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4577A - 배선판 및 이에 사용되는 버스바 세그먼트 - Google Patents

배선판 및 이에 사용되는 버스바 세그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4577A
KR20080114577A KR1020080060024A KR20080060024A KR20080114577A KR 20080114577 A KR20080114577 A KR 20080114577A KR 1020080060024 A KR1020080060024 A KR 1020080060024A KR 20080060024 A KR20080060024 A KR 20080060024A KR 20080114577 A KR20080114577 A KR 20080114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bar
corner
wiring board
segments
stra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0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사시 소가
준지 가와고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티안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티안티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티안티
Publication of KR20080114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45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2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by affixing prefabricated conductor pattern
    • H05K3/20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by affixing prefabricated conductor pattern using self-supporting metal foil patter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03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by bonding or embedding conductive wires or stri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5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abutting or pinching, i.e. without alloying process; mechanical auxiliary parts therefor
    • H05K3/32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abutting or pinching, i.e. without alloying process; mechanical auxiliary parts therefor the printed circuit having integral resilient or deformable parts, e.g. tabs or parts of flexible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2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components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e.g. insert mounted components [IMC]
    • H05K1/184Components including terminals inserted in holes through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connected to printed contacts on the walls of the holes or at the edges thereof or protruding over or into the ho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3Conductive materials
    • H05K2201/0332Structure of the conductor
    • H05K2201/0388Other aspects of conductors
    • H05K2201/0397Tab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063Holes or slots in insulating substrate not used for electric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818Shape or layout detail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5K2201/09009 - H05K2201/09809
    • H05K2201/09827Tapered, e.g. tapered hole, via or groov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13Lamp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272Busbars, i.e. thick metal bars mounted on the PCB as high-current condu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28Thin metal strips as connectors or condu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431Details of mounted components
    • H05K2201/1059Connections made by press-fit inser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20Details of printed circuits not provided for in H05K2201/01 - H05K2201/10
    • H05K2201/2027Guiding means, e.g. for guiding flexible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tallurgy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전기회로가 형성된 배선판이 제공되며, 여기서 상기 전기회로는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형성되고, 상기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 각각은 대향단부에서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배선판은 각각의 접촉부를 전기접촉시키기 위한 수단을 가진다.
Figure P1020080060024
배선판, 전기회로, 버스바, 접촉부, 실내등, 점등시스템.

Description

배선판 및 이에 사용되는 버스바 세그먼트{Wiring board and bus bar segments to be used therefor}
본 발명은 배선판에 사용되기 위한 버스바 세그먼트(bus bar segment)로서 구성된 전기회로가 형성된 배선판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표준 버스바 세그먼트는 예를 들어 자동차 실내등 시스템을 위한 하우징의 뒷면에 있는 배선판에서 각각의 버스바 세그먼트의 접촉부와 전기접속하도록 형성된 회로패턴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된다.
하나의 램프형의 자동차 실내등의 종래 회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에서 램프의 온-오프 제어를 위한 하우징으로서 배선판의 뒷면에 있는 홈으로 삽입된 다수의 버스바로서 구성되어 있다. 회로는 직류 전원 B(이하 단순히 '전원' 이라고 함), 도어가 열릴 때 켜지도록 구성된 도어스위치 DSW, 운전자에 의해 작동되는 푸시 스위치 또는 슬라이드 스위치와 같은 스위치 SW, 및 자동차 실내등의 램프 L로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회로에서, 가동접점이 도면에 도시된 위치를 취할 때, 램프 L이 도어스위치 DSW의 온-오프 위치에 관계없이 켜진다. 한편, 운전자가 가동접점이 대향한 고정 접점쪽으로 전환되도록 스위치 SW를 조작할 때, 도어의 개방에 의해 도어스위치 DSW가 온 위치를 취하며 램프 L이 켜진다.
다음에 배선판 H를 위한 버스바를 사용하는 그러한 자동차 실내등에서의 회로의 한 실예가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이것과 관련하여 주목해야 할 것은, 상기 회로의 유사한 부재에는 유사한 도면부호가 사용되므로 그들의 설명은 생략될 것이라는 점이다.
부호 C는 도어스위치 DSW 및 버스바를 연결하기 위해 하우징에 고정된 커넥터를 지칭하고, 한편 부호 LH는 램프 L를 하우징에 유지하기 위한 한 쌍의 램프홀더를 지칭한다. 다음에, 커넥터 C, 램프홀더 LH, 및 스위치 SW를 연결하기 위한 버스바가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구성된다.
