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045B1 - 소재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소재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045B1
KR101918045B1 KR1020160153822A KR20160153822A KR101918045B1 KR 101918045 B1 KR101918045 B1 KR 101918045B1 KR 1020160153822 A KR1020160153822 A KR 1020160153822A KR 20160153822 A KR20160153822 A KR 20160153822A KR 101918045 B1 KR101918045 B1 KR 101918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workpiece
unit
guid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6438A (ko
Inventor
김창국
Original Assignee
(주)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호원 filed Critical (주)호원
Priority to KR1020160153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045B1/ko
Publication of KR20180056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B08B1/02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소재 세척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소재 세척장치는, 소재를 이송시키는 소재공급부재와, 세척부와 세척부를 소재 측으로 가압하는 세척가압부를 구비하여, 소재공급부재에서 전달받은 소재를 세척하는 소재세척부재와, 소재세척부재에서 세척된 소재를 설정위치로 이송시키는 소재배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재 세척장치{PART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소재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판 등의 소재를 세척할 수 있는 소재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부품 등에 사용되는 강판 등의 소재는, 프레스 가공 등을 수행하기 이전에 소재의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 공정을 거치게 된다.
종래의 소재 세척장치는 소재의 형상, 크기 등에 대응하여 장치의 초기 설정, 위치 등을 변경해야 하는 과정이 번거롭고, 소재를 균일하게 세척하기 어려우며, 세척된 소재를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세척된 소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과정을 별도로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6-0014877호(1996.10.21 공개, 발명의 명칭: 소재 자동 세척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소재의 형상, 크기 등에 대응하여 세척부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고, 소재를 균일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세척된 소재의 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소재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세척장치는, 소재를 이송시키는 소재공급부재; 세척부와, 상기 세척부를 상기 소재 측으로 가압하는 세척가압부를 구비하여, 상기 소재공급부재에서 전달받은 상기 소재를 세척하는 소재세척부재; 및 상기 소재세척부재에서 세척된 상기 소재를 설정위치로 이송시키는 소재배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소재세척부재는, 세척프레임부; 상기 세척프레임부에 결합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세척구동부; 및 상기 세척부가 결합되며, 상기 세척구동부에 의하여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되고 상기 세척가압부에 의하여 상기 소재 측으로 가압되는 세척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세척가압부는, 상기 세척회전부가 안착되며, 상기 세척프레임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척가이드; 및 상기 세척프레임부와 상기 세척가이드 사이에 구비되며, 팽창에 따라 상기 세척가이드를 상기 소재 측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팽창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팽창가압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세척가이드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소재세척부재는,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소재의 양측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소재세척부재는, 상기 세척부에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부와, 상기 세척부를 충격하는 충격부를 구비하여 상기 세척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소재배출부재는, 상기 소재세척부재에 진입된 상기 소재를 상기 소재세척부재에서 배출하는 소재배출부; 및 상기 소재배출부에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소재세척부재에서 배출된 상기 소재를 설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사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세척장치는, 소재의 형상, 크기 등에 대응하여 세척부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고, 소재를 균일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세척된 소재의 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세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세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세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세척부재는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세척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제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안착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안착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세척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세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세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세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소재 세척장치(1)는 소재공급부재(100), 소재세척부재(200) 및 소재배출부재(300)를 포함하여 차량에 사용되는 강판 등의 소재(10)의 표면을 세척하여 이물질 등을 제거한다.
소재공급부재(100)는 이동로봇 등에 의하여 거치된 소재(10)를 소재세척부재(200)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소재공급부재(100)는 소재(10)가 안착되는 공급벨트부(110)와, 공급벨트부(110)가 권취되는 공급풀리부(130)와, 공급풀리부(130)를 회전시켜 공급벨트부(110)에 안착된 소재(10)를 소재세척부재(200) 측으로 이동시키는 소재이동구동부(150)를 포함한다.
소재공급부재(100)에 안착되는 소재(10)는 강판,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재질, 형상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세척부재는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A' 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세척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소재세척부재(200)는 소재공급부재(100)에서 전달받은 소재(10)를 세척부(210)와 마찰시켜 세척한다. 본 실시예에서 소재세척부재(200)는 세척부(210), 세척프레임부(220), 세척구동부(240), 세척회전부(250) 및 세척가압부(260)를 포함한다.
