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9775A - 플랫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랫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9775A
KR20060019775A KR1020040068428A KR20040068428A KR20060019775A KR 20060019775 A KR20060019775 A KR 20060019775A KR 1020040068428 A KR1020040068428 A KR 1020040068428A KR 20040068428 A KR20040068428 A KR 20040068428A KR 20060019775 A KR20060019775 A KR 20060019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cable
connector
terminal
insertion hole
fix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8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주
소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철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철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철사
Priority to KR1020040068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9775A/ko
Publication of KR20060019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97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랫케이블을 연결하는 커넥터에 상기 커넥터를 관통하면서 상기 플랫케이블을 고정하는 고정핀이 형성된 플랫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플랫케이블 커넥터는, 외형을 형성하는 커넥터몸체(100)와; 상기 커넥터(connector)몸체(100)의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플랫케이블(FFC:Flaxible flat calble,300)의 단부에 연결된 다수개의 터미널(Terminal,320)이 삽입되는 다수개의 터미널삽입홀(160)과; 상기 커넥터몸체(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삽입홀(160)에 수직하게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핀삽입구(140)와; 상기 고정핀삽입구(140)로 삽입되어, 상기 커넥터몸체(100) 내부에 삽입된 터미널(320)을 고정하는 고정핀(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의 제작이 용이해지고, 커넥터와 플랫케이블의 결합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플랫, 플랫, 케이블, 터미널, 고정핀, 커넥터

Description

플랫케이블 커넥터 { A connector for flexible flat cable }
도 1 은 종래기술에 의한 플랫케이블 커넥터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종래기술에 의한 플랫케이블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 은 종래기술에 의한 플랫케이블 커넥터와 플랫케이블의 결합을 보인 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플랫케이블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5 는 도 4 의 플랫케이블 커넥터의 좌측면을 보인 좌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플랫케이블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플랫케이블 커넥터에 연결되는 플랫케이블과 터미널을 보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플랫케이블 커넥터에 연결되는 터미널의 외형을 보인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플랫케이블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고정핀이 플랫케이블을 고정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플랫케이블 커넥터가 자동차 전장부에 장착된 모습 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커넥터몸체 120. 연결홀
140. 고정핀삽입구 142. 고정핀결합구
160. 터미널삽입홀 180. 결합부재
182. 결합돌기 200. 고정핀
220. 노출부 222. 돌출부
240. 걸림부 242. 고정돌기
300. 플랫케이블 310. 절연수지층
312. 평각도체 320. 터미널
322. 관통부 324. 삽입부
400. 전장부
본 발명은 플랫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랫케이블을 연결하는 커넥터에 상기 커넥터를 관통하면서 상기 플랫케이블을 고정하는 고정핀이 형성된 플랫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Connector)라 함은 전기에서 전선이나 회로, 기기 등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용구를 말하는 것으로, 근간의 전자 회로기기는 콤 팩트화와 원가 절감의 추세에 맞추어 다수개의 전선(케이블)을 플랫형태로 형성한 플랫케이블(FFC:Flexible flat cable)과 상기 플랫케이블을 간편하게 접속시키는 형태의 커넥터를 선호하고 있다.
그중의 하나가 플랫케이블을 직접 연결 접속하는 플랫케이블 접속용 커넥터가 널리 보급 이용되는데, 상기 커넥터는 전선(케이블)과 커넥터 접촉단자와 접속시킬때 압착, 압접등의 중간 작업공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플랫케이블을 커넥터에 끼워 삽입하는 방식으로 연결 접속하는 것과, 상기 플랫케이블의 단부에 터미널(terminal)이 연결되어 터미널을 커넥터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연결접속하는 것으로 나뉠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플랫케이블 중에서 터미널이 장착된 플랫케이블과 연결되는 커넥터에 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의한 플랫케이블 커넥터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 는 종래기술에 의한 플랫케이블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종래의 플랫케이블 커넥터(1)는 대략 직육면형상으로 외형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1)의 일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터미널삽입홀(50)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1)는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서,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몸체(10)와 중간에 형성되는 중간몸체(20) 그리고,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몸체(3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상부몸체(10)와 중간몸체(20) 그리고 하부몸체(30)가 서로 결합하여 커넥터(1)의 외형을 완성하게 된다.
