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4606A - 점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점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4606A
KR20080114606A KR1020080060793A KR20080060793A KR20080114606A KR 20080114606 A KR20080114606 A KR 20080114606A KR 1020080060793 A KR1020080060793 A KR 1020080060793A KR 20080060793 A KR20080060793 A KR 20080060793A KR 20080114606 A KR20080114606 A KR 20080114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adhesive
double
skin
rema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0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6406B1 (ko
Inventor
후미오 나이토
가즈유키 츠치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Publication of KR20080114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4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7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using adhesives, suction or magnetism
    • A47G1/175Stretch releasing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잡아뗌에 따라 훅 등의 피부착물이 튕겨나가지 않는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1)의 어느 한쪽 끝에 양면 점착 테이프(1)를 잡아뗄 때에 잡게 되는 파지부(11)를 설치하고, 어느 다른쪽 끝에 2개의 절단선(5a, 5b)을 인장방향의 중심선(L)을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으로 설치한다.

Description

점착 테이프 {ADHESIVE TAPE}
본 발명은, 벽면 등의 피부착면을 따라 평행하게 잡아당겨 떼어내는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훅 등의 피부착물을 벽면에서 안전하게 떼어낼 수 있는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벽지를 손상하지 않고 포스터나 훅 등을 벽에 붙이는 방법의 하나로 점착 테이프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국 특개2006-169389호 공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란, 고무 탄성을 가지는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양면 점착 테이프로, 점착 테이프를 벽면을 따라 평행하게 잡아당김으로써, 기재가 탄성 변형하면서 서서히 떨어져, 벽면을 더럽히거나 하지 않고 깨끗하게 떼어낼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한편, 기재가 탄성 변형하면서 떨어지기 때문에, 떨어지기 직전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거의 최대한으로 늘어나 있고, 떨어진 순간에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로 돌아가려고 한다. 따라서, 양면 점착 테이프가 부착된 훅이,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바로 옆쪽을 향하여 기세 좋게 날아와, 손가락에 맞아, 손가락을 다치게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에서는, 양면 점착 테이프의 일부에 비스듬한 절단선을 넣음으로써, 양면 점착 테이프를 잡아당겼을 때에, 절단선에 의하여 잡아떼는 방향이 비스듬하게 바뀌기 때문에, 훅이 손가락을 향하여 튕겨나가지 않도록 연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문헌 1에서도, 바로 옆쪽은 아니지만 양면 점착 테이프가 벗겨져 떨어짐과 동시에 훅이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튕겨나가는 것에는 변함이 없고, 튕겨나간 훅이 책상 밑 등에 들어가거나 하여 번거로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점착 테이프를 잡아뗌에 따라 훅 등의 피부착물이 튕겨나가는 일이 없는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몇 가지 특징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은, 고무 탄성을 가지는 테이프 기재(其材)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벽면 등의 피부착면에 대하여 매달음기구 등의 피부착물을 붙이는 양면 점착 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를 상기 피부착면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점착제층의 점착력이 약해져, 상기 피부착면으로부터 잡아떼어지는 점착 테이프에서,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의 한쪽 끝 측에는,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를 잡아뗄 때에 잡게 되는 파지부가 설치되어 있고, 다른쪽 끝 측에는, 제 1 및 제 2의 2개의 절단선이 인장(引張)방향의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좌우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더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제 1 절단선은, 서로 대향하는 한쪽의 모서리부로부터 상기 중심선을 향하여 노치되고, 상기 제 2 절단선은, 다른쪽의 모서리부로부터 상기 중심선을 향하여 노치되어 있다.
또 다른 형태로서, 상기 각 절단선은, 상기 중심선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져 있다.
또한 다른 형태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절단선의 끝부끼리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
또,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를 떼었을 때, 상기 피부착면과 피부착물과의 사이에는, 상기 절단선을 따라 절단된 상기 점착 테이프의 잔부가 남고, 상기 잔부를 거쳐 상기 피부착물이 상기 피부착면에 지지된다.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상기 잔부는,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의 체적의 3 내지 12%가 남겨진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잔부는, 사다리꼴 형상이다. 또, 상기 잔부는, 소성 변형에 의하여 변형 전의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점착력보다도 점착력이 약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점착 테이프의 모서리부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2개의 절단선을 만들어 둠으로써, 양면 점착 테이프를 잡아떼어갔을 때에, 각 절단선의 선단으로부터 테이프가 파단(破斷)되어, 사다리꼴 형상의 잔부가 피부착물과 벽면과의 사이에 남고, 잔부에 의하여 피부착물이 유지되기 때문에, 튕겨나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점착 테이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그 요부단면도이며, 도 3a, 도 3b는, 점착 테이프의 절단선의 확대평면도이다.