특히, 버스바는 커넥터 C의 단자들 중 제1단자와 램프홀더 LH들 중 제1램프홀더를 연결하기 위한 버스바 B1, 제2단자와 스위치 SW의 고정접점들 중 제1고정접점을 연결하기 위한 버스바 B2, 제3단자와 스위치 SW의 제2고정접점을 연결하기 위한 버스바 B3, 및 제2램프홀더 LH와 스위치 SW의 가동접점을 연결하기 위한 버스바 B4를 포함한다. 각각의 버스바는 배선판 H에 형성된 홈내에 삽입된다.
4개의 버스바(B1 내지 B4)에 장착된 상기 배선판 H에서, 상기 버스바는 커넥터 C와 램프 L의 램프홀더 LH와 스위치 SW 사이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여러 가지 형상(많은 굴곡부와 같은)을 구비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그 결과, 펀칭 또는 블랭킹(blanking)에 의해 버스바를 제작한 후 다량의 폐기물이 남게 되고 따라서 재료 원가를 상승시킨다.
또한, 배선판 H에 복잡한 형상을 갖는 버스바를 장착하면, 배선판 H의 홈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버스바를 고정하기 위해 자동화 압력끼워맞춤을 실행하기 전에, 많은 수작업으로 하나씩 배선판에 버스바를 장착해야 할 정도로 자동화하기가 어렵게 된다. 또한, 2램프형 자동차 실내등 점등시스템에서 관찰된 바와 같이 복잡한 회로구성은 수작업을 필요로 하는 버스바의 개수의 증가를 가속화시키며 그 결과 자동차 실내등 점등시스템의 하나의 단위체의 제작은 장기간의 노동시간 때문에 더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한다.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 공개특허공보 H5-207627호에 공개된 바와 같은 발명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서는, 회로네트웍을 구성하는 버스바가 한번에 일체 시트의 형태로 펀칭되고, 여기서 버스바가 접속부를 통해 연결되고 따라서 펀칭된 일체형 버스바가 자동적으로 압력끼워맞춤되기 전에 배선판에 수동으로 장착되어 절단되며 접속부에서 분리되어 필요한 회로네트웍을 형성하게 된다.
도 16은 종래 기술을 사용하여 도 14에 도시된 회로를 완성하는 버스바를 도시한다. 유사한 도면부호는 유사한 부재를 지칭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각각의 버스바(B1 내지 B4)는 컷 마크 K를 각각 가지는 4개의 접속부 K에 의해 연결된 통합된 버스바를 한번에 펀칭가공함으로써 제작된다. 이와 관련하여 주의해야 할 것은, 이 실시예가 4개의 접속부에 의해 연결된 4개의 버스바(B1 내지 B4)를 공개하고 있지만, 상기 버스바가 4개의 접속부에 의해 연결되는 경우에 버스바의 일어남직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더 많은 접속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양호하다는 것이다. 더구나, 상기 배선판 H는 내측에 홀 H1을 형성하고 있어서 컷 마크 K1에서 절단을 용이하게 하며 구부러진 접속부를 수용하기가 용이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체형 버스바는 수작업으로 배선판 H의 홈 내에 임시로 삽입된 후에, 버스바는 일체형 4 버스바의 홈 내로 자동화 압력끼워맞춤을 겪게 되고, 또한 각각의 버스바(B1 내지 B4)가 홈 내에 압력끼워맞춤되고 접속부 K가 홀 H1 내로 강제삽입됨으로써 고정상태를 보장하기 위해 접속부 K가 구부러져 홀 H1 내로 강제삽입되어 있는 동안에, 4개의 회로를 구성하는 독립된 4 버스바를 형성하도록 한번에 모든 절단/벤딩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펀칭 또는 블랭킹에 의해 버스바를 제작하게 되어 다량의 폐기물이 남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상기 통합된 버스바를 사용하는 배선판 H가 수작업에 의해 배선판 H에 개별적으로 적재되는 독립된 버스바에 비하여 제조시간의 감소에 기여할 수 있지만, 그러한 통합된 버스바는 필수적으로 판금 재료로부터 동일한 버스바를 펀칭하는 시간을 만들어서 재료 원가를 증가시킨다. 더구나, 복잡한 회로구성은 통합된 버스바의 다수 세트가 배선판 H에 적재되는 시간에 서로 방해가 되므로 성가신 분류작업을 하게 만든다. 통합된 버스바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러한 버스바가 조작자에게 공급되기 전에 상기 버스바를 박스로 정돈할 것을 제안하고 있지만 그러한 조치도 역시 추가의 노동력을 필요로 한다. 또한, 심지어 더 복잡한 회로구성은 통합된 버스바의 디자인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의 제조가 평평한 전기전도성 금속판 재료로부터 펀칭될 때 폐기물을 만들어내지 않도록 표준 길이 및 둘레를 갖는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를 연속적인 행렬(serial train)로 제조함으로써 폐기물을 줄이고 재료 원가를 절감하는 것이다. 또한 표준 코너(coner) 세그먼트를 개재시킴으로써 더욱 복잡한 회로구성의 버스바 세그먼트를 사용하는 배선판이 제공되는 동안에 상기 표준 세그먼트를 연속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어떤 회로 디자인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기회로는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형성되고, 상기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 각각은 대향단부에서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배선판은 각각의 접촉부를 전기접촉시키기 위한 수단을 가지는, 청구범위 제1항에 청구한 바와 같은 수단을 합체함으로써 전기회로에 기초한 회로구성을 갖는 배선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회로는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형성되고, 상기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 각각은 대향단부에서 직각으로 구부러진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배선판은 각각의 접촉부를 전기접촉시키기 위해 각각의 접촉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삽입구멍을 가지는, 청구범위 제2항에 청구한 바와 같은 수단을 합체함으로써 전기회로를 형성하고 있는 