상기 상부몸체(10)는 대략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간몸체(20)의 상부 일측에 결합된다. 상기 상부몸체(10)의 상면은 아무런 돌출부위 없이 매끈한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고, 하면에는 다수개의 구획판(4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구획판(42)은 상기 중간몸체의 상면과 결합되어 플랫케이블(60)과 연결되는 전선 또는 핀 등에 연결되기 위한 상부연결홀(4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상부몸체(10)의 양측면 후단부에는 상부고정고리(12)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고정고리(12)는 상기 상부몸체(10)를 상기 중간몸체(20)의 일측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대략 사각판 형상의 돌출부에 사각형상의 천공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10)의 전단부 양측에는 상부결합돌기(14)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결합돌기(14)는 상기 상부몸체(10)의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중간몸체(20)와의 결합을 돕는 것으로 상기 중간몸체(20)의 일측에 형성된 중간결합홈(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중간몸체(20)는 상방에서 볼때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에서 볼때 대략 중앙을 기준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후반부가 다소 낮게 형성된다. 상기 중간몸체(20)의 후반부에는 상기 상부몸체(10)가 결합되어, 상기 중간몸체의 전반부와 상기 상부몸체(10)가 결합된 후반부의 상면 높이가 동일하게 된다.
상기 중간몸체(20)의 전반부는 상방으로 다소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돌출된 부분은 상기 상부몸체(10)가 결합된 후반부의 높이와 같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10)와 상기 중간몸체(20)의 결합으로 형성된 상부연결홀(40')가 연통되도록 상부터미널삽입홀(50')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터미널삽입홀(50')은 플랫케이블(60)의 단부에 결합된 터미널이 삽입되어 상기 플랫케이블(60)과 커넥터(1)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상기 중간몸체(20)의 상방으로 돌출된 전반부의 내측에 형성된다.
상기 중간몸체(20)의 일측단부 즉, 상기 상부몸체(10)에 형성된 상기 상부고정고리(12)와 결합되는 부분에는 상기 상부고정고리(12)와 형합되는 중간고정돌기(2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고정고리(12)와 상기 중간고정돌기(24)가 결합된다.
상기 중간몸체(20)의 하면에는 세로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구획판(42)이 형성된다. 상기 구획판(42)은 상기 하부몸체(30)의 상측과 결합하여 플랫케이블(60)과 연결되는 전선 또는 핀 등의 연결을 안내하기 위한 하부연결홀(4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중간몸체(20)의 양측면 후단부에는 상기 상부고정고리(12)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중간고정고리(22)가 하방으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몸체(20)의 양 측면의 타단에는 하방으로 돌출성형되어 상기 중간고정고리(22)의 결합을 돕는 중간결합돌기(26)가 형성된다.
상기 중간몸체(20)의 하측에는 상기 하부몸체(30)가 결합된다. 상기 하부몸체(30)는 상방에서 볼때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방에서 볼때 중앙을 기준으로 일측이 다소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하부몸체(30)의 일측은 상기 중간몸체(20)의 구획판(42)과 결합하여 하부연결홀(4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30)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부분의 내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하부터미널삽입홀(50'')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터미널삽입홀(50'')은 플랫케이블(60)의 단부와 연결된 터미널(62)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하부연결홀(40'')과 직선으로 연통되어 상기 하부연결홀(40'')을 통해서 상기 하부터미널삽입홀(50'')에 삽입된 터미널(62)과 전기장치의 선 또는 핀이 연결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30)의 상측에는 상기 중간몸체(20)의 중간고정고리(22)와 결합하는 하부고정돌기(32)와 상기 중간결합돌기(26)와 결합되는 하부결합홈(34)이 각각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30)의 배면은 돌출된 부위없이 매끈한 표면을 가지고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상기 중간몸체(20)와 하부몸체(30)의 상부터미널삽입홀(50')과 하부터미널삽입홀(50'')의 내부에는 각각 결합후크(5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후크(52)는 플랫케이블(60)의 단부에 연결된 터미널(62)을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중간몸체(20) 및 하부몸체(30)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후크(52)는 상기 중간몸체(20)와 하부몸체(30)의 대략 중앙부에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형성되고, 상기 상부터미널삽입홀(50')과 하부터미널삽입홀(50'')의 내부에서 상기 결합후크(52)의 단부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고리모양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몸체(10)와 중간몸체(20) 그리고 하부몸체(30)가 서로 결합하여 커넥터(1)의 외형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커넥터(1)의 외형은 별도의 외부로 돌출된 구조없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3 은 종래기술에 의한 플랫케이블 커넥터와 플랫케이블의 결합을 보인 측단면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상부몸체(10)와 중간몸체(20)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상부연결홀(40')와 상기 중간몸체(20)에 형성되는 상부터미널삽입홀(50')은 서로 연통되어 하나의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중간몸체(20)와 하부몸체(30)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하부연결홀(40'')과 상기 하부몸체(30)에 형성되는 하부터미널삽입홀(50'')은 서로 연통되어 하나의 통로를 형성하게 되고, 이는 모든 연결홀(40)와 터미널삽입홀(50)에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삽입홀(50)로 플랫케이블(60)의 단부와 연결된 터미널(62)을 삽입하게 되면, 상기 결합후크(52)에 의해서 상기 터미널(62)은 터미널삽입홀(50)의 내부에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삽입홀(50)과 연통된 상부연결홀(40')와 하부연결홀(40'')로 상기 터미널(62)과 연결되기 위한 전선 또는 핀 등이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삽입홀(50)의 내부에 고정된 상기 터미널(62)과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을 통해서 전기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전기신호를 전달하여 전기적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플랫케이블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커넥터(1)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터미널(62)의 고정을 위해서 각각의 터미널삽입홀(50)에 결합후크(52)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커넥터(1) 내부의 형상이 상당히 복잡하게 된다.
