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0510B1 - 어노드버튼장착기의 펀넬전달장치 - Google Patents

어노드버튼장착기의 펀넬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0510B1
KR100540510B1 KR1019980047327A KR19980047327A KR100540510B1 KR 100540510 B1 KR100540510 B1 KR 100540510B1 KR 1019980047327 A KR1019980047327 A KR 1019980047327A KR 19980047327 A KR19980047327 A KR 19980047327A KR 100540510 B1 KR100540510 B1 KR 100540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nel
conveyor
unit
anode button
picku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7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1344A (ko
Inventor
정문선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47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0510B1/ko
Publication of KR20000031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1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5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46Machines having sequentially arranged operat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02Details
    • H01J37/023Means for mechanically adjusting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펀넬에 어노드버튼을 장착시키는 어노드버튼장착기의 펀넬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공정으로부터 어노드버튼이 장착될 펀넬을 수령하여 이송하는 이송콘베이어와; 상기 이송콘베이어를 따라 이송되어 온 펀넬을 흡착하는 픽업유니트와; 상기 픽업유니트를 상기 펀넬이 흡착되는 흡착위치와 흡착된 상기 펀넬을 상기 어노드버튼장착기에 로딩하는 로딩위치간을 이송시키는 픽업유니트이송수단과; 상기 펀넬의 이송순서에 따라 상기 이송콘베이어와, 상기 픽업유니트 및 상기 픽업유니트이송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압축성형장치로부터 성형된 비교적 고온의 펀넬을 어노드버튼장착기에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어노드버튼장착기에 펀넬을 로딩시키기 위해 별도의 작업인원을 배치시킬 필요가 없다.

Description

어노드버튼장착기의 펀넬전달장치
본 발명은, 어노드버튼장착기의 펀넬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성형된 펀넬을 어노드버튼장착기에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어노드버튼장착기의 펀넬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TV 및 모니터 등에 널리 이용되는 음극선관은 화상이 투사되는 패널과, 패널의 배후에 결합되는 펀넬을 가진다. 펀넬은 압축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된 후, 어노드버튼장착기를 통하여 어노드버튼이 장착된 다음 서냉공정 및 연마공정을 거친 후, 별도의 공정에 의해 성형 및 연마가공된 패널과 플리트 실링에 의해 상호 접합된다.
펀넬의 성형은, 글라스용융로내에서 글라스원료를 가열하여 소정의 용융상태로 만들고, 압축성형장치내에 제공된 용융상태의 글라스고브를 가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렇게 성형된 펀넬은, 소정의 냉각공정을 거쳐 압축성형장치로부터 취출되어 어노드버튼의 장착을 위해 어노드버튼장착기로 이송된다. 어노드버튼장착기에서는 먼저 장착부위를 가열한 다음, 천공장치로 장착부위를 천공한 후, 어노드버튼을 삽입장착하게 된다. 어노드버튼이 장착된 펀넬은 어노드버튼장착기로부터 취출되어 후속공정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종래의 어노드버튼장착기에는 별도의 작업자가 배치되어 압축성형장치로부터 제공된 펀넬을 어노드버튼장착기에 로딩시킴과 거의 동시에 어노드버튼이 장착된 펀넬을 취출하여 후속공정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그런데, 압축성형장치로부터 제공된 펀넬은 고온일 뿐만 아니라 비교적 중량체라 취급이 용이하지 않으며, 더욱이 로딩 및 언로딩 시간간격이 매우 짧아 작업자가 쉽게 피로하게 되므로 자동화의 요청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성형장치로부터 성형된 펀넬을 어노드버튼장착기에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어노드버튼장착기의 