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259A - 의류 세탁 및/또는 의류 건조용 가전제품 - Google Patents
의류 세탁 및/또는 의류 건조용 가전제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03259A KR20090003259A KR1020087023296A KR20087023296A KR20090003259A KR 20090003259 A KR20090003259 A KR 20090003259A KR 1020087023296 A KR1020087023296 A KR 1020087023296A KR 20087023296 A KR20087023296 A KR 20087023296A KR 20090003259 A KR20090003259 A KR 200900032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rment
- heating
- sensor
- electrode
- dry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claims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4000043261 Hevea brasili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85 cashmer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40 conductiv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96 correl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89 dielectr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6 elastomer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2 natural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94 natura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084 poly(chlorop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50 progres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79 silico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45 silicone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6—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heatable surfaces for contacting the laundr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의류 세탁 및/또는 의류 건조용 가전제품은 워크탑(3)이 마련되는 외부 케이스(2)와, 워크탑(3) 상에 놓이는 의류를 건조하는 가열 수단(7)을 포함하며, 워크탑(3) 또는 가열 수단(7)은 상기 의류의 수분 함량을 검출하도록 된 센서 수단(8)을 포함하고, 센서 수단(8)에 의해 검출된 수분 함량에 응답하여 상기 가열 수단(7)을 작동시키는 제어 수단이 마련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 세탁 및/또는 의류 건조용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다.
유럽 특허 출원 제05102644.1호에는 워크탑(worktop)이 마련된 외부 케이스와, 이 워크탑 상에 배치되는 의류를 건조하는 가열 수단을 포함하는 의류 세탁 및/또는 의류 건조용 가전제품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한 장치는 회전식 건조기(tumble dryer)에서 직물재에 가해질, 주로 충격 형태의 기계적인 응력으로 인해 통상적으로 회전식 건조기에서 건조하도록 되어 있지 않은 캐시미어와 같은 연약한 직물재로 형성된 의류가 충분히 부드러운 방식으로 건조되게 함과 동시에, 이러한 목적으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빨랫줄 건조(line-drying) 또는 망 건조(flat-drying)와 같은 기존의 시간 소모적인 과정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의류를 완전히 건조하는 데 필요한 시간은 의류의 형상 및 의류의 초기 수분 함량과 함께, 동일 의류를 형성하는 재료의 종류에 의해 결정된다. 이들 파라메터는 통상적으로 의류마다 크게 변하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매번 각각의 단일 의류를 알맞게 건조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사전에 효과적으로 이들 파라메터 모두를 충 분히 고려하여 예정된 일시적인 건조 사이클을 셋업하고 구성하는 것은 대단히 어렵다.
실제적으로, 이러한 사실은 실질적으로 취급할 의류- 또는 의류의 적어도 일부 -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건조 사이클의 종료보다 훨씬 앞서 소망하는 건조도에 도달하는 가능성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이에 의해 의류는 직물 섬유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심지어는 더 이상 의류를 입고 이용할 수 없을 정도로 의류를 손상시키는 과량의 열을 받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황은, - 누구든지 확실히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 이 경우에 가열 수단이 의류가 충분히 건조되게 하거나 선택된 건조도에 도달하기 위해 정확히 필요한 것보다 장기간 동안 가열 수단에 전원을 공급할 것이기 때문에 과도한 에너지 사용을 수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 취급할 의류에 대해 주어진 일시적인 건조 사이클을 적절히 선택하긴 하지만 - 의류가 과도하고 불필요한 열을 받는 것을 방지하거나, - 반대로 - 의류가 방금 막 완료된 건조 사이클의 종료시에 충분히 건조되지 않은 경우에 가능하다면 건조 사이클을 반복하기 위해서, 의류의 실제적인 건조 상태에 대해서 의류를 계속해서 모니터링하고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유형의 종래 기술의 가전제품의 전술한 모든 결점을 없애는 데 효과적인 개선된 전술한 유형의 개선된 가전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한 일반적인 목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과도하게 가열되는, 건조되는 의류와 연관된 모든 위험을 안전하게 방지할 수 있는 전술한 유형의 가전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의류의 실제적인 건조 상태에 대해서 동일한 의류를 직접 확인할 것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의류를 효과적으로 건조할 수 있는 전술한 유형의 가전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다른 목적과 함께 이들 목적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항 1 내지 12에 규정되고 설명된 바와 같은 특징부를 포함하는 장치에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은 여하튼 첨부 도면을 참고하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아래에 주어지는 설명으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전제품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전제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의 사시도이며,
도 5는 가열 매트가 워크탑에서 잡아 빼내어진 연장 상태인, 도 4에 도시한 가전제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세탁 및/또는 의류 건조용 가전제품- 도면에서 전체적 으로 도면 부호 1로 지시됨 -은 워크탑(3)과 작동 입력 제어부(5)를 지닌 전방 패널(4)을 구비하는 외부 케이스(2), 이 외부 케이스(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세탁 및/또는 건조할 물품을 집어넣도록 된 드럼, 드럼 내외로 물품을 집어넣거나 꺼내기 위한 개구, 및 개구를 폐쇄하는 도어(6)를 포함한다.