상기 커넥터(1) 내부의 복잡한 형상의 후크들이 형성된 커넥터(1)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상기 커넥터(1)를 3개로 나뉘어서 제작하여야 한다. 즉, 상기 상부몸체(10)와 중간몸체(20) 그리고 하부몸체(30) 각각을 금형에 의해 분리하여 성형한 후에 조립하여 커넥터(1)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1)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수의 증가는 물론 그에 따른 생산비용 또한 비례하여 증가하게 됨으로써, 제품의 생산성이 떨어짐은 물론 제품의 가격경쟁력이 하락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플랫케이블을 연결하는 커넥터에 상기 커넥터를 관통하면서 상기 플랫케이블을 고정하는 고정핀이 형성된 플랫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외형을 형성하는 커넥터몸체와; 상기 커넥터몸체의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플랫케이블의 단부에 연결된 다수개의 터미널이 삽입되는 다수개의 터미널삽입홀과; 상기 커넥터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삽입홀에 수직하게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핀삽입구와; 상기 고정핀삽입구로 삽입되어, 상기 커넥터몸체 내부에 삽입된 터미널을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개의 터미널삽입홀은 상기 다수개의 터미널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상기 터미널삽입홀은 상기 커넥터몸체의 상부와 하부에 2줄로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핀은, 고정핀삽입구와 형합하며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와, 상기 노출부에서 수직하게 상기 커넥터몸체의 폭만큼 연장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의 일측이 걸리게 되는 걸림부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2줄 배열된 터미널삽입홀을 각각 관통하도록 상기 노출부에서 각각 2개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은 플랫케이블과 연결되는 관통부와, 상기 터미널삽입홀로 삽입되는 삽입부로 구성된다.
상기 관통부는 플랫케이블의 단부를 관통한 후에 압착되어 상기 플랫케이블과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가격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플랫케이블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플랫케이블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 는 도 4 의 플랫케이블 커넥터의 좌측면을 보인 좌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플랫케이블(FFC:Flexible flat cable,300)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Connerctor)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의 외형을 형성하는 커넥터몸체(100)와 상기 커넥터몸체(100)에 결합되는 플랫케이블(3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200)의 결합으로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몸체(100)의 전면(도 4 를 기준)에는 상기 커넥터몸체(100)의 내부로 삽입된 터미널(Terminal,320)과 연결되기 위한 전선 또는 핀 등이 삽입되는 다수개의 연결홀(120)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홀(120)은 상기 커넥터몸체(100)의 전면에서 후면까지 직선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전체가 2줄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몸체(100)의 우측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고정핀(200)이 삽입되기 위한 고정핀삽입구(140)가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몸체(100)의 상면에는 상기 커넥터몸체(100)가 전기적 장치 등에 결합되기 용이하도록 결합부재(180)와 결합돌기(182)가 형성된다.
