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5734Y1 - 펀넬의 공정간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펀넬의 공정간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5734Y1
KR200145734Y1 KR2019960050822U KR19960050822U KR200145734Y1 KR 200145734 Y1 KR200145734 Y1 KR 200145734Y1 KR 2019960050822 U KR2019960050822 U KR 2019960050822U KR 19960050822 U KR19960050822 U KR 19960050822U KR 200145734 Y1 KR200145734 Y1 KR 2001457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nel
pallet
carriage
guide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08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7780U (ko
Inventor
김기웅
도명환
김윤규
박상현
전문채
Original Assignee
한용희
주식회사한국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용희, 주식회사한국정공 filed Critical 한용희
Priority to KR20199600508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5734Y1/ko
Publication of KR199800377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77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57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57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65G39/18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for guiding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14Endless driving elements extending parallel to belt or ch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펀넬에 넥크를 융착하기 위하여 펀넬을 각 공정별로 이송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종래에 3절 링크로 운반대를 들면서 이송할 때 흔들림이 발생되어 펀넬의 위치가 변경되어 모일 컷팅이나 넥크 융착시 불량이 발생되고 펀넬을 운반대의 내측 지지턱으로 승·하강시켜 줌으로 펀넬이 크거나 적은 사양으로 바뀔 때 운반대를 구조 변경하거나 교체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운반대를 사다리 형태로 구비시켜 펀넬이 운반대 상면에 놓이게 하여 다양한 형태의 펀넬을 이송시킬 수 있게 하고 운반대 승강을 운반대를 지지하는 다수의 로울러와 요동 레바 및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케 하고 엘엠 가이드에 삽설된 엘엠 가이드 블록의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서보모타에 의해 회전하는 타이밍 벨트에 의해 이송되게 하여 안정되고 원활한 펀넬 운반이 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펀넬의 공정간 이송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이송장치 정면도.
제2도는 운반대 승·하강 장치 요부 단면도.
제3도는 운반대 좌우이송 장치 요부 단면도.
제4도는 요부 발췌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운반대 2 : 로울러
5 : 가이드 바 6 : 요동 레바
7 : 장축 8 : 레바
9 : 실린더 14 : 엘엠 가이드
15 : 엘엠 가이드 블록 16 : 슬라이드 플레이트
18 : 서보모타 21 : 타이밍벨트
본 고안은 펀넬에 넥크를 융착하기 위한 공정간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장치가 경량화 되도록 하고 제품 사양이 바뀌어도 구조 변경 없이 펀넬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펀넬의 공정간 이송장치가 운반대에 다수의 3절 링크를 취부하고 3절 링크에 실린더를 결합하여 실린더의 작동으로 3절 링크가 접혔다 펼쳐졌다 하면서 운반대가 승·하강하고 좌·우 이송되게 한 것으로서 이송시 소음이 심하면서 충격이 가해져 펀넬의 위치가 흔들리게 되어 버너 가열이나 넥크 융합시 불량 발생이 빈번하고 펀넬을 잡아주는 홀더를 양 운반대 내측으로 지지턱을 구비시켜 펀넬을 이송시키는 관계로 크거나 적은 제품으로 사양이 변경되면 기존의 이송장치로서는 펀넬을 지지하고 못함으로서 운반대를 조정하거나 교체하는 관계로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구조 변경에 따른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입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여 이송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도록 하여 경량화 시키면서 각 제품에 호환성이 있도록 운반대를 사다리 형태로 좁게 구비시키고 승·하강이나 좌·우 이송시 흔들림이 없도록 안정화시키는데 소기의 목적하는 바가 있다.
본 고안의 펀넬의 공정간 이송 장치는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운반대를 지지하는 로울러를 다수 구비시켜 장축에 레버 연결된 실린더로서 승·하강케 하고 좌·우 이송은 서보모타에 의해 회전하는 타이밍 벨트에 엘엠 가이드에 안착된 엘엠 가이드 블록을 취부하여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함으로서 안정된 이송과 경량화하는 수단을 강구하였다.
본 고안의 펀넬의 공정간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하 부수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펀넬 이송 장치 정면도로서 사다리 형태의 운반대(1)를 승·하강시키고 좌·우 이송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운반대(1)의 하면에 다수의 안내로울러(2)가 가이드 바(3)와 접하도록 구성시키고 안내로울러(2)는 브라켓트(4)와 가이드 바(5)로 연결되어 요동 레바(6)와 결합되고 각 요동 레바(6)는 장축(7)에 축설되어지며 장축(7)에는 레바(8)를 축설하여 승·하강 실린더(9)와 결합하였다.
제2도는 운반대(1)의 승·하강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양 운반대(1)의 상연에 제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10)이 삽설되고 하연에는 가이드 바(3)가 결합되어 축(11)으로 연결된 양 로울러(2)에 안착되며 로울러축(11)에는 브라켓트(4)를 취부하여 장축(7)에 결합된 요동 레바(6)의 클램프(12)와 가이드 바(5)로 연결하되 가이드 바(5)는 부쉬(13)에 의해 지지되게 구성하였다.
제3도는 운반대(1)가 좌우 직선운동하는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양 엘엠 가이드(14)에 엘엠 가이드 블록(15)을 이송자재토록 결합하고 양 엘엠 가이드 블록(15)은 부쉬(13)가 구비된 슬라이드 플레이트(16)에 취부하며 슬라이드 플레이트(16)에 결합된 일측 브라켓트(17)에는 서보모타(18)에 축설된 타이밍풀리(19)와 타측 타이밍 풀리(20)에 연결된 타이밍 벨트(21)에 결합하여 서보모타(18)의 회전으로 이송토록 구성하였으며 서보모타(18)는 센서에 의해 제어된다.