가전제품은 워크탑에 결합되고, 워크탑 상에 놓이는 의류를 건조하도록 된 가열 수단(7)을 포함한다.
워크탑(3) 또는 가열 수단(7) 자체는 의류의 수분 함량을 검출하는 센서 수단(8)을 포함한다. 상기 센서 수단(8)에 의해 검출된 수분 함량에 응답하여 상기 가열 수단(7)을 작동시키는 추가의 제어 수단이 마련된다.
가열 수단(7)은 적어도 워크탑(3)에 통합되는, 전기 가열 요소 또는 저항기와 같은 가열층을 포함하기 때문에, 워크탑을 이 워크탑 위에 편평한 상태로 놓이는 의류를 지지하도록 된 건조면(9)으로 전환한다.
센서 수단(8)은 건조면(9)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인접한 전도성 섹션 사이에서 측정되고 건조면(9) 상에 놓여 건조되는 의류의 수분 함량에 의해 결정되는 전기 전도도 값을 검출하기 위해서, 워크탑(3)의 건조면(9) 가까이에 마련되는 전도도 측정 센서(conductimetric sensor)를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건조되는 의류의 수분 함량은 건조면(9)의 서로 다른 전도성 섹션 사이에서 측정되는 전기 전도도 값을 결정하기 때문에, 건조 과정 동안에 의류의 수분 함량의 감소는 대응하는 건조면(9)의 전도성 섹션 사이에서 존재하는 전기 전도도의 값의 감소를 초래할 것이다.
전도도 측정 센서는, 예컨대 건조면(9) 상에 놓이는 의류와 접촉하도록 워크탑(3)의 건조면(9) 상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전기 접속된 전도성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적절한 전기 회로를 통해, 전도도 측정 센서는 건조되는 의류로부터의 수분의 점진적인 제거, 즉 건조 과정 동안의 의류의 수분 함량의 점진적인 감소에 따라 복수 개의 전도성 요소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기 전도도의 변화를 계속해서 검출하고 모니터링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건조면(9)의 전도성 섹션 사이에서 측정되는 전기 전도도의 상이한 값들은 취급하는 의류에 의해 매번 달성되는 대응하는 건조도와 상호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제어 수단은 건조면의 전도성 섹션 사이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을, 다양한 의류의 최종 건조도를 나타내기 위해 사전에 실험적으로 얻어진 예정된 한계값과 비교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최종 건조도는 가전제품의 제어 패널을 통하여 대응하는 건조 사이클을 설정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하다. 각 사이클의 개시시에, 제어 수단은 사실상 저장 메모리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건조 사이클에 대응하는 전도도 한계값을 검색할 수 있다.
더욱이, 제어 수단은 건조면의 다양한 전도성 섹션 사이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이 선택된 사이클에 대응하는 한계값에 도달하는 즉시, 가열 수단(7)의 전원을 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사이클 종료 조건, 즉 소망하는 건조도에 도달하여 건조 사이클을 종결해야 하는 조건은 전도도 측정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전기 전도도 값과, 선택된 사이클에 관련된 한계값에 기초하여 제어 수단에 의해 자동적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건조되는 의류가 과열될 위험이 완전히 방지되는 한편, 사용자는 더 이상 의류의 실제적인 건조 상태에 대해서 의류를 계속해서 확인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센서 수단(8)은, 워크탑 내의 또는 워크탑 상의 구성으로 마련되고 건조를 위해 워크탑 상에 놓여 있는 의류의 수분 함량에 의해 생성되는 용량성 부하(capacitive loading)를 감지 및 측정하도록 된 용량성 센서를 포함한다.