한편, 도 5 를 참고하여 도 4 에 도시되지 않은 커넥터몸체의 좌측면(도 4 를 기준)을 살펴보면, 상기 커넥터몸체(100)의 좌측면 일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고정핀(200)이 삽입되었을때 상기 고정핀(200)의 단부가 결합되기 위한 고정핀결합구(142)가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핀(200)이 상기 커넥터몸체(100)의 일측면의 상기 고정핀삽입구(140)를 통해서 삽입되면, 상기 고정핀(200)은 상기 커넥터몸체(100)의 내부를 수직하게 관통하여 상기 커넥터몸체(100)의 타측면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몸체(100)의 타측면의 일측 즉, 상기 고정핀삽입구(140) 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고정핀결합구(142)에 상기 고정핀(200)의 단부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핀(200)은 상기 커넥터몸체(100)에 고정되며, 결합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의 하중에 견디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핀(200)의 단부의 형상과 고정핀결합구(142)의 단부의 형상이 동일함은 당연할 것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플랫케이블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몸체(1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기 플랫케이블(300)의 단부에 결합된 터미널(320)이 삽입되고, 상기 커넥터몸체(100)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고정핀(200)이 삽입된다.
상기 커넥터몸체(100)의 전면(도 6 을 기준으로 할때)에는 상기 터미널(320)이 삽입되기 위한 터미널삽입홀(160)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삽입홀(160)은 상기 연결홀(120)과 마찬가지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전체가 2줄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홀(120)과 터미널삽입홀(160)은 서로 연통되어 하나의 직선관을 형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결홀(120)과 터미널삽입홀(160)은 하나의 통로로서, 일측은 플랫케이블(300)과 연결된 터미널(320)이 삽입되어 터미널삽입홀(160)이 되고, 타측은 상기 터미널(320)과 연결되기 위한 전선 혹은 핀 등이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320)과 연결되는 연결홀(120)이 된다.
상기 터미널삽입홀(160)의 형상은 상기 터미널(320)이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상기 터미널(32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너무 헐거워지지 않도록 하는 범 위내에서 다소 크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커넥터몸체(100)의 좌측면(도 6 을 기준으로 할때)에 형성된 고정핀삽입구(140)를 통해서 고정핀(200)이 삽입된다. 상기 고정핀(200)은 상기 고정핀(200)을 삽입했을때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220)와 상기 터미널삽입홀(160)의 내부에 삽입된 터미널(320)을 고정하는 걸림부(240)로 형성된다.
상기 노출부(220)는 상기 고정핀삽입구(14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노출부(220)의 일측에는 돌출부(222)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222)는 상기 커넥터몸체(100)에서 상기 고정핀(200)을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노출부(220)의 일측에 돌출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핀(200)을 상기 커넥터몸체(100)에서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손톱이나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돌출부(222)에 끼우거나 집어서 고정핀(200)을 인출해 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돌출부(222)는 한개 이상 형성가능하며, 상기 고정핀삽입구(140)에도 상기 돌출부(222)에 대응하는 형상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노출부(220)에서 일측으로 걸림부(240)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240)는 상기 커넥터몸체(100)에 형성된 2줄의 터미널삽입홀(160)을 각각 관통할 수 있도록 2개가 형성된다. 즉, 상기 각각의 걸림부(240)가 상기 2줄의 터미널삽입홀(160)의 대략 측면 중앙부를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240)의 일측 단부는 상기 노출부(220)에 연결되며, 타측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되면서 상기 커넥터몸체(100)를 수직하게 완전히 관통할 수 있는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240) 중에서 상기 고정핀삽입구(140)로 삽입되었을때 상기 터미널삽입홀(160)측에 가까운 측면은 경사지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삽입홀(160)의 반대측면은 수평하게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핀(200)에 형성된 경사로 인해서 상기 고정핀(200)을 상기 터미널삽입홀(160)에 삽입하기가 용이해지고, 터미널(320)이 상기 터미널삽입홀(160)의 내측에 삽입 되었을때 상기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 면에 의해 구속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240)의 측면일측에는 고정돌기(242)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242)는 상기 고정핀(200)이 상기 커넥터몸체(100)에 삽입된 후에 외부의 진동이나 외력등에 의해서 쉽게 이탈되는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커넥터몸체(100)의 내부에 형합되는 홈과 결합하여 고정력을 확보하게 된다.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플랫케이블 커넥터에 연결되는 플랫케이블과 터미널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플랫케이블 커넥터에 연결되는 터미널의 외형을 보인 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플랫케이블(300)의 단부에는 터미널(320)이 결합된다.
상기 플랫케이블(300)은 상하측의 절연수지층(310) 사이에 다수개의 평각도체(312)를 서로 평행하게 이격시켜 배열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된 플랫케이블(300)은 자동차의 도어 또는 운전석의 전장부(400)에 사용되는 플랫케이블(300)이다.