세척부(210)는 소재(10)와 마찰될 때, 소재(10)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소재(10)로부터 분리하는 세척솔로 예시되어 소재(10)를 세척한다. 본 실시예에서 세척부(210)는 세척회전부(250)에 본딩, 볼팅, 끼움 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어 세척회전부(250)와 함께 회전된다.
세척프레임부(220)는 소재세척부재(200)의 골격을 형성하며, 세척구동부(240), 세척회전부(250) 및 세척가압부(260) 등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세척프레임부(220)는 소재(10)의 상측에 소재(10)와 이격되게 위치하며,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세척프레임부(220)는 프레임이동부(230)에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이동부(230)는, 세척프레임부(220)에 나사 결합되며, 대략 수직하게 설치되는 프레임이동가이드(231)와, 프레임이동가이드(23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이동지지부(233)와, 프레임이동가이드(231)에 결합되며, 사용자가 프레임이동가이드(23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이동손잡이(235)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프레임이동손잡이(235)를 회전시키면 프레임이동가이드(231)가 회전되면서 세척프레임부(22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세척프레임부(22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세척프레임부(220)에 의하여 지지되는 세척회전부(250) 및 세척부(210) 등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세척회전부(250) 및 세척부(210)의 높이가 조절 가능하므로 세척하고자 하는 소재(10)의 형상 등에 따라 적절한 높이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세척구동부(240)는 세척프레임부(220)에 결합되며, 전기모터 등을 포함하여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력으로부터 회전력을 발생시켜 세척회전부(250)를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세척구동부(240)는 세척모터부(241), 주동세척풀리(243) 및 종동세척풀리(245)를 포함한다.
세척모터부(241)는 전기모터로 예시되며,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력을 회전에너지로 변환하여 주동세척풀리(243)를 회전시킨다. 주동세척풀리(243)는 세척모터부(241)의 회전축 등에 연결되어 세척모터부(241)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된다.
주동세척풀리(243)의 외주면에는 세척회전부(250)의 내주면이 접하게 되므로, 주동세척풀리(243)가 회전되면, 세척회전부(250) 및 세척회전부(250)에 부착된 세척부(210)가 함께 회전된다.
종동세척풀리(245)는 주동세척풀리(243)와 이격되게 위치하며, 외주면에 세척회전부(250)가 감기도록 구비되어 세척회전부(250)를 지지함과 동시에, 주동세척풀리(243)에 의하여 세척회전부(250)가 회전되면 세척회전부(250)가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러한 주동세척풀리(243) 및 종동세척풀리(245)는 세척프레임부(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세척프레임부(220)의 높이가 조절되면, 세척프레임부(220)와 함께 이동되어, 세척회전부(250) 및 세척부(21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세척회전부(25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면에 세척부(210)가 결합되어, 세척구동부(240)에 의하여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되면서 세척부(210)가 소재(10)를 마찰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세척회전부(250)는 세척가압부(260)에 끼워져 이동 방향을 안내 받으며, 세척가압부(260), 특히 세척가이드(261)가 이동되는 경우 회전 경로가 변경될 수 있다.
세척가압부(260)는 세척회전부(250)를 소재(10) 측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세척회전부(250)에 결합된 세척부(210)가 소재(10) 측으로 가압되는 정도, 즉 세척 정도를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서 세척가압부(260)는 세척가이드(261) 및 팽창가압부(265)를 포함한다.
세척가이드(261)에는 세척회전부(250)가 안착되며, 세척프레임부(2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세척가이드(261)는 소재(10)의 진행방향에 대략 수직하게 위치하며 팽창가압부(265)와 소재(10) 사이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세척가이드(261)는 세척프레임부(220)에 오목하게 형성된 가이드결합홈부(221)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세척가이드(261)는 가이드바디(262) 및 회전삽입부(263)를 포함한다.
가이드바디(262)는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이드결합홈부(221)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가이드바디(262)의 일측면에는 팽창가압부(265)가 접하며, 타측면에는 세척회전부(250)가 구비된다.