물의 전기 전도도로 인해, 수분 함유 의류, 즉 세탁하는 물이 어느 정도 흡수된 의류는 사실상 건조 상태의 동일 의류, 즉 전기 전도도가 실제적으로 의류를 형성하는 단독 유전체 재료로 인한 것인 의류의 용량성 부하보다 큰 용량성 부하를 생성할 것이다. 의류를 건조함에 따라 의류로부터의 점진적인 수분의 제거의 의해 초래되는 용량성 부하의 변화는 의류 자체에 의해 달성되는 건조도와 상호 관계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용량성 센서는 워크탑(3) 상에, 건조되는 의류와 동일 워크탑 사이의 접촉면을 따라, 즉 - 이에 따라 - 워크탑(3)에 의해 형성된 건조면(9)을 따라 마련되는 복수 개의 전극(10)을 포함한다.
이들 전극은, 예컨대 발진 회로 또는 분압기(分壓器)로 구성될 수 있는 회로 수단(11)에 접속되지만, -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것과 같은 다른 타입의 회로와 접속되어 사용될 수 있다. 여하튼, 회로 수단(11)은 각각의 단일 전극(10), 또는 상이한 구성에서의 커패시턴스 값을 검출 및 측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회로 수단(11)은 한번에 하나의 전극(10)을 활성화시키면서, 기준 전위에 접속되거나 전혀 접속되지 않을 수 있는 나머지 전극을 접지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회로 수단은 궁극적으로 모든 전극을 차례로 활성화시킨다. 그 후, 동일한 회로 수단은 매번 작동되는 측정 전극과, 이와 반대로 접지되어 있는 다른 전극 사이의 커패시턴스 값을 측정하고, 이에 의해 전극(10) 각각에 대한 커패시턴스 값을 얻는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전극(10)은 전극(10)이 수분과 직접 접촉하게 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얇은 절연층으로 덮이며, 이것은 물론 동일 전극 상에서 이루어지는 커패시턴스 측정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변형예에서, 전극(10) 자체는 워크탑(3)의 두께 내에 통합되거나 매설되기 때문에, 건조를 위해 워크탑 상에 놓여 있는 의류를 지지하도록 마련된 워크탑의 표면에 근접하게 위치 설정되는 것으로 판명된다. 그러한 구성은 전극(10)이 안전하게 절연됨과 동시에, 동일 전극(10) 상에서의 검출 감도를 적절히 높은 레벨로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는 데 효과적이다.
용량성 센서는 각각의 단일 전극 상에서, 의류의 수분 함량과 각각의 단일 전극의 밀접한 용량성 커플링에 의해 야기되는 커패시턴스 값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고, 높은 커패시턴스 값은 의류에 있어서의 높은 물의 함량을 나타낸다.
건조 과정이 진행됨에 따른 의류로부터의 점진적인 물의 제거, 즉 의류의 수분 함량에 있어서의 점진적인 감소로 인해, 이에 상응하여 전극(10) 상에서 측정되 는 커패시턴스의 값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제어 수단은 전극(10) 상에서 측정된 커패시턴스 값을, 다양한 의류의 최종 건조도를 나타내기 위해 사전에 실험적으로 얻어진 예정된 한계값과 비교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최종 건조도는 가전제품의 제어 패널을 통해 대응하는 건조 사이클을 세팅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하다. 각 사이클의 개시시에, 제어 수단은 사실상 저장 메모리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건조 사이클에 대응하는 전기 전도도 한계값을 검색할 수 있다.
제어 수단은 전극 상에서 측정되는 커패시턴스 값이 궁극적으로 선택된 사이클에 대응하는 한계값에 도달하거나 이 한계값 미만으로 감소되는 즉시, 가열 수단(7)의 전원을 끊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특별한 경우에, 예컨대 제어 수단은 얼마나 많은 전극(10)이 대응하는 한계값과 비교되는 커패시턴스 값을 전달하는지 또는 전극(10) 중 어느 것이 한계값과 비교되는 커패시턴스 값을 전달하는지에 기초하여 가열 수단(7)을 끌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 수단(8)은 당업계에 전기장 이미징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고, 전기장 센서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장 내에 배치되는 의류의 전도성 수분 함량의 변화에 의해 야기되는 전기장 부하를 검출하도록 된 전기장 센서로 구성된다.