배선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회로는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와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형성되고, 상기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와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 각각은 대향단부에서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배선판은 각각의 접촉부를 전기접촉시키기 위해 각각의 접촉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삽입코너구멍을 가지는, 청구범위 제3항에 청구한 바와 같은 수단을 합체함으로써 전기회로를 형성하고 있는 배선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는 L 형상이고, 각각의 대향단부에서 상기 삽입코너구멍으로 수용되기 위한 접촉부를 가지는, 청구범위 제4항에 청구한 바와 같은 배선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는 T 형상이고, 각각의 대향단부에서 상기 삽입코너구멍으로 수용되기 위한 접촉부를 가지는, 청구범위 제5항에 청구한 바와 같은 배선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는 십자 형상이고, 각각의 대향단부에서 상기 삽입코너구멍으로 수용되기 위한 접촉부를 가지는, 청구범위 제6항에 청구한 바와 같은 배선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는 4 측면을 갖는 정사각형 상부면을 가지고, 상기 4측면중 적어도 2측면은 상기 삽입코너구멍으로 수용되기 위해 측면에서 연장한 접촉부를 형성하고 있는, 청구범위 제7항에 청구한 바와 같은 배선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는 배선판에 형성된 상기 삽입코너구 멍으로 수용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접촉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삽입코너구멍 각각은 코너 형태를 만들기 위해 직각으로 연장하도록 하나로 조립되는 적어도 2개의 구멍을 포함하는, 청구범위 제8항에 청구한 바와 같은 배선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선판은 상기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와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를 안내하도록 안내홈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삽입구멍이 상기 안내홈에 있는, 청구범위 제9항에 청구한 바와 같은 배선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삽입구멍은 비교적 넓은 도입구를 가지지만 상기 도입구는 상기 삽입구멍으로 삽입된 접촉부가 팁단부(tip end)를 향해 서로 압력끼워맞춤이 되도록 접촉부의 팁단부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점차 좁아지는, 청구범위 제10항에 청구한 바와 같은 배선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 및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의 접촉부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돌기(protuberance)를 갖도록 엠보싱(embossing)되어 있으므로,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 및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의 접촉부가 상기 삽입구멍으로 삽입될 때 각각 짝짓는 접촉부의 돌기가 다른 짝짓는 접촉부의 평면에 압력끼워맞춤이 되어 접촉부들 사이에 접촉을 보장하게 되는, 청구범위 제11항에 청구한 바와 같은 배선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의 서로 강제 삽입된 접촉부와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 및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의 삽입된 접촉부가 서로 적극적 압력끼워맞춤(positive press fit)이 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오벌(oval)이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청구범위 제12항에 청구한 바와 같은 배선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는 모두 동일한 길이 및 폭을 갖는, 청구범위 제13항에 청구한 바와 같은 배선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길이 및 폭이 다른 다수의 표준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와; 상기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와 폭이 동일한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 각각은 대향단부에서 구부러진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 각각은 단부에서 구부러진 접촉부를 구비하고,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는 각각 L 형상, T 형상 및 십자 형상인, 청구범위 제14항에 청구한 바와 같은 배선판의 버스바 세그먼트 구조체(arrangement)를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길이 및 폭이 다른 다수의 표준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와; 상기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와 폭이 동일한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 각각은 대향단부에서 구부러진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 각각은 평평한 정사각형의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의 이웃한 두 측면에서 연장하며 균일한 방향으로 구부러진 적어도 2개의 접촉부를 구비하는, 청구범위 제15항에 청구한 바와 같은 배선판의 버스바 세그먼트 구조체를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길이 및 폭이 다른 다수의 