KR2004446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470U KR200444653Y1 (ko) 2007-10-29 2007-10-29 틸팅동작이 가능한 지그를 갖춘 제품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470U KR200444653Y1 (ko) 2007-10-29 2007-10-29 틸팅동작이 가능한 지그를 갖춘 제품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105U true KR20090004105U (ko) 2009-05-06
KR200444653Y1 KR200444653Y1 (ko) 2009-05-27

Family

ID=41289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470U KR200444653Y1 (ko) 2007-10-29 2007-10-29 틸팅동작이 가능한 지그를 갖춘 제품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6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8302A (ko) * 2015-12-09 2017-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스택 반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045B1 (ko) * 2016-11-18 2018-11-14 (주)호원 소재 세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8302A (ko) * 2015-12-09 2017-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스택 반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653Y1 (ko)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91427B1 (en) A workstation for machining plates of glass, marble or the like with an automatic system for loading the plates
KR101483856B1 (ko) 하이브리드 포밍 펀칭 전용기
KR101769117B1 (ko) 자동 팔레타이저
JP3915923B2 (ja) ワークの搬送装置
KR101727118B1 (ko) 소재 반송 시스템
EP3313760B1 (en) Storage device for ceramic products and the like
JP5477847B2 (ja) 組立搬送設備
JP2012059798A (ja) 部品実装装置
JP6029928B2 (ja) 切断設備
KR200444653Y1 (ko) 틸팅동작이 가능한 지그를 갖춘 제품 이송장치
JP2007105767A (ja) プレスライン及び同プレスラインにおけるワーク加工方法
KR101197954B1 (ko) 타워 버퍼 장치
JP5421172B2 (ja) 溶接ライン
JP2023529809A (ja) 連続的ガラス搬送式のガラス印刷機
KR101432092B1 (ko) 롤러 타입 패널 절곡 장치
JP3204840U (ja) パネル昇降移動装置
KR20210031097A (ko) 레이저 절단용 피절단물의 이송 시스템
JP4837173B2 (ja) ローラコンベアにおける搬送物移載装置
CN214732222U (zh) 背板移入机
KR100809372B1 (ko) 주조기의 재공품 상형취출장치
KR200445687Y1 (ko) 게이지 스토퍼 장치
JPH0433822A (ja) 射出成形機の製品取出機
JP3732951B2 (ja) レーザ加工機用アンロード装置
KR100634476B1 (ko) 트래버스를 이용한 부품적재 자동 제어방법
KR200145734Y1 (ko) 펀넬의 공정간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