전기장 센서는 워크탑 상에 분포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전극과, 제1 전극에 AC 신호를 인가하고 이 제1 전극으로부터의 전류 출력과 AC 커플링 전극에 접속된 다 른 전극 세트에서의 전류 입력 양자를 측정하는 데 필요한 회로 수단으로 구성된다. 의류는 AC 커플링 송신 전극(AC-coupled sending electrode)에서 다른 수신 전극으로 연장되는 전기장 부분을 여전히 의류에 함유된 물의 양에 비례하게 차단한다.
회로 수단은 하나의 전극에 AC 신호를 인가하는 것에 의해 한번에 하나의 전극을 활성화시키도록 되어 있는 한편, 다른 전극은 수신 전극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회로 수단은 궁극적으로 모든 전극을 차례로 활성화시킨다.
용량성 센서에 관해 전술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어 수단은 전극 상에서 측정된 전류값이 선택된 건조 사이클에 대응하는 한계값에 도달하거나 또는 한계값을 넘은 것으로 검출될 때 가열 수단을 끌 수 있으며, 이러한 한계값도 다양한 의류의 최종 건조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실험적으로 결정되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가열 수단(7)은 복수 개의 전기 가열 요소 또는 저항기를 포함하도록 계획될 수 있는데, 이러한 복수 개의 전기 가열 요소는 센서 수단(8)에 의해 검출된, 건조 사이클 동안에 이 가열 요소가 배치되는 의류의 상이한 구역 또는 영역에 존재하는 수분 함량에 응답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하다.
건조 사이클 동안에, 사실상 의류의 몇몇 부분이 의류의 다른 부분보다 빨리 건조되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 센서 수단(8),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 용량성 센서와 전기장 센서는 - 전극을 통해 - 다른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수분 함량보다 수분 함량이 적은 것으로 검출되는 워크탑의 영역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 다. 따라서, 제어 수단(8)은 낮은 수분 함량을 검출한 전극에 대응하는 부분에 놓여 있는 가열 요소의 전원을 끊을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 가열 요소에 대한 전원을 저감할 수도 있다. 이것은 실질적으로 의류가 매우 균일하게 건조되게 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가열 요소(7)의 사용 및 작동이 가능한 한 합리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에너지 사용량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상기 가열 수단(7)은 균일한 열 분포와 낮은 표면 온도를 보장할 수 있는 절연 엔벨로프(envelope) 또는 패키지에 매설되는 하나 이상의 전기 가열 요소 또는 저항기(12)를 포함하는 가열 매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가열 매트는 실리콘 고무, 네오프렌(neoprene) 또는 폴리아미드와 같은 탄성중합체 재료로 이루어진 엔벨로프에 배치되는 가요성 전기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타입의 폴리머 재료 또는 천연 고무까지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 유리하게는 가열 매트를 형성하기 위해 전도성 폴리머의 사용조차도 꾀할 수 있다.
가전제품은 이 가전제품의 워크탑(3) 상에 놓이는 의류를 건조할 수 있도록 상기 가열 매트를 통합한다.
워크탑(3)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 매트를 일체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워크탑(3)에는 가열 매트를 이 가열 매트의 작동 위치에 수용 및 지지하는 중앙 리세스 또는 시트(9)가 마련된다. 상기 작동 위치에서 가열 매트는 동일 워크탑의 둘레부와 동일 평면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워크탑(3)은 가열 매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 이 가열 매트를 수납하도록 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일종의 케이스(14)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케이스에는 사용자가 가열 매트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구멍(15)이 마련된다. 가열 매트 자체는 케이스(14)로부터 빼낼 수 있도록 활주 가능하게 워크탑(3)에 결합되고 워크탑(3)의 상부(16) 상에 활주 가능하게 놓인다. 유리하게는, 가열 매트는 워크탑(3)의 케이스에 마련되는 안내 수단과 맞물리도록 된 슬라이딩 힌지를 포함하여, 가열 매트를 워크탑(3)의 상부(16) 상에 적당히 위치 설정하도록 케이스(14)로부터 빼내어 회전시킬 수 있다. 가열 매트의 가열 요소(12)는 케이스(14)에 마련되는 연장 가능한 전원 케이블(17)에 접속될 수도 있고, 슬라이딩 수단 자체는 가열 매트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된 전원 단자와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가열 매트는 도 3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워크탑(3)에 결합된 코일링(coiling) 장치(18)에 의해 가전제품과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코일링 장치(18)는 워크탑(3)의 외측 에지(19) 상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열 매트는 - 가열 매트의 탄성 속성으로 인해 - 가열 매트가 코일링 장치(18) 둘레에 권취되는 제1 위치와 가열 매트가 워크탑(3) 상에 편평하게 놓이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하게 되도록 이 코일링 장치(18)에 착탈식으로 결합된다.