표준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와; 상기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와 폭이 동일한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 각각은 대향단부에서 구부러진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 각각은 직각으로 구부러진 적어도 2개의 접촉부를 구비하는, 청구범위 제16항에 청구한 바와 같은 배선판의 버스바 세그먼트 구조체 를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상기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 및 상기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는 서로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서 돌기를 가지도록 엠보싱되는, 청구범위 제17항에 청구한 바와 같은 배선판의 버스바 세그먼트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필요한 회로 패턴에 따라 다수의 일체형 버스바를 제조하는 종래 방법에 의해 생산되는데 사용되는 폐기물의 생산을 최소로 줄임으로써 원가절감이 실현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어떠한 복잡한 회로패턴이라도 용이하게 디자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두 형식의 버스바 세그먼트가 서로 벗어나지 않고 적극적으로 연결되며 따라서 버스바 세그먼트의 자동화 세팅을 용이하게 허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전기 접촉이 보장되고 따라서 헐거운 전기 접촉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대향단부에서 구부러진 접촉부를 각각 갖는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회로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구부러진 접촉부가 전기접촉이 되도록 배선판에 형성된 삽입구멍에 압력끼워맞춤이 되는 배선판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의한 배선판 및 이 배선판에 사용된 버스바 세그먼트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각각 다른 길이를 갖는 3가지 형식의 표준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11 내지 13)와, L형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14)와, 스위치 박스(SW) 또는 도어스위치(DSW)의 커넥터에 연결하기 위한 뾰족한 팁(pointed tip)을 갖는 커넥터 단자(15)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11 내지 13)와 상기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14)의 대향단부들은 접촉부(11a 내지 14a)를 형성하도록 직각으로 구부러져있다. 한편, 배선판(H)은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11 내지 13),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14) 및 커넥터 단자(15)를 안내하기 위해 내측에 안내홈(H2)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안내홈(H2)은 상기 접촉부(11a 내지 15a)를 수용하기 위한 삽입구멍(H3)을 형성하고 있어서 삽입된 접촉부(11a 내지 15a)를 서로 연결시켜 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삽입구멍(H3)은 비교적 넓은 도입구를 가지지만 상기 도입구는 삽입구멍에 삽입된 접촉부가 팁단부를 향해 서로 압력끼워맞춤이 되도록 접촉부의 팁단부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점차 좁아진다.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11 내지 13)와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14) 및 커넥터 단자(15) 각각이 관련 안내홈(H2)내에서 안내되는 동안에,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11 내지 13)의 접촉부(11a 내지 13a)는 수렴하는 삽입구멍(H3)내에서 서로 압력끼워맞춤으로 접촉하게 되도록 각각의 삽입구멍(H3)내에 삽입된다. 유사하게,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14)의 접촉부(14a)가 각각의 삽입구멍(H3)내에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접촉부(14a)는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11 내지 13)의 접촉부(11a 내지 13a)와 압력끼 워맞춤이 된다. 유사하게, 커넥터 단자(15)의 접촉부(15a)가 또한 각각의 구멍(H3)내에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접촉부(15a)는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11 내지 13)의 접촉부(11a 내지 13a)와 압력끼워맞춤이 된다. 따라서, 삽입구멍(H3)에 완전히 삽입된 접촉부들은 진동으로 인한 불충분한 접촉을 방지하는 완전한 전기 접촉을 보장한다.
이와 관련하여 램프(L)를 유지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구성을 갖는 램프홀더(LH)가 사용된다. 즉, 홀더(LH)는 제1부분(LH1), 상기 제1부분과 동일한 평면에서 수평으로 연장하며 제1부분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제2부분(LH2), 및 상기 제2부분(LH2)으로부터 구부러져 수직 하향하는 제3부분(LH3)을 구비하고, 상기 제3부분(LH3)은 램프(L)를 유지하기 위해 램프(L)의 원추부(L1)의 팁을 수용하도록 내측에 형성된 구멍(L31)을 가진다.
다음에, 상기 제1부분(LH1)은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의 접촉부(11a 내지 13a)에 연결되기 위해 접촉부를 그 단부에서 가지고, 상기 제3부분(LH3)은 램프(L)를 수용하기 위해 배선판에 형성된 리세스(도시 안됨)내에 배치되며, 여기서 램프(L)의 원추부(L1)의 팁이 구멍(LH31)내에 스냅끼워맞춤되어 램프(L)를 탄성적으로 유지한다.