회전삽입부(263)는 가이드바디(262)와 소재(10) 사이에 구비되며, 세척회전부(250)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세척회전부(250)가 가이드바디(26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되, 회전삽입부(263) 단부에 가이드걸림턱(264)이 구비되어 세척회전부(250)가 회전삽입부(26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팽창가압부(265)에 의하여 가이드바디(262) 및 회전삽입부(263)가 이동될 때, 세척회전부(250) 및 세척부(210)가 함께 이동되도록 하여, 팽창가압부(265)의 팽창 정도를 이용하여 세척부(210)가 소재(10)에 밀착되는 정도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팽창가압부(265)는 세척프레임부(220)와 세척가이드(261) 사이에 구비되며, 팽창에 따라 세척가이드(261)를 소재(10) 측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팽창가압부(265)는 고무튜브 등으로 예시되며, 유체주입관(266)으로부터 유체가 주입되는 정도에 따라 팽창되어 세척가이드(261)를 가압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팽창가압부(265)는 세척회전부(250)의 내측에 위치하며, 소재(10)의 이동 방향에 대략 수직하게 형성되는데, 팽창가압부(265)의 위치 별로 작용하는 압력을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복수의 유체주입관(266)이 팽창가압부(265)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팽창가압부(265)에 유체를 주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팽창가압부(265)는 복수 개, 예를 들어 한 쌍이 구비되어 세척회전부(250) 또는 세척부(210)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세척가이드(26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세척가이드(261)의 평형을 유지하여 세척가이드(261)에 의하여 지지되는 세척부(210)가 소재(10)를 균일한 정도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한다.
팽창가압부(265)가 세척회전부(250) 또는 세척부(210)의 폭 방향으로 구비되는 개수 및 위치는 세척부(210)의 폭, 길이, 소재(10)의 형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소재세척부재(200)는 한 쌍이 구비되어 소재(10)의 양측, 예를 들어 소재(10)의 상측 및 하측에 접하여, 소재(10)의 상측면 및 하측면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소재세척부재(200)가 한 쌍이 구비되는 경우, 한 쌍의 세척회전부(250)는 동일한 방향, 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각각의 세척부(210)가 소재(10)를 마찰하는 방향이 상호 반대가 되도록 함으로써, 세척 과정에서 소재(10)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소재(10)를 세척하는 세척력을 증대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제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소재세척부재(200)는 이물질제거부(270)를 더 포함하여 세척 과정에서 세척부(210)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물질제거부(270)는 유체분사부(271) 및 충격부(273)를 포함한다.
유체분사부(271)는 세척부(210)에 유체를 분사하여 세척부(21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체분사부(271)는 소재(10)에 공기와 같은 유체를 분사하여, 세척부(210)가 소재(10)를 세척하는 과정에서 세척부(21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유체분사부(271)에 의하여 세척부(210)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은 집진기(미도시) 등에 의하여 포집되어 주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유체분사부(271)가 세척부(210)로 분사하는 유체는 세척액으로 예시되어 세척부(21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소재(1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효율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충격부(273)는 세척부(210)를 충격하여 세척부(21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본 실시예에서 충격부(273)는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는 세척부(210)의 외측에 위치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충격구동부(274), 충격구동부(274)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되며 세척부(210)를 충격하여 세척부(21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충격돌기(275)를 포함한다.
이러한 충격부(273)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각각의 회전속도, 충격돌기(275)의 크기, 형상 및 표면 처리 등을 달리하여, 다단으로 세척부(21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이물질 제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3 및 8을 참조하면, 소재배출부재(300)는 소재세척부재(200)에서 세척된 소재(10)를 설정위치로 이송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소재배출부재(300)는 소재배출부(310) 및 경사이동부(330)를 포함한다.
소재배출부(310)는 소재세척부재(200)에 진입된 소재(10)를 소재세척부재(20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소재(10)를 소재세척부재(200)로부터 배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소재배출부(310)는 배출구동부(311) 및 배출가압부(315)를 포함한다.
배출구동부(311)는 소재세척부재(200)의 일측에 위치하여 소재(10)의 일측면, 예를 들어 소재(10)의 하측면을 마찰함으로써, 소재(10)가 소재세척부재(200)로부터 배출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구동부(311)는 전기모터 등으로 예시되는 배출구동모터(312)와, 소재(10)의 하측면에 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회전에 따라 소재(10)를 이동시키는 배출구동롤러(313)와, 배출구동모터(312)와 배출구동롤러(313)를 연결하는 체인 등으로 예시되어 배출구동모터(312)의 회전력을 배출구동롤러(313)에 전달하는 배출구동연결부(314)를 포함한다.