건조되는 의류의 수분 함량을 검출하는 전술한 센서 수단(8)은 이 경우에 더 이상 워크탑 내/상에 마련되지 않고, 오히려 가열 매트 자체 내/상에 마련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건조되는 의류와 접촉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된 가열 매트의 건조면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인접한 전도성 섹션 사이에서 측정되는 전기 전도 도 값을 검출하도록 된 전도도 측정 센서의 사용을 고려한다.
이러한 전도도 측정 센서와, 건조 과정을 자동으로 중단하는 사이클 종료 조건의 자동 결정과 관련된 전도도 측정 센서의 작동 모드는 워크탑의 전도도 측정 센서에 대하여 전술한 것과 거의 유사하다.
따라서, 전도도 측정 센서는 가열 매트의 건조면(9) 상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전기 접속 전도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건조되는 의류와 접촉하게 된다.
적절한 회로 수단을 통해, 전도도 측정 센서는 의류로부터 점진적으로 제거되는 수분, 즉 건조 과정 동안에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의류의 수분 함량에 의해 초래되는 다양한 전도성 요소 사이의 전기 전도도 값의 감소를 계속해서 검출 및 모니터링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가열 매트는 건조를 위해 가열 매트 상에 놓여 있는 의류의 수분 함량에 의해 생성되는 용량성 부하를 검출 및 측정하도록 된 용량성 센서 형태의 센서 수단(8)을 포함한다.
이러한 용량성 센서와, 건조 과정을 자동으로 중단하는 사이클 종료 조건의 자동 결정과 관련된 용량성 센서의 작동 모드는 워크탑에 적용되는 용량성 센서에 대하여 전술한 것과 거의 유사하다.
여하튼, 이러한 용량성 센서는 각각의 단일 전극(10)과 의류에 함유된 수분 간의 밀접한 용량성 커플링을 보장하도록 절연 엔벨로프 또는 가열 매트 패키지 내부에 마련되고, 건조되는 의류와 접촉하여 의류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가열 매트의 건조면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전극(10)에 접속되는 회로 수단(11)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가열 매트는 전기장 센서에 의해 생성된 전기장 내에 배치된 의류의 전도성 수분 함량의 변화에 의해 야기되는 전기장 부하를 검출하도록 된 전기장 센서 형태의 센서 수단(8)을 포함한다.
이러한 전기장 센서와, 건조 과정을 자동으로 중단하는 사이클 종료 조건의 자동 결정과 관련된 전기장 센서의 작동 모드는 워크탑에 적용되는 전기장 센서에 대하여 전술한 것과 거의 유사하다.
여하튼, 전기장 센서는 절연 엔벨로프 또는 가열 매트 패키지 내부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전극에 접속된 회로 수단을 포함한다. 그러한 회로 수단은 제1 전극에 AC 신호를 인가하고, 이 제1 전극으로부터의 전류 출력과 AC 커플링 전극에 접속된 다른 전극 세트의 전류 입력 양자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다. 의류는 AC 커플링 송신 전극에서부터 다른 수신 전극으로 연장되는 전기장 부분을 여전히 의류에 함유된 물의 양에 비례하게 차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가열 매트는 복수 개의 전기 가열 요소 또는 저항기를 포함하도록 계획될 수 있는데, 이러한 복수 개의 전기 가열 요소는 건조 사이클 동안에 센서 수단(8)에 의해 검출된, 이 가열 요소가 배치되는 의류의 상이한 구역 또는 영역에 존재하는 수분 함량에 응답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하다.