또한,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11 내지 13)와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14) 및 커넥터 단자(15)를 배선판(H)에 형성된 안내홈(H2)으로 안내하는 것 뿐만 아니라 접촉부(11a 내지 15a)를 삽입구멍(H3)으로 삽입하는 것이 한번에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버스바 세그먼트의 세팅은 힘든 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수행되며 따라서 생산원가를 감소시킨다.
이전 실시예에서, L형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14)의 사용에 대해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가 회로구성에 따라 직각으로 다른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를 만나거나 횡단할 수 있기 때문에,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측면에서 하향 연장하는 접촉부(14a)를 갖는 T형 세그먼트(14) 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측면에서 하향 연장하는 접촉부(14a)를 갖는 십자형 세그먼트(14)가 제조될 수 있어서 회로구성의 어떤 디자인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버스바 세그먼트(11 내지 15)가 안내홈(H1)에서 안내되는데, 각각의 버스바 세그먼트(11 내지 15)의 접촉부(11a 내지 15a)가 삽입구멍(H3)으로 삽입되어 거기서 고정되기 때문에 그러한 안내홈(H1)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에서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14)에 대해, 단부에서 접촉부(14a)를 갖는 L형, T형 및 십자형 부재가 사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목적을 위해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2가지 형식의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16, 17)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버스바 세그먼트(16)에 대해 설명하기 로 한다. 상기 버스바 세그먼트(16)는 평평한 정사각형의 상단부(16a), 및 상기 상단부(16a)의 4측면에서 연장하며 하향으로 구부러진 4개의 접촉부(16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4개의 접촉부(16a)를 갖는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16)는 십자형태로 배열된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11, 12 또는 13)로서 구성된 회로에서 사용 되도록 계획되어 있다.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11, 12 또는 13)가 L 형태로 배열되는 경우에,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는 인접한 2개의 접촉부(16b)를 갖도록 변경된다. 유사하게,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가 T 형태로 배열되는 경우에,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는 3개의 접촉부(16a)를 갖도록 변경된다. 즉,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는 적어도 2개의 접촉부(16b)를 가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식의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의 3가지 변경을 제조하는 것이 다수의 부품을 만드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모든 4측면에서 연장하는 4개의 접촉부를 갖는 도 7에 도시된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16)를 합체하기 위해, 배선판(H)은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16)의 상단부(16a)를 지지하도록 회로 코너에 형성된 직사각형 필라(pillar: H4)와 상기 직사각형 필라(H4)를 둘러싸는 삽입구멍(H5)을 가질 필요가 있다. 상기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16)를 사용하여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11 내지 13)를 연결하기 위해,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16)의 접촉부(16)는 먼저 삽입구멍(H5)내에 삽입되어서 배선판(H)의 직사각형 필라(H4)에 상단부(16a)가 배치되도록 한다. 다음에,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11 내지 13)의 접촉부(11a 내지 13a)가 상기 삽입구멍(H5)내에 강제로 삽입되어서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11 내지 13)가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16)를 경유하여 전기 및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다음에,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17)가 이하에 설명되어 있다. 상기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17)는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 파이프 형태로 제조된다. 상기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17)를 사용하여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11 내지 13)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17)는 직사각형 필라(H4)의 외주를 따라 가압되고, 다음에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의 접촉부(11a 내지 13a)가 삽입구멍(H5)내에 강제로 삽입되어서 십자형으로 배열된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11 내지 13)가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17)를 경유하여 전기 및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17)에 의하여, L 형태 및 T 형태로 배열된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를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은 L 형상 또는 채널 형상의 세그먼트를 경유하여 연결시킬 수 있다.
이점에 대하여,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11 내지 13)가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14, 16 또는 17)를 사용하여 어떻게 연결되는지 실시예에서 설명되어 있지만, L 형태, T 형태 또는 십자형태로 배열된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11 내지 13)와 커넥터 단자(15)를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14, 16 또는 17)를 사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11 내지 13)의 접촉부(11a 내지 13a)와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14, 16, 17)의 접촉부(14a, 16a, 17a)와 커넥터 단자(15)의 접촉부(15a)의 연결은, 비교적 넓게 개방되어 있지만 접촉부들이 서로 강제로 연결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팁단부를 향해 수렴하는 도입부를 제조함으로써 확고하게 고정된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대안으로서, 대응하는 구조는 삽입구멍(H3, H4)이 직선형 내부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반면에, 접촉부(11a 내지 13a)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서로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있는 돌기(11b 내지 13b)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가지도록 엠보싱된다.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그러한 변경은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14)의 접촉부(14a) 및 커넥터 단자(15)의 접촉부(15a)에도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접촉부(11a 내지 13a)에서 돌기(11b 내지 13b)를 형성함으로써, 접촉부(11a 내지 13a)가 평행한 내부벽의 삽입구멍(H3, H5)내로 삽입되는 상태로 돌기(11b 내지 13b)를 접촉부(11a 내지 13a)의 대향 평면으로 탄력적으로 이동시켜서 접촉부의 연결을 전기 및 기계적으로 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오벌 탄성 금속, 양호하게 오벌 칼라(18)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판의 삽입구멍(H3)내에 삽입되고, 접촉부(11a 내지 13a)가 상기 금속 칼라(18)에 압력끼워맞춤되어서 접촉부들 사이의 연결이 상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실행한 바와 같이 전기 및 기계적으로 강화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의 접촉부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속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로부터 배선판상에 직선형 버스바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작은 개수의 버스바 세그먼트에 의하여 필요한 회로 패턴을 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치수로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를 표준화할 수 있다. 그 결과, 필요한 회로 패턴에 따라 다수의 일체형 버스바를 제조하는 종래 방법에 의해 생산되는데 사용되는 폐기물의 생산을 최소로 줄임으로써 원가절감이 실현된다.