배출가압부(315)는 소재(10)를 기준으로 배출구동부(311)의 반대편에 위치하여 배출구동부(311)에 의하여 소재(10)가 이동될 때, 소재(10)를 배출구동부(311) 측으로 가압하여 소재(10)가 유동되거나, 소재(10)가 배출구동부(311)와 슬립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가압부(315)는 소재(10)의 타측면, 예를 들어 소재(10)의 상측면에 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배출가압롤러(316)와, 배출가압롤러(316)를 탄성 지지하여 소재(10) 측으로 가압하는 배출가압탄성부(317)를 포함한다.
경사이동부(330)는 소재배출부(310)에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소재세척부재(200)에서 배출된 소재(10)를 소재(10)의 자중 등을 이용하여 설정위치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경사이동부(330)는 경사이동프레임(331), 경사이동조절부(333) 및 경사이동롤러(335)를 포함한다.
경사이동프레임(331)은 소재배출부(310)에서 설정위치 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소재배출부(310)에 의하여 배출되는 소재(10)를 설정위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경사이동프레임(331)은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경사이동조절부(333)에 의하여 하향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구비된다.
경사이동조절부(333)는 일단부가 고정물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부가 경사이동프레임(331)에 결합되고,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경사이동조절부(333)는 나사 결합 방식, 유압실린더 방식 등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타단부에 결합된 경사이동프레임(331)이 설치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정도를 조절하고, 동시에 경사이동프레임(331)을 지지한다.
경사이동롤러(335)는 경사이동프레임(3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복수 개가 구비되어 경사이동프레임(331)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는 소재(10)가 경사이동프레임(331)을 따라 이동될 때, 소재(10)의 파손을 방지하고, 소재(10)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안착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안착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 및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소재 세척장치(1)는 소재안착부재(400)를 더 포함한다. 소재안착부재(400)는 소재배출부재(300)에 의하여 배출되는 소재(10)가 안착되는 구성으로, 소재(10)를 설정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킴으로써, 이 후 공정, 예를 들어 프레스 가공 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재(10)를 로봇 등의 이송장치로 이송할 때, 소재(10)를 별도로 정렬할 필요 없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소재안착부재(400)는 소재(10)가 안착되는 소재안착부(410) 및 소재(10)가 설정위치에 정지하도록 하는 소재위치부(430)를 포함한다.
소재안착부(410)는 소재배출부재(300)에서 배출되는 소재(10)를 소재위치부(430) 측으로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소재안착부(410)는 소재(10)를 소재위치부(430)로 안내할 수 있도록 이동면(412)이 형성되는 소재안착이동부(411)와, 소재안착이동부(411)의 경사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비되는 안착경사설정부(414)와, 이동면(412)에 형성된 배출홀부(413)에 유체를 공급하여 이동면(412)과 소재(10) 사이의 마찰을 저감하는 이동면유체공급부(415)를 포함한다.
안착경사설정부(414)는 소재안착이동부(411)를 복수의 지점에서 지지하며,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어 소재안착이동부(411), 특히 이동면(412)이 소재안착부(41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한다.
소재위치부(430)는 이동면(412) 상에 구비되며, 이동면(412)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위치판(431) 등을 포함하여, 이동면(412)을 따라 이동되는 소재(10)가 위치판(431)에 접하는 방식으로 소재(10)의 위치가 설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세척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 로봇 등에 의하여 소재(10)는 소재공급부재(100), 구체적으로 공급벨트부(110)에 거치된다. 공급벨트부(110)에 거치된 소재(10)는 소재이동구동부(150)에 의하여 공급벨트부(110)가 회전되면 소재세척부재(200)에 공급된다.