건조 사이클 동안에, 사실상 의류의 몇몇 부분이 의류의 다른 부분보다 빨리 건조되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 센서 수단,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량성 센 서와 전기장 센서는 - 전극을 통해 - 다른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수분 함량보다 수분 함량이 적은 것으로 검출되는 워크탑의 영역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어 수단은 낮은 수분 함량을 검출한 전극에 대응하는 부분에 놓여 있는 가열 요소의 전원을 끊을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 가열 요소에 대한 전원을 저감할 수도 있다. 이것은 실질적으로 의류가 매우 균일하게 건조되게 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가열 요소의 사용 및 작동이 가능한 한 합리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에너지 사용량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전 제품은 워크탑 상에 놓여 있는 건조되는 의류가 사용자에 의해 매번 선택되는 주어진 건조도에 도달하는 즉시, 가열 수단이 자동으로 꺼지게, 즉 전원이 끊기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의류 자체가 가열에 노출되는 위험을 완전히 방지한다. 이와 동시에, 이러한 수단은 정확히 선택된 건조도에 도달하는 것이 필요할 때만 전원이 공급되기 때문에 가열 수단의 에너지 사용량 프로파일이 현저히 개선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전제품의 다른 장점은, 반드시 의류가 적절한 방식으로 건조되고 불필요한 과열에 노출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건조되는 의류의 건조 상태를 더 이상 확인할 필요가 없다는 사실에서 비롯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가열 및 건조 수단은 물론 상부 투입구형 세탁 및/또는 건조 전자제품에도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2)
- 워크탑(3)이 마련되는 외부 케이스(2)와, 워크탑(worktop)(3) 상에 놓이는 의류를 건조하는 가열 수단(7)을 포함하는 의류 세탁 및/또는 의류 건조용 가전제품으로서,상기 워크탑(3) 또는 상기 가열 수단(7)은 상기 의류의 수분 함량을 검출하도록 된 센서 수단(8)을 포함하고, 이 센서 수단(8)에 의해 검출된 수분 함량에 응답하여 상기 가열 수단(7)을 작동시키는 제어 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수단(7)은 절연 엔벨로프(insulating envelope)에 매설되는 하나 이상의 전기 가열 요소(12)를 포함하는 가열 매트 형태로 마련되는 것인 가전제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수단(8)은, 워크탑(3) 또는 가열 매트 상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인접한 전도성 섹션 사이에서 측정되고 건조를 위해 워크탑(3) 또는 가열 매트 상에 놓이는 의류의 수분 함량에 의해 결정되는 전기 전도도 값을 검출하도록 된 전도도 측정 센서(conductimetric sensor)를 포함하는 것인 가전제품.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복수 개의 인접한 전도성 섹션 사이에서 측정되는 전기 전도도 값이 다양한 의류의 최종 건조도를 나타내는 예정된 한계값에 도달하거나, 이 예정된 한계값 미만으로 감소되었을 때 가열 요소(7)의 전원을 끊도록 되어 있는 것인 가전제품.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도 측정 센서는 건조되는 의류와 접촉하도록 워크탑(3) 또는 가열 매트 상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전기 접속 전도성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도 측정 센서는 회로 수단을 통해, 건조 과정이 완료를 향해 진행됨에 따라 의류로부터 점진적으로 제거되는 수분에 의해 야기되는 복수 개의 전도성 요소 사이의 전기 전도도 값의 변화를 계속해서 검출 및 모니터링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가전제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수단(8)은 건조를 위해 워크탑 또는 가열 매트 상에 놓여 있는 의류의 수분 함량에 의해 초래되는 용량성 부하(capacitive loading)를 검출 및 측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가전제품.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성 센서는 워크탑(3) 또는 가열 매트의 절연 엔벨로프에 결합되고 회로 수단(11)에 접속되는 복수 개의 전극(10)을 포함하여, 각각의 단일 전극과 건조를 위해 워크탑 또는 가열 매트 상에 놓여 있는 의류에 함유된 수분 간의 밀접한 용량성 커플링에 의해 결정되는 각각의 그러한 전극 상의 커패시 턴스 값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인 가전제품.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전극(10) 상에서 측정된 커패시턴스 값이 의류의 다른 최종 건조도를 나타내는 예정된 한계값에 도달한 것이나 이러한 예정된 한계값 미만으로 감소된 것이 감지되었을 때 가열 수단(7)의 전원을 끊도록 되어 있는 것인 가전제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수단(8)은 전기장 센서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장 내에 배치되는 의류의 전도성 수분 함량의 변화에 의해 야기되는 전기장 부하를 검출하도록 된 전기장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가전제품.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장 센서는 워크탑 또는 가열 매트의 절연 엔벨로프에 결합된 복수 개의 전극과, 제1 전극에 AC 신호를 인가하고 이 제1 전극으로부터의 전류 출력과 AC 커플링 전극에 접속된 다른 전극 세트의 전류 입력 양자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는 회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의류는 AC 커플링 송신 전극(AC-coupled sending electrode)에서 다른 수신 전극으로 연장되는 전기장 부분을 여전히 의류에 함유된 물의 양에 비례하게 차단하는 것인 가전제품.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전극 상에서 측정된 전류 값이 의류의 다른 최종 건조도를 나타내는 예정된 한계값에 도달한 것이나 이러한 예정된 한계 값 미만으로 감소된 것이 감지되었을 때 가열 수단(7)의 전원을 끊도록 되어 있는 것인 가전제품.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수단(7) 또는 상기 가열 매트는 센서 수단(8)에 의해 검출된, 가열 요소가 배치되는 의류의 상이한 구역 또는 영역에 건조 사이클 동안에 존재하는 수분 함량에 응답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한 복수 개의 전기 가열 요소 또는 저항기를 포함하는 것인 가전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06111357.7 | 2006-03-17 | ||