펀넬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음극선관용 펀넬에 어노드버튼을 장착시키는 어노드버튼장착기의 펀넬전달장치에 있어서, 전공정으로부터의 펀넬을 수령이송하는 공급콘베이어와, 상기 공급콘베이어와 소정 이격배치되는 수령콘베이어와, 상기공급콘베이어의 말단영역에 배치되어 이송되는 펀넬의 파손여부를 감지하는 파손품 감지센서와, 상기 파손품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파손품이 분리되도록 하는 파손품분리수단을 가지며, 전공정으로부터 어노드버튼이 장착될 펀넬을 수령하여 이송하는 이송콘베이어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픽업유니트본체와, 상기 픽업유니트본체에 승강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펀넬을 흡착하는 흡착헤드와, 상기 흡착헤드를 상기 픽업유니트본체에 대해 경사지게 회동시키는 틸팅수단을 가지며, 상기 이송콘베이어를 따라 이송되어 온 펀넬을 흡착하는 픽업유니트와; 적어도 상기 펀넬의 흡착위치와 상기 로딩위치간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픽업유니트를 상기 흡착위치와 상기 로딩위치간을 왕복구동시키는 픽업유니트구동실린더를 가지며, 상기 픽업유니트를 상기 펀넬이 흡착되는 흡착위치와 흡착된 상기 펀넬을 상기 어노드버튼장착기에 로딩하는 로딩위치간을 이송시키는 픽업유니트이송수단과; 상기 펀넬의 이송순서에 따라 상기 이송콘베이어와, 상기 픽업유니트 및 상기 픽업유니트이송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노드버튼장착기의 펀넬전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파손품분리수단은, 상기 공급콘베이어와 상기 수령콘베이어와의 사이에 상하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덤프콘베이어와, 상기 덤프콘베이어를 회동구동시키는 덤프실린더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수령콘베이어의 말단영역에 배치되며 독자적으로 구동되는 위치설정콘베이어와, 상기 위치설정콘베이어상의 펀넬을 접촉가압하여 상기 펀넬의 위치를 조절하는 푸셔와, 상기 위치설정콘베이어의 구동을 위한 구동수단을 갖는 픽업위치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노드버튼장착기에 대한 상기 레일의 상대높이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레일높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틸팅수단은, 상기 흡착헤드를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동축과, 일단이 상기 픽업유니트본체에 피봇지지되며 타단이 상기 흡착헤드에 상대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흡착헤드를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구동시키는 회동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어노드버튼장착기로부터 어노드버튼이 장착된 펀넬을 흡착취출하는 취출유니트와, 적어도 상기 펀넬이 흡착취출되는 취출위치와 후공정으로의 이송을 위해 상기 펀넬을 언로딩하는 언로딩위치간을 연결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취출유니트를 상기 취출위치와 상기 언로딩위치간을 왕복구동시키는 취출유니트구동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노드버튼장착기의 펀넬전달장치의 설치상태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어노드버튼장착기(1)는, 기립설치된 지지축의 둘레에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턴테이블(3)과, 턴테이블(3)의 상측에 배치된 상부프레임(5)을 가진다. 턴테이블(3)의 둘레영역에는 어노드버튼의 장착을 위한 펀넬(7)의 로딩, 가열, 천공 및 어노드버튼삽입, 취출 등의 일련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복수의 스테이션이 구획형성되어 있으며, 각 스테이션에는 도시 않은 가열버너, 천공기 및 어노드버튼삽입기 등이 작업순서에 따라 적절히 배치된다. 턴테이블(3)의 외주영역에는 펀넬(7)을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지지부재(미도시)가 하향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어노드버튼장착기(1)의 펀넬전달장치는, 어노드버튼장착기(1)의 로딩스테이션측에 설치되어 압축성형장치(미도시)로부터의 펀넬(7)을 수령이송하는 이송콘베이어(10)와, 이송콘베이어(10)의 말단영역에 배치되어 펀넬(7)의 흡착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부(40)와, 위치설정된 펀넬(7)을 흡착픽업하여 어노드버튼장착기(1)에 로딩시키는 로딩장치(20)와, 어노드버튼장착기(1)의 취출측에 설치되어 어노드버튼이 장착된 펀넬(7)을 후속공정으로 이송하는 언로딩장치(60)와, 로딩장치(20) 및 언로딩장치(60)와 이송콘베이어(10)를 제어하는 제어부(70)를 가진다.