소재(10)가 한 쌍의 소재세척부재(200)의 사이에 진입되기 전, 소재(10)의 크기, 형상 등을 감안하여 세척프레임부(220)의 높이, 팽창가압부(265)가 세척부(210) 등을 가압하는 정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세척프레임부(22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세척프레임부(220)에 결합된 세척부(210), 세척회전부(250) 및 세척가압부(260) 등이 함께 이동된다. 세척프레임부(220)의 높이는 프레임이동부(230)의 프레임이동손잡이(235)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가능하며, 한 쌍의 세척프레임부(220) 각각의 높이를 조절하여 소재(10)의 형상, 두께, 크기 등에 대응하여 세척부(2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팽창가압부(265)의 팽창 정도를 조절하여 세척부(2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팽창가압부(265)는 일측면이 세척프레임부(220)에 결합되고, 타측면이 세척가이드(261)에 접한 상태에서 팽창, 수축되므로, 팽창가압부(265)의 팽창 정도를 조절하여 세척가이드(261)의 높이 등을 조절함으로써, 세척가이드(261)에 장착된 세척회전부(250)와, 세척회전부(250)에 장착된 세척부(210)의 높이, 세척부(210)가 소재(10)를 가압하는 정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소재(10)의 형상, 크기, 두께 등에 대응하여 세척부(210)의 위치를 조절한 후, 소재(10)가 한 쌍의 소재세척부재(200) 사이로 진입하면, 세척구동부(240)가 세척회전부(250)를 회전시켜 소재(10)에 접한 세척부(210)가 소재(10)와 마찰하여 소재(10)에 부착된 이물질 등을 제거하게 된다.
소재(10)에 부착된 이물질은 세척부(210)에 의하여 소재(10)의 외측으로 배출되거나, 세척부(210)에 부착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세척부(210)에 부착된 이물질은 유체분사부(271)에서 분사되는 공기, 세척액 등에 의하여 제거되거나, 충격부(273)의 회전되는 충격돌기(275)에 의하여 충격되어 세척부(210)에서 분리된 후 집진기 등으로 포집된다.
소재세척부재(200)에 의한 소재(10)의 세척이 완료되면, 소재배출부(310)가 작동하여 소재(10)를 소재세척부재(200)로부터 배출하고, 소재배출부(310)에 의하여 배출된 소재는 경사이동부(330)를 따라 소재안착부재(400)에 전달된다.
소재안착부재(400)에 전달된 소재(10)는 배출홀부(413)를 통하여 유체가 공급되는 이동면(412)을 따라 미끄러져 위치판(431)에 도달하게 되고, 위치판(431)에 접하면서 설정위치에 설정 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소재위치부(430)에 위치한 소재(10)는 이송 로봇 등에 의하여 이후 프레스 가공 장치 등으로 전달되어 성형 공정 등을 거치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소재 세척장치(1)는 소재(10)의 형상, 크기 등에 대응하여 세척부(21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고, 소재(10)를 균일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세척된 소재(10)의 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소재 세척장치 10: 소재
100: 소재공급부재 110: 공급벨트부
130: 공급풀리부 150: 소재이동구동부
200; 소재세척부재 210: 세척부
220: 세척프레임부 221: 가이드결합홈부
230: 프레임이동부 231: 프레임이동가이드
233: 프레임이동지지부 235: 프레임이동손잡이
240: 세척구동부 241: 세척모터부
243: 주동세척풀리 245: 종동세척풀리
250: 세척회전부 260: 세척가압부
261: 세척가이드 262: 가이드바디
263: 회전삽입부 264: 가이드걸림턱
265: 팽창가압부 266: 유체주입관
270: 이물질제거부 271: 유체분사부
273: 충격부 274: 충격구동부
275: 충격돌기 300: 소재배출부재
310: 소재배출부 311: 배출구동부
312: 배출구동모터 313: 배출구동롤러
314: 배출구동연결부 315: 배출가압부
316: 배출가압롤러 317: 배출가압탄성부
330: 경사이동부 331: 경사이동프레임
333: 경사이동조절부 335: 경사이동롤러
400: 소재안착부재 410: 소재안착부
411: 소재안착이동부 412: 이동면
413: 배출홀부 414: 안착경사설정부
415: 이동면유체공급부 430: 소재위치부
431: 위치판

Claims (7)

  1. 소재를 이송시키는 소재공급부재;
    세척부와, 상기 세척부를 상기 소재 측으로 가압하는 세척가압부를 구비하여, 상기 소재공급부재에서 전달받은 상기 소재를 세척하는 소재세척부재;
    상기 소재세척부재에서 세척된 상기 소재를 설정위치로 이송시키는 소재배출부재; 및
    상기 소재배출부재에 의하여 배출되는 상기 소재가 안착되는 소재안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소재안착부재는 상기 소재가 안착되는 소재안착부와, 상기 소재가 설정위치에 정지하도록 하는 소재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재안착부는 상기 소재배출부재에서 배출되는 상기 소재를 상기 소재위치부 측으로 안내하고,
    상기 소재세척부재는 세척프레임부와, 상기 세척프레임부에 결합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세척구동부와, 상기 세척부가 결합되며, 상기 세척구동부에 의하여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되고 상기 세척가압부에 의하여 상기 소재 측으로 가압되는 세척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가압부는 상기 세척회전부가 안착되며, 상기 세척프레임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척가이드와, 상기 세척프레임부와 상기 세척가이드 사이에 구비되며, 팽창에 따라 상기 세척가이드를 상기 소재 측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팽창가압부와, 상기 팽창가압부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팽창가압부에 유체를 주입하는 유체주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가이드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세척프레임부의 가이드결합홈부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되, 일측면에 상기 팽창가압부가 접하며, 타측면에 상기 세척회전부가 접하는 가이드바디와, 상기 가이드바디와 상기 소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세척회전부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삽입부와, 상기 세척회전부가 상기 회전삽입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세척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가압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세척가이드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세척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세척부재는,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소재의 양측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세척장치.