EP06111357A EP1835066B1 (en) | 2006-03-17 | 2006-03-17 | Household appliance for washing and/or drying cloth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3259A true KR20090003259A (ko) | 2009-01-09 |
Family
ID=36143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7023296A KR20090003259A (ko) | 2006-03-17 | 2007-03-06 | 의류 세탁 및/또는 의류 건조용 가전제품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1) | US8499472B2 (ko) |
EP (1) | EP1835066B1 (ko) |
KR (1) | KR20090003259A (ko) |
CN (1) | CN101405448B (ko) |
AT (1) | ATE403771T1 (ko) |
BR (1) | BRPI0708812B1 (ko) |
DE (1) | DE602006002107D1 (ko) |
ES (1) | ES2308655T3 (ko) |
MX (1) | MX2008011808A (ko) |
PL (1) | PL1835066T3 (ko) |
WO (1) | WO2007107237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5449A (ko) * | 2016-12-08 | 2018-06-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의류 건조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912224B1 (fr) * | 2007-02-02 | 2009-07-24 | Atlantic Ind Soc Par Actions S | Dispositif de detection et de commande pour appareil de chauffage |
CN102489455B (zh) * | 2011-12-08 | 2014-10-22 | 深圳市辰尔技术有限公司 | 不良品电容屏的剥胶方法以及该方法使用的设备 |
US9441884B2 (en) * | 2012-05-10 | 2016-09-13 | Norgren Automation Solutions, Llc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rying wet floors |
US20140317954A1 (en) * | 2012-05-10 | 2014-10-30 | Norgren Automation Solutions, Llc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rying wet floors |
US9541330B2 (en) | 2013-07-17 | 2017-01-10 | Whirlpool Corporation | Method for drying articles |
US20160186373A1 (en) * | 2013-07-31 | 2016-06-30 | Arcelik Anonim Sirketi | Laundry dryer comprising a lint filter |
US20150047218A1 (en) | 2013-08-14 | 2015-02-19 | Whirlpool Corporation | Appliance for drying articles |
US9784499B2 (en) * | 2013-08-23 | 2017-10-10 | Whirlpool Corporation | Appliance for drying articles |
US9410282B2 (en) | 2013-10-02 | 2016-08-09 | Whirlpool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articles |
US9645182B2 (en) | 2013-10-16 | 2017-05-09 | Whirlpool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 energized E-field |
US9546817B2 (en) | 2013-12-09 | 2017-01-17 | Whirlpool Corporation | Method for drying articles |
CN105671858B (zh) * | 2015-01-04 | 2018-02-23 |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 一种滚筒洗衣机的控制方法和滚筒洗衣机 |
US9605899B2 (en) | 2015-03-23 | 2017-03-28 | Whirlpool Corporation | Apparatus for drying articles |
CN115429143A (zh) * | 2021-06-04 | 2022-12-06 | 深圳绿米联创科技有限公司 | 一种织物干湿检测模块、织物干燥系统、方法和织物架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1140786A (fr) * | 1955-02-04 | 1957-08-13 | Dispositif électrotechnique pour sécher le linge | |
FR2613735A1 (fr) * | 1987-04-08 | 1988-10-14 | Aaa Telec | Appareil de chauffage et de sechage de linge, notamment de vetements |
US5220813A (en) * | 1988-06-13 | 1993-06-22 | Chen Haw Renn | Unified washing-drying machine |
US5023433A (en) * | 1989-05-25 | 1991-06-11 | Gordon Richard A | Electrical heating unit |
JP3600106B2 (ja) * | 2000-03-01 | 2004-12-08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衣類乾燥機 |