또한,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의 대향단부가, 인접한 직선형 버스바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선판에 형성된 삽입구멍으로 압력끼워맞춤이 되는 접촉부를 형성하도록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필요한 개수의 표준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를 제조함으로써 배선판에 다른 길이의 직선형 회로부를 제조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다른 크기의 버스바를 제조하거나 또는 전체 회로구성을 덮는 대형 치수의 일체형 버스바를 펀칭할 필요성을 제거한다. 그러므로 폐기물을 최소로 줄임으로써 원가절감이 실현된다.
또한, L 형상, T 형상 또는 십자형상의 접촉부를 갖는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를 경유하여 상기 배선판에 배열된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를 연결함으로써 어떤 회로패턴이라도 용이하게 실현되기 때문에, 어떠한 복잡한 회로패턴이라도 용이하게 디자인할 수 있다.
또한, 안내홈이 배선판에 형성되어 상기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 및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를 안내하기 때문에, 상기 두 형식의 버스바 세그먼트가 서로 벗어나지 않고 적극적으로 연결되며 따라서 버스바 세그먼트의 자동화 세팅을 용이하게 허용한다.
또한, 상기 삽입구멍은, 비교적 넓은 도입구이지만, 삽입구멍에 삽입된 접촉부가 팁단부를 향하여 서로 압력끼워맞춤이 되도록 접촉부의 팁단부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점차 좁아지는 도입구이기 때문에, 전기 접촉이 보장되고 따라서 헐거운 전기 접촉이 방지된다.
또한,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 및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의 각각의 접촉부가 서로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서 돌기를 가지도록 엠보싱되기 때문에, 접촉부가 삽입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접촉부의 평면에 대한 돌기의 강제적 가압을 통해 접촉부들의 상호 적극적 접촉을 보장하며 헐거운 전기 접속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벌 칼라를 미리 삽입한 삽입구멍에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 및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 양쪽의 접촉부를 강제로 삽입함으로써 접촉부들의 전기 접촉에서 헐거운 전기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버스바 세그먼트를 합체한 배선판의 평면도.
도 2는 버스바 세그먼트가 장착되어 있는 배선판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버스바 세그먼트의 단면도로서, 도 3(a)는 삽입구멍으로 삽입되는 버스바 세그먼트의 접속부의 단면도이고, 한편 도 3(b)는 삽입된 버스바 세그먼트의 접속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삽입 작업이 완료된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램프를 유지하기 위한 램프홀더의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의 실례로서, 도 6(a)는 T형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의 사시도이고, 한편 도 6(b)는 십자형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다른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를 사용하여 실행되는 조립작업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립된 세그먼트의 주요부의 단면도.
도 9는 또 다른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를 사용하여 실행되는 조립작업의 다른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립된 세그먼트의 주요부의 단면도.
도 11은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의 다른 실시예의 또 다른 사시도.
도 12는 삽입구멍으로 삽입된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은 삽입구멍으로 삽입된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를 도시하는 다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자동차 실내등 점등시스템의 하나의 실례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15는 배선판에 조립된 종래 다중 버스바의 평면도.
도 16은 배선판에 조립된 일체형 버스바로 접속부에 의해 연결된 종래 다중 버스바의 평면도.

Claims (17)

  1. 전기회로가 형성된 배선판으로서,
    상기 전기회로는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straight bus bar segment)를 포함하는 것으로 형성되고, 상기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 각각은 대향단부에서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배선판은 각각의 접촉부를 전기접촉시키기 위한 수단을 가지는 배선판.