이송콘베이어(10)는, 압축성형장치의 취출측으로부터 어노드버튼장착기(1)의 로딩스테이션측을 향하여 연장설치되는 공급콘베이어(11)와, 공급콘베이어(11)로부터 소정 이격된 수령콘베이어(13)와, 공급콘베이어(11)와 수령콘베이어(13) 사이영역에 상하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덤프콘베이어(15)를 가진다. 공급콘베이어(11)의 말단영역에는 압축성형장치로부터 이송된 펀넬(7)의 파손여부를 감지하는 한 쌍의 파손품 감지센서(16)가 설치되어 있다. 수령콘베이어(13)의 일측에는 덤프콘베이어(15)가 상하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덤프콘베이어(15)의 하단에는 일단이 수령콘베이어(13)에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된 덤프실린더(18)가 상대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수령콘베이어(13)의 말단영역에는 수령콘베이어(13)로부터 펀넬(7)을 제공받아 펀넬(7)의 흡착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부(40)가 마련되어 있다.
로딩장치(20)는, 위치설정부(40)에 의해 위치설정된 펀넬(7)을 흡착픽업하는 픽업유니트(23)와, 수령이송콘베이어(13)의 상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21)과, 픽업유니트(23)를 왕복구동시키는 픽업유니트구동실린더(25)를 가진다.
레일(21)은 어노드버튼장착기(1)의 상부프레임(5)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메인프레임(14)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레일(21)상에는 위치설정부(40)에 의해 위치설정된 펀넬(7)을 흡착하는 픽업유니트(23)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픽업유니트(23)의 일측에는 픽업유니트구동실린더(25)가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메인프레임(14)의 양단에는 어노드버튼장착기(1)에 대한 레일(2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레일높이조절장치(17a,17b)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각 높이조절장치(17a,17b)에는 높이조절볼트(19a,19b)가 각각 마련되어 있어 그 회전에 의해 레일(21)을 승강시키게 된다.
언로딩장치(60)는, 어노드버튼장착기(1)의 취출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레일(61)과, 레일(61)상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어노드버튼장착기(1)의 취출스테이션으로부터 펀넬(7)을 흡착취출하는 취출유니트(63)와, 취출유니트(63)를 펀넬(7)이 취출되는 취출위치와 언로딩되는 언로딩위치간을 왕복구동시키는 취출유니트구동실린더(65)를 가진다. 언로딩장치(60)는 로딩장치(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메카니즘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로딩장치(20)에 국한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로딩장치의 확대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요부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유니트(23)는, 레일(21)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픽업유니트본체(27)와, 픽업유니트본체(27)에 대해 승강 및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펀넬(7)을 흡착하는 흡착헤드(29)와, 흡착헤드(29)의 승강 및 회동을 위한 승강실린더(31) 및 회동실린더(32)를 가진다.
픽업유니트본체(27)의 중앙영역에는 흡착헤드(29)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흡착헤드(29)는,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평행하게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상부브래킷(33) 및 하부브래킷(36)과, 하부브래킷(36)에 고정되는 흡착부재(37)를 가진다. 상부브래킷(33)의 상호 대항하는 양 연부에는 픽업유니트본체(27)에 형성된 회동축을 수용할 수 있도록 회동축수용공(34)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브래킷(33)의 중앙영역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승강실린더(31)가 결합되어 있으며, 승강실린더(31)의 하단에는 흡착부재(37)가 결합되어 있다.