이 점착 테이프(1)는, 예를 들면 고무 등의 고탄성 특성을 가지는 테이프 기재(2)의 양면에 점착제층(3)을 형성한 양면 점착 테이프로 이루어진다. 점착제층(3, 3)의 표면에는, 미사용한 점착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시트(4, 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보호시트(4, 4)는 임의적 사항이다.
테이프 기재(2)는, 이 예에서, 두께가 600 ㎛인 폴리에틸렌제의 발포체 시트를 세로 62 ㎜ × 가로 18.5 ㎜인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 예에서, 테이프 기재(2)는, 폴리에틸렌제 수지의 발포체 시트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것 이외에, 고무 탄성을 가지고 연장 박리성이 얻어지는 기재이면, 그 재질은 임의이다. 또, 사이즈도 사양에 따라 임의이어도 된다.
점착제층(3, 3)은 모두 동일 구성이고, 이 예에서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소정 두께로 동일하게 도포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점착제층(3)은, 점착제층(3)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1)의 두께 1.5 mm 이하이면 되고, 점착제층(3)을 구성하는 점착제는, 피부착물이나 벽면의 사양에 따라, 임의로 선택되어도 된다.
점착 테이프(1)의 한쪽 끝(도 1에서는 왼쪽 끝)에는, 점착 테이프(1)를 떼어낼 때에, 점착 테이프(1)를 손으로 잡기 위한 파지부(11, 11)가 설치되어 있다. 파지부(11, 11)는, 합성수지제의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한쪽의 면이 각 점착제층(3, 3)을 따라 접착되어 있다. 파지부(11, 1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임의이다. 또한, 파지부(11, 11)를 설치하지 않고, 파지부(11, 11)에 상당하는 점착 테이프(1)의 점착제층(3, 3)의 일부를 약하게 하여 파지부(11, 11)로 하여도 된다.
점착 테이프(1)의 다른쪽 끝(도 1에서는 오른쪽 끝)에는, 점착 테이프(1)를 잡아뗄 때에 점착 테이프(1)의 일부를 피부착면(도 4의 W)과 피부착부[도 4의 훅(F)]와의 사이에 남기기 위한 절단선(5)이 설치되어 있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선(5)은, 점착 테이프(1)의 서로 대향하는 한쪽의 모서리부(12a)로부터 중심선(L)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노치된 제 1 절단선(5a)과, 다른쪽의 모서리부(12b)로부터 중심선(L)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노치된 제 2 절단선(5b)을 가지고, 그것들이 인장방향의 중심선(L)을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 1 절단선(5a) 및 제 2 절단선(5b)은, 점착 테이프(1)의 두께방향을 따라 잘라내진 잘라냄 슬릿으로 이루어지고, 각 절단선(5a, 5b)의 선단끼리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이 예에서, 각 절단선(5a, 5b)은, 잘라냄 슬릿이나,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절단선(5a, 5b)의 끝부끼리를 연결하지 않은 점선(5c)을 만들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점착 테이프(1)의 사용시, 즉 벽면(W)에 붙어있을 때는, 각 절단선(5a, 5b)의 끝부끼리를 연결하지 않음으로써, 훅(F)에 걸리는 매달리는 힘을 점착 테이프(1)의 전면에서 받을 수 있다.
이 예에서, 각 절단선(5a, 5b)은, 점착 테이프(1)의 두께방향으로 뚫어져 있으나, 점선이나 하프블랭킹(half blanking) 홈이어도 되고, 연장시에 절단선(5a, 5b)을 따라, 인장 응력을 집중시켜, 분리할 수 있으면, 그 형상은 임의이다.
각 절단선(5a, 5b)은, 점착 테이프(1)를 때었을 때에, 벽면(W)과 훅(F)과의 사이에 점착 테이프(1)의 체적의 3 내지 12%의 잔부가 남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절단선(5a, 5b)은, 기단(基端)으로부터 선단에 이르기까지의 인장방향의 길이(A)가 3 내지 6 mm이고, 또한, 각 절단선(5a, 5b)의 선단의 간격(B)이 0.3 내지 4 mm 이하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잡아떼었을 때에,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사다리꼴 형상의 잔부(2a)가 벽면(W)과 훅(F)과의 사이에 남는다.
또, 점착 테이프(1)를 분리한 후는, 잔부(2a)에 의하여 훅(F)이 최후까지 벽면(W)에 유지됨으로써, 잡아뗄 때에 훅(F)이 바로 옆으로 튕겨나가는 경우도 없다. 또, 훅(F)을 떼어내는 것도 작은 힘으로 간단히 할 수 있다. 잔부(2a)는, 점착 테이프(1)의 연장시에 의해 소성 변형에 의하여 탄성력이 약해져 있고, 통상시보다도 간단하게 떼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1)의 사용 순서의 일례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1)의 양면에 설치된 보호시트(4, 4)의 한쪽을 떼어낸 후, 점착면(3)을 훅(F)의 피부착면을 따라 붙인다.