제4도는 본 고안 장치 요부를 발췌한 평면도로서 일측에 서보모타(18)가 장착되고 서보모타(18)의 타이밍 풀리(19)와 타측 타이밍 풀리(20)가 타이밍 벨트(21)로 연결되며 타이밍벨트(21)에는 브라켓트(22)가 결합되고 브라켓트(22)는 사다리 형태의 운반대(1)에 취부되어 구성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0)는 이송 테이블, (40)는 후레임, (50)는 펀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펀넬의 공정간 이송장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콘베이어에서 펀넬이 이송되면 운반대(1)로 펀넬을 공급받아 센타링을 하고 모일을 컷팅한 후 전기히팅, 가스 히팅, 넥크 융착, 열처리한 후 펀넬을 출구 콘베이어로 이송함에 있어서; 실린더(9)로 레버(8)를 밀어주고 장축(7)에 연결된 요동 레바(6)가 클램프(12)를 밀어주고 가이드 바(5)의 브라켓트(4)를 밀어 로울러(2)가 운반대(1)를 간섭받지 않게 들어주게 되면 서보모타(18)가 회전하여 타이밍 벨트(21)를 돌려주게 되면 타이밍 벨트(21)에 결합된 운반대(1)의 브라켓트(22)와 슬라이드 플레이트(17)가 엘엠 가이드 블록(15)을 통해 엘엠 가이드(14) 상에서 이송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작용으로 공정별 작업이 끝나면 운반대(1)가 승강하여 전 공정의 펀넬(50)을 들어서 다음 공정에 위치시켜 다시 하강시켜 줌으로 이송장치는 흔들림 없이 안정화되고 경량화 됨으로 제품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공정별 이송이 원활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면서 운반대(1)가 사다리 형태로 좁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품의 사양이 변경되더라도 설비의 구조변경이나 교체작업 없이 펀넬을 이송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펀넬에 넥크를 융착하기 위하여 각 공정의 펀넬을 이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운반대(1)을 다수의 로울러(2)로 지지하고 로울러(2)는 클램프(12)가 결합된 요동 레바(6)와 요동 레바(6)가 결합된 장축(7) 레바(8)로 결합된 실린더(9)에 의해 승·하강토록 구비하고, 엘엠 가이드(14)에 안착된 엘엠 가이드 블록(15)의 슬라이드 플레이트(16) 브라켓트가 서보모타(18)에 의해 회전하는 타이밍 벨트(21)에 연결되어 브라켓트 상면에 결합된 운반대(1)가 이송되게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넬의 공정간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운반대(1)는 사다리 형태로 폭이 좁게 구성되어 운반대 상면에 다양한 형태의 펀넬이 얹혀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넬의 공정간 이송장치.
KR2019960050822U 1996-12-14 1996-12-14 펀넬의 공정간 이송장치 KR2001457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822U KR200145734Y1 (ko) 1996-12-14 1996-12-14 펀넬의 공정간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822U KR200145734Y1 (ko) 1996-12-14 1996-12-14 펀넬의 공정간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780U KR19980037780U (ko) 1998-09-15
KR200145734Y1 true KR200145734Y1 (ko) 1999-06-15

Family

ID=19480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0822U KR200145734Y1 (ko) 1996-12-14 1996-12-14 펀넬의 공정간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573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0510B1 (ko) * 1998-11-05 2006-03-22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어노드버튼장착기의 펀넬전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780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93222B2 (ja) 包装機への物品の自動整列供給方法と装置
KR100449814B1 (ko) 금속시이트의절단과/또는용접방법및그장치
KR200145734Y1 (ko) 펀넬의 공정간 이송장치
US6546857B2 (en) Machine for processing hollow glass objects
US5333720A (en) Apparatus to manipulate workpieces
JP2003095384A (ja) ライン式キャッパーおよびそのキャッピング方法
JP3201539B2 (ja) 硝子板の切断方法及びその装置
US5467864A (en) Dual purpose apparatus to manipulate workpieces
JP2791981B2 (ja) コイル転回装置
KR200444653Y1 (ko) 틸팅동작이 가능한 지그를 갖춘 제품 이송장치
JPH06298359A (ja) 板状体の旋回移送装置
JP2538948B2 (ja) ワ―ク搬送装置
CN217913114U (zh) 一种防止圆管切断时晃动的定位装置
JP2005081423A (ja) トランスファプレスのワーク搬送装置
CN212075650U (zh) 玻璃盖板自动转架装置
US6065584A (en) Loading device for a plate press
JPH07315557A (ja) 容器方向転換方法及びその装置
KR19990054891A (ko) 스텝 컨베이어
CN107525397A (zh) 一种用于生产继电器的隧道炉及烘干方法
CN212948726U (zh) 用于加热轮胎部件的加热装置
KR0177660B1 (ko) 파레트상의 브라운관 기종 중심위치 자동 조정장치
KR0112806Y1 (ko) 텔레비젼 캐비넷 자동 도장 시스템의 제품 이송장치
JP2001345551A (ja) リフロー半田付け装置における基板搬送機構
CN117886504A (zh) 一种不停机的随动出料型玻璃瓶退火炉尾部扒瓶机
KR0158419B1 (ko) 파형검사 조정기의 실장 불량기판 자동분리 및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