흡착부재(37)의 자유단영역에는 펀넬(7)의 후면부를 수용하도록 하향개구된 수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용공은 펀넬(7)을 진공흡착할 수 있도록 진공라인과 연통되어 있다. 상부브래킷(33)의 모서리영역에는 흡착부재(37)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하부브래킷(36)으로부터 상향연장된 가이드바아(38)가 수용결합되는 가이드바아안내부(3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부브래킷(33)의 일측에는 승강실린더(31)와 나란하게 회동실린더(32)의 일단이 상대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이 회동실린더(32)의 타단은 픽업유니트본체(27)에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도 4는 도 1의 위치설정부영역의 확대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설정부(40)는 수령콘베이어(13)의 말단에 배치되어 수령콘베이어(13)로부터 제공된 펀넬(7)을 수령하여 픽업유니트(23)가 펀넬을 흡착할 수 있도록 펀넬(7)의 흡착위치를 설정한다. 위치설정부(40)는, 지지프레임(41)과, 수령콘베이어(13)와 거의 동일한 지지이송면을 가지는 평벨트상의 위치설정콘베이어(43)와, 위치설정콘베이어(43)를 독자적으로 구동시키는 위치설정콘베이어구동모터(45)를 가진다. 위치설정콘베이어(43)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프레임(41)의 양단에는 위치설정콘베이어(43)를 회전지지할 수 있도록 구동풀리(47) 및 피동풀리(49)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지지프레임(41)의 일측에는 위치설정콘베이어구동모터(45)가 설치되어 있으며, 위치설정콘베이어구동모터(45)의 일측에는 감속기(51)가 벨트(53)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감속기(51)의 출력축은 구동풀리(47)의 회전축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호 체인(5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위치설정콘베이어(43)의 일측에는 펀넬(7)의 일측연부를 가압하여 이송방향의 가로방향에 대한 펀넬(7)의 위치를 조절하는 푸셔(44)가 설치되어 있으며, 푸셔(44)의 대향측에는 펀넬(7)의 위치를 제한하는 스톱퍼(50)가 마련되어 있다. 푸셔(44)는 펀넬(7)의 일측연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재(46)와 가압부재(46)의 구동을 위한 실린더기구(48)를 가진다. 푸셔(44)의 일측에는 수령콘베이어(13)로부터 제공된 펀넬(7)을 열 등에 의해 감지하는 펀넬감지센서(4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5는 도 1의 어노드버튼장착기의 펀넬전달장치의 개략적인 제어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된 제어부(70)는 파손품감지센서(16) 및 펀넬감지센서(42)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덤프실린더(18) 및 위치설정콘베이어구동모터(45)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70)에는 픽업유니트구동실린더(25)와 흡착헤드(29)의 승강 및 회동을 위한 승강실린더(31) 및 회동실린더(32)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공급콘베이어(11)에 의해 압축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된 펀넬(7)이 이송되면, 공급콘베이어(11)의 말단영역에 배치된 파손품감지센서(16)는 공급콘베이어(11)를 따라 이송된 펀넬(7)의 위치를 감지한다. 펀넬(7)이 깨지거나 형상이 변형될 경우 파손품으로 감지하게 된다. 제어부(70)는 파손품감지센서(16)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파손품인 경우, 덤프실린더(18)를 구동시켜 덤프콘베이어(15)를 상향회동시킴으로써, 파손된 펀넬이 분리수거되어 커릿(Cullet)처리되도록 한다. 정상의 펀넬(7)은 덤프콘베이어(15) 및 수령콘베이어(13)를 거쳐 위치설정콘베이어(43)로 이송된다. 위치설정콘베이어(43)의 일측에 마련된 펀넬감지센서(42)에 의해 펀넬(7)이 감지되면, 제어부(70)는 위치설정콘베이어구동모터(45)를 제어하여 위치설정콘베이어(43)를 정지시킨다. 푸셔(44)는 펀넬(7)의 대향연부가 스톱퍼(50)에 접촉할 때 까지 펀넬(7)의 측연을 가압하여 펀넬(7)의 위치를 설정한다.