다음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머지 보호시트(4)를 떼어내어, 노출한 점착면(3)을 벽면(W)에 붙인다. 이에 따라, 훅(F)이 점착 테이프(1)를 거쳐 벽면(W)을 따라 유지된다. 이 때, 훅(F)의 하단에 점착 테이프(1)의 파지부(11)가 노출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훅(F)을 벽면(W)에서 떼어낼 때에는, 먼저, 도 4 및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 손으로 훅(F)의 하단에서 점착 테이프(1)의 파지부(11)를 잡고, 다른쪽 손으로 훅(F)을 가볍게 누른다.
다음에, 파지부(11)를 벽면(W)을 따라 아래를 향하여 잡아당긴다. 이에 따라,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1)는, 잘록해지도록 아래를 향하여 탄성 변형하면서 늘어남과 동시에, 각 절단선(3a, 3b)으로 퍼져, 각 절단선(3a, 3b)이 분리되어 간다.
또한, 떼어내어가면,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1)의 상단은, 각 절단선(5a, 5b)의 선단측에 응력이 집중하여, 선단 부분이 매우 잘록해져 간다. 제일 마지막으로, 도 5d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절단선(5a, 5b)의 선단으로 응력이 집중하여, 점착 테이프(1)는 분단된다.
이에 따라,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1)의 본체는, 훅(F)과 벽면(W)의 사이로부터 빠짐과 동시에, 훅(F)은, 잔부(2a)에 의하여 유지되기 때문에, 점착 테이프(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훅(F)이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벽면(W)에 남겨진 훅(F)을 도 6a의 좌우 화살표 방향이나 도 6b의 자기 앞쪽 화살표 방향으로 가볍게 잡아당김으로써, 작은 힘으로 훅(F)을 떼어낼 수 있다. 제일 마지막으로, 피부착면상에 남은 잔부(2a)를 손으로 떼어냄으로써, 완전히 점착 테이프(1)가 제거된다.
이 예에서, 각 절단선(5a, 5b)은, 점착 테이프(1)의 모서리부(12a, 12b)에서 중심 방향을 향하여 노치되어 있으나, 잔부(2a)를 형성 가능하면 되기 때문에, 그 노치 개시 위치는, 사양에 따라 임의이다. 즉,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1)의 서로 대향하는 주변의 일부로부터 중심선(L)을 향하여 절단선(5a, 5b)을 노치하여도 된다.
또, 각 절단선(5a, 5b)은, 중심선(L)을 사이에 두고 서로 좌우로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즉, 본 예와 같이 직선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호형상의 곡선 등이어도 되며, 그 형상은 임의이다. 또, 본 예에서는 각 절단선(5a, 5b)은 중심선(L)을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이지만, 비대칭이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점착 테이프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상기 점착 테이프의 요부단면도,
도 3a는, 점착 테이프의 절단선의 확대정면도,
도 3b는, 점착 테이프의 절단선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확대정면도,
도 4는, 훅을 점착 테이프를 거쳐 벽면에 설치한 상태의 모식도,
도 5a는, 점착 테이프의 박리 순서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5b는, 점착 테이프의 박리 순서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5c는, 점착 테이프의 박리 순서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5d는, 점착 테이프의 박리 순서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6a는, 훅부에 잔부가 남은 상태의 정면도,
도 6b는, 훅부에 잔부가 남은 상태의 측면도,
도 7a는, 절단선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b는, 절단선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Claims (8)

  1. 고무 탄성을 가지는 테이프 기재(基材)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벽면 등의 피부착면에 대하여 매달음기구 등의 피부착물을 붙이는 양면 점착 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를 상기 피부착면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점착제층의 점착력이 약해져, 상기 피부착면으로부터 떨어지는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의 한쪽 끝 측에는,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를 잡아뗄 때에 잡게 되는 파지부가 설치되어 있고, 다른쪽 끝 측에는, 제 1 및 제 2의 2개의 절단선이 인장방향의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좌우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단선은, 서로 대향하는 한쪽의 모서리부로부터 상기 중심선을 향하여 노치되고, 상기 제 2 절단선은, 다른쪽의 모서리부로부터 상기 중심선을 향하여 노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절단선은, 상기 중심선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절단선의 끝부끼리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를 떼었을 때, 상기 피부착면과 피부착물과의 사이에는, 상기 절단선을 따라 절단된 상기 점착 테이프의 잔부가 남고, 상기 잔부를 거쳐 상기 피부착물이 상기 피부착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잔부는,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의 체적의 3 내지 12%가 남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잔부는, 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잔부는, 소성 변형에 의하여 변형 전의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점착력보다도 점착력이 약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KR20080060793A 2007-06-27 2008-06-26 점착 테이프 KR1014964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68490A JP5129994B2 (ja) 2007-06-27 2007-06-27 延伸剥離テープ