  6.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세척부재는,
    상기 세척부에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부와, 상기 세척부를 충격하는 충격부를 구비하여 상기 세척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세척장치.
  7.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배출부재는,
    상기 소재세척부재에 진입된 상기 소재를 상기 소재세척부재에서 배출하는 소재배출부; 및
    상기 소재배출부에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소재세척부재에서 배출된 상기 소재를 설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사이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세척장치.
KR1020160153822A 2016-11-18 2016-11-18 소재 세척장치 KR101918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822A KR101918045B1 (ko) 2016-11-18 2016-11-18 소재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822A KR101918045B1 (ko) 2016-11-18 2016-11-18 소재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438A KR20180056438A (ko) 2018-05-29
KR101918045B1 true KR101918045B1 (ko) 2018-11-14

Family

ID=62452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822A KR101918045B1 (ko) 2016-11-18 2016-11-18 소재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04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243Y1 (ko) * 2004-04-14 2004-07-05 (주)삼우기계 판재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444653Y1 (ko) * 2007-10-29 2009-05-27 한일이화주식회사 틸팅동작이 가능한 지그를 갖춘 제품 이송장치
KR101595369B1 (ko) * 2015-07-17 2016-02-26 (주)텍코 자동차 부품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243Y1 (ko) * 2004-04-14 2004-07-05 (주)삼우기계 판재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444653Y1 (ko) * 2007-10-29 2009-05-27 한일이화주식회사 틸팅동작이 가능한 지그를 갖춘 제품 이송장치
KR101595369B1 (ko) * 2015-07-17 2016-02-26 (주)텍코 자동차 부품 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438A (ko) 2018-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00330A (zh) 一种全自动智能金属表面打磨设备
JPH07307321A (ja) 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TWI721647B (zh) 直線式拋光機
CN110202428B (zh) 纸管变形修复机
KR101935744B1 (ko) 브레이크용 축부재 가공장치
KR20130010366A (ko) 사출제품의 게이트 사상장치
CN110481038B (zh) 橡胶密封条生产线
CN112045522B (zh) 一种用于机械制造的零件打磨装置
CN112296882A (zh) 一种增压式环保型全自动管件水喷砂装置
CN113134774A (zh) 一种镀铬直线光轴缺陷破损修复方法
KR102110712B1 (ko) 사출품의 버 제거장치
KR101918045B1 (ko) 소재 세척장치
CN113560291B (zh) 一种化工产品储存pp塑料桶内壁清洗机
ITBO20070411A1 (it) Apparato per levigare un prodotto, in particolare un semilavorato ceramico.
KR20110090044A (ko) 렌즈 자동 연마장치
KR20100060870A (ko) 약액 예비토출장치
JP2001327932A (ja) ゴムロール洗浄装置
CN112573193A (zh) 夹具及激光清洗设备
CN205042814U (zh) 柔性铁氟龙布表面自动清洗机
CN112672847A (zh) 抛光设备
CN115464517A (zh) 一种用于管道的供料加工一体设备
KR101935745B1 (ko) 제동장치용 축부재 가공장치
CN108723963A (zh) 皮辊芯轴清洁机
KR20150046104A (ko) 스트립 주조 설비 및 그 작동 방법
CN107511750A (zh) 一种自动清理抛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