푸셔(44)에 의한 펀넬(7)의 위치설정이 완료되면 제어부(70)는 승강실린더(31)를 제어하여 흡착부재(37)의 수용공내에 펀넬(7)의 후단부가 수용되도록 한다. 펀넬(7)의 후단부가 흡착부재(37)내에 수용됨과 거의 동시에 진공라인을 통해 수용공내의 공기가 인출되어 펀넬(7)은 흡착부재(37)에 순간적으로 흡착된다. 다음, 승강실린더(31)의 철회에 따라 흡착된 펀넬(7)은 상향이동하게 되고, 픽업유니트구동실린더(25)에 의해 픽업유니트(23)는 로딩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픽업유니트(23)가 로딩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회동실린더(32)는 신장위치로부터 철회를 개시하고, 이에 의해 흡착헤드(29)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회동실린더(32)의 철회동작이 완료되면 펀넬(7)의 하단면과 지지부재의 판면이 거의 나란하게 된다. 이 때, 승강실린더(31)는 지지부재를 향하여 신장하게 되며, 펀넬(7)이 지지부재에 근접하게 되면 진공상태가 해제되면서 펀넬(7)이 지지부재상에 로딩된다. 펀넬(7)의 로딩이 완료되면, 픽업유니트(23)는 초기위치로 철회되어 대기하게 된다. 한편, 어노드버튼이 장착된 펀넬(7)은 취출스테이션에서 언로딩장치에 의해 취출된 다음, 후속공정으로 이송된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픽업유니트가 위치설정부에 의해 위치설정된 펀넬을 픽업하여 어노드버튼장착기로 이동하도록 설명하고 있지만, 위치설정부가 어노드버튼장착기에 인접설치될 경우 등 필요에 따라서는 픽업유니트구동실린더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성형장치로부터 성형된 비교적 고온의 펀넬을 어노드버튼장착기에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어노드버튼장착기에 펀넬을 로딩시키기 위해 별도의 작업인원이 소요되지 않는 어노드버튼장착기이 펀넬전달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노드버튼장착기의 펀넬전달장치의 설치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로딩장치의 확대측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확대도,
도 4는 도 1의 위치설정부영역의 확대평면도,
도 5는 도 1의 어노드버튼장착기의 펀넬전달장치의 개략적인 제어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펀넬 11 : 공급콘베이어
13 : 수령콘베이어 15 : 덤프콘베이어
16 : 파손품감지센서 18 : 덤프실린더
21 : 레일 23 : 픽업유니트
25 : 픽업유니트구동실린더 27 : 픽업유니트본체
29 : 흡착헤드 31 : 승강실린더
32 : 회동실린더 40 : 위치설정부
42 : 펀넬감지센서 43 : 위치설정콘베이어
61 : 레일 63 : 취출유니트
65 : 취출유니트구동실린더 70 : 제어부

Claims (6)

  1. 음극선관용 펀넬에 어노드버튼을 장착시키는 어노드버튼장착기의 펀넬전달장치에 있어서,
    전공정으로부터의 펀넬을 수령이송하는 공급콘베이어와, 상기 공급콘베이어와 소정 이격배치되는 수령콘베이와어, 상기 공급콘베이어의 말단영역에 배치되어이송되는 펀넬의 파손여부를 감지하는 파손품감지센서와, 상기 파손품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파손품이 분리되도록 하는 파손품분리수단을 가지며, 전공정으로부터 어노드버튼이 장착될 펀넬을 수령하여 이송하는 이송콘베이어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픽업유니트본체와, 상기 픽업유니트본체에 승강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펀넬을 흡착하는 흡착헤드와, 상기 흡착헤드를 상기 픽업유니트본체에 대해 경사지게 회동시키는 틸팅수단을 가지며, 상기 이송콘베이어를 따라 이송되어 온 펀넬을 흡착하는 픽업유니트와;
    적어도 상기 펀넬의 흡착위치와 상기 로딩위치간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픽업유니트를 상기 흡착위치와 상기 로딩위치간을 왕복구동시키는 픽업유니트구동실린더를 가지며, 상기 픽업유니트를 상기 펀넬이 흡착되는 흡착위치와 흡착된 상기 펀넬을 상기 어노드버튼장착기에 로딩하는 로딩위치간을 이송시키는 픽업유니트이송수단과;
    상기 펀넬의 이송순서에 따라 상기 이송콘베이어와, 상기 픽업유니트 및 상기 픽업유니트이송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노드 버튼장착기의 펀넬전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손품분리수단은, 상기 공급콘베이어와 상기 수령콘베이어와의 사이에 상하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덤프콘베이어와, 상기 덤프콘베이어를 회동구동시키는 덤프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노드버튼장착기의 펀넬전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령콘베이어의 말단영역에 배치되며 독자적으로 구동되는 위치설정콘베이어와, 상기 위치설정콘베이어상의 펀넬을 접촉가압하여 상기 펀넬의 위치를 조절하는 푸셔와, 상기 위치설정콘베이어의 구동을 위한 구동수단을 갖는 픽업위치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노드버튼장착기의 펀넬전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노드버튼장착기에 대한 상기 레일의 상대높이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레일높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노드버튼장착기의 펀넬전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수단은, 상기 흡착헤드를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동축과, 일단이 상기 픽업유니트본체에 피봇지지되며 타단이 상기 흡착헤드에 상대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흡착헤드를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구동시키는 회동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노드버튼장착기의 펀넬전달장치.