따라서, 자동차에 사용되는 다양한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함으로써 상 기 플랫케이블(300)은 고압전류를 통하게 되고, 이로 인해서 평각도체(312)의 사이즈가 커지게 된다. 이러한 플랫케이블(300)은 커넥터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경우에 평각도체(312)의 사이즈가 커서 탈거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플랫케이블(300)의 단부에는 터미널(320)이 결합된다.
상기 터미널(320)은 상기 플랫케이블(300)의 단부와 연결되는 관통부(322)와 상기 터미널삽입홀(160)에 삽입되는 삽입부(324)로 구성된다. 상기 관통부(322)는 상기 플랫케이블(300)의 평각도체(312)와 인접한 절연수지층(310)을 관통한 후에 상기 평각도체(312)로 압축되는 것으로서 끝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상기 플랫케이블(300)을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플랫케이블(300)에 터미널(320)을 결합시킬때 종래에 사용되는 솔더링(Soldering)방식이 아니라 간단한 관통과 압착만으로 상기 터미널(320)을 상기 플랫케이블(300)의 단부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324)는 대략 단면이 사각형인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324)를 통해 전선 또는 핀 등이 용이하게 결합되는 것을 돕기 위해서 소정의 홀과 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324)는 상기 플랫케이블(300)을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플랫케이블(300)과는 수직하게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돌출부에 상기 고정핀(200)의 걸림부(240)가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플랫케이블 커넥터의 작용을 도 9 와 도 10 을 참고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플랫케이블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고정핀이 플랫케이블을 고정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플랫케이블 커넥터가 자동차 전장부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상기 플랫케이블 커넥터의 연결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커넥터몸체(100)의 전면에 형성된 터미널삽입홀(160)로 상기 플랫케이블(300)의 단부에 결합된 상기 터미널(320)을 삽입한 후에, 상기 고정핀(200)을 상기 커넥터몸체(10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핀삽입구(140)로 삽입하면 상기 고정핀(200)이 상기 커넥터몸체(100)를 관통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핀(200)은 상기 터미널(320)이 삽입된 터미널삽입홀(160)을 수직하게 가로지르면서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320)에서 돌출형성된 삽입부(324)가 상기 고정핀(200)의 걸림부(240)에 걸리면서 상기 커넥터몸체(100)의 내부에서 고정된다.
즉, 상기 터미널(320)에서 상기 플랫케이블(300)을 기준으로 돌출된 삽입부(324)가 상기 커넥터몸체(100)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부(324)의 돌출된 부분의 아래쪽으로 상기 고정핀(200)의 걸림부(240)가 가로지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324)의 돌출된 부분은 상기 고정핀(200)의 걸림부(240)에 걸리게 되어 상기 플랫케이블(300)은 외부의 진동이나 외력에 의해서 쉽게 탈거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커넥터몸체(100)에 플랫케이블(300)이 결합된 후에는 상기 커넥터몸체를 연결하고자 하는 장치에 연결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자동차 의 도어와 조작장치의 전장부(400) 또는 모듈형태로 형성된 조향장치 등의 전장부(400)에 상기 커넥터몸체(100)가 직접 연결되어 상기 전장부(400) 내부의 회로와 직접 연결된다.