US20040035853A1 (en) * | 2002-08-26 | 2004-02-26 | Aaron Pais | Heating mat |
US6784673B2 (en) * | 2002-09-13 | 2004-08-31 | Whirlpool Corporation | Condition sensor for a dryer |
DE10259346A1 (de) * | 2002-12-18 | 2004-07-08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Vorrichtung zum Trocknen von Wäschestücken in Verbindung mit einem Kondensations-Haushaltswäschetrockner |
US7451657B2 (en) * | 2004-01-16 | 2008-11-18 | Jentek Sensors, Inc. | Material condition monitoring with multiple sensing modes |
ES2555309T3 (es) * | 2004-07-06 | 2015-12-30 | Maricare Oy | Producto sensor para la detección de campo eléctrico |
KR20070026921A (ko) * | 2005-08-27 | 2007-03-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건조 장치의 건조방법 |
JP4539614B2 (ja) * | 2006-02-07 | 2010-09-08 | 株式会社デンソー | 乗員検知システム |
-
2006
- 2006-03-17 DE DE602006002107T patent/DE602006002107D1/de active Active
- 2006-03-17 AT AT06111357T patent/ATE403771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03-17 EP EP06111357A patent/EP1835066B1/en active Active
- 2006-03-17 PL PL06111357T patent/PL1835066T3/pl unknown
- 2006-03-17 ES ES06111357T patent/ES2308655T3/es active Active
-
2007
- 2007-03-03 BR BRPI0708812-4A patent/BRPI0708812B1/pt active IP Right Grant
- 2007-03-06 US US12/282,705 patent/US8499472B2/en active Active
- 2007-03-06 KR KR1020087023296A patent/KR2009000325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7-03-06 WO PCT/EP2007/001901 patent/WO200710723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7-03-06 CN CN200780009532XA patent/CN101405448B/zh active Active
- 2007-03-06 MX MX2008011808A patent/MX2008011808A/es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5449A (ko) * | 2016-12-08 | 2018-06-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의류 건조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835066B1 (en) | 2008-08-06 |
CN101405448A (zh) | 2009-04-08 |
US8499472B2 (en) | 2013-08-06 |
BRPI0708812B1 (pt) | 2017-10-10 |
ES2308655T3 (es) | 2008-12-01 |
EP1835066A1 (en) | 2007-09-19 |
MX2008011808A (es) | 2008-10-02 |
US20090119945A1 (en) | 2009-05-14 |
WO2007107237A1 (en) | 2007-09-27 |
BRPI0708812A2 (pt) | 2011-06-14 |
CN101405448B (zh) | 2011-12-14 |
ATE403771T1 (de) | 2008-08-15 |
DE602006002107D1 (de) | 2008-09-18 |
PL1835066T3 (pl) | 2009-0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90003259A (ko) | 의류 세탁 및/또는 의류 건조용 가전제품 | |
US8112902B2 (en) | Method for determining the load quantity in a spin dryer and spin dryer | |
CN101501266B (zh) | 用于干燥湿衣物的方法和家用电器 | |
US6784673B2 (en) | Condition sensor for a dryer | |
KR100494575B1 (ko) | 습도센서를 이용한 건조 장치 및 방법 | |
AU2012274075B2 (en) | A method of controlling a rotatable-drum laundry dryer and a rotatable-drum laundry dryer implementing the method | |
KR20180045323A (ko)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KR100747589B1 (ko) | 건조기의 제어회로 및 그 행정 제어방법 | |
KR100499525B1 (ko) | 의류건조기의 건조도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기제어방법 | |
KR100651864B1 (ko) | 자동 건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
EP0060698B1 (en)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umble dryers | |
JP2014018608A (ja) | 衣類乾燥機 | |
JP5957685B2 (ja) | ドラム式乾燥機 | |
CN220224686U (zh) | 烘干设备 | |
WO2007077113A1 (en) | A washer/ dryer | |
EP1736761B1 (en) | Dryer with a humidity sensor | |
KR100459188B1 (ko) | 의류건조기의 건조도 감지 구조 | |
US20100218396A1 (en) | Method for determining the switch-off moment of a care process | |
EP3842587A1 (en) | Laundry drying machine | |
KR101181771B1 (ko) | 의류건조기 및 그의 제어방법 | |
CN118621529A (zh) | 衣物处理设备、衣物湿度检测方法及衣物烘干检测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8092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