  6.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노드버튼장착기로부터 어노드버튼이 장착된 펀넬을 흡착취출하는 취출유니트와, 적어도 상기 펀넬이 흡착취출되는 취출위치와 후공정으로의 이송을 위해 상기 펀넬을 언로딩하는 언로딩위치간을 연결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취출유니트를 상기 취출위치와 상기 언로딩위치간을 왕복구동시키는 취출유니트구동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노드버튼장착기의 펀넬전달장치.
KR1019980047327A 1998-11-05 1998-11-05 어노드버튼장착기의 펀넬전달장치 KR100540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327A KR100540510B1 (ko) 1998-11-05 1998-11-05 어노드버튼장착기의 펀넬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327A KR100540510B1 (ko) 1998-11-05 1998-11-05 어노드버튼장착기의 펀넬전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344A KR20000031344A (ko) 2000-06-05
KR100540510B1 true KR100540510B1 (ko) 2006-03-22

Family

ID=19557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7327A KR100540510B1 (ko) 1998-11-05 1998-11-05 어노드버튼장착기의 펀넬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05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162U (ko) * 1993-06-25 1995-01-04 삼성코닝주식회사 음극선관 훤넬 이송장치
JPH0873230A (ja) * 1994-09-02 1996-03-19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ファンネル取出装置
KR970051687A (ko) * 1996-11-04 1997-07-29 최영철 브라운관용 훤넬의 이송장치
KR19980037780U (ko) * 1996-12-14 1998-09-15 한용희 펀넬의 공정간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162U (ko) * 1993-06-25 1995-01-04 삼성코닝주식회사 음극선관 훤넬 이송장치
JPH0873230A (ja) * 1994-09-02 1996-03-19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ファンネル取出装置
KR970051687A (ko) * 1996-11-04 1997-07-29 최영철 브라운관용 훤넬의 이송장치
KR19980037780U (ko) * 1996-12-14 1998-09-15 한용희 펀넬의 공정간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344A (ko) 200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5108313B (zh) 一种镀膜上下料机及镀膜上下料方法
KR100540510B1 (ko) 어노드버튼장착기의 펀넬전달장치
CN211619318U (zh) 一种自动上下料装置
CN113320987A (zh) 一种上料设备
CN218797473U (zh) 一种电芯全自动分类下料机
CN217457919U (zh) 上下料机构
CN115571577B (zh) 物料输送系统及激光掺杂一体机
CN116331757A (zh) 一种柔性钣金加工系统
JPH0574347A (ja) フアンネルのモイル切断システム
CN112298950B (zh) 取料顶升回流线
US5984624A (en) Article loader/unloader
CN210389424U (zh) 冲切自动上下料机
CN219708203U (zh) 一种物料移载装置
CN216728333U (zh) 一种触摸屏的检测装置
JPH0741196A (ja) 板材供給装置
CN213565040U (zh) 一种全自动打码设备
CN216337295U (zh) 一种玻璃制品加热成型工段搬运装置
CN220844506U (zh) 玻璃板转移装置
CN113911699B (zh) 加工设备
CN215614138U (zh) 自动制头机
CN213651168U (zh) 一种中空玻璃转运平台
CN117086463B (zh) 端子超声波焊接设备
CN220127599U (zh) 一种取盖加盖机
CN220260059U (zh) 一种用于自动螺丝机的上下料装置
KR19990016829A (ko) 액정 표시판의 투입 및 취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