따라서,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자동차 내부의 전장부(400)를 연결하는 플랫케이블(300)을 용이하게 연결하게 되고, 이러한 연결을 통해 상기 전장부(400)로 작동에 필요한 전원 또는 전기적 신호가 공급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핀(200)이 상기 커넥터몸체(100)의 측방에서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삽입홀(160)을 수직하게 관통하여 상기 플랫케이블(300)에 연결된 터미널(320)을 구속하는 구조를 취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고정핀(200)이 상방에서 하방 또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삽입홀(160)을 관통하여 상기 플랫케이블(300)에 연결된 터미널(320)을 구속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터미널삽입홀(160)과 그에 따른 연결홀(120)이 2줄로 배열되었으나, 이는 필요에 따라 한줄 혹은 2줄 이상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플랫케이블 커넥터에서는, 상기 커넥터몸체로 삽입된 터미널의 삽입방향에 수직하게 고정핀을 삽입하여 상기 터미널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플랫케이블을 상기 커넥터에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 내부의 구조가 매우 간결해지게 되어 상기 커넥터몸체를 하나의 금형에서 생산해 낼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플랫케이블 커넥터를 구성하는 전체 부품이 간결해질 뿐만아니라 그 수가 줄어들게 된다. 이는 곧 작업공정의 수가 감소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에 따른 제품의 생산비 또한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간단한 핀 형상의 구조물을 삽입함으로써 종래의 고정방법에 비해 보다 우수한 고정력으로 플랫케이블을 상기 플랫케이블 커넥터에 고정할 수 있게 되고, 부품의 간단한 구조 및 구성으로 제작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제품의 파손이나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랫케이블의 단부에 결합되는 터미널을 종래의 솔더링 방식에서 상기 플랫케이블을 관통하여 압착하는 방식으로 대체 함으로써, 기존 솔더링 방식을 채택한 플랫케이블과 터미널의 결합력과 유사한 결합력을 가지면서도 간단한 작업공정과 자동화로 작업속도가 월등하게 향상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뿐만아니라 상기 플랫케이블에 터미널을 압착하는 방식은 자동화가 가능하여 기존의 솔더링 방식의 수작업을 대체할 수 있게 되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Claims (7)

  1. 외형을 형성하는 커넥터몸체와;
    상기 커넥터몸체의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플랫케이블의 단부에 연결된 다수개의 터미널이 삽입되는 다수개의 터미널삽입홀과;
    상기 커넥터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삽입홀에 수직하게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핀삽입구와;
    상기 고정핀삽입구로 삽입되어, 상기 커넥터몸체 내부에 삽입된 터미널을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터미널삽입홀은 상기 다수개의 터미널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삽입홀은 상기 커넥터몸체의 상부와 하부에 2줄로 배열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고정핀삽입구와 형합하며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와,
    상기 노출부에서 수직하게 상기 커넥터몸체의 폭만큼 연장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의 일측이 걸리게 되는 걸림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 커넥 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2줄 배열된 터미널삽입홀을 각각 관통하도록 상기 노출부에서 각각 2개가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플랫케이블과 연결되는 관통부와, 상기 터미널삽입홀로 삽입되는 삽입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플랫케이블의 단부를 관통한 후에 압착되어 상기 플랫케이블과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 커넥터.
KR1020040068428A 2004-08-30 2004-08-30 플랫케이블 커넥터 KR200600197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428A KR20060019775A (ko) 2004-08-30 2004-08-30 플랫케이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428A KR20060019775A (ko) 2004-08-30 2004-08-30 플랫케이블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775A true KR20060019775A (ko) 2006-03-06

Family

ID=37127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8428A KR20060019775A (ko) 2004-08-30 2004-08-30 플랫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977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708B1 (ko) * 2006-03-28 2007-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
KR100916421B1 (ko) * 2007-05-21 2009-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미널 커넥터
KR102371449B1 (ko) * 2021-04-29 2022-03-08 (주)티에이치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708B1 (ko) * 2006-03-28 2007-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
KR100916421B1 (ko) * 2007-05-21 2009-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미널 커넥터
KR102371449B1 (ko) * 2021-04-29 2022-03-08 (주)티에이치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46592B2 (ja) 通信制御ic内蔵コネクタ及び通信制御ic内蔵コネクタ付き配線体
US10525906B2 (en) Branch structure and wire harness
EP1669247B1 (en) Electric connection box
CN101208835A (zh) 电互连系统
CA3004953C (en) Plug-in contact
KR101534997B1 (ko) 하네스 커넥터
WO2008072442A1 (ja) 分岐コネクタ
CN204947117U (zh) 连接器
JP2009164105A (ja) 第1コネクタ、第2コネクタ及び電気接続装置
EP1215759B1 (en) A connector assembly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for a flat wire member
WO2008001453A1 (fr) Connecteur de câble coaxial
EP1351346B1 (en) Joint connector for wire harness
US10971849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N108174621B (zh) 连接器单元、装入电气部件的连接器以及带连接器的电气部件
KR20060019775A (ko) 플랫케이블 커넥터
CN111883957B (zh) 混合型线对线连接器结构及具有该结构的电源供应装置
JP2021140891A (ja) 電気コネクタ
KR20090009562U (ko) 전선연결구
KR100952434B1 (ko) 다방향 조인트장치
CN107925232B (zh) 电力布线装置
CN213340759U (zh) 能够简洁式插接的连接器
CN220984990U (zh) 连接器及电子设备
JP6630051B2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分岐構造
CN217334465U (zh) 一种方便连接卡合的连接器组件
KR100860907B1 (ko)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의 중간연결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