  2. 전기회로가 형성된 배선판으로서,
    상기 전기회로는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형성되고, 상기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 각각은 대향단부에서 직각으로 구부러진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배선판은 각각의 접촉부를 전기접촉시키기 위해 각각의 접촉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삽입구멍을 가지는 배선판.
  3. 전기회로가 형성된 배선판으로서,
    상기 전기회로는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와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형성되고, 상기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와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 각각은 대향단부에서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배선판은 각각의 접촉부를 전기접촉시키기 위해 각각의 접촉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삽입코너구멍을 가지는 배선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는 L 형상이고, 대향단부에서 상기 삽입코너구멍으로 수용되기 위한 접촉부를 가지는 배선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는 T 형상이고, 각각의 대향단부에서 상기 삽입코너구멍으로 수용되기 위한 접촉부를 가지는 배선판.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는 십자 형상이고, 각각의 대향단부에서 상기 삽입코너구멍으로 수용되기 위한 접촉부를 가지는 배선판.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는 4 측면을 갖는 정사각형 상단부면을 가지고, 상기 4측면중 적어도 2측면은 상기 삽입코너구멍으로 수용되기 위해 측면에서 연장한 접촉부를 형성하고 있는 배선판.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는 배선판에 형성된 상기 삽입코너구멍으로 수용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접촉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삽입코너구멍 각각은 코너 형태를 만들기 위해 직각으로 연장하도록 하나로 조립되는 적어도 2개의 구멍을 포함하는 배선판.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판은 상기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와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를 안내하도록 안내홈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삽입구멍이 상기 안내홈에 있는 배선판.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삽입구멍은 비교적 넓은 도입구를 가지지만 상기 도입구는 상기 삽입구멍으로 삽입된 접촉부가 팁단부를 향해 서로 압력끼워맞춤이 되도록 접촉부의 팁단부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점차 좁아지는 배선판.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 및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의 접촉부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갖도록 엠보싱되어 있으므로,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 및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의 접촉부가 상기 삽입구멍으로 삽입될 때 각각 짝짓는 접촉부의 돌기가 다른 짝짓는 접촉부의 평면에 압력끼워맞춤이 되어 접촉부들 사이에 접촉을 보장하게 되는 배선판.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의 서로 강제 삽입된 접촉부와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 및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의 삽입된 접촉부가 서로 적극적 압력끼워맞춤이 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오벌(oval)이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배선판.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는 모두 동일한 길이 및 폭을 갖는 배선판.
  14. 배선판의 버스바 세그먼트 구조체로서,
    길이 및 폭이 다른 다수의 표준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와,
    상기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와 폭이 동일한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 각각은 대향단부에서 구부러진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 각각은 단부에서 구부러진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는 각각 L 형상, T 형상 및 십자 형상인, 버스바 세그먼트 구조체.
  15. 배선판의 버스바 세그먼트 구조체로서,
    길이 및 폭이 다른 다수의 표준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와,
    상기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와 폭이 동일한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 각각은 대향단부에서 구부러진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 각각은 평평한 정사각형의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의 이웃한 두 측면에서 연장하며 균일한 방향으로 구부러진 적어도 2개의 접촉부를 구비하는 버스바 세그먼트 구조체.
  16. 배선판의 버스바 세그먼트 구조체로서,
    길이 및 폭이 다른 다수의 표준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와;
    상기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와 폭이 동일한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 각각은 대향단부에서 구부러진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 각각은 직각으로 구부러진 적어도 2개의 접촉부를 구비하는 버스바 세그먼트 구조체.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 버스바 세그먼트 및 상기 코너 버스바 세그먼트는 서로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서 돌기를 가지도록 엠보싱되는 버스바 세그먼트 구조체.