JPJP-P-2007-00168490 2007-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4606A true KR20080114606A (ko) 2008-12-31
KR101496406B1 KR101496406B1 (ko) 2015-02-26

Family

ID=40306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60793A KR101496406B1 (ko) 2007-06-27 2008-06-26 점착 테이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129994B2 (ko)
KR (1) KR101496406B1 (ko)
CN (1) CN101353557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301A (ko) 2017-01-05 2017-01-17 주식회사 잉크테크 전자파 차폐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자파 차폐필름
KR20190008008A (ko) * 2017-07-14 2019-01-23 윤일구 중공탄성체를 이용한 연신가능한 쿠션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26266A (ko) 2019-10-30 2019-11-11 주식회사 잉크테크 전자파 차폐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자파 차폐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523B1 (ko) 2009-04-21 2016-02-15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
KR101593520B1 (ko) 2009-04-21 2016-02-15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 및 상기 점착 테이프의 박리방법
CN101880510B (zh) * 2009-05-08 2015-02-04 尼托母斯股份有限公司 可剥离的粘接带
CN101880509A (zh) * 2009-05-08 2010-11-10 尼托母斯股份有限公司 可剥离的粘接带及该粘接带的剥离方法
CN101880511B (zh) * 2009-05-08 2015-08-26 尼托母斯股份有限公司 可剥离的粘接带
JP5263113B2 (ja) 2009-10-07 2013-08-14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JP5218367B2 (ja) 2009-10-07 2013-06-26 富士通株式会社 ケーブル配線構造および電子機器
US8708305B2 (en) * 2010-08-04 2014-04-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ly mounted article support assembly with exposed pull tab
CN103122222B (zh) * 2013-01-29 2015-05-13 冯锦祥 滴灌带接头快捷粘接贴
WO2021137135A1 (en) * 2019-12-31 2021-07-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retch-release adhesive articles with a pattern of slit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2534A (en) * 1998-08-31 2000-12-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retch release adhesive article with secondary release member
JP2005082657A (ja) * 2003-09-05 2005-03-31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再剥離性接着テープ
JP2006130085A (ja) * 2004-11-05 2006-05-25 Nitto Denko Corp 貼付製剤
JP4961108B2 (ja) * 2004-12-16 2012-06-27 株式会社ニトムズ 延伸剥離テープ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301A (ko) 2017-01-05 2017-01-17 주식회사 잉크테크 전자파 차폐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자파 차폐필름
KR20190008008A (ko) * 2017-07-14 2019-01-23 윤일구 중공탄성체를 이용한 연신가능한 쿠션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26266A (ko) 2019-10-30 2019-11-11 주식회사 잉크테크 전자파 차폐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자파 차폐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53557A (zh) 2009-01-28
KR101496406B1 (ko) 2015-02-26
CN101353557B (zh) 2013-05-29
JP5129994B2 (ja) 2013-01-30
JP2009007428A (ja)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14606A (ko) 점착 테이프
KR100381055B1 (ko) 쌍꺼풀 형성용 테이프 또는 실, 및 그 제조방법
US7276272B2 (en) Stretch releasing adhesive article for fragile surfaces
JP4912635B2 (ja) 貼着部材および光学部品の貼着方法
JP3678327B2 (ja) つまみ補助の付いた、再剥離可能な、自動粘着装置
JP2006206782A (ja) 平面ディスプレイ貼付用機能性フィルム及びその貼付方法
EP1979429A1 (en) Article support structure and article attachment kit
JP4622545B2 (ja) 貼付用機能性フィルム
JP4426750B2 (ja) 吊下具
JP2006181349A (ja) 付け爪粘着用シート
JP5255871B2 (ja) 剥離可能な粘着テープ
JP4961108B2 (ja) 延伸剥離テープ
JP5238346B2 (ja) 剥離可能な粘着テープ
JP5238308B2 (ja) 剥離可能な粘着テープ
JP3712710B2 (ja) ゴム製両面粘着テープ
CN211595479U (zh) 拉伸剥离的粘合带及应用了该粘合带的物品悬挂装置
KR101539443B1 (ko) 테이프 분리장치
CN212025237U (zh) 粘合带及应用了该粘合带的物品悬挂装置
CN101880510B (zh) 可剥离的粘接带
JP3124049U (ja) 両面接着シート部材
AU2007209867B2 (en) Article support structure and article attachment kit
KR20180002979U (ko) 떼내기 쉽고 흔적이 남지 않는 투명 또는 일반 테이프와 결합된 양면 테이프
KR20100115918A (ko)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 및 상기 점착 테이프의 박리방법
JP2019086714A (ja) ラベルシート
KR20100115882A (ko)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