KR1020080060024A 2007-06-27 2008-06-25 배선판 및 이에 사용되는 버스바 세그먼트 KR200801145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68563A JP2009011039A (ja) 2007-06-27 2007-06-27 配線板およびそれに用いるバスバーセグメント
JPJP-P-2007-00168563 2007-06-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4577A true KR20080114577A (ko) 2008-12-31

Family

ID=39840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0024A KR20080114577A (ko) 2007-06-27 2008-06-25 배선판 및 이에 사용되는 버스바 세그먼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004888A1 (ko)
EP (1) EP2009967A3 (ko)
JP (1) JP2009011039A (ko)
KR (1) KR20080114577A (ko)
CN (1) CN101335442A (ko)
CA (1) CA26364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7535B2 (en) 2010-04-16 2012-08-07 World Properties, Inc. Integral planar transformer and busbar
US8379374B2 (en) * 2010-07-16 2013-02-19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Bus to bus power interconnect
DE102011004526B4 (de) * 2011-02-22 2021-05-06 Vitesco Technologies GmbH Leiterplatte mit hoher Stromtragfähigkei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Leiterplatte
JP5892505B2 (ja) 2011-06-30 2016-03-23 矢崎総業株式会社 板金部材、バスバ及びこのバスバを備えた電気接続箱
JP5806128B2 (ja) * 2012-01-17 2015-11-10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スバー組み付け構造
DE102013007042A1 (de) * 2013-04-24 2014-10-30 Gottfried Wilhelm Leibniz Universität Hannover Leiterplatt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Leiterplatte
DE102014107997A1 (de) * 2014-06-06 2015-12-17 Neuschäfer Elektronik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elektronischen Verbindungselements und ein elektronisches Verbindungselement
JP6310791B2 (ja) * 2014-06-25 2018-04-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スイッチボックス
DE102015112785B4 (de) * 2015-08-04 2023-07-06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 Kontaktierungsanordnung
CN110972394B (zh) * 2019-12-31 2021-03-23 中科可控信息产业有限公司 电路板结构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631768A (fr) * 1926-06-30 1927-12-26 Matériel universel pour étude et construction de tous les postes de t. s. f.
GB817428A (en) * 1956-09-05 1959-07-29 Standard Telephones Cable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al circuits and their manufacture
GB994851A (en) * 1962-11-05 1965-06-10 Radionic Product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construction of electrical circuits
JPH05207627A (ja) 1992-01-23 1993-08-13 Yazaki Corp ブスバー配線板の製造方法
JP3163592B2 (ja) * 1993-04-01 2001-05-08 矢崎総業株式会社 複合回路基板
DE4323827C1 (de) * 1993-07-15 1994-12-08 Siemens Ag Steckbare Baugruppe
US5411404A (en) * 1993-10-29 1995-05-02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bus bars providing circuit board retention
US5599201A (en) * 1995-05-08 1997-02-04 Molex Incorporated Circuit assembly having stamped circuitry with a wire trap
JP3465482B2 (ja) * 1996-06-24 2003-11-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路基板
JP3676636B2 (ja) * 1999-12-27 2005-07-27 矢崎総業株式会社 層間接続構造
JP3458817B2 (ja) * 2000-03-27 2003-10-20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
JP2005085741A (ja) * 2003-09-11 2005-03-31 Sumitomo Wiring Syst Ltd 回路接続構造および該回路接続構造を備えた電気接続箱
JP4981277B2 (ja) * 2005-08-05 2012-07-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回路構成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35442A (zh) 2008-12-31
US20090004888A1 (en) 2009-01-01
EP2009967A2 (en) 2008-12-31
CA2636448A1 (en) 2008-12-27
EP2009967A3 (en) 2009-12-30
JP2009011039A (ja)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14577A (ko) 배선판 및 이에 사용되는 버스바 세그먼트
DE102008017043B3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uchsenanschlussstückes
EP3347243B1 (de) 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elektrischen bauteilen mit einer stromversorgung
DE10148107B9 (de) Verfahren zum Einbauen einer Leuchteinheit und Befestigungsanordnung für eine Leuchteinheit
JP5996009B2 (ja) 電気または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用のバスを備えた電気センタ
US7297029B2 (en) Communication control IC-incorporating connector and wiring harness with communication control IC-incorporating connector
EP0698950B1 (en) Wiring construction of electrical connection box
CN101416354A (zh) 印刷电路板的接线柱
WO2009077299A1 (de) Elektrische kontaktierung
CN105284006A (zh) 扁平电缆连接结构
EP2721695B1 (de) Kontaktierungselemente
CN103081231A (zh) 电连接用端子及使用其的连接器
US6793519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connecting lead lines therefor
JP2018170275A (ja) 圧入コンタクトピン用の支持アセンブリ
CN209344358U (zh) 一种用于大电流通过的连接组件
KR200227805Y1 (ko) 커넥터
CN220710678U (zh) 一种新型连接器
CN217158722U (zh) 一体式插接件及插座
KR20140006389A (ko) 파샬 타입 차량용 전원연결박스
DE102020104022B3 (de) Kurzschlussstift, Steckverbindung mit einem solchen Kurzschlussstift und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Kurzschlussstifts
CN114429888B (zh) 一种便于模块化装配物联网断路器的配电系统
CN212304000U (zh) 一种片式插孔结构及连接器
EP1833066A1 (en) A spring-force clamp connector, a low-voltage switching device, a system comprising low-voltage switching devices, and a metho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low-voltage switching devices to each other
KR20060019775A (ko) 플랫케이블 커넥터
CN103688